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555A -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 Google Patents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555A
KR20150121555A KR1020140047581A KR20140047581A KR20150121555A KR 20150121555 A KR20150121555 A KR 20150121555A KR 1020140047581 A KR1020140047581 A KR 1020140047581A KR 20140047581 A KR20140047581 A KR 20140047581A KR 20150121555 A KR20150121555 A KR 20150121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bucket
movable
magnetic force
material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181B1 (ko
Inventor
허인순
김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4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18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 궤도로 이루어진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버켓; 상기 버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원료배출부재; 상기 원료배출부재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상기 버켓 외부에 설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를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버켓 외부에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형성된 자력구동부재;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자력구동부재의 자극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체인컨베이어의 원료 배출 구간에 설치되는 자력 구동식 배출구조와 인력 또는 척력 작용에 의하여 구동하는 원료배출판의 상호 작동에 의하여 원료 배출구간 내에서 버켓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원료를 배출 방향으로 강제로 밀어 주도록 함으로써 버켓 내부의 원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료가 남김없이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하역량을 확인 또는 산출하여 체계적인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시간 내에 원료를 하역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체선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Magnetic force-powered docks cost raw material bucket with automatic ejection device structure}
본 발명은 하역장비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컨베이어의 원료 배출 구간에 설치되는 자력 구동식 배출장치에 의하여 버켓의 내부의 원료를 남김 없이 자동으로 배출시켜 하역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발전소나 제철소에는 하역장에 적재된 원료(광석 또는 석탄 등)를 운반하기 위해 순환궤도형 하역장비의 버켓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7471호(2007.11.28)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하역장비용 버켓은 원료를 퍼담아 하역하는 과정에서 버켓의 내부, 즉 버켓 내부 바닥면과 바닥 측면 및 모서리 쪽에 원료가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아 원료가 정량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원료의 하역량을 정확히 산출 확인할 수 없게 되므로 하역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배출되지 못하고 버켓 내부의 잔여 원료로 인해 정해진 시간 내에 정량의 원료를 하역할 수 없으므로 체선료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다른 원료를 하역하기 위하여 버켓의 내부에 남아 있는 원료를 제거하기 위한 시간과 인력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하역장비를 일정기간 정지시켜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4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버켓의 내부에 부착되어 고착되어 있는 원료를 체인컨베이어의 원료 배출 구간에 설치되는 자력 구동식 배출장치와 인력 또는 척력 작용에 의하여 버켓의 내부의 원료를 배출 방향으로 강제로 밀어 주도록 함으로써 버켓 내부의 원료가 남김없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하역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는,
순환 궤도로 이루어진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버켓; 상기 버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원료배출부재; 상기 원료배출부재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상기 버켓 외부에 설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를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버켓 외부에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형성된 자력구동부재;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자력구동부재의 자극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료배출부재는 상기 버켓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원료배출판 저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버켓 바닥면을 관통하여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 타단부에 형성되는 종동캠과, 상기 가동로드를 외향 탄발시키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력구동부재는 상기 가동로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버켓에 설치되는 왕복로드와, 상기 종동캠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로드를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캠과, 상기 왕복로드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가지는 가동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발생부재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에 상기 가동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N극, S극이 교호되게 배열되는 고정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왕복로드는 상기 가동자석 및 고정자석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석은 상기 왕복로드의 양단부에 동일한 자극을 갖는 한 쌍의 자석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석은 한 쌍으로 되어 상기 