KR20150129282A -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282A
KR20150129282A KR1020140098285A KR20140098285A KR20150129282A KR 20150129282 A KR20150129282 A KR 20150129282A KR 1020140098285 A KR1020140098285 A KR 1020140098285A KR 20140098285 A KR20140098285 A KR 20140098285A KR 20150129282 A KR20150129282 A KR 20150129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substituted
substituted
compound
chemic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660B1 (ko
Inventor
이재성
안도환
남기선
진현미
백지은
전아람
방수연
황인용
이대균
김소연
한근희
유동우
이재선
이미숙
신경철
한성민
현승학
배호기
안중복
박노길
문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케이
Publication of KR2015012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3/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7 or 17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68

상기 식에서, R1, R2, L1, L2, X 및 Het는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NOVEL COMPOUNG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IC APPARATUS}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device)는 자체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응답 속도가 빠르고, 시야각이 넓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사는 발광층 재료로서 저분자 방향족 디아민과 알루미늄 착물을 이용한 유기EL 소자를 처음으로 개발하였다[Appl. Phys. Lett. 51, 913, 1987].
OLED에서 발광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발광 재료인데, 발광 재료 중 인광 재료는 이론적으로 형광 재료 대비 4배까지 발광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현재까지 이리듐(III)착물 계열과 카바졸 계열의 재료들이 인광 발광 재료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근 새로운 인광 재료들이 연구되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현상의 원리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유기물 층이 있을 때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면 음극과 양극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층으로 주입된다. 유기물 층으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재결합하여 엑시톤 (exciton)을 형성하고, 이 엑시톤이 다시 바닥 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이 나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일반적으로 음극과 양극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유기물층, 예컨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물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사용되는 재료로는 순수 유기물 또는 유기물과 금속이 착물을 이루는 착화합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정공주입 재료, 정공수송 재료, 발광 재료, 전자수송 재료, 전자주입 재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정공주입 재료나 정공수송 재료로는 p-타입의 성질을 가지는 유기 재료, 즉 쉽게 산화가 되고 산화시에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가지는 유기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자주입 재료나 전자수송 재료로는 n-타입 성질을 가지는 유기 재료, 즉 쉽게 환원이 되고 환원시에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가지는 유기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발광층 재료로는 p-타입 성질과 n-타입 성질을 동시에 가진 재료, 즉 산화와 환원 상태에서 모두 안정한 형태를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엑시톤이 형성되었을 때 이를 빛으로 전환하는 발광 효율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요건을 갖춘 새로운 유기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적절한 에너지 준위,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적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C(R15)(R16), C(CH3)2, C=O, O, S, N(R17), Si(CH3)2, SO2, Se,
Figure pat00002
, 스피로 구조로 결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의 아릴기, 스피로 구조로 결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50의 사이클로알킬기이고, 상기 아릴기 및 상기 사이클로알킬기가 2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융합되어 다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 R2, R15,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고;
상기 R15 및 상기 R16은 서로 융합되어 다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Het는 치환 및 비치환된 C3-C60 헤테로아릴기 또는 치환 및 비치환된 C4-C60 헤테로아릴알킬기이며, B, N, O, S, P(=O), Si 및 P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이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이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이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이미노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전극,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제2 전극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사용 가능한 물질에 요구되는 조건, 예컨대 적절한 에너지 준위,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 등을 모두 우수하게 만족시킬 수 있으며, 치환기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19의 1H-NMR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19의 TGA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19의 DSC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19의 UV 흡수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X는 C(R15)(R16), C(CH3)2, C=O, O, S, N(R17), Si(CH3)2, SO2, Se,
Figure pat00004
, 스피로 구조로 결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의 아릴기, 스피로 구조로 결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50의 사이클로알킬기이고, 상기 아릴기 및 상기 사이클로알킬기가 2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융합되어 다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 R2, R15,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고;
상기 R15 및 상기 R16은 서로 융합되어 다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Het는 치환 및 비치환된 C3-C60 헤테로아릴기 또는 치환 및 비치환된 C4-C60 헤테로아릴알킬기이며, B, N, O, S, P(=O), Si 및 P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이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이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이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이미노기이다.
