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704A - 무손실 정상 상태 동작을 이용하는 과도 억제 - Google Patents

무손실 정상 상태 동작을 이용하는 과도 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704A
KR20150128704A KR1020157024694A KR20157024694A KR20150128704A KR 20150128704 A KR20150128704 A KR 20150128704A KR 1020157024694 A KR1020157024694 A KR 1020157024694A KR 20157024694 A KR20157024694 A KR 20157024694A KR 20150128704 A KR20150128704 A KR 20150128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perational amplifier
transient
load condi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224B1 (ko
Inventor
비카스 비나약
서지 프랑코이스 드로기
Original Assignee
퀀탄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퀀탄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퀀탄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61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parallel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전원은 과도 이벤트 동안 과도와 동일하지만 반대인 양의 레이트로 과도에서 예상되는 최대 전하를 저장하고 전하를 방출함으로써 과도 전압들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배터리 전압의 저하를 방지한다. 설명되는 전원은 과도 억제를 위한 전통적인 아키텍처들에 비해 향상된 효율을 제공하며, 따라서 배터리 충전들 간의 시간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더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무손실 정상 상태 동작을 이용하는 과도 억제{TRANSIENT SUPPRESSION WITH LOSSLESS STEADY STATE OPERA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Vikas Vinayak 및 Serge Francois Drogi에 의해 2013년 3월 13일자로 "Transient Suppression with Lossless Steady State Operation"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80,192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전원(power suppl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원 내의 과도 부하 전류 관리에 관한 것이다.
랩톱,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현대의 이동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내부의 전자 회로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들은 종종 이동 장치를 더 작고 더 가볍게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배터리들은 부하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유한 능력 및 유한 용량을 갖는다.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배터리의 능력은 배터리의 내부 저항에 의해 정량화된다. 배터리가 어떠한 부하 회로에도 접속되지 않을 때, 배터리는 "개방 회로 전압"이라고 하는, 그의 단자들 양단의 특정 전압을 나타낼 것이다. 부하 회로가 배터리에 접속될 때, 배터리로부터 부하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이러한 전류의 증가는 배터리의 단자들 양단의 전압이 그의 개방 회로 전압 아래로 떨어지게 한다. 더 큰 내부 저항을 갖는 배터리들은 주어진 부하 전류에 대해 더 큰 전압 강하(voltage droop)를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부하 전류들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디지털 기저대역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등과 같이 단일 배터리로부터 동작하는 다수의 회로를 포함하는 현대의 전자 장치들에서 특히 클 수 있다. 시동 동안 또는 배터리로부터 큰 전류 드레인을 생성하는 다른 과도 조건들 하에서, 배터리의 전압은 전압이 부하 회로들의 동작을 유지하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을 때까지 떨어져 전체 장치를 리셋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교시 내용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부하 과도 억제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의 동작과 관련된 예시적인 파형들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은 부하 과도 억제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들 및 아래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으로만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된다.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구조들 및 방법들의 대안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원리들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용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대안들로서 쉽게 인식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여러 실시예가 상세히 참조될 것이며, 그 예들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다. 실행 가능한 어느 곳에서나 유사 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도면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사 또는 동일한 기능을 지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도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는 구조들 및 방법들의 대안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원리들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인식할 것이다.
전원은 과도 이벤트(transient event) 동안 과도(transient)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반대인 양(amount)의 레이트로 전하를 저장하고 전하를 방출함으로써 과도 전압들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배터리 전압의 저하(collapsing)를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된 전하는 과도에서 예상되는 최대량의 전하 또는 이러한 예상되는 최대치의 사전 정의된 범위 내의 전하를 포함한다. 설명되는 전원은 과도 억제를 위한 전통적인 아키텍처들에 비해 향상된 효율을 제공하며, 따라서 배터리 충전들 간의 시간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더 양호한 사용자 경험을 생성한다.
