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851A -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851A
KR20150123851A KR1020157026002A KR20157026002A KR20150123851A KR 20150123851 A KR20150123851 A KR 20150123851A KR 1020157026002 A KR1020157026002 A KR 1020157026002A KR 20157026002 A KR20157026002 A KR 20157026002A KR 20150123851 A KR20150123851 A KR 2015012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audio
signal
headphon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191B1 (ko
Inventor
프레드리끄 가로
에르완 노그
크리스띠앙 코그나스
마띠유 샤뀐
시몽 레브레똥
프레디 다비
야닉 랑드르
주세페 토레스
Original Assignee
프랑스 브레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브레베 filed Critical 프랑스 브레베
Publication of KR2015012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73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a reference signal without an error signal, e.g. pure feedforw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8Communication systems, e.g. where useful sound is kept and noise is cancelled
    • G10K2210/1081Earphones, e.g. for telephones, ear protectors or headse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46Multiple acoustic inputs, multiple acoustic outp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한다.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고, 전원 신호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한다.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도록 의도된 클록 신호를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클록 신호를 구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HEADPHONE OR HEADSET AND AUDIO PRODUCING DEVICE TO WHICH THE HEADPHONE OR HEADSET IS INTENDED TO BE CONNECTE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고,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이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포함될 경우,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와이어들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은 오디오 잡음 상쇄로도 알려진 - 능동 잡음 제어에 의해 원하지 않는 주변 사운드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잡음-상쇄형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잡음-상쇄형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은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각각의 귀 근처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을 구현하고,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캡처된 신호들을 사용하여 잡음-방지 신호들을 생성하는 회로를 추가로 구현한다.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스피커들에 의해 재생될 경우, 생성된 잡음-방지 신호들은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이 듣는 것과 같은 주변 잡음을 상쇄한다. 그러한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은 따라서, 오디오 잡음을 상쇄시키는데 있어 능동적이고, 잡음 분리형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과 혼란되지 않아야만 한다.
ANC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의 한 가지 예시적인 알려진 배열에서, TRRS (Tip Ring Ring Sleeve) 3.5 mm 커넥터와 같은 표준 잭 커넥트들에 적합하기 위해, ANC 회로 및 배터리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서 구현되었다.
대안적인 ANC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은,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되고,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의 ANC 회로에 의존하며, 추가로 핸드폰 또는 헤드셋에서 배터리를 구현하는 것을 회피한다. 그러나, 그러한 ANC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은 비-표준 커넥터들을 구현한다.
그러므로, ANC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헤드폰 또는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와이어들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추가로,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존하는 헤드셋들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대신, 디지털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폰에 의한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고 오디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제공되는 신호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제한할 것이다. 그러나, 최신 기술을 고려해서,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그러한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현하는 것은,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을 구현하는 것과 비교하여,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간에 추가 인터페이스 와이어들을 구현하는 것을 부과한다.
그러므로,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와이어들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전술된 2 가지 내용들에 있어서,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해 표준 TRRS 커넥터에 의존하는 것을 허용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추가로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과 관련되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추가로 전원 신호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시스템은: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 (superimpose) 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고;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고;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도록 의도된 클록 신호를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며; 그리고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클록 신호를 구분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그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추가로 전원 신호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전원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도록 의도된 클록 신호를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헤드폰 또는 헤드셋 타입의 오디오 디바이스와 관련되며, 그 오디오 디바이스는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오디오 디바이스는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오디오 디바이스는 추가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로부터 전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 및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기 위해 클록 신호를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구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한다.
따라서, 클록 신호를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 상에 중첩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좌측 아날로그 신호 상에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 상에 또는 전원 신호 상에 중첩함으로써,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와이어들의 수가 제한된다. 또한, TRRS 4-핀 3.5 mm 커넥터들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이하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더 명확히 나타날 것이고, 상기 설명은 참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생성된다:
- 도 1a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의 제 1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1b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의 제 2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1c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의 제 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2 는 헤드폰의 제 1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3 은 헤드셋의 제 1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4 는 헤드셋의 제 2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5 는 헤드폰의 제 2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6 은 헤드셋의 제 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7a 는 도 2 의 헤드폰 또는 도 3 또는 도 4 의 헤드셋에 의해 구현되는 적응형 유닛 또는 서브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 도 7b 는 도 1a 또는 도 1b 의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적응형 유닛 또는 서브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a 는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b 는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c 는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를 나타낸다. 제 1 (100), 제 2 (160) 및 제 3 (170)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들은 대응하는 헤드폰들 또는 헤드셋들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헤드셋들 및 헤드폰들은 오디오 디바이스들이다. 헤드셋은 헤드폰의 특정 실시형태이고,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이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헤드폰은 제 1 (100), 제 2 (160) 또는 제 3 (170)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된 오디오 스테레오 신호를 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이어 (ear)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이며; 헤드셋은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의해 핸들링되는 대화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마이크로폰 및 이어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이다.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적합한 헤드폰 실시형태는, 도 2 와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적합한 헤드셋 실시형태는, 도 4 와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와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헤드폰 실시형태는 또한,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적합하다.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적합한 헤드셋 실시형태는, 도 3 과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적합한 헤드폰 실시형태는, 도 5 와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적합한 헤드셋 실시형태는, 도 6 과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헤드폰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제 1 (100), 제 2 (160) 및 제 3 (170)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들은 오디오 플레이어들, 또는 청취를 위해 오디오 신호들을 재생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다. 헤드셋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제 1 (100), 제 2 (160) 및 제 3 (170)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폰들, 또는 오디오 신호들의 양방향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1a 로 돌아가서,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는 헤드폰을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104) 를 포함한다. 커넥터 (104) 는 바람직하게, TRRS 4-핀 3.5 mm 피메일 커넥터이다.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는 추가로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은 ANC 기능을 구현한다. 그러한 경우에,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는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헤드폰 또는 헤드셋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되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 주위의 사운드를 캡처하기 위해 귀마다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는 증폭 유닛 (102) 및 적응화 유닛 (103) 을 추가로 포함한다.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은 링크 (110) 및 링크 (111) 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각각 증폭 유닛 (102) 에 제공한다.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의해 제공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은, 커넥터 (104) 를 통해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접속되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이 듣도록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이 ANC 기능을 구현할 경우,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의해 제공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은, 커넥터 (104) 를 통해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접속되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이 듣도록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들에 중첩된 잡음-방지 신호들로 구성된다.
