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207A -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 - Google Patents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207A
KR20150121207A KR1020157026811A KR20157026811A KR20150121207A KR 20150121207 A KR20150121207 A KR 20150121207A KR 1020157026811 A KR1020157026811 A KR 1020157026811A KR 20157026811 A KR20157026811 A KR 20157026811A KR 20150121207 A KR20150121207 A KR 20150121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contact surface
knitting
arm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805B1 (ko
Inventor
아드리안 메이어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5012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편직기용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기의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을 포함한다. 더욱이, 급송기는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을 포함한다. 구동 아암은 편직기의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접촉면은 라운딩되고 볼록하다.

Description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FEEDER FOR KNITTING MACHINE WITH FRICTION REDUCING FEATURES}
본 발명은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에 관한 것이다.
직물을 편직할 때에 하나 이상의 단계를 자동화할 수 있는 다양한 편직기가 제안되었다. 예컨대, 플랫 편직기는 편직 니들 베드, 캐리지, 및 급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는 니들 베드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급송기가 얀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니들을 향해 급송할 때에 니들에 대해 급송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니들은 다시 스트랜드로부터 편직물을 편직하거나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작용은 편직 구성요소가 완성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그러한 편직 구성요소로부터 다양한 구성요소가 생산될 수 있다. 예컨대, 편직 구성요소로부터 신발류 물품용 갑피가 제조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가 상부에서 편직되는 편직 베드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가 개시되어 있다. 편직기는 구동 볼트를 포함한다.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을 포함한다. 더욱이, 급송기는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을 포함한다. 구동 아암은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접촉면은 라운딩되고 볼록하다.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편직기가 또한 개시된다. 편직기는 복수 개의 니들을 갖는 편직 베드와, 편직 베드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구동 볼트를 포함한다. 편직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는 급송기를 더 포함한다.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을 포함한다. 급송기는 또한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을 포함한다. 구동 아암은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접촉면은 라운딩되고 볼록하다.
또한,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편직기가 개시된다. 편직기는 복수 개의 니들을 갖는 편직 베드와, 직선 종방향 축선을 갖는 레일을 포함한다. 레일은 편직 베드로부터 횡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편직기는 또한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캐리지를 포함한다. 편직기는 구동 볼트를 더 포함한다. 구동 볼트는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게다가, 편직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는 급송기를 포함한다.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을 포함한다. 급송기는 또한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착 요소를 포함한다. 더욱이, 급송기는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을 포함한다. 구동 아암은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한다. 제1 접촉면은 구동 볼트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 볼트에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커플링시킨다. 제2 접촉면은 구동 볼트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 볼트에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커플링시킨다.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고 볼록하다.
본 개시의 신규의 특징적인 양태의 이점 및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신규의 이점 및 특징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개시에 관련된 다양한 구성 및 개념을 설명하고 예시하는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요약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에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도이다.
도 3은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 및 도 3의 단면선 4A-4C에 의해 획정된 바와 같은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갑피의 일부를 형성하는 편직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편직 구성요소의 저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5의 단면선 7A-7E에 의해 획정된 바와 같은 편직 구성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편직 구성요소의 편직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직기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편직기의 조합 급송기의 입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대응하고 조합 급송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 대응하고 조합 급송기의 작동을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17은 후퇴된 위치에서 도시된 도 10 내지 도 16의 조합 급송기의 입면도이다.
도 18은 연장된 위치에서 도시된 도 10 내지 도 16의 조합 급송기의 입면도이다.
도 19는 편직 구성요소를 편직하는 종래의 급송기의 단부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스트랜드를 도 19의 편직 구성요소로 인레이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0 내지 도 16의 조합 급송기의 단부도로서, 조합 급송기는 도 20에 후퇴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고, 조합 급송기는 도 21에서 연장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30은 조합 급송기와 종래의 급송기를 이용하는 편직 프로세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 급송기의 입면도이다.
도 32는 도 9의 편직기의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롤러들의 그룹의 단부도이다.
도 33 내지 도 3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중에 도시된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롤러들의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9의 선 37-37을 따라 취한 편직기의 단면도로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조립체에 따른 편직기의 테이크다운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38은 도 37의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롤러들의 그룹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9 내지 도 4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중에 도시된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롤러들의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 급송기의 입면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사용 중에 도시된, 도 43의 조합 급송기의 입면도이다.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은 편직기, 편직 구성요소 및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에 관한 다양한 개념들을 개시한다. 편직 구성요소는 다양한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편직 구성요소들 중 하나를 통합한 신발 물품이 일례로서 하기에 개시된다. 신발 이외에, 편직 구성요소들은 다른 유형들의 의류(예컨대, 셔츠, 바지, 양말, 재킷, 속옷), 운동 장비(예컨대, 골프 백, 야구 및 풋볼 장갑, 축구공 제한 구조물), 컨테이너(예컨대, 백팩, 가방), 및 가구(예컨대, 의자, 카우치, 카 시트)용 덮개에 사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는 또한 침대보(예컨대, 시트, 담요), 테이블보, 타월, 깃발, 텐트, 돛, 및 낙하산에 사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는 자동차 및 항공 우주 용례를 위한 구조물, 필터 재료, 의료용 텍스타일(예컨대, 붕대, 탈지면, 임플란트), 제방 보강용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작물 보호용 애그로텍스타일(agrotextile), 및 열과 방사선에 대해 보호하고 격리하는 산업용 의류를 비롯하여 산업용 목적을 위한 산업용 텍스타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편직 구성요소 및 다른 개념들은 개인적 목적과 산업적 목적 모두를 위한 다양한 제품들로 통합될 수 있다.
신발류 구성
밑창 구조체(110)와 갑피(120)를 포함하는 신발류(100)의 물품이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신발류(100)는 달리기에 적합한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신발류(100)와 관련된 개념들은 또한 예컨대 야구화, 농구화, 사이클화, 풋볼화, 테니스화, 축구화, 트레이닝화, 러닝화, 및 하이킹 부츠를 비롯하여 다양한 다른 운동화류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개념들은 또한 예복용 구두, 간편화, 샌들, 및 작업용 부츠를 비롯하여 일반적으로 비운동화류로 고려되는 신발류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류(100)에 대해 개시된 개념들은 광범위한 신발 유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참조를 위해, 신발류(100)는 3개의 대략적인 구역들, 즉 전족 구역(101), 중족 구역(102), 및 힐 구역(103)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족 구역(101)은 일반적으로 발가락 및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하는 신발류(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 구역(102)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형 영역에 대응하는 신발류(100)의 부분을 포함한다. 힐 구역(103)은 일반적으로 종골을 비롯한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한다. 신발류(100)는 또한 구역들(101-103) 각각을 통해 연장되고 신발류(100)의 대향 측부에 대응하는 바깥쪽 측부(104)와 안쪽 측부(10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깥쪽 측부(104)는 외측 영역(즉, 다른 발의 반대쪽을 향하는 표면)에 대응하고, 안쪽 측부(105)는 발의 내측 영역(즉, 다른 발을 향하는 표면)에 대응한다. 구역(101-103)과 측부(104-105)는 신발류(100)의 정확한 영역들의 경계를 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구역(101-103) 및 측부(104-105)는 아래의 설명을 돕기 위하여 신발류(100)의 대략적인 영역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신발류(100) 외에, 구역(101-103) 및 측부(104-105)는 또한 밑창 구조체(110), 갑피(120), 및 이들의 개별적인 요소들에 적용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10)는 갑피(120)에 고정되고 신발류(100)를 신었을 때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밑창 구조체(110)의 주요 요소들은 중창(111), 바닥창(112), 및 깔창(113)이다. 중창(111)은 갑피(1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즉, 충격 흡수를 제공하는) 압축성 폴리머 폼 요소(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 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중창(111)은, 플레이트, 모더레이터(moderator), 유체 충전식 챔버, 지속 요소, 또는 추가로 힘을 감쇠시키고, 안정성을 높이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움직임 제어 부재를 통합할 수 있거나, 중창(111)이 애초에 유체 충전식 챔버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창(112)은 중창(111)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정지 마찰력(traction)을 부여하도록 텍스쳐 가공된 내마모성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깔창(113)은 갑피(120) 내에 배치되고 신발류(100)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록 발의 하부면 아래에서 연장되도록 위치 설정된다. 밑창 구조체(110)에 대한 이런 구성이 갑피(1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밑창 구조체의 예를 제공하지만, 밑창 구조체(110)에 대한 다양한 다른 통상적인 또는 비통상적인 구성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밑창 구조체(110) 또는 갑피(120)와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밑창 구조체의 특징부들은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갑피(120)는 밑창 구조체(110)에 대해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해 신발류(100) 내에 공동을 형성한다. 공동은 발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발의 바깥쪽 측부를 따라, 발의 안쪽 측부를 따라, 발 위로, 힐 둘레에서, 그리고 발 아래에서 연장된다. 적어도 힐 구역(103)에 배치된 발목 개구(121)에 의해 공동에 대한 엑세스가 제공된다. 레이스(122)가 갑피(120)의 다양한 레이스 구멍(123)을 통해 연장되고 착화자가 발 부분을 수용하도록 갑피(120)의 치수를 변경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이스(122)는 착화자가 발 둘레에서 갑피(120)를 조일 수 있도록 하고, 레이스(122)는 공동으로부터[즉, 발목 개구(121)를 통해]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착화자가 갑피(120)를 느슨하게 한다. 게다가, 갑피(120)는 신발류(100)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레이스(122) 및 레이스 구멍(123) 아래에서 연장되는 설포(124)를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갑피(120)는 추가 요소들, 예컨대 (a)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힐 구역(103)에서의 힐 카운터,(b)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되는 전족 구역(101)에서의 발가락 가드, 및 (c)로고, 상표, 및 주의 사항과 재료 정보가 있는 플래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종래의 신발류 갑피는, 예컨대 스티칭 또는 접합을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재료 요소들(예컨대, 텍스타일, 폴리머 폼, 폴리머 시트, 천연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된다. 그에 반해서, 갑피(120)의 대부분은 구역(101-103) 각각을 통해, 바깥쪽 측부(104) 및 안쪽 측부(105)를 따라, 전족 구역(101) 위로, 그리고 힐 구역(103) 둘레에서 연장되는 편직 구성요소(130)로 형성된다. 게다가, 편직 구성요소(130)는 갑피(120)의 외부면 및 대향하는 내부면 양자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130)는 갑피(120) 내에서 공동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몇몇 구성에서, 편직 구성요소(130)는 또한 발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스트로벨 안창(125; strobel sock)은 편직 구성요소(130) 및 중창(111)의 상부면에 고정됨으로써, 깔창(113) 아래에서 연장되는 갑피(120)의 일부를 형성한다.
