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488A -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488A
KR20150127488A KR1020140054420A KR20140054420A KR20150127488A KR 20150127488 A KR20150127488 A KR 20150127488A KR 1020140054420 A KR1020140054420 A KR 1020140054420A KR 20140054420 A KR20140054420 A KR 20140054420A KR 20150127488 A KR20150127488 A KR 2015012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toe
cover
woven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준
Original Assignee
김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준 filed Critical 김신준
Priority to KR102014005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7488A/ko
Publication of KR2015012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하되 최대한 발가락과 발바닥부분만을 패킹하여 가벼운 착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이 직조시 반드시 형성되는 이음부의 연결을 발가락 상부에 두지 않고, 발바닥에 형성시켜 덧버선의 모양과 형상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단가를 떨어뜨리고 내구성을 강화하며,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the socks producting method and the socks connected needlework line }
본 발명은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하되 최대한 발가락과 발바닥부분만을 패킹하여 가벼운 착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이 직조시 반드시 형성되는 이음부의 연결을 발가락 상부에 두지 않고, 발가락 바닥에 형성시켜 덧버선의 모양과 형상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단가를 떨어뜨리고 내구성을 강화하며,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이나 양말은 편직조와 봉제라는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여성들의 발에 신는 착용물이다. 덧버선과 비슷한 종류의 것으로 양말이라는 물품도 있는데, 이는 형상적인 면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즉, 덧버선이나 양말은 모두 발에 착용하여 신발을 신은 후에 발에서 발생되는 땀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동일한 목적을 가진 물품이지만, 그 형상이 전혀 달라 별도의 물품으로 취급된다.
그러나 이 건 발명의 경우 그 주요한 기술적인 요지가 양말이나 덧버선에 모두 적용될 수 있기에 주요한 부분에서는 양말과 덧버선을 모두 설명한다.
종래의 덧버선은 대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면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편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되고 있었다. 실질적으로 양말을 짓는 편직조기(도 2에 도시)를 사용하여 직조한다. 즉,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을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를 출원한 바 있는데, 이 기술적인 내용을 통해서 그 직조기는 물론 새로운 형태의 덧버선을 소개한 바 있다. 별도의 고무사를 투입하여 필요한 부분에는 탄성을 주어 발의 안락함을 더 부여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종래 덧버선의 개발단계를 살펴본다. 실례로 도시된 도 1을 통해서 종래의 덧버선을 살펴보면, 종래의 덧버선의 경우도 앞꿈치부(20), 바닥부(10), 뒷꿈치부(30)로 이루어진다. 이 형태의 덧버선은 양말을 직조하던 편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된 것으로 발이 들어가는 개구부(11)를 양말의 개구부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다. 사실 양말의 경우 발목을 지나 종아리 부분에서 양말의 끝단이 착용되기에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함이 타당하나 덧버선과 같이 발목에 끝단을 두어야 하기에 타당하지 않다.
발목의 경우 원형의 단면이 아니고 타원형의 단면이고 걸어다니는 동작에 의해서 발뒷꿈치부분이 자주 벗겨질 소지가 많다. 따라서 동일한 탄성으로 조이는 종래의 개구부(11)는 개선의 소지가 있었다.
나아가 덧버선은 더욱 개선되어 이 건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도시된 도 3과 같은 덧버선이 제안되었다. 이는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로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이다.
발목을 감싸는 개구부를 형성하되, 발뒷꿈치부분과 발등 부분에만 특별한 탄성을 가지는 밴드부를 직조로 형성하여 탄력이 필요한 부분에만 탄성을 준 것이다. 이 건의 경우 개구부 상단의 밴드부가 쌍으로 형성되는데, 발뒷꿈치부분과 발등부분에 2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종래의 덧버선도 약간의 문제가 발생되는데, 밴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고무사의 가격이 고가이기에 직조비용이 높다. 또한 뒷꿈치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용이하지만, 발등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어려워 사실상 불량률이 높다. 그리고 발목만을 죄어 착용감을 안락하게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발의 폭을 지그시 감싸 발의 폭이 벌어지는 현상을 막아주기 위한 덧버선은 아니었던 것이다.
