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036A - 탄성 부착 접착제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탄성 부착 접착제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036A
KR20150121036A KR1020157024310A KR20157024310A KR20150121036A KR 20150121036 A KR20150121036 A KR 20150121036A KR 1020157024310 A KR1020157024310 A KR 1020157024310A KR 20157024310 A KR20157024310 A KR 20157024310A KR 20150121036 A KR20150121036 A KR 2015012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olymer
hot melt
elastic
mel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312B1 (ko
Inventor
마리아 크리스티나 바르보사 디 지저스
찰스 더블유. 폴
발레리 알렉시스
Original Assignee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헨켈 아이피 앤드 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2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09J7/0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8Cr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10T442/602Nonwoven fabric comprises an elastic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부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장기 노화 요인 하에 안정한 크리프 성능을 나타내며, 따라서, 탄성 부착 용도에 특히 적절하다.

Description

탄성 부착 접착제 및 그의 용도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부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로 형성된 접착제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장기적인 노화 요인 하에서도 안정한 크리프 성능을 가짐으로써 탄성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탄성 부착 핫-멜트 접착제(elastic attachment hot melt adhesive)에 주된 중합체로서 사용되어 왔다. 스티렌계 접착제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탄성 중간-블록 및 경질 말단-블록으로 인하여 균형잡힌 탄성 및 강도를 가지므로 균일한 분무 성능을 갖는다. 그러한 접착제는 전형적으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매우 높은 점성으로 인해 다량의 점착제 및/또는 가소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점착제 및 가소제의 다량 첨가는 노화시 탄성 부착 접착제의 성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와 같은 다른 블록 공중합체가 또한, 예컨대, US 7,989,543 및 US 20110021103 등에서 탄성 부착 접착제 중에 사용되어 왔다. 에틸렌/알파-올레핀 혼성중합체로 형성된 접착제는 초기 탄성 및 크리프 내성 (creep resistance)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특성은 노화시 약화되거나 사라진다. 또한, 균형잡힌 탄성과 강도를 얻기 위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와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EP 1214368)도 접착제 중에 다량의 점착제 및/또는 가소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노화시 접착제의 성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중합체 내에 블록형 구조가 없는, 예컨대, 폴리부틸렌 (예를 들어, US 6,218,457)과 같은 접착제는 균형잡힌 탄성과 강도를 얻지 못한다. 더우기,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신디오택틱 또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와 무정형 중합체의 블렌드 시스템, 예를 들어, US 6,653,385, US 6,774,069, US 7,262,251 및 US 7,067,585에 기재된 접착제는 노화시 균형잡힌 탄성과 강도를 유지하지 못한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탄성 접착제에 사용되어 왔지만, 그러한 접착제는 일정하지 않고 고르지 않게 분무된다. 접착제는 도포 온도에서 균일하고 일정하게 분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중의 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는 그의 분자량 분포가 비-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보다 좁으므로 보다 양호한 분무성을 제공하나, 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는 보다 고가이고 점도가 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의 높은 점성은 전형적인 도포 온도에서 분무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접착제 내 다량의 점착제 및/또는 오일을 필요로 한다.
관련 기술분야에는 균형잡힌 탄성과 강도, 균형잡힌 장기 탄성과 강도, 비용 및 도포 온도에서 일정한 분무성과 같은 양호한 성능을 갖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총족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는 장기 노화 조건 하에 바람직한 크리프 성능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는 ASTM D3236에 따라 측정시 200℃에서의 점도가 약 200,000 mPas 미만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퍼옥시드 및/또는 열로 분해된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는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시 용융열이 20 J/g을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접착제의 tanδ 값은 약 30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4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을 초과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는 (A) 50 중량% 초과의, 용융열이 20 J/g을 초과하는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 및 (B) 50 중량% 미만의, 용융열이 15 J/g 미만인 가요성화제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ASTM D3236에 따라 측정시 200℃에서의 점도가 약 200,000 mPas 미만이고, 퍼옥시드 및/또는 열을 이용한 분해에 의해 형성된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 및 가요성화제의 중량%는 중합체의 총 중량%를 기준으로 하며, 용융열은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는 (a) 부직 기재; (b)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로 코팅된 탄성 스트랜드 ; 및 (c) 필름 기재를 포함하며, 두 장의 기재가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탄성 스트랜드 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라미난트(laminant)에 관한 것이다.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는 50 중량% 초과의, 용융열이 20 J/g을 초과하는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 및 50 중량% 미만의, 용융열이 15 J/g 미만인 가요성화제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ASTM D3236에 따라 측정시 200℃에서의 점도가 약 200,000 mPas 미만이고, 퍼옥시드 및/또는 열을 이용한 분해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 및 가요성화제의 중량%는 중합체의 총 중량%를 기준으로 하며, 용융열은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된다.