편직 구성요소 구성
편직 구성요소(130)는 도 5 및 도 6에서 신발류(100)의 나머지와 별개로 도시되어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는 단일 편직 구성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예컨대, 편직 구성요소(130)]는 편직 프로세스를 통해 원피스 요소로서 형성될 때에 "단일 편직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규정된다. 즉, 편직 프로세스는 상당한 추가 제조 단계 또는 프로세스가 필요 없이 편직 구성요소(130)의 다양한 특징부 및 구조체를 실질적으로 형성한다. 단일 편직 구성은, 구조체 또는 요소가 공통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course)을 포함하고(즉, 공통의 얀을 공유) 및/또는 각각의 구조체들 또는 요소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단을 포함하도록 결합되는 얀(yarn) 또는 다른 편직 재료의 하나 이상의 단을 포함하는 구조체 또는 요소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단일 편직 구성의 원피스 요소가 제공된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들은 편직 프로세스 후에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예컨대, 편직 구성요소(130)의 에지들이 함께 결합됨), 편직 구성요소(130)는 원피스 편직 요소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편직 구성으로 형성된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이, 편직 프로세스 이후에 다른 요소들[예컨대, 레이스(122), 설포(124), 로고, 상표, 주의 사항과 재료 정보가 있는 플래카드]이 추가될 때에, 편직 구성요소(130)는 단일 편직 구성으로 형성된 상태로 유지된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주요 요소는 편직 요소(131)와 인레이드 스트랜드(132; inlaid strand)이다. 편직 요소(131)는 다양한 단(course)과 웨일(wale)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상호 맞물린 고리들을 형성하도록 (예컨대, 편직기에 의해) 조종되는 적어도 하나의 얀으로 형성된다. 즉, 편직 요소(131)는 편직 텍스타일의 구조를 갖는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를 통해 연장되고 편직 요소(131) 내의 다양한 고리들 사이에서 통과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일반적으로 편직 요소(131)의 단을 따라 연장되지만,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또한 편직 요소(131) 내의 웨일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이점은 지지, 안정성,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갑피(120)를 발 둘레에 고정시키는 것에 일조하고, 갑피(120) 영역에서의 변형을 제한하고(예컨대, 내신축성을 부여하고), 레이스(122)와 함께 신발류(100)의 핏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편직 요소(131)는 둘레 에지(133), 한쌍의 힐 에지(134), 및 내측 에지(135)에 의해 윤곽이 형성되는 대략 U형의 형태를 갖는다. 신발류(100)에 통합될 때에, 둘레 에지(133)는 중창(111)의 상부면에 대해 놓이고 스트로벨 안창(125)에 결합된다. 힐 에지(134)는 서로 결합되고 힐 구역(103)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신발류(100)의 몇몇 구성에서, 재료 요소가 힐 에지(134)들 사이의 시임을 덮어서 시임을 보강하고 신발류(100)의 심미적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측 에지(135)는 발목 개구(121)를 형성하고 레이스(122), 레이스 구멍(123), 및 설포(124)가 배치되는 영역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된다. 게다가, 편직 요소(131)는 제1 표면(136) 및 이 제1 표면과 대향하는 제2 표면(137)을 갖는다. 제1 표면(136)은 갑피(120)의 외부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면, 제2 표면(137)은 갑피(120)의 내부면의 일부를 형성함으로서, 갑피(120) 내의 공동의 적어도 일부를 획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를 통해 연장되고 편직 요소(131) 내의 다양한 루프들 사이에서 통과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도 7a-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영역에서 그리고 제1 표면(136)과 제2 표면(137) 사이에서 단일의 텍스타일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편직 요소(131)의 편직 구조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130)가 신발류(100)에 통합될 때에,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갑피(120)의 외부면과 내부면 사이에 배치된다. 몇몇 구성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부분은 표면(136, 137) 중 한쪽 또는 양쪽에서 보이거나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표면(136, 137) 중 한쪽에 대해 놓일 수 있거나, 편직 요소(131)가 오목부 또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오목부 또는 구멍을 통해 인레이드 스트랜드가 통과할 수 있다. 표면(136, 137) 사이에 배치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를 갖는 이점은 편직 요소(131)가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를 마멸 및 파열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둘레 에지(133)로부터 내측 에지(135)를 향해 그리고 하나의 레이스 구멍(123)의 측면에 인접하게, 대향 측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레이스 구멍(123) 둘레에서, 그리고 둘레 에지(133) 후방으로 연장된다. 편직 구성요소(130)가 신발류(100)에 통합될 때에, 편직 요소(131)는 갑피(120)의 목 영역[즉, 레이스(122), 레이스 구멍(123), 및 설포(124)가 배치되는 곳]으로부터 갑피(120)의 하부 영역[즉, 편직 요소(131)가 밑창 구조체(110)와 결합되는 곳]으로 연장된다. 이 구성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또한 목 영역으로부터 하부 영역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편직 요소(131)를 목 영역으로부터 하부 영역으로 반복적으로 통과한다.
편직 요소(131)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편직 구조체의 단이 일반적으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단은 목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대부분이 편직 요소(131) 내의 단을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레이스 구멍(123)에 인접한 영역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또한 편직 요소(131) 내의 웨일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 에지(135)에 평행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섹션은 웨일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를 통해 전후로 통과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또한 둘레 에지(133)에서 편직 요소(131)를 반복적으로 빠져나간 다음에, 다른 지점의 둘레 에지(133)에서 편직 요소(131)로 다시 들어감으로써, 둘레 에지(133)를 따라 고리를 형성한다. 이 구성의 이점은, 목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각 섹션이 신발류(100)의 제조 프로세스 중에 독립적으로 인장되거나, 느슨하게 되거나, 달리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밑창 구조체(110)를 갑피(120)에 고정시키기 전에,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섹션이 적절한 인장으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편직 요소(131)와 비교하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더 큰 내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보다 덜 신장될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다수의 섹션이 갑피(120)의 목 영역으로부터 갑피(120)의 하부 영역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에,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목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의 갑피(120) 부분에 대해 내신축성을 부여한다. 더욱이, 레이스(122)를 인장시키면 인장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에 가해짐으로써, 목 영역과 하부 영역 사이의 갑피(120) 부분이 발에 맞닿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레이스(122)와 함께 신발류(100)의 핏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편직 요소(131)는 갑피(120)의 별개의 영역들에 상이한 특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특성의 얀을 통합할 수 있다. 즉, 편직 요소(131)의 한 영역은 제1 세트의 특성을 부여하는 제1 유형의 얀으로 형성될 수 있고, 편직 요소(131)의 다른 영역은 제2 세트의 특성을 부여하는 제2 유형의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편직 요소(131)의 여러 영역들에 대해 특정한 얀을 선택함으로써 갑피(120) 전체에 걸쳐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특정한 유형의 얀이 편직 요소(131)의 영역에 부여할 특성은 얀 내의 다양한 필라멘트 및 섬유를 형성하는 재료들에 따라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예컨대, 면은 부드러운 손(soft hand), 자연스러운 심미감, 및 생분해성을 제공한다. 엘라스테인(elastane) 및 신축성 폴리에스테르는 각각 상당한 신축성과 회복성을 제공하고, 신축성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재활용성을 제공한다. 레이온은 높은 광택과 흡습성을 제공한다. 양모도 또한 절연성 및 생분해성 외에 높은 흡습성을 제공한다. 나일론은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재료이다. 폴리에스테르는 비교적 높은 내구성을 또한 제공하는 소수성 재료이다. 재료들 외에, 편직 요소(131)를 위해 선택되는 얀의 다른 양태가 갑피(120)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편직 요소(131)를 형성하는 얀은 모노필라멘트 얀 또는 멀티필라멘트 얀일 수 있다. 얀은 또한 상이한 재료들로 각각 형성되는 별개의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얀은 외장부-코어 구성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2개의 절반부를 갖는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2 성분 얀과 같이, 2개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각각 형성되는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꼬임과 크림핑(crimping)의 상이한 정도 뿐만 아니라 상이한 데니어(denier)가 갑피(120)의 특성에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얀을 형성하는 재료 및 얀의 다른 양태 모두가 갑피(120)의 별개의 영역들에 다양한 특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편직 요소(131)를 형성하는 얀에서와 같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구성이 또한 상당히 변할 수 있다. 얀 외에,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예컨대 필라멘트(예컨대, 모노필라멘트), 실, 로프, 웨빙(webbing), 케이블, 또는 체인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편직 요소(131)를 형성하는 얀과 비교하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두께가 더 클 수 있다. 몇몇의 구성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의 얀보다 상당히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단면 형상이 원형일 수 있지만,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를 형성하는 재료는 면, 엘라스테인,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양모, 및 나일론과 같이 편직 요소(131) 내에 얀을 위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보다 큰 내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를 위한 적절한 재료로는, 유리, 아라미드(예컨대, 파라-아라미드 및 메타-아라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액정 폴리머를 비롯하여 높은 인장 강도 용례에 이용되는 광범위한 공학적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브레이디드 폴리에스테르 실(braided polyester thread)이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로서 사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일부에 대한 적절한 구성의 예가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편직 요소(131)는 다수의 수평 단과 수직 웨일을 규정하는 복수 개의 상호 맞물린 고리를 형성하는 얀(138)을 포함한다.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단들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고, (a)얀(138)으로부터 형성되는 고리 후방에 위치되는 것과 (b)얀(138)으로부터 형성되는 고리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번갈아 한다. 사실상,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엮여 있다. 얀(138)이 이 구성에서 각각의 단을 형성하지만, 추가의 얀이 단들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거나 단들 중 하나 이상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일부를 위한 적절한 구성의 다른 예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편직 요소(131)는 얀(138)과 다른 얀(139)을 포함한다. 얀(138, 139)은 플레이팅(plating)되고 다수의 수평 단과 수직 웨일을 획정하는 복수 개의 상호 맞물린 고리를 협동하여 형성한다. 즉, 얀(138, 139)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8a의 구성에서와 같이,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단들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고, (a)얀(138, 139)으로부터 형성되는 고리 후방에 위치되는 것과 (b)얀(138, 139)으로부터 형성되는 고리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번갈아 한다. 이 구성의 이점은 각 얀(138, 139)의 특성이 편직 구성요소(130)의 이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얀(138, 139)은 상이한 칼라를 가질 수 있는데, 얀(138)의 칼라는 주로 편직 요소(131)의 다양한 스티치의 전면에 존재하고, 얀(139)의 칼라는 주로 편직 요소(131)의 다양한 스티치의 후면에 존재한다. 다른 예로서, 얀(139)은 얀(138)보다 연질이고 발에 대해 더 편안하며, 얀(138)은 주로 제1 표면(136)에 존재하고 얀(139)은 주로 제2 표면(137)에 존재한다.
