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798A - 톱니형 침포 - Google Patents

톱니형 침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798A
KR20150127798A KR1020120035438A KR20120035438A KR20150127798A KR 20150127798 A KR20150127798 A KR 20150127798A KR 1020120035438 A KR1020120035438 A KR 1020120035438A KR 20120035438 A KR20120035438 A KR 20120035438A KR 20150127798 A KR20150127798 A KR 2015012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root
emboss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631B1 (ko
Inventor
조세프 이텐
펠릭스 하슬러
니콜라오스 파블루
Original Assignee
그래프 플러스 씨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래프 플러스 씨 아게 filed Critical 그래프 플러스 씨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12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06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by means of toothed memb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84Card clothing;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1G15/88Card clothing;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med from metal shee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84Card clothing;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면 기계 또는 소면기의 롤러를 위한 톱니형 침포에 관한 것이다. 톱니형 침포는 다수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치형부를 갖는데, 여기서 각 치형부는 치형부 앞면 및 치형부 뒷면 및 치형부 팁을 갖는다.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은 각 경우에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각 경우에 가지며 치근으로부터 치형부 팁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공간을 형성한다. 치형부 팁과 치근 사이에, 치형부들은 각 경우에 그것들의 치형부 뒷면 상에 및 그것들의 치형부 앞면 상에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과 각 경우에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형성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톱니형 침포{SAW-TOOTH CLOTHING}
본 발명은 개섬기, 클리너, 소면기(carder) 또는 소면 기계의 롤러들을 위한 톱니형 침포에 관한 것이다.
톱니형 침포는 텍스타일 섬유를 가공처리하는 각종 영역들에서 사용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톱니형 침포는 롤러들 상에 와이어의 형태로 장착된다. 전형적인 섬유 제조 공정에서, 섬유들은 얀 또는 부직물의 생산을 위한 제제로서 소위 소면기 또는 소면 기계 상에서 처리된다. 섬유들은 이송 장치를 통해 드럼으로 이송된다. 이 드럼은 그것의 표면 쉘에 후크 또는 톱니형 침포를 구비하는 롤러이다. 원주에 걸쳐 분포된 소면 요소들과 함께 드럼 침포는 이송된 섬유들의 정렬 및 클리닝을 실행한다. 제품 및 용도에 따라, 드럼 둘레에 배치된 각종 요소들이 사용된다. 요소들은 플랫, 클리닝 요소들 또는 롤러들로서 구성되고 또한 톱니형 침포를 구비한다. 이 처리에 이어서, 섬유들은 도퍼(doffer) 롤러로 인계되고 드럼 침포로부터 제거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도퍼 롤러의 침포는 드럼의 침포에 의해 유지된 섬유들에서 맞물리고 그것들을 드럼으로부터 떼어낸다. 도퍼 롤러로부터, 차례로, 섬유들은 그 다음 롤러로 이동되고 부직포- 또는 슬리버-형성 유닛으로 이송된다. 한 롤러로부터 다른 롤러로 이러한 인계 및 이동 공정들은 또한 소면 기계의 워커 롤러에서 볼 수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톱니형 침포의 각종 구체예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DE 100 12 561은 파형 치형부 뒷면을 갖는 톱니형 침포를 개시한다. 치형부 뒷면의 이 형상은 톱니형 침포로부터 섬유들이 조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도한다. 치형부 뒷면 상의 제공된 볼록 돌출부는 섬유들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개시된 침포의 단점은 치형부 뒷면의 형상이 단지 섬유 인계의 동안에만 초기 탈착을 방지하며, 침포에 의해 섬유들의 이동 중에는 그것이 섬유들을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어떤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에 기하여, DE 100 12 561은 추가의 구체예에서 치형부의 대단히 뾰족한 팁을 개시한다. 그러나, 침포의 사용 과정에서, 이러한 치형부 팁은 마모로 인해 상실된다.
