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316A -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316A
KR20150123316A KR1020157026936A KR20157026936A KR20150123316A KR 20150123316 A KR20150123316 A KR 20150123316A KR 1020157026936 A KR1020157026936 A KR 1020157026936A KR 20157026936 A KR20157026936 A KR 20157026936A KR 20150123316 A KR20150123316 A KR 2015012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member
joystick
touch scree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972B1 (ko
Inventor
대런 씨. 피터슨
Original Assignee
대런 씨. 피터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런 씨. 피터슨 filed Critical 대런 씨. 피터슨
Publication of KR2015012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조이스틱 기구는 핸들부와, 함께 작동하며 기립 슬리브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을 포함한다. 핸들부는 슬리브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제1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는 제1 자성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자성 부재를 구비하며, 터치스크린의 제2 면에 배치된다. 조이스틱의 베이스부는 터치스크린의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접촉하기 위한 전도성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써 인용되는, 2013년 3월 8일 자로 선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789,787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대체로 컴퓨터 또는 전자 입력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센싱 면을 구비하는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한 최근의 폭발적인 관심은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등으로 옮겨지고 있다. 종래 방식의 키보드를 포함하는 거대한 랩탑(laptops), 부피가 큰 셀룰러 폰 또는 모바일 폰의 시대는 지나갔다. 현대의 셀룰러 폰은, 예를 들어 통신 장치 이상의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스마트폰"으로 알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스마트폰들은 계산 장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금융 거래 장치로서 기능하며, 이전에 다수의 개별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었던 많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한다. 종래 방식의 키패드 또는 키보드는 이제 일반적으로 터치 센싱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로 대체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센싱 디스플레이는 종래 방식의 물리 키보드 대신에 가상 또는 디지털 온스크린(onscreen) 키보드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 스타일러스(stylus), 트레이서(tracer), 또는 몇몇의 다른 기계식 액추에이터, 또는 특수 코팅된 장갑과 같은 다른 물체를 가지고 스크린에 접촉하여 단순 또는 멀티-터치 제스쳐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전자식 영상 디스플레이이다. 다양한 터치스크린 기술들은 현재 접촉을 감지하는 상이한 방법들을 활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저항식(resistive),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용량식(capacitive), 적외선 격자, 적외선 아크릴 투사(infrared acrylic projection), 시각적 이미지, 분산 신호 기술, 음향 펄스 인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형적인 적용 예에서, 시스템은 스크린 상에 표시된 제어부와 접촉 위치에 기반하는 의도되는 명령을 결정한다. 2013년 2월 21일 자로 http://en.wikipedia.org/wiki/Touchscreen 9페이지에 접속하여, 위키피디아 (Wikipedia)의 무료 백과사전에서 "터치스크린"을 인용하였다.
또한, 종래에 조이스틱, 조종 휠, 게임 컨트롤러, 및 다른 유사한 입력 장치들과 같은 다양한 액세서리들을 활용하는 가정용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던 전자 게임들을 실행함에 있어서, 현재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이 온스크린 조이스틱과 같은 가상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지라도, 그러한 방식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 조이스틱과 같은 조종감 또는 완전한 경험이 결여된다. 따라서, 사용자들, 특히 전자 게임의 열성적인 사용자들은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조이스틱과 같은 물리 기계식 액추에이터의 사용에 환영한다.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터치 센싱 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와, 입력 장치들은 미국 특허/공개 번호 4,600,807; 6,606,081B1; 6,903,662B2; 6,950,089B1; 7,391,410B2; 7,924,145B2; 8,138,869B1; 8,143,982B1; 8,143,983B1; 8,199,114B1; 8,242,868B2; 8,310,351B2; 8,330,713B2; 2006/0007179A1; 2006/0256090A1; 2010/0079403A1; 2011/0199325A1; 2011/0248947A1; 2012/0169597A1; 2013/0002571A1; 및 해외/PCT 특허 문헌 DE 102009006153; KR 10-2012-0099902; WO 2012/005463 A2; WO 2012/094198 A1, 및 WO2012/139203 A1에 개시된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및 다른 전자 장치들의 인기를 고려하고, 조이스틱, 슬라이더(slider), 노브(knob), 방향 패드와 같은 외부 입력 장치의 룩-앤드-필(look-and-feel)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에 대한 산업에서 사용자에게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시 실제 물리 액추에이터의 현실적인 룩-앤드-필을 제공하는 요구가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위한 조이스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조이스틱과 같은 외부 액추에이터가 전자 장치의 터치 센싱 면 바로 위에 장착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조이스틱 기구 또는 기계식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구는 요구되는 바와 같이 조이스틱 또는 액추에이터의 신속하고 간편한 대체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조이스틱과 같은 외부 액추에이터가 전자 장치의 터치 센싱 면 바로 위에 장착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조이스틱 기구 또는 기계식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구는 터치 센싱 면 위에서 그것의 위치와, 조이스틱 또는 액추에이터의 신속하고 간편한 연결 또는 분리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조이스틱 기구로서, 핸들부 및 기립 슬리브를 구비하며 함께 작동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을 구비한다. 