나아가 종래의 덧버선은 발을 완벽하게 수용시키는 형태로 착용을 완성하기에 신고 벗는 과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하되 최대한 발가락과 발바닥부분만을 패킹하여 가벼운 착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이 직조시 반드시 형성되는 이음부의 연결을 발가락 상부에 두지 않고, 발바닥에 형성시켜 덧버선의 모양과 형상을 부드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단가를 떨어뜨리고 내구성을 강화하며,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은, 발가락의 상단과 발가락 바닥을 덮도록 형성하되, 발가락상단에서 발가락바닥까지 원통으로 감싸도록 고무사와 혼합사의 직조로 형성되는 탄력부(D)를 수용하는 혼합사로 이루어진 발가락커버부(A); 발가락커버부(A)에서 연장되어 발바닥부분만을 커버하도록 하도록 상단을 개방한 개방부(10)를 구성하는 혼합사로 직조된 발바닥커버부(B); 발바닥커버부(B)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직조하되, 상단 끝부분은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감싸며 고탄력으로 조일 수 있도록 고무사로만 직조한 탄력밴드부(12)를 가진 발뒤꿈치커버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직조의 끝단인 제2이음부(11-1)는 발가락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박음질하여 이음라인(11)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에 따른, 발가락커버부(A)는, 발가락의 상단을 모두 덮지 않는 걸치는 형태로 형성하도록 직조하고 : 발뒤꿈치커버부(C)를 형성하는 탄력밴드부(12)에서는 하향하며 발뒤꿈치부(C) 끝단을 향하도록 테이퍼지게 내려서는 탄력라인(13)을 두고, 탄력라인(13)의 끝단에서 2개나 3개로 가지를 뻗는 보조라인(14)을 형성하며 : 탄력밴드부(12)의 하단 발뒤꿈치커버부(C) 내주면에는 탄력밴드부(12)에 나란히 실리콘코팅라인(50)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 제조방법은, 고무사를 이용하여 고탄력으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탄력밴드부(12)를 직조하는 단계; 탄력밴드부(12)에 연장되어 발뒤꿈치커버부(C)를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발뒤꿈치커버부(C)를 완성하는 단계; 발뒤꿈치커버부(C)에 연장되어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연동시키며, 발바닥커버부(B)를 완성하는 단계; 발바닥커버부(B)에 연장되어 혼합사에 고무사를 더 투입하여 직조기의 전체를 이용하여 연속회전을 시키며 탄력부(D)를 직조하고, 탄력부(D)에서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부(E)를 혼합사로 직조하는 단계; 원통형의 연장부(E)에 연장되어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를 뒤집어 나머지 1/2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연동시키며 직조의 끝단인 제2이음부(11-1)까지 직조를 하는 단계; 직조가 완성되면 상기 제2이음부(11-1)와 연장부(E)의 미 직조된 부분을 연결하여 밖음질을 하여, 발가락바닥에 형성되는 이음라인(11)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편하고 내구성이 높은 덧버선을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라, 직조를 통해서 덧버선을 제직하지만, 마지막 제직부인 이음부를 발가락의 바닥으로 내려 밖음질 하기에 제직이 용이하면서도 미감을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음라인이 발가락 바닥에 위치한 관계로 발이나 신발과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덧버선에 구멍이 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종래 일반적인 양말 제직기를 통해서 제조방식을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인하여 보다 새로운 덧버선이나 양말을 제직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한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양말 편직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양말 편직기로 제직한 덧버선을 도시한 다른 실시형태의 덧버선,
도 4는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직조한 상태로 상부에서 살펴본 평면도,
도 5는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직조한 상태로 저부에서 살펴본 저면도,
도 6은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이 직조된 후 내측에 타원형의 패널을 끼워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측면에서 살펴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이 건 발명의 덧버선을 제작하기 위한 편직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이 건 발명의 이음부가 제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이 건 발명의 뒷꿈치부 내주면에 형성한 실리콘코팅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여성은 물론 남성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4 내지 12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가락의 상단과 발가락 바닥을 덮도록 형성하되, 발가락상단에서 발가락바닥까지 원통으로 감싸도록 고무사와 혼합사의 직조로 형성되는 탄력부(D)를 수용하는 혼합사로 이루어진 발가락커버부(A)가 있고, 발가락커버부(A)에서 연장되어 발바닥부분만을 커버하도록 하도록 상단을 개방한 개방부(10)를 구성하는 혼합사로 직조된 발바닥커버부(B)가 있으며, 발바닥커버부(B)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직조하되, 상단 끝부분은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감싸며 고탄력으로 조일 수 있도록 고무사로만 직조한 탄력밴드부(12)를 가진 발뒤꿈치커버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직조의 끝단인 제2이음부(11-1)는 발가락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박음질하여 이음라인(11)을 형성한다.
