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43B1 - 빙수기 - Google Patents

빙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543B1
KR101485543B1 KR20140044822A KR20140044822A KR101485543B1 KR 101485543 B1 KR101485543 B1 KR 101485543B1 KR 20140044822 A KR20140044822 A KR 20140044822A KR 20140044822 A KR20140044822 A KR 20140044822A KR 101485543 B1 KR101485543 B1 KR 10148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rushing
unit
fastening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니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니즈
Priority to KR2014004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빙수기는 회전 운동하는 구동부가 마련된 구동 유니트,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 유니트 및 상기 대상물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대상물이 출력되는 출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쇄 유니트를 덮는 커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커버 유니트와 상기 분쇄 유니트의 사이에서 분쇄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빙수기{ICE PULVERIZER}
본 발명은 얼음 또는 냉동 음식물을 분쇄하는 빙수기에 관한 것이다.
소형 가전 기기의 보급에 부응하여, 얼음 또는 냉동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는 기기를 소형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74636호에는 얼음을 분쇄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냉장고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전체 규모가 큰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74636호
본 발명은 소형의 빙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빙수기는 회전 운동하는 구동부가 마련된 구동 유니트,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 유니트 및 상기 대상물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대상물이 출력되는 출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쇄 유니트를 덮는 커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대상물은 상기 커버 유니트와 상기 분쇄 유니트의 사이에서 분쇄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빙수기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 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의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나선 형상의 제1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상기 분쇄 칼날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빙수기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 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꼭지점까지의 구간은 상기 분쇄 칼날에 의해 상기 대상물이 분쇄되는 분쇄 구간, 상기 분쇄 칼날에 의해 분쇄된 상기 대상물을 상기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구간, 상기 꼭지점으로 이동한 상기 대상물을 압축시키는 압축 구간의 순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 유니트, 분쇄 유니트 및 커버 유니트를 포함함으로써, 대상물을 분쇄시키는 소형의 빙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빙수기는 분쇄된 대상물이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대상물이 이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압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대상물은 소위 아이스크림의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빙수기는 속이 빈 분쇄 유니트를 포함함으로써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견고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대상물의 분쇄에 사용되는 분쇄 칼날을 회전축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의 편의를 고려하여, 분쇄 칼날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하우징을 이용해 분쇄 칼날을 지지한 상태에서 빙수기의 다른 부위를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빙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빙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빙수기는 구동 유니트(100), 분쇄 유니트(200) 및 커버 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니트(100)는 회전 운동하는 구동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30)에는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모터축을 분쇄 유니트(200)에 링크시키는 기어, 벨트 등의 링크 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구동부(130)에서 분쇄 유니트(200)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분쇄 유니트(200)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마련될 수 있다.
분쇄 유니트(200)는 구동부(130)에 연결되고 구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다. 이때, 대상물은 얼음, 음식물 등일 수 있다. 음식물이 냉동된 상태이면 얼음의 분쇄 상태와 유사한 결과물이 획득될 수 있으며, 음식물이 상온 상태이면 음식물이 으깨진 상태의 결과물이 획득될 수 있다.
분쇄 유니트(200)에는 대상물을 분쇄하기 위해 분쇄 칼날(23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분쇄 칼날(23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 분쇄 칼날(231)은 분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유니트(300)는 분쇄 유니트(200)를 덮을 수 있다.