도 1은 배터리(110) 및 전자 장치(130)와 병렬로 결합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12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배터리(110)는 전압(Vo)을 생성하는 전압 소스(102) 및 내부 저항기(R4)로서 표현되어, 전체 배터리 전압(Vdd)이 전자 장치(130)에 결합되게 한다. 부하 과도 억제 회로(120)는 전압(Vdd)이 과도 부하 조건들 동안 임계 전압(예로서, 전자 장치(130)의 최소 동작 전압)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부하 과도 억제 회로(120)는 연산 증폭기(X1), 커패시터들(C3-C4), 저항기(R3), 및 커패시터들(C1-C2), 저항기들(R1-R2) 및 전압 저감 회로(104)를 포함하는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140)를 포함한다.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140)는 과도 조건들 하에서 양의 차동 전압을 그리고 명목 조건들 하에서 음의 차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연산 증폭기(X1)에 제공되는 차동 전압(V+, V-)을 생성한다. 전압 저감 회로(104)는 예를 들어 전압 저감 구성의 차동 증폭기와 같은 임의의 전통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목 부하 조건들 동안, 연산 증폭기(X1)의 양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V+)은 전압 강하(V1)로 인해 음의 입력 노드의 전압(V-)보다 낮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X1)의 출력은 명목 조건들 동안 접지(예로서, Vout = 0V)로 보내진다. 따라서, 명목 조건들 동안, 연산 증폭기(X1)는 그의 바이어스 전류 외의 어떠한 전류도 전달 또는 소비하지 않는다. 연산 증폭기(X1)의 공급 단자(supply terminal)는 공급 전압(supply voltage) Vcc를 수신한다. 공급 전압(Vcc)은 명목 조건들 하에서 Vdd에 접근하여, C4 및 C3 양자는 대략 Vdd로 충전된다. R4가 작은 것으로 가정하면, Vdd는 대략 Vo이다.
장치 전류(Iout)가 급상승하는 과도 조건들 하에서, 전압(Vdd)은 배터리(110)의 내부 저항(R4)으로 인해 강하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연산 증폭기(X1)의 음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V-) 및 양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V+)이 R1C1 및 R2C2의 각각의 시상수와 관련된 각각의 레이트로 강하하게 한다. 저항기(R1, R2) 및 커패시터들(C1, C2)의 값들은 τ1 = R1C1 << τ2 = R2C2가 되도록 선택되며, 여기서 τ1은 연산 증폭기(X1)의 음의 입력 노드에 결합된 저항기(R1) 및 커패시터(C1)의 RC 시상수이고, τ2는 연산 증폭기(X1)의 양의 입력 노드에 결합된 저항기(R2) 및 커패시터(C2)의 RC 시상수이다. 시상수들의 차이로 인해, 연산 증폭기(X1)의 음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V-)은 연산 증폭기(X1)의 양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V+)보다 빠르게 강하하며, V-는 V+ 아래로 강하한다. 이것은 연산 증폭기(X1)의 출력 전압(Vout)이 과도 부하 조건들 동안 0V 위로 상승하게 한다. 이어서, Vdd는 전류가 Vout을 거쳐서 커패시터(C3)를 통해 흐르기 시작함에 따라 다시 상승한다.
연산 증폭기(X1)로부터의 전류는 연산 증폭기(X1)의 전력 공급 전압(Vcc)으로부터 나온다. 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C4가 방전하기 시작한다. 저항기(R3)는 C3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Vdd를 상승시키고 C4를 충전하지 않는 것을 보증한다. C3 및 C4는 양 커패시터가 (C3 = C4인 것으로 가정할 때) 대략 Vo/2일 때까지 출력 전압을 Vdd로 계속 유지할 것이다. C3 및 C4의 값들은 그들 양단의 전압들이 과도 기간의 끝까지 Vo/2에 도달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과도 기간이 끝나면, 커패시터들(C3, C4)은 대략 Vo로 느리게 다시 충전된다.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R3은 일반적으로 R4보다 크다. R3이 너무 작은 경우, 커패시터(C3)에 의해 밖으로 펌핑되는 전하는 저항기(R3)에 의해 대부분 방산(dissipated)될 수 있다. 그러나, R3이 R4에 비해 큰 경우, 커패시터(C3)로부터의 전하의 대부분은 장치(130)로 흐를 것이다. 그러나, R3의 더 큰 값은 과도 이벤트 후에 커패시터(C4)를 재충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R3의 정확한 값은 원하는 절충(tradeoff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부하 과도 억제 회로(1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파형들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배터리(110)는 Vo = 3V의 전압을 생성하며, 과도 조건들 하에서 R4 = 0.5 옴의 내부 저항을 갖는다. 명목 조건들 하에서, 전자 장치(130)는 100 mA의 전류(Iout)를 인출(draw)하여 Vdd = 2.95V가 되게 한다. 시간 t1에서, 부하 전류(Iout)는 5A로 급상승하여 Vdd가 강하하기 시작하게 한다. Vdd의 강하는 전압(V+)이 전압(V-) 위로 상승하게 하며, 이는 결국 Vout가 상승하기 시작하게 한다. Vout의 상승은 Vdd를 안정시키며, Vdd가 더 강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승하는 Vout은 과도 조건 동안(도 2에서 시간 t1과 시간 t2 사이에) 커패시터(C3)를 통하는 전류를 증가시킨다. C3은 더 방전되어 전류를 장치(130)에 제공하고, Vdd의 저하를 방지한다. Vcc도 C4가 방전됨에 따라 t1과 t2 사이에서 강하한다. 시간 t2에, 과도 기간이 끝나고, 출력 전류(Iout)는 다시 100 mA로 강하한다. 이것이 발생할 때, C3 및 C4는 다시 충전되기 시작하며, 따라서 Vout가 강하하고, Vcc가 약 3V로 다시 상승하게 한다. Vout이 약 0V에 도달하고, 커패시터(C3)가 시간 t3에서 완전히 충전되면, Vdd는 다시 약 3V로 상승한다.