더 나아가서, EP 1 153 162는 톱니형 침포를 개시하는데, 이것의 치형부는 치형부 앞면에 언더컷 가장자리를 갖는다. 이 언더컷 가장자리는 치형부 앞면으로부터 치형부의 뒷면을 향해 뾰족해지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개시된 치형부 형태는 소면 동안에 섬유 보유를 증가시키도록 의도된다. 개시된 침포의 단점은 치형부의 형태가 섬유들을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한쪽만의 구조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섬유 가공처리에 필요한 섬유 수용 및 섬유 보유를 제공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섬유 인계가 한정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정도로만 다음 공정 단계로의 섬유 운반 및 섬유 이동에 작용하는 톱니형 침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 독립항의 특징부의 특징들로 달성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치형부를 갖는 소면 기계 또는 소면기의 롤러들을 위한 톱니형 침포가 제안되는데, 여기서 각 치형부는 치형부 앞면 및 치형부 뒷면 및 치형부 팁을 갖고, 치형부의 뒷면은 각 경우에 다음 치형부의 앞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가지며 치형부의 팁으로부터 치근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공간을 형성한다. 치형부 팁과 치근 사이에서, 그것들의 치형부 앞면 상에 및 그것들의 치형부 뒷면 상에, 치형부들은 각 경우에, 치형부의 뒷면 및 각 경우에 다음 치형부의 앞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엠보스형성부를 갖는다.
섬유들의 가공처리 동안에, 이 섬유들은 침포에 의해 롤러들 상에 유지된다. 이 목적을 위해, 가요성 침포 또는 톱니형 침포와 같은 많은 다른 설계들의 침포가 사용된다. 적합한 반대(counter) 요소들을 가지고, 섬유들은 세정되고 나란하게 된다. 이어서 섬유들은 한 롤러에서 다음 롤러로 이동되거나 또는 각각 선행하는 롤러의 침포 밖으로 다음 롤러에 의해 올려진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섬유들은 롤러의 회전 운동 동안 롤러 상의 침포에 의해 견고히 유지되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할 때 추가 롤러의 침포로 이동되어야 한다.
롤러의 회전 운동 및 따라서 롤러 상의 침포의 운동으로 인해, 개개 섬유들은 톱니형 침포의 경우에 침포의 치형부들 둘레로 어느 정도 감긴다. 사용된 톱니형 침포의 치형부 형태 뿐만 아니라 치형부 위치도 섬유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또 다른 결정적 인자는 톱니형 침포의 연속되는 치형부들 사이의 자유 공간의 구성이다. 그것의 기하학적 구조를 통해, 이 치형부 공간은 톱니형 침포에서의 시간 동안 개개 섬유들의 행동과 더 이상의 가공처리 요소, 예를 들면, 후속 롤러로의 이동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섬유들은 주로 치형부 앞면에 의해 톱니형 침포에서 보유된다. 치형부 앞면은 톱니형 침포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뾰족해지는 측면 상에서 치형부 팁으로부터 치근으로 연장된다. 같은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에 반대쪽 면은 치형부의 뒷면에 의해 형성된다. 치근에서,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과 선행하는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은 서로 만난다. 치형부 공간은 따라서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과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치형부의 팁으로부터 치근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톱니형 침포에 의해 수집된 섬유는 톱니형 침포의 치근에 최대한으로 침투할 수 있다. 침포에 의해 수용된 섬유들을 보유하기 위해, 엠보스형성부는 치형부 팁과 치근 사이의 치형부 앞면 상에 제공된다. 이 엠보스형성부는 이 엠보스형성부의 위치에서 엠보스형성부를 구비한 선행하는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과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처리할 섬유들은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 위에서 미끄러져 치근으로 향하고 이어서 엠보스형성부에 의해 톱니형 침포에 보유된다.