상기 R2는 화학식 1에서 결합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서, R2가 부존재인 경우는 R2가 수소인 경우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사용 가능한 물질에 요구되는 조건, 예컨대 적절한 에너지 준위,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 등을 모두 우수하게 만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정의된 치환기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는 Het기, R1 치환기를 갖는 페닐렌 및 3개의 융합고리기가 L1 및 L2의 링커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3개의 융합고리기의 결합 위치가 X를 포함하는 오각 고리에 융합된 육각 고리에서 X와 가장 가까운 탄소를 1번 탄소로 정의했을 때, 2번 탄소 위치에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에너지 준위,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우수한 열적 안정성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R1이 수소가 아닌 경우, 상기 R1 치환기를 갖는 페닐렌의 벤젠 고리에 3개의 결합이 존재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에너지 준위,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우수한 열적 안정성의 특성을 개선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의 이러한 구조는 발광층 재료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중 인광 호스트, 형광 호스트, 인광 도판트, 또는 형광 도판트 재료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된 경우의 치환기는,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C1-C50의 알킬기, C3-C50의 시클로알킬기, C2-C50의 알케닐기, C3-C50의 시클로알케닐기, C2-C50의 알키닐기, C5-C50의 시클로알키닐기, 시아노기, C1-C20의 알콕시기, C6-C60의 아릴기, C7-C60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조합의 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경우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며;
X, L1 및 L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5 내지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Figure pat00006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pat00007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pat00008
[화학식 17] [화학식 18] [화학식 19] [화학식 20]
Figure pat00009
상기 식에서,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며;
X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R2, R6, R7 및 R9는 화학식 1에서 결합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서, R2, R6, R7 또는 R9가 부존재인 경우는 R2, R6, R7 또는 R9가 수소인 경우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1 내지 4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23]
Figure pat00010
[화학식 24] [화학식 25] [화학식 26]
Figure pat00011
[화학식 27] [화학식 28] [화학식 29]
Figure pat00012
[화학식 30] [화학식 31] [화학식 32]
Figure pat00013
[화학식 33] [화학식 34] [화학식 35]
Figure pat00014
[화학식 36] [화학식 37] [화학식 38]
Figure pat00015
[화학식 39] [화학식 40] [화학식 41]
Figure pat00016
[화학식 42] [화학식 43] [화학식 44]
Figure pat00017
[화학식 45] [화학식 46] [화학식 47]
Figure pat00018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1 내지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며;
X 및 L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R2, R6, R7, R9, R12 및 R13은 화학식 1에서 결합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서, R2, R6, R7, R9, R12 또는 R13이 부존재인 경우는 R2, R6, R7, R9, R12 또는 R13이 수소인 경우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R1, R2, R15, R16 및 R17은, 예를 들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C1-C50의 알킬기, C3-C50의 시클로알킬기, C2-C50의 알케닐기, C3-C50의 시클로알케닐기, C2-C50의 알키닐기, C5-C50의 시클로알키닐기, 시아노기, C1-C20의 알콕시기, C6-C60의 아릴기, C7-C60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기;
C1-C50의 알킬기, C3-C50의 시클로알킬기, C2-C50의 알케닐기, C3-C50의 시클로알케닐기, C2-C50의 알키닐기, C5-C50의 시클로 알키닐기, 시아노기, C1-C20의 알콕시기, C6-C60의 아릴기, C7-C60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R1, R2, R15, R16 및 R17이 상기 헤테로아릴기 및 상기 헤테로아릴알킬기인 경우, 상기 헤테로아릴기 및 상기 헤테로아릴알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종원자 B, N, O, S, P(=O), Si 및 P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예를 들어, 상기 R1, R2, R15,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카바졸기 또는 피리딘기이고,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페닐렌기, 비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카바졸기 또는 피리딘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01 내지 306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 A, 화합물 B 및 화합물 C를 하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에 의해 반응시켜 합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9
상기 화합물 A, B 및 C 중, X1 내지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Cl, Br, I, B(OH)2,
Figure pat00030
, 또는
Figure pat00031
이고,
X, L1, L2, R2 및 Het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반응식 1]
Figure pat00032
[반응식 2]
Figure pat00033
상기 반응식 1 및 반응식 2에서,
X3 내지 X6은 Cl, Br, I, B(OH)2 또는
Figure pat00034
, 또는
Figure pat00035
이고,
X, L1, L2, R1, R2 및 Het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전극,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제2 전극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물층이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발광층 중 인광 호스트, 형광 호스트, 인광 도판트, 또는 형광 도판트 재료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에, 추가적으로, 공지된 재료의 인광 호스트, 형광 호스트, 인광 도판트, 또는 형광 도판트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층은 필요한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차단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차단층은, 각각, 공지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층은 유기 박막층을 형성하거나 적층하는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적용된 상기 전자 기기는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 (O-LET), 유기 태양 전지 (O-SC), 유기 광학 검출기, 유기 광수용체, 유기 전계-켄치 소자 (O-FQD), 발광 전기화학 전지 (LEC),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레이저) 또는 유기 발광 소자 (OLED)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화합물 [119]의 합성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상기 화학식 119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19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반응식3]
Figure pat00036