도 8b를 계속 참조하면, 얀(138)은 열경화성 폴리머 재료와 천연 섬유(예컨대, 면, 양모, 실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얀(139)은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가열될 때에 용융되고 냉각될 때에 고체 상태로 복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충분한 열을 받을 때에 고체 상태로부터 연화된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천이되고, 이어서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충분히 냉각될 때에 연화된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부터 고체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는 흔히 2개의 물체 또는 요소를 함께 결합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 얀(139)은, 예컨대 (a)얀(138)의 한 부분을 얀(138)의 다른 부분에 결합시키도록, (b)얀(138)과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또는 (c)다른 요소(예컨대, 로고, 상표, 및 주의 사항과 재료 정보가 있는 플래카드)를 편직 구성요소(130)에 결합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얀(139)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들을 서로 융합시키거나 달리 결합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융합성 얀으로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얀(138)은 일반적으로 편직 구성요소(130)의 부분들을 서로 융합시키거나 달리 결합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융합성 얀으로 고려될 수 있다. 즉, 얀(138)은 비융합성 얀일 수 있는 반면, 얀(139)은 융합성 얀일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몇몇 구성에서, 얀(138)(즉, 비융합성 얀)은 실질적으로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얀(139)(즉, 융합성 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팅된 얀의 사용은 편직 구성요소(130)에 이점을 부여할 수 있다. 얀(139)이 가열되어 얀(138) 및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에 융합될 때에, 이 프로세스는 편직 구성요소(130)의 구조를 경화 또는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a)얀(138)의 일 부분을 얀(138)의 다른 부분과 결합시키는 것 또는 (b)얀(138)과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은 얀(138)과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상대 위치를 고정 또는 로킹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에 의해 내신축성 및 강성을 부여한다. 즉, 얀(138)의 부분들은 얀(139)과 융합된 경우에 서로에 대해 활주할 수 없음으로써, 편직 구조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한 편직 요소(131)의 뒤틀림 또는 영구적인 늘어남을 방지한다. 다른 이점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얀(138) 중 하나가 절단된 경우에 풀어짐을 제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편직 요소(131)에 대해 활주할 수 없음으로써, 인레이드 스트랜드(132)의 부분이 편직 요소(131)로부터 외측을 향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130)의 영역은 편직 요소(131) 내에 융합성 얀 및 비융합성 얀 모두를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이점이 생길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130)의 다른 양태는 발목 개구(121)에 인접하고 발목 개구(121)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패딩 영역에 관한 것이다. 도 7e를 참조하면, 패딩 영역은, 단일 편직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는, 2개의 오버랩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연성인 편직층(140)과, 편직층(140)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플로팅 얀(141)에 의해 형성된다. 편직층(140)의 측부 또는 에지는 서로에 대해 고정되지만, 중앙 영역은 대체로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직층(140)은 관 또는 관형 구조를 실질적으로 형성하고, 플로팅 얀(141)(도 7e)은 관형 구조를 통과하도록 편직층(140) 사이에 배치되거나 인레이될 수 있다. 즉, 플로팅 얀(141)은 편직층(140) 사이에서 연장되고, 편직층(140)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며, 또한 편직층(140) 사이의 내부 용적을 통과하고 채운다. 편직 요소(131)의 대부분은 상호 맞물린 고리를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종되는 얀으로 형성되는 반면, 플로팅 얀(141)은 편직층(140) 사이의 내부 용적 내에서 대체로 자유롭거나 달리 인레이된다. 추가적인 문제로서, 편직층(1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축성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의 이점은 편직층이 플로팅 얀(141)을 실질적으로 압축하여 발목 개구(121)에 인접한 패딩 영역에 탄성 양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즉, 편직층(140) 내의 신축성 얀은 편직 구성요소(130)를 형성하는 편직 프로세스 중에 인장 상태로 놓임으로써, 편직층(140)이 플로팅 얀(141)을 압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신축성 얀의 신축도는 상당히 다를 수 있지만, 신축성 얀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많은 구성에서 적어도 100% 신장될 수 있다.
플로팅 얀(141)의 존재는 발목 개구(121)에 인접한 패딩 영역에 대해 압축성 양태를 부여함으로써, 발목 개구(121)의 영역에서 신발류(100)의 편안함을 향상시킨다. 많은 종래의 신발류 물품은 발목 개구에 인접한 영역에 폴리머 폼 요소 또는 다른 압축성 재료를 통합한다. 종래의 신발류 물품과 달리, 편직 구성요소(130)의 나머지와 단일 편직 구성으로 형성되는 편직 구성요소의 부분은 발목 개구(121)에 인접한 패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류(100)의 다른 구성에서, 유사한 패딩 영역이 편직 구성요소(130)의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유사한 패딩 영역이 중족골과 기절골(proximal phalanges) 사이의 관절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배치되어 패딩을 관절에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테리 루프 구조(terry loop structure)가 또한 사용되어 어느 정도의 패딩을 갑피(120)의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을 기초로 하여, 편직 구성요소(130)는 다양한 특징부를 갑피(120)에 제공한다. 더욱이, 편직 구성요소(130)는 몇몇 종래의 갑피 구성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류 갑피는, 예컨대 스티칭 또는 접합을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재료 요소(예컨대, 텍스타일, 폴리머 폼, 폴리머 시트, 천연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된다. 갑피에 통합되는 재료 요소의 갯수 및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재료 요소들을 운반, 비축, 절단, 및 결합하는 것과 관련된 시간 및 비용이 또한 증가될 수 있다. 갑피에 통합되는 재료 요소의 갯수 및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절단 및 스티칭 프로세스로부터의 폐기 재료가 또한 더 많이 늘어나게 된다. 더욱이, 매우 많은 재료 요소를 갖는 갑피는 종류 및 갯수가 더 적은 재료 요소로 형성된 갑피보다 재활용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갑피에 사용되는 재료 요소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갑피의 제조 효율 및 재활용성을 증가시키면서 폐기물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편직 구성요소(130)가 갑피(102)의 실질적인 부분을 형성하여, 제조 효율을 증가시키고, 폐기물을 감소시키며, 재활용성을 간소화시킨다.
편직기 및 급송기 구성
편직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편직 구성요소의 상업적 제조는 흔히 편직기에 의해 수행된다. 편직 구성요소(130)를 생산하는 데에 적합한 편직기(200)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편직기(200)는 실시예의 목적을 위한 V형 베드 플랫 편직기를 포함하지만, 편직기(200)는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편직기(200)는 2개의 니들 베드(201)를 포함하고, 이들 니들 베드는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이루어짐으로써 V형 베드를 형성한다. 각 니들 베드(201)는 공통 평면 상에 놓이는 복수 개의 개별적인 니들(202)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니들 베드(201)로부터의 니들(202)이 제1 평면 상에 놓이고, 다른 니들 베드(201)로부터의 니들(202)이 제2 평면 상에 놓인다. 제1 평면과 제2 평면[즉, 2개의 니들 베드(201)]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편직기(200)의 폭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교차점을 형성하도록 만난다.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202)은 니들이 후퇴된 제1 위치(실선으로 도시됨)와 니들이 연장된 제2 위치(점선으로 도시됨)를 각각 갖는다. 제1 위치에서, 니들(202)은 제1 평면과 제2 평면이 만나는 교차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러나, 제2 위치에서, 니들(202)은 제1 평면과 제2 평면이 만나는 교차점을 통과한다.
한쌍의 레일(203)이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위에서 그리고 교차점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다수의 제1 급송기(204)와 조합 급송기(220)에 대한 부착점을 제공한다. 각 레일(203)은 2개의 측부를 갖고, 각 측부는 하나의 제1 급송기(204) 또는 하나의 조합 급송기(220)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다. 따라서, 편직기(200)는 총 4개의 급송기(204, 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 레일(203)은 양측부에 하나의 조합 급송기(220)와 하나의 제1 급송기(204)를 포함하고, 최후방 레일(203)은 양측부에 2개의 제1 급송기(204)를 포함한다. 2개의 레일(203)이 도시되어 있지만, 편직기(200)의 다른 구성은 더 많은 급송기(204, 220)에 대한 부착점을 제공하도록 추가의 레일(203)을 통합할 수 있다.
편직기(200)는 또한 니들 베드(201) 위에서 레일(203)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캐리지(205)를 포함한다. 캐리지(205)는 캐리지(205)의 하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동 볼트(219; 도 17 및 도 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화살표(402)로 지시된 바와 같이, 구동 볼트(들)(219)는 캐리지(205)에 대해 선택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볼트(219)는 캐리지(205)에 대해 연장된 위치(도 18)와 후퇴된 위치(도 17)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205)는 임의의 갯수의 구동 볼트(219)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동 볼트(219)는 급송기(204, 220) 중 상이한 급송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7 및 도 18은 구동 볼트(219)가 조합 급송기(220)와 어떻게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동 볼트(219)가 후퇴된 위치(도 17)에 있을 때에, 캐리지(205)는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고 급송기(220)를 우회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볼트(219)가 연장된 위치(도 18)에 있을 때에, 구동 볼트(219)는 급송기(220)의 표면(253)에 대해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볼트(219)가 연장될 때에, 캐리지(205)의 이동은 레일(203)의 축선을 따른 급송기(22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조합 급송기(220)와 관련하여, 구동 볼트(219)는 힘을 공급할 수 있고, 이 힘은 조합 급송기(220)가 니들 베드(201)를 향해 (예컨대, 하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들 작동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급송기(204, 220)가 레일(203)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급송기(204, 220)는 얀을 니들(20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9에서, 얀(206)이 스풀(207)에 의해 조합 급송기(220)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얀(206)은 조합 급송기(220)에 진입하기 전에 스풀(207)로부터 다양한 얀 가이드(208), 얀 테이크백(take-bag) 스프링(209), 및 얀 텐셔너(210)로 연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의 스풀(207)을 이용하여 얀을 제1 급송기(204)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급송기(204)는 또한 얀을 니들(202)이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도록 조종하는 니들 베드(201)로 공급할 수 있다. 비교로서, 조합 급송기(220)는 니들(202)이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는 얀[예컨대, 얀(206)]을 공급하는 능력을 가지며, 조합 급송기(220)는 얀을 인레이하는 능력을 갖는다. 더욱이, 조합 급송기(220)는 다양한 여러 스트랜드(예컨대, 필라멘트, 실, 로프, 웨빙, 케이블, 체인 또는 얀)를 인레이하는 능력을 갖는다. 급송기(204, 220)는 또한 2011년 3월 15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편직기용 조합 급송기"인 미국 특허 출원 제13/048,527호에 개시된 급송기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통합할 수 있으며, 이 출원은 2012년 9월 20일자로 미국 특허 공개 제2012-0234051호로 공개되었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
