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206A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206A
KR20150122206A KR1020157026259A KR20157026259A KR20150122206A KR 20150122206 A KR20150122206 A KR 20150122206A KR 1020157026259 A KR1020157026259 A KR 1020157026259A KR 20157026259 A KR20157026259 A KR 20157026259A KR 20150122206 A KR20150122206 A KR 2015012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ot water
cold water
water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359B1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12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5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냉수 주출 기구(8)와 온수 주출 기구(9)의 각각에, 냉수 및 온수 주출관 중에 마련한 밸브체(42)의 밸브 개방을 저지하는 록 부재(46)를 마련하며, 이 록 상태를 해제한 상태인 채로 유지하는 키 부재(50)를 마련한다. 이 키 부재(50)는, 록 해제 상태에 있어서, 록 부재(46)의 록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압입한 록 해제 버튼(49)에 접촉하여, 그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록 부재(46) 및 키 부재(50)를 양 주출 기구(8, 9)에 마련함으로써, 양 주출 기구(8, 9)의 양방을 록 상태 또는 록 해제 상태로 하고, 또는 한쪽만을 록 해제 상태로 할 수 있어, 어린 아이가 있는 등의 사용자의 사용 상황에 맞추어, 온수 및 냉수의 록 기구를 자유롭게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워터 서버이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음료수의 주출 조작을 저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한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워터 서버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에 충전한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또는, 히터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 워터 서버는 물의 안전성이나 건강 지향의 고조에 따라 병원이나 일반 가정 등 많은 장소에서 사용하도록 되고 있다.
이 워터 서버를 일반 가정이나 유치원 등과 같이 어린 아이의 손이 닿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 어린이가 부주의하게 온수 레버에 닿아 온수를 주출하는 일이 없도록,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측에 록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온수 레버를 앞쪽으로 인출한 후에, 이 온수 레버를 내린다고 하는 2단계의 조작에 의해 온수를 주출하도록 되어 있고(동문헌의 도 8, 도 9 및 단락 0072, 0073을 참조), 단순히 온수 레버를 내리는 것만으로는 온수측 개폐 밸브가 밸브 개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동문헌의 도 7 및 단락 0071을 참조). 이와 같이, 조작을 다단계로 하는 등에 의해 온수의 주출 조작을 복잡하게 함으로써, 아이에 의한 부주의한 온수의 주출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783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는, 온수의 오주출은 회피할 수 있지만, 어린 아이가 없는 가정과 같이 온수의 록 기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온수의 주출 조작을 번잡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한편,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그 아이가 냉수 레버에 닿아 마루를 물에 젖게 하여 버리는 것도 생각되며, 그와 같은 경우에는, 온수 레버뿐만 아니라 냉수 레버에도 록 기구가 필요로 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양태에 맞추어, 온수 및 냉수의 록 기구를 가능하게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기구와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기구의 각각에, 각 주출 기구의 유로 내에 마련한 밸브체의 밸브 개방을 저지하는 록 위치와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외부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록 부재와, 상기 록 부재를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와 그 유지를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외부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키 부재를 마련하여 워터 서버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냉수 주출 기구와 온수 주출 기구의 각각에 록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 등에 있어서 안심하고 또한 안전하게 이 워터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어린 아이가 없고 록 기구를 번잡하게 느끼는 사용자는 키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록 부재에 의한 록 기구를 해제할 수 있어, 주출 레버의 조작 등의 간단한 조작으로 주출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록 부재와 키 부재를 병설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리에 맞추어 이 워터 서버의 록 기구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에 의한 높은 만족도가 얻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록 부재 및 상기 키 부재를 상기 냉수 주출 기구 및 상기 온수 주출 기구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어린 아이가 없는 가정에서는, 사용 시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냉수 및 온수 모두 록 기구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냉수 및 온수의 양방에 록 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와, 온수만 록 기구가 필요하며 냉수에는 록 기구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록 기구 및 키 부재를 양 주출 기구에 대해서 개별로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워터 서버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체와 연동하는 축부에 잘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록 부재에 상기 축부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록 부재에 마련한 편향 부재의 편향력에 의해 상기 잘록부를 상기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을 저지하는 한편,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편향 부재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압입함으로써 상기 잘록부를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떼어 록이 해제된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키 부재를 상기 록 부재 또는 이 록 부재와 연동하는 부재에 상기 편향 부재의 편향력의 방향과는 반대 쪽의 방향에서 접촉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록 기구 및 록 해제 기구를 구성하면, 편향 부재의 편향력에 의해 확실하게 록 기능이 발휘된다. 