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646A -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646A
KR20150123646A KR1020140050309A KR20140050309A KR20150123646A KR 20150123646 A KR20150123646 A KR 20150123646A KR 1020140050309 A KR1020140050309 A KR 1020140050309A KR 20140050309 A KR20140050309 A KR 20140050309A KR 20150123646 A KR20150123646 A KR 2015012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ing
mobile device
illumin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윤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3646A/ko
Publication of KR2015012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로 차량의 점등을 요청할 경우, 모바일 기기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차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은, 자신의 좌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다수의 조명을 구비하고, 자신의 현재 좌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조명에 대한 점등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조명을 점등하는 차량;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및 차량의 각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점등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VEHICLE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본 발명은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로 차량의 점등을 요청할 경우, 모바일 기기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차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현재 차량은 단순한 운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중 차량용 조명 장치의 경우 안전성 및 편의성과 직결된다.
차량 사고의 약 40%는 심야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조명 환경이 제한적인 곳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또한, 운전중 발생하는 사고뿐만 아니라, 야간 또는 어두운 장소에 주차된 차량에 접근시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용 조명은 실내에만 작동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만 작동이 가능하다. 이는 주차된 차량에 접근시에는 사용을 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램프, 손전등을 이용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802254에 개시된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차량에 가까이 갈 때, 차량의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각 조명 장치들 중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 통신기와 가까운 조명 장치를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802254의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조명이 센서, 통신 장치 등을 별도로 구비하므로 비용이 커지고, 상기 각 조명의 중첩되는 통신 영역은 조명이 동시에 켜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조명에 대한 응답 신호와 요청기호를 이동 통신기와 송수신하므로, 조명을 작동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며, 차량과 이동 통신기간의 거리가 통신 범위를 넘어설 경우 조명의 작동이 불가능하며,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조명을 점등하므로 거리의 제약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802254 (공고일 : 2008.02.1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시 차량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의 각각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차량의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차량의 주차된 위치 확인 및 주변 환경을 밝게 하기 위해 차량과의 거리와 상관없이 조명을 점등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은, 자신의 좌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다수의 조명을 구비하고, 자신의 현재 좌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조명에 대한 점등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조명을 점등하는 차량;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및 차량의 각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점등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은, 자신의 좌표정보 및 진북에 대한 방향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좌표정보 및 방향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조명 점등신호를 수신받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조명의 점등신호에 따라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의 점등 요청 신호,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좌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상기 차량 조명의 점등신호를 송신하는 제3통신부;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진북에 대한 자신의 방향이 회전된 만큼 조명의 각을 보정하여 상기 진북에 대한 상기 보정된 조명의 각과 상기 모바일 기기의 각도 차를 계산해서 점등할 조명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차량의 점등 요청 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ID를 기 저장된 ID목록에서 확인하여 승인하는 단계; 상기 승인 완료 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자신의 좌표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요청된 차량이 자신의 좌표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조명 중 상기 모바일 기기와 가장 가까운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조명 점등신호에 대응하는 조명을 점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가 진북에 대한 차량의 방향이 회전된 만큼 기 설정된 차량의 기준각에 대응하는 조명의 각을 더하는 보정을 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조명의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각 조명의 좌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하여 검출된 차량 및 모바일 기기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통해 조명 점등 신호만을 전송받아 차량의 조명을 점등하므로, 조명을 점등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과 모바일 기기가 직접 통신하는 방식이 아닌 서버를 통해 그 각각이 정보를 주고 받으므로, 차량과 모바일 기기간 거리의 제약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점등을 위한 신호 생성 및 차량에 근접한 조명의 위치 보정 및 선택을 위한 처리를 서버에서 수행하므로,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정면방향 각도에 따른 조명 보정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은 차량(100), 모바일 기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100)에는 전, 후, 좌, 우에 다수 개의 조명(110)이 구비된다. 상기 조명(110)은 야간 또는 어두운 지역에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110)은 충분한 밝기를 확보하기 위해 헤드라이트와 같거나 비슷한 룩스(Lux)의 조명을 사용한다.