버켓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가동자석의 자극에 대해 동일한 자극 또는 반대 자극이 서로 엇갈려 교호되게 형성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기 왕복로드가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료배출부재는 상기 버켓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원료배출판 저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버켓 바닥면을 관통하여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 타단부에 힌지 조립되고, 중간부는 상기 버켓에 힌지 조립되며, 상기 가동로드를 외향 탄발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구동부재는 상기 회동링크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가지는 가동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력발생부재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에 상기 가동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자극이 배열되거나 또는 N극, S극이 교호되게 배열되는 고정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자석은 원료 배출초기구간에는 N극, S극이 좁은 간격으로 교호되게 배열되다가 원료 배출중간구간으로 갈수록 점차 넓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교호되게 형성되고, 원료 배출종료구간에는 상기 가동자석의 자극과 대응하여 척력이 발생되게 하는 N극,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배열 형성되며, 마지막 종료 시점에서 상기 극, S극이 다시 좁은 간격으로 교호되게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의 세기가 원료배출초기구간에서 원료배출종료구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인컨베이어의 원료 배출 구간에 설치되는 자력 구동식 배출구조와 인력 또는 척력 작용에 의하여 구동하는 원료배출판의 상호 작동에 의하여 원료 배출구간 내에서 버켓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원료를 배출 방향으로 강제로 밀어 주도록 함으로써 버켓 내부의 원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료가 남김없이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켓의 내부에 고착되거나 남아있는 원료를 원활하게 배출시켜 정확한 하역량을 확인 또는 산출하여 체계적인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시간 내에 원료를 하역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체선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불필요하게 대용량의 버켓을 제작하면서 발생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원료 배출과정을 나타낸 하역장비의 개략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자력구동부재 및 자력발생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원료 배출과정을 나타낸 하역장비의 일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원료 배출과정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하역장비의 일부 측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원료 배출과정을 나타낸 하역장비의 일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자력구동부재 및 자력발생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는 기본 구성으로서, 버켓(B)이 체인 컨베이어(C)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순환 궤도를 그리면서 반복 회전함으로써 하역장의 석탄, 광물 등의 원료를 담아 원하는 장소로 정량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버켓(B)에 의해 원료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 버켓(B) 내부에 담겨진 원료가 내부 바닥이나 측벽에 부착되어 잔류하지 않고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순환 궤도로 이루어진 체인 컨베이어(C)에 설치되는 다수의 버켓(B); 상기 버켓(B)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원료배출부재(10); 상기 원료배출부재(1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상기 버켓(B) 외부에 설치되는 가동부재(20); 상기 가동부재(20)를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버켓(B) 외부에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형성된 자력구동부재(30); 및 상기 체인 컨베이어(C)의 배출 구간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자력구동부재(30)의 자극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체인 컨베이어(C)의 배출 구간에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자력발생부재(40)를 설치하여 N극 또는 S극을 발생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 인력과 척력의 교호적인 작용에 의하여 상기 자력구동부재(30)가 상기 버켓(B) 내부에 장착된 원료배출판(11)을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버켓(B) 내부의 원료가 완전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배출부재(10)는 상기 버켓(B)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원료배출부재(10)는 상기 버켓(B) 바닥면에 대응되는 외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버켓(B)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기 원료배출판(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료배출판(11)은 표면에 석탄이나 광물 등이 달라 붙어 고착되지 않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금속(스테인레스판) 또는 강화합성수지(나이론) 등으로 이루어지고, 표면 조도가 매우 양호하게 후가공 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20)는 상기 원료배출판(11)을 원료 배출 방향으로 밀어 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형이나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부가 상기 원료배출판(11)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가동로드(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로드(21)는 상기 버켓(B)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조립된 부위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부싱이나 슬라이드 베어링 등이 조립되어 왕복 이동을 원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21) 타단부에는 종동캠(22)이 형성되는데, 이 종동캠(22)은 중앙부위가 돌출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로 경사지게 이루어진 구성이다.
