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83A -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 Google Patents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483A
KR20150122483A KR1020140048808A KR20140048808A KR20150122483A KR 20150122483 A KR20150122483 A KR 20150122483A KR 1020140048808 A KR1020140048808 A KR 1020140048808A KR 20140048808 A KR20140048808 A KR 20140048808A KR 20150122483 A KR20150122483 A KR 2015012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mold
bearings
sl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436B1 (ko
Inventor
설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아트론
주식회사 엠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아트론, 주식회사 엠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아트론
Priority to KR102014004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4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Moulds having tub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Construction of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는, 회전샤프트(11)와, 회전샤프트(1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고정링(12)과, 고정링(12)의 상하측에 각각 접촉되어서 축설되는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상하측에서 축설되는 상하부 오일실(14a,14b)과, 수분이 침투되거나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을 밀봉하도록 축설되는 밀봉외피(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은 제1,2 금형(100,200)이 결합되는 경우 캐비티(C1)와 하측 삽입홈(C3)과 상측 삽입장홈(C4)을 형성하며,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캐비티(C1)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캐비티(C1)의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런너(R1,R2)(R1,R3)를 통해서 동시에 캐비티(C1) 내부로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베어링(13a,13b)과 오일실(14a,14b)을 외포하는 밀봉외피(1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고압의 수지가 주입되더라도 인서트 샤프트체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되면서 밀봉외피(18)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A ROTATIONABLE SHAFT ASSEMBLY FOR A ROTATIONABLE KNIFE OF ELECTRIC DEVICE AND A MANUFACTURING MOLD THEREOF}
본 발명은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서 회전샤프트 뭉치의 베어링과 오일실을 밀봉하는 밀봉외피를 형성하되 고압의 수지가 주입되더라도 인서트된 인서트 샤프트체의 회전샤프트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베어링과 오일실을 밀봉하는 밀봉외피와 축이음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과일 채소, 곡물 등의 음식물을 다지기, 주스, 혼합, 커팅(절단) 또는 분쇄시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괄하여 분쇄라 칭한다.) 다양한 형태로 섭취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전동기기이다.
기본적으로 믹서기는 모터가 내장된 모터하우징과, 모터하우징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칼날이 구비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믹서기의 용기 내부에 구성되는 회전칼날은 회전샤프트 뭉치의 회전샤프트의 상단에 장착되어서 구비된다.
이러한 믹서기의 회전샤프트 뭉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8558호(2003. 10. 08)에 의한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206호(2010. 07. 30)에 의한 "분쇄커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위 제10-2003-0078558호와 10-2010-0086206호에 의한 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믹서기에서 회전샤프트 뭉치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필수적으로 채택되어 있는데, 이 베어링을 내장하기 위한 하우징(베어링을 감싸고 있는 기구적 구조물)의 기밀구조가 불량하여서 오일이 누유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음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믹서기에서는 오일 누유는 치명적인 제품 하자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위 제10-2003-0078558호와 10-2010-0086206호에 의한 기술을 비롯한 종래의 기술들은 회전샤프트 뭉치의 하단에 모터의 축과 결합하기 위한 축이음부재(coupler)를 장착 구비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축이음부재를 별도로 제조한 후에 이를 후공정으로 샤프트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축이음부재를 제조하는 공정과 이를 샤프트에 조립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였으므로 작업 공수 및 조립 공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서 인건비가 상승하여서 제품의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의 목적은,
첫째,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및 상하부 오일실 커버)을 밀봉외피에 의해서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샤프트 뭉치에서의 오일의 누유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고정링의 구성에 의해서 인서트 사출 성형시에 고압으로 주입되는 수지의 압력에 의해서 상하부 베어링[상하부 오일실 커버를 채택한 경우에는 상하부 베어링 및 상하부 오일실 커버 전체]이 회전샤프트를 따라서 유동 내지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고정링을 회전샤프트에의 장착을 쉬우면서도 견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상하부 오일실 커버의 구성에 의해서 상하부 오일실의 변형을 예방하고 상하부 오일실과 베어링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일 누유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상하부 오일실 커버를 암수식으로 물려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서 밀봉외피를 형성할 때 고압의 수지가 주입되더라도 상하부 오일실 커버가 정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인서트 사출에 의한 한 번의 공정으로 밀봉외피를 형성함과 동시에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완벽한 밀봉이 가능하여서 제품의 밀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일회의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밀봉외피를 형성함과 동시에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작업 공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립에 의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밀봉외피를 형성시에 금형의 캐비티의 좌우측에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압의 수지가 캐비티로 주입되더라도 회전샤프트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한 번의 공정으로 밀봉외피와 축이음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며,
열 번째, 밀봉외피와 축이음부재를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축이음부재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이를 샤프트에 후공정으로 장착하는 번잡함과 고비용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열한 번째, 한 번의 공정으로 용이하게 캐비티와 슬라이드코어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며,