상기 조명(110)은 점등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0)의 전면 양끝과, 후면의 양끝 그리고 좌우 문의 일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된다. 상기 조명(110)의 설치 위치는 사용자(20)의 위치에 따라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적절히 설치하되, 그 위치와 개수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100)은 제1통신부(101), 제1검출부(102), 조명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검출부(102)는 차량(100)의 좌표와 방향각을 검출한다. 상기 차량(100) 내부의 GPS 모듈(미도시)이 차량(100)의 현재 좌표(X1, Y1)를 검출하고, 방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방향각을 검출한다. 상기 좌표(X1, Y1)는 모바일 기기(200)에 의해 점등 요청 신호가 전송이 된 이후에 검출되며,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각은 진북방향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차량(100)의 정면방향과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방향각은 차량(100)의 조명(110) 각을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제1통신부(101)는 상기 검출된 차량(100)의 좌표(X1, Y1)와 방향각을 후술하는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300)로부터 차량(100)의 조명(110) 점등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러한 제1통신부(101)는 상기 전송을 위해 3G/4G(LTE) 또는 WIFI와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200)는 입력부(201), 제2검출부(202), 제2통신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200)는 전화통화가 가능한 휴대폰, 태블릿 PC 등 인터넷이 가능한 포터블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201)는 사용자(20)에 의해 차량(110) 조명(110)의 점등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부(201)는 별도의 터치-디스플레이 또는 입력버튼과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20)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점등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 기기(100)는 기기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ID(Identification)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점등 요청 신호를 전송한 모바일 기기(100) ID를 확인하여, 상기 서버(300)에 ID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제2검출부(202)는 모바일 기기(200)의 좌표를 검출한다. 즉, 차량(100)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기기(200)내부의 GPS 모듈이 현재 좌표(X2,Y2)를 검출한다. 상기 좌표(X2,Y2)는 차량(100)에 상기 모바일 기기(200)의 승인이 완료된 이후에 검출되며,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200)의 이동으로 인해 좌표(X2,Y2) 가 바뀔 경우 갱신된다. 상기 차량(100)은 좌표(X2,Y2)와 함께 상기 차량(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각 조명(110)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여 좌표정보를 구성한다.
제2통신부(203)는 상기 검출된 모바일 기기(200)의 좌표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200)는 상기 차량(100)의 조명(110) 점등 결과를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버(300)는 제3통신부(301), 신호생성부(302), 제어부(3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통신부(301)는 상기 차량(200)과 모바일 기기(200)와 무선망(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조명(110)의 점등 요청 신호와 상기 차량(100) 및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좌표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조명(110)의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를 상기 차량(200)에 전송한다.
신호생성부(302)는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200)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100)의 좌표(X1, Y1)에 대응하는 각 조명(110)의 위치와 모바일 기기(200)와의 좌표(X2,Y2) 간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차량(100)의 조명(110) 중 상기 모바일 기기(200)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조명(110)에 해당하는 점등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차량(100)은 좌표정보 이외에 방향 정보를 포함하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의 좌표정보 이외에 방위 센서를 이용하여 진북방향 대한 상기 차량(100)의 정면방향이 이루는 방향각을 검출하여 서버(300)에 전송하면, 이를 서버(300)의 제어부(303)가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303)는 상기 검출된 차량의 방향각을 기 설정된 기준각과 비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북방향과 정면방향이 이루는 각을 0°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차량(100)의 각 조명(110)들은 상기 진북방향을 기준으로 대칭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진북방향과 정면방향이 이루는 기준각과 각 조명(110)간의 간격은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진북방향을 기점으로 방향각이 차이가 나면 상기 서버(300)의 제어부(303)가 상기 차량(100)의 각 조명(110) 위치를 상기 진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이가 나는 방향각만큼 각을 보정한다. 즉, 상기 보정은 상기 진북방향을 기점으로 특정 방향을 향해 회전된 상기 차량(100)의 방향각만큼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각에 대응하는 상기 각 조명(110) 각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차량(100)에 대응되는 각 조명(100) 위치의 보정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상기 차량(100)은 자신이 위치한 현재 방향각을 반영하지 않고 상기 조명(110)을 점등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각 조명(110)의 각을 변경하는 보정을 실시한다.