C3 및 C4의 전체 용량은 과도 전압(Vdd)이 주어진 배터리 전압에 대해 전자 장치(130)의 최소 동작 전압 위에 항상 있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700 μF의 전체 용량(예로서, C3 = C4 = 350 μF)은 Vdd가 3V 배터리에 대해 2.7V 위로 유지되는 것을 보증할 것이다.
도 3은 부하 과도 억제 회로(320)의 대안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저항기(R3)는 과도 이벤트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스위치(S1)(예로서, 트랜지스터)로 대체되지만, 그 외에는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회로(322)는 전압(Vdd) 또는 전류(Iout)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과도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 회로(322)는 Vdd가 임계 전압 아래로 떨어질 때 또는 Vdd의 변화 레이트의 크기가 임계 레이트 아래로 초과할 때 과도 조건을 검출한다. 대안으로서, 감지 회로(322)는 Iout가 임계 전류 근처로 상승할 때 또는 Iout의 변화 레이트의 크기가 임계 레이트 위로 상승할 때 과도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과도 조건의 검출에 응답하여, 감지 회로(322)는 스위치(S1)를 턴오프(turn off)하며, 따라서 연산 증폭기(X1)의 Vcc 노드가 커패시터(C4)로부터 전류를 인출하게 한다. 감지 회로(322)가 과도 조건이 종료된 것을 감지할 때, 스위치(S1)는 다시 턴온(turn on)된다. 스위치(S1)는 명목 조건들 동안 온(on)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커패시터(C4)가 약 Vdd로 다시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 내용을 읽을 때, 통상의 기술자들은 부하 과도 억제 회로를 위한 또 다른 추가적인 대안 설계들을 알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 및 응용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및 기기의 배열, 동작 및 상세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에 결합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load transient suppression circuit)로서,
    과도 부하 조건(transient load condition) 동안 바이어스 입력을 통해 바이어스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출력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에 결합된 바이어스 커패시터 - 상기 바이어스 커패시터는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방전하여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함 -;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과 상기 배터리 전압 사이에 결합된 출력 커패시터 - 상기 출력 커패시터는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배터리 전압이 임계 전압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 -;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양의 입력 단자에 제1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음의 입력 단자에 제2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 - 상기 제2 전압은 명목 부하 조건(nominal load condition) 동안 상기 제1 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과도 부하 조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압 아래로 떨어져서, 상기 연산 증폭기가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출력 전류를 제공하게 함 -
    를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는
    제1 시상수를 갖는 제1 RC 회로 - 상기 제1 RC 회로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로 출력함 -; 및
    제2 시상수를 갖는 제2 RC 회로 - 상기 제2 RC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음의 단자로 출력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상수는 상기 제1 시상수보다 크고, 따라서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음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1 전압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C 회로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음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아지게 하기 위한 전압 저감 회로(voltage subtraction circuit)를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상기 배터리 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에 결합하고,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배터리 전압을 상기 바이어스 입력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 사이에 결합된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제2 커패시터는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의 과도 전압의 예상된 최대 강하 및 상기 과도 부하 조건의 예상된 최대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일정량의 전하(an amount of charge)를 공동으로 저장(collectively store)하도록 구성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7.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전압에 결합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로서,
    차동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차동 입력 전압이 양(positive)인 것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
    상기 차동 입력을 상기 연산 증폭기에 제공하기 위한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 - 상기 차동 입력은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양이고, 상기 차동 입력은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음(negative)임 -; 및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방전 전류를 상기 전자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 커패시터 - 상기 방전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임계 전압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함 -
    를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바이어스 입력에 결합되어,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가 상기 출력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바이어스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부하 과도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패시터 및 바이어스 커패시터는 상기 과도 부하 조건의 배터리 전압의 예상된 최대 강하 및 상기 과도 부하 조건의 예상된 최대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일정량의 전하를 공동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는
    제1 시상수를 갖는 제1 RC 회로 - 상기 제1 RC 회로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로 출력함 -; 및
    제2 시상수를 갖는 제2 RC 회로 - 상기 제2 RC 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음의 단자로 출력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상수는 상기 제1 시상수보다 크고, 따라서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음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1 전압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C 회로는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음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아지게 하기 위한 전압 저감 회로를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상기 배터리 전압을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에 결합하고,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배터리 전압을 상기 바이어스 입력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과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 사이에 결합된 저항기를 더 포함하는 부하 과도 억제 회로.