한편, 그 편향력에 대항하는 키 부재를 록 부재 등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편향력에 의해 키 부재에 덜걱거림이 생기는 일 없이, 확실하게 록 해제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록 부재에 이 록 부재와 연동하는 록 해제 버튼을 마련하고, 이 록 해제 버튼에 플랜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키 부재의 걸어 맞춤 단부를 상기 플랜지부에 걸어 맞추어, 록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록 해제 버튼은 록 해제 조작 시에 사용자가 손가락끝으로 압입하는 버튼이다. 그 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크기는 적어도 사용자의 손가락끝의 크기 이상(예컨대 1 ㎝ 이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어느 정도의 크기(록 기능을 발휘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록 해제 버튼에 형성한 플랜지부와, 키 부재에 형성한 걸어 맞춤 단부를 걸어 맞추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충분한 걸어 맞춤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키 부재에 의한 록 기능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수 주출 기구 및 온수 주출 기구의 각각에 록 부재와 키 부재를 병설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족 구성 등을 고려한 구체적 사용 양태에 맞추어, 냉수 및 온수의 양방에 대해서 록 기구를 설정 또는 해제하거나, 냉수 또는 온수의 한쪽만 록 기구를 설정하고, 다른쪽은 록 기구를 해제하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든 사용자에 의한 높은 만족도가 얻어진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냉수 주출 시의 음료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온수 주출 시의 음료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온수에 의한 살균 시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기구의 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횡단면도이고, (b)는 동도 (a) 중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c)는 동도 (a) 중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기구의 록 해제 상태(비유지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기구의 록 해제 상태(유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횡단면도이고, (b)는 동도 (a) 중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c)는 동도 (a) 중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냉수 및 온수 주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실시형태를 도 1에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수납되며, 냉각된 음료수를 모아 둔 냉수 탱크(2)와, 가열된 음료수를 모아 둔 온수 탱크(3)와, 냉수 탱크(2)의 측방에 배치되고,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하는 버퍼 탱크(4)와, 냉수 탱크(2)보다 하방에 배치되며, 교환식의 원수 용기(5)를 횡 방향으로 한 상태로 수납하는 보틀 바스켓(6)과, 이 보틀 바스켓(6)을 배치하는 배치대(7)와, 냉수 주출 기구(8)와, 온수 주출 기구(9)와, 공기 살균 챔버(10)를 갖는다.
냉수 탱크(2)는, 통기관(11) 및 버퍼 탱크 급수관(12)을 통해 버퍼 탱크(4)와, 공기 도입로(13)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10)와, 원수 급출관(14)을 통해 원수 용기(5)와, 냉수 주출관(15)을 통해 냉수 주출 기구(8)와, 각각 연통하고 있다. 원수 급출관(14)에는 제1 삼방 밸브(three-way valve)(16)와 제2 삼방 밸브(1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삼방 밸브(16, 17)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살균용 배관(18) 및 제2 살균용 배관(19)으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원수 용기(5) 내의 음료수를 원수 급출관(14)으로부터 냉수 탱크(2)로 이송하고 냉수 및 온수의 주출을 가능하게 하는 통상 유로와, 후술하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5)로부터 원수 급출관(14)으로의 유로 및 원수 급출관(14)으로부터 냉수 탱크(2)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원수 급출관(14)-제1 살균용 배관(18)-버퍼 탱크(4)-온수 탱크 급수관(20)-온수 탱크(3)-제2 살균용 배관(19)-원수 급출관(14)의 폐쇄 루프로 이루어지는 살균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삼방 밸브(16, 17)는 전자 밸브로서, 통전함으로써 살균 유로로 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통상 유로로 할 수 있다. 도 1 등에 있어서는, 제1 삼방 밸브(16)와 제2 삼방 밸브(17)를 각각 단일의 밸브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이방 밸브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냉수 탱크(2) 내의 상부에는 안내판(2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안내판(21)에는, 원수 급출관(14)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의 흐름을 수평 방향의 흐름으로 바꾸는 슬로프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판(21)을 마련함으로써, 이 냉수 탱크(2)에 공급된 음료수가 냉수 탱크(2) 전체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냉수 탱크(2) 하부의 냉수의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냉수 탱크(2) 내에는 모인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2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22)로 검지한 수위가 소정값 이하로 내려가면, 원수 급출관(14)에 마련한 펌프(23)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5)로부터 냉수 탱크(2)로의 음료수의 이송이 행해진다. 이 냉수 탱크(2)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2리터∼4리터 정도이다.