상기 보정된 값은 상기 차량(100)의 좌표(X1, Y1)와 모바일 기기(200)의 좌표(X2,Y2)의 방향 및 거리 계산시 상기 차량(100)의 좌표(X1, Y1)에 대응하는 조명(110)의 위치정보에 반영되어, 사용자(20)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200)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조명(110)을 점등하기 위한 실제 차량(100)의 방향각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조명(110)의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정면방향 각도에 따른 조명 보정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는 진북방향과 차량(100)의 정면방향 α의 각도 차가 0°일 때를 나타낸다.
도 5(b)는 진북방향을 기점으로 차량(100)의 각도가 동쪽으로 회전한 경우를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진북방향과 상기 차량(100)의 정면방향 β이 이루는 각도가 동쪽으로 45°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차량(100)의 정면방향 α가 정면방향 β만큼 회전하였으므로, 상기 차량(110)의 정면방향 α에 대응하는 각 조명(110)의 위치를 45°만큼 회전시킨다.
즉, 도 5(b)의 조명(110) L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진북방향과 상기 차량(100)이 이루는 각도 0°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100)의 조명(110) L1의 각도 X를 현재 회전된 차량(100)의 각도 45°만큼 더한다. 이때, 상기 조명(110) L1의 각도 X는 상기 각의 보정 후 X′으로 변경된다. 상기 보정된 각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100) 좌표 (X1, Y1)에 대응하는 각 조명(110)의 좌표가 변경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방법의 실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20)가 모바일 기기(200)의 입력부(201)를 조작하여 차량(100)의 점등 요청 신호를 서버(300)에 전송한다(S10). 상기 서버(300)는 상기 모바일 기기(200)의 ID를 확인하고, 이를 기 저장된 ID목록에서 확인하여 승인한다(S11) 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200)는 자신의 좌표(X2,Y2)를 검출하여 서버(300)에 전송한다(S12). 그 다음, 차량(100)은 자신의 (X1, Y1)를 검출하여 상기 서버(300)에 전송한다(S13).
상기 서버(300)는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200)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100)의 조명(110) 중 상기 모바일 기기(200)와 가장 가까운 조명(110)의 점등신호를 생성한다(S14). 상기 서버(300)는 점등신호를 차량(100)에 전송하고 차량(100) 상기 점등신호를 통해 해당되는 조명(110)을 점등한다(S15).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300)가 차량(100)의 조명(110)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100)의 좌표정보 및 진북방향에 대한 방향정보를 검출한다. 즉 상기 차량(100)은 자신의 좌표(X1, Y1) 이외에 방위 센서를 통해 상기 진북방향과 상기 차량(100) 정면방향이 이루는 방위각을 검출한다(S20). 상기 검출된 차량(100)의 좌표정보 및 방향정보는 서버(300)에 전송된다(S21). 서버(300)는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전송된 좌표정보 및 방향정보와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조명(110) 점등 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서버(300)는 방향정보 확인 결과 상기 진북방향과 상기 차량(100)의 정면방향이 이루는 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상기 각의 차이만큼 기 설정된 차량(100)의 기준각에 대응하는 조명(110)의 각을 더하는 보정을 한다(S22). 상기 서버(300)는 상기 보정된 조명(110)의 각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100) 좌표에 대응하는 각 조명(110)의 좌표를 변경하고(S23), 상기 좌표가 변경된 각 조명(110) 중 상기 모바일 기기(200)와 가장 가까운 조명(110)을 선택하여 조명(110) 점등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101 : 제1통신부
102 : 제1검출부 103 : 조명부
110 : 조명 20 : 사용자
200 : 모바일 기기 201 : 입력부
202 : 제2검출부 203 : 제2통신부
300 : 서버 301 : 제3통신부
302 : 신호생성부 303 : 제어부

Claims (5)

  1. 자신의 좌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다수의 조명을 구비하고, 자신의 현재 좌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조명에 대한 점등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조명을 점등하는 차량;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및 차량의 각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점등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자신의 좌표정보 및 진북에 대한 방향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
    상기 좌표정보 및 방향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조명 점등신호를 수신받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조명의 점등신호에 따라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부; 를 포함하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의 점등 요청 신호,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좌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상기 차량 조명의 점등신호를 송신하는 제3통신부;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진북에 대한 자신의 방향이 회전된 만큼 조명의 각을 보정하여 상기 진북에 대한 상기 보정된 조명의 각과 상기 모바일 기기의 각도 차를 계산해서 점등할 조명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4. 상기 모바일 기기가 차량의 점등 요청 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ID를 기 저장된 ID목록에서 확인하여 승인하는 단계;