분쇄 유니트(200)에는 고속 회전하는 분쇄 칼날(231)이 마련되므로, 외부로 노출될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대상물을 분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물을 분쇄 칼날(231)에 강제로 접촉시키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대상물이 분쇄 칼날(231)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 유니트(30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형화를 위해 분쇄되기 전 상태의 대상물이 입력되는 입력부(330) 및 분쇄된 상태의 대상물이 출력되는 출력부(350)가 필요하다. 이러한 입력부(330) 및 출력부(350) 역시 커버 유니트(300)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유니트(300)는 분쇄 유니트(200)를 덮은 상태에서 특정 부분을 제외하고 분쇄 유니트(200), 특히 회전 칼날로부터 짧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입력부(330)로 입력된 대상물은 커버 유니트(300)와 분쇄 유니트(200)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대상물은 커버 유니트(300)에 의해 분쇄 칼날(2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므로, 분쇄 칼날(231)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 칼날(231)에 의해 분쇄된 대상물은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커버 유니트(300)에는 대상물을 강제로 상기 커버 유니트(300)와 분쇄 유니트(200)의 사이로 입력시키는 가압 봉(39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 봉(390)은 입력부(33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입력부(330)에 삽입 및 이탈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330)에 대상물을 넣고 가압 봉(390)을 입력부(330)에 삽입시켜서 밀면 대상물은 커버 유니트(300)와 분쇄 유니트(200)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커버 유니트(300)는 구동 유니트(100)에 착탈될 수 있다. 구동 유니트(100)에 결합시 커버 유니트(300)는 구동 유니트(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의 회전축 상으로 분쇄 유니트(200)의 일단은 구동부(130)에 지지되고, 분쇄 유니트(200)의 타단은 커버 유니트(300)에 지지될 수 있다.
분쇄 유니트(200)의 일단은 회전을 위해 구동부(130)에 반드시 링크되고 지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분쇄 유니트(200)의 일단만 구동부(130)에 지지된다면 분쇄 유니트(200)의 타단은 대상물에 의한 강한 압력에 의해 회전시 회전축을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분쇄 유니트(200)가 정상적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강한 압력에 상관없이 분쇄 유니트(200)의 회전축을 구동부(130)의 회전축에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분쇄 유니트(200)의 타단은 구동 유니트(100)에 결합된 상태의 커버 유니트(30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는 분쇄 유니트(200)와 분쇄 유니트(200)에 덮힌 상태의 커버 유니트(300)가 개시된다.
분쇄 유니트(200)와 커버 유니트(300)는 서로 대응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유니트(300)에는 분쇄 유니트(200)를 덮는 몸체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0)에서 꼭지점 부분의 내면에는 분쇄 유니트(200)의 꼭지점에 마련된 회전 돌기부(211)가 끼워지는 회전 홈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분쇄 유니트(200)의 회전시 회전 돌기부(211)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돌기부(21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회전 홈부(311) 역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쇄 유니트(200)의 밑면(원뿔 형상에서의 밑면) 측에는 분쇄 유니트(200)의 회전축 상에 마련된 축부(2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축부(219)는 구동 유니트(100)의 구동부(130)에 착탈될 수 있다.
이상의 축부(219) 및 회전 돌기에 의하면 회전체에 해당하는 분쇄 유니트(200)의 양 단부가 각각 구동부(130) 및 회전 홈부(311)에 의해 지지되므로, 분쇄 유니트(200)는 회전축을 따라 신뢰성 있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분쇄 유니트(200)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때, 제1 방향 상으로 입력부(330)는 제1 위치 x1에 형성되고, 출력부(350)는 제2 위치 x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쇄 유니트(200)에는 구동부(130)에 의한 회전시 제1 위치의 대상물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부(250)와 제2 가이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x1으로 입력된 대상물이 역시 제1 위치 x1으로 출력된다면 해당 대상물은 단순히 분쇄 칼날(231)에 의해 분쇄된 상태로만 출력될 것이다.
