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809A -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809A
KR20150065809A KR1020157011342A KR20157011342A KR20150065809A KR 20150065809 A KR20150065809 A KR 20150065809A KR 1020157011342 A KR1020157011342 A KR 1020157011342A KR 20157011342 A KR20157011342 A KR 20157011342A KR 20150065809 A KR20150065809 A KR 2015006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phone
binaural
processing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550B1 (ko
Inventor
안소니 존 실턴
Original Assignee
울프슨 다이나믹 히어링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프슨 다이나믹 히어링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울프슨 다이나믹 히어링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06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2Binau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7Circuits for combin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04R25/453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electro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시스템(202)이 개시된다. 제1 스피커(210)와 제2 스피커(220)는 각각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되며, 각각의 제1 음향 신호 및 제2 음향 신호를 이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전달한다. 제1 마이크로폰(212)과 제2 마이크로폰(222)은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각각 장착된다.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이들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마이크로폰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음향 신호들을 결정한다.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 양쪽 모두로부터 떨어져 동작한다. 스피커들, 마이크로폰들 및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신호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다.

Description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BINAURAL HEARING SYSTEM AND METHOD}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2년 10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10,24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미국 가특허 출원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들 또는 다른 이러한 트랜스듀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의 디지털 처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바이노럴 보청기들(binaural hearing aids)과 같은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을 위한 신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각각의 귀에 하나씩 2개의 별개의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들은, 사운드 명료성, 지각된 동적 범위, 음성 지각 및 "자연(natural)" 사운드의 면에서, 단일의 음향 신호가 단일의 귀에 전달되는 모노럴 시스템들(monaural systems)보다 양호한 성능을 제공한다. 바이노럴 시스템들은 스테레오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청력 손실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해, 바이노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음향 신호는, 오디오그램에 의해 통상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이, 이 신호가 전달되고 있는 귀의 요구에 최상으로 충족되도록 고유하게 맞춤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바이노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음향 신호는 일반적으로 모노럴 시스템에 대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볼륨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청취에 더 적은 스트레스를 준다.
도 1은, 사용자의 각각의 귀에 하나씩 2개의 보청기(102, 104)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바이노럴 시스템을 도시한다. 귀 레벨(ear level) 마이크로폰들과 스피커들에 의해 스테레오 보청기 기능이 달성된다. 단순한 형태에서, 각각의 귀에서의 DSP 처리는 독립적이다. 최상의 성능을 위해, 바이노럴 시스템들은 각각의 귀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2개의 모노럴 디바이스들을 단순히 포함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한쪽 귀에 대해 바이노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각각의 음향 신호는, 다른 귀로부터 도출되거나 다른 귀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또한 고려하는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처리는 본 명세서에서 "통합" 바이노럴 처리로 지칭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은 상당히 더 큰 복잡도를 요구하고, 어느 디바이스에도 장착될 수 있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각각의 디바이스에서의 하나의 이러한 프로세서에 의한 통합 처리를 위해, 예를 들어 양쪽 귀들에서의 신호와 환경 파라미터들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수집을 요구한다.