도 1은 탄성 부착 접착제의 tanδ 곡선 그래프이다.
탄성 부착 접착제는 퍼옥시드 및/또는 열에 의해 열기계적으로 분해된,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란 단독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사원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는 1종 이상의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대해 사용되는 "반-결정질"이란 고체 상태에서 결정질 및 무정형 영역을 모두 함유하는 중합체성 물질을 이른다. 결정질 영역에서, 중합체의 분자쇄는 규칙적인 3차원 배열로 정렬되어, 그 구조는 단위 셀 (결정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소의 구조 단위)에 의해 완전히 특성화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무정형 중합체는 그의 분자쇄가 완전히 랜덤한 방식이므로 고체 상태에서 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갖지 못한다. 정량적으로는, 융점 (Tm)의 존재 또는 부재 및 가열시 결정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의 변형으로부터 유래하는 관련 엔탈피 또는 용융열 (ΔΗm)을 관찰함으로써 반-결정질 중합체가 완전히 무정형인 중합체와 구별될 수 있다. 반-결정질 중합체는 모두 융점을 나타내는 반면, 무정형 중합체에는 융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무정형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 부근의 좁은 온도 범위 내에서 유리질 고체에서 고무상 탄성 상태로의 전이를 겪는다. 유리 전이 온도 (Tg)는 융점 (Tm)과는 다르다. 결정질 물질의 용융 전이와는 다르게, 무정형 중합체의 유리 전이는 그에 부수되는 엔탈피 변화 (ΔΗ)를 나타내지 않는다.
엔탈피 또는 용융열 (ΔΗm)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DSC)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 기술은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과학기술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란 DSC로 측정되는 용융열이 약 20 J/g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5 J/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J/g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이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융열"이란 물질을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상태에서 무정형 상태로 전환시킬 때 흡수되는 에너지를 이르며, 이러한 값은 ASTM D3418-12 및 ISO 11357-3을 포함하는 각종 분석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보고된 모든 용융열 값은 ASTM D3418-12에 따르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결정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제조사인 리온델 바젤 (Lyondell Basell), 이네오스 (Ineos), 보레알리스(Borealis), TVK 및 엑손 모빌(Exxon Mobil)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중합체는 추가로 용융열이 15 J/g 미만인 가요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화제은 공중합체 내 공단량체의 고도로 랜덤한 특성이 대부분의 무정형 매트릭스와 함께 소부분의 결정질 도메인을 형성시키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따라서, 전형적인 가요성화제는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또는 공중합체보다 덜 결정질이며, 가요성화제 중의 공중합체의 랜덤한 구조가 결정질 도메인을 감소시킨다. 유용한 가요성화제는 엑손 모빌의 비스타막스(Vistamaxx) 등급, 및 다우(Dow)의 베르시파이(Versify) 등급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존재하는 가요성화제의 양은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의 양보다 작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가요성화제는 중합체 총량의 5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탄성 부착 접착제는 열기계적으로 분해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열기계적 분해"란 중합체 쇄 길이 단축과 분자량 감소 과정으로서, 전형적으로 압출기 내에서 열 및 전단 응력하에 일어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분해된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은 원래의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보다 작다. 또한, 열기계적으로 분해된 중합체는 원래의 중합체보다 낮은 용융 점도를 나타낸다. 분해는 중합체 쇄를 제어된 방식으로 절단하게 함으로써, 분해된 중합체는 보다 낮은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보다 낮은 점도와 더불어, 보다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열기계적으로 분해된 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전단 응력하에, 바람직하게는 압출기 중에서 분해된다. 열기계적 분해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분해를 1종 이상의 라디칼 공여자의 존재 하에 및/또는 산소의 존재 하에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가요성화제와 배합되어 1종 이상의 라디칼 공여자의 존재 하에 및/또는 산소의 존재 하에 분해된다. 본 발명에서, "라디칼 공여자"란 열 및/또는 방사선과 같은 외부 영향하에 라디칼로 분해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라디칼 공여자는 주로 퍼옥소 또는 디아조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여기서 퍼옥시드, 예를 들어, 유기 퍼옥시드가 구입가능성 및 취급의 용이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적절한 라디칼 공급원은, 예컨대, 하기 제품 또는 화합물 및/또는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악조(AKZO)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트리고녹스(TRIGONOX) 101(R)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트리고녹스 301(R) (3,6,9-트리에틸-3,6,9-트리메틸-1,4,7-트리퍼옥소난); CK 위트코(CK Witco)로부터 DTAP(R)로, 또한 악조로부터 트리고녹스 201(R)로 구입할 수 있는 디-tert-아밀 퍼옥시드; 디큐밀 퍼옥시드, 디-tert-부틸 퍼옥시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 퍼옥시)-3-헥신, 1,3-비스(tert-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tert-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틸-4,4-비스(tert-부틸 퍼옥시)발레레이트, 벤조일 퍼옥시드, p-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ter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디아세틸 퍼옥시드, 라우로일 퍼옥시드, tert-부틸 큐밀 퍼옥시드, tert-부틸 퍼옥시 2-에틸헥사노에이트. 바람직한 퍼옥시드의 150℃, 모노클로로벤젠 중에서 측정된 반감기는 약 0.01 내지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3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공여자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2 내지 약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특히 약 0.1 내지 약 1%의 양으로 가해지는 것이 유리하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 출발 물질의 용융 점도를 1종 이상의 라디칼 공여자로 전단 응력하에 중합체 블렌드 출발 물질의 연화점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감소시키는 방법은 싱글 스크류 압출기, 트윈 스크류 압출기, 밴버리(Banbury) 혼합기, 혼련기 및 롤 밀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싱글 스크류 압출기, 트윈 스크류 압출기 및 혼련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분해된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는 원래의 중합체보다 낮은 용융 점도,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분해된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의 ASTM D3236에 따라 200℃에서 측정된 용융 점도는 200,000 mPas 미만이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의 용융열은 열기계적 분해 동안에 최소한으로 변화되며, 약 20 J/g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25 J/g을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J/g을 초과하는 값을 계속 유지한다.
열기계적으로 분해된 중합체는 점착제, 가소제 및/또는 왁스와 배합되어 탄성 부착 접착제를 형성한다.