그런데, 대상물이 입력되고 출력되는 위치가 다르다면 그 경로 상에서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을 제1 위치 x1에서 분쇄시키고, 분쇄된 대상물을 제2 위치 x2로 이송시키는 중에 대상물을 압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대상물을 분쇄 및 압축시키기 위해 대상물을 제1 위치 x1으로부터 제2 위치 x2로 이송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가이드부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2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분쇄 유니트(200)는 베이스(210) 및 분쇄 칼날(23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210)를 덮는 커버 유니트(300) 역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 칼날(231)은 베이스(210)에서 대상물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베이스(210)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베이스(210)의 회전시 베이스(210)의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나선 형상의 제1 가이드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밑면으로부터 베이스(210)의 꼭지점을 향하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가이드부(250)에서 제1 지점 P1과 제2 지점 P2를 설정할 때, 제2 지점 P2는 베이스(210)의 회전 방향 rx 상으로 제1 지점 P1보다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점 P1은 베이스(210)의 꼭지점에 가까운 지점이고, 제2 지점 P2는 제1 지점 P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꼭지점으로부터 먼 지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부(250)에 따르면 베이스(210)의 회전시 제1 위치 x1의 대상물은 제2 위치 x2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부(250)는 제1 위치 x1으로부터 제2 위치 x2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분쇄 칼날(231)은 제1 위치 x1과 제2 위치 x2 사이의 제3 위치 x3로부터 제1 위치 x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분쇄 칼날(231)에 의한 대상물의 분쇄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제1 가이드부(250)에서 제3 위치 x3로부터 제1 위치 x1까지의 곡선의 형상은 제3 위치 x3로부터 제2 위치 x2까지의 곡선의 형상과 반대일 수 있다.
일예로 도 4를 살펴보면, 제1 위치 x1으로부터 제3 위치 x3까지의 제1 구간 ①을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중심은 제1 가이드부(250)의 위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3 위치 x3으로부터 제2 위치 x2까지의 제2 구간 ②를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중심은 제1 가이드부(25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구간 ①에서 제1 가이드부(250)가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능력은 제2 구간 ②에서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능력보다 낮을 수 있다. 그 결과 대상물은 제2 구간 ②으로 넘어가기 전 단계에서 충분하게 분쇄 칼날(231)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10)에는 베이스(210)의 꼭지점과 제1 가이드부(250)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가이드부(2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270)는 직선 형상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는 제2 가이드부(270)로 이동한 대상물이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베이스(210)의 모선 o에 기울어진 a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선 o는 원뿔의 꼭지점과 밑면인 원 둘레의 한 점을 이은 선분일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70)에 의하면 제2 위치 x2로 이동한 대상물은 베이스(210)의 꼭지점에 더 가까운 제4 위치 x4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가이드부(270)는 제2 위치 x2로부터 제4 위치 x4까지의 제3 구간 ③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는 원뿔 형상의 베이스(210)의 외면에 마련되므로, 제2 위치 x2로부터 제4 위치 x4로 갈수록 각 가이드 리브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제4 위치 x4에 인접한 위치에서의 각 가이드 리브 간의 간격 w2는 제2 위치 x2에 인접한 위치에서의 각 가이드 리브 간의 간격 w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위치 x2의 대상물은 제4 위치 x4로 갈수록 압축될 수 있다.
이상의 제1 가이드부(250) 및 제2 가이드부(270)에 따르면, 베이스(210)의 높이 방향(x축 방향)으로 베이스(210)의 밑면으로부터 베이스(210)의 꼭지점까지의 구간(x1~x4)은 순서대로 분쇄 구간, 이송 구간, 압축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분쇄 구간은 제1 위치 x1으로부터 제3 위치 x3까지의 제1 구간 ①으로, 분쇄 칼날(231)에 의해 대상물이 분쇄될 수 있다.
이송 구간은 제3 위치 x3으로부터 제2 위치 x2까지의 제2 구간 ②로, 분쇄 칼날(231)에 의해 분쇄된 대상물이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압축 구간은 제2 위치 x2로부터 제4 위치 x4까지의 제3 구간 ③으로, 꼭지점으로 이동한 대상물이 압축될 수 있다.
분쇄, 이송, 압축 구간을 거친 대상물은 물기가 빠진 소위 아이스크림의 형태로 커버 유니트(300)의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분쇄 구간, 이송 구간 및 압축 구간이 형성된 분쇄 유니트(200)는 그 구조가 복잡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조 공정이 어려울 수 있다.