이하, 조합 급송기(2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 급송기(220)는 캐리어(230), 급송기 아암(240), 및 한쌍의 구동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 급송기(220)의 대부분이 금속 재료(예컨대, 강철, 알루미늄, 티타늄)로 형성될 수 있지만, 캐리어(230), 급송기 아암(240), 및 구동 부재(250)의 부분은, 예컨대 폴리머, 세라믹,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합 급송기(220)는 얀을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는 것 외에 얀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인레이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스트랜드가 조합 급송기(220)와 연결되는 방식을 예시하도록 얀(206)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230)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4개의 볼트(233)에 의해 결합되는 제1 커버 부재(231)와 제2 커버 부재(232)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231, 232)는 급송기 아암(240)과 구동 부재(250)의 부분이 배치되는 내부 공동을 획정한다. 캐리어(230)는 또한 급송기(220)를 레일(203) 중 하나에 고정시키도록 제1 커버 부재(231)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착 요소(234)를 포함한다. 부착 요소(234)의 형태는 변동될 수 있지만, 부착 요소(23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 형상을 형성하는 2개의 이격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레일(203) 중 하나의 역 도브테일 형태가 부착 요소(234)의 도브테일 형상으로 연장되어 조합 급송기(220)를 편직기(200)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제2 커버 부재(234)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되고 세장형인 슬롯(235)을 형성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급송기 아암(240)은 캐리어(230)[즉, 커버 부재(231, 232) 사이의 공동]를 통해 그리고 캐리어(230)의 하부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대체로 세장형 형태를 갖는다.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기 아암(240)은 구동 볼트(241), 스프링(242), 풀리(243), 고리(244), 및 분배 영역(245)을 포함한다. 구동 볼트(241)는 급송기 아암(240)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버 부재(231, 232) 사이의 공동 내에 배치된다. 구동 볼트(241)의 일 측부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 부재(232)의 슬롯(235) 내에 배치된다. 스프링(242)은 캐리어(230)와 급송기 아암(24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42)의 일단부는 캐리어(230)에 고정되고, 스프링(242)의 대향 단부는 급송기 아암(240)에 고정된다. 풀리(243), 고리(244), 및 분배 영역(245)은 얀(206) 또는 다른 스트랜드와 연결하도록 급송기 아암(240) 상에 존재한다. 더욱이, 풀리(2430, 고리(244), 및 분배 영역(245)은 얀(206) 또는 다른 스트랜드가 조합 급송기(220)를 통해 부드럽게 통과함으로써, 니들(202)로 신뢰성 있게 공급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얀(206)은 풀리(243) 둘레에서, 고리(244)를 통해, 그리고 분배 영역(245)으로 연장된다. 게다가, 분배 영역(245)은 분배 팁(246)에서 종결되고, 얀(206)은 니들 베드(201)의 니들(202)로 공급되도록 분배 팁(246)으로부터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급송기(220)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급송기(220)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이한 방식으로 니들 베드(201)에 대해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급송기(220)에는 편직 구성요소 내에 얀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인레이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들 특징부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편직 프로세스 중에 스트랜드를 편직 구성요소 내에 통합하는 것에 일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기(220)는 급송기 아암(240)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부재(215)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에 대해 압박하여 얀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편직 구성요소 내에 인레이하는 것에 일조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박 부재(215)는 분배 팁(246)의 양쪽에서 돌출되는 제1 돌기(216)와 제2 돌기(217)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분배 팁(246)은 제1 돌기(216)와 제2 돌기(217) 사이에 배치되고 획정될 수 있다. 또한, 개방 단부형 홈(223)(도 11)이 돌기(216, 217)의 내부면과 분배 팁(246)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급송기(220)는 편직기(220)의 레일(203) 상에 지지될 수 있고(도 9), 급송기(220)는 레일(203)의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홈(223)은 레일(203)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이에 따라 급송기(2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돌기(216, 217)는 분배 팁(246)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그리고 급송기(2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얀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인레이하도록 및/또는 달리 편직 구성요소 내에 스트랜드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편직 구성요소를 압박하는 데에 또한 일조하도록 구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돌기(216, 217)는 테이퍼질 수 있다. 돌기(216, 217)는 분배 영역(245)의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도 10, 도 12 및 도 13 참조). 또한, 돌기(216, 217)는 볼록하게 라운딩된 말단부(2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말단부(224)는 3차원적으로(예컨대, 반구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말단부(224)는 2차원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기(216, 217)는 소정 거리(218; 도 11)에서 분배 팁(246)으로부터 대체로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돌기(216, 217)는 편직 프로세스 중에 편직 구성요소에 대해 압박할 수 있다. 거리(218)는 대략 1 mil(0.0254 밀리미터) 내지 대략 5 밀리미터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각 돌기(216, 217)는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218)에서 돌출될 수 있거나, 추가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상이한 거리에서 돌출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거리(218)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급송기 아암(24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분배 팁(213)에 대해 복수 개의 설정 위치를 가질 수 있고, 편직기(200)의 유저는 돌기(216, 217)가 팁(213)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218)를 선택할 수 있다.
돌기(216, 217)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강철, 티타늄,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및/또는 그러한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라믹 재료로 제조될 수 있어, 돌기(216, 217)가 고강도를 가질 수 있고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돌기(216, 217)는 급송기(220)의 사용 중에 얀(206) 및/또는 편직 구성요소(130)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모놀리식(monolithic)이 되도록 분배 영역(245)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분배 영역(246)과 돌기(216, 217)는 공통의 몰드 내에서 함께 형성되거나 재료의 블럭으로부터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파스너,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방식을 통해 급송기(220)의 분배 영역(24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급송기(220)의 구동 부재(250)를 설명한다. 각각의 구동 부재(250)는 아암(251)과 플레이트(252)를 포함한다. 각 아암(251)은 세장형일 수 있고 외측 단부(253) 및 대향하는 내측 단부(254)를 획정할 수 있다. 각 플레이트(252)는 평탄하고 대체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구동 부재(250)의 몇몇 구성에서, 각 아암(251)은 플레이트(252) 중 하나와 원피스(모놀리식) 요소로서 형성된다. 아암(251) 및/또는 플레이트(252)는 금속, 나일론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아암(251)은 캐리어(230)의 외측에 그리고 캐리어(23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252)는 캐리어(2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암(251)은 내측 단부(254)의 양쪽 사이에 공간(255)을 획정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즉, 아암(251)은 서로 종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51)은 하나의 아암(251)이 제1 커버 부재(231)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다른 아암(251)은 제2 커버 부재(232)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횡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아암(251)은 구동 볼트(219)를 결합 및/또는 결합 해제하는 데에 일조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암(251)은 구동 볼트(219)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암(251)은 결합 해제 중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편직 프로세스 중에 스티치를 놓치거나 달리 에러를 유발할 급송기(220)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아암(251)의 외측 단부(253)는 라운딩되고 볼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253)는 2차원적으로(즉, 도 10, 도 12 및 도 13의 평면에서) 만곡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단부(253)는 3차원적으로 만곡되도록 반구형일 수 있다. 게다가, 단부(253)는 비교적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253)는 폴리싱될 수 있다. 더욱이, 단부(253)는 윤활유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아암(251)의 내측 단부(254)가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평면형이지만, 내측 단부(254)는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외측 단부(253)와 유사하게 라운딩되고 볼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각 플레이트(252)는 경사진 에지(257)를 갖는 구멍(256)을 형성한다. 더욱이, 급송기 아암(240)의 구동 볼트(241)는 각 구멍(256) 내로 연장된다.
전술한 조합 급송기(220)의 구성은 급송기 아암(240)의 병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급송기 아암(240)의 병진 이동은 분배 팁(246)을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지점에 선택적으로 위치 설정한다(도 20 및 도 21 비교). 즉, 분배 팁(246)은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을 통해 왕복동하는 능력을 갖는다. 급송기 아암(240)의 병진 이동에 대한 이점은, 조합 급송기(220)가, (a)분배 팁(246)이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위에 위치 설정될 때에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기 위한 얀(206)을 공급하며, (b)분배 팁(246)이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아래에 위치 설정될 때에 인레이하기 위한 얀(206)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급송기 아암(240)은 조합 급송기(220)가 사용되는 방식에 따라 2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왕복동한다.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을 통해 왕복동할 때에, 급송기 아암(240)은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병진한다.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분배 팁(246)은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위에 위치 설정된다(도 20).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분배 팁(246)은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아래에 위치 설정된다(도 21). 분배 팁(246)은 급송기 아암(240)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급송기 아암(240)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에 캐리어(230)에 더 가깝다. 유사하게, 분배 팁(246)은 급송기 아암(240)이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보다 급송기 아암(240)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캐리어(230)로부터 더 멀리 있다. 바꿔 말해서, 분배 팁(246)은 연장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에 캐리어(230)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니들 베드(201)를 향해 이동하며, 후퇴된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에 캐리어(230)에 대해 더 가깝게 그리고 니들 베드(20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 참조 목적으로, 화살표(221)가 분배 영역(245)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화살표(221)가 상방으로 또는 캐리어(230)를 향해 지향될 때에, 급송기 아암(240)은 후퇴된 위치에 있다. 화살표(221)가 하방으로 또는 캐리어(230)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될 때에, 급송기 아암(240)은 연장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화살표(221)의 위치를 참조함으로써, 급송기 아암(240)의 위치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스프링(242)은 급송기 아암(240)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 위치[즉, 급송기 아암(240)의 중립 상태]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급송기 아암(240)은 충분한 힘이 아암(251) 중 하나에 인가될 때에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급송기 아암(240)의 연장은 충분한 힘(222)이 외측 단부(253) 중 하나에 인가되고 공간(255)을 향해 지향될 때에 발생한다(도 14 및 도 15 참조). 따라서, 급송기 아암(240)은 화살표(22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나, 힘(222)의 제거 시에, 급송기 아암(240)은 스프링(242)의 편향력으로 인해 후퇴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6은 힘(222)을 내측 단부(254)에 작용하고 외측을 향해 지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 결과, 급송기(220)는 [레일(20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지만 급송기 아암(240)은 후퇴된 위치에 남아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제1 커버 부재(231)가 제거된 상태로 조합 급송기(220)를 도시함으로써, 캐리어(230)의 캐비티 내의 요소를 노출시킨다. 도 13을 도 14 및 도 15와 비교함으로써, 힘(222)이 급송기 아암(240)을 연장 및 후퇴시키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명백할 수 있다. 힘(222)이 외측 단부(253) 중 하나에 작용하는 경우에, 구동 부재(250) 중 하나가 급송기 아암(240)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활주한다. 즉, 구동 부재(250) 중 하나가 도 14 및 도 15에서 수평 방향으로 활주한다. 구동 부재(250) 중 하나의 이동은 구동 볼트(241)가 경사진 에지(257) 중 하나와 결합하게 한다. 구동 부재(250)의 이동이 급송기 아암(240)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강요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구동 볼트(241)는 경사진 에지(257)에 대해 롤링 또는 활주하고 급송기 아암(240)을 연장된 위치로 병진시키도록 유도한다. 힘(222)의 제거 시에, 스프링(242)은 급송기 아암(240)을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끌어당긴다.
니들 베드에 대한 급송기의 이동
전술한 바와 같이, 급송기(204, 220)는 캐리지(205)와 구동 볼트(들)(219)의 작용으로 인해 레일(203)을 따라 그리고 니들 베드(201) 위에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지(205)로부터 연장된 각자의 구동 볼트(219)는 급송기(204, 220)와 접촉하여 니들 베드(201) 위에서 이동하도록 급송기(204, 220)를 레일(203)을 따라 압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볼트(219)는 캐리지(20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캐리지(205)의 수평 이동은 구동 볼트(219)가 외측 단부(253)에 대해 압박하게 함으로써, 급송기(220)를 캐리지(205)와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대안적으로, 구동 볼트(219)는 급송기(240)를 레일(203)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내측 단부(254) 중 하나에 대해 접할 수 있다. 구동 볼트(219)는 또한 [조합 급송기(220)의 아암(251)에 대해 압박하는 구동 볼트(219)와 유사하게] 제1 급송기(204)의 아암에 대해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제1 급송기(204, 220)를 니들 베드(201)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의 결과로서, 급송기(204, 220)는 얀(206) 또는 다른 스트랜드를 니들 베드(201)를 향해 급송하도록 사용되어 편직 구성요소(130)를 제조할 수 있다.