"점착 수지"는 특히 자동접착 (점착성, 고유 점착성, 자가-접착)을 증가시키는 중합체성 첨가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점착제 성분은 중합체보다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전형적인 점착제는 ASTM 방법 E28에 의해 측정되는 링 앤드 볼(Ring and Ball) 연화점이 약 70℃ 내지 약 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약 150℃이다. 유용한 점착 수지는 천연 및 개질된 로진과 같은 상용가능한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은 어느 것이나 포함함 수 있으며, 그러한 로진은,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 오일(tall oil) 로진, 증류 로진, 수소화 로진, 이합체화 로진, 레지네이트, 및 중합된 로진; 천연 및 개질된 로진의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페일 우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합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및 로진의 페놀성-개질된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점착 수지는 또한 천연 테르펜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테르펜 및 알파 메틸 스티렌/테르펜; ASTM 방법 E28로 측정된 연화점이 약 70℃ 내지 약 150℃인 폴리테르펜 수지; 페놀성 개질된 테르펜 수지 및 그의 수소화 유도체, 예를 들어, 산성 매질 중에서 비시클릭 테르펜과 페놀의 축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수지 생성물; 볼 앤드 링 연화점이 약 70℃ 내지 약 135℃인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화 유도체; 및 지환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적절한 수소화 점착제의 예는 엑손 모빌 케미칼즈(Exxon Mobil Chemicals)의 에스코레즈(Escorez) 5400, 아라카와(Arakawa)의 아르콘(Arkon) PI 00, 이스트만 케미칼(Eastman Chemical)의 레갈라이트(Regalite) SI 10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시클릭 또는 아시클릭 C5 수지 및 방향족 개질된 아시클릭 및 시클릭 수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시판 로진 및 로진 유도체의 예는 아리조나 케미칼(Arizona Chemical)의 실바라이트(SYLVALITE) RE 1 10L, 실바레스(SYLVARES) RE 115, 및 실바레스 RE 104; DRT의 더토칼(Dertocal) 140; 아라카와 케미칼의 라임드 로진 No.l,GB-120, 및 펜셀(Pencel) C를 포함한다. 시판되는 페놀성 개질된 테르펜 수지의 예는 아리조나 케미칼의 실바레스 TP 2040 HM 및 실바레스 TP 30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점착제는 합성 탄화수소 수지이다. 여기에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으로 개질된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 및 그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비-제한적인 예는 지방족 올레핀 유도된 수지, 예를 들어, 굿이어(Goodyear)로부터 상표명 윙택 엑스트라(Wingtack Extra)로, 또한 엑손의 에스코레즈 1300 시리즈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류의 공통적인 C5 점착 수지는 연화점이 약 95℃인, 피페릴렌과 2-메틸-2-부텐의 디엔-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이 수지는 상표명 윙택 95로 구입할 수 있다. 제조사 이스트만(Eastman)의 이스토택(Eastotac) 시리즈도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하다.
또한 유용한 것은 C9 방향족/지방족 올레핀-유도된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로서, 사르토머 앤드 크레이 밸리(Sartomer and Cray Valley)로부터 상표명 노르솔렌(Norsolene), TK의 루트거스(Rutgers) 시리즈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로서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노르솔렌 MI 090은 링 앤드 볼 연화점이 95 내지 105℃인 저분자량 열가소성 탄화수소 중합체로서, 크레이 밸리(Cray Valley)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알파 메틸 스티렌, 예를 들어, 이스트만 케미칼즈의 크리스탈렉스(Kristalex) 3085 및 3100, 아리조나 케미칼즈로부터의 실바레스 SA 100이 또한 본 발명에 점착제로서 유용하다. 기재된 2종 이상의 점착 수지의 혼합물이 일부 조성물에 필요할 수 있다.
소량의 알킬 페놀계 점착제가 상기한 추가의 점착제와 블렌딩되어 이들 접착제의 고온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접착제 총 중량의 20 중량% 미만으로 가해지는 알킬 페놀계 점착제가 적절하며, 적절한 배합물로서 고온 접착 성능을 증가시킨다. 알킬 페놀계 점착제는 아라카와 케미칼로부터 상표명 타마놀(Tamanol)로, 또한 쉐넥터디 인터내셔널(Schenectady International)의 몇몇 제품 계열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액체 가소제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가소제는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 오일, 장쇄 부분 에테르 에스테르, 알킬 모노에스테르, 에폭시화 오일, 디알킬 디에스테르, 방향족 디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모노에스테르, 폴리부텐,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가소제는 미네랄 오일, 지방족 오일,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올레핀 올리고머 및 저분자량 중합체,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유도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가소제는 탄성 부착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5 중량%로 존재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양태에서 오일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접착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3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미만, 또는 더 작게는 실질적으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왁스는 탄성 부착 접착제에 임의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경우, 왁스는 접착제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중량% 이하로 가해진다. 양은 한편으로는 점도가 요구되는 범위로 감소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접착력 또는 접착 강도가 불리하게 영향받지 않도록 결정된다.