중간체 화합물[119-3]의 제조
0.5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119-1] 10.0g(40.6mmol), 화합물 [119-2] 10.7g(44.7mmol), 터트부톡시 나트륨 5.9g(60.9mmol), 톨루엔 150ml을 넣고 상온교반한다. 팔라듐아세테이트 0.1g(0.4mmol), 트리터트부틸포스핀(50%) 0.3g(0.8mmol)을 투입하고 질소기류 하에서 15시간 동안 환류 교반시켰다. 반응종료 후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한 다음 반응액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라프로 분리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119-3] 9.0g(69%)를 제조하였다.
중간체 화합물 [119-4]의 제조
0.5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119-3] 10g(31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150ml 에 녹이고 교반하였다. 78℃로 온도를 낮추고 부틸리튬(2.5M)을 서서히 적가하고, 질소기류하에서 12시간 동안 상온으로 천천히 온도를 올리면서 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6N 염산수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액을 산성으로 만든 뒤, 포화 소금물을 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감압농축하고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옅은 회색고체의 중간체 화합물 [119-4] 7.0g(78%)을 제조하였다.
중간체 화합물 [119-6]의 제조
250m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119-4] 5.0g(17.4mmol), 화합물 [119-5] 7.1g(22.6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0.6g(0.5mmol), 세슘카보네이트 8.5g(26.1mmol)을 톨루엔 120ml 에 녹이고, 에탄올 10mL, 증류수 20mL를 가한 뒤 20시간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한 다음,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라프로 분리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 [119-6] 8.3g(71%)을 제조하였다.
중간체 화합물 [119-8]의 제조
250m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119-6] 2.0g(4.2mmol), 화합물 [119-7] 2.2g(5.0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 0.4g(0.4mmol), 세슘카보네이트 5.8g(17.9mmol)을 1,4-다이옥산 120ml 에 녹이고, 증류수 20ml를 가한 뒤 24시간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한 다음,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라프로 분리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 [119-8] 2.4g(41%)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119]의 제조
250m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119-8] 5.7g(12.0mmol), 화합물 [119-9] 1.4g(11.3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발라듐(0) 0.2g(0.1mmol), 세슘카보네이트 2.1g(6.3mmol)을 1,4-다이옥산 800ml 에 녹이고, 증류수 160mL를 가한 뒤 20시간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한 다음, 고체를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메탄올, 증류수, 아세톤을 사용하여 세척한 뒤,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헥산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인 화합물 [119] 2.7g(91%)을 제조하였다.
1H NMR (400 MHz, THF-d8) : δ 8.96(d, 2H), 8.88(dd, 4H), 8.33(d, 1H), 8.24(d, 1H), 8.03(d, 3H), 7.98(d, 2H), 7.82(d, 3H), 7.73(d, 1H), 7.71~7.61(m, 10H), 7.52~7.48(m, 3H), 7.48~7.40(m, 3H), 7.40~7.30(m, 1H)
MS/FAB : 322(M+)
도 1은 상기 화합물 119의 1H-NMR 그래프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13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32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163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63이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175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75이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186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186이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216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16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235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35이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269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69이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27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72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0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기만 변경하여, 화학식 299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299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20
실시예 1-10에서 합성된 화합물 119, 132, 163, 175, 186, 216, 235, 269, 272, 299를 각각 인광 녹색 호스트로 사용하고, 하기 화합물 D를 인광 녹색 도판트로 사용하고, 2-TNATA(4,4',4"-tris(N-naphthalen-2-yl)-N-phenylamino)-triphenylamine)을 정공주입층 물질로 사용하고, α-NPD(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을 정공수송층 물질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각각 실시예 11-20): ITO/2-TNATA(80 nm)/α-NPD(30 nm)/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합물 D(30 nm)/ Alq3 (30 nm)/Liq(1 nm)/ Al(100 nm).
애노드는 코닝(Corning)사의 15Ω/cm2 (1000Å) ITO 유리 기판을 25 mm x 25 mm x 0.7 mm크기로 잘라서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콜과 순수한 물 속에서 각 1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기판 상부에 2-TNATA를 진공 증착하여 80 nm 두께의 정공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주입층 상부에, α-NPD를 진공 증착하여 30 nm 두께의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합물 D (도핑률: 10wt%)를 진공 증착하여 30 nm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Alq3 화합물을 30 nm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여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q 1 nm (전자주입층)과 Al 100 nm (캐소드)를 순차적으로 진공증착하여,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화합물 D>
Figure pat00037