조합 급송기(220)와 관련하여, 구동 볼트(219)는 또한 급송기 아암(240)이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볼트(219)가 외측 단부(253) 중 하나에 접하고 압박할 때에, 급송기 아암(240)은 연장된 위치로 병진한다. 그 결과로서, 분배 팁(246)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아래에서 통과한다.
구동 볼트(219)는 연장된 위치(도 18)로부터 후퇴된 위치(도 17)로 이동되어 단부(253)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스프링(242)은 그 결과로서 도 17의 화살표(221)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급송기(220)를 다시 후퇴된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마찰력이 급송기(220)의 단부(253)로부터 구동 볼트(219)의 결합 해제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조합 급송기(220)의 경우에, 스프링(242)의 복귀력 및/또는 얀(206)의 인장이 단부(253)를 충분한 힘에 의해 볼트(219) 내로 압박되게 함으로써, 볼트(219)와의 마찰 결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볼트(219)가 결합 해제되지 못하면, 급송기(220)는 연장된 위치에 잘못 유지될 수 있고, 볼트(219)는 급송기(220)를 종방향으로 너무 멀리 이동시킬 수 있으며, 편직 구성요소가 잘못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부(253)의 볼록하게 라운딩된 형상은 단부(253)로부터 볼트(219)의 결합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부(253)의 볼록하고 라운딩된 표면이 구동 볼트(219)와 단부(253)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단부(253)를 폴리싱 및/또는 윤활시키면 마찰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 볼트(219)가 보다 양호하게 단부(253)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고, 급송기(220)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편직 프로세스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구동 볼트(219) 및/또는 단부(253)는 서로 반복적으로 결합 해제된 후에 시간 경과에 따라 마모가 덜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내측 단부(254)는 만곡되고 볼록할 수 있거나, 폴리싱될 수 있거나, 윤활유로 처리되거나, 달리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된 단부(253)와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구동 볼트(219)는 유사하게 단부(254)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합 해제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급송기(204)는 본 명세서에 상세하세 설명된 단부(253)와 유사하게 라운딩되고 볼록한 단부를 갖는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딩된 단부(253)를 갖는 제1 급송기(204)의 실시예는, 예컨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도 31은 또한 구동 볼트(219)로부터 증가된 효율로 결합 해제될 수 있는 조합 급송기(1220)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급송기(1220)는 전술한 급송기(2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급송기(1220)는 베이스 아암(1251)과 베어링(1225)을 각각 갖는 구동 부재(12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225)은 베이스 아암(125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럴형 휘일일 수 있다. 베어링(1225)의 반경 방향 외부면은 구동 부재(1250)의 볼록하게 만곡된 외측 단부(1253)를 획정할 수 있다. 베어링(1225)은 구동 볼트(1219)가 급송기(1220)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에 아암(125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볼트(1219)와 급송기(1220) 사이의 결합 해제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1 급송기(204)는 구동 볼트(1219)와의 마찰 결합을 감소시키도록 유사한 베어링(1225)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내측 단부(1254)는 유사한 베어링(1225)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편직 프로세스
이하, 편직기(200)가 편직 구성요소(130)를 제조하도록 작동하는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더욱이, 이하의 설명은 편직 프로세스 중에 제1 급송기(204)와 조합 급송기(220)의 작동을 증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다양한 니들(202), 레일(203), 제1 급송기(204), 및 조합 급송기(220)를 포함하는 편직기(20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조합 급송기(220)는 레일(203)의 전방면에 고정되는 반면, 제1 급송기(204)는 레일(203)의 후방면에 고정된다. 얀(206)은 조합 급송기(220)를 통과하고, 얀(206)의 단부는 분배 팁(246)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얀(206)이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다른 스트랜드(예컨대, 필라멘트, 실, 로프, 웨빙, 케이블, 체인, 또는 얀)가 조합 급송기(220)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얀(211)이 제1 급송기(204)를 통과하고 편직 구성요소(260)의 일부를 형성하며, 편직 구성요소(260)에서 최상부 단을 형성하는 얀(211)의 고리는 니들(202)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후크에 의해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편직 프로세스는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편직 구성요소(130)와 유사한 편직 구성요소를 비롯하여 임의의 편직 구성요소일 수 있는 편직 구성요소(260)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설명을 위해, 편직 구조가 도시되게 하도록 편직 구성요소(260)의 비교적 작은 섹션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편직기(200)의 다양한 요소들 및 편직 구성요소(260)의 척도 또는 비율은 편직 프로세스를 보다 잘 설명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제1 급송기(204)는 분배 팁(213)을 갖는 급송기 아암(212)을 포함한다. 급송기 아암(212)은, (a)니들(202)들 사이에 센터링되고 (b)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위에 있는 지점에 분배 팁(213)을 위치 설정하도록 각도를 이룬다. 도 19는 이 구성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니들(202)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상이한 표면에 놓인다는 것을 유념하라. 즉, 니들 베드(201)로부터의 니들(202)은 상이한 평면 상에 놓인다. 니들(202)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각각 갖는다. 실선으로 도시된 제1 위치에서, 니들(202)은 후퇴된다. 점선으로 도시된 제2 위치에서, 니들(202)은 연장된다. 제1 위치에서, 니들(202)은 니들 베드(201)가 놓이는 평면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러나, 제2 위치에서, 니들(202)은 연장되어 니들 베드(201)가 놓이는 평면들의 교차점을 통과한다. 즉, 니들(202)은 제2 위치로 연장될 때에 서로 교차한다. 분배 팁(213)은 평면들의 교차점 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 위치에서, 분배 팁(213)은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도록 얀(211)을 니들(202)에 공급한다.
조합 급송기(220)는 도 22에서 화살표(221)의 배향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후퇴된 위치에 있다. 급송기 아암(240)은 (a)니들(202)들 사이에 센터링되고 (b)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위에 있는 지점에 분배 팁(246)을 위치 설정하도록 캐리어(23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20은 이 구성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면, 제1 급송기(204)는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고 새로운 단이 얀(211)으로부터 편직 구성요소(260)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니들(202)이 이전 단의 고리를 통해 얀(211)의 섹션을 당김으로써, 새로운 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단은 제1 급송기(204)를 니들(202)을 따라 이동시키고 니들(202)이 얀(211)을 조종하여 얀(211)으로부터 추가의 고리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편직 구성요소(260)에 추가될 수 있다.
편직 프로세스를 계속하면, 급송기 아암(240)이 이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병진한다. 연장된 위치에서, 급송기 아암(240)은 (a)니들(202)들 사이에 센터링되고 (b)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아래에 있는 지점에 분배 팁(246)을 위치 설정하도록 캐리어(23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21은 이 구성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분배 팁(246)은 급송기 아암(240)의 병진 이동으로 인해 도 22b에서 분배 팁(246)의 위치 아래에 위치 설정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제, 도 25를 참조하면, 조합 급송기(220)가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고 얀(206)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고리들 사이에 배치된다. 즉, 얀(206)은 일부 고리의 전방에 그리고 다른 고리의 후방에 교호 방식으로 배치된다. 더욱이, 얀(206)은 하나의 니들 베드(201)로부터 니들(202)에 의해 유지되는 고리의 전방에 배치되고, 얀(206)은 다른 니들 베드(201)로부터의 니들(202)에 의해 유지되는 고리 후방에 배치된다. 급송기 아암(240)은 얀(206)을 니들 베드(201)의 교차점 아래의 영역에 두기 위하여 연장된 위치에 남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는 얀(206)을 도 23에서 제1 급송기(204)에 의해 최근에 형성된 단 내에 효과적으로 배치한다.
또한, 급송기(220)의 돌기(216, 217)는 급송기(220)가 편직 구성요소(260)를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편직 구성요소(260)의 이전에 형성된 단 내의 얀(211)을 밀어 젖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16, 217)는 수평 방향으로(화살표(225)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직된 얀(211)을 압박하여 단을 넓히고 얀(206)이 인레이되도록 앰플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216, 217)는 또한 편직된 얀(211)을 하방으로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얀(211, 206)이 비교적 큰 직경을 갖더라도, 얀(206)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단 내에 효과적으로 놓일 수 있다. 또한, 돌기(216, 217)의 단부가 라운딩되기 때문에, 돌기(216, 217)는 얀(211)을 파열시키거나 달리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얀(206)을 편직 구성요소(260)에 인레이하는 것을 완료하기 위하여, 제1 급송기(204)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여 얀(211)으로부터 새로운 단을 형성한다. 새로운 단을 형성함으로써, 얀(206)은 편직 구성요소(260)의 구조 내에 효과적으로 편직되거나 달리 통합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급송기 아암(240)은 또한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병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개설된 일반적인 편직 프로세스는 인레이드 스트랜드(132)가 편직 요소(131)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방식의 예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직 구성요소(130)는 인레이드 스트랜드(132, 152)를 편직 요소(131) 내에 효과적으로 삽입하도록 조합 급송기(220)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급송기 아암(240)의 왕복동 작용을 고려하면, 인레이드 스트랜드는 새로운 단을 형성하기 전에 이전에 형성된 단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편직 프로세스를 계속하면, 급송기 아암(240)은 이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병진한다. 이어서, 조합 급송기(220)는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고 얀(206)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고리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도 26에서 제1 급송기(204)에 의해 형성된 단 내에 얀(206)을 효과적으로 배치한다. 다시, 돌기(216, 217)는 얀(206)을 인레이하기 위한 틈새를 만들기 위해 단 내의 얀(211)을 밀어 젖힐 수 있다. 얀(206)을 편직 구성요소(260)에 인레이하는 것을 완료하기 위하여, 제1 급송기(204)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여 얀(211)으로부터 새로운 단을 형성한다. 새로운 단을 형성함으로써, 얀(206)은 편직 구성요소(260)의 구조 내에 효과적으로 편직되거나 달리 통합된다. 이 단계에서, 급송기 아암(240)은 또한 연장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병진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얀(206)은 2개의 인레이드 섹션 사이에서 고리(214)를 형성한다. 위에서의 편직 구성요소(130)의 설명에서, 인레이드 스트랜드(132)는 둘레 에지(133)에서 편직 요소(131)를 반복적으로 빠져나간 다음 둘레 에지(133)의 다른 지점에서 편직 요소(131)에 다시 들어감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둘레 에지(133)를 따라 고리를 형성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고리(214)는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고리(214)는 얀(206)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편직 구조를 빠져나간 다음에 편직 구조에 다시 들어가는 지점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급송기(204)는 니들(202)이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도록 조종하는 스트랜드[예컨대, 얀(211)]를 공급하는 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조합 급송기(220)는 니들(202)이 뜨거나, 집어 넣거나, 플로팅하는 얀[예컨대, 얀(206)]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얀을 인레이하는 능력을 갖는다. 편직 프로세스의 상기 설명은 조합 급송기(220)가 연장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얀을 인레이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조합 급송기(220)는 또한 후퇴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도록 얀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0을 참조하면, 조합 급송기(220)는 후퇴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레일(203)을 따라 이동하고 후퇴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편직 구성요소(260)의 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급송기 아암(240)을 왕복동함으로써, 조합 급송기(220)는 얀(206)을 뜨고, 집어 넣고, 플로팅하고, 인레이하도록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편직 프로세스 후에, 편직 구성요소(130)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다양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편직 구조체의 능력을 제한하도록 발수 코팅 또는 다른 방수 처리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편직 구성요소(130)는 로프트를 개선하고 얀의 융합을 유도하도록 증기 처리될 수 있다.