열두 번째, 런너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슬라이드코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열세 번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슬라이드를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피분쇄 대상물인 음식물을 분쇄, 커팅(절단) 및 혼합하는 회전칼날을 상단에 장착할 수 있고, 하측에는 회전칼날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전동 모터의 모터축에 축설되어서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주면에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상측에 접촉되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설되는 상부 베어링과, 상기 고정링의 하측에 접촉되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설되는 하부 베어링과, 상기 상하부 베어링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설되어서 상기 상하부 베어링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상하부 오일실과, 음식물의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상하부 베어링으로 침투되거나 상기 상하부 베어링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상하부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봉하도록 상기 상하부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착하여 외포하고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설되어서 상기 상하부 베어링의 외륜에 일체로 달라붙는 밀봉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고정홈테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고정링은 상기 고정홈테에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밀봉외피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상부 오일실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과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베어링과 상부 오일실에 외삽되는 통 형상의 상부 오일실 커버와, 상기 하부 오일실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과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 베어링과 하부 오일실에 외삽되는 통 형상의 하부 오일실 커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상하부 오일실 커버가 암수식으로 물려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상부 오일실 커버에는 인서트사출시에 사출 성형되는 밀봉외피가 회전샤프트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측에는 제1 상부 돌출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상부 오일실 커버에는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인서트 사출성형시에 회전샤프트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밸런스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회전샤프트가 통과하는 중앙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봉외피의 상측에서 밀봉외피의 상측을 덮어서 밀봉외피가 음식물과 닿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캡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보호캡에는 인서트 사출 성형시에 수지가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밀봉외피와의 체결의 견고성을 강화하여서 고속 회전시에 각각 따로 돌지 않고 일체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즉 고속 회전시에 보호캡이 밀봉외피로부터 유격이 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인서트 사출시에 버(burr)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내향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는, 상기 보호캡의 중앙공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측 절곡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 절곡부가 상기 제1 상부 돌출테에 외접하여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에 있어서, 회전칼날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모터의 모터축에 기어식으로 치합하는 축이음부재가 회전샤프트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제조금형은, 제1 캐비티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캐비티의 일측에는 제1 하측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캐비티의 타측에는 제1 상측 삽입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 상기 제1 캐비티와 대칭적으로 제2 캐비티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캐비티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하측 삽입홈과 대칭적으로 제2 하측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캐비티의 타측에는 제2 상측 삽입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금형을 포함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가 형합되어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측 삽입홈과 제2 하측 삽입홈이 형합되어서 하측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상측 삽입장홈과 제2 상측 삽입장홈이 형합되어서 상측 삽입장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금형 또는 제2 금형의 어느 하나에는 게이트가 상기 캐비티의 좌우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에서 유출된 용용 수지를 상기 캐비티로 보내기 위한 한 쌍의 런너가 상기 캐비티의 좌우측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에 축설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오일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 샤프트체가 상기 캐비티와 하측 삽입홈과 상측 삽입장홈에 인서트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의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런너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 내부로 수지를 동시에 주입함으로써, 수지 주입 시에 상기 회전샤프트가 편축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베어링과 오일실을 외포하여서 밀봉외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측이 인서트되도록 슬라이드코어가 후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 시에는 상기 캐비티가 있는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캐비티에 밀착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드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금형에는 상기 제1 캐비티의 후방에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와 대칭적으로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가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와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가 형합되어서 슬라이드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진 및 후퇴하며, 상기 한 쌍의 런너는 상기 캐비티 및 슬라이드 코어의 좌우측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로부터 유출되는 수지는 상기 한 쌍의 런너를 따라서 흘러가서 상기 캐비티 및 슬라이드코어로 동시에 주입됨으로써, 상기 