이 펌프(23)로서, 예컨대,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을 증감시키고 이 증감에 따라 음료수를 흡입·토출하는 다이어프램 펌프나, 한쌍의 기어의 이홈과 펌프의 케이싱의 내면 사이에 갇힌 음료수를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송하는 기어 펌프를 채용할 수 있다. 이 펌프(23)의 토출구측에는 유량 센서(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유량 센서(24)로 원수 용기(5)의 원수가 없어진 것을 검지하면,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에 의해 사용자에게 그것이 통지된다. 이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는 냉각 장치(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냉각 장치(25)로,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5℃ 정도로 냉각된다.
버퍼 탱크(4)는, 통기관(11) 및 버퍼 탱크 급수관(12)을 통해 냉수 탱크(2)와, 제1 살균용 배관(18)을 통해 제1 삼방 밸브(16)와, 온수 탱크 급수관(20)을 통해 온수 탱크(3)와, 각각 연통하고 있다. 버퍼 탱크 급수관(12)의 버퍼 탱크(4)측의 단부에는 플로트 밸브(26)가 마련되고, 냉수 탱크(2)로부터 이송된 음료수의 수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이 플로트 밸브(26)에 의해 상기 단부가 막혀, 이 버퍼 탱크(4) 내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측으로 역류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로트 밸브(26)를 마련함으로써, 온수가 온수 탱크 급수관(20)을 통하여 온수 탱크(3)로부터 버퍼 탱크(4)로 역류해 온 경우에, 이 온수가 더욱 버퍼 탱크 급수관(12)을 통하여 냉수 탱크(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온수 순환에 의한 살균 시에, 버퍼 탱크(4) 내의 온수가 냉수 탱크(2)로 역류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수 탱크(2) 중의 냉수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이 온도 상승에 따라 냉수 탱크 내에 잡균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 탱크(4)의 하부는 하방일수록 직경 축소된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온수 순환에 의한 살균 시에, 버퍼 탱크(4) 하부의 구석에 음료수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버퍼 탱크(4)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0.2리터∼0.5리터 정도이다.
온수 탱크(3)는, 온수 탱크 급수관(20)을 통해 버퍼 탱크(4)와, 제2 살균용 배관(19)을 통해 제2 삼방 밸브(17)와, 온수 주출관(27)을 통해 온수 주출 기구(9)와, 각각 연통하며, 또한 온수 탱크(3) 내의 잔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28)에 접속되어 있다. 잔수의 배출 작업 시 이외에는, 드레인관(28)의 출구에는 플러그(2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온수 탱크(3) 내에는 히터(30)가 마련되며, 이 히터(30)로 음료수가 가열된다. 가열된 음료수의 온도는 온수 탱크(3)의 벽면에 마련된 온도 센서(31)에 의해 검지된다. 이 온수 탱크(3)는 냉수 탱크(2) 및 버퍼 탱크(4)와 상이하며, 전체가 음료수로 채워진 밀폐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온수 탱크(3)보다 위에 마련된 버퍼 탱크(4) 내의 음료수의 무게에 의해 온수 탱크(3) 내가 가압되며, 그 가압에 의해 온수 주출 기구(9)로부터 온수의 주출이 이루어진다. 이 온수 탱크(3)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1리터∼2리터 정도이다. 이 예에서는, 히터(30)로서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이용하였지만, 온수 탱크(3)의 외주에 밴드 히터(band heater)를 휘감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보틀 바스켓(6)에 수납한 원수 용기(5)에는 수출구(32)가 마련되어 있고, 이 수출구(32)에 원수 급출관(14)의 조인트부(33)가 횡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 조인트부(33)는 중공 통형의 부재로서, 음료수를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음료수를 이송하는 펌프(23)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조인트부(33)의 근방에는 가이드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34)에 의해, 조인트부(33)에 수출구(32)를 삽입할 때에, 양자의 축심이 동축이 되도록 원수 용기(5)가 안내된다. 