따라서, 종동캠(22)은 후술된 구동캠(32)의 캠면과 접촉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21)의 외측에는 탄성체(S1)가 외향 탄발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가동로드(21)가 종동캠(22)과 구동캠(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원료배출판(11)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상승된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자력구동부재(30)는 상기 자력발생부재(40)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N극 또는 S극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자력구동부재(30)는 상기 가동로드(2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버켓(B) 저면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자력구동부재(30)는 상기 가동로드(21)와 직교되는 방향(도면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버켓(B) 저면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34)에 설치되는 왕복로드(3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로드(31)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가지는 가동자석(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가동자석(33)은 왕복로드(31)의 외측 단부에서 후술된 고정자석(41)과 서로 마주 보도록 조립되어 동일 자극에 의해 서로 척력에 의해 반발됨으로써 가동자석(33)이 왕복로드(31)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왕복로드(31)에는 제2탄성체(S2)가 더 구비되어 왕복로드(3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탄성체(S2)는 상기 왕복로드(31)가 상기 가동자석(33) 및 고정자석(41)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탄성체(S2)와 상기 탄성체(S1)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 이외에도 상기 가동로드(21)와 왕복로드(31)를 원위치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형태라도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왕복로드(31) 일측에 상기 지지프레임(34) 외측면 접촉되는 스토퍼(31a)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1a)는 상기 왕복로드(31)의 좌,우 이동폭을 제한하여 특히 가동자석(33)과 고정자석(41)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반복하여 작용할 때 서로 부딪치지 않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왕복로드(31)가 안정적으로 좌,우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토퍼(31a)와 지지프레임(34) 사이에는 완충재(미도시)가 개재되어 스토퍼(31a)가 지지프레임(34) 외측면에 반복적으로 접촉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4) 단부에 형성되는 보스(34a) 내부에는 상기 왕복로드(31)가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는 마찰 부위에는 미끄럼 마찰을 위한 부싱 또는 슬라이드베어링과 같은 슬립부재(31b)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캠(32)은 외면이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종동캠(22)의 캠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구동캠(32)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구동캠(32)의 상사점(외경이 가장 큰 지점)과 하사점(외경이 가장 작은 지점)의 높이 차이에 의해 종동캠(22)이 상,하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버켓(B)이 원료배출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동로드(21) 및 원료배출판(11)이 원료 배출 방향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써 버켓(B) 내부의 원료를 강제로 밀어 완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부재(40)는 상기 체인 컨베이어(C)의 배출 구간에 상기 가동자석(3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배열되는 다수의 고정자석(4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자석(41)은 가동자석(33)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버켓(B)이 순환되는 회전 곡률에 대응되는 형상(대략 부채꼴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석(41)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경우 N극과 S극의 단위고정자석이 교호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배열되고 가동자석(33)은 N극 또는 S극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지도록 되어 상기 가동자석(33)이 고정자석(41)에 근접된 상태로 지나면서 고정자석(41)과 가동자석(33)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왕복로드(31)는 인력과 척력이 작용할 때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구동캠(32)은 종동캠(22)과 접촉되므로 상기 가동로드(21)와 원료배출판(11)은 버켓(B)이 배출구간을 통과하는 동안 원료 배출 방향으로 상,하 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B)이 원료를 담고 수직으로 이동하다가 배출초기구간에 진입하면 버켓(B)은 수직 상태에 있다가 점차 옆으로 자세가 바뀌게 되면서 원료 자중에 의해 눌려져 있던 원료배출판(11)이 유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원료배출초기구간에 진입된 버켓(B)은 점차 원료배출중간구간을 거쳐 원료배출종료구간을 지나는 동안 원료배출판(11)이 수차례 원료배출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물론 원료배출 초기구간에서는 버켓(B) 내부의 원료가 남아 있는 상태이므로 원료배출판(11)의 왕복 이동 정도는 미약할 수 있으나, 원료배출 중간구간으로 진입되면서 버켓(B)이 거꾸로 자세가 바뀌게 되면 내부의 원료의 대부분은 배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가동자석(33)과 고정자석(41) 사이에 발생된 인력과 척력에 의해 