밀봉외피를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코어로 주입된 수지에 의해서 회전샤프트의 하측에 축이음부재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런너에는 캐비티로 분기하는 제1 가지 런너와 상기 슬라이드코어로 분기하는 제2 가지 런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슬라이더가 전진하는 경우 일측이 상기 런너와 연통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코어로 연결되도록 상기 슬라이드의 전면에는 코어 런너가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가 슬라이드가이드부를 따라서 전진 및 후퇴 동작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작동수단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제1 금형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와 연통되도록 가동부재 안내홈이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작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드가 전면에 장착되고 후면에는 제1 가이드면이 경사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홀이 위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 안내홈을 따라서 전진 및 후퇴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부분적으로 내삽가능하도록 상기 제2 금형에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의 제1 가이드면과 형합하도록 제2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바가 제1 금형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바가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가이드면이 제1 가이드면에 형합되면서 상기 가동부재를 캐비티 쪽으로 전진시키는 가동부재 삽입부와, 상기 가동부재의 전면과 가동부재 안내홈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제1, 2 금형이 분리되는 경우 전진되어 있던 상기 가동부재에 탄성복원력을 작용하여 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밀봉외피에 의해서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및 상하부 오일실 커버)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샤프트 뭉치에서의 오일의 누유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정링의 구성에 의해서 인서트 사출 성형시에 고압으로 주입되는 수지의 압력에 의해서 상하부 베어링[상하부 오일실 커버를 채택한 경우에는 상하부 베어링 및 상하부 오일실 커버 전체]이 회전샤프트를 따라서 유동 내지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정링의 장착을 쉬우면서도 견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하부 오일실 커버의 구성에 의해서 상하부 오일실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상하부 오일실과 베어링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오일 누유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하부 오일실 커버를 암수식으로 물려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서 밀봉외피를 형성할 때 고압의 수지가 주입되더라도 상하부 오일실 커버가 정위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인서트 사출에 의한 한 번의 공정으로 밀봉외피를 형성함과 동시에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완벽한 밀봉이 가능하여서 제품의 밀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일회의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밀봉외피를 형성함과 동시에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작업 공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조립에 의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밀봉외피를 형성시에 금형의 캐비티의 좌우측에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압의 수지가 캐비티로 주입되더라도 회전샤프트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위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한 번의 공정으로 밀봉외피와 축이음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 번째, 밀봉외피와 축이음부재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이음부재를 별도로 후공정으로 제조하여 샤프트에 장착하는 번잡함과 고비용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한 번째, 캐비티와 슬라이드코어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두 번째, 런너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슬라이드코어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세 번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슬라이드를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에 있어서 제1 금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슬라이드(140)가 전방으로 전진하여서 캐비티(C1)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지가 런너(R1,R2)(R1,R3)를 따라서 캐비티(C1)와 슬라이드코어(140a)로 동시에 주입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는 동작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캐비티(C1) 및 상측 삽입장홈(C4)에 인서트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 동작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슬라이드(140)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제2 금형(20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캐비티(C1)와 슬라이드코어(140a)와 상측 삽입장홈(C4)과 하측 삽입홈(C3)에 인서트된 상태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수지가 캐비티(C1)와 슬라이드코어(140a)에 충진된 상태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의 인서트된 인서트 샤프트체(1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주요부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외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회전칼날(k)이 장착된 경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변형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제조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및 그 제조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주요부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1의 외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회전칼날(k)이 장착된 경우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는, 회전샤프트(11)의 상단에 회전칼날(k)을 장착시켜서 칼날뭉치를 구성하고 있는바, 즉 회전샤프트 뭉치(10)에 회전칼날(k)이 장착되면 칼날뭉치가 되는 것이다.
상기 칼날뭉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된 전동기기(미도시)의 모터축에 축설되어서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여서 과일, 고기, 채소, 커피, 곡물을 포함하는 음식물의 분쇄, 절단(cutting), 제분 및 혼합(이하에서는 간단히 분쇄하고 칭한다.)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가 적용되는 전동기기는 모터와 모터에 축결합하는 칼날뭉치를 구비하고 있는 전동기기로서 예컨대, 믹서기, 후드믹서(음식물을 회전칼날의 회전에 의해서 혼합하는 전동기기), 음식물 처리기[하우징(용기) 내에서 회전칼날로 고기덩어리, 치즈, 야채 및 기타 음식물을 잘게 자르는 전동기기], 고기 분쇄용 믹서, 곡물 분쇄기, 커피 제분기, 원액기, 주서기(juicer), 블렌더 등이 있으며, 명칭에 관계없이 회전칼날을 회전시켜서 피분쇄 대상물인 음식물을 분쇄, 커팅 등을 할 수 있는 전동기기이면 적용대상이 된다.