이 건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양말이나 덧버선(100)이 직조되는 형태를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말은 원형의 프레임이 다수의 코바늘을 보유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섬유를 서로 꼬아 직조를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먼저 양말의 경우 도시된 도 2와 같은 직조기를 통해서 프레임이 회전을 하면서 직조를 한다. 원통형으로 직조를 하고, 직조의 끝은 이음부(15)가 되는데 이는 밖음질을 통해서 마감을 하여 양말을 완성한다.
이에 반하여 동일한 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되는 덧버선은 일측의 뒷꿈치부터 직조를 시작하되, 뒷꿈치부의 최 상단에 마련되는 탄력밴드부(12)부터 직조를 한다. 발가락커버부(A)에 이르러 이음부(15)를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양말이나 덧버선(100)의 이음부(15)를 어떻게 재봉하는 가가 문제가 된다. 연속되는 섬유사가 투입되고, 이 섬유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코바늘을 이용하여 꼬아져 직조가 이루어지는데, 끝단의 경우 코가 연장되지 않아서, 사람이 잡아 뜯게 되면 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지막 코를 실로 박음질하여 풀러지지 않도록 마감을 하게 되는데, 양말의 경우는 발가락의 상단부분에서 마감을 하여 박음질을 한다. 물론 덧버선(100)의 경우도 도시된 도 1의 도면에서처럼, 발가락의 상단부분에서 마감을 하거나 별도의 수작업을 통해서 레이스를 더 부착하여 마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모두 문제점이 발생된다.
양말이나 덧버선은 신발을 신은 후에 발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인데, 신발을 신고 걷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발가락 상단의 이름라인(11)이 신발의 내부와 마찰을 일으켜 발가락 통증을 일으킬 소지가 있다. 또한 이음라인(11)은 다른 직조된 부위와는 달리 두툼하고 거친 표면을 갖추고 있어서, 미감에도 좋지않고, 내구성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이음라인(11)을 발가락의 하단으로 배열하는 것을 통해서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발가락의 상단은 상부로 접을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발가락의 하단은 발가락을 움켜쥐는 악력을 이용하여 인간이 용이하게 걸을 수 있는 구조이다. 발가락을 하부로 접고, 꺽는 동작은 사실상 자연스러운 동작이다. 이러한 인체공학적인 동작을 유심히 관찰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발가락의 하단에 이음라인(11)을 배열하고, 발가락이 겹치는 부분에 이음라인(11)이 수용되어 착용시 불편함을 없에면서도, 마찰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기능적인 구조의 변경이 이 건 발명의 우수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 건 발명의 각 세부적인 구성과 그 구성을 형성하는 재질과 재료가 모두 정확하게 이 건 발명과 일치해야 한다. 또한 전술된 기술적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면서 저렴한 비용과 빠른 제작시간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도 이 건 발명에서는 청구한다. 즉, 본 발명은 고무사를 이용하여 고탄력으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탄력밴드부(12)를 직조하는 단계를 거치고, 탄력밴드부(12)에 연장되어 발뒤꿈치커버부(C)를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발뒤꿈치커버부(C)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치며, 발뒤꿈치커버부(C)에 연장되어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연동시키며, 발바닥커버부(B)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또한 발바닥커버부(B)에 연장되어 혼합사에 고무사를 더 투입하여 직조기의 전체를 이용하여 연속회전을 시키며 탄력부(D)를 직조하고, 탄력부(D)에서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부(E)를 혼합사로 직조하는 단계를 거치고, 원통형의 연장부(E)에 연장되어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를 뒤집어 나머지 1/2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연동시키며 직조의 끝단인 제2이음부(11-1)까지 직조를 하는 단계를 거치며, 직조가 완성되면 상기 제2이음부(11-1)와 연장부(E)의 미 직조된 부분을 연결하여 밖음질을 하여, 발가락바닥에 형성되는 이음라인(11)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편하고 내구성이 높은 덧버선을 제작한다.