왁스는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으며, 또한 임의로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형태일 수 있다. 가해질 수 있는 천연 발생 왁스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또는 석유계 왁스를 포함한다. 적절한 화학적으로 개질된 왁스는 경질 왁스, 예를 들어, 몬탄(Montan) 에스테르 왁스 또는 사솔(Sasol) 왁스 등이다. 적절한 합성 왁스는 폴리알킬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이다. 석유계 왁스, 예를 들어, 페트롤라툼,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뿐만 아니라 합성 왁스가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1종 이상의 안정화제 및/또는 1종 이상의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접착제를 열, 빛, 또는 점착 수지와 같은 원료로부터의 잔여 촉매에 의해 유도되는 산소와 반응하여 분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정화제 또는 항산화제는 고분자량 입체 장애 페놀 및 다관능성 페놀, 예를 들어, 황- 및 인-함유 페놀이다. 입체 장애 페놀은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잘 알려져 있으며, 페놀성 히드록실 기에 매우 근접하여 입체적으로 벌키한 라디칼을 또한 함유하는 페놀계 화합물로 특성화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는 3급 부틸기가 벤젠 고리 상으로 페놀성 히드록실 기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치환된다. 히드록실 기의 근처에 이와 같이 입체적으로 벌키한 치환된 라디칼이 존재하면 그의 신축 빈도, 따라서, 반응성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이와 같은 장애가 페놀성 화합물에 안정화 특성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입체 장애 페놀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메틸렌비스{2,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o-크레솔); 2,6-디-tert-부틸페놀; 6-(4-히드록시페녹시)-2,4-비스(n-옥틸-티오)-1,3,5-트리아진; 디-(n-옥틸티오)에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소르비톨 헥사[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그러한 항산화제는 바스프(BASF)로부터 구입할 수 있으며, 입체 장애 페놀인 이르가녹스(Irganox)® 565, 1010, 1076 및 1726을 포함한다. 이들은 라디칼 제거제로 작용하는 주된 항산화제이며, 단독으로 또는 바스프의 이르가포스(IRGAFOS)®168과 같은 포스파이트 항산화제 등의 다른 항산화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포스파이트 항산화제는 부수적인 항산화제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들은 주로 퍼옥시드 분해제로서 사용된다. 구입할 수 있는 다른 촉매는 사이텍 인더스트리즈(Cytec Industries)로부터의 사이아녹스(CYANOX)®LTDP 및 알버말 코포레이션(Albemarle Corp.)으로부터의 에타녹스(ETHANOX)® 330이다. 그와 같은 다종의 항산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산화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입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핫 멜트에 소량으로, 전형적으로는 약 10 중량% 미만으로 가해지며, 다른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첨가될 수 있는 것으로서 또한 다른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다른 화합물은 색을 부여하는 안료 또는 형광제이다. 이들과 같은 첨가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공지되어 있다.