핸들부는 슬리브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제1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는 제1 자성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자성 부재를 구비하며, 터치스크린의 제2 면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부는 터치스크린의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접촉하기 위한 전도성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과, 외부 기계식 액추에이터와 함께 동작하기 위한 제2 면 상에 배치된 자성 메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면은 전자 장치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조이스틱을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대체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그 위에 장착되는 자성 메쉬를 포함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마련하는 단계;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을 마련하는 단계; 및 자성 부재를 자성 메쉬와 연결하도록 터치스크린 위에서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조이스틱을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제1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을 마련하는 단계;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대체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제2 자성 부재를 포함하며 그 위에 장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마련하는 단계; 및 제1 자성 부재를 제2 자성 부재와 연결하도록 터치스크린 위에서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태블릿, 셀룰라 폰, 패블릿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과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조이스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의 현실적인 룩-앤드-필을 가능케 하는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기구는 요구되는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들 사이에서 간단한 스위칭의 유연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과 새로운 특징과 상술된 양태와 다른 양태 중 하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태블릿과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기계식 액추에이터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의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3과 유사한 부분 분해도이다.
도 5는 기계식 액추에이터(조이스틱) 없이 도시된, 도 2와 유사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5와 유사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MA)는 조이스틱(10)과, 부착 부재(12)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작동 가능한 연결 상태로 기능하도록 구성되고 구조된다. 특히, 부착 부재(12)는 적절한 접착제, 또는 정전기, 전자기, 또는 정자기 전하,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태블릿(T)(도 3)의 터치스크린(TS)의 하면(11)에 장착된다. 이와 관련하여, 조립된 전자 장치에서, 하면(11)이 그 내부를 향하고, 맞은편의 사용자 상호작용 면(13)이 전자 장치의 외부이며 사용자(U)를 향하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부착 부재(12)는 상부 클리어 필름(14)과, 하부 클리어 필름(16)과, 상부 클리어 필름(14) 및 하부 클리어 필름(16) 사이에 개재되며 바람직한 위치에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자성 부재(1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필름들(14 및 16)은 접착제, 또는 정전기, 전자기, 또는 정자기 전하, 또는 몇몇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들(14 및 16)은, 약 0.2 mm 내지 2 mm의 범위, 또는 적용가능한 전자 장치 및/또는 터치스크린의 제조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범위 내에서 두께를 가지며, 가요성이면서도 내구성이 있는 폴리에틸렌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부재(12)의 크기는 터치스크린 하면(11)에 대응하는 크기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부착 부재(12)의 전체 크기를 터치스크린(TS)의 크기보다 작거나 크게 변경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가 아닌 하나의 필름만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조이스틱(10)의 바람직한 구조적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10)은 상부 핸들부(22)와, 함께 동작하는 하부 베이스부(24)를 포함한다. 핸들부(22)는 베이스부(24)의 기립 슬리브(28)와 연결되는 스커트(26)를 포함한다. 스커트(26)와 슬리브(28)의 사이에는 적절한 크기와 형상의 자성 부재(32)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30)가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 스커트(26)와 슬리브(28)의 내부-맞춤(inter-fitting) 구조 및 배치는 변경되거나 역전될 수도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배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에서 슬라이드하는 대신에, 스커트(26)는 슬리브(28) 내측에 끼워진다.
또한, 조이스틱(10)은 바람직하게는 중심이 맞게 베이스부(24)에 배치되는 비전도성 패드(34)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를 포함한다. 비전도성 부재(34)의 두께는, 사용 시 사용자로 하여금 조이스틱(10)을 조종하거나 흔들게 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면(TSS)으로부터 베이스부(24)의 하부 면(25)이 바람직한 거리(0.5 mm 내지 3 mm)를 유지하도록 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전도성 패드(36)의 연속적인( 또는 분할된) 스트립(strip) 또는 이와 같은 것은 베이스부(24)의 하부 면(25)에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전도성 패드(36)는 하부 면(25) 전체를 덮을 수도 있다. 전도성 패드(36)는 전도성 금속 또는 필러(filler)로 도핑된 실리콘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실록산 수지, 및/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이스틱(10)의 높이는 30 mm 내지 60 mm 이다. 조이스틱(10)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U)가 원하는대로 사용자 상호작용 면(13)에 쉽게 접촉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도 1 및 도 2).