원료배출판(11)은 왕복 이동 작동이 보다 활발해짐으로써 버켓(B) 바닥쪽에 남아 있던 원료는 원료배출판(11)의 왕복 이동에 의해서 완전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원료배출종료구간을 통과한 버켓(B)은 자세가 뒤집혀진 상태가 되고, 가동자석(33)은 고정자석(41) 설치 구간에서 벗어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원료배출판(11)은 탄성체(S1)에 의해 원위치되어 버켓(B)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왕복로드(31) 또한 제2탄성체(S2)에 의해 원 위치됨으로써 원료가 쌓여 있는 하역장으로 순환하면서 정량의 원료를 담아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석(33)은 상기 왕복로드(31)의 양단부에 동일한 자극을 갖는 한 쌍의 자석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석(41)은 한 쌍으로 되어 상기 버켓(B)(B)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구동캠(32)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종동캠(22)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석(41)의 자극은 상기 가동자석(33)의 자극에 대해 동일한 자극 또는 반대 자극이 서로 엇갈려 교호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오른쪽의 고정자석(41)이 S극일 때 이와 마주하는 왼쪽의 고정자석(41)은 N극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동자석(33)은 고정자석(41)의 N극과 S극을 지나면서 이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기 왕복로드(31)가 제2탄성체(S2) 없이도 왕복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을 조밀하게 구성하면 가동자석(33)의 왕복 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원료배출판(11)을 바이브레이터와 같이 진동 방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을 넓게 구성하면 가동자석(33)의 왕복 이동 횟수가 줄어들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자석(41)의 S극이나 N극의 구간을 늘려주게 되면 가동자석(33)은 인력에 의해 당겨지거나 척력에 의해 밀려지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원료배출판(11)이 원료배출방향 쪽으로 치우져 있거나 바닥판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배열 상태를 변화시켜 원료배출판(11)이 진동방식으로 떨게 할 수 있고, 원료배출판(11)을 일시적으로 탄발되게 하여 충격을 유발시킴으로써 버켓(B)의 내측벽에 부착된 원료로 한번에 털어주듯이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료배출초기단계에서는 버켓(B) 내부의 원료가 많이 저장된 상태이므로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을 넓게 하고, 버켓(B)의 자세가 변화되어 원료가 배출되는 시점부터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료가 배출되어 원료배출판(11)에 원료 자중에 의한 힘이 감소되는 시점에서 원료배출판(11)이 진동 방식으로 떨어주는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버켓(B) 내부 바닥의 원료는 물론 버켓(B) 내측벽에 부착된 원료도 원료배출판(11)의 진동 방식의 떨림에 의해 용이하게 완전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원료 배출과정을 나타낸 하역장비의 일부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원료 배출과정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하역장비의 일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원료배출부재(10)와 가동부재(20)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동일 명칭과 부호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기로 한다.
즉, 상기 원료배출부재(10)는 상기 버켓(B)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판(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부재(20)는 상기 원료배출판(11) 저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버켓(B) 바닥면을 관통하여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로드(21)로 구성된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로드(21)의 타단부에 회동링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회동링크(23)는 일단부가 상기 가동로드(21)의 타단부에 힌지 조립되고, 그 중간부는 상기 버켓(B)에 힌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로드(21)를 외향 탄발시키는 탄성체(S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자력구동부재(30)는 상기 회동링크(23)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가지는 가동자석(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력발생부재(40)는 상기 체인 컨베이어(C)의 배출 구간에 상기 가동자석(33)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자극이 배열되거나 또는 N극, S극이 교호되게 배열되는 고정자석(41)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고정자석(41)은 버켓(B)과 체인컨베이어(C)의 스프로킷의 사이에 위치되며 버켓(B)이 선회되는 배출구간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배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자석(41)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석(33)의 자극(N극)과 동일한 자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발생부재(40)의 자력의 세기가 원료배출초기구간에서 원료배출종료구간으로 갈수록 N1 < N2 < N3와 같이 점차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버켓(B)이 원료배출구간을 진입할 때에는 원료가 많이 담겨진 상태이므로 자력이 원료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 이상으로 큰 자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원료배출판(11)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상,하 작동하는데 무리가 있다.