안정화제는 각각 접착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가해진다. 일반적으로, 안정화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최종 생성물인 접착제를 저장 및/또는 도포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산화적 또는 열적 분해반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혼입된다. 유용한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입체 장애 페놀 및/또는 다관능성 페놀, 예컨대, 황-함유 및/또는 인-함유 페놀을 포함한다. 입체 장애 페놀은 t-부틸 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입체 장애 기가 페놀에, 특히 페놀성 OH 기에 대하여 특히 오르토 및/또는 파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절한 안정화제인 입체 장애 페놀의 예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메틸렌 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o-레솔), 2,6-디-tert.-부틸페놀, 6-(4-히드록시페녹시)-2,4-비스(n-옥틸티오)-1,3,5-트리아진, 2,4,6-트리스(4-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녹시)-1,3,5-트리아진, 디-n-옥타데실-3,5-디-tert.-부틸벤질 포스포네이트, 2-(n-옥틸티오)에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 벤조에이트 및 소르비톨 헥사-(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 다른 첨가제, 예컨대, 가교제, 충전제, 핵형성제, 접착 촉진제, 엘라스토머, 착색제, 레올로지 개질제가 가해질 수 있고, 이들은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공지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특성에 따라서 시판되는 다양한 제품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분해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보다 분자량 (Mw)이 크거나 작은 추가의 중합체가 접착 특성을 개질하기 위해 가해질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문헌 [Paul CW (2002) Hot Melt Adhesives in: Chaudhury M and Pocius AV (ed) Surfaces, Chemistry and Applications: Adhesion Science and Engineering, Elsevier Science B. V., The Netherlands pp 711-757]에 기재된 것과 같은 통상의 핫 멜트 중합체 중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탄성 부착 접착제는 열기계적으로 분해된 중합체, 점착제, 가소제 및 임의의 성분들을 균질해질 때까지 가열하고 블렌딩하여 가공된다. 점착제, 가소제 및 임의의 성분들은 압출기 또는 핫-멜트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가열 또는 가열/블렌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점착제, 가소제 및 임의의 성분들은 압출기 내에서의 중합체의 열기계적 분해 과정의 말기에 가해져 탄성 부착 접착제를 생성시킨다. 생성된 탄성 부착 접착제는 기재를 결합시키거나 라미네이팅시키는데 바로 사용될 수 있거나, 냉각되고 가공되어 고체형 (예를 들어, 펠릿, 필로우, 또는 몰드 또는 드럼 내로 캐스팅됨)으로 된 다음 저장 및/또는 운송될 수 있다. 고형 접착제는 기재를 결합시키기 전에 재액화될 수 있다.
탄성 부착 제품은 용융된 탄성 부착 접착제를 기재 상에 약 340℉ (171℃)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20℉ (1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0℉ (149℃) 미만의 도포 온도에서 도포하고, 또 다른 기재를 용융된 접착제 상으로 접착제가 두 장의 기재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다층 탄성 부착 라미난트는 용융된 탄성 부착 접착제를 기재의 양면 상에 약 340℉ (171℃)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20℉ (16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0℉ (149℃) 미만의 도포 온도에서 도포하고, 기재를 두 장의 또 다른 기재 사이에 접착제가 3장의 기재를 함께 접착시키도록 배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탄성 부착 접착제는 전형적으로는 탄성 스트랜드의 일부에 도포된다. 