이 보틀 바스켓(6)을 배치하는 배치대(7) 하측 및 케이스(1)의 바닥판 상에는 롤러(3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롤러(35)가 회전함으로써, 원수 용기(5)를 수납한 보틀 바스켓(6)을 용이하게 케이스(1) 내에 셋트하고, 또는 케이스(1) 내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이 보틀 바스켓(6)에는 손잡이(36)가 마련되어 있어, 이 손잡이(36)를 쥐고 보틀 바스켓(6)을 용이하게 배치대(7)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원수 용기(5)는 얇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나 폴리에틸렌(PE) 수지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타입의 것이다. 이 종류의 원수 용기(5)는 비교적 유연성이 풍부하며, 음료수의 이송과 함께 휘어 그 내부용적이 감소한다. 원수 용기(5)에는, 일반적으로, 신품 시에 10리터∼12리터의 음료수가 충전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원수 용기(5)에 소프트 타입의 것을 채용하였지만, 음료수를 이송하여도 그 용적이 변하지 않는 하드 타입의 것이나, 가요성이 높은 수지 필름제의 주머니를 마분지 상자 등의 상자체에 수용한 백 인 박스 타입의 것도 채용할 수 있다.
공기 살균 챔버(10)는, 공기 취입구(37) 및 오존 출구(38)를 형성한 중공의 케이스(39)와, 그 케이스(39) 내에 공기 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바꾸는 오존 발생체(40)를 가지고 있다. 이 오존 출구(38)는 공기 도입로(13)를 통해 냉수 탱크(2)와 연통하고 있다. 발생한 오존을 냉수 탱크(2) 및 버퍼 탱크(4)의 기상 부분에 보내어, 이들의 살균을 행함으로써, 이 냉수 탱크(2) 및 버퍼 탱크(4) 내의 위생도를 높이고 있다. 오존 발생체(40)로서, 저압 수은등이나 무성 방전 장치(silent discharg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냉수의 주출 시는, 양 삼방 밸브(16, 17)로의 통전을 해제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삼방 밸브(16)에 대해서 원수 급출관(14)으로부터 냉수 탱크(2)를 향하는 유로를 확보하며, 제2 삼방 밸브(17)에 대해서 원수 용기(5)로부터 원수 급출관(14)을 향하는 유로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냉수의 주출이 가능한 통상 유로가 구성된다. 여기서, 냉수 주출 기구(8)를 조작하면, 이 냉수 주출 기구(8)로부터 냉수가 주출된다. 이 냉수의 주출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의 수위 저하가 수위 센서(22)에 의해 검지되면, 펌프(23)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5)로부터 냉수 탱크(2)로의 음료수의 이송이 행해진다. 이 이송에 의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회복된다.
온수의 주출 시는, 양 삼방 밸브(16, 17)로의 통전을 해제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삼방 밸브(16)에 대해서 원수 급출관(14)으로부터 냉수 탱크(2)를 향하는 유로를 확보하며, 제2 삼방 밸브(17)에 대해서 원수 용기(5)로부터 원수 급출관(14)을 향하는 유로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온수의 주출이 가능한 통상 유로가 구성된다. 여기서, 온수 주출 기구(9)를 조작하면, 이 온수 주출 기구(9)로부터 온수가 주출된다. 이 온수의 주출에 따라 온수 탱크(3) 내의 온수가 감소하면, 그 감소분만큼 버퍼 탱크(4)로부터 온수 탱크 급수관(20)을 통하여 음료수가 즉시 보급된다. 그렇게 되면, 이 버퍼 탱크(4) 내의 수위가 저하하고, 이 저하에 따라 버퍼 탱크 급수관(12)에 마련한 플로트 밸브(26)가 개방되며, 냉수 탱크(2)로부터 이 버퍼 탱크 급수관(12)을 통하여, 플로트 밸브(26)가 폐쇄되는 수위가 될 때까지 버퍼 탱크(4)에 음료수가 보급된다. 이 보급에 따라 냉수 탱크(2) 내의 수위 저하가 수위 센서(22)에 의해 검지되면, 펌프(23)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5)로부터 냉수 탱크(2)로의 음료수의 이송이 행해진다. 이 이송에 의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회복된다.