비교예 1 : 화합물 [400]의 합성
하기 반응식 4에 따라 상기 화학식 400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00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4]
Figure pat00038

중간체 화합물[400-2]의 제조
0.5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400-1] 10.0g(42.4mmol), 화합물 [119-4] 13.4g(46.6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발라듐(0) 1.0g(0.8mmol), 탄산칼륨 7.7g(56.0mmol)을 1,4-다이옥산 210ml 에 녹이고, 증류수 42mL를 가한 뒤 24시간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종료 후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한 다음,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감압농축하고 컬럼크로마토그라프로 분리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 [400-2] 8.1g(48%)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400]의 제조
0.5L 반응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에서 화합물 [400-2] 8.1g(20.3mmol), 화합물 [119-9] 9.7g(22.4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발라듐(0) 0.5g(0.4mmol), 탄산칼륨 3.7g(26.9mmol)을 1,4-다이옥산 110ml 에 녹이고, 증류수 20mL를 가한 뒤 28시간 환류교반한다. 반응종료 후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한 다음, 고체를 감압여과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메탄올, 증류수, 아세톤을 사용하여 세척한 뒤,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헥산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흰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인 화합물 [400] 9.7g(76%)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화합물 [500]의 합성
하기 반응식 5에 따라 상기 화학식 500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500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반응식 5]
Figure pat00039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합물 [119-4] 대신, 화합물 [500-1]로 변경하여, 화학식 500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500라고 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2에서, 인광 녹색 호스트로 사용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합물 400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ITO/2-TNATA(80 nm)/α-NPD(30 nm)/화합물 400 + 화합물 D (30 nm)/ Alq3 (30 nm)/Liq(1 nm)/ Al(100 nm)의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2에서, 인광 녹색 호스트로 사용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합물 500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ITO/2-TNATA(80 nm)/α-NPD(30 nm)/화합물 500 + 화합물 D (30 nm)/ Alq3 (30 nm)/Liq(1 nm)/ Al(100 nm)의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2에서, 인광 녹색 호스트로 사용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하기 화합물 E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ITO/2-TNATA(80 nm)/α-NPD(30 nm)/화합물 E + 화합물 D (30 nm)/ Alq3 (30 nm)/Liq(1 nm)/ Al(100 nm)의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E>
Figure pat00040