    상기 승인 완료 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자신의 좌표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 의해 요청된 차량이 자신의 좌표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각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위치한 방향정보 및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조명 중 상기 모바일 기기와 가장 가까운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조명 점등신호에 대응하는 조명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조명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가 진북에 대한 차량의 방향이 회전된 만큼 기 설정된 차량의 기준각에 대응하는 조명의 각을 더하는 보정을 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조명의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좌표정보에 대응하는 각 조명의 좌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방법.
KR1020140050309A 2014-04-25 2014-04-25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309A KR20150123646A (ko) 2014-04-25 2014-04-25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309A KR20150123646A (ko) 2014-04-25 2014-04-25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646A true KR20150123646A (ko) 2015-11-04

Family

ID=5460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309A KR20150123646A (ko) 2014-04-25 2014-04-25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36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0937A (zh) * 2020-03-30 2021-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车灯控制方法和装置
WO2023086429A1 (en) * 2021-11-11 2023-05-19 Argo AI, LLC System and method for mutual discovery in autonomous rideshare between passengers and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0937A (zh) * 2020-03-30 2021-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车灯控制方法和装置
WO2023086429A1 (en) * 2021-11-11 2023-05-19 Argo AI, LLC System and method for mutual discovery in autonomous rideshare between passengers and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870B2 (en) Vehicle
US11247605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configured to project an image on a road surface
JP4788426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US20170139205A1 (en) Head-up display system, head-up display device and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01760025B1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910121B1 (ko) 보행자신호등의 신호정보 안내시스템
US10672365B2 (en) Address location assistan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20150069656A (ko) 가시광 통신 기반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 실내 네비게이션 방법,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내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서버 및 전자 기기
KR20160028140A (ko) 차량용 신호 대기 시간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0188826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50123646A (ko) 사용자 위치 기반 차량 조명 시스템 및 방법
KR101731509B1 (ko) 차량 장착 조도 감지센서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CN102910114A (zh) 车辆鸣笛控制方法及系统
KR101605880B1 (ko) 조명장치
JP2010070058A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US20200361497A1 (en) Identif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use with a delivery service
JP2019185629A (ja) 車高検知装置および車高検知方法
JP2016068897A (ja) 制御システム
KR101485044B1 (ko) 발광 신호 수신 및 광 조사를 통한 차량 위치 알림 장치
JP6288556B2 (ja) 歩行者保護システムおよび歩行者保護プログラム
KR20160012358A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JP6437605B1 (ja) ホームシステムサーバ
KR101509947B1 (ko) 리어 램프 점검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616780B1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KR101756092B1 (ko) 애플리케이션 연동 차량용 초음파 센서 모듈 및 그에 의한 차량 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