즉, 원료배출초기구간에서는 버켓(B)의 자세가 수직 상태에서 배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이므로 이때 고정자석(41)의 자석의 세기가 원료배출중간구간 및 원료배출종료구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원료가 배출되면서 원료배출판이 자력에 의해 무리하지 않게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버켓(B) 내부의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중간구간부터 고정자석(41)의 자력이 증가함으로써 가동자석(33)은 척력에 의해 밀려나게 된다.
이때 회동링크(23)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회동링크(23)는 가동로드(21)와 원료배출판(11)을 원료배출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료배출종료구간에서는 버켓(B) 내부의 원료가 완전 배출된 상태이므로 탄성체(S1)에 의하여 원료배출판(11)이 탄성체(S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석(41)은 N극과 S극이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링크(23) 단부에 구비된 가동자석(33)이 고정자석(41)의 N극과 S극을 통과하면서 인력과 척력에 의해 회동링크(23)가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링크(23)와 내측 단부에 연결된 가동로드(21)와 원료배출판(11)은 원료배출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료배출구간을 지난 동안 지속적으로 들렸다가 원위치되었다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상기 버켓(B) 내부 바닥의 원료는 물론 내측벽에 부착된 원료도 함께 완전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을 조밀하게 구성하면 가동자석(33)의 왕복 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원료배출판(11)을 바이브레이터와 같이 진동 방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을 넓게 구성하면 가동자석(33)의 왕복 이동 횟수가 줄어들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자석(41)의 S극이나 N극의 구간을 늘려주게 되면 가동자석(33)은 인력에 의해 당겨지거나 척력에 의해 밀려지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원료배출판(11)이 원료배출방향 쪽으로 치우져 있거나 바닥판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배열 상태를 변화시켜 원료배출판(11)이 진동방식으로 떨게 할 수 있고, 원료배출판(11)을 일시적으로 탄발되게 하여 충격을 유발시킴으로써 버켓(B)의 내측벽에 부착된 원료로 한번에 털어주듯이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료배출초기단계에서는 버켓(B) 내부의 원료가 많이 저장된 상태이므로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을 넓게 하고, 버켓(B)의 자세가 변화되어 원료가 배출되는 시점부터 고정자석(41)의 S극과 N극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료가 배출되어 원료배출판(11)에 원료 자중에 의한 힘이 감소되는 시점에서 원료배출판(11)이 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진동 방식으로 떨어주는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버켓(B) 내부 바닥의 원료는 물론 버켓(B) 내측벽에 부착된 원료도 원료배출판(11)의 진동 방식의 떨림에 의해 용이하게 완전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원료배출부재 11 : 원료배출판
20 : 가동부재 21 : 가동로드
22 : 종동캠 23 : 회동링크
30 : 자력구동부재 31 : 왕복로드
31a : 스토퍼 31b : 슬립부재
32 : 구동캠 33 : 가동자석
34 : 지지프레임 34a : 보스
40 : 자력발생부재 41 : 고정자석
S1 : 탄성체 S2 : 제2탄성체
B : 버켓 C : 체인컨베이어

Claims (6)

  1. 순환 궤도로 이루어진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버켓;
    상기 버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원료배출부재;
    상기 원료배출부재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원료 배출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상기 버켓 외부에 설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를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버켓 외부에 설치되며,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이 형성된 자력구동부재; 및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자력구동부재의 자극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배출부재는 상기 버켓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원료배출판 저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버켓 바닥면을 관통하여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 타단부에 형성되는 종동캠과, 상기 가동로드를 외향 탄발시키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력구동부재는 상기 가동로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기 버켓에 설치되는 왕복로드와, 상기 종동캠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로드를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캠과, 상기 왕복로드 외측단부에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가지는 가동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발생부재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에 상기 가동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N극, S극이 교호되게 배열되는 고정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로드는 상기 가동자석 및 고정자석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탄발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석은 상기 왕복로드의 양단부에 동일한 자극을 갖는 한 쌍의 자석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석은 한 쌍으로 되어 상기 