비교예 6
하기 화학식 F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인광 녹색 호스트로 사용하고, 하기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인광 녹색 도판트로 사용하고, 2-TNATA(4,4'4"-tris(N-naphthalen-2-yl)-N-phenylamino)-triphenylamine)을 정공주입층 물질로 사용하고, α-NPD(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을 정공수송층 물질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ITO/2-TNATA(80 nm)/α-NPD(30 nm)/ 화합물 F + 화합물 D (30 nm)/ Alq3 (30 nm)/Liq(1 nm)/ Al(100 nm).
애노드는 코닝(Corning)사의 15Ω/cm2 (1000Å) ITO 유리 기판을 25 mm x 25 mm x 0.7 mm크기로 잘라서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콜과 순수한 물 속에서 각 1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기판 상부에 2-TNATA를 진공 증착하여 80 nm 두께의 정공주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주입층 상부에, α-NPD를 진공 증착하여 30nm 두께의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수송층 상부에 화학식 F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도핑율:10%)를 진공 증착하여 30nm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발광층 상부에 Alq3 화합물을 30nm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여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q 1 nm(전자주입층)과 Al 100 nm(캐소드)를 순차적으로 진공증착하여,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F>
Figure pat00041

평가예 1: 발광 특성 평가
실시예 12-21 및 비교예 3-6에서 제작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각 샘플에 대하여, Keithley sourcemeter "2400" KONIKA MINOLTA "CS-2000"을 이용하여 발광휘도, 발광효율, 발광피크를 각각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샘플들은 513nm 내지 515nm 범위에서 녹색 발광 피크값을 보여주었다.
샘플 No. 인광 녹색 호스트 인광 녹색 도판트 전압
OP. V
휘도
[cd/m2]
효율
[cd/A]
발광피크
[nm]
비교예 3 화합물 E 화합물 D 5.12 4759 47.59 514
비교예 4 화합물 F 화합물 D 4.89 4652 46.52 513
비교예 5 화합물 400 화합물 D 5.10 4498 43.11 510
비교예 6 화합물 500 화합물 D 4.82 4907 47.72 515
실시예 11 화합물 119 화합물 D 4.54 5214 52.14 513
실시예 12 화합물 132 화합물 D 4.65 5067 50.67 513
실시예 13 화합물 163 화합물 D 4.44 5128 51.28 513
실시예 14 화합물 175 화합물 D 4.21 5109 51.09 514
실시예 15 화합물 186 화합물 D 4.16 5008 50.08 515
실시예 16 화합물 216 화합물 D 4.79 5138 51.38 514
실시예 17 화합물 235 화합물 D 4.32 5205 52.05 515
실시예 18 화합물 269 화합물 D 4.08 5198 51.98 513
실시예 19 화합물 272 화합물 D 4.74 5198 51.98 513
실시예 20 화합물 299 화합물 D 4.01 5043 50.43 515
상기 표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20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비교예 3-6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비하여 향상된 발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평가예 2: 수명 특성 평가
실시예 11-20 및 비교예 3-6에서 제작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각 샘플에 대하여, ENC technology사의 LTS-1004AC 수명측정장치를 이용하여 3000 nit를 기준으로 수명이 97%에 도달하는 시간을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샘플 No. 인광 녹색 호스트
No.
인광 녹색 도판트
No.
수명
Time(Hours)
비교예 3 화합물 E 화합물 D 42
비교예 4 화합물 F 화합물 D 38
비교예 5 화합물 400 화합물 D 39
비교예 6 화합물 500 화합물 D 53
실시예 11 화합물 119 화합물 D 84
실시예 12 화합물 132 화합물 D 67
실시예 13 화합물 163 화합물 D 85
실시예 14 화합물 175 화합물 D 89
실시예 15 화합물 186 화합물 D 68
실시예 16 화합물 216 화합물 D 62
실시예 17 화합물 235 화합물 D 86
실시예 18 화합물 269 화합물 D 89
실시예 19 화합물 272 화합물 D 66
실시예 20 화합물 299 화합물 D 65
상기 표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20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비교예 3-6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비하여 향상된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42