증폭 유닛 (102) 은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의해 제공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개별적으로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 1 (122) 및 제 2 (123) 증폭기들을 포함한다. 증폭 유닛 (102) 은 링크 (132) 및 링크 (133) 를 통해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각각 적응화 유닛 (103) 에 제공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증폭 유닛 (102) 은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으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고, 증폭 유닛 (102) 은 증폭 스테이지들 이전에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들 신호들을 적응화 유닛 (103) 에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 코덱 기능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술된 코덱 기능은 오디오 제어 유닛 (101) 과 증폭 유닛 (102) 사이에 배치된 독립형 유닛에 의해 구현된다.
적응화 유닛 (103) 은 커넥터 (104) 를 통해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접속되는 헤드폰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또는 헤드셋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를, 증폭 유닛 (102) 에 의해 제공된 증폭된 좌측 또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와 구분하도록 구성된다. 사실, 도 5 및 도 6 과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를 증폭 유닛 (102) 에 의해 제공된 증폭된 좌측 또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에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는 제 1 증폭기 (122) 에 의해 제공된 증폭된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제 2 증폭기 (123) 에 의해 제공된 증폭된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구분 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는, AND 기능이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의해 구현될 경우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이 잡음-방지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가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과 함께 사용될 경우 헤드셋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된 사운드를 프로세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적응화 유닛 (103) 에 의해 링크 (113) 를 통해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으로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03) 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 1 적응화 서브유닛 (154) 을 포함한다. 제 1 적응화 유닛 (154) 은,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의 에지들만을 분리하고, 오직 상기 에지들만을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될 경우, 구현된다. 제 1 적응화 유닛 (154) 은 도 7b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7b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적응화 유닛 (154) 은 커넥터 (104) 에 의해 제공된 중첩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 D-플립 플롭 회로 (752) 를 포함한다. 제 1 적응화 유닛 (154) 은 D-플립 플롭 회로 (752) 의 입력에서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751) 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D-플립 플롭 회로 (752) 는 정류된 에지들로부터 디지털 신호의 정사각형 형상을 복원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a 로 다시 돌아가서,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03) 은 제 1 증폭기 (122), 즉 상부에 디지털 데이터가 중첩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중인 증폭기의 출력에 배치된 제 2 적응화 서브유닛 (151) 을 포함한다. 제 2 적응화 서브유닛 (151) 은 제 1 증폭기 (122) 의 출력 임피던스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 마스킹한다. 제 2 적응화 서브유닛 (151) 은 불청 (non-audible) 주파수들, 예컨대 20 kHz 보다 큰 주파수들에 대하여 높은 임피던스를 제시하고, 가청 주파수들, 예컨대 20 kHz 미만의 주파수들에 대하여 낮은 임피던스를 제시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적응화 서브유닛 (151) 은 예컨대, 160 Ω 의 저항기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적응화 서브유닛 (151) 은 예컨대, 각각 47 Ω 및 10 μH 인 저항기와 직렬의 인덕턴스로 구성된다.
적응화 유닛 (103) 은 추가로, 커넥터 (104) 를 통해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접속되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데 사용된 클록 신호를, 증폭 유닛 (102) 에 의해 제공되는 증폭된 좌측 또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클록 신호는 가청 주파수들보다 상당히 큰 발진 주파수를 가지고, 링크 (112) 를 통해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클록 신호는 3.072 MHz 의 발진 주파수를 갖는다. 변형하여, 클록 신호는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클록 신호를 추가로 제공하는 클록 생성기에 의해 적응화 유닛 (103) 에 제공된다.