탄성 스트랜드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b-폴리우레탄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b-폴리우레탄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b-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절한 탄성 멀티필라멘트 스트랜드는 라이크라(Lycra) (인비스타, 인크.(Invista, Inc.)), 컨피-피트(Confi-Fit)™ (풀플렉스(Fulflex))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재 물질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라미네이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탄성 스트랜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스 섬유를 기재로 하며, 기초 중량이 약 10 내지 약 25 gsm (g/m2)인 부직 기재 상으로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탄성 스트랜드는 가요성, 엘라스토머성 시트형 필름에 부착된다. 적절한 가요성 엘라스토머성 시트형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또는 그들의 조합, 또한 랜덤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b-폴리우레탄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탄성 스트랜드는 한 장의 부직 기재와 한 장의 엘라스토머성 필름 사이에 엘라스토머성 부착 접착제로 부착된다. 탄성 부착 접착제의 표면-부가(add-on) 수준은 사용되는 도포기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나, 전형적으로는 나선형 도포에 있어서 약 2 내지 약 50 gs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gsm이다. 오메가(Omega)™ 및 슈어랩(Surewrap)™과 같은 스트랜드-특수 도포에 있어서의 표면-부가 수준은 20 내지 50 mg (접착제)/미터 (스트랜드)이다. 비-제한적인 도포법의 예는 나선형, 오메가® (ITW), 슈어랩® (노드슨(Nordson))을 포함하며, 그러한 기술은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탄성 스트랜드 상으로 도포되는 접착제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전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는 성능의 라미난트를 보장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예를 들어, 분자량 분포가 넓은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과 같은, 고르지 않고 불균일하게 분무되는 접착제, 또는 (천사의 머리칼 같이) 휘날리듯이 분무되는 접착제는, 전형적으로는 라미난트가 신장되고 노화됨에 따라 내크리프 성능이 불량해진다. 또 다른 중요한 인자는 접착력이다: 접착제는 변형력 하에 실패없이 기재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고르고 일정하게 분무되며, 변형력 하에 기재 상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탄성 부착 접착제는 탄성 부착 제품에 매우 적절하다. 그러한 제품은 열과 변형력에 장시간 노출되는 동안에 접착제의 변형이 작아야 할 필요가 있다. 열 및 변형력 하에 변형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에 대한 내성을 정량화하는 한 가지 전형적인 방법은 크리프 내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크리프 내성은 제품의 초기 크리프 내성을 측정한 다음, 특정 온도와 시간 동안 변형력을 가한 후, 다시 크리프 내성을 측정하여 계산된 값이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라미네이팅된 접착제를 38℃에서 4시간 동안 300%로 신장시킨 후에 약 20% 미만의 초기 크리프 내성을 갖는다. 더우기, 탄성 부착 접착제는 50℃에서 4주 동안 저장한 다음 38℃에서 4시간 동안 300% 변형으로 신장시킨 후에 약 20% 미만의 크리프 내성을 갖는다.