이제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는, 피분쇄 대상물인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칼날(k)을 상단에 장착할 수 있고 하측에는 회전칼날(k)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전동 모터(미도시)의 모터축(미도시)에 축설되어서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샤프트(11)와, 회전샤프트(11)의 외주면에 회전샤프트(1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고정링(12)과, 고정링(12)의 상측에 접촉되어서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상부 베어링(13a)과, 고정링(12)의 하측에 접촉되어서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하부 베어링(13b)과,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어서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상하부 오일실(14a,14b)과, 음식물의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으로 침투되거나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을 완전 밀봉하도록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을 밀착하여 외포하고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어서 상하부 베어링(120)의 외륜에 일체로 달라붙는 밀봉외피(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밀봉외피(18)에 의해서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샤프트 뭉치(10)에서의 오일의 누유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링(12)의 구성에 의해서 인서트 사출 성형시에 고압으로 주입되는 수지의 압력에 의해서 상하부 베어링(13a,13b)[또는 후술하는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를 채택한 경우에는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 전체]이 회전샤프트(11)를 따라서 유동 내지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는, 상기 회전샤프트(1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고정홈테(11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고정링(12)은 고정홈테(11a)에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고정링(12)의 장착을 쉬우면서도 견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밀봉외피(18)는 수지재로 형성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olyphenylene sulfide)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온에서 잘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상기 밀봉외피(18)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부(18-1)와 바디부(18-1)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단차 형성된 헤드부(18-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상부 오일실(14a)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13a,13b)과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베어링(13a,13b)과 상부 오일실(14a)에 외삽되는 통 형상의 상부 오일실 커버(15)와, 하부 오일실(14a,14b)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13a,13b)과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 베어링(13a,13b)과 하부 오일실(14a)에 외삽되는 통 형상의 하부 오일실 커버(1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오일실(14a,14b)이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면 상하부 베어링(13a,13b)과의 사이에 유격이 생겨서 오일의 누유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는 밀봉외피(18)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인서트 사출시의 고온의 수지가 상하부 오일실(14a,14b)로 직접 닿아서 고온의 사출 수지에 의해서 상하부 오일실(14a,14b)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는 암수식으로 물려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1 참조).
이에 의하면,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가 암수식으로 물려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서 밀봉외피(18)를 형성할 때 고압의 수지가 주입되더라도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가 정위치를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상부 오일실 커버(15)에는 인서트사출시에 사출 성형되는 밀봉외피(18)가 회전샤프트(11)에 닿는 것을 방지 즉, 밀봉외피(18)의 성형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상측에는 제1 상부 돌출테(1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상부 오일실 커버(15)에는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인서트 사출성형시에 회전샤프트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밸런스 날개(15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회전샤프트(11)가 통과하는 중앙공(17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밀봉외피(18)의 상측에서 밀봉외피(18)의 상측을 덮어서 밀봉외피(18)가 음식물과 닿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캡(17)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캡(17)에는 인서트 사출 성형시에 수지가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밀봉외피(18)와의 체결의 견고성을 강화하여서 고속 회전시에 각각 따로 돌지 않고 일체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즉 고속 회전시에 보호캡(17)이 밀봉외피(18)로부터 유격이 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인서트 사출시에 버(burr)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내향 절곡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캡(17)의 중앙공(17a)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상측 절곡부(17c)가 형성되어서 상측 절곡부(17c)가 제1 상부 돌출테(15a)에 외접하여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에 있어서, 회전칼날(k)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모터(미도시)의 