결국 이 건 발명은 그 덧버선(100)에 구조적인 특징이 있으면서, 이러한 덧버선(100)을 제조하는 제작방법에도 특징이 있다. 기존에 너무 흔하고 일반화된 덧버선(100)의 구조를 착용하는 사람의 발에 인체공학적으로 구조적인 변경을 가하고, 또 이러한 구조적인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직조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이 직조방법은 기존 양말을 직조하는 직조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실질적으로 양말과 덧버선(100)은 그 형상이 너무나 다르기에 직조방법을 전면적으로 수정해야만 한다. 이 건 발명은 이러한 직조의 어려움에 더 배가되도록 기존의 덧버선(100)에 내구성의 향상과 미감의 우수성이라는 기능을 더 추가하면서도, 종래의 직조기를 통해서 가장 안정되고 생산성이 높은 직조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을 설명할 때, 그 직조방법과 덧버선(100)의 구조를 동시에 설명한다.
이 건 발명의 경우 도시된 도면에서 보이는, 탄력밴드부(12)를 먼저 직조한다. 도 12에는 직조기의 형태가 작동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기존에 제작된 직조기의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직조기에는 다수의 코바늘이 비치되어 회전하면서 직조를 하게 되는데, 탄력밴드부(12)를 직조하는 방식은 탄성이 우수한 고무사만을 투입하여 코뜨기 방식으로 직조를 한다. 양말의 경우 대체적으로 상단 밴드부부터 직조를 하게 되는데, 밴드부의 형상이 원통형이기에 직조기는 원형으로 회전을 하면서, 직조를 시작한다. 이에 반하여 이 건 발명과 같은 덧버선의 경우 발뒤꿈치를 감싸주기 위한 탄력밴드부(12)를 직조하는 것이기에 도시된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완벽한 회전이 아닌 a에서 b로 회전하다가 다시 b에서 a로 역회전을 하는 연동의 방식으로 직조를 한다. 고탄력을 가진 고무사를 이용하여 직조를 하기에 발뒤꿈치를 감쌀 때, 보다 고 탄력으로 안락하면서도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발뒤꿈치를 감싸는 탄력밴드부(12)를 직조하게 되면 이 탄력밴드부(12)에 연장되게 발뒤꿈치커버부(C)가 직조된다. 탄력밴드부(12)를 제외한 발뒤꿈치커버부(C)는 모두 혼합사를 이용하여 직조한다. 양말이나 덧버선을 직조하는 섬유의 경우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천연섬유인 면사는 물론 화학사가 주종을 이룬다. 화학사는 아크릴사, 폴리에스테르사 등이 주로 이용되는데, 혼합사는 이러한 섬유가 서로 혼섬된 형태의 섬유이다. 특히 요즘의 혼합사는 고탄력의 유지를 위해서 탄성을 부여한 섬유(고무사 등)가 투입되기도 한다. 아크릴사나 폴리에스테르사 그 자체도 탄성과 복원의 기능성이 높아서 사실상 일정한 탄성을 유지한다.
아무튼 이렇게 혼합사를 투입하여 이 건 발명의 발뒤꿈치커버부(C)는 직조되는데, 직조되는 방식은 전술된 탄력밴드부(12)와 동일하게 도시된 도 12의 (a)의 작동의 방식처럼, a와 b를 번갈아 회전하는 연동의 방식으로 직조를 한다. 탄력밴드부(12)는 고무사를 이용하여 고탄력이 될 수 있도록 직조를 하고, 발뒤꿈치커버부(C)는 혼합사를 이용하여 일정한 탄력을 가진 형태로 발뒤꿈치부분을 전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직조한다.
이 후 이 건 발명의 직조기는 작동을 중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바닥커버부(B)를 직조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발바닥커버부(B)의 폭이 발뒤꿈치부에 비하여 넓게 직조되는데, 이러한 직조의 방식은 코바늘의 수를 늘이고 줄이는 형태로 직조를 완성한다. 발바닥커버부(B)의 경우도 혼합사를 이용하여 직조를 하며, 도시된 도 12의 (a)에서 보이듯, a와 b를 연동하면서 직조를 완성한다. 발바닥을 커버할 수 있는 소망하는 길이가 될 때까지 직조를 수행하며, 다음의 탄력부의 직조 전까지 직조를 연장한다.