각각의 귀에 스피커를 갖지만 각각의 귀에서 마이크로폰 정보를 모으지 않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다수의 단점들을 겪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전화 헤드셋은 각각의 귀에 스피커들을 갖고, 사용자의 입, 뺨 또는 후두 근처에 붐-장착 또는 와이어-장착 마이크로폰을 가지며, 헤드셋으로부터, 모바일 전화기,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전화기 베이스일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로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폰 신호는 잡음 감소와 같은 다양한 신호 처리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분석될 수 있지만, 귀로부터 원위에(distal) 있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면,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효과적인 보청기 성능을 제공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모노 채널을 제공하며, 어떠한 방향성 단서(directional cues)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통합 바이노럴 처리는 단일의 마이크로폰만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없다. 유사하게,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스테레오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각각의 귀에 2개의 별개의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지만, 이들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귀에 대한 음향 신호가 그 귀로부터 그리고 다른 귀로부터 도출되거나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고려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각각의 귀에 있거나 그 근위에(proximal) 있는 마이크로폰을 제공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통합 바이노럴 신호 처리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문헌들, 동작들, 자료들, 디바이스들, 물품들 등의 임의의 논의는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콘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이들 사안들의 전부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은 종래 기술 베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본원의 각각의 청구항의 우선일 이전에 존재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상식이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서 취해져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포함하다(comprise)"라는 단어, 또는 "포함하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변형들은, 임의의 다른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들,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의 배제가 아니라, 기술된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들,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의 포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되며, 각각의 제1 음향 신호 및 제2 음향 신호를 이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전달하도록 각각 구성된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되도록 각각 구성된 제1 마이크로폰과 제2 마이크로폰; 및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로부터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음향 신호들을 정의하기 위한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 -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부터 원위에 있을 때에 동작가능함 -
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스피커들과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과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신호들을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로부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 그리고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스피커들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신호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사용자의 좌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1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2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가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부터 원위에 있을 때에 동작가능함 -; 및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각각 장착된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각각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및 제2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 각각의 제1 및 제2 음향 신호들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가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절차를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2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이들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의 좌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1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2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가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부터 원위에 있을 때에 동작가능함 -; 및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각각 장착된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각각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및 제2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 각각의 제1 및 제2 음향 신호들을 전달하는 단계
의 수행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바이노럴 신호 처리는 보청기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바이노럴 신호 처리는 ALD(assisted listening device) 또는 PSAP(personal sound amplifier product)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바이노럴 신호 처리는 바이노럴 전화 헤드셋, 오디오 재생 기능 또는 오디오 기록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피커들과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과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를 접속시키는 신호 네트워크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와이어 버스(single wire bus)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미 흔한 소비자 헤드폰 와이어들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데 있어서 특히 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스마트폰은 산업 표준 3.5mm 잭을 통해 적합한 헤드셋에 접속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피커들과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과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와이어 버스를 따라 함께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chained), 신호 네트워크를 완성한다.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마스터로서 동작하고, 버스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클록 검색을 위해 버스 상에서 마스터 클록 신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네트워크는, 시분할 다중화된 채널들과 같이, 복수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지원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록 신호 및 신호 데이터는 버스 상의 단일 심볼 스트림으로 임베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스피커들은 네트워크 체인에서 버스 마스터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은 네트워크 체인에서 제1 및 제2 스피커들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제1 및 제2 스피커들로 제1 및 제2 출력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슬롯들은, 다음에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이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데 이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해질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인 체인 방식 연결 순서가 제공될 수 있다.
전화 헤드셋은 이어 컵들(ear cups)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전체 크래들(over-the-head cradle), 스피커들을 장착하기 위한 귀 전체 몰드들(over-the-ear moulds)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지지되지 않는 이어 버드들(unsupported ear buds)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e-리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폰들과 제1 및 제2 스피커들은 바람직하게는 헤드셋 상에 장착된다. 이 헤드셋은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에 대한 유선 접속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무선 접속을 이용할 수 있다. 헤드셋과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은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시스템 성능을 위해 낮은 레이턴시(low latency)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한쪽 귀 또는 양쪽 귀에 하나보다 많은 마이크로폰이 제공된다.
마이크로폰들은 외이도 외부에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한쪽 귀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된 사운드를 배타적으로 이용하여, 그 귀에 전달될 음향 신호를 결정함으로써, 각각의 귀에 하나씩 2개의 독립적인 보청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양쪽 귀에서 캡처된 사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귀에 전달될 음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2개의 보청기를 바이노럴적으로 통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종래의 바이노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서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단일 와이어 신호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4는 스마트폰 내에서의 DSP 처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202)가 단일 와이어 신호 네트워크에서 2개의 스피커(210, 220) 및 2개의 마이크로폰(212, 222)과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다. 스피커들 및 마이크로폰들은, 사용 중에 있을 때에 사용자의 귀의 근위에 하나의 스피커 및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유선 헤드셋으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을 캡처하기 위해서 또는 다른 위치들에서 부가적인 신호들을 캡처하기 위해서 더 많은 마이크로폰(예를 들어, 230, 232, 234)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어피스들(earpieces) 상에 위치한 부가적인 마이크로폰들은 외이도 외부에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의 신호들은 신호 네트워크(도 3)를 통해 프로세서(240)로 전달된다. 표준 3.5mm 잭(250) 및 헤드셋 와이어는, 전기 접지 기준, 및 요구에 따라 스피커들 및 마이크로폰들에 대한 전력과 함께, 2개 및 6개의 마이크로폰(212, 222, 230, 232, 234 등) 사이에 데이터를 운반한다.