도 1a 에서, 클록 신호는 제 2 증폭기 (123) 에 의해 제공되는 증폭된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제 1 증폭기 (122) 에 의해 제공되는 증폭된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03) 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클록 신호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을 포함한다.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은 클록 신호를 정사각형 형상으로부터 사인 형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신호 형상 변환 유닛을 포함한다.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은 추가로, 사인 형상에 있어서의 변환 이전에 또는 사인 형상에 있어서의 변환 이후에, 클록 신호의 진폭을 감쇠하도록 구성된 신호 감쇠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은 사인 변환된 클록 신호에서 DC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DC 성분 제거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의 존재는 도 2 와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헤드폰에서의 역 적응화 동작을 가정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03) 은 제 2 증폭기 (123), 즉 클록 신호가 상부에 중첩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중인 증폭기의 출력에 배치된 제 4 적응화 서브유닛 (152) 을 포함한다. 제 4 적응화 서브유닛 (152) 은 제 2 증폭기 (123) 의 출력 임피던스를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에 마스킹한다. 제 4 적응화 서브유닛 (152) 은 불청 (non-audible) 주파수들, 예컨대 20 kHz 보다 큰 주파수들에 대하여 높은 임피던스를 제시하고, 가청 주파수들, 예컨대 20 kHz 미만의 주파수들에 대하여 낮은 임피던스를 제시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4 적응화 서브유닛 (152) 은 예컨대, 160 Ω 의 저항기로 구성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4 적응화 서브유닛 (152) 은 예컨대, 각각 47 Ω 및 10 μH 인 저항기와 직렬의 인덕턴스로 구성된다.
적응화 유닛 (103) 은 링크 (141) 를 통해 커넥터 (104) 에 접속되고, 링크 (141) 를 경유하여 적응화 유닛 (103) 은 전원 신호를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제공한다. 전원 신호는 예를 들어, 지정된 전력 공급 유닛 또는 증폭 유닛 (102) 과 같이, 적응화 유닛 (103) 과 다른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의 유닛에 의해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전원 신호는 예컨대 1.8 V,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을 구동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DC 전압의 직류 (DC) 신호의 형태이다.
적응화 유닛 (103) 은 추가로, 링크 (142) 를 통해 커넥터 (104) 에 접속되고, 링크 (142) 를 경유하여 적응화 유닛 (103) 은 접지 신호를 커넥터 (104) 를 통해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제공한다. 접지 신호는 예를 들어, 지정된 접지 접속 유닛 또는 증폭 유닛 (102) 과 같이, 적응화 유닛 (103) 과 다른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의 유닛에 의해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적응화 유닛 (103) 은 추가로, 링크 (143) 를 통해 커넥터 (104) 에 접속되고, 링크 (143) 에서 적응화 유닛 (103) 은 증폭된 우측 오디오 아날로그 신호와 증폭된 우측 오디오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 클록 신호를, 커넥터 (104) 를 통해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제공한다.
적응화 유닛 (103) 은 추가로, 링크 (144) 에 의해 커넥터 (104) 에 접속되고, 링크 (144) 에서, 적응화 유닛 (103) 은 좌측 오디오 아날로그 신호를 커넥터 (104) 를 통해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제공하고, 헤드폰은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적응화 유닛 (103) 에 제공한다.
TRRS 4-핀 3.5 mm 피메일 커넥터를 참조하여, 링크들 (141, 142, 143, 144) 은 커넥터 (104) 의 각각의 4 개의 컨택들에 접속된다.
지금부터 도 1b 를 참조하여,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는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대응하며,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모든 아이템들은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존재하지만, 증폭 유닛 (102) 은 증폭 유닛 (162) 으로 대체되고 적응화 유닛 (103) 은 적응화 유닛 (163) 으로 대체된다.
증폭 유닛 (162) 은 제 1 및 제 2 (123) 증폭기들 및 제 3 증폭기 (121) 를 포함한다. 제 3 증폭기 (121) 는 헤드셋이 커넥터 (104) 를 통해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접속될 경우, 헤드셋의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수신한다. 아날로그 신호들은 커넥터 (104) 로부터 적응화 유닛 (163) 을 통해 제공된다.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들은 링크 (141) 상에서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제 3 증폭기 (121) 는 예컨대,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가 전화기일 경우 전화 통화의 범위에서,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의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들은 증폭 유닛 (162) 에 의해 링크 (109) 를 통해 오디오 제어 유닛 (101) 으로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63) 은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전원 신호와 구분하기 위한 제 5 적응화 서브유닛 (155) 을 포함한다. 제 5 적응화 서브유닛 (155) 은 전원 신호가 획득되는 전원 바이어스와 링크 (141) 에 배치된, 예컨대 2.2 ㏀ 의 저항기, 및 링크 (141) 와 증폭기 (121) 의 입력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1 μF 의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적응화 유닛 (163) 은, 적응화 유닛 (163) 이 커넥터 (104) 와 링크 (141) 를 통해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면, 적응화 유닛 (103) 과 동일하다. 적응화 유닛 (163) 은 추가로, 링크 (131) 를 통해 증폭 유닛 (162) 에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2 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되는 것과 같은 ANC 헤드폰이 헤드셋 대신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접속될 경우, 오직 전원 신호만이 링크 (141) 상에 존재하며, 따라서 어떤 아날로그 신호들도 제 3 증폭기 (121) 에 제공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도 1c 를 참조하여,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는 제 1 (100) 및 제 2 (160)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들의 변형된 실시형태에 대응하며,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폰 또는 헤드셋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모든 아이템들은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존재하지만, 적응화 유닛 (103) 은 적응화 유닛 (173) 으로 대체된다.