온수 순환에 의한 살균 시는, 양 삼방 밸브(16, 17)에 통전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삼방 밸브(16)에 대해서 원수 급출관(14)으로부터 버퍼 탱크(4)를 향하는 유로를 확보하며, 제2 삼방 밸브(17)에 대해서 온수 탱크(3)로부터 원수 급출관(14)을 향하는 유로를 확보한다. 이에 의해, 원수 급출관(14)-제1 살균용 배관(18)-버퍼 탱크(4)-온수 탱크 급수관(20)-온수 탱크(3)-제2 살균용 배관(19)-원수 급출관(14)의 폐쇄 루프로 이루어지는 살균 유로가 구성된다. 여기서, 펌프(23)로 살균 유로 내의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이 살균 유로 내의 살균을 행할 수 있다. 이 온수가 살균에 유효한 소정 이상의 온도(예컨대 85℃)를 유지하도록, 적절하게 히터(30)를 작동시킨다. 이 살균 시에 펌프(23)를 적절하게 정지하는 것도 허용된다. 이 살균 유로 내에 소정 온도 이상의 온수가 체류하기만 하면, 충분한 살균 작용이 발휘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살균 유로는 냉수 탱크(2)를 경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냉수가 데워지는 일이 없어, 온수 순환에 의한 살균 시에 있어서도, 사용자에게 저온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기구(8)를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다. 또한, 도 8에서는, 도면이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수 주출 기구(8)에 관한 부품의 일부를 생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 냉수 주출 기구(8)는, 냉수 주출관(15)에 접속된 꼭지 본체(faucet body)(41)와, 이 꼭지 본체(41) 내에 형성된 냉수 유로 내에 마련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밸브체(42)와, 이 밸브체(42)를 개폐하는 꼭지 스템(43)과, 이 꼭지 스템(43)을 밸브 폐쇄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꼭지 스프링(44)과, 꼭지 스템(43)을 꼭지 스프링(4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밸브 개방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꼭지 레버(45)와, 꼭지 스템(43)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록 부재(46)와, 이 록 부재(46)를 록 위치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인 록 스프링(47)과, 록 부재(46)를 록 스프링(47)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록 해제 방향으로 압입하는 꼭지 버튼(48)과, 이 꼭지 버튼(48)에 씌워지도록 마련되는 록 해제 버튼(49)과, 이 록 해제 버튼(49)에 걸어 맞추어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키 부재(50)를 갖는다.
이 냉수 주출 기구(8)의 록 상태(도 5를 참조)에 있어서는, 꼭지 스프링(44)의 편향력에 의해, 꼭지 본체(41)의 유로 내에 형성된 밸브 시트(51)에 밸브체(42)가 접촉하여, 냉수 출구(52a)로부터 냉수가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꼭지 스템(43)의 축부(53)에는 이 축부(53)의 직경보다 소직경의 잘록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록 부재(46)에는 이 꼭지 스템(43)의 축부(53)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5)은, 축부(53)의 직경보다 대직경의 주구멍(55a)과, 축부(53)의 직경보다 소직경으로서 주구멍(55a)과 연통하는 부구멍(55b)으로 구성된다. 록 상태에 있어서는, 잘록부(54)가 부구멍(55b)의 가장자리에 걸어 맞춰져 있어, 축부(53)를 그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즉, 이 축부(53)와 연동하는 밸브체(42)를 밸브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구멍(55a)보다 소직경의 부구멍(55b)에 잘록부(54)를 걸도록 하면, 이 부구멍(55b) 에 의한 잘록부(54)의 걸림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이 잘록부(54)가 확실하게 걸려, 확실한 록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걸림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부구멍(55b)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며, 주구멍(55a)의 가장자리에 잘록부(54)를 걸리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록 부재(46)에 관통 구멍(55)을 형성하지 않고, 이 록 부재(46)의 가장자리에 잘록부(54)를 걸리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록 상태에 있어서, 록 부재(46) 및 꼭지 버튼(48)과 연동하는 록 해제 버튼(49)을 록 스프링(47)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압입함으로써, 잘록부(54)가 부구멍(55b) 내로부터 주구멍(55a) 내로 상대 이동하여, 축부(53)가 그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록 해제 상태가 된다(도 6을 참조). 이 록 해제 상태에서, 꼭지 레버(45)의 하단측을 안쪽 방향으로 압입하면, 이 꼭지 레버(45)의 상단측을 받침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이 상단측에 고정된 꼭지 스템(43)이 꼭지 스프링(4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들어올린다. 그렇게 되면, 꼭지 스템(43)의 하단에 마련한 밸브체(42)가 탄성 변형하여, 이 밸브체(42)의 하부와 밸브 시트(51)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를 통하여 냉수가 주출된다.