섬유들을 침포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인접 롤러 상의 침포는 섬유들과 맞물린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섬유들은 섬유들을 유지하는 침포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가속되고 각 경우에 섬유들 앞에서 위치된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을 통해 침포의 밖으로 올려진다. 섬유들이 인접 섬유들의 접착력으로 인해 침포의 밖으로 서로 상호간에 당길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해, 치형부의 뒷면도 또한 엠보스형성부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치형부 뒷면과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 사이의 거리의 더욱 감소를 가져온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한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는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이로써 치형부 공간의 병목부를 형성한다. 엠보스형성부는 치근의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에서 보아, 상기 엠보스형성부가 서로 뒤이어 배치되지 않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때 마주하는 것으로서 생각된다. 보는 방법은 항상 치형부 리브(rib)에 수직이다. 치형부 리브에 수직하게 배치된 단면에서,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상승은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가 끝나기 전에 시작되고, 또 역으로도 마찬가지이다. 치형부 리브로부터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상승의 시작까지의 거리는 치형부 리브로부터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최고점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다. 또는, 역의 경우에, 치형부 리브로부터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상승의 시작까지의 거리는 치형부 리브로부터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최고점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다. 엠보스형성부의 상승의 시작은 치형부의 팁에서 보아 한정되어야 한다. 엠보스형성부의 최고점은 엠보스형성부가 치형부 공간으로 가장 먼 곳을 돌출하는 지점에 해당한다. 치형부 앞면 또는, 각각,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배치는 자루 형태의 치형부 공간을 가져온다. 이것은 톱니형 침포에서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에 의해 보유된 섬유들이 또한 섬유들이 올려질 때 선행하는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에 의해 영향받는 것을 보장한다. 이 영향은 한 롤러로부터 다음 롤러로 섬유의 한정된 이동을 가져오고, 여기서 이동은 섬유를 인계하는 롤러의 침포에 의해 결정된다.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는 만일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가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와 조합되면 톱니형 침포에서 섬유의 보유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는 것이 또한 발견되었다.
치형부 공간의 자루 형태는 치형부 뒷면과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 사이의 거리가 병목부 뒤에서 보다 병목부 앞에서 더 크다. 두 치형부 간의 거리의 결정은 항상 톱니형 침포의 치형부 리브에 나란하게 수행된다. 치근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 공간의 기본적 제한은 치형부 공간이 다음 롤러의 침포에 의해 톱니형 침포의 밖으로 올라갈 수 없는 섬유들로 막힐 수 없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치형부 앞면은 엠보스형성부 앞의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이 엠보스형성부 뒤의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과 정렬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적용가능한 경우, 이것은 또한 치형부 뒷면에도 적용되어 엠보스형성부 앞의 치형부 뒷면의 제 1 부분이 엠보스형성부 뒤의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과 정렬되도록 한다. 치형부 앞면과 치형부 뒷면의 이러한 구성은 톱니형 침포로부터 섬유 제거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
만일 치근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으로부터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가 15°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의 각도로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에 대해 상승한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톱니형 침포로 섬유들의 급격한 미끄러짐이 일어나지 않는다.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더 이상의 코스에서, 치근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가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을 향해 치형부 리브에 나란하게 떨어진다면 유리하다.
치형부 뒷면의 엠보스형성부의 형성은 치근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가 15°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의 각도로 치형부 뒷면의 제 1 부분에 대해 상승한다면 유리하다.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더 이상의 코스에서, 치근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는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을 향해 치근에 수직하게 떨어진다면 유리하다.
톱니형 침포는 구체적으로 소면기, 또는 소면 기계의 도퍼 롤러 및 워커 롤러 및 부직물 섹터에서의 롤러들에 적합하다. 톱니형 침포는 톱니형 침포가 서로에 인접한 나선상 감김으로 장착되는 방식으로 롤러에 제공된다. 톱니형 침포는 홈 없는 롤러에 장착할 수 있기 위해 통상적인, 상호잠긴 또는 상호엮인 치형부 리브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 구체예에 의해서 및 도면과 함께 이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톱니형 침포의 제 1 구체예의 예시 개략도를 하나의 도면 및 하나의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2는 톱니형 침포의 제 2 구체예의 예시 개략도를 하나의 도면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톱니형 침포의 두개의 연속적인 치형부의 예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톱니형 침포(1)의 제 1 구체예의 예시 개략도를 하나의 도면 및 하나의 단면으로 나타낸다. 이것은 치형부 리브(10)와 각각 하나의 치형부 팁(5)을 갖는 다수의 연속적인 치형부(2)를 갖는 톱니형 침포(1)를 수반한다. 톱니형 침포(1)의 치형부(2)는 치형부 팁(5)으로부터 치근(6)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앞면(3)과 치형부 팁(5)으로부터 치근(6)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뒷면(4)이 생기도록 형성된다. 치형부(2)의 치형부 뒷면(4)은 치근(6)에서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3)과 만난다. 화살표(11)는 톱니형 침포(1)의 움직이는 방향을 가리킨다. 그것의 치형부 앞면(3)과 그것의 치형부 뒷면(4) 상에서, 치형부(2)는 각 경우에 하나의 엠보스형성부(8, 9)를 갖는다. 치형부(2)의 치형부 뒷면(4)과 다음 치형부(2)의 치형부 앞면(3)은 치형부 팁(5)으로부터 치근(6)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공간(7)의 경계를 이룬다. 치형부(2)의 치형부 뒷면(4)과 다음 치형부(2)의 치형부 앞면(3) 사이의 거리(A)는 엠보스형성부(8, 9)에 의해 감소된다.