    상기 식에서,
    X는 C(R15)(R16), C(CH3)2, C=O, O, S, N(R17), Si(CH3)2, SO2, Se,
    Figure pat00043
    , 스피로 구조로 결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의 아릴기, 스피로 구조로 결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C50의 사이클로알킬기이고, 상기 아릴기 및 상기 사이클로알킬기가 2개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융합되어 다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 R2, R15,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고;
    상기 R15 및 상기 R16은 서로 융합되어 다환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Het는 치환 및 비치환된 C3-C60 헤테로아릴기 또는 치환 및 비치환된 C4-C60 헤테로아릴알킬기이며, B, N, O, S, P(=O), Si 및 P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이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이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이미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이미노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Figure pat00044

    상기 식에서,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며;
    X, R1, R2, L1 및 L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5 내지 2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Figure pat00045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pat00046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pat00047

    [화학식 17] [화학식 18] [화학식 19] [화학식 20]

    상기 식에서,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며;
    X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1 내지 4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23]
    Figure pat00049

    [화학식 24] [화학식 25] [화학식 26]
    Figure pat00050

    [화학식 27] [화학식 28] [화학식 29]
    Figure pat00051

    [화학식 30] [화학식 31] [화학식 32]
    Figure pat00052

    [화학식 33] [화학식 34] [화학식 35]
    Figure pat00053

    [화학식 36] [화학식 37] [화학식 38]
    Figure pat00054

    [화학식 39] [화학식 40] [화학식 41]
    Figure pat00055

    [화학식 42] [화학식 43] [화학식 44]
    Figure pat00056

    [화학식 45] [화학식 46] [화학식 47]
    Figure pat00057

    A는 탄소 또는 질소이고;
    R1 내지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5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5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50 헤테로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50 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킬아미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50 아릴알콕시아미노기이며;
    X 및 L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15,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중수소(D); 할로겐;
    C1-C50의 알킬기, C3-C50의 시클로알킬기, C2-C50의 알케닐기, C3-C50의 시클로알케닐기, C2-C50의 알키닐기, C5-C50의 시클로알키닐기, 시아노기, C1-C20의 알콕시기, C6-C60의 아릴기, C7-C60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기;
    C1-C50의 알킬기, C3-C50의 시클로알킬기, C2-C50의 알케닐기, C3-C50의 시클로알케닐기, C2-C50의 알키닐기, C5-C50의 시클로 알키닐기, 시아노기, C1-C20의 알콕시기, C6-C60의 아릴기, C7-C60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헤테로아릴알킬기이고,
    상기 헤테로아릴기 및 상기 헤테로아릴알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종원자 B, N, O, S, P(=O), Si 및 P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15,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페닐기, 비페닐기, 나프틸기, 카바졸기 또는 피리딘기이고,
    상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페닐렌기, 비페닐렌기, 나프틸렌기, 카바졸기 또는 피리딘기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00 내지 30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8. 제1 전극,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제2 전극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이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은 발광층 중 인광 호스트, 형광 호스트, 인광 도판트, 또는 형광 도판트 재료로서 포함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차단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2. 제11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차단층, 상기 전자수송층, 상기 전자주입층 또는 상기 전자차단층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 (O-LET), 유기 태양 전지 (O-SC), 유기 광학 검출기, 유기 광수용체, 유기 전계-켄치 소자 (O-FQD), 발광 전기화학 전지 (LEC),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레이저) 또는 유기 발광 소자 (OLED)인
    전자 기기.