키 부재(50)는 기초부(56)의 상하단 부근으로부터 수평으로 2개의 걸어 맞춤 단부(57a, 57b)가 돌출한 ㄷ자형을 한 부재이다. 이 기초부(56)의 하단에는, 이 키 부재(50)를 슬라이드시킬 때에 잡는 슬라이드 손잡이(58)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나타낸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록 해제 버튼(49)을 압입한 상태로, 슬라이드 손잡이(58)를 잡아 키 부재(50)를 슬라이드시킨다. 그리고, 록 부재(46)와 연동하는 록 해제 버튼(49)에 형성한 플랜지부(59)에, 키 부재(50)의 걸어 맞춤 단부(57a, 57b)를 록 스프링(47)의 편향력의 방향과는 반대 쪽의 방향에서 접촉시킨다(도 7을 참조). 이에 의해, 록 부재(46)가 재차 록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키 부재(50)로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 시에 록 해제 버튼(49)을 눌러 록 해제 조작을 행하는 일없이, 꼭지 레버(45)의 조작만으로, 냉수 출구(52a)로부터 냉수를 주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린 아이가 없는 가정 등과 같이 록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이 대폭 높아진다.
이 슬라이드 손잡이(58)는, 도 5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터 서버의 전방면의 장식 커버(60)에 형성한 긴 구멍으로부터, 조작을 위해 필요 최소한의 길이(수 밀리∼10수 밀리미터 정도)만큼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량을 이 정도로 억제함으로써, 어린 아이가 이 슬라이드 손잡이(58)를 멋대로 조작하거나, 주출 조작 시에 부주의하게 이 슬라이드 손잡이(58)에 접촉하거나 하여, 록 상태가 변경되는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냉수 주출 기구(8)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온수 주출 기구(9)에 대해서도, 완전히 동일한 록 부재(46) 및 키 부재(50)에 의한 록 해제 기구를 마련하여, 온수 출구(52b)로부터의 주출을 규제할 수 있다. 이 록 해제 기구를 냉수 주출 기구(8)와 온수 주출 기구(9)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마련함으로써, 냉수 및 온수 주출 기구(8, 9)의 양방의 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도 9의 (a)를 참조], 냉수 및 온수 주출 기구(8, 9) 모두 록 기능을 해제해 두는 것[도 9의 (b)를 참조], 냉수 또는 온수 주출 기구(8, 9) 중 어느 한쪽의 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온수측을 록 상태로 한 도 9의 (c)를 참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워터 서버를 모든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성이 좋고, 또한 안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록 해제 버튼(49)에 형성한 플랜지부(59)에 키 부재(50)의 걸어 맞춤 단부(57a, 57b)가 접촉하여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 록 해제 버튼(49)과 연동하는 꼭지 버튼(48) 또는 록 부재(46)에, 이 키 부재(50)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키 부재(50)의 형상은 ㄷ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록 해제 상태의 유지 기능이 발휘되는 한에 있어서 적절하게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2), 온수 탱크(3), 및 버퍼 탱크(4)의 3탱크를 구비한 워터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록 해제 기구는, 예컨대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3)를 구비하고 버퍼 탱크(4)를 갖지 않는 2탱크식의 워터 서버 등, 다른 형식의 워터 서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워터 서버의 하부에 원수 용기(5)를 횡 배치로 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원수 용기(5)의 배치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워터 서버의 상부에 원수 용기(5)를 설치하거나, 이 원수 용기(5)를 종 배치로 하거나 하는 경우라도, 본원 발명에 따른 록 해제 기구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케이스
2 냉수 탱크
3 온수 탱크
4 버퍼 탱크
5 원수 용기
6 보틀 바스켓
7 배치대
8 냉수 주출 기구
9 온수 주출 기구
10 공기 살균 챔버
11 통기관
12 버퍼 탱크 급수관
13 공기 도입로
14 원수 급출관
15 냉수 주출관
16 제1 삼방 밸브
17 제2 삼방 밸브
18 제1 살균용 배관
19 제2 살균용 배관
20 온수 탱크 급수관
21 안내판
22 수위 센서
23 펌프
24 유량 센서
25 냉각 장치
26 플로트 밸브
27 온수 주출관
28 드레인관
29 플러그
30 히터
31 온도 센서
32 수출구
33 조인트부
34 가이드 부재
35 롤러
36 손잡이
37 공기 취입구
38 오존 출구
39 케이스
40 오존 발생체
41 꼭지 본체
42 밸브체
43 꼭지 스템
44 꼭지 스프링
45 꼭지 레버
46 록 부재
47 록 스프링(편향 부재)
48 꼭지 버튼
49 록 해제 버튼
50 키 부재
51 밸브 시트
52a 냉수 출구
52b 온수 출구
53 축부
54 잘록부
55 관통 구멍
55a 주구멍
55b 부구멍