적응화 유닛 (173) 은 증폭 유닛 (102) 으로부터 증폭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적응화 유닛 (173) 은 추가로, 증폭 유닛 (102) 에 의해 제공되는 증폭된 좌측 및/또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의 상부에 클록 신호를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클록 신호는 양자의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에 중첩될 수도 있고, 이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서 ANC 기능 구현의 경우 클록 신호를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로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클록 신호의 가능한 영향을 양자의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밸런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73) 은 제 4 적응화 서브유닛 (152)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73) 은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을 포함한다.
적응화 유닛 (173) 은 추가로, 커넥터 (104) 를 통해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접속되는 헤드폰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또는 헤드셋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원 신호와 구분하도록 구성된다. 사실, 도 5 및 도 6 과 관련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를 적응화 유닛 (173) 에 의해 제공된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응화 유닛 (173) 은 전원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 6 적응화 서브유닛 (174) 을 포함한다. 제 6 적응화 서브유닛 (174) 은 전원 신호가 획득되는 전원 바이어스와 링크 (141)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10 ㏀ 의 저항기, 및 링크 (141) 와 링크 (113) 사이에 배치된, 예컨대 연산 증폭기-기반 배열에 의존하는 DC 오프셋 정정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 의 범위에서, 적응화 서브유닛들 (151, 152, 153, 154, 155, 174) 은 관련된 적응화 유닛 (103, 163 또는 173) 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각각의 적응화 서브유닛 (151, 152, 153, 154, 155, 174) 은 관련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160, 170) 에서 독립형 유닛일 수도 있다.
도 2 는,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또는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 1 헤드폰 실시형태 (2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헤드폰 (200) 은 헤드폰 (200) 을 커넥터 (104) 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201) 를 포함한다. 커넥터 (201) 는 바람직하게, TRRS 4-핀 3.5 mm 메일 커넥터이다.
헤드폰 (200) 은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4) 및 우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5) 를 포함한다. 헤드폰 (200) 은 추가로, 헤드폰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서 ANC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좌측 귀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및 우측 귀 디지털 마이크로폰 (203) 을 포함한다.
커넥터 (201) 는 링크 (211) 에, 링크 (212) 에, 링크 (213) 에 및 링크 (214) 에 접속된다. TRRS 4-핀 3.5 mm 메일 커넥터를 참조하여, 링크들 (211, 212, 213, 214) 은 커넥터 (201) 의 각각의 4 개의 컨택들에 접속된다.
링크 (211) 는,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한다. 링크 (212) 는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3) 는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접지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4) 는,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을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를 전송한다.
도 1a 및 도 1b 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클록 신호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일하게,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데이터는 펄스 밀도 변조 (PDM) 에 의존한다. 디지털 데이터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스 기술과 같은 시간 공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은 클록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하고, 디지털 마이크로폰 (203) 은 클록 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2 초과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이 헤드폰 (200) 에서 구현된다. 이 경우, 모든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은 시간 공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헤드폰 (2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수행되는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 우측 또는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를 위해 제공된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200) 은 디지털 데이터를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 7 적응화 서브유닛 (221) 을 포함한다. 제 7 적응화 서브유닛 (221)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의 전력을 감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도 7a 에 도시된 배열은 디지털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의 에지들만을 분리하고, 오직 상기 에지들만을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데 사용된다. 도 7a 에 도시된 배열은, 도 7b 에 도시된 배열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제 7 적응화 서브유닛 (221) 을 구현하는 것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 대한 영향을 제한한다.
도 7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의 (디지털 데이터가 제공되는) 디지털 출력은 AND 게이트 (702) 의 하나의 입력 및 OR 게이트 (703) 의 하나의 입력에 접속된다.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의 디지털 출력은 추가로 R/C 배열에 접속된다. R/C 배열은, 저항기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의 디지털 출력과 직렬인 저항기 (706), 및 저항기 (706) 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에 대한 타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705) 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저항기 (706) 는 10 Ω 의 값이고, 커패시터 (705) 는 330 pF 의 값이다. R/C 배열의 출력은 AND 게이트 (702) 의 다른 입력 및 OR 게이트 (703) 의 다른 입력에 접속된다. AND 게이트 (702) 와 OR 게이트 (703) 의 개별 출력들은 XOR 게이트 (701) 에 접속된다. XOR 게이트 (701) 의 출력은 예컨대, 160 Ω 의 다른 저항기 (704) 를 통해 링크 (211) 에 접속된다.