증기 처리 프로세스와 관련된 절차는 크게 다를 수 있지만, 한가지 방법은 증기 처리 중에 편직 구성요소(130)를 지그(jig)에 핀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편직 구성요소(130)를 지그(130)에 핀으로 고정시키는 이점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특정한 영역의 결과적인 치수가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지그 상의 핀은 편직 구성요소(130)의 둘레 에지(133)에 대응하는 영역을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둘레 에지(133)에 대해 특정한 치수를 유지함으로써, 둘레 에지(133)는 갑피(120)를 밑창 구조체(110)에 결합시키는 라스팅(lasting) 프로세스의 일부 동안에 정확한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130)의 핀 고정 영역은 증기 처리 프로세스 후에 편직 구성요소(130)의 결과적인 치수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260)를 형성하기 위한 전술한 편직 프로세스는 신발류(100)를 위한 편직 구성요소(130)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편직 프로세스는 또한 다양한 다른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조합 급송기 또는 다른 왕복동 급송기를 이용하는 편직 프로세스가 다양한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도고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편직 프로세스, 또는 유사한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되는 편직 구성요소는 또한, 다른 유형의 의류(예컨대, 셔츠, 바지, 양말, 재킷, 속옷), 운동 장비(예컨대, 골프 백, 야구 및 축구 장갑, 축구공 제한 구조물), 컨테이너(예컨대, 백팩, 가방), 및 가구(예컨대, 의자, 카우치, 카 시트)용 덮개에 사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는 또한 침대보(예컨대, 시트, 담요), 테이블보, 타월, 깃발, 텐트, 돛, 및 낙하산에 사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는 자동차 및 항공 우주 용례를 위한 구조물, 필터 재료, 의료용 텍스타일(예컨대, 붕대, 탈지면, 임플란트), 제방 보강용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작물 보호용 애그로텍스타일(agrotextile), 및 열과 방사선에 대해 보호하고 격리하는 산업용 의류를 비롯하여 산업용 목적을 위한 산업용 텍스타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편직 프로세스, 또는 유사한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된 편직 구성요소는 개인적 목적과 산업적 목적 모두를 위한 다양한 제품들에 통합될 수 있다.
급송기의 추가 특징부 및 편직 작업
이제, 도 43을 참조하면, 조합 급송기(3220)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급송기(3220)는 달리 표기한 것을 제외하고 도 10 내지 도 21과 관련하여 전술한 급송기(2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43의 급송기(3220)는 편직 프로세스에 일조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급송기(3220)는 급송기(3220)의 급송 방향에 대해 급송기(3220)의 분배 팁의 앞에 있는 미리 편직된 단을 압박할 수 있다. 도 43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단순히 예시이고 급송기(3220)는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급송기(3220)는 제1 부분(3241)과 제2 부분(3249)을 갖는 급송기 아암(3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241)은 캐리어(3230)에 부착될 수 있고 캐리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3241)은 또한 풀리(3243)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부분(3249)은 제1 부분(3241)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3241) 및 제2 부분(3249)은 힌지(3247), 가요성 조인트, 또는 기타 적절한 커플링을 통해 피봇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분배 영역(3245)이 제2 부분(3249)에 부착될 수 있다.
급송기(3220)는 또한 확장 단부(326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3261)는 둥글납작할 수 있다. 단부(3261)는 중공이고 급송기(3220)의 테이퍼형 분배 영역(3245) 위에 수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단부(3261)는 분배 영역(3245)에 일체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단부(3261)는 라운딩되고 볼록한 하나 이상의 돌기(3262, 3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262, 3264)는 간극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분배 팁(3246)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262, 326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돌기(3262, 3264)는 편직기의 레일을 따른 급송기(32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분배 팁(3246)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3241, 3249)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급송기(3220)는 제1 위치(도 44)와 제2 위치(도 45)를 가질 수 있다. 급송기(3220)는 급송기(3220)의 급송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급송기(3220)가 급송 방향(3270)으로 이동할 때에(도 44), 둥글납작한 단부(3261)와 편직 구성요소(3260) 사이의 마찰이 제2 부분(3249)을 압박하여 도 44의 화살표(327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급송기(3220)가 급송 방향(3270)에서 선형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돌기(3262)는 편직 구성요소(3260)의 미리 편직된 단에 대해 압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3262)는 급송 방향(3270)에서 분배 팁(3246)의 앞에 있는 스티치를 압박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3260)의 스티치에 대한 제1 돌기(3260)의 압박은 화살표(3274)로 지시되어 있다. 따라서, 급송기(3220)에 의해 급송되는 스트랜드(3206)는 편직 구성요소(3260)에 통합되도록 충분한 틈새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스트랜드(3206)가 편직 구성요소(3260)에 인레이되면, 제1 돌기(3262)가 그러한 인레이를 위한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급송기(3220)가 도 45에서 화살표(3271)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반대쪽 급송 방향으로 이동하면, 편직 구성요소(3260)와 둥글납작한 단부(3261) 사이의 마찰이 제2 부분(3249)을 화살표(3273)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급송기(3220)가 급송 방향(3271)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2 돌기(3264)는 화살표(3275)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분배 팁(3246)의 앞에 있는 스티치에 대해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기(3264)는 편직 구성요소(3260)에 스트랜드(3206)를 통합하기 위한 앰플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3262, 3264)는 급송기(3220)가 보다 정확한 편직을 위해 이동함에 따라 분배 팁(3246)의 앞에 있는 스티치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편직기는 니들 베드에서 니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소위 "싱커(sinker)" 또는 "녹-오버(knock-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싱커는 급송기(3220)가 니들 베드를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이들 싱커는 급송기(3220)가 지나가면서 편직된 스티치를 아래로 압박한 후에 순차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분배 팁(3246)이 급송기(3220)의 이동 방향(3270)으로부터 멀어지게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분배 팁(3246)은 급송기(3220) 후방에서 폐쇄되는 싱커에 더 가깝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랜드(3206)는 폐쇄하는 싱커에 의해 빠르게 파지되고 편직 구성요소(3260)로 압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트랜드(3206)는 편직 구성요소(3260)에 적절하게 인레이될 가능성이 더 많다.
제1 위치(도 44)와 제2 위치(45) 사이에서 급송기(3220)의 이동은 다른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컨대, 급송기(3220)는 액츄에이터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급송기(322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일 급송기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도 43-45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 10-21의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통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테이크다운 조립체(take-down assembly)
이제, 도 37을 참조하면, 편직기(200)의 단면도가 간소화된 형태로 그리고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도 37은 도 9의 선 37-37을 따라 취함).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기(200)는 편직 구성요소(260)를 니들 베드(201)로부터 멀어지게 전진시킬(예컨대, 당길) 수 있는 테이크다운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직 구성요소(260)는 니들 베드(201)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편직 구성요소(260)는 니들 베드(201)에서 순차적인 단들이 추가됨에 따라 하방으로 성장할 수 있다.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도 37에서 하방 화살표(315)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니들 베드(201)로부터 멀어지게 편직 구성요소(260)를 수용하고, 파지하며, 당기고, 및/또는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테이크다운 조립체(300)가 니들 베드(201)로부터 편직 구성요소(260)를 당길 때에 편직 구성요소(260)에 인장을 인가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편직 구성요소(260)가 니들 베드(201)에서 형성되고 니들 베드로부터 성장할 때에 편직 구성요소(260)의 상이한 부분들에 인가되는 인장에 대한 유저의 제어를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니들 베드(201)를 따른 종방향을 따라 상이한 레벨의 인장을 편직 구성요소(260)에 인가하기 위한 다양한 독립 제어식 및 독립 구동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도 37 및 3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롤러(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303-314)는 원통형일 수 있고 그 원주 방향 외부면에 고무 또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303-314)는 파지를 강화하도록 원주 방향 외부면에 텍스쳐링(예컨대, 상승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거나, 롤러(313-134)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울 수 있다. 롤러(303-314)는 임의의 적절한 반경(예컨대, 대략 0.25 인치 내지 2 인치)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종방향 길이(예컨대, 대략 0.5 인치 내지 5 인치)를 가질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롤러(303-314)는 각자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편직 구성요소(260)와 접촉하여 파지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260)는 롤러(303-314)가 회전할 때에 니들(201)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롤러(303-314)의 회전은 편직 구성요소(260)를 당기고 편직 구성요소에 인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편직기(200)는 롤러(303, 304, 305, 306, 307, 308; 메인 롤러)의 제1 그룹(301)과 롤러(309, 310, 311, 312, 313, 314; 보조 롤러)의 제2 그룹(3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3-305)는 니들 베드(201)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316)에서 대체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롤러(306-308)는 열(317)에서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롤러(303)의 원주 방향 외부면은 롤러(306)의 원주 방향 외부면과 대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롤러(304)는 롤러(307)와 대향할 수 있고, 롤러(305)는 롤러(308)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그룹(302)에서, 롤러(309-311)는 열(318)에서 배치될 수 있고, 롤러(312-314)는 별개의 열(319)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롤러(309-314)는 롤러(309)가 롤러(312)와 대향하고, 롤러(310)가 롤러(313)와 대향하며, 롤러(311)가 롤러(314)와 대향하도록 마주보고 쌍을 이룰 수 있다.
도 38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320-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부재(320-325)는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다른 유형의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부재(320-325)는 대향하는 쌍의 롤러(303-314)들을 서로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예컨대, 편향 부재(320)는 롤러(306)가 롤러(303)를 향해 편향되도록 롤러(306)의 액슬에 (예컨대, 기계적 연결 장치 등을 통해)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더욱이, 편향 부재(320)는 각자의 회전 축선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떨어져 있도록 롤러(306)를 롤러(303)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편향 부재(321)는 롤러(307)를 롤러(304)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고, 편향 부재(322)는 롤러(308)를 롤러(305)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으며, 편향 부재(323)는 롤러(312)를 롤러(309)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고, 편향 부재(324)는 롤러(313)를 롤러(310)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으며, 편향 부재(325)는 롤러(314)를 롤러(311)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이들 대향하는 쌍들의 롤러의 원주 방향 외부면은 각자의 편향 부재(320-325)로 인해 서로에 대해 압박될 수 있다.