56 기초부
57(57a, 57b) 걸어 맞춤 단부
58 슬라이드 손잡이
59 플랜지부
60 장식 커버

Claims (4)

  1. 냉수를 주출하는 냉수 주출 기구(8)와 온수를 주출하는 온수 주출 기구(9)의 각각에, 각 주출 기구(8, 9)의 유로 내에 마련한 밸브체(42)의 밸브 개방을 저지하는 록 위치와 상기 밸브체(42)의 밸브 개방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외부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록 부재(46)와, 상기 록 부재(46)를 상기 록 해제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와 그 유지를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외부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키 부재(50)를 마련한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46) 및 상기 키 부재(50)를 상기 냉수 주출 기구(8) 및 상기 온수 주출 기구(9)의 각각에 대해서 개별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인 워터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42)와 연동하는 축부(53)에 잘록부(54)를 형성하고 상기 록 부재(46)에 상기 축부(53)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55)을 형성하여, 상기 록 부재(46)에 마련한 편향 부재(47)의 편향력에 의해 상기 잘록부(54)를 상기 관통 구멍(55)의 가장자리에 걸어 상기 밸브체(42)의 밸브 개방을 저지하는 한편, 상기 록 부재(46)를 상기 편향 부재(47)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압입함으로써 상기 잘록부(54)를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떼어 록이 해제된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키 부재(50)를 상기 록 부재(46) 또는 이 록 부재(46)와 연동하는 부재에 상기 편향 부재(47)의 편향력의 방향과는 반대 쪽의 방향에서 접촉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인 워터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46)에 이 록 부재(46)와 연동하는 록 해제 버튼(49)을 마련하고, 이 록 해제 버튼(49)에 플랜지부(59)를 형성하며, 상기 키 부재(50)의 걸어 맞춤 단부(57)를 상기 플랜지부(59)에 걸어 맞추어 록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인 워터 서버.
KR1020157026259A 2013-02-28 2013-11-27 워터 서버 KR102179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9212A JP5529309B1 (ja) 2013-02-28 2013-02-28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JP-P-2013-039212 2013-02-28
PCT/JP2013/081928 WO2014132507A1 (ja) 2013-02-28 2013-11-27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06A true KR20150122206A (ko) 2015-10-30
KR102179359B1 KR102179359B1 (ko) 2020-11-16

Family

ID=5117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259A KR102179359B1 (ko) 2013-02-28 2013-11-27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9541A1 (ko)
EP (1) EP2962983A4 (ko)
JP (1) JP5529309B1 (ko)
KR (1) KR102179359B1 (ko)
CN (1) CN105008266B (ko)
TW (1) TWI592359B (ko)
WO (1) WO2014132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9314B1 (ja) * 2013-03-07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6113173A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ジャパンボトルドウォーター 飲料サーバー
KR101674094B1 (ko) * 2015-10-02 2016-11-09 (주)원봉 냉온수기
JP6005240B1 (ja) * 2015-10-14 2016-10-12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815193B2 (ja) * 2016-12-27 2021-01-20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814052B2 (ja) * 2017-01-18 2021-01-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11009278B2 (en) 2018-12-10 2021-05-18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ice dispenser
US10845117B2 (en) 2018-12-10 2020-11-2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variable fluid dispenser
US11800890B2 (en) * 2020-03-02 2023-10-31 Sorting Robotics, Inc. Automated deposition of highly viscous fluids into thin-walled cylinders