도 2 로 다시 돌아가서, 일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캡처된 사운드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방식으로 제공하며, 디지털 데이터의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영향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가청 주파수 범위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에너지 레벨은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의 에너지 레벨을 고려하여 무시할만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펙트럼 확산 접근방식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7 적응화 서브유닛 (221) 은 주파수 스펙트럼 상의 에너지 분산을 위해 구성된, 랜덤화 유닛이라고도 지칭되는 스크램블링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스크램블링 유닛을 구현하는 것은 제 1 적응화 유닛 (154) 에서 대응하는 디스크램블링 유닛을 구현하는 것을 가정한다.
헤드폰 (200) 은 추가로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을 구동하는데 사용된 클록 신호와,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 우측 또는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를 위해 제공된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구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200) 은 클록 신호를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부터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을 포함한다.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은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클록 신호에 DC 성분을 부가하도록 구성된 DC 성분 부가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DC 성분 부가 유닛은, 예컨대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유닛에 의해 제공된 전원 신호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저항기 브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은 DC 성분이 제거된 클록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증폭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은 클록 신호를 사인 형상으로부터 정사각형 형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신호 형상 변환 유닛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슈미트 트리거 (Schmitt trigger) 는 클록 신호를 사인 형상으로부터 정사각형 형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구현된다. 그 후에, 슈미트 트리거는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사용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의 존재는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이 헤드폰 (200) 이 접속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것을 가정한다. 제 3 적응화 서브유닛 (153) 과 함께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을 구현함으로써, 클록 신호의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 대한 영향이 고조파 제거에 의해 감소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200) 은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4) 의 오디오 입력을 DC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 9 적응화 서브유닛 (222) 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9 적응화 서브유닛 (222) 은 예컨대, 10 μF 의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9 적응화 서브유닛 (222) 은 예컨대, 각각 100 μF 및 100 μH 인 커패시터와 직렬의 인덕턴스로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200) 은 우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5) 의 오디오 입력을 DC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 10 적응화 서브유닛 (223) 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0 적응화 서브유닛 (223) 은 예컨대, 10 μF 의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0 적응화 서브유닛 (223) 은 예컨대, 각각 100 μF 및 100 μH 인 커패시터와 직렬의 인덕턴스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도 2 에 도시된 배열은 ANC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헤드폰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와이어들의 양을 제한한다. 따라서, TRRS 4-핀 3.5 mm 커넥터들은 헤드폰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 은,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 1 헤드셋 실시형태 (3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모든 아이템들은 헤드셋 (300) 에 존재하지만, 헤드셋 (300) 은 추가로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306) 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306) 은 통상적으로,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의해 핸들링되는 대화들에 참여할 경우, 헤드셋 (300) 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도록 의도된다.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306) 의 출력은 링크 (213) 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헤드셋 (300) 은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306) 에 의한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커넥터들 (104, 201) 의 세트를 통해 제 2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60) 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신호 상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도 3 에 도시된 배열은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기반 헤드셋 및 ANC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와이어들의 양을 제한한다. 따라서, TRRS 4-핀 3.5 mm 커넥터들은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 는, 제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 2 헤드셋 실시형태 (4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헤드셋 (400) 은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을 음성을 캡처하도록 의도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마이크로폰 대신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것은, 마이크로폰에 의한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고 오디오 제공 디바이스 (100) 에 대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제공되는 신호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헤드셋 (400) 은 추가로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4) 및 우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5) 를 포함한다.
헤드셋 (400) 은 추가로, 헤드셋 (400) 을 커넥터 (104) 에 접속하도록 의도된 커넥터 (201) 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 에 대하여, 커넥터 (201) 는 링크 (211) 에, 링크 (212) 에, 링크 (213) 에 및 링크 (214) 에 접속된다.
링크 (211)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의해 제공되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한다. 링크 (212)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3)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의해 제공되는 접지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4)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의해 제공되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된 것과 같이, 클록 신호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일하게,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헤드셋 (4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에 의해 수행되는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의해 각각 우측 또는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를 위해 제공된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400) 은 제 7 적응화 서브유닛 (221) 을 포함한다.
헤드셋 (400) 은 추가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구동하는데 사용된 클록 신호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00) 에 의해 각각 우측 또는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를 위해 제공된 우측 또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구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400) 은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400) 은 제 9 적응화 서브유닛 (222)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400) 은 제 10 적응화 서브유닛 (223) 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도 4 에 도시된 배열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기반 헤드셋을 구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와이어들의 양을 제한한다. 따라서, TRRS 4-핀 3.5 mm 커넥터들은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 는,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 2 헤드폰 실시형태 (5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헤드폰 (500) 은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4) 및 우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5) 를 포함한다. 헤드폰 (500) 은 추가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서 ANC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좌측 귀 디지털 마이크로폰 (202) 및 우측 귀 디지털 마이크로폰 (203) 을 포함한다.
헤드폰 (500) 은 추가로, 헤드폰 (200) 을 커넥터 (104) 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201) 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 에 대하여, 커넥터 (201) 는 링크 (211) 에, 링크 (212) 에, 링크 (213) 에 및 링크 (214) 에 접속된다.
링크 (211)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2)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한다. 링크 (213)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접지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4)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을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를 전송한다.