KR1020140098285A 2014-05-09 2014-07-31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KR101729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5533 2014-05-09
KR1020140055533 2014-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282A true KR20150129282A (ko) 2015-11-19
KR101729660B1 KR101729660B1 (ko) 2017-04-26

Family

ID=5484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285A KR101729660B1 (ko) 2014-05-09 2014-07-31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660B1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845A (ko) * 2015-04-24 201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조성물 및 유기 광전자 소자
KR20160142147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WO2017099490A1 (ko) * 2015-12-08 2017-06-15 희성소재(주)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18012718A1 (ko) * 2016-07-12 2018-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용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WO2018038464A1 (ko) * 2016-08-23 2018-03-01 주식회사 두산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80029429A (ko) * 2016-09-12 2018-03-21 (주)씨엠디엘 플루오렌닐 트리아진 유도체 유기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7857759A (zh) * 2017-12-04 2018-03-30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化合物及制法和有机发光器件
JP2018090561A (ja) * 2016-02-15 2018-06-14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新規なトリアジン化合物、それを用いた有機電子素子及び植物栽培用照明
JP2018177668A (ja) * 2017-04-07 2018-11-15 東ソー株式会社 スピロフルオレン骨格基を有するトリアジン化合物
CN109575001A (zh) * 2017-09-29 2019-04-05 Cmdl有限公司 3-二苯并呋喃基三嗪衍生物有机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EP3476915A1 (en) * 2017-10-30 2019-05-01 Cynora Gmbh Organic molecules, in particular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WO2019216743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20200063049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20111585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N111344288A (zh) * 2018-05-11 2020-06-26 株式会社Lg化学 新型杂环化合物及利用其的有机发光器件
CN111479815A (zh) * 2017-12-20 2020-07-31 默克专利有限公司 杂芳族化合物
WO2020256527A1 (ko) * 2019-06-21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20200145766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WO2021075775A1 (ko) * 2019-10-14 2021-04-22 솔루스첨단소재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12830900A (zh) * 2021-01-07 2021-05-25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磷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包含它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11158817B2 (en) 2017-01-05 2021-10-26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1177441B2 (en) 2014-01-24 2021-11-16 Samsung Sdi Co., Ltd. Organic compound, compositio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1189800B2 (en) 2017-07-10 2021-11-30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2034421A1 (ja) * 2020-08-12 2022-02-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US11264574B2 (en) 2016-07-29 2022-03-01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element, organic optoelectronic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11518769B2 (en) 2017-07-20 2022-12-06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16023344A (zh) * 2021-12-30 2023-04-28 江苏三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三嗪和螺芴结构的化合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上的应用
US11678572B2 (en) 2016-06-29 2023-06-13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11706975B2 (en) 2016-06-29 2023-07-18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11746117B2 (en) 2018-11-27 2023-09-05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73A (ja) * 2004-09-29 2006-05-18 Canon Inc 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2372665B (zh) * 2010-08-20 2014-02-26 清华大学 一种芳基芴类化合物及应用