분쇄 유니트(200)를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 분쇄 유니트(200)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20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200)를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분쇄 유니트(200)에는 베이스(210), 축부(219), 체결부(215) 및 분쇄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면이 개구될 수 있다.
원뿔 형상의 베이스(210)를 중실 상태로 형성하면 많은 재료가 소모될 것은 자명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210)는 중공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 상태의 원뿔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 베이스(210)의 밑면은 개구될 수 있다.
베이스(210)는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금형을 이용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정면도를 살펴보면, 정면에서 베이스(210)를 바라봤을 때 원뿔 형상으로 인해 금형 작업 완료 후 금형을 베이스(210)로부터 이탈시킬 때 걸리는 부분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의 후면도를 살펴보면, 역시 금형을 베이스(210)로부터 금형을 이탈시킬 때 걸리는 부분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베이스(210)의 밑면이 개구됨으로써 베이스(210)를 구동 유니트(100)의 구동부(130)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축부(219)가 이용될 수 있다.
축부(219)는 베이스(21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베이스(210)의 회전시 베이스(210)의 회전축으로 기능할 수 있다.
축부(219)는 베이스(210)에서 속이 빈 중심에 배치되므로, 축부(219)를 베이스(210)에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 체결부(215)가 이용될 수 있다.
체결부(215)는 베이스(210)와 축부(219)를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쇄부(230)는 베이스(210)에 관통 설치되고, 베이스(210)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다. 이때, 분쇄부(230)에는 강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베이스(2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분쇄부(230)가 베이스(2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기 위해 분쇄부(230)는 체결부(215)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210)가 이루는 원뿔 형상은 소정의 직각 삼각형을 1회전시켜 생성된 입체일 수 있다. 이때, 체결부(215)에는 위 직각 삼각형 형상의 체결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리브의 제1 변 b1은 베이스(210)의 내면에 체결되고, 체결 리브의 제2 변 b2는 축부(219)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분쇄부(230)가 베이스(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분쇄부(230)는 제1 변 b1에 체결될 수 있다.
분쇄부(230)에는 대상물을 분쇄시키는 분쇄 칼날(23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금형을 이용한 사출 공정에서 금속 재질의 분쇄 칼날(231)을 바로 베이스(210)에 설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부(230)에는 분쇄 칼날(231)이 삽입되는 하우징(233)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33)은 베이스(210)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분쇄 칼날(231)은 베이스(210)의 내면으로부터 삽입되고, 베이스(210)의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33)은 체결부(215)에 추가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233)은 베이스(210)에 1차적으로 체결되고 체결부(215)에 2차적으로 체결되는 2단 체결 구조를 취하게 된다.
참고로, 베이스(210), 축부(219), 체결부(215), 하우징(233)은 분쇄 칼날(231)과 다르게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210), 축부(219) 및 체결부(215)는 한번의 사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쇄부(230)는 별도로 마련되고, 베이스(210), 축부(219) 및 체결부(215)의 사출 공정은 분쇄부(230)가 적정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빙수기는 분쇄부(230)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소위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200)의 배면 사시도이다.
인서트 사출을 위해 하우징(233)에는 베이스(210)의 밑면으로부터 베이스(210)의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지지 홀(234)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분쇄부(230)는 베이스(210), 축부(219) 및 체결부(215)의 사출 공정 전에 미리 마련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금형 내의 적정 위치에 분쇄부(230)가 위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지지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지지 수단은 금형에 마련될 돌기일 수 있다. 이때의 돌기는 베이스(210), 축부(219) 및 체결부(215)의 사출 공정 중 분쇄부(230)를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233)에 마련된 지지 홀(2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금형의 내면에 마련된 돌기에 하우징(233)의 지지 홀(234)을 삽입함으로써 금형의 내면에 분쇄부(23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금형 내부로 액체 상태의 합성 수지를 투여하고, 합성 수지가 굳은 후 금형을 떼어내면 본 발명의 분쇄 유니트(200)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빙수기를 구성하는 분쇄 유니트(200)의 배면 사시도이다.