도 1c 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클록 신호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 또는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양자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500) 은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500) 은 클록 신호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 좌측 및/또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의 상부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 9 적응화 서브유닛 (222) 및/또는 제 10 적응화 서브유닛 (223) 을 포함한다.
헤드폰 (200) 에 대하여, 헤드폰 (500) 은 2 초과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폰 (5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02, 203) 에 의해 수행되는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된 전력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5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22, 223) 을 전력 공급하기 위해, 링크 (212) 상에 전송된 전체 신호로부터 전원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제 11 적응화 서브유닛 (510) 을 포함한다. 도 5 는 제 11 적응화 서브유닛 (510) 의 2 가지 인스턴스들을 도시하지만, 단일의 제 11 적응화 서브유닛 (51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22, 223) 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1 적응화 서브유닛 (510) 은 링크 (212) 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222, 223) 의 전원 입력 사이에 배치된 인덕턴스, 및 접지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222, 223) 의 전원 입력 사이에 배치된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47 μH 의 인덕턴스와 10 μF 의 커패시터가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폰 (5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22, 223) 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된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기 위한 제 12 적응화 서브유닛 (511) 을 포함한다. 도 5 는 제 12 적응화 서브유닛 (511) 의 2 가지 인스턴스들을 도시하지만, 단일의 제 12 적응화 서브유닛 (511)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222, 223) 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2 적응화 서브유닛 (511) 은 링크 (212) 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222, 223) 의 디지털 출력 사이에 배치된 커패시터, 및 접지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222, 223) 의 디지털 출력 사이에 배치된 저항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10 μF 의 커패시터와 10 ㏀ 의 저항기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도 5 에 도시된 배열은 ANC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헤드폰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와이어들의 양을 제한한다. 따라서, TRRS 4-핀 3.5 mm 커넥터들은 헤드폰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 은, 제 3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 3 헤드셋 실시형태 (600) 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헤드셋 (600) 은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을 음성을 캡처하도록 의도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포함한다. 헤드셋 (600) 은 추가로 좌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4) 및 우측 귀 아날로그 스피커 (205) 를 포함한다.
헤드셋 (600) 은 추가로, 헤드셋 (600) 을 커넥터 (104) 에 접속하도록 의도된 커넥터 (201) 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 에 대하여, 커넥터 (201) 는 링크 (211) 에, 링크 (212) 에, 링크 (213) 에 및 링크 (214) 에 접속된다.
링크 (211)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2)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한다. 링크 (213)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접지 신호를 전송한다. 링크 (214) 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되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중첩된 방식으로,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구동하기 위한 클록 신호를 전송한다.
도 1c 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클록 신호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된다. 중첩은 변형하여 좌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600) 은 제 8 적응화 서브유닛 (220)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6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구동하는데 사용된 클록 신호가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 좌측 또는 우측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상부에 중첩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 9 적응화 서브유닛 (222) 또는 제 10 적응화 서브유닛 (223) 을 포함한다.
헤드셋 (6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에 의해 수행되는 사운드 캡처로부터 발생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된 전력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6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을 전력 공급하기 위해, 링크 (212) 상에 전송된 전체 신호로부터 전원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제 11 적응화 서브유닛 (510) 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헤드셋 (600) 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406) 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170) 에 의해 제공된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기 위한 제 12 적응화 서브유닛 (511) 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도 6 에 도시된 배열은 디지털 마이크로폰 기반 헤드셋을 구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와이어들의 양을 제한한다. 따라서, TRRS 4-핀 3.5 mm 커넥터들은 헤드셋과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8)

  1.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추가로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추가로 전원 신호를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도록 의도된 클록 신호를 중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상기 클록 신호를 구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클록 신호를 중첩하기 전에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 1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증폭기와 상기 클록 신호를 중첩하는 수단 사이에 상기 제 1 적응화 유닛이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적응화 유닛은 불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고 임피던스 및 가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저 임피던스를 제시함으로써,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의도되는 오디오 제어 유닛으로 마스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응화 유닛은 저항기, 또는 인덕턴스와 직렬의 저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클록 신호를 정사각형 형상으로부터 사인 형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 2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클록 신호를 다시 상기 사인 형상으로부터 상기 정사각형 형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 3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상기 클록 신호를 감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상기 클록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사인 형상의 상기 클록 신호로부터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사인 형상의 상기 클록 신호로부터 상기 직류 성분을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구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한 후에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 2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증폭기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 사이에 제 4 적응화 유닛이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 4 적응화 유닛은 불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고 임피던스 및 가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저 임피던스를 제시함으로써, 상기 제 2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 마스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적응화 유닛은 저항기, 또는 인덕턴스와 직렬의 저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좌측 아날로그 스피커를 직류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 5 적응화 유닛 및/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를 직류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 6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적응화 유닛 및/또는 상기 제 6 적응화 유닛은 커패시터, 또는 인덕턴스와 직렬의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방식으로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 방식으로 중첩하는 스크램블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디스크램블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헤드셋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셋은 상기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및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제공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잡음 상쇄를 수행하는 오디오 잡음 상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셋은 상기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로부터 기인한 아날로그 신호를 전원 신호 상에 중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5.