  14. 배터리 전압이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 회로(power supply circuit)에서 부하 과도(load transient)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연산 증폭기 입력 회로에 의해, 차동 입력을 연산 증폭기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차동 입력은 상기 전자 장치의 부하 조건을 나타내고, 상기 차동 입력은 과도 부하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극성 값을 가짐 -;
    상기 연산 증폭기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부하 조건을 나타내는 상기 차동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차동 입력이 상기 제1 극성 값을 갖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출력 커패시터에 의해, 상기 과도 부하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연산 증폭기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전자 장치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 상기 방전 전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임계 전압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바이어스 커패시터에 의해,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바이어스 입력에 방전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연산 증폭기가 상기 출력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하 과도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커패시터 및 상기 바이어스 커패시터에 의해,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의 과도 전압의 예상된 최대 강하 및 상기 과도 부하 조건의 예상된 최대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일정량의 전하를 공동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제1 시상수를 갖는 제1 RC 회로에 의해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시상수를 갖는 제2 RC 회로에 의해 상기 배터리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상수는 상기 제1 시상수보다 크고, 따라서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음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2 전압은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1 전압 아래로 떨어지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RC 회로의 출력으로부터 고정 전압을 빼서, 상기 제1 전압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양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음의 단자에 대한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아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목 부하 조건 동안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에 상기 배터리 전압을 결합하고, 상기 과도 부하 조건 동안 상기 배터리 전압을 상기 바이어스 단자로부터 분리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은 저항기를 통해 상기 연산 증폭기의 상기 바이어스 입력에 결합되는 방법.
KR1020157024694A 2013-03-13 2014-03-12 무손실 정상 상태 동작을 이용하는 과도 억제 KR102259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80192P 2013-03-13 2013-03-13
US61/780,192 2013-03-13
PCT/US2014/024994 WO2014159752A1 (en) 2013-03-13 2014-03-12 Transient suppession with lossless steady state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704A true KR20150128704A (ko) 2015-11-18
KR102259224B1 KR102259224B1 (ko) 2021-05-31

Family

ID=515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694A KR102259224B1 (ko) 2013-03-13 2014-03-12 무손실 정상 상태 동작을 이용하는 과도 억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535441B2 (ko)
EP (1) EP2973916B1 (ko)
JP (2) JP6227110B2 (ko)
KR (1) KR102259224B1 (ko)
CN (1) CN105075044B (ko)
HK (1) HK1213368A1 (ko)
WO (1) WO2014159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047A (ko) * 2016-09-15 2019-05-07 레이던 컴퍼니 충전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7110B2 (ja) 2013-03-13 2017-11-08 クアンタ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スレス定常状態の動作を有する過渡抑制
US11196102B2 (en) * 2016-04-27 2021-12-07 Sanyo Electric Co., Ltd.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CN107993332A (zh) * 2017-12-07 2018-05-04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磁图像传感器
JP2021151023A (ja) * 2020-03-17 2021-09-27 Fdk株式会社 電池パック、充電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を充電する方法
US11855554B2 (en) 2021-09-09 2023-12-26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of driving an electrical load and corresponding driver circu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405A1 (ja) * 2007-09-04 2009-03-12 Advantest Corporation 電源安定化回路、電子デバイス、および、試験装置
JP2010081707A (ja) * 2008-09-25 2010-04-08 Jamco Corp 電源周波数変換器