모터축에 기어식으로 치합하는 축이음부재(19)가 회전샤프트(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15를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은, 제1 캐비티(11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제1 캐비티(111)의 일측에는 제1 하측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캐비티(111)의 타측에는 제1 상측 삽입장홈(1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100)과, 제1 캐비티(111)와 대향하여서 대칭적으로 제2 캐비티(21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제2 캐비티(211)의 일측에는 제1 하측 삽입홈(112)과 대칭적으로 제2 하측 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캐비티(211)의 타측에는 제2 상측 삽입장홈(213)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금형(200)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은,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되는 경우,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211)가 형합되어서 캐비티(C1)를 형성하고 제1 하측 삽입홈(112)과 제2 하측 삽입홈(212)이 형합되어서 하측 삽입홈(C3)을 형성하며 제1 상측 삽입장홈(113)과 제2 상측 삽입장홈(213)이 형합되어서 상측 삽입장홈(C4)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금형(100) 또는 제2 금형(200)의 어느 하나에는[일 실시예에서는 게이트(G1,G2)(G1,G3)가 제2 금형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개시하고 있음(도 5 참조)]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G1,G2)(G1,G3)가 캐비티(C1)의 좌우로 대칭되어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금형(100) 또는 제2 금형(200)의 어느 하나에는 게이트(G1,G2)(G1,G3)에서 유출된 용용 수지를 캐비티(C1)로 보내기 위한 한 쌍의 런너(R1,R2)(R1,R3)가 캐비티(C1)의 좌우측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도 1 내지 도 3에는 한 쌍의 런너(R1,R2)(R1,R3)가 제1 금형(100)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금형(200)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캐비티(C1)와 하측 삽입홈(C3)과 상측 삽입장홈(C4)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C1)의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런너(R1,R2)(R1,R3)를 통해서 동시에 상기 캐비티(C1) 내부로 용융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용융 수지 주입 시에 회전샤프트(11)[따라서 인서트 샤프트체(10')]가 편축되지 않도록 하면서(축이 기울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베어링(13a,13b)과 오일실(14a,14b)을 외포하여서 밀봉외피(1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에 의한 한 번의 공정으로 밀봉외피를 형성함과 동시에 베어링과 상하부 오일실을 밀봉할 수 있어서 완벽한 밀봉이 가능하여서 제품의 밀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또한,조립 및 작업 공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그리고 조립에 의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서 최종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밀봉외피(18)를 형성시에 캐비티(C1)의 좌우측에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하기 때문에 회전샤프트(11)[따라서 인서트 샤프트체(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인서트 샤프트체(10')는 기본적으로 회전샤프트(11)와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베어링(13a,13b)과 베어링(13a,13b)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오일실(14a,14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도 3,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인서트되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회전샤프트(11)의 하측은 하측 삽입홈(C3)에 인서트되고 상기 회전샤프트(11)의 상측은 상측 삽입장홈(C4)에 인서트되며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 상하부 오일실(14a,14b) 및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는 캐비티(C1)에 인서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티(111)는 제1 캐비티 바디(111a)와 제1 캐비티 헤드(111b)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캐비티(211)는 제2 캐비티 바디(211a)와 제2 캐비티 헤드(211b)로 구성되며, 제1 캐비티 바디(111a)와 제2 캐비티 바디(211a)에는 각각 밀봉외피의 나사부(18a)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성형부(111a',2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성형부(111a',211a')에 의해서 제품이 완료된 후의 밀봉외피(18)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8a)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회전샤프트(11)의 하측이 인서트되도록 슬라이드코어(140a)가 후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 시에는 캐비티(C1)가 있는 전방으로 전진하여 캐비티(C1)에 밀착하고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캐비티(C1)가 있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드(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금형(100)에는 제1 캐비티(111)의 후방에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금형(200)에는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와 대칭적으로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231)가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되는 경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와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231)가 형합되어서 슬라이드가이드부(C2)를 형성하며, 슬라이드(140)는 슬라이드가이드부(C2)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진 및 후퇴하며, 한 쌍의 런너(R1,R2)(R1,R3)는 캐비티(C1) 및 슬라이드 코어(140a)의 