도 3에 신호 네트워크 버스가 도시되어 있다. 버스 상의 낮은 레이턴시는 전체 처리 지연 및 피드백 소거(feedback cancellation)에 있어서 중요하다.
바이노럴 처리는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이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핸드셋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이 기능을 위해 태블릿 컴퓨터 또는 e-리더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바이노럴 처리는 바이노럴 보청기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귀의 부근으로부터 캡처된 신호들은 사용자-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 및 증폭된 다음, 바이노럴 스피커들(210, 220)을 통해 전달되는데, 이는 스테레오 효과 및 방향성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핸드셋에서 수행된 보청기 처리는 구성가능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240) 상에서 실행되는 앱들의 제어 하에 있다. 앱들은 사용자-특정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요구될 때에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앱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240)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재생 및 전화에 대해 적절한 증폭 및/또는 처리가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 DSP(240)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가 수행된다. DSP(240)는, 방향성 마이크로폰들(귀마다 2개의 마이크를 가짐), 피드백 소거, 잡음 감소 및 압축과 같이, 양쪽 귀들에 대해 표준 보청기 처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보청기 처리는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오디오 재생 및 전화 통화 중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모드가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234)을 갖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대화하고 있는 사람을 향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내미는 것에 의해 관심있는 사운드 소스 가까이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마이크로폰(234)으로부터의 신호는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에 의해 처리되어, 바이노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모드가 또한 제공된다. 이 제3 모드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마이크로폰 또는 액세서리 마이크로폰과 같은 외부 마이크로폰(도시되지 않음)이 이용되고, 수행될 바이노럴 처리의 부분으로서 외부 마이크로폰 신호를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제4 동작 모드는, 마이크들(212, 222)에 의해 각각의 귀에서 획득되는 검출된 잡음 신호들에 기초하여, 스피커들(210, 220)을 통한 주변 잡음 소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귀 레벨에서의 마이크들(212, 222)의 위치는 주변 잡음 소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오디오 처리를 스마트폰으로 시프트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귀-장착 디바이스들 상에 전부 제공될 수 있는 단순한 토글 스위치들 등과 대조적으로, 정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게 한다.
제2 내지 제4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커맨드들을 입력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지연은 피드백 소거를 위해 그리고 부정적인 폐쇄 효과(negative occlusion effects)를 회피하기 위해서 최소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헤드셋 장착 마이크로폰들(212, 222)과 스피커들(210, 220)과 보청기 프로세서(240)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해서 단일 와이어 체인 방식 연결 버스(single wire chained bus) 및 펄스 길이 변조 스킴을 이용한다.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인해, 데이터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의해 복구된 다음, 동일한 디바이스에 의해 버스 상에 재변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심볼 기간(symbol period)을 필요로 하므로, 버스 상에서 디바이스당 하나의 심볼 기간의 버스 레이턴시를 도입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소비 디바이스들(스피커들(210, 220))은 버스 상에서 처음에 있어야 하고, 데이터 생성 디바이스들(마이크로폰들(212, 222))은 버스 상에서 마지막에 있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신호 네트워크가 적합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가 귀 레벨에서 바이노럴적으로 캡처된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240)에서 처리된다. 이것은, 원위의 마이크로폰들이 이용되는 경우의 낮은 성능이 아니라 보청기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이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호 처리를 증대시키고/시키거나 바이노럴 통합을 전달하기 위해서 양쪽 귀로부터의 정보를 결합하는 적합한 알고리즘들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광범위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형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바이노럴 신호 처리(binaural signal processing)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proximal) 장착되며, 각각의 제1 음향 신호 및 제2 음향 신호를 상기 좌측 귀 및 상기 우측 귀에 전달하도록 각각 구성된 제1 스피커와 제2 스피커;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되도록 각각 구성된 제1 마이크로폰과 제2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상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향 신호 및 제2 음향 신호를 정의하기 위한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 -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부터 원위에(distal) 있을 때에 동작가능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와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신호들을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 그리고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스피커들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신호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보청기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의 것인,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ALD(assisted listening device) 또는 PSAP(personal sound amplifier product)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의 것인,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이노럴 전화 헤드셋, 오디오 재생 기능 또는 오디오 기록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때의 것인,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네트워크는 단일 와이어 버스(single wire bus)를 포함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와이어 버스는 표준 잭에 의해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와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과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단일 와이어 버스를 따라 함께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chained), 상기 신호 네트워크를 완성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마스터로서 동작하고, 상기 버스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클록 검색을 위해 상기 버스 상에서 마스터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네트워크는, 복수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지원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는 네트워크 체인에서 상기 버스 마스터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 및 제2 마이크로폰은 상기 네트워크 체인에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e-리더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귀 또는 양쪽 귀에 하나보다 많은 마이크로폰이 제공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귀에서 캡처된 사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귀에 전달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2개의 보청기를 바이노럴적으로 통합하게 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시스템.