상기 발바닥커버부(B)는 전술된 것처럼 회전하면서 원형으로 직조하는 방식이 아니고 좌우 방향으로 연동을 하며 직조를 완성하는 것이기에 상단은 직조가 되지 않는 개방부(10)를 가진다. 실질적으로 발이 수용될 수 있는 개방부(10)가 되는 것이다.
이 발바닥커버부(B)의 직조가 완성되면 이 건 발명의 직조기는 도시된 도 12의 (b)에서 보이듯, 직조기가 완벽한 회전을 진행하면서 탄력부(D)를 직조한다. 이 탄력부(D)는 원통형의 형상이기에 직조기가 완벽한 원회전을 하는 것이다. 탄력부(D)는 직조가 완성되고 발에 착용되었을 때, 발가락과 발가락 사이가 오므라들도록 하여 착용한 사람의 발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발가락끝단에 걸릴 수 있는 발가락커버부(A)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이 탄력부(D)를 직조하는 데 중요한 사항은 고무사를 더 투입하여 직조를 한다는 것이다. 보다 고탄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무사를 투입하여 직조를 한다. 실질적으로 이미 혼합사를 투입하여 직조를 수행하고 있다가 고무사를 더 투입하여 직조를 한다. 이 고무사에 의해서 탄력부(D)는 더 확실한 탄력과 복원능을 갖추고 있기에 발가락에서 느끼는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이 탄력부(D)가 직조되면 탄력부(D)에 연장되어 연장부(E)가 직조된다. 연장부(E)는 혼합사만으로 직조를 수행하며, 역시 직조기 전체가 회전을 하면서 직조를 한다. 원통형의 형상이기에 그러하다.
이 연장부(E)가 직조를 완성하면, 연장부(E)에 연장되어 이음부(15)를 직조한다. 도 12에서 보이듯, 이 건 발명에서는 이 이음부(15)의 직조가 특히 중요하다. 혼합사만을 이용하여 직조를 하되, 연장부(E)에서 원회전을 유지하던 직조기는 연동운동으로 전환한다. 특히 이 연동운동은 전술된 발가락커버부(A), 발바닥커버부(B)의 연동방식과 다르다. 도시된 도 1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직조기의 상단을 이용하여 발가락커버부(A)와 발바닥커버부(B)가 연동하며 직조를 완성했다면, 이음부(15)의 경우 하단을 이용하여 직조를 한다. 역시 연동운동을 통해서 직조를 수행하기에 도시된 12 (c)의 직조기 연동방식과 동일하다.
이음부(15)를 기존의 연동방향과 변경하여 연동하는 이유는 이 건 발명의 이음라인(11)을 발바닥에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 이음라인(11)이 연장부(E)의 상단에서 길게 연장되지만 1/2만 연장되어 직조되기에 접어서 이음라인(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음부(15)의 최 끝단은 제2이음부(11-1)가 되고, 연장부(E)의 미직조된 부분은 제1이음부(11-2)가 된다. 제1이음부(11-1)의 끝단도 코가 떠진 상태로 미 직조의 상태이기에 실을 잡아 뽑게 되면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제1이음부(11-1)와 제2이음부(11-2)를 서로 연결하여 박음질을 하여 코가 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음라인(11)이라 칭하는 이 박음질부분은 이 건 발명에서는 특이하게 발가락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박음질된다. 이 이음라인(11)은 종래 양말이나 덧버선에서 항상 발가락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한 실시방식에 역행한다. 종래 발가락 상부에 이음라인(11)을 형성한 양말이나 덧버선은 착용 후 신발을 신게되면, 발가락의 상단이 이음라인(11)에 쓸리게 되고 까지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에 반하여 이 건 발명의 이음라인(11)은 발가락의 하단에 배열하여, 발가락이 자연스럽게 접히는 공간의 내측에 수용하기에 더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높다. 특히 덧버선(100)을 신은 발을 타인에게 노출시킬 때에도 이음라인(11)이 보이지 않아, 미감에도 훌륭하다. 이러한 이 건 발명의 이름라인(11)의 구조적인 변경은 양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럼 이렇게 직조된 이 건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시된 도 8과 11에서처럼, 이 건 발명의 상기 발가락커버부(A)는, 발가락의 상단을 모두 덮지 않는 걸치는 형태로 형성하도록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의 덧버선(100)은 발가락과 발바닥만을 커버하도록 하기 위한다. 특히 남성의 경우 요즘은 덧버선(100)을 즐겨신고 있는데, 발바닥만을 살짝 커버하고, 발가락도 그 끝단만 살짝 걸치는 형태로 제작하여 착용감을 우수하게 했다. 신발에 양말을 안신고 다니는 학생의 경우도 신발만 신은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지만 사실상 발바닥만 살짝 덮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땀의 흡수를 돕고 냄새를 풍기지 않도록 하는 배려이다. 다시 설명한다. 이 건 발명의 경우 도시된 도 9, 10에서처럼, 발가락커버부(A)가 발가락의 상단부분을 완벽하게 덮을 수 있도록 커버하지 않는다.