좌우측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G1,G2)(G1,G3)에서 유출되는 수지는 한 쌍의 런너(R1,R2)(R1,R3)를 따라서 흘러가서 캐비티(C1) 및 슬라이드코어(140a)로 동시에 주입됨으로써기 밀봉외피(18)를 성형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코어(140a)로 주입된 수지에 의해서 회전샤프트(11)의 하측에 축이음부재(19)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밀봉외피(18)와 축이음부재(19)를 동시에 인서트사출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어서, 축이음부재(19)를 별도로 후공정으로 제작하여 회전샤프트(11)에 장착하는 번잡함과 고비용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그 결과 작업 공수와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런너(R1,R2)(R1,R3)에는 캐비티(C1)로 분기하는 제1 가지 런너(R1a,R2a,R3a)와 슬라이드코어(140a)로 분기하는 제2 가지 런너(R1b,R2b,R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캐비티(C1)와 슬라이드코어(140a)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하는 것이 더욱더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140)가 전진하는 경우 일측이 런너(R1,R2)(R1,R3)[구체적으로는 제2 가지 런너(R1b,R2b,R3b)]와 연통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코어(140a)로 연결되도록 슬라이드(140)의 전면에는 코어 런너(140b)가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런너(R1,R2)(R1,R3)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슬라이드코어(140a)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게이트(G1,G2)(G1,G3)를 통해서 공급된 수지가 런너(R1,R2)(R1,R3)와 제1,2 가지 런너(R1a,R2a,R3a)(R1b,R2b,R3b) 및 코어 런너(140b)를 통해서 캐비티(C1) 및 슬라이드 코어(140a)로 주입되는 흐름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140)를 슬라이드가이드부(C2)를 따라서 전진 및 후퇴 동작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작동수단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는, 상기 제1 금형(100)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와 연통되도록 가동부재 안내홈(101)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드(140)가 전면에 장착되고 후면에는 제1 가이드면(150a)이 경사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홀(150b)이 위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 안내홈(101)을 따라서 전진 및 후퇴하는 가동부재(150)와, 상기 가동부재(150)가 부분적으로 내삽가능하도록 제2 금형(200)에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150)의 제1 가이드면(150a)과 형합하도록 제2 가이드면(25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150b)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바(250b)가 제1 금형(100)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바(250b)가 가이드바(250b)에 삽입되고 제2 가이드면(250a)이 제1 가이드면(150a)에 형합되면서 가동부재(150)를 캐비티(C1) 쪽으로 전진시키는 가동부재 삽입부(250)와, 가동부재(150)의 전면과 가동부재 안내홈(101)의 전면(101a) 사이에 개재[구체적으로는 후단이 가동부재(150)의 제1 안착홀(150c)에 탄지되고 전단이 가동부재 안내홈(101)의 전면(101a)에서 전방으로 요입된 제2 안착홀(102)에 탄지]되어서 제1, 2 금형(100,200)이 분리되는 경우 전진되어 있던 가동부재(150)에 탄성복원력을 작용하여 후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슬라이드(140)를 전진 및 후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드에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미도시)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동작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5에 개시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경우도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사출금형장치에 의해서 제조된 회전샤프트 뭉치(10)로서, 인서트 샤프트체(10')가 회전샤프트(11)와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과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로 구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다만 고정링(12)을 채택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또한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가 서로 맞물려 있지 않음이 전술한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와 상이한 점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기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1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을 준비하고(도 6 참조), 회전샤프트(11)와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상하부 오일실(14a,14b)과 상하부 오일실 커버(15,16)(15',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 샤프트체(1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제1 금형(100)의 제1 캐비티(111)와 제1 하측 삽입홈(112)과 제1 상측 삽입장홈(113)에 인서트된다(S310).
도 3에는 제1 금형에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인서트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서는 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하나의 인서트 샤프트체(10')만 인서트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샤프트(11)의 하측은 제1 하측 삽입홈(112)에 인서트되고 회전샤프트(11)의 상측은 제1 상측 삽입장홈(113)에 인서트되며 상하부 베어링(13a,13b) 및 상하부 오일실(14a,14b)은 제1 캐비티(111)에 인서트된다.
그리고, 제1 금형과 제2 금형이 결합되면, 가동부재(150)가 전진하면서 슬라이드(140)가 전진하고, 슬라이드(140)의 슬라이드코어(140a)에 회전샤프트(11)의 하측이 인서트되는 단계(S312)가 수행된다(도 8 참조)
다음으로 제1,2 금형의 게이트(G1,G2)(G1,G3)에서 용융 수지가 유출되어서 캐비티(C1)의 좌우측으로 형성된 런너(R1,R2)(R1,R3)를 따라서 수지가 흘러가서 캐비티(C1)와 슬라이드코어(140a)의 좌우측에서 동시에 용융된 수지가 캐비티(C1)와 슬라이드코어(140a)에 주입되는 단계(S314)가 수행된다(도 9 참조).