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헤드셋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셋은 상기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구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 7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7 적응화 유닛은 상기 전원 신호가 획득되는 전원 바이어스와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링크 사이에 배치된 저항기, 및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의도되는 오디오 제어 유닛과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상기 링크 사이에 배치된 직류 오프셋 정정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 8 및 제 9 적응화 유닛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8 적응화 유닛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전원 입력과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링크 사이에 배치된 인덕턴스, 및 접지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상기 전원 입력 사이에 배치된 커패시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 9 적응화 유닛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디지털 출력과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상기 링크 사이에 배치된 커패시터, 및 상기 접지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상기 디지털 출력 사이에 배치된 저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헤드셋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셋은 상기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및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팁 링 링 슬리브 4-핀 3.5 mm 커넥터들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
  21.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로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추가로 전원 신호를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의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 및
    -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의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도록 의도된 클록 신호를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클록 신호를 중첩하기 전에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 1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증폭기와 상기 클록 신호를 중첩하는 수단 사이에 제 1 적응화 유닛이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적응화 유닛은 불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고 임피던스 및 가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저 임피던스를 제시함으로써,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의도되는 오디오 제어 유닛으로 마스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응화 유닛은 저항기, 또는 인덕턴스와 직렬의 저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클록 신호를 정사각형 형상으로부터 사인 형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 2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상기 클록 신호를 감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사인 형상의 상기 클록 신호로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구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한 후에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제 2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증폭기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는 수단 사이에 제 3 적응화 유닛이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제 3 적응화 유닛은 불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고 임피던스 및 가청 주파수들에 대하여 저 임피던스를 제시함으로써, 상기 제 2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 마스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적응화 유닛은 저항기, 또는 인덕턴스와 직렬의 저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및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폰에 접속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제공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잡음 상쇄를 수행하는 오디오 잡음 상쇄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로부터 기인한 아날로그 신호를 전원 신호로부터 구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31.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구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전원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구분하도록 구성된 제 4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적응화 유닛은 상기 전원 신호가 획득되는 전원 바이어스와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링크 사이에 배치된 저항기, 및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의도되는 오디오 제어 유닛과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상기 링크 사이에 배치된 직류 오프셋 정정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33. 제 2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는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를 상기 헤드셋 또는 헤드폰에 접속하도록 의도된 팁 링 링 슬리브 4-핀 3.5 mm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34.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헤드폰 또는 헤드셋 타입의 오디오 디바이스로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들에 대하여 각각 의도된 좌측 및 우측 아날로그 신호들을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추가로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로부터 전원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
    -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는 수단; 및
    -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클록 신호를 구분하는 수단을 더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상기 좌측 아날로그 스피커를 직류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 1 적응화 유닛 및/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스피커를 직류 성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제 2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응화 유닛 및/또는 상기 제 2 적응화 유닛은 커패시터, 또는 인덕턴스와 직렬의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37. 제 3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상기 클록 신호를 사인 형상으로부터 정사각형 형상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제 3 적응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상기 클록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39. 제 37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적응화 유닛은 추가로 사인 형상의 상기 클록 신호에 직류 성분을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0. 제 34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스펙트럼 확산 방식으로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좌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또는 상기 우측 아날로그 신호의 상부에 스펙트럼 확산 방식으로 중첩하는 스크램블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3. 제 40 항 또는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가 오디오 잡음 상쇄를 수행하게 하는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마이크로폰들 및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이고,
    상기 헤드셋은 상기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로부터 기인한 아날로그 신호를 전원 신호 상에 중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4.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5. 제 34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행된 사운드 캡처들로부터 기인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 또는 헤드셋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원 신호의 상부에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 4 및 제 5 적응화 유닛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적응화 유닛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전원 입력과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링크 사이에 배치된 인덕턴스, 및 접지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상기 전원 입력 사이에 배치된 커패시터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 5 적응화 유닛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디지털 출력과 상기 중첩된 전원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의도된 상기 링크 사이에 배치된 커패시터, 및 상기 접지와 각각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의 상기 디지털 출력 사이에 배치된 저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헤드셋을 착용한 사람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 의도된 하나의 디지털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48. 제 34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는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를 상기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의도된 팁 링 링 슬리브 4-핀 3.5 mm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바이스.