발가락의 끝단부분만 일정부분 가릴 수 있는 형태로 커버한다. 이 건 발명의 덧버선(100)은 어찌보면 가장 간편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땀이 배어나올 수 있는 부분인 발가락, 또한 발바닥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열기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발가락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발뒤꿈치부를 고탄력 탄력밴드부(12)로 감싸도록 하여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도 10에 도시).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은 상기 발뒤꿈치커버부(C)를 형성하는 탄력밴드부(12)에서는 하향하며 발뒤꿈치부(C) 끝단을 향하도록 테이퍼지게 내려서는 탄력라인(13)을 두고, 탄력라인(13)의 끝단에서 2개나 3개로 가지를 뻗는 보조라인(14)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탄성을 높이면서도, 둥근 외주면을 가진 발뒤꿈치에 안락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탄력라인(13)을 형성한다.
도시된 도 4, 6 및 8에서는 탄력밴드부(12)의 양단 또는 중심부분에서 시작되어 발뒤꿈치를 향하여 테이퍼지게 내려서는 탄력라인(13)이 도시되어 있다. 이 건 발명은 이렇게 탄력밴드부(12)의 일측에서 테이퍼지게 하향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탄력라인(13)의 형성이 자유롭다. 상기 탄력라인(13)의 경우 탄력밴드부(12)의 양단에서 시작되는지, 중심부분에서 시작되는지에 따라 연동의 크기나 코를 뜨는 바늘의 수가 변동되기는 하지만 대동소이한 직조방법을 따른다. 또한 상기 탄력라인(13)의 끝단에 2개나 3개로 가지를 뻗어 발뒷꿈치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라인(14)의 경우도 상기 탄력라인(13)과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갖춘다.
나아가 이 건 발명에서는 도 13에서처럼, 탄력밴드부(12)의 하단 발뒤꿈치커버부(C) 내주면에는 탄력밴드부(12)에 나란히 실리콘코팅라인(50)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이 건 발명의 경우, 발뒤꿈치커버부(C)의 내주면에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실리콘코팅라인(50)을 도포한다. 실리콘을 도포하게 되면 실리콘의 부드러움과 발뒤꿈치와의 높은 마찰이 형성되어 덧버선이 벗어지지 않으면서도 부드럽게 감쌀 수 있도록 하여 착용이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이 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달성한 덧버선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신었을 때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발가락과 발바닥에만 걸치는 형태이기에 마치 양말을 신지 않은 형태로 외부에 노출된다. 요즘 학생들이나 젊은이들의 양말을 신지 않고 다니는 패션에도 부합하고, 발에서 땀을 흡수하여 발냄새의 양산을 미리 막을 수 있는 우수한 실시형태이다.