상술한 설명과,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로부터, 터치스크린(TS)의 하면에 부착 부재(12)를 장착하고, 자성 부재(18) 위에서 조이스틱(10)을 조작함으로써, 조이스틱(10)이 자성 부재들(18 및 32) 사이의 자기력으로 인해 그 위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성 부재"가 영구 자석, 전자석, 또는 자석에 의하거나 자석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의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MAA)의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나, 자성 부재(18)가 바람직하게는 하부 필름(16)과 터치스크린 하면(11)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적절한 두께 및 설계의 자성 메쉬(38)에 의해 대체되는 점이 다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단일 필름(16)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자성 메쉬(38)는 하부 필름(16)과 터치스크린(TS)의 하면(13)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정전기, 정자기, 전자기 등의 힘과 같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자성 메쉬(38)가 필름(16)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 하면(11)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는 점은 유의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위치로부터 조이스틱(10)을 단순히 이탈시키고, 자성 부재(32)와 자성 메쉬(38) 간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또 다른 위치에 재배치함으로써 터치스크린(TS) 상 임의의 위치에 조이스틱(10)을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터치스크린의 하면(11)에 자성 메쉬(38)를 제공하는 것의 이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태블릿과 함께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텔레비전, 비디오게임 모니터, 비디오게임 콘솔, 게이밍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패블릿(fablet, phablet), 셀폰, 모바일 폰, 스마트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유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순서, 범위, 단계, 단계의 순서, 재료, 구조, 상징, 표시, 그래픽, 색채 구성(들), 형상, 구성, 특징, 구성요소, 또는 설계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핵심적인 특징들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과 이하에 첨부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공지 또는 관습 내에서 온 본 개시로부터의 그러한 출발점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는 본 발명의 변형, 용도, 및/또는 적용이 가능한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참조
이하의 참고 자료와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것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다.
1. 위키피디아 "터치스크린", 무료 백과사전, http://en.wikipedia.org/wiki/Touchscreen 9페이지. 2013년 2월 21일 자로 접속함.

Claims (44)

  1.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결합되는 조이스틱 기구로서,
    핸들부 및 함께 작동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및
    부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기립 슬리브와, 터치스크린의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접촉하기 위한 전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슬리브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제1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자성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자성 부재를 구비하며, 터치스크린의 제2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제2 자성 부재가 내장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제2 자성 부재가 그 사이에 끼워지는 두 개의 필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제2 면에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의 경계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제2 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크기의 클리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제2 면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상기 제1 자성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부재에 대한 미리 결정된 위치는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제2 면보다 크기가 더 작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터치스크린의 경계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자성 메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메쉬는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에 대응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메쉬는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보다 크기가 더 작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 슬리브에는 상기 제1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는 상기 제1 자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7. 제1 항에 있어서,
    제2 면은 대체로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8. 제1 항에 있어서,
    제2 면은 전자 장치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19. 제1 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비디오게임 모니터, 비디오게임 콘솔, 게이밍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패블릿, 셀폰, 모바일 폰, 스마트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20.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및
    외부 기계식 액추에이터와 함께 작동하기 위해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자성 메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전자 장치 내에 배치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메쉬는 대체로 상기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에 대응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메쉬는 상기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보다 크기가 더 작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메쉬는 상기 제1 사용자 상호작용 면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메쉬는 외부 기계식 액추에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외부 기계식 액추에이터에 대해 미리 결정된 위치는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기계식 액추에이터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제26 항에 있어서,
    조이스틱은 핸들부 및 함께 작동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기립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슬리브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사이에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에는 상기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0. 제20 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비디오게임 모니터, 비디오게임 콘솔, 게이밍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패블릿, 셀폰, 모바일 폰, 스마트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기구.
