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668A -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 Google Patents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668A
KR20150127668A KR1020157027920A KR20157027920A KR20150127668A KR 20150127668 A KR20150127668 A KR 20150127668A KR 1020157027920 A KR1020157027920 A KR 1020157027920A KR 20157027920 A KR20157027920 A KR 20157027920A KR 20150127668 A KR20150127668 A KR 2015012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impact strength
film
multilayer film
low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755B1 (ko
Inventor
니틴 보스
노만 도리엔 조셉 오비
피. 스캇 치좀
시벤드라 쿠마 고얄
제이미 마이클 말러
Original Assignee
노바 케미컬즈 (인터내셔널) 소시에테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 케미컬즈 (인터내셔널) 소시에테 아노님 filed Critical 노바 케미컬즈 (인터내셔널) 소시에테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5012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47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42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Cut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다층 필름은 고 충격 강도 폴리에틸렌(HI 폴리에틸렌);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Z/N 폴리에틸렌) 및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LD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고, 단 i) 적어도 하나의 스킨 층이 HI 폴리에틸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고 ii) 적어도 하나의 코어 층이 Z/N 폴리에틸렌과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HI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5 내지 0.930 g/cc이고, 표준화된 충격 강도가 적어도 300 g/mil이다. HI 폴리에틸렌의 양은 30 내지 55중량%이다(HI + ZN + 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필름은 블로운 필름 장치에서 쉽게 제조되고 기계적 성질의 우수한 균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MULTILAYER FILM PREPARED FROM HIGH IMPACT STRENGTH POLYETHYLENE AND BLENDS OF ZIEGLER NATTA CATALYZED AND HIGH PRESSURE LOW DENSITY POLYETHYLENES}
본 발명은 다층 가소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다양한 포장 용도에 널리 사용된다.
최초로 시판된 폴리에틸렌 종류는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고압 하에서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폴리에틸렌은 고압/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LD" 폴리에틸렌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LD 폴리에틸렌은 가공하기는 쉽지만, LD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단층 필름은 비교적 기계적 특성이 불량하다.
지글러 나타(Ziegler Natta) 촉매의 사용은 LD 폴리에틸렌보다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에틸렌 공중합체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 공중합체는 LD 중합체보다 가공하기가 더 어렵다.
최근에, 메탈로센 촉매의 사용은 충격 강도가 향상된 에틸렌 공중합체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하지만, 역시 LD 폴리에틸렌에 비해 가공성이 불량하다).
단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블렌드의 사용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LD 폴리에틸렌을 "ZN" 촉매화된 폴리에틸렌 또는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배합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블렌드의 기계적 성질이 손상된다. 또한, 이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다층(mutilayer) 필름을 개선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실용적 관점에서, 충격 강도의 손실은 특히 LD 폴리에틸렌을 밀도가 약 0.915 내지 0.930 g/cc인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배합할 때 문제가 된다(그 이유는 저 밀도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은 손실이 더 쉽게 용인될 정도의 고 충격 강도를 보유하고, 고 밀도 메탈로센 수지는 시작하기에는 낮은 충격 강도를 보유하여, 일반적으로 충격 강도가 중요한 필름 용도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0.915 내지 0.930 g/cc의 밀도 및 70 내지 100의 SCBDI를 갖는 HI 폴리에틸렌; Z/N 폴리에틸렌 및 LD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으로서, 이 필름이
A) 상기 HI 폴리에틸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스킨(skin) 층; 및
B) 상기 Z/N 폴리에틸렌과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코어(core) 층을 함유하되, 단
a) 상기 HI 폴리에틸렌의 양이 상기 HI 폴리에틸렌 + 상기 ZN 폴리에틸렌 +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55 중량%이어야 하고;
b)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양이 상기 HI 폴리에틸렌 + 상기 ZN 폴리에틸렌 +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이어야 하는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A. Z/N 폴리에틸렌
용어 "지글러 나타(Ziegler Natta) 촉매"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서 통상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지글러 나타 촉매는 주기율표(lUPAC 명명법을 사용하여)의 3족, 4족 또는 5족 중에서 선택되는 전이 금속의 1종 이상의 전이 금속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으로 정의되는 유기알루미늄 성분을 함유한다:
Al(X')a(OR)b(R)c
여기서, X'는 할하이드(바람직하게는 염소)이고; OR은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 기이고; R은 하이드로카르빌(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이며; 및 a, b, 또는 c는 각각 0, 1, 2 또는 3이되, 단 a+b+c=3 및 b+c≥1이어야 한다.