도 2는 톱니형 침포(101)의 제 2 구체예의 예시 개략도를 하나의 도면으로 나타낸다. 톱니형 침포(101)는 치형부(102)의 배치 및 형태에 관하여 도 1과 다르다. 톱니형 침포(101)는 치형부 리브(110)와 각각 하나의 치형부 팁(105)을 갖는 다수의 치형부(102)로 구성된다. 도 1의 톱니형 침포의 치형부에 대하여, 톱니형 침포(101)의 치형부(102)는 다른 기울기 및 다른 거리를 갖는 예로서 예시된다. 엠보스형성부(109) 뒤에서, 치형부 앞면(103)의 코스가 엠보스형성부(109) 앞에서 보다 다른 각도로 치근(106)으로 계속 연장된다. 치형부 뒷면(104)의 코스도 또한 엠보스형성부(108) 앞에서 보다 다른 각도로 엠보스형성부(108) 뒤로 계속 연장된다. 이것은 도 1에 대해서와 다른 형태의 치형부 공간(107)을 가져오는데, 여기서 엠보스형성부(108, 109)의 배치의 특징적인 자루 형태는 변함없이 남아있다.
도 3은 도 1의 톱니형 침포(1)의 두개의 연속적인 치형부(2)를 확대 예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치형부(2)의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8)는 다음 치형부(2)의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9)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치형부 앞면은 엠보스형성부(9)에 의해 치형부 팁(5)과 엠보스형성부(9) 사이의 제 1 부분(20)과, 엠보스형성부(9)와 치근(6) 사이의 제 2 부분(21)으로 나뉜다. 제 1 부분(20)은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21)과 정렬하여 배치된다. 그러므로, 치형부 앞면의 두 부분(20, 21)은 같은 평면에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치형부 뒷면은 엠보스형성부(8)에 의해 치형부 팁(5)과 엠보스형성부(8) 사이의 제 1 부분(22)과, 엠보스형성부(8)와 치근(6) 사이의 제 2 부분(23)으로 나뉜다. 제 1 부분(22)은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23)과 정렬하여 배치된다. 그러므로, 치형부 뒷면의 두 부분(22, 23)은 같은 평면에서 배치된다.
치형부 뒷면의 엠보스형성부(8)는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의 엠보스형성부(9)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로써, 병목부(24)가 치형부 공간(7)에 배치되어, 자루 형태의 치형부 공간(7)을 가져온다. 치형부(2)의 치형부 뒷면의 제 1 부분(22)과 다음 치형부(2)의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20) 사이의 거리(B)는 치형부(2)의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23)과 다음 치형부(2)의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21) 사이의 거리(C) 보다 더 크다. 치형부 공간(7)의 폭은 따라서 치근(6)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형부 팁(5)으로부터 감소하는데, 여기서 서로 마주하는 엠보스형성부(8, 9)에 의해 치형부 공간(7)의 연속적인 좁아짐이 병목부(24)의 형태로 방해받는다.
엠보스형성부(8, 9)의 형태는 치근(6)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형부 팁(5)으로부터 진행하여 엠보스형성부(8, 9)의 완만한 상승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치근(6)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형부 팁(5)으로부터,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9)는 15°미만의 각(α)으로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20)에 대하여 상승한다. 따라서, 치형부 뒷면의 엠보스형성부(8)는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22)에 대하여 15°미만의 각(β)으로 치근(6)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형부 팁(5)으로부터 상승한다.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9)의 최고점에 도달한 후, 엠보스형성부는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21)을 향해 치형부 리브(10)에 나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8)는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23)을 향해 치형부 리브(10)에 수직하게 떨어진다.