  31.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조이스틱을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대체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그 위에 장착되는 자성 메쉬를 포함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마련하는 단계;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을 마련하는 단계; 및
    자성 부재를 자성 메쉬와 연결하도록 터치스크린 위에서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제2 면은 전자 장치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3. 제32 항에 있어서,
    자성 메쉬는 사용자 상호작용 면에 대응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4. 제32 항에 있어서,
    자성 메쉬는 사용자 상호작용 면보다 크기가 더 작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5. 제32 항에 있어서,
    조이스틱은 핸들부 및 함께 작동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베이스부는 기립 슬리브를 포함하고,
    핸들부는 슬리브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사이에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6. 제35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에는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7. 제35 항에 있어서,
    스커트부에는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8.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조이스틱을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제1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조이스틱을 마련하는 단계;
    사용자 상호작용 면과, 대체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제2 자성 부재를 포함하며 그 위에 장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마련하는 단계; 및
    제1 자성 부재를 제2 자성 부재와 연결하도록 터치스크린 위에서 조이스틱을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39. 제38 항에 있어서,
    제2 면은 전자 장치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40. 제39 항에 있어서,
    제2 자성 부재는 부착 부재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41. 제39 항에 있어서,
    부착 부재는 클리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42. 제39 항에 있어서,
    조이스틱은 핸들부 및 함께 작동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베이스부는 기립 슬리브를 포함하고,
    핸들부는 슬리브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사이에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43. 제42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에는 제1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44. 제42 항에 있어서,
    스커트부에는 제1 자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부착 방법.
KR1020157026936A 2013-03-08 2014-03-02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 KR101734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89,807 2013-03-08
US13/789,807 US9164595B2 (en) 2013-03-08 2013-03-08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PCT/US2014/019756 WO2014137852A1 (en) 2013-03-08 2014-03-02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316A true KR20150123316A (ko) 2015-11-03
KR101734972B1 KR101734972B1 (ko) 2017-05-12

Family

ID=5148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936A KR101734972B1 (ko) 2013-03-08 2014-03-02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4595B2 (ko)
EP (1) EP2965176B1 (ko)
JP (1) JP6006439B2 (ko)
KR (1) KR101734972B1 (ko)
AU (1) AU2014226167B2 (ko)
CA (1) CA2904015C (ko)
WO (1) WO20141378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02A1 (ko) * 2019-04-20 2020-10-29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4595B2 (en) * 2013-03-08 2015-10-20 Darren C. PETERSEN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US9158390B2 (en) * 2013-03-08 2015-10-13 Darren C. PETERSEN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 sensing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40139648A (ko) * 2013-05-27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KR102161565B1 (ko) * 2013-12-18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72719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15365B1 (ko) * 2015-06-02 2018-01-08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입력 장치, 입력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입력 장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DE102015118587A1 (de) * 2015-10-30 2017-05-04 Preh Gmbh Bedienanordnung aus Betätigungsteil mit Eingabefläche und auf der Eingabefläche angeordnetem Drehsteller
JPWO2017094234A1 (ja) * 2015-12-04 2018-09-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と、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US10198074B2 (en) * 2016-02-18 2019-02-05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enabled modular peripheral device assembly
US10077543B2 (en) * 2016-07-01 2018-09-18 Caterpillar Inc. Quick disconnect joystick system and method
US10175884B2 (en) * 2016-08-10 2019-01-0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management for a peripheral interaction devic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ystem
CN206516054U (zh) * 2016-12-22 2017-09-22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摇杆结构及遥控器
WO2019073537A1 (ja) * 2017-10-11 2019-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CN108404403A (zh) * 2018-05-29 2018-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操作手柄及终端设备
EP3861426B1 (en) 2018-10-05 2022-09-28 Razer (Asia-Pacific) Pte. Ltd. Joystick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6532631B1 (ja) * 2018-10-15 2019-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タッチパネル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741713A (zh) * 2020-05-27 2021-12-0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触控操作方法与其触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597A (en) * 1978-05-11 1979-10-30 Regale Enterprises Magnetic pick-up device and marker
DE3011674C2 (de) 1980-03-26 1984-07-26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Tastatur
US4676509A (en) * 1983-10-25 1987-06-30 Bingo Experience/Arc Molded bingo chip with magnetic structure secured therein
CH667925A5 (de) 1984-03-08 1988-11-15 Feinmetall Gmbh Federkontaktstift fuer pruefadapter zum kontaktieren von prueflingen zwecks pruefung auf deren elektrische fehlerfreiheit.