Cited B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7441B2 (en) 2014-01-24 2021-11-16 Samsung Sdi Co., Ltd. Organic compound, compositio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784447B2 (en) 2015-04-24 2020-09-22 Samsung Sdi Co., Ltd. Organic compound, composition, and organic optoelectronic diode
KR20160126845A (ko) * 2015-04-24 201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조성물 및 유기 광전자 소자
KR20160142147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JP2019505478A (ja) * 2015-12-08 2019-02-28 ヒソン・マテリアル・リミテッドHeesung Material Ltd. 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WO2017099490A1 (ko) * 2015-12-08 2017-06-15 희성소재(주)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170067671A (ko) * 2015-12-08 2017-06-16 희성소재 (주)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2018090561A (ja) * 2016-02-15 2018-06-14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新規なトリアジン化合物、それを用いた有機電子素子及び植物栽培用照明
US11678572B2 (en) 2016-06-29 2023-06-13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11706975B2 (en) 2016-06-29 2023-07-18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O2018012718A1 (ko) * 2016-07-12 2018-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용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US11084806B2 (en) 2016-07-12 2021-08-10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1264574B2 (en) 2016-07-29 2022-03-01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element, organic optoelectronic element, and display device
WO2018038464A1 (ko) * 2016-08-23 2018-03-01 주식회사 두산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80029429A (ko) * 2016-09-12 2018-03-21 (주)씨엠디엘 플루오렌닐 트리아진 유도체 유기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1158817B2 (en) 2017-01-05 2021-10-26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8177668A (ja) * 2017-04-07 2018-11-15 東ソー株式会社 スピロフルオレン骨格基を有するトリアジン化合物
US11189800B2 (en) 2017-07-10 2021-11-30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578076B2 (en) 2017-07-20 2023-02-14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US11518769B2 (en) 2017-07-20 2022-12-06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US11840538B2 (en) 2017-07-20 2023-12-12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9575001A (zh) * 2017-09-29 2019-04-05 Cmdl有限公司 3-二苯并呋喃基三嗪衍生物有机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11718608B2 (en) 2017-10-30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molecules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WO2019086297A1 (en) * 2017-10-30 2019-05-09 Cynora Gmbh Organic molecules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EP3476915A1 (en) * 2017-10-30 2019-05-01 Cynora Gmbh Organic molecules, in particular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CN107857759A (zh) * 2017-12-04 2018-03-30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化合物及制法和有机发光器件
JP2021506932A (ja) * 2017-12-20 2021-02-22 メルク、パテ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Merck Patent GmbH ヘテロ芳香族化合物
CN111479815A (zh) * 2017-12-20 2020-07-31 默克专利有限公司 杂芳族化合物
WO2019216743A1 (ko) * 2018-05-11 2019-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CN111344288A (zh) * 2018-05-11 2020-06-26 株式会社Lg化学 新型杂环化合物及利用其的有机发光器件
KR20200063049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20111585A1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N112789273B (zh) * 2018-11-27 2023-12-29 株式会社Lg化学 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CN112673004B (zh) * 2018-11-27 2023-12-15 株式会社Lg化学 新的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CN112789273A (zh) * 2018-11-27 2021-05-11 株式会社Lg化学 新型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CN112673004A (zh) * 2018-11-27 2021-04-16 株式会社Lg化学 新的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US11746117B2 (en) 2018-11-27 2023-09-05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WO2020256527A1 (ko) * 2019-06-21 2020-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20200145766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WO2021075775A1 (ko) * 2019-10-14 2021-04-22 솔루스첨단소재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14555566A (zh) * 2019-10-14 2022-05-27 索路思高新材料有限公司 有机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元件
WO2022034421A1 (ja) * 2020-08-12 2022-02-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デバイス、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CN112830900A (zh) * 2021-01-07 2021-05-25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磷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包含它的有机电致发光器件
CN116023344A (zh) * 2021-12-30 2023-04-28 江苏三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三嗪和螺芴结构的化合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上的应用
CN116023344B (zh) * 2021-12-30 2024-03-08 江苏三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三嗪和螺芴结构的化合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上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660B1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660B1 (ko)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KR101773936B1 (ko) 신규한 유기발광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806164B1 (ko) 신규한 유기발광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60060572A (ko) 유기 발광 화합물, 잉크 조성물, 유기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EP2497811A2 (en) Compound for an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same
CN112106215A (zh) 用于有机电气元件的化合物、使用所述化合物的有机电气元件及其电子设备
KR101861263B1 (ko)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092006B1 (ko)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70089599A (ko)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2055740A (zh) 用于有机电子元件的化合物、使用所述化合物的有机电子元件及其电子装置
KR101764911B1 (ko) 유기 발광 화합물, 잉크 조성물, 유기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KR20170039020A (ko)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140020208A (ko) 아크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0948811B1 (ko) 포스파페난스렌계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기발광소자
KR101794557B1 (ko)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90079348A (ko)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150145131A (ko)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791023B1 (ko) 축합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64908B1 (ko) 2-펜안트렌 카바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00021367A (ko)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50064410A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KR101739831B1 (ko) 유기 발광 화합물, 잉크 조성물, 유기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KR20120112257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815653B1 (ko) 아자보라디벤조크라이센 유도체 유기 발광 화합물, 잉크 조성물 및 유기 발광 소자
KR20180020578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