더욱이, 테이크다운 조립체(300)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326-331)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12)는 전기 모터, 유압식 또는 공압식 액츄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자동화 구동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26-331)는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서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26)는 편향 부재(320)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327)는 편향 부재(321)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29)는 편향 부재(323)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330)는 편향 부재(324)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31)는 편향 부재(325)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26-331)는 각자의 편향 부재(320-325)의 편향 부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액츄에이터(326-331)는 훅의 법칙에 따라 그러한 편향 부하의 조절을 위해 편향 부재(320-325)의 스프링의 길이를 변화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편향 부하"라는 용어는 편향력, 스프링 강성 등을 포함하도록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향하는 쌍들의 롤러(303-314) 간의 압축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26-331)는 제어기(332)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제어기(332)는 개인용 컴퓨터에 포함될 수 있고, 프로그램된 로직,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입력 디바이스(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 및 기타 관련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32)는 액츄에이터(326-33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액츄에이터(326-331)에 전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332)는 액츄에이터(326-331)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편향력, 스프링 강성 등은 편향 부재(320-325) 간에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260)에 걸쳐서 인장은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를 수 있어, 예컨대 편직 구성요소(260)에 걸쳐서 상이한 스티치 종류가 통합되게 하고, 일부 스티칭 영역이 다른 스티칭 영역보다 더 타이트하게 당겨지게 한다.
이하, 테이크다운 조립체(3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7에 대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260)는 단이 추가됨에 따라 하방으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직 구성요소(260)는 초기에 롤러(309-314)의 열(318, 319)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편직 구성요소(260)가 계속 성장함에 따라, 편직 구성요소(260)는 롤러(303-308)의 열(316, 317)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대향하는 롤러(303-314)의 쌍들이 니들 베드(201)의 종방향을 따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이한 쌍의 롤러(303-314)가 편직 구성요소(260)의 상이한 부분과 접촉하여 전진시킨다. 편향 부재(320-325)의 편향 부하는 편직 구성요소(260)의 각 부분에 원하는 방식으로 인장이 인가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9-42는 이들 작동을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명확화를 위해, 롤러(309-314)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테이크다운 조립체(300)의 다른 롤러들이 관련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39-42의 실시예에서, 롤러(309-314)는 계속적으로 회전하지만, 편향 부재(323-325)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 부하는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제1 부분(340)은 대향하는 쌍의 롤러(310, 313) 위에 형성된다. 달리 말해서, 얀(211)은 롤러(310, 313) 바로 위의 편직 영역에서 제1 부분(340)에 편직된다. 일단 제1 부분(340)이 롤러(310, 313) 사이에서 수용되기에 충분하게 성장되면, 액츄에이터(330)는 편향 부재(324)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 부하를 예정된 레벨로 증가시키도록 구동하고, 롤러(310, 313)는 제1 부분(340)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전진시킬 수 있다. 이는 도 39에서 화살표(342)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310, 313)는 제1 부분(340)의 편직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1 부분(340)을 니들 베드(201)로부터 원하는 인장으로 당길 수 있다. 한편, 다른 롤러들(309, 311, 312, 314)도 회전하지만, 편향 부재(323, 325)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 부하(323, 325)는 비교적 낮게 유지된다.
이어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제2 부분(344)이 한쌍의 롤러(311, 314) 바로 위의 니들 베드(201)의 영역에서 형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제2 부분(344)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국에는 롤러(311, 314) 사이에 수용되도록 성장할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31)는 편향 부재(325)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 부하를 예정된 레벨로 증가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도 40 및 도 41에서 화살표(342)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한편, 편직 구성요소(260)의 제1 부분(340)은 롤러(310, 313)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그리고 롤러(310, 313) 바로 위의 니들 베드(201)의 영역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부분(340)을 고정 상태로 그리고 또한 원하는 인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330)는 롤러(310, 313) 상에 편향 부재(324)에 의해 인가되는 편향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도 40에 화살표(343)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편향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롤러(310, 313)는 제1 부분(340)을 니들 베드(201)로부터 멀어지게 전진시키는 일 없이 회전하고 제1 부분(340)의 각자의 표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다음에,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얀(211)은 제1 부분(340)과 제2 부분(344)을 함께 결합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단을 편직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30, 331)가 모두 구동하여 편향 부재(324, 325)에 의해 각각 인가되는 편향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310, 313)가 편직 구성요소(260)의 제1 부분(340)을 더 타이트하게 파지할 수 있고, 롤러(311, 314)는 제2 부분(344)을 파지하여 편직 구성요소(260)를 더 전진시키고 편직 구성요소(260)를 니들 베드(201)로부터 원하는 인장으로 당길 수 있다.
이들 제조 기법은 예컨대 전술한 편직 구성요소 등의 신발류 물품의 갑피를 형성할 때에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9-42에 도시된 제1 부분(340)은 신발류 물품의 설포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부분(344)은 설포에 일체로 부착되는 갑피의 안쪽 또는 바깥쪽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기법은 설포와 갑피의 주위 부분들이 갑피의 목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통의 연속적인 단에 의해 결합되는 원피스 갑피를 형성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그러한 갑피의 예는 2012년 2월 20일자로 출원되었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합체되는 미국 특허 출원 제13/400,51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법은 또한 편직 구성요소(260)가 니들 베드(201)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편직물이고, 상이한 부분(340, 344)이 테이크다운 조립체(300)에 의해 상이한 인장으로 니들 베드(201)로부터 당겨지는 경우에도 채용될 수 있다.
롤러(303-314)가 편직 구성요소(260)의 각각의 부분(340, 344) 상의 인장을 증가시킬 때에, 이들 부분(340, 344)에서의 스티칭이 더 타이트하고 "깔끔하게"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부분(340, 344) 상의 인장을 감소시키면 스티치가 느슨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크다운 조립체(300)의 롤러(303-314)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을 조절하면 편직 구성요소(260)의 모양새, 느낌, 및/또는 다른 특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롤러(303-314)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은 상이한 유형의 얀(예컨대, 상이한 직경의 얀)이 편직 구성요소(260)에 통합되게 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롤러(303-314)의 원주 방향 표면이 편직 구성요소(260)를 전진시키도록 편직 구성요소(260)의 면 위에서 균등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롤링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롤러(303-314)로부터의 압축성 및 접선 부하는 편직 구성요소(260)의 표면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그 결과, 편직은 고도로 제어된 방식으로 완성될 수 있다.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추가 실시예가 도 32-36에 도시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2-42의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간소화를 위해, 도 32는 조립체에 통합될 수 있는, 한쌍의 대향하는 롤러(2303, 2306)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306)는 액츄에이터(2326)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326)는 롤러(2306)를 그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구동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2개의 롤러(2306, 2303) 사이의 압축으로 인해 롤러(2303)의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도 38-42의 실시예와 같이, 액츄에이터(2326)는 전기 모터, 공압 액츄에이터, 유압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2326)는 롤러(2306)를 액츄에이터(2326)의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허브 모터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2326)는 도 38-4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어기(233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3은 도 32의 구성이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복수 개의 롤러(2303-2306)에 어떻게 채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롤러(2306, 2307)는 개별적인 각자의 액츄에이터(2326, 2327)에 의해 구동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2326, 2327)는 제어기(233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2332)는 롤러(2306, 2307)를 상이한 속도로 구동 회전시키도록 액츄에이터(2326, 2327)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롤러(2306)는 롤러(2307)보다 더 빠르게 구동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또한, 롤러(2306)는 롤러(2307)가 실질적으로 고정 상태로 있는 동안에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 33-36은 테이크다운 조립체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데, 롤러(2306, 2307)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307)는 각자의 액츄에이터(2327)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편직 구성요소(260)의 부분(2320)을 롤러(2307, 2304) 사이에서 전진시키고 부분(2320)을 바로 위의 니들 베드(201)의 영역으로부터 원하는 인장으로 당길 수 있다. 롤러(2307, 2304)의 이 구동 회전은 도 33에 화살표(2360)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이 회전은 롤러(2306)가 실질적으로 고정 상태에 있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일단 편직 구성요소(260)의 부분(2320)이 예정된 길이에 도달하면[즉, 얀(211)의 충분한 단이 부분(320)에 추가되었다면], 롤러(2307, 2304)는 회전을 중단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구성요소(260)의 다른 부분(2322)이 형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일단 부분(2322)이 롤러(2306, 2303)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길면, 롤러(2306)는 각자의 액츄에이터(2326)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 회전은 도 35에 2개의 만곡된 화살표(2360)에 의해 나타낸다. 얀(2211)은 부분(2322)에 계속 편직되거나 달리 통합될 수 있다. 롤러(2306, 2303)는 또한 롤러(2307, 2304)가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에 있는 동안에 회전될 수 있다.
일단 부분(2322)가 예정된 길이에 도달하면, 롤러(2303, 2306, 2304, 2307)의 쌍들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얀(2211)이 부분(2320, 2322) 모두에 통합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얀(2211)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2320, 232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단에 편직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대향하는 쌍의 롤러(2303, 2306)가 다른 대향하는 쌍의 롤러(2304, 2307)보다 빠르게 구동 회전될 수 있어, 부분(2322)이 부분(2320)보다 더 높은 인장으로 당겨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부분(2322)의 스티치는 부분(2320)의 스티치보다 더 타이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테이크다운 조립체는 편직 구성요소가 고도로 제어된 방식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높은 품질의, 내구성이 높고 심미적으로 뛰어난 편직 구성요소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구성을 참조하여 첨부 도면에서 그리고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설명에 의해 의도되는 목적은 본 개시에 관한 다양한 특징 및 개념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지 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구성에 대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21)

  1. 편직 구성요소가 상부에서 편직되는 편직 베드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로서, 편직기는 구동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 및
    상기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아암은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라운딩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2차원적으로 만곡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폴리싱되는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윤활유로 처리되는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아암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아암은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단부와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 아암을 캐리어에 대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 영역은 후퇴된 위치에 비해 연장된 위치에서 니들 베드에 더 가깝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편직기용 급송기.
  9.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편직기로서,
    복수 개의 니들을 갖는 편직 베드;
    상기 편직 베드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구동 볼트; 및
    스트랜드를 상기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는 급송기
    를 포함하고, 상기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 및
    상기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아암은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라운딩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베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볼트는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캐리지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볼트는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접촉면에 접하는 것인 편직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2차원적으로 만곡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폴리싱되는 것인 편직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윤활유로 처리되는 것인 편직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아암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인 편직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아암은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단부와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편직 베드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 아암을 캐리어에 대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 영역은 후퇴된 위치에 비해 연장된 위치에서 니들 베드에 더 가깝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편직기.
  17. 제9항에 있어서, 종방향 축선을 갖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송기는 상기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구동 볼트에 대해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편직기.