전이 금속 화합물은 티탄 또는 바나듐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티탄 화합물의 예로는 티탄 할라이드(특히 티탄 클로라이드, 이 중 TiCl4가 바람직하다); 티탄 알킬; 티탄 알콕사이드(티탄 알킬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및 "혼합 리간드" 화합물(즉, 전술한 할라이드, 알킬 및 알콕사이드 리간드를 하나보다 많이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나듐 화합물의 예는 또한 할라이드, 알킬 또는 알콕사이드 리간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바나듐 옥시 트리클로라이드("VOCl3")는 지글러 나타 촉매 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정의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지글러 나타 촉매의 필수 성분이다. 알루미늄 대 전이 금속의 몰 비{예를 들어, 알루미늄/(티탄+바나듐)}는 1/1로부터 100/1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1 내지 15/1인 것이 좋다.
에틸렌 중합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지글러 나타 촉매는 또한 추가 성분, 예컨대 전자 공여체(donor)(예컨대 아민);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예를 들면, 부틸 에틸마그네슘과 같은 마그네슘 알킬) 및 할라이드 급원(일반적으로 3차 부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클로라이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이용되는 경우, 반응기에 도입되기 전에 다른 촉매 성분에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직접 반응기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ZN 폴리에틸렌은 상술한 촉매계의 사용으로 제조된다. i)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ii) 에틸렌과 C4 -8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사용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ZN 폴리에틸렌은 용융 지수(I2)가 0.2 내지 10g/10분(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g/10분)이고 밀도가 0.910 내지 0.965g/cc(바람직하게는 0.915 내지 0.960g/cc)이다.
B. 고 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HI 폴리에틸렌)
ZN 촉매는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 공중합체에 비해 단쇄 분지의 분포가 비교적 넓고 분자량 분포가 비교적 넓은 에틸렌 공중합체를 생산한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합체 구조의 차이는 다른 폴리에틸렌의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밀도와 용융지수는 동일하지만 ZN 촉매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 공중합체에 비해 높은 충격강도를 나타낸다.
HI 폴리에틸렌은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메탈로센 촉매란 용어는 이 촉매가 1종 이상의 사이클로펜타디에닐 액체를 함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촉매들(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HI 폴리에틸렌)은 잘 알려져 있고, 널리 상업적으로 사용된다.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지화 분포(branching distribution)는 소위 단쇄 분지화 분포 지수(SCBDI)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좁은 분지화 분포(높은 SCBDI 값에 대응)를 나타낸다. SCBDI는 중합체의 중간(median) 공단량체 함량이 50%인 공단량체 함량을 보유한 중합체의 중량%로서 정의된다. SCBDI는 미국 특허 5,089,321(Chum et al.)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본 발명의 HI 중합체는 좁은 분지화 분포에 대응하는 70 내지 100의 SCBDI를 보유한다.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극저밀도(very low density) 폴리에틸렌(밀도가 0.915 g/cc 미만)은 일반적으로 예상외의 높은 충격 강도를 보유한다. 이 중합체는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LD 폴리에틸렌과 블렌딩할 수 있고, 이 블렌드는 절대적 표현으로 높은 충격 강도를 여전히 나타낼 것이다.
명확화를 위해 : 블렌드는 충격 강도의 저하를 유발하지만, 실제 충격 강도는 보통 여전히 꽤 높다(극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매우 높은 초기 충격 강도를 감안하면).
본 발명은 극저밀도 공중합체의 사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본 발명은 0.915 내지 0.930 g/cc 범위의 밀도를 갖는 "메탈로센" 공중합체만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HI 중합체의 바람직한 용융 지수는 0.5 내지 2.0 g/10분이다. 이러한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블로운(blown) 필름은 높은 초기 충격 강도를 가질 것이다 - 일반적인 값은 1mil 필름 당 적어도 300g의 값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합체는 비교적 압출하기가 어렵다.