CN111839230A (zh) * 2020-08-26 2020-10-30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即冷即热饮水装置及即冷即热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1124A1 (en) * 2001-07-02 2003-01-02 Chih-Hsien Chen Safety device of water faucet
WO2007019320A1 (en) * 2005-08-05 2007-02-15 Johnsondiversey, Inc. Dispensing apparatus
US20100243683A1 (en) * 2009-03-31 2010-09-30 Yui George M Water dispenser faucet actuators
JP2010247838A (ja) 2009-04-10 2010-11-04 Tsunehisa Chiba 飲料水供給装置
US9422145B2 (en) * 2013-11-05 2016-08-23 Mtn Products, Inc. Child safety fauce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029A (ja) * 1998-03-04 1999-09-14 Kvk Corp 給水栓ハンドルのロック機構
AUPQ270399A0 (en) * 1999-09-08 1999-09-30 Australian Dynamic Products Pty. Ltd. Tap
CN2451829Y (zh) * 2000-11-13 2001-10-03 于乔治 安全水龙头
JP3683214B2 (ja) * 2001-12-20 2005-08-17 オルゴ株式会社 液体容器
AU2003304207A1 (en) * 2003-06-12 2005-01-04 Byung-Tae Chae Beverage dispensing valve
JP2005249266A (ja) * 2004-03-03 2005-09-1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9150453A (ja) * 2007-12-19 2009-07-09 Deto Co Ltd 吐出コック
KR100896798B1 (ko) * 2008-05-21 2009-05-12 우미화 정수기용 이중 안전 코크
US8418992B2 (en) * 2009-03-16 2013-04-16 The Meyer Company Faucet with locking safety handle
US20100252585A1 (en) * 2009-04-01 2010-10-07 Yui George M Water probe for bottom loading water cooler
CN102401181B (zh) * 2010-09-14 2015-06-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烫水龙头及饮水机
JP5598445B2 (ja) * 2011-08-04 2014-10-01 静夫 大垣内 混合吐水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1124A1 (en) * 2001-07-02 2003-01-02 Chih-Hsien Chen Safety device of water faucet
WO2007019320A1 (en) * 2005-08-05 2007-02-15 Johnsondiversey, Inc. Dispensing apparatus
US20100243683A1 (en) * 2009-03-31 2010-09-30 Yui George M Water dispenser faucet actuators
JP2010247838A (ja) 2009-04-10 2010-11-04 Tsunehisa Chiba 飲料水供給装置
US9422145B2 (en) * 2013-11-05 2016-08-23 Mtn Products, Inc. Child safety fauc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9541A1 (en) 2016-01-14
CN105008266A (zh) 2015-10-28
EP2962983A1 (en) 2016-01-06
JP2014166862A (ja) 2014-09-11
TW201433538A (zh) 2014-09-01
JP5529309B1 (ja) 2014-06-25
EP2962983A4 (en) 2016-06-08
KR102179359B1 (ko) 2020-11-16
WO2014132507A1 (ja) 2014-09-04
TWI592359B (zh) 2017-07-21
CN105008266B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2206A (ko) 워터 서버
KR102138954B1 (ko) 워터 서버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US20160052769A1 (en) Water dispenser
US20150048116A1 (en) Water server
JP2009526189A (ja) 流体用の滴下防止分配弁
US20150053597A1 (en) Water dispenser
KR20150127111A (ko) 워터 서버
KR102090854B1 (ko) 워터 서버
KR20150070188A (ko) 워터 서버
US20150060490A1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447663B1 (ko) 열쇠 부착 워터 서버
EP2980012A1 (en) Water server
JP2017074989A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205546B2 (ja) 液体供給装置
KR20150124975A (ko) 워터 서버
KR20180076333A (ko)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JP6763666B2 (ja) 液体サーバー
JP2014028648A (ja) 容器の液体送出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14072354A (zh) 饮料机
KR101654065B1 (ko) 정수기
JP2014008979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の袋に飲料水を封入した水袋を用いる給水機
ITRN20110003U1 (it) Erogatore per bev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