1 톱니형 침포
2 치형부
3 치형부 앞면
4 치형부 뒷면
5 치형부 팁
6 치근
7 치형부 공간
8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
9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
10 치형부 리브
11 움직이는 방향
20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
21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
22 치형부 뒷면의 제 1 부분
23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
24 병목부
A 치형부 뒷면과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 사이의 거리
B 치형부 뒷면의 제 1 부분과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의 제 1 부분 사이의 거리
C 치형부 뒷면의 제 2 부분과 다음 치형부의 치형부 앞면의 제 2 부분 사이의 거리
α 치형부 앞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기울기의 각도
β 치형부 뒷면 상의 엠보스형성부의 기울기의 각도

Claims (10)

  1. 다수의 연속적으로 배치된 치형부(2, 102)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치형부(2, 102)는 치형부 앞면(3, 103) 및 치형부 뒷면(4, 104) 및 치형부 팁(5, 105)을 갖고, 치형부의 치형부 뒷면(4, 104)은 각 경우에 다음 치형부(2, 102)의 치형부 앞면(3, 103)으로부터 일정한 거리(A)를 가지며 치근(6, 106)으로부터 치형부 팁(5, 105)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공간(7, 107)을 형성하는, 소면 기계 또는 소면기의 롤러를 위한 톱니형 침포(1, 101)에 있어서,
    치형부(2, 102)는, 치형부 팁(5, 105)과 치근(6, 106) 사이에서, 각 경우에 그것들의 치형부 뒷면(4, 104) 상에 및 그것들의 치형부 앞면(3, 103) 상에, 치형부(2, 102)의 치형부 뒷면(4, 104)과 각 경우에 다음 치형부(2, 102)의 치형부 앞면(3, 103) 사이의 거리(A)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형성부(8, 9, 108, 10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2. 제 1 항에 있어서, 치형부(2, 102)의 치형부 뒷면(4, 104) 상의 엠보스형성부(8, 108)는 다음 치형부(2, 102)의 치형부 앞면(3, 103) 상의 엠보스형성부(9, 109)와 마주하여 배치되고, 엠보스형성부(8, 9, 108, 109)에 의해 치형부 공간(7, 107)의 병목부(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치형부 뒷면(4, 104)과 다음 치형부(2, 102)의 치형부 앞면(3, 103) 사이의 거리(B, C)는 병목부(24) 뒤에서 보다 병목부(24) 앞에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근(6, 106)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5, 105)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9, 109)가 15°미만의 각도(α)로 치형부 앞면(3, 103)의 제 1 부분(20)에 대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근(6, 106)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의 팁(5, 105)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9, 109)가 치형부 앞면(3, 103)의 제 2 부분(21)을 향해 치형부 리브(10, 110)에 나란하게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근(6, 106)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 팁(5, 105)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8, 108)가 15°미만의 각도(β)로 치형부 뒷면(4, 104)의 제 1 부분(22)에 대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근(6, 106)을 향한 방향으로 치형부 팁(5, 105)으로부터, 엠보스형성부(8, 108)가 치형부 뒷면(4, 104)의 제 2 부분(23)을 향해 치형부 리브(10, 110)에 수직하게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엠보스형성부(9, 109) 앞의 치형부 앞면(3, 103)의 제 1 부분(20)이 엠보스형성부(9, 109) 뒤의 치형부 앞면(3, 103)의 제 2 부분(21)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엠보스형성부(8, 108) 앞의 치형부 뒷면(4, 104)의 제 1 부분(22)이 엠보스형성부(8, 108) 뒤의 치형부 뒷면(4, 104)의 제 2 부분(23)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 침포(1, 10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톱니형 침포(1, 101)가 롤러 상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 기계용 도퍼 롤러.