10; 개방부 11; 이음라인
11-1; 제2이음부 11-2; 제1이음부
15; 이음부 A; 발가락커버부
B; 발바닥커버부 C; 발뒤꿈치커버부
D; 탄력부

Claims (5)

  1. 발가락의 상단과 발가락 바닥을 덮도록 형성하되, 발가락상단에서 발가락바닥까지 원통으로 감싸도록 고무사와 혼합사의 직조로 형성되는 탄력부(D)를 수용하는 혼합사로 이루어진 발가락커버부(A);
    발가락커버부(A)에서 연장되어 발바닥부분만을 커버하도록 하도록 상단을 개방한 개방부(10)를 구성하는 혼합사로 직조된 발바닥커버부(B);
    발바닥커버부(B)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직조하되, 상단 끝부분은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감싸며 고탄력으로 조일 수 있도록 고무사로만 직조한 탄력밴드부(12)를 가진 발뒤꿈치커버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직조의 끝단인 제2이음부(11-1)는 발가락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박음질하여 이음라인(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
  2. 제1항에 있어서,
    발가락커버부(A)는, 발가락의 상단을 모두 덮지 않는 걸치는 형태로 형성하도록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
  3. 제1항에 있어서,
    발뒤꿈치커버부(C)를 형성하는 탄력밴드부(12)에서는 하향하며 발뒤꿈치부(C) 끝단을 향하도록 테이퍼지게 내려서는 탄력라인(13)을 두고, 탄력라인(13)의 끝단에서 2개나 3개로 가지를 뻗는 보조라인(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
  4. 제1항에 있어서,
    탄력밴드부(12)의 하단 발뒤꿈치커버부(C) 내주면에는 탄력밴드부(12)에 나란히 실리콘코팅라인(50)을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
  5. 고무사를 이용하여 고탄력으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탄력밴드부(12)를 직조하는 단계;
    탄력밴드부(12)에 연장되어 발뒤꿈치커버부(C)를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동시키며 발뒤꿈치커버부(C)를 완성하는 단계;
    발뒤꿈치커버부(C)에 연장되어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의 1/2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연동시키며, 발바닥커버부(B)를 완성하는 단계;
    발바닥커버부(B)에 연장되어 혼합사에 고무사를 더 투입하여 직조기의 전체를 이용하여 연속회전을 시키며 탄력부(D)를 직조하고, 탄력부(D)에서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부(E)를 혼합사로 직조하는 단계;
    원통형의 연장부(E)에 연장되어 혼합사로 직조하되, 직조기를 뒤집어 나머지 1/2을 이용하여 좌우방향으로 연동시키며 직조의 끝단인 제2이음부(11-1)까지 직조를 하는 단계;
    직조가 완성되면 상기 제2이음부(11-1)와 연장부(E)의 미 직조된 부분을 연결하여 밖음질을 하여, 발가락바닥에 형성되는 이음라인(11)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편하고 내구성이 높은 덧버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라인을 발바닥 부분에 둔 덧버선 제조방법.



KR1020140054420A 2014-05-07 2014-05-07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KR20150127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420A KR20150127488A (ko) 2014-05-07 2014-05-07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420A KR20150127488A (ko) 2014-05-07 2014-05-07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88A true KR20150127488A (ko) 2015-11-17

Family

ID=5478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420A KR20150127488A (ko) 2014-05-07 2014-05-07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74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9774B2 (ja) シューズ
TWI586288B (zh) Leg support belt
US7562541B2 (en) Therapeutic stocking
TWI581729B (zh) 具有編織鞋舌元件之鞋面
KR20170033817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TW201534236A (zh) 具有含設置有可變壓縮之編織組件之鞋面的鞋具
US20060218973A1 (en) Socks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US7775069B1 (en) Therapeutic stocking
CN106062265B (zh) 套脚衣物、用于制造这种套脚衣物的方法及用于针织品或袜类的圆机
JP6401558B2 (ja) フットカバー
KR20150127481A (ko) 이음라인을 제거하고, 통풍구를 살린 숨쉬는 덧버선과 그 제작방법
JP6335072B2 (ja) フットカバー
KR20180009896A (ko)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101463350B1 (ko) 봉제선을 탄성으로 이용한 착용감을 살린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US9957649B2 (en) Sock structure
KR20180038853A (ko) 타이즈
KR102544788B1 (ko) 발목 압박양말
KR20150127488A (ko) 이음라인을 발가락 바닥에 둔 덧버선과 그 제조방법
JP5395567B2 (ja) フート・ウェア
JP5961781B1 (ja) 爪先伸縮ソックス
KR101426209B1 (ko)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CN106923434A (zh) 一种可跨码袜子鞋及其制造方法
CN205993644U (zh) 一种双层圣诞袜
JP3165725U (ja) 足カバー
KR200429010Y1 (ko) 기능성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2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19

Effective date: 2017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