KR1020157026002A 2013-02-22 2013-02-22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KR101835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3/000594 WO2014128520A1 (en) 2013-02-22 2013-02-22 Headphone or headset and audio producing device to which the headphone or headset is intended to be connect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851A true KR20150123851A (ko) 2015-11-04
KR101835191B1 KR101835191B1 (ko) 2018-03-06

Family

ID=4832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002A KR101835191B1 (ko) 2013-02-22 2013-02-22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07113A1 (ko)
EP (1) EP2959694B1 (ko)
KR (1) KR101835191B1 (ko)
CN (1) CN105144745A (ko)
HK (1) HK1218678A1 (ko)
WO (1) WO20141285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87A1 (ko) * 2016-08-12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3403B2 (en) * 2014-10-31 2019-08-06 Aeris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connected vehicle subsequent owner enrollment process
JP2019208128A (ja) * 2018-05-29 2019-12-05 ヤマハ株式会社 信号伝送回路及び信号伝送方法
FR3084489B1 (fr) * 2018-07-26 2020-09-11 Etat Francais Represente Par Le Delegue General Pour Larmement Procede de detection d’au moins un equipement informatique compromis au sein d’un systeme d’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187A (ja) * 2002-06-12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
IL154234A (en) 2003-01-30 2010-12-30 Mosai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c power on local telephone lines
JP4698213B2 (ja) * 2004-12-09 2011-06-0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遠隔再生システム
US7865169B2 (en) * 2006-11-07 2011-01-04 Ibeden company, Ltd. Multiple access apparatus and method using power line
US20080219391A1 (en) * 2007-03-07 2008-09-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 Clock Signal
US20080247570A1 (en) * 2007-04-03 2008-10-09 Giga-Byte Technology Co., Ltd. Sound output device with earphone mode and speaker mode
US7961895B2 (en) * 2007-05-15 2011-06-14 Fortemedia, Inc. Audio interface device and method
US20080298607A1 (en) * 2007-05-30 2008-12-04 Fortemedia, Inc. Audio interface device and method
US8180470B2 (en) * 2008-07-31 2012-05-15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ine alignment of analog and digital signal pathways
US8396196B2 (en) * 2009-05-08 2013-03-12 Apple Inc. Transfer of multiple microphone signals to an audio host device
US8498428B2 (en) * 2010-08-26 2013-07-30 Plantronics, Inc. Fully integrated small stereo headset having in-ear ear buds and wireless connectability to audio source
US8483401B2 (en) * 2010-10-08 2013-07-09 Plantronics, Inc. Wired noise cancelling stereo headset with separate control box
DE102011104268A1 (de) 2011-06-15 2012-12-20 Austriamicrosystems Ag Kopfhörer, Audiogerät, Audiosystem und Verfahren zur Signalübertragung
US9094767B2 (en) * 2011-08-18 2015-07-28 Logitech Europe S.A. Headset plug universal auto switcher
US9191728B2 (en) * 2011-10-04 2015-11-17 Sagar C. Savant Headphone power system using high frequency signal conversion
US8581661B2 (en) * 2011-10-24 2013-11-12 Conexant Systems, Inc. Audio programmable gain amplifier with automatic reconfiguration
US20130108068A1 (en) * 2011-10-27 2013-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eadset with two-way multiplexed communication
US9049515B2 (en) * 2012-10-08 2015-06-02 Keith Allen Clow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687A1 (ko) * 2016-08-12 201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18152A (ko) * 2016-08-12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34076B2 (en) 2016-08-12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9694A1 (en) 2015-12-30
KR101835191B1 (ko) 2018-03-06
HK1218678A1 (zh) 2017-03-03
EP2959694B1 (en) 2017-12-27
WO2014128520A1 (en) 2014-08-28
US20160007113A1 (en) 2016-01-07
CN105144745A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8972B2 (ja) モニタ機能を有する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
US9398381B2 (en) Hearing instrument
CN106664498B (zh) 用于产生与音频传输功能相关的头的人造耳装置及其相关方法
US9466281B2 (en) ANC noise active control audio headset with prevention of the effects of a saturation of the feedback microphone signal
JP4975277B2 (ja) ノイズ低減ヘッドセット
US20160316291A1 (en) Low-latency multi-driver adaptive noise canceling (anc) system for a personal audio device
JP5944342B2 (ja) ボイスコイルチャンネル及び個別増幅テレコイルチャンネルをもつオーディオ装置
US20150296297A1 (en) Anc active noise control audio headset with reduction of the electrical hiss
CN102404658A (zh) 头戴式消噪耳机及消噪耳罩
KR101835191B1 (ko) 헤드폰 또는 헤드셋, 및 헤드폰 또는 헤드셋이 접속되도록 의도된 오디오 생성 디바이스
US20180249277A1 (en) Method of Stereophonic Recording and Binaural Earphone Unit
CN109688513A (zh) 无线主动降噪耳机及双主动降噪耳机通话数据处理方法
WO2016041949A1 (en) Microphone system with monitor sound
KR20150065809A (ko)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41906A1 (en) Communication Headset Processing Multiple Audio Inputs
CN110149573B (zh) 一种电子设备
KR20160100648A (ko)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의 anc
CN102238452A (zh) 一种在免提耳机中主动抗噪声的方法及免提耳机
US20110058696A1 (en) Advanced low-power talk-through system and method
US20180025719A1 (en) Low-Power-Consumption Active Noise-Reduction In-Ear Music Earphone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CN109089184A (zh) 一种头戴式拾音降噪通讯耳机
KR101529253B1 (ko)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CN217591094U (zh) 助听器
JP2015188177A (ja) 聴力補助装置、およびそのマイクロフォン付きイヤフォン
CN108200498A (zh) 一种带拾音功能的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