압출 어려움은 일반적으로 2가지 방식으로 명백해진다: 첫째, 압출기 출력이 저하되고(및/또는 지정된 출력에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함), 둘째, 블로운 필름 "버블"의 "안정성"이 손상된다. 압출 문제는 HI 수지를 LD 수지와 배합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최종 필름의 충격 강도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 문제는 본 발명의 HI 폴리에틸렌(즉, 0.915 내지 0.930 g/cc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에서 이들 수지의 초기 충격 강도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초기 충격 강도만큼 높지 않기 때문에 특히 심각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방식으로 이 문제(다층 필름)를 해결한다:
1) HI 수지를 LD 수지와 배합하지 않는다 - 대신 LD 수지를 ZN 수지와 배합한다; 그리고
2) 기포 안정성은 LD 수지와 Z/N 수지의 블렌드인 층을 압출시켜 제공한다; 단,
3) HI 수지의 총량은 55 중량% 이하(HI+ZN+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 기준)여야 하고,
4) LD 수지의 총량은 5 내지 20중량%(HI+ZN+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 기준)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블렌드 및 필름의 다층 구조가 블로운 필름법에 양호한 기포 안정성을 제공하고 기계적 성질의 양호한 균형을 이룬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사용된 HI 폴리에틸렌은
1) 0.915 내지 0.930 g/cc의 밀도; 및
2) 70 내지 100의 SCBDI를 보유하고; 바람직하게는
3) 0.5 내지 2.0g/10분의 용융 지수를 보유한다.
이러한 HI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단층 블로운 필름은 일반적으로 300 g 이상의 "표준화된(normalized)" 충격 강도를 나타낼 것이다. "표준화된"이란 용어는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으로, 필름 두께에 대한 보정을 반영하며, 예컨대 1.5mil 두께의 단층 필름은 "표준화된" 두께가 300 g/mil(즉, 450/1.5=300)인 바, 총(실제) 충격 강도가 450g일 것이다.
C. 고압 저밀도(LD) 폴리에틸렌
본 발명에 사용된 LD 폴리에틸렌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예,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사용하여 고압 하에 에틸렌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공지된 상품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LD 중합체는 관형 또는 오토클레이브형 반응기에서 제조될 수 있고, 용융지수(I2)가 0.2 내지 10 g/10분(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이며, 밀도가 약 0.915 내지 0.930 g/cc이다.
D. 필름 구조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3층 또는 5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3층 필름 구조는 층 A-B-C라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내부 층 B("코어" 층)는 2개의 외부 "스킨" 층 A와 C 사이에 중첩되어 있다. 많은 다층 필름에서 스킨 층 중 하나(또는 둘 모두)는 씰(seal) 강도가 양호한 수지로 제조되고 종종 실란트(sealant) 층이라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총 두께는 1 내지 6mil인 것이 바람직하다.
총 두께가 2mil 미만인 필름의 경우, 코어 층은 폴리에틸렌 총량의 40 내지 70wt%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필름에서, 코어 층은 두께가 0.5mi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E. 첨가제
폴리에틸렌은 통상적인 첨가제, 특히 (1) 1차 산화방지제(예, 힌더드 페놀, 예를 들어 비타민 E); (2) 2차 산화방지제(특히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및 (3) 공정 보조제(특히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공정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F. 필름 압출 공정
블로운 필름 공정
압출-블로운 필름 공정은 다층 가소성 필름의 제조에 공지된 공정이다. 다층 필름은 가열, 용융하고 용융된 가소성물질을 전달하고 이 가소성물질을 다중 환형 다이(die)를 통해 압입하는 다중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전형적인 압출 온도는 330 내지 500℉, 특히 350 내지 460℉이다. 따라서, 3층 필름은 3개의 압출기와 3개의 다이를 사용하여 제조하여, 함께 3층을 가진 "버블"을 형성한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다이에서 인출되고, 튜브형으로 제조된 후, 결국 한 쌍의 드로우(draw) 또는 닙(nip) 롤러를 통해 통과한다. 그 다음, 맨드렐로부터 내부 압축 공기가 도입되어 튜브의 직경 증가를 야기하여 원하는 크기의 "버블"을 형성한다. 따라서, 블로운 필름은 두 방향, 즉 버블의 축 방향(버블의 직경을 "블로우 아웃"하는 가압 공기를 사용하여) 및 버블의 길이 방향(기구를 통해 버블을 당기는 권선 부재(element)의 작용에 의해)으로 신장시킨다. 또한, 다이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을 냉각하기 위해 버블 둘레 주위로 외부 공기가 도입되기도 한다. 필름 폭은 대체로 내부 공기를 버블 내로 도입시켜 버블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변동된다. 필름 두께는 주로 드로우-다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드로우 롤 또는 닙 롤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조절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총 두께가 1 내지 4mil인 것이다.