KR1020120035438A 2011-04-08 2012-04-05 톱니형 침포 KR10191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632/11 2011-04-08
CH00632/11A CH704774A1 (de) 2011-04-08 2011-04-08 Sägezahngarnit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798A true KR20150127798A (ko) 2015-11-18
KR101914631B1 KR101914631B1 (ko) 2018-11-05

Family

ID=4589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438A KR101914631B1 (ko) 2011-04-08 2012-04-05 톱니형 침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90110B2 (ko)
EP (1) EP2508658B1 (ko)
KR (1) KR101914631B1 (ko)
CN (1) CN102733012B (ko)
BR (1) BR102012007673B1 (ko)
CH (1) CH704774A1 (ko)
ES (1) ES2543451T3 (ko)
TW (1) TWI548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49985A1 (en) * 2010-05-04 2012-10-18 Bekaert Carding Solutions Nv Wire profile for card clothing
WO2012019841A1 (en) * 2010-08-09 2012-02-16 Nv Bekaert Sa Wire profile for card clothing
WO2013037711A1 (en) * 2011-09-15 2013-03-21 Nv Bekaert Sa Card wire with improved tooth shape
JP6117230B2 (ja) * 2011-11-15 2017-04-19 グローツ−ベッカート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金属製カードワイヤ
EP2808429B1 (de) * 2013-05-27 2017-06-28 Groz-Beckert KG Garniturdraht für eine walze einer kardiermaschine
EP2944712B1 (en) * 2014-05-16 2018-09-05 Groz-Beckert KG Metallic card wire for card clothing
CA3168304A1 (en) 2014-06-29 2016-01-07 Profile Products L.L.C. Bark and wood fiber growing medium
US11686021B2 (en) 2014-06-29 2023-06-27 Profile Products L.L.C. Growing medium and mulch fiber opening apparatus
EP3161195A4 (en) * 2014-06-29 2018-06-13 Profile Products L.L.C. Growing medium and mulch fiber opening apparatus
CA2953717C (en) 2014-06-29 2022-10-04 Profile Products L.L.C. Naturally dyed mulch and growing media
US10266457B2 (en) 2014-06-29 2019-04-23 Profile Products L.L.C. Bark and wood fiber growing medium
CH711742A1 (de) * 2015-11-12 2017-05-15 Graf + Cie Ag Garniturdraht.
CN108456954B (zh) * 2018-04-20 2023-05-09 青岛大学 一种双面斜纹道夫针布
CN112981620B (zh) * 2021-03-15 2022-05-20 光山白鲨针布有限公司 一种曲工作面金属针布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7413A (en) * 1956-09-27 1960-05-24 John D Hollingsworth Carding tooth
US3231941A (en) * 1962-10-23 1966-02-01 Ashworth Bros Inc Carding apparatus
US3419941A (en) * 1965-06-25 1969-01-07 Moriwaki Akira Combing cylinder of combing machine
JPS5698875U (ko) * 1979-12-26 1981-08-04
DE3485047D1 (en) * 1983-10-05 1991-10-17 Marcello Campi Di Bisenzio Florenz/Firenze It Giuliani Fibrous material carding appts.
JPS60181326A (ja) * 1984-02-29 1985-09-17 Iwao Wada 金属針布
JPS6112922A (ja) * 1984-06-27 1986-01-21 Hiroyuki Kanai 紡機用メタリツクワイヤ
ES288973Y (es) * 1984-10-11 1987-02-01 Sole Leris Roger Guarnicion rigida para chapones para cardas perfeccionada.