  14.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좌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1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2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가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신호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신호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부터 원위에 있을 때에 동작가능함 -; 및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각각 장착된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각각 상기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 각각의 제1 음향 신호 및 제2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노럴 신호 처리 방법.
  15. 바이노럴 신호 처리를 위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의 좌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1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1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우측 귀의 근위에 장착된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2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가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신호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폰 신호 및 제2 마이크로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부터 원위에 있을 때에 동작가능함 -; 및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의 근위에 각각 장착된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각각 상기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바이노럴 처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좌측 귀 및 우측 귀로 각각의 제1 음향 신호 및 제2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의 수행을 야기시키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57011342A 2012-10-05 2013-10-04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10248P 2012-10-05 2012-10-05
US61/710,248 2012-10-05
PCT/AU2013/001142 WO2014053024A1 (en) 2012-10-05 2013-10-04 Binaural hear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809A true KR20150065809A (ko) 2015-06-15
KR102011550B1 KR102011550B1 (ko) 2019-08-16

Family

ID=5043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342A KR102011550B1 (ko) 2012-10-05 2013-10-04 바이노럴 청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906874B2 (ko)
EP (1) EP2901712B1 (ko)
JP (1) JP6421120B2 (ko)
KR (1) KR102011550B1 (ko)
CN (1) CN104704856A (ko)
WO (1) WO2014053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4856A (zh) * 2012-10-05 2015-06-10 欧胜软件方案公司 双耳听力系统和方法
KR101595270B1 (ko) * 2014-08-18 2016-02-18 해보라 주식회사 유무선 이어셋
CN107431869B (zh) * 2015-04-02 2020-01-14 西万拓私人有限公司 听力装置
JP6360633B2 (ja) * 2015-09-09 2018-07-18 サウンドブリッジ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イヤーカナルマイクを内蔵するブルートゥースイヤーセットとその制御方法
WO2017143067A1 (en) 2016-02-19 2017-08-2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ound capture for mobile devices
US11722821B2 (en) 2016-02-19 2023-08-0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ound capture for mobile devices
US9838787B1 (en) * 2016-06-06 2017-12-05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WO2018083570A1 (en) * 2016-11-02 2018-05-11 Chears Technology Company Limited Intelligent hearing aid
CN106817490A (zh) * 2017-01-12 2017-06-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和声音播放方法
DE102017207581A1 (de) * 2017-05-05 2018-11-08 Sivantos Pte. Ltd. Hörsystem sowie Hörvorrichtung
CN107426643B (zh) * 2017-07-31 2019-08-23 歌尔股份有限公司 上行降噪耳机
CN110996238B (zh) * 2019-12-17 2022-02-01 杨伟锋 双耳同步信号处理助听系统及方法
CN111800704B (zh) * 2020-08-07 2022-10-25 深圳市科奈信科技有限公司 双耳机音效均衡调节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522A (en) * 1993-09-17 1995-12-26 Audiologic, Inc. Binaural hearing aid
US20040116151A1 (en) * 2002-10-08 2004-06-17 Bosch Jozef J.G. Digital system bus for use in low power instruments such as hearing aids and listening devices