살펴보면, 체결 리브의 일부가 절단되고, 그 절단 부위(236)가 하우징(233)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233)에 포함된 절단 부위(236)를 잡는 집게 등을 금형 측에 마련하는 것으로, 하우징(233)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구동 유니트 130...구동부
200...분쇄 유니트 210...베이스
211...돌기부 215...체결부
219...체결부 230...분쇄부
231...분쇄 칼날 233...하우징
234...지지 홀 236...절단 부위
250...제1 가이드부 270...제2 가이드부
300...커버 유니트 310...몸체부
311...회전 홈부 330...입력부
350...출력부 390...가압 봉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면이 개구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축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뿔 형상은 직각 삼각형을 1회전시켜 생성된 입체이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직각 삼각형 형상의 체결 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 리브의 제1 변은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리브의 제2 변은 상기 축부에 체결되고,
    상기 분쇄부는 상기 제1 변에 체결되는 빙수기.
  12.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면이 개구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축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에는 상기 대상물을 분쇄시키는 분쇄 칼날, 상기 분쇄 칼날이 삽입되는 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체결되고,
    상기 분쇄 칼날은 상기 베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부에 더 체결되는 빙수기.
  13. 속이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면이 개구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축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축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접촉된 대상물을 분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에는 상기 대상물을 분쇄시키는 분쇄 칼날, 상기 분쇄 칼날이 삽입되는 하우징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베이스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꼭지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지지 홀이 마련되며,
    상기 분쇄부는 상기 베이스, 상기 축부 및 상기 체결부의 사출 공정 전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 홀에는 상기 베이스, 상기 축부 및 상기 체결부의 사출 공정 중 상기 분쇄부를 지지하는 수단이 삽입되는 빙수기.
KR20140044822A 2014-04-15 2014-04-15 빙수기 KR10148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4822A KR101485543B1 (ko) 2014-04-15 2014-04-15 빙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4822A KR101485543B1 (ko) 2014-04-15 2014-04-15 빙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543B1 true KR101485543B1 (ko) 2015-01-22

Family

ID=5259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4822A KR101485543B1 (ko) 2014-04-15 2014-04-15 빙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670U (ko) * 1998-01-14 1999-08-25 김영기 착즙 겸용 분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670U (ko) * 1998-01-14 1999-08-25 김영기 착즙 겸용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523A (en) Apparatus for mincing frozen meat into ground meat
KR101485543B1 (ko) 빙수기
CN219519096U (zh) 一种塑料鞋加工用原料粉碎机
CN107930805A (zh) 一种粉碎机用粉碎部件
CN105903531A (zh) 一种切割粉碎机构
KR102457157B1 (ko) 분쇄 분리기
CN204234158U (zh) 一种撕碎机
WO2010040744A3 (e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slushes, ice cream, milkshakes and/or the like
KR100858330B1 (ko) 대용량 착즙기용 파쇄기
CN107744860A (zh) 一种饲料粉碎机
KR101665592B1 (ko) 곡물 분쇄유닛 및 이를 갖는 가정용 곡물 분쇄기
KR200393660Y1 (ko) 고추분쇄기용 분쇄롤러
CN101164697A (zh) 切碎机刀片及其制造方法
KR200384849Y1 (ko) 폐스티로폼 축소기
CN208960076U (zh) 海带粉碎机
KR101732949B1 (ko) 수목가지 파쇄 장치
KR200295212Y1 (ko) 폐각분쇄장치
CN106308578A (zh) 用于加工食品的装置和该装置的使用方法
KR100717298B1 (ko) 분쇄기용 칼날
KR200166568Y1 (ko) 다용도 조리기의 분쇄장치
KR860000857Y1 (ko) 자동 호두껍질 파쇄기
KR101915508B1 (ko) 착즙기
KR200342456Y1 (ko) 분쇄기용 칼날
US383713A (en) Vania
CN210522677U (zh) 一种用于破碎机的带刀片可调式滑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