그 다음, 버블은 드로우 롤 또는 닙 롤을 통해 통과한 직후 2개의 이중층 필름으로 붕괴된다. 냉각된 필름은 그 다음 추가 커팅 또는 씰링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국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블로운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라면, 최종 마무리된 필름의 물성이 폴리에틸렌의 분자 구조와 가공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공 조건은 분자 배향(종방향 및 축 또는 교차 방향 모두)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방향"("MD") 및 "횡방향"("TD" - MD에 수직) 분자 배향의 균형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주요 성질(예를 들어, 다트 충격 강도, 종방향 및 횡방향 인열 성질)에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이러한 "버블"에 대한 신장력은 최종마무리된 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블로우 업 비(blow up ratio)"(즉, 환형 다이의 직경에 대한 블로운 버블의 직경의 비)는 최종마무리된 필름의 다트 충격 강도 및 인열 강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추가 세부사항은 이하 실시예들에 제공된다.
실시예
폴리에틸렌
HI 폴리에틸렌은 용융 지수 I2 가 0.65 g/10분이고; 밀도가 0.916 g/cc이며; SCBDI가 70 초과이다. 이것은 노바 케미컬즈에서 상표명 SURPASS® FPS 016으로 판매하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이다. MatWeb 인터넷 웹사이트에는 표준 충격 강도가 711 g/mil로 기록되어 있고, 이것은 이 HI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1mil 두께의 블로운 필름에 전형적인 값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LD 폴리에틸렌은 용융 지수가 2.3이고 밀도가 0.919이며 상표명 NOVAPOL® LF 0219A로 판매되는 에틸렌 단독중합체이다.
ZN 폴리에틸렌은 용융 지수가 0.8g/10분이고 밀도가 0.921 g/cc인 노바 케미컬즈에서 상표명 NOVAPOL PF-Y821-CP로 판매하는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이다. 이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한 필름의 표준화된 충격 강도는 MatWeb 인터넷 웹사이트에 94g/mil로서 보고되어 있고, 이 값은 전형적 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시험 방법
충격 강도는 ASTM D1709/A(F50 표준)에 따라 측정하고 g/mil로 기록했다.
종방향(MD) 인열 및 횡방향(TD) 인열은 ASTM D1922에 따라 측정하고 g/mil로 기록했다.
종방향(MD) 탄성률 및 횡방향(TD) 탄성률은 ASTM D882에 따라 측정하고 메가 파스칼(MPa)로 기록했다.
밀도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하고 g/㎤(g/cc)로 기록했다.
용융 지수 I2는 ASTM D1238(190℃의 온도에서 2.16kg 중량 사용)에 따라 측정했다.
실시예 1
필름은 Brampton Engineering에 의해 제조된 3층 공압출 필름 라인에서 제조했다. 총 두께가 3mil인 3층 필름은 2.5/1의 블로우업 비(BUR)를 사용하여 제조했다.
이 3층 필름의 A-B-C 구조는 표 1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명확함을 위해: 본 발명의 필름 4는 A/B/C 층 비가 20/60/20이다(스킨 층 A 및 C가 각각 폴리에틸렌 총량의 20중량%를 함유하고, 코어 층 B가 60중량%를 함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스킨 층(A 및 C)은 HI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했고, 코어 층은 90% ZN + 10% LD의 블렌드로 제조했다.
실시예 2
5층 필름은 5개의 압출기에 의해 공급된 블로운 필름 라인에서 제조했다. A/B/C/D/E 구조는 표 2에 정의된다. 이 필름의 두께는 3.5mil이고 BUR 2.5/1로 제조했다.
실시예 3( 비교예 )
스킨 층을 전술한 HI 수지로 제조하고 코어 층을 HI 수지와 밀도가 0.958 g/cc이고 용융지수가 1인 단독중힙체 Z/N 수지(상표명 SCLAIR® 19C로 판매됨)와의 블렌드로 제조한, 일련의 비교 3층 필름을 제조했다. A/B/C 구조의 층 비는 20/60/20(실시예 1에 따라)이고, 두께가 3mil인 필름을 BUR 1.7/1로 제조했다. 이 필름들은 가공이 어려우므로 비슷하지만, 필름의 물성은 매우 양호하다. 코어 층 조성이 72% HI + 28% ZN의 블렌드에서 25% HI + 75% ZN의 블렌드까지 다양한 4개의 다른 필름을 조사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코어 층에 존재하는 고밀도 ZN 수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수지의 강성도(stiffness)가 증가했다. 또한, 필름의 고온 점착성(hot tack)(ASTM F 1921-28로 측정 시)은 놀라울 정도로 높게 유지되었다. 이 필름들은 대형 쌕(sack)의 제조에 특히 적합할 것이다.