DE3532339A1 (de) 1985-09-11 1987-03-19 Hella Kg Hueck & Co Ausgangsschaltung fuer elektronische schaltungen
JPS6278221A (ja) * 1985-09-27 1987-04-10 Kanai Hiroyuki 紡機用メタリツクワイヤ
DE3539464A1 (de) * 1985-11-07 1987-05-14 Hollingsworth Gmbh Verfahren zum behandeln der kanten eines saegezahndrahtes
US4964195A (en) * 1988-11-18 1990-10-23 Hollingsworth John D Metallic card clothing
DE4038352A1 (de) * 1990-12-01 1992-06-04 Fritz Stahlecker Aufloesewalze fuer eine faserbandaufloeseeinrichtung
DE4240026C2 (de) * 1992-11-28 2003-10-16 Fritz Stahlecker Garnitur für eine Auflösewalze einer OE-Spinnvorrichtung
GB9307548D0 (en) * 1993-04-13 1993-06-02 Carclo Eng Group Plc Fibre processing
DE4323364A1 (de) * 1993-07-13 1995-01-19 Schlafhorst & Co W Auflösewalze für eine OE-Spinnvorrichtung
DE4436378A1 (de) * 1994-10-12 1996-04-18 Staedtler & Uhl Sägezahngarnitur
WO1997029226A1 (en) * 1996-02-07 1997-08-14 Ramella, Walter Improvement in textile carding and relevant apparatus
US6185789B1 (en) * 1997-03-03 2001-02-13 John D. Hollingsworth On Wheels, Inc. Metallic clothing for carding elements
AUPP681098A0 (en) 1998-10-30 1998-11-19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Card wire, especially for doffers and workers
USD445433S1 (en) * 1999-09-28 2001-07-24 John D. Hollingsworth On Wheels, Inc. Carding wire
DE10012561B4 (de) * 2000-03-15 2004-09-02 Graf + Cie Ag Sägezahndraht
FR2821863B1 (fr) * 2001-03-08 2004-01-02 Ecc Platt Sa Garniture de carde, en particulier pour cylindre peigneur, cylindre travailleur ou cylindre condenseur
DE10114108B4 (de) * 2001-03-22 2005-05-19 Hollingsworth Gmbh Sägezahndraht für eine Walzengarnitur
DE10247215B4 (de) * 2002-10-10 2008-07-24 Graf + Cie Ag Sägezahndraht
DE10249905A1 (de) * 2002-10-22 2004-05-06 Wilhelm Stahlecker Gmbh Garniturring für eine Auflösewalze einer Offenend-Spinnvorrichtung
DE102007062841A1 (de) * 2007-12-21 2009-06-25 TRüTZSCHLER GMBH & CO. KG Sägezahnganzstahlgarnitur für Walzen und/oder Trommeln von Karden oder Krempel
DE102009032798A1 (de) * 2009-07-10 2011-01-13 Staedtler + Uhl Kg Kämm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0110B2 (en) 2013-11-26
EP2508658A1 (de) 2012-10-10
TWI548790B (zh) 2016-09-11
CN102733012A (zh) 2012-10-17
CN102733012B (zh) 2016-03-30
BR102012007673A2 (pt) 2013-06-04
US20120255143A1 (en) 2012-10-11
KR101914631B1 (ko) 2018-11-05
EP2508658B1 (de) 2015-05-06
CH704774A1 (de) 2012-10-15
TW201241254A (en) 2012-10-16
BR102012007673B1 (pt) 2020-02-04
ES2543451T3 (es)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631B1 (ko) 톱니형 침포
US7735201B1 (en) Multiple wire card wiring, carding cylinder, and method of making such
JP4718684B2 (ja) ドッファ及びワーカにとくに適したカードワイヤ
US6523226B2 (en) Sawtooth wire
JP6081030B1 (ja) カードワイヤ
CZ20031511A3 (cs) Mykací potah česacího válce pro textilní stroje
CN103069061B (zh) 用于针布的异形钢丝
US3231941A (en) Carding apparatus
JP2012532997A (ja) コーム要素
US6920671B2 (en) Sawtooth wire
JP6892266B2 (ja) 金属製カードワイヤ
JP2001073234A (ja) コーミング装置のトップコーマ
EP1318217A1 (fr) Carde comportant un cylindre transfert accumulateur
WO2003087446A2 (en) Carding element with saw-teeth
KR102652089B1 (ko) 카드 와이어
CN208167186U (zh) 无纺布梳理机的防绕棉机构
WO2014180656A1 (en) Feed roller wire and feed roller covered with it
CN115885065A (zh) 针布钢丝
SK280647B6 (sk) Vyčesávací valček rozvoľňovacieho mechanizmu
JPH0551968U (ja) ハイパイル針布
SK278860B6 (sk) Vyčesávací valček rozvoľňovacieho mechanizmu bezv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