US4600807A (en) 1984-10-26 1986-07-15 Scriptel Corporation Electrographic apparatus
US4600819A (en) 1985-03-08 1986-07-15 Mechanical Enterprises, Inc. Switch assembly
JPH01320521A (ja) * 1988-06-22 1989-12-26 Wacom Co Ltd 電子黒板装置及びその筆記具等
US6285356B1 (en) * 1999-02-19 2001-09-04 Brad A. Armstrong Displacement joystick with compression-sensitive sensors
US6492978B1 (en) * 1998-05-29 2002-12-10 Ncr Corporation Keyscreen
GB2351561B (en) * 1999-06-30 2003-10-22 Nokia Mobile Phones Ltd Joystick controller
US8199114B1 (en) 2000-09-26 2012-06-12 Denny Jaeger Touch sensor control devices
US6606081B1 (en) 2000-09-26 2003-08-12 Denny Jaeger Moveable magnetic devices for electronic graphic displays
US6718673B2 (en) * 2001-06-29 2004-04-13 Raypress Corporation Clean release magn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89007B2 (ja) 2002-04-12 2010-12-01 ヘンリー ケイ. オバーマイヤー, 多軸ジョイスティックおよびそのためのトランスデューサー手段
US6776546B2 (en) * 2002-06-21 2004-08-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keyboard overlay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JP4249706B2 (ja) * 2002-09-09 2009-04-08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タッチスクリーン用入力装置
US6903662B2 (en) * 2002-09-19 2005-06-07 Ergodex Computer input device with individually positionable and programmable input members
US7403191B2 (en) * 2004-01-28 2008-07-22 Microsoft Corporation Tactile overlay for an imaging display
US20060007179A1 (en) * 2004-07-08 2006-01-12 Pekka Pihlaja Multi-functional touch actuation in electronic devices
CN101065721B (zh) 2004-09-27 2010-08-11 Nxp股份有限公司 用于输入设备的磁传感器
US20060256090A1 (en) * 2005-05-12 2006-11-16 Apple Computer, Inc. Mechanical overlay
JP4584782B2 (ja) * 2005-06-21 2010-11-24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キーシート
JP4836050B2 (ja) * 2005-09-15 2011-12-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電子機器用入力システム
JP4921854B2 (ja) * 2006-05-30 2012-04-25 東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型スイッチ装置
JP2008021480A (ja) * 2006-07-12 2008-01-31 Canon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8147929A1 (en) * 2007-05-22 2008-12-04 Qsi Corporation Touch-based input device providing a reconfigurable user interface
KR100896812B1 (ko) * 2007-11-12 2009-05-11 한국과학기술원 자력을 이용한 햅틱 모듈 및 이를 채용하는 전자장치
DE102008040755B4 (de) * 2008-07-25 2011-10-0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Berührungsempfindliche Anzeigevorrichtung mit integriertem mechanischem Bedienelement für Kraftfahrzeuge
US8488069B2 (en) * 2008-08-04 2013-07-16 Casino Technology Ad Electronic display with push buttons
US8462133B2 (en) * 2008-09-29 2013-06-11 Apple Inc. Clickable and tactile buttons for a touch surface
US8939838B2 (en) * 2008-09-30 2015-01-27 Apple Inc. Accessory for playing games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64538B2 (en) * 2008-10-21 2013-10-22 Belkin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overlay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81093B2 (ja) * 2008-12-08 2013-04-10 韓國電子通信研究院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その動作方法
DE102009006153B4 (de) 2009-01-26 2012-03-08 Airbus Operations Gmbh Handgerät zur Kommunikation und Steuerung in einem Flugzeug
US9870021B2 (en) * 2009-04-15 2018-01-16 SeeScan, Inc. Magnetic manual user interface devices
US20110005662A1 (en) * 2009-07-10 2011-01-13 Kuo-Hua Sung Method for Fabricating Multilayer Panels
US8994666B2 (en) * 2009-12-23 2015-03-31 Colin J. Karpfinger Tactile touch-sensing interface system
US8686959B2 (en) 2010-02-16 2014-04-01 Maurice Payne Touch screen multi-control emulator
CN102782624B (zh) * 2010-03-03 2016-03-30 未来奈米科技股份有限公司 静电容式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US8368662B2 (en) * 2010-03-18 2013-02-05 Chris Argiro Actionable-object controller and data-entry attachment for touchscreen-based electronics
US8599162B2 (en) * 2010-03-18 2013-12-03 Chris Argiro Actionable-object controller and data-entry attachment for touchscreen-based electronics
TW201133310A (en) * 2010-03-26 2011-10-01 Applied Vacuum Coating Technologies Co Ltd Integration-type touch panel
US10042480B2 (en) 2010-04-08 2018-08-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user input attachment
US8310351B2 (en) 2010-04-08 2012-11-13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etachable user input attachment
KR101015337B1 (ko) 2010-07-05 2011-02-16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조향 어답터
JP5874159B2 (ja) * 2010-08-31 2016-03-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巻き取ったガラスロール、並び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US8143982B1 (en) 2010-09-17 2012-03-27 Apple Inc. Foldable accessory device