Figure pct00001
·비교 구조 1은 총 3층의 HI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 이 필름은 충격 강도가 우수하지만 압출하기는 어렵다.
·비교 구조 2는 코어에 ZN을 함유한다. 이 필름은 성질들의 바람직한 균형을 보유하지만, 역시 압출하기는 어렵다.
·비교 구조 3은 용융 강도의 향상을 위해 스킨에 배합된 LD를 함유한다. 이 구조는 충격 강도는 더 낮지만, LD 수지의 존재가 압출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구조 4는 용융 강도를 향상시키는 ZN과 배합된 LD를 코어에 함유한다. 이 필름은 구조 3의 필름보다 높은 충격 및 인열 강도를 나타낸다. LD 수지의 사용은 이 필름이 구조 1 및 2보다 더 쉽게 압출될 수 있게 한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구조 A는 HI 스킨을 함유한다. ZN의 서브스킨 층은 용융 강도의 향상을 위해 이 층에 배합된 LDPE를 함유한다. 이 필름은 양호한 충격강도를 나타내고 쉽게 압출된다.
·구조 B는 스킨 층과 서브스킨 층에 LDPE를 함유한다. 이 구조는 구조 B보다 낮은 다트(dart) 및 인열 성질을 나타낸다. 중간 층의 "PEB"는 상표명 SURPASS HPs 167로 판매되고 배리어 수지로서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이다. 이 구조는 "배리어 필름"(크래커 또는 씨리얼과 같은 건조 식품의 포장용)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다양한 포장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4)

  1. 0.915 내지 0.930 g/cc의 밀도 및 70 내지 100의 SCBDI를 갖는 HI 폴리에틸렌; Z/N 폴리에틸렌 및 LD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으로서,
    A) 상기 HI 폴리에틸렌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스킨(skin) 층; 및
    B) 상기 Z/N 폴리에틸렌과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코어(core) 층을 함유하되, 단
    a) 상기 HI 폴리에틸렌의 양이 상기 HI 폴리에틸렌 + 상기 ZN 폴리에틸렌 +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55 중량%이어야 하고;
    b)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양이 상기 HI 폴리에틸렌 + 상기 ZN 폴리에틸렌 + 상기 LD 폴리에틸렌의 합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이어야 하는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I 폴리에틸렌이 용융 지수 I2가 0.5 내지 2.0g/10분인 다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N 폴리에틸렌이 밀도가 0.915 내지 0.960 g/cc이고 용융 지수 I2가 0.5 내지 5g/10분인 다층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D 폴리에틸렌이 용융 지수 I2가 0.3 내지 5g/10분인 다층 필름.
KR1020157027920A 2013-03-12 2014-02-12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KR102179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809402 2013-03-12
CA2809402A CA2809402C (en) 2013-03-12 2013-03-12 Multilayer film prepared from high impact strength polyethylene and blends of ziegler natta catalyzed and high pressure low density polyethylenes
PCT/CA2014/000100 WO2014138849A1 (en) 2013-03-12 2014-02-12 Multilayer film prepared from high impact strength polyethylene and blends of zieger natta catalyzed and high pressure low density polyethyle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668A true KR20150127668A (ko) 2015-11-17
KR102179755B1 KR102179755B1 (ko) 2020-11-18

Family

ID=5152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920A KR102179755B1 (ko) 2013-03-12 2014-02-12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94004B2 (ko)
EP (1) EP2969559B1 (ko)
JP (1) JP6448561B2 (ko)
KR (1) KR102179755B1 (ko)
CN (1) CN105209254B (ko)
BR (1) BR112015022796B1 (ko)
CA (1) CA2809402C (ko)
MX (1) MX2015011175A (ko)
WO (1) WO2014138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5180C1 (ru) * 2020-10-28 2021-09-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ТЭП-1" Полимерный пленоч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632A1 (en) * 1999-07-09 2001-08-23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Heavy duty packaging film
US20060047077A1 (en) * 2004-08-26 2006-03-02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ethylene blends
US20090246491A1 (en) * 2004-12-30 2009-10-01 Fina Technology, Inc. Co-Extruded Film Structures of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with Other Copolymers
US20120100356A1 (en) * 2010-10-26 2012-04-26 Ohlsson Stefan B Multilayer Polyolefin Blown Fil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321A (en) * 1991-01-10 1992-02-18 The Dow Chemical Company Multilayer polyolefinic film structures having improved heat seal characteristics
US6086967A (en) * 1996-11-06 2000-07-11 The Dow Chemical Company Modified atmosphere films useful in the packaging of perishable food
ES2174312T3 (es) * 1996-11-13 2002-11-01 Dow Chemical Co Pelicula encogible que tiene propiedades equilibradas o tenacidad mejorada y metodos para su fabricacion.