스트랜드-특수 탄성 도포에 있어서, 일정하고 고른 양의 접착제를 탄성 스트랜드 상에 직접 도포하는 능력은 크리프 내성과 같은 허용가능한 성능을 보장하는 주요 인자이다. tanδ값은 일정하고 고른 양의 접착제를 기재 상으로 도포하는 용이성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접착제의 측정치이다. 탄성 부착 접착제의 tanδ는 저장 탄성률 (G')에 대한 손실 탄성률 (G")의 비율 (G"/G')이다. 이는 저장된 에너지에 대한 손실된 에너지의 비율에 비례하는 단위가 없는 양이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도포 온도에서 tanδ 값이 30을 초과, 바람직하게는 40을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을 초과하는 접착제는 통상의 도포기로 일정하고 고르게 분무된다. 탄성 부착 접착제의 tanδ 값은 약 30을 초과, 바람직하게는 40을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을 초과한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의 tanδ 값은 도포 온도에서 50을 초과하며, 기재 상으로 일정하고 고르게 분무된다.
탄성 부착 제품은 흡수 용품으로서 적절하며, 흡수 용품의 예는 기저귀, 기저귀 팬츠, 유아용 와이프, 배변 훈련용 팬츠, 흡수 팬티, 아동 관리 팬츠, 수영복 및 기타 일회용 의류; 여성용 위생 용품, 예를 들어, 생리대, 와이프, 생리 패드, 팬티 라이너, 팬티 쉴드, 탐폰 및 탐폰 어플리케이터; 성인 위생 용품, 예를 들어, 와이프, 패드, 용기, 실금자 용품 및 소변 보호대; 의류 부품; 운동 및 레져 용품; 고온 또는 냉온 요법을 위한 용품, 의료용 가운 (즉, 보호용 및/또는 수술용 가운), 외과용 드레이프, 모자, 장갑, 안면 마스크, 밴드, 상처용 드레싱, 와이프, 커버, 용기, 필터, 일회용 의류 및 침대 패드, 의료용 흡수 의류, 언더패드; 건축 및 포장용 공급물, 산업용 패드, 예를 들어, 육류 패드; 청소 및 살균 용품, 와이프, 커버, 필터, 타월, 화장실 티슈, 미용 티슈, 부직포 롤 제품, 가정 안락용품, 예를 들어, 베개, 패드, 쿠션, 마스크, 및 피부를 세정하거나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바디 관리 제품, 실험실용 코트, 커버-롤 등이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러한 청구항에 상당하는 전범위의 등가물에 의해서 한정되어야 한다.
<실시예>
중합제 및 가요성화제의 용융열 (ΔHm)은 ASTM D3418-12에 따라 DSC로 측정하였다.
접착제 제조: 샘플 접착제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성분들을 중합체가 용융되고, 혼합물이 균질화되는 온도에서 합하여 제조하였다.