US20120215519A1 (en) * 2011-02-23 2012-08-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patially selective audio augm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1015B2 (en) * 2005-07-14 2009-08-04 Perception Digital Limited Personal audio player
WO2007017809A1 (en) * 2005-08-05 2007-0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for and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data
US20090076636A1 (en) 2007-09-13 2009-03-19 Bionica Corporatio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CN102187690A (zh) * 2008-10-14 2011-09-14 唯听助听器公司 在助听器系统中转换双耳立体声的方法以及助听器系统
US20120183164A1 (en) 2011-01-19 2012-07-19 Apple Inc. Social network for sharing a hearing aid setting
US9613028B2 (en) 2011-01-19 2017-04-04 Apple Inc. Remotely updating a hearing and profile
US8526649B2 (en) 2011-02-17 2013-09-03 Apple Inc.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US8781836B2 (en) 2011-02-22 2014-07-15 Apple Inc. Hearing assistance system for providing consistent human speech
GB2499699A (en) 2011-12-14 2013-08-28 Wolfson Ltd Digital data transmission involving the position of and duration of data pulses within transfer periods
US8831255B2 (en) * 2012-03-08 2014-09-09 Disney Enterprises, Inc. Augmented reality (AR) audio with position and action triggered virtual sound effects
EP2873251B1 (en) * 2012-07-13 2018-11-07 Razer (Asia-Pacific) Pte. Ltd. An audio signal output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9288584B2 (en) * 2012-09-25 2016-03-15 Gn Resound A/S Hearing aid for providing phone signals
CN104704856A (zh) * 2012-10-05 2015-06-10 欧胜软件方案公司 双耳听力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522A (en) * 1993-09-17 1995-12-26 Audiologic, Inc. Binaural hearing aid
US20040116151A1 (en) * 2002-10-08 2004-06-17 Bosch Jozef J.G. Digital system bus for use in low power instruments such as hearing aids and listening devices
US20120215519A1 (en) * 2011-02-23 2012-08-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patially selective audio augme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3024A1 (en) 2014-04-10
EP2901712A1 (en) 2015-08-05
EP2901712B1 (en) 2018-12-05
US20150256950A1 (en) 2015-09-10
CN104704856A (zh) 2015-06-10
JP2015534397A (ja) 2015-11-26
US9906874B2 (en) 2018-02-27
JP6421120B2 (ja) 2018-11-07
EP2901712A4 (en) 2016-06-08
US20180103329A1 (en) 2018-04-12
KR102011550B1 (ko) 2019-08-16
US10171923B2 (en)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923B2 (en) Binaural hearing system and method
JP6850954B2 (ja) 補聴装置との間のストリーミング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98381B2 (en) Hearing instrument
US9071900B2 (en) Multi-channel recording
JP5526042B2 (ja) 音響システム及びサウンドを提供する方法
US10499183B2 (en)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multiple individual wireless earbuds for a common audio source
US10334366B2 (en) Audio playback device
US20170295419A1 (en) Microphone system with monitor sound
US20180249277A1 (en) Method of Stereophonic Recording and Binaural Earphone Unit
JP2017527148A (ja) 音質改善のための方法及びヘッドセット
KR10145001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마트 사용자 보조 장치
WO2012114155A1 (en) A transducer apparatus with in-ear microphone
US20190347062A1 (en) Sound Enhancement Adapter
US20090196443A1 (en) Wireless earphone system with hearing aid function
EP3072314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CN201854433U (zh) 一种能相互间协作输出音频的手机
JP7052300B2 (ja) 音響出力装置
CN113228706A (zh) 扬声器系统、声音处理装置、声音处理方法以及程序
CN210007892U (zh) 助听耳机
US20240048888A1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and related process
EP4203514A2 (en)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hearing device and method to operate a hearing aid system
TWI420914B (zh) 耳機以及使用該耳機的音頻播放系統
KR20170018554A (ko) 소리 필터링 시스템
Einhorn Modern hearing aid technology—A user's critique
TWM509493U (zh) 藍牙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