  18. 편직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편직기로서,
    복수 개의 니들을 갖는 편직 베드;
    직선 종방향 축선을 갖고, 상기 편직 베드로부터 횡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레일;
    상기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캐리지;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볼트; 및
    스트랜드를 상기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는 급송기
    를 포함하고, 상기 급송기는,
    스트랜드를 편직 베드를 향해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분배 영역을 갖는 급송기 아암,
    상기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착 요소, 및
    상기 급송기 아암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구동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아암은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면은 구동 볼트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 볼트에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커플링시키고, 상기 제2 접촉면은 구동 볼트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 구동 볼트에 접하여 급송기 아암을 레일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캐리지에 커플링시키며,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딩되고 볼록한 것인 편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싱되는 것인 편직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윤활유로 처리되는 것인 편직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아암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제1 및 제2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인 편직기.
KR1020157026811A 2013-02-28 2014-02-27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 KR101809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81,576 US9371603B2 (en) 2013-02-28 2013-02-28 Feeder for knitting machine with friction reducing features
US13/781,576 2013-02-28
PCT/US2014/018836 WO2014134239A1 (en) 2013-02-28 2014-02-27 Feeder for knitting machine friction reducing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207A true KR20150121207A (ko) 2015-10-28
KR101809805B1 KR101809805B1 (ko) 2017-12-15

Family

ID=5048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811A KR101809805B1 (ko) 2013-02-28 2014-02-27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71603B2 (ko)
EP (1) EP2961875B1 (ko)
JP (1) JP6464099B2 (ko)
KR (1) KR101809805B1 (ko)
CN (1) CN105164329B (ko)
AR (1) AR094968A1 (ko)
BR (1) BR112015020752B1 (ko)
HK (1) HK1214317A1 (ko)
TW (1) TWI547615B (ko)
WO (1) WO2014134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9532B2 (en)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060570B2 (en) 2011-03-15 2015-06-23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component
BR112015000643A2 (pt) * 2012-07-17 2017-06-27 Shima Seiki Mfg cabedal de sapato e método para produzir o cabe-dal de sapato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DE102013207155B4 (de)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DE102013207163B4 (de)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chuhoberteil
JP5749774B2 (ja) * 2013-09-30 2015-07-15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
DE102014202432B4 (de) 2014-02-11 2017-07-27 Adidas Ag Verbesserter Fußballschuh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CN107614769A (zh) * 2016-01-27 2018-01-19 卡格公司 旋转编织机
WO2018089501A1 (en) * 2016-11-08 2018-05-17 Nike Innovate C.V. Articles with integrally knit heat-treatable yarn
US10753019B2 (en) 2016-11-14 2020-08-25 Nike, Inc. Upper including a knitted component and a tab element
CN110520561B (zh) 2017-03-31 2022-03-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电子辅助部件的针织机
CN111501184B (zh) * 2019-01-30 2021-10-26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具有变化喂纱位置的横编机喂纱器
EP3705613B1 (en) * 2019-03-04 2021-07-14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yarn feeder with variable yarn feeding positions
KR102179409B1 (ko) * 2019-03-06 2020-11-18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다양한 얀 공급 위치를 갖는 횡편기 얀 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7197A (en) 1936-11-25 1939-02-14 Hood Rubber Co Inc Article of footwear
GB538865A (en) 1939-11-18 1941-08-20 Harold Edmund Brew Improvements relating to knitted fabrics and manufactured knitted articles
US2314098A (en) 1941-04-26 1943-03-16 Mary C Mcdonald Method of making shoes
US2343390A (en) 1941-11-26 1944-03-07 United Shoe Machinery Corp Method of stiffening shoes
US2440393A (en) 1944-08-18 1948-04-27 Frank W Clark Process of making last-fitting fabric uppers
US2569764A (en) 1946-07-25 1951-10-02 Boyd Welsh Inc Initially soft stiffenable material
US2608078A (en) 1950-01-04 1952-08-26 Munsingwear Inc Foundation garment and element therefor
US2641004A (en) 1950-12-26 1953-06-09 David V Whiting Method for producing knitted shoe uppers of shrinkable yarn
DE1084173B (de) 1954-09-18 1960-06-23 Walter Geissler Schuhoberteil
GB1223285A (en) 1967-08-29 1971-02-24 Onitsuka Co Improvements in shoes
CA989720A (en) 1972-02-07 1976-05-25 Stanislaw B. Berger Non-woven mixed fibre batts
NL7304678A (en) 1973-04-04 1974-10-08 Non woven stitched fabric - including thermoplastic fibres fused to increase mech resistance
GB1603487A (en) 1978-03-30 1981-11-25 Inmont Corp Leather like materials
DE2911195C2 (de) * 1979-03-22 1981-03-19 Theodor Groz & Sö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Verfahren zur Bearbeitung der Nadelfüße gestanzter Strickmaschinennadeln
IT8121560V0 (it) 1981-04-23 1981-04-23 Nuova Zarine Costruzione Macch Calzatura con tomaia zonalmente ricoperta da materiale sintetico iniettato stabilmente unito alla tela.
JPS6325004U (ko) 1986-07-31 1988-02-18
DE3641182C1 (en) 1986-12-03 1988-02-04 Schieber Universal Maschf Thread-guide device on flat knitting machines
US4756098A (en) 1987-01-21 1988-07-12 Gencorp Inc. Athletic shoe
US4813158A (en) 1987-02-06 1989-03-21 Reebok International Ltd. Athletic shoe with mesh reinforcement
US4750339A (en) 1987-02-17 1988-06-14 Golden Needles Knitting & Glove Co., Inc. Edge binding for fabric articles
IT214396Z2 (it) * 1988-03-01 1990-05-03 Emm Srl Dispositivo elettromeccanico per il trascinamento delle slitte, supportanti altrettanti guidafilo, di una macchina automatica rettilinea per maglieria
JPH04505107A (ja) 1988-10-03 1992-09-10 ジェン ジェン ホールディング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加熱エンボスされた靴
JPH0665780B2 (ja) 1989-10-04 1994-08-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引下げ装置
WO1991005897A1 (fr) 1989-10-18 1991-05-02 Toray Industries, Inc. Tissu presentant une structure specifique,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differents articles composes dudit tissu, par exemple des vetements
AU1977192A (en) 1991-06-17 1993-01-12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Method of producing a shaped shoe part from a strip of fabric, and a shaped shoe part produced by this method
JP2807848B2 (ja) * 1991-07-11 199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ヤーンフィーダの駆動装置
JPH06113905A (ja) 1992-02-21 1994-04-26 Daiyu Shoji:Kk シューズ用胛被材
DE4300027A1 (de) * 1993-01-02 1994-07-07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JPH08109553A (ja) 1994-10-04 1996-04-30 Toho Seni Kk 三層シート用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三層基布を用いた自動車座席、靴、鞄、袋物など用の三層シート
DE19506037A1 (de) 1995-02-22 1996-08-29 Hoechst Trevira Gmbh & Co Kg Verformbare, hitzestabilisierbare textile Polware
ATE207554T1 (de) 1995-08-11 2001-11-15 Alfred Buck Halbzeug für verbundwerkstoff
US5609044A (en) * 1996-01-19 1997-03-11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Durable knitting machine cylind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9616943U1 (de) 1996-09-28 1996-11-21 Recytex Textilaufbereitung Gmb Textiles Flächengebilde
DE19644166C1 (de) * 1996-10-24 1997-11-20 Groz Beckert Kg Strickwerkzeug für Textilmaschinen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s
KR100521798B1 (ko) 1996-11-06 2006-01-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있어서편지인하장치
JP2903152B2 (ja) * 1997-04-15 1999-06-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機構
DE19728848A1 (de) 1997-07-05 1999-01-07 Kunert Werke Gmbh Bekleidungsstück mit eingeprägtem Zeichen
JP3044370B2 (ja) * 1997-08-21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供給装置
JPH11302943A (ja) 1998-04-20 1999-11-02 Masahiko Ueda アパレル用生地及びブレード、それを用いた形態安定化繊維製品の製造方法
DE19855542A1 (de) 1998-12-01 2000-06-08 Keiper Recaro Gmbh Co Stabilisierung eines Gestricks durch Thermomaterial
JP2000238142A (ja) 1999-02-22 2000-09-05 Ykk Corp 強化繊維入り成形用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並びに安全靴先芯
US6647749B2 (en) * 2000-02-29 2003-11-18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WO2002031247A1 (en) 2000-10-10 2002-04-18 Prodesco, Inc. Stiffened fabric
GB0104143D0 (en) 2001-02-20 2001-04-11 Courtaulds Textiles Holdings Knitted fabric
CN101397717B (zh) * 2001-03-29 2011-02-0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纬编机的导纱器及纬编机
JP4015953B2 (ja) * 2001-03-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ヤーンキャリア
WO2003010378A1 (fr) * 2001-07-24 2003-02-06 Shima Seiki Mfg., Ltd. Dispositif d'alimentation de fil d'un metier trame et procede d'alimentation de fil destine a un tel metier
JP3922907B2 (ja) * 2001-10-25 2007-05-3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撹拌装置
CN1764751B (zh) * 2003-02-26 2012-05-30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的导纱器
EP1605086B1 (en) * 2003-03-07 2008-09-24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er of weft knitting machine
JP4016012B2 (ja) * 2003-10-10 2007-12-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用摺動抵抗付加装置
JP4125267B2 (ja) * 2004-07-07 2008-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のヤーンフィーダ
JP4125268B2 (ja) * 2004-07-07 2008-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給糸装置のヤーンフィーダ
EP1715092B1 (de) * 2005-04-21 2012-08-29 H. Stoll GmbH & Co. KG Fadenführer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JP4781061B2 (ja) * 2005-09-14 2011-09-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ソレノイドの制御装置
US8522577B2 (en) * 2011-03-15 2013-09-03 Nike, Inc. Combination feeder for a knitting machine
KR101226417B1 (ko) 2011-09-21 2013-01-24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용 실 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9396A (zh) 2014-10-16
AR094968A1 (es) 2015-09-09
US20140238083A1 (en) 2014-08-28
WO2014134239A1 (en) 2014-09-04
JP6464099B2 (ja) 2019-02-06
KR101809805B1 (ko) 2017-12-15
US9371603B2 (en) 2016-06-21
BR112015020752A2 (pt) 2017-07-18
CN105164329A (zh) 2015-12-16
HK1214317A1 (zh) 2016-07-22
EP2961875B1 (en) 2019-08-28
JP2016511805A (ja) 2016-04-21
BR112015020752B1 (pt) 2021-12-28
CN105164329B (zh) 2018-02-16
TWI547615B (zh) 2016-09-01
EP2961875A1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162B1 (ko) 압박 부재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
KR101857334B1 (ko) 편직기의 테이크다운 조립체를 위한 독립 제어식 롤러
KR101809805B1 (ko) 마찰 감소 특징부를 갖는 편직기용 급송기
US20230038383A1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10398196B2 (en) Knitted component with adjustable inlaid strand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854965B1 (ko) 수직 방향으로 인레이된 인장 요소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의 편직 방법
JP2016534836A (ja) 調整可能なインレイストランドを有する履物製品用のニット構成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