US8390412B2 (en) 2010-09-17 2013-03-05 Apple Inc. Protective cover
US8264310B2 (en) 2010-09-17 2012-09-11 Apple Inc. Accessory device for peek mode
US8242868B2 (en) * 2010-09-17 2012-08-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magnetic attachment system
KR101224419B1 (ko) * 2010-10-26 2013-01-22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JP2012128658A (ja) * 2010-12-15 2012-07-05 Fujitsu Component Ltd 表示装置
US20120162122A1 (en) * 2010-12-27 2012-06-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rce sensitive device with force sensitive resistors
US20120169597A1 (en) * 2011-01-03 2012-07-05 ThinkGeek, Inc. Physical joystick for electronic tablet devices
US9041665B2 (en) 2011-01-03 2015-05-26 Ten One Design, LLC Devices and processes for data input
US8325150B1 (en) * 2011-01-18 2012-12-0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grated overlay system for mobile devices
US8428827B2 (en) * 2011-01-21 2013-04-23 Control Solu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al movement of a vehicle turret
KR101211189B1 (ko) 2011-03-02 2012-12-11 한국과학기술원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스틱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
US8816977B2 (en) * 2011-03-21 2014-08-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WO2012139203A1 (en) 2011-04-12 2012-10-18 Joysticky Inc. Physical controls with tactile feedback for captive touch devices
JP2014520322A (ja) * 2011-06-09 2014-08-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層電極及び下地層を有するタッチセンサー式デバイス
US8206047B1 (en) * 2011-06-24 2012-06-26 TouchFire, Inc. Keyboard overlay for optimal touch typing on a proximity-based touch screen
JP2013041320A (ja) * 2011-08-11 2013-02-28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用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CN104106024B (zh) * 2012-02-10 2017-06-09 3M创新有限公司 用于触摸传感器电极的网格图案
US20130215029A1 (en) * 2012-02-16 2013-08-22 Hugh Thomson Comer, JR. Tactile Guides for Touchscreens
US9164548B2 (en) * 2012-04-13 2015-10-20 Htc Corporation Touch panel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KR20130119256A (ko) * 2012-04-23 2013-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8629362B1 (en) * 2012-07-11 2014-01-14 Synerdyne Corporation Keyswitch using magnetic force
US8671553B1 (en) * 2012-09-19 2014-03-18 Netanel Raisch Method for protecting a touch-screen display
US20140176481A1 (en) * 2012-12-26 2014-06-26 Gan Zhou. Dpt-Technology Co., Ltd. Capacitive Touch Screen
US9164595B2 (en) * 2013-03-08 2015-10-20 Darren C. PETERSEN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US20140347575A1 (en) * 2013-05-22 2014-11-27 Tianjin Funayuanchuang Technology Co.,Ltd. Capacitance touch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02A1 (ko) * 2019-04-20 2020-10-29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5176A1 (en) 2016-01-13
EP2965176A4 (en) 2016-11-09
EP2965176B1 (en) 2018-10-24
US20140253446A1 (en) 2014-09-11
WO2014137852A1 (en) 2014-09-12
CA2904015C (en) 2016-12-06
CA2904015A1 (en) 2014-09-12
AU2014226167A1 (en) 2015-10-29
JP6006439B2 (ja) 2016-10-12
AU2014226167B2 (en) 2016-06-30
JP2016513832A (ja) 2016-05-16
US9164595B2 (en) 2015-10-20
KR101734972B1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972B1 (ko) 터치스크린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
KR101734971B1 (ko) 전자 장치의 터치 센싱 면을 위한 기계식 액추에이터 기구
JP6703044B2 (ja) 視線に応じた触覚効果を提供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電子装置
US96903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KR102378570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KR102423148B1 (ko)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장치
CN103176744A (zh)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2014034033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CN103353826A (zh)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1031804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ensors on both front and back surfaces
CN103353827A (zh)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20160246437A1 (en) Electronic device
JP2014235671A (ja) 携帯情報端末
US112266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a user with a haptic mouse
KR102246435B1 (ko) 터치 패턴 입력을 이용한 보기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5388B1 (ko)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Huot Touch Interfaces
JP2014235529A (ja) 携帯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