상기 S314 단계가 수행되어서 완료되면 밀봉외피(18)와 축이음부재(19)가 동시에 성형된다(S316).
도 11과 도 15에는 완성된 제품인 회전샤프트 뭉치(10)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캐비티(C1)와 슬라이드(140)가 2 개씩 구성되어 있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10' : 인서트 샤프트체
11 :회전샤프트 11a : 고정홈테
12 : 고정링 13a : 상부 베어링
13b : 하부 베어링 14a : 상부 오일실
14b : 하부 오일실 15,15': 상부 오일실 커버
15a : 제1 상부 돌출테 15b : 밸런스 날개
16,16': 하부 오일실 커버 17 : 보호캡
17a : 중앙공 17b : 내향 절곡부
17c : 상측 절곡부 18 : 밀봉외피
18a : 나사부 18-1 : 밀봉외피의 바디부
18-2 : 밀봉외피의 헤드부 19 : 축이음부재
k : 회전칼날
100 : 제1 금형
101 : 가동부재 안내홈 101a : 가동부재 안내홈의 전면
102 : 제2 안착홀 C1 : 캐비티
111 : 제1 캐비티 111a : 제1 캐비티 바디
111a' : 제1 캐비티바디의 나사성형부 111b : 제1 캐비티 헤드
C3 : 하측 삽입홈 112 : 제1 하측 삽입홈
C4 : 상측 삽입장홈 113 : 제1 상측 삽입장홈
C2 : 슬라이드가이드부 131 :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
140 : 슬라이드 140a : 슬라이드코어
150 : 가동부재 150a : 제1 가이드면
150b : 가이드홀 150c : 제1 안착홀
160 : 탄성부재 R1,R2,R3 : 런너
R1a,R2a,R3a : 제1 가지 런너 R1b,R2b,R3b : 제2 가지 런너
200 : 제2 금형
211 : 제2 캐비티 211a : 제2 캐비티 바디
211a' : 제2 캐비티바디의 나사성형부 211b : 제2 캐비티 헤드
212 : 제2 하측 삽입홈 213 : 제2 상측 삽입장홈
G1,G2,G3 : 게이트 231 :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
250 : 가동부재 삽입부 250a : 제2 가이드면
250b : 가이드바

Claims (4)

  1. 피분쇄 대상물인 음식물을 분쇄, 커팅, 제분 및 혼합(이하 "분쇄"로 총칭함)하는 회전칼날(k)을 상단에 장착할 수 있고, 하측에는 회전칼날(k)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모터의 모터축에 축설되어서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회전샤프트(11)와,
    상기 회전샤프트(11)의 외주면에 유동 없이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고정링(12)과,
    상기 고정링(12)의 상측에 접촉되어서 상기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상부 베어링(13a)과,
    상기 고정링(12)의 하측에 접촉되어서 상기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하부 베어링(13b)과,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상기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어서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상하부 오일실(14a,14b)과,
    음식물의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으로 침투되거나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을 밀봉하도록 상기 상하부 베어링(13a,13b)과 상하부 오일실(14a,14b)을 밀착하여 외포하고 상기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어서 상기 상하부 베어링(120)의 외륜에 일체로 달라붙는 밀봉외피(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2. 제1 캐비티(11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캐비티(111)의 일측에는 제1 하측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캐비티(111)의 타측에는 제1 상측 삽입장홈(113)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금형(100);
    상기 제1 캐비티(111)와 대칭적으로 제2 캐비티(21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캐비티(211)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하측 삽입홈(112)과 대칭적으로 제2 하측 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캐비티(211)의 타측에는 제2 상측 삽입장홈(213)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금형(200)을 포함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211)가 형합되어서 캐비티(C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측 삽입홈(112)과 제2 하측 삽입홈(212)이 형합되어서 하측 삽입홈(C3)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상측 삽입장홈(113)과 제2 상측 삽입장홈(213)이 형합되어서 상측 삽입장홈(C4)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금형(100) 또는 제2 금형(200)의 어느 하나에 게이트(G1,G2)(G1,G3)가 상기 캐비티(C1)의 좌우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G1,G2)(G1,G3)에서 유출되는 수지를 상기 캐비티(C1)로 보내기 위한 한 쌍의 런너(R1,R2)(R1,R3)가 상기 캐비티(C1)의 좌우측으로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샤프트(11)와 상기 회전샤프트(11)에 축설되는 베어링(13a,13b)과 상기 베어링(13a,13b)의 오일의 누유를 실링하는 오일실(14a,14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서트 샤프트체(10')가 상기 캐비티(C1)와 하측 삽입홈(C3)과 상측 삽입장홈(C4)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C1)의 좌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런너(R1,R2)(R1,R3)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C1) 내부로 좌우측에서 동시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수지 