버켓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가동자석의 자극에 대해 동일한 자극 또는 반대 자극이 서로 엇갈려 교호되게 형성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기 왕복로드가 왕복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배출부재는 상기 버켓 바닥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원료배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원료배출판 저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버켓 바닥면을 관통하여 원료 배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 타단부에 힌지 조립되고, 중간부는 상기 버켓에 힌지 조립되며, 상기 가동로드를 외향 탄발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구동부재는 상기 회동링크의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의 자극을 가지는 가동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력발생부재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배출 구간에 상기 가동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자극이 배열되거나 또는 N극, S극이 교호되게 배열되는 고정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의 세기가 원료배출초기구간에서 원료배출종료구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KR1020140047581A 2014-04-21 2014-04-21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KR10164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581A KR101643181B1 (ko) 2014-04-21 2014-04-21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581A KR101643181B1 (ko) 2014-04-21 2014-04-21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555A true KR20150121555A (ko) 2015-10-29
KR101643181B1 KR101643181B1 (ko) 2016-07-27

Family

ID=5443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581A KR101643181B1 (ko) 2014-04-21 2014-04-21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7542A (zh) * 2021-05-21 2021-08-13 眉山市科跃工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升斗式粪料输送装置
WO2021238614A1 (zh) * 2020-05-27 2021-12-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连续循环提升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171A (ja) * 2003-03-10 2004-09-30 Shinmei Seisakusho:Kk バケットコンベアにおけるバケットの構造
KR200437471Y1 (ko) 2007-09-07 2007-12-06 (주)원우이엔지 하역장치용 버켓
KR101230956B1 (ko) * 2012-08-02 2013-0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KR101232651B1 (ko) * 2012-02-23 2013-02-13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하역장비용 버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9171A (ja) * 2003-03-10 2004-09-30 Shinmei Seisakusho:Kk バケットコンベアにおけるバケットの構造
KR200437471Y1 (ko) 2007-09-07 2007-12-06 (주)원우이엔지 하역장치용 버켓
KR101232651B1 (ko) * 2012-02-23 2013-02-13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하역장비용 버켓
KR101230956B1 (ko) * 2012-08-02 2013-0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614A1 (zh) * 2020-05-27 2021-12-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连续循环提升机
CN113247542A (zh) * 2021-05-21 2021-08-13 眉山市科跃工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升斗式粪料输送装置
CN113247542B (zh) * 2021-05-21 2021-10-15 眉山市科跃工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升斗式粪料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181B1 (ko)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728B2 (en) Container including a magnetically operated scraper
KR101643181B1 (ko) 자력 구동식 원료 자동배출구조를 갖는 하역장비용 버켓장치
CN105966292A (zh) 一种货物搬运机
US2845168A (en) Vibratory conveyor
CN104210829A (zh) 一种节能电动理盖设备
US3707216A (en) Conveyor jogging mechanism
CN209241903U (zh) 一种叶菜种植盘的输送装置
CA2989225C (en) A singulating vibration feeder
KR20120095550A (ko) 버켓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214166418U (zh) 一种水泥上料清洁装置
US10259656B1 (en) Singulating vibration feeder
CN211666282U (zh) 混凝土布料机
CN211388767U (zh) 一种机械手及机器人及协作搬运装置
Despotović et al. Some specific of vibratory conveyor drives
CN206767141U (zh) 分拣装置
CN108855868B (zh) 智能振动分离装置
US2940587A (en) Accumulator
CN105880177A (zh) 物流中心快递分拣机
CN105539922A (zh) 一种火机装盒机
RU2099266C1 (ru) Скребковый конвейер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елких изделий и элементной стружки
EA038231B1 (ru) Магнитное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узла лент конвейера
CN216004254U (zh) 一种带有缓冲组件的输送装置
CN220787033U (zh) 一种取料器
CN204416326U (zh) 管链输送机
CN215286585U (zh) 机械式物料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