JP2010193590A (ja) * 2009-02-17 2010-09-02 Nec Computertechno Ltd 電源瞬断対策回路、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コンデンサ充電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630A (en) * 1989-05-24 1992-11-24 Motorola, Inc. Low current switched capacitor circuit
JPH08293813A (ja) * 1995-04-19 1996-11-05 Casio Comput Co Ltd 電圧制御回路
FR2754955B1 (fr) * 1996-10-22 1998-12-24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Dispositif de limitation de variations transitoires d'une tension d'alimentation
US5822166A (en) * 1996-12-05 1998-10-13 Intel Corporation DC power bus voltage transient suppression circuit
EP0892332B1 (en) * 1997-07-14 2005-03-09 STMicroelectronics S.r.l. Low power consumption linear voltage regulator having a fast response with respect to the load transients
US6522111B2 (en) * 2001-01-26 2003-02-18 Linfinity Microelectronics Linear voltage regulator using adaptive biasing
US6950950B2 (en) * 2001-12-28 2005-09-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 for conveying overload conditions from an AC adapter to a load powered by the adapter
US7064613B2 (en) * 2002-03-25 2006-06-20 Lucent Technologies Inc. Amplifier bias system and method
JP3960327B2 (ja) * 2004-09-08 2007-08-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7710079B2 (en) * 2005-07-19 2010-05-0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Power manager and power managing method for battery-powered application
US7714553B2 (en) 2008-02-21 2010-05-11 Mediatek Inc. Voltage regulator having fast response to abrupt load transients
US20090224737A1 (en) * 2008-03-07 2009-09-10 Mediatek Inc. Voltage regulator with local feedback loop using control currents for compensating load transients
CN102684143A (zh) * 2012-06-05 2012-09-19 黄宇嵩 直流电源电压过压或欠压保护模块
CN202678926U (zh) * 2012-07-03 2013-01-16 洪珍 供电电源电压过压欠压保护装置
JP6227110B2 (ja) 2013-03-13 2017-11-08 クアンタ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スレス定常状態の動作を有する過渡抑制
US9335370B2 (en) * 2014-01-16 2016-05-10 Globalfoundries Inc. On-chip test for integrated AC coupling capaci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405A1 (ja) * 2007-09-04 2009-03-12 Advantest Corporation 電源安定化回路、電子デバイス、および、試験装置
JP2010081707A (ja) * 2008-09-25 2010-04-08 Jamco Corp 電源周波数変換器
JP2010193590A (ja) * 2009-02-17 2010-09-02 Nec Computertechno Ltd 電源瞬断対策回路、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コンデンサ充電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047A (ko) * 2016-09-15 2019-05-07 레이던 컴퍼니 충전 관리 시스템
US11056899B2 (en) 2016-09-15 2021-07-06 Raytheon Company Charge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5044B (zh) 2018-10-16
KR102259224B1 (ko) 2021-05-31
US9535441B2 (en) 2017-01-03
WO2014159752A1 (en) 2014-10-02
JP6227110B2 (ja) 2017-11-08
EP2973916A4 (en) 2016-04-06
CN105075044A (zh) 2015-11-18
HK1213368A1 (zh) 2016-06-30
US20170075376A1 (en) 2017-03-16
JP2016518649A (ja) 2016-06-23
JP2017228309A (ja) 2017-12-28
EP2973916B1 (en) 2019-11-06
US20140266128A1 (en) 2014-09-18
JP6495983B2 (ja) 2019-04-03
EP2973916A1 (en) 2016-01-20
US10466730B2 (en)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5983B2 (ja) ロスレス定常状態の動作を有する過渡抑制
US7880449B2 (en) Capacitor start-up apparatus and method with fail-safe short circuit protection
US7898222B2 (en) Battery charger and associated method
JP2016518649A5 (ko)
JP5588370B2 (ja) 出力回路、温度スイッチic、及び、電池パック
JP6778142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電源回路
JP2011083043A (ja) 電源電圧制御回路
CN109785874A (zh) 电源重置电路
US20160111909A1 (en) Self-discharging circuit
JP5750326B2 (ja) 電子機器の保護回路
WO2016203234A1 (en) Voltage regulators
CN106505650B (zh) 电源供应器及其电源控制方法
CN103972939A (zh) 手持设备及其电源电路
JP5925625B2 (ja) 過放電防止回路
JP5971604B2 (ja) 電圧検出回路
JP7392938B2 (ja) 遮断回路
CN207652024U (zh) 一种短路保护检测电路
US8890485B2 (en) Charger circuit
CN112087036A (zh) 电池激活装置和终端设备
CN113242138A (zh) 一种简易pd电路及pd设备供电方法
CN113285439A (zh) 防打火电路、供电装置和机器人
JP5233503B2 (ja) 二次電池の充電回路、その充電制御方法及びその充電回路を備えた電源回路
JP2009194967A (ja) 電源供給装置
JP2014007889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