CN1265119A (zh) * 1997-07-21 2000-08-30 陶氏化学公司 宽mwd、组成均匀的乙烯共聚体组合物、其制备方法及由其制备的制品
JPH11286087A (ja) * 1998-02-03 1999-10-19 Asahi Chem Ind Co Ltd 包装用架橋積層フィルム
JP2000095285A (ja) * 1998-09-15 2000-04-04 Cryovac Inc フレ―バ―移送フィルムを使用した包装製品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JP2000117832A (ja) * 1998-10-13 2000-04-25 Sekisui Chem Co Ltd 2軸配向ポリエチレン系樹脂管
US6458469B1 (en) * 1999-07-08 2002-10-01 Exxonmobil Chemical Company Multilayer oriented films with metallocene catalyzed polyethylene skin layer
US6482532B1 (en) * 2000-06-07 2002-11-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asy tear non-halogenic food wrap
AU2002354708A1 (en) * 2001-07-04 2003-01-21 Atofina Research S.A. Glossy tubes and pipes
EP1902837A1 (en) * 2006-09-22 2008-03-26 Borealis Technology OY Multilayer film
JP5041601B2 (ja) * 2008-04-03 2012-10-0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7936A (ja) * 2008-06-11 2009-12-24 Toppan Printing Co Ltd 防湿包装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6632A1 (en) * 1999-07-09 2001-08-23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Heavy duty packaging film
US20060047077A1 (en) * 2004-08-26 2006-03-02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olyethylene blends
US20090246491A1 (en) * 2004-12-30 2009-10-01 Fina Technology, Inc. Co-Extruded Film Structures of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with Other Copolymers
US20120100356A1 (en) * 2010-10-26 2012-04-26 Ohlsson Stefan B Multilayer Polyolefin Blown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9402A1 (en) 2014-09-12
WO2014138849A1 (en) 2014-09-18
EP2969559A4 (en) 2016-10-12
CA2809402C (en) 2021-02-09
EP2969559A1 (en) 2016-01-20
EP2969559B1 (en) 2019-05-29
MX2015011175A (es) 2015-11-09
BR112015022796B1 (pt) 2021-05-04
KR102179755B1 (ko) 2020-11-18
BR112015022796A2 (pt) 2017-07-18
CN105209254A (zh) 2015-12-30
JP2016508909A (ja) 2016-03-24
US9994004B2 (en) 2018-06-12
JP6448561B2 (ja) 2019-01-09
US20140272366A1 (en) 2014-09-18
CN105209254B (zh)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8092C (en) Multilayer film structure
CN109153225A (zh) 多层结构
EP2170603A1 (en) Multilayer barrier film
US20120219776A1 (en) Multilayer Films Containing Polyolefin-Interpolymer Resin Particle Blends
KR20150036289A (ko) 컬 저항성 차단 필름
US20060047077A1 (en) Polyethylene blends
EP3558676A1 (en) Multi-layer film
JP2013529701A (ja) 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
US20140309351A1 (en) Barrier properties of hdpe film
EP3538364A1 (en) Multi-layer film
KR102179755B1 (ko) 고충격 강도 폴리에틸렌 및 지글러 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과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다층 필름
US9109099B2 (en) Polyethylene additive
KR101812888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봉합 층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EP4219157A1 (en) Multilayer films including ethylene-based copolymers
WO2023094363A1 (en) Polyethylene laminates for sustainable packaging
JP6326775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