주입 시에 상기 회전샤프트(11)가 편축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베어링(13a,13b)과 오일실(14a,14b)을 외포하여서 밀봉외피(1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11)의 하측이 인서트되도록 슬라이드코어(140a)가 후방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 시에는 상기 캐비티(C1)가 있는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캐비티(C1)에 밀착하고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후퇴하는 슬라이드(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금형(100)에는 상기 제1 캐비티(111)의 후방에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금형(200)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와 대칭적으로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231)가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금형(100)과 제2 금형(20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슬라이드가이드부(131)와 제2 슬라이드가이드부(231)가 형합되어서 슬라이드가이드부(C2)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14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부(C2)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진 및 후퇴하며,
    상기 한 쌍의 런너(R1,R2)(R1,R3)는 상기 캐비티(C1) 및 슬라이드 코어(140a)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G1,G2)(G1,G3)에서 유출되는 수지는 상기 한 쌍의 런너(R1,R2)(R1,R3)를 따라서 흘러가서 상기 캐비티(C1) 및 슬라이드코어(140a)로 동시에 주입됨으로써, 상기 밀봉외피(18)를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코어(140a)로 주입된 수지에 의해서 회전샤프트(11)의 하측에 축이음부재(19)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40)를 슬라이드가이드부(C2)를 따라서 전진 및 후퇴 동작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작동수단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KR1020140048808A 2014-04-23 2014-04-23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KR10156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08A KR101564436B1 (ko) 2014-04-23 2014-04-23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08A KR101564436B1 (ko) 2014-04-23 2014-04-23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83A true KR20150122483A (ko) 2015-11-02
KR101564436B1 KR101564436B1 (ko) 2015-11-05

Family

ID=5459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08A KR101564436B1 (ko) 2014-04-23 2014-04-23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379B1 (ko) * 2021-02-18 2022-07-25 한철수 콩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160B2 (ja) 1992-04-06 2001-05-0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熱処理装置
KR101384979B1 (ko) *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379B1 (ko) * 2021-02-18 2022-07-25 한철수 콩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436B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100B1 (ko) 믹서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CA2874069C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101564436B1 (ko) 전동기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의 제조금형
CN107000265A (zh) 用于制造辊部件的方法、辊部件模具、辊轴、以及辊部件
KR101592148B1 (ko) 첨가제 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형 마개
JPH1134128A (ja) 逆流防止装置
KR101564433B1 (ko) 회전칼날이 구비된 전동기기의 착탈식 칼날뭉치
CN111568286A (zh) 一种便座及其制造方法
CN217670920U (zh) 一种避免堵塞的线缆生产用挤出机
EP2023786B1 (fr) Ensemble de travail rotatif securise pour appareil electromenager et/ou accessoire de preparation culinaire
KR200393660Y1 (ko) 고추분쇄기용 분쇄롤러
US20080223006A1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CN102049338B (zh) 一种拼装式粉碎机腔体
EP2484942B1 (en) Seal device
KR101574654B1 (ko) 믹서기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CN109770746A (zh) 一种食品加工机
CN215684543U (zh) 一种使用可靠的切碎机
KR200322278Y1 (ko) 믹서기의 분쇄용기 덮개
CN210279313U (zh) 一种豆类加工用高效粉碎机
CN211511465U (zh) 移动压包机构及胶囊咖啡机
CN209346768U (zh) 料理机
KR101485543B1 (ko) 빙수기
KR200199226Y1 (ko) 이중 셔터 구조의 분쇄기 홉퍼
KR100500789B1 (ko) 믹서기의 혼합물 유출방지 구조
CA2510269A1 (en) Shroud assembly and a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