접착제의 점도는 ASTM D3236에 따라 표준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 스핀들 27로 측정하였다.
접착제의 연화점은 ASTM E28에 따라 링 앤드 볼 연화점 측정 장치로 측정하였다.
접착제의 융점은 ASTM 3418-12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DSC)로 측정하였다.
저장 탄성률 및 손실 탄성률을 온도 상승법을 사용하여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Rheometric Scientific)으로부터의 아레스(ARES) M 레오미터 (아레스 LS)로 측정하고, tanδ 값을 계산하였다. 샘플을 평행한 판들 (기하 직경 25 mm) 사이에 2 mm 틈을 두고 배치시켰다. 160℃에서 0℃로의 동적 온도 스윕을 10 rad/sec의 각진동수, 5℃/분의 냉각 속도로 시험하였다. 저장 탄성률 (G') 및 손실 탄성률 (G")을 토크와 변형으로부터 측정하였다. tan(δ)로도 알려져 있는, 그들의 비율 (G"/G')을 계산하고, 도 1에 나타내었다.
탄성 부착 샘플 제조: 탄성 부착 샘플 라미난트를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연속 탄성 코팅 도포법으로 제조하였다. 탄성 부착 접착제를 고속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1000 fpm, 0.1초 개방 시간에서, ITW 오메가 스트랜드 도포기로 143℃ 내지 155℃에서 라이크라 인비스타 800 탄성 스트랜드 상으로 25 또는 35 mg/m (스트랜드)의 표면-부가 수준으로 도포하였다. 이어서, 탄성 스트랜드를 닙 롤러를 사용하여 클로페이(Clopay) DH 276 PP 폴리필름 기재 및 NW PGI 부직 (15 gsm) 기재 사이에 라미네이팅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탄성 크리프 내성 평가: 탄성 크리프 내성 값을 초기 및 노화된 탄성 부착 샘플에 대해 측정하였다. 노화된 샘플에 대해서는, 탄성 부착 샘플을 40℃에서 2주 또는 4주 동안 노화시켰다. 크리프 내성 값을 5개 샘플의 평균으로서 나타냈다.
크리프 측정: 부직 시트와 중합체성 필름 사이에 신장된 상태로 접착되어 있는 탄성 스트랜드의 길이를 측정하고 표시하였다 ("시작 길이"). 샘플 길이를 표시된 영역을 벗어나 신장시켰다. 그 다음, 탄성 스트랜드를 표시된 영역에서 절단하였다. 필라멘트가 수축한 양을 38℃에서 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다음 식으로 크리프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ct00001
접착제의 허용되는 크리프 내성은 약 35% 이하이다.
대조군 A 및 비교 샘플 B, C 및 D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로 제조하였다. 대조군 A는 헨켈(Henkel)의 디스포멜트(DISPOMELT)® 897B로서, 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접착제이다. 비교 샘플 B 중의 중합체는 메탈로센 촉매된 에틸렌-옥텐 블록 올레핀 중합체이다. 비교 샘플 C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D (무정형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각각 ΔHm 값이 20 J/g 미만인, 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 및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로 형성되었다. 탄성 부착 접착제 및 탄성 부착 샘플의 특성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 150℃ 및 160℃에서 접착제의 높은 점도로 인해, 탄성 부착 샘플은 표준 코팅기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없었다. 또한, 160℃를 넘는 도포 온도는 필름 과연소(burn-through)를 가져왔다.
** 이전의 시험에서의 높은 크리프 내성 값으로 인해, 노화된 탄성 크리프 내성은 측정되지 않았다.
고무계 접착제 (대조군 A)로 제조된 탄성 부착 샘플은 낮은 초기 탄성 크리프 내성을 가지며, 노화 조건 하에 이를 유지하였다. 메탈로센 촉매된 에틸렌-옥텐 블록 공중합체 (비교 샘플 B)로 제조된 탄성 부착 샘플은 허용될 수 있는 수준의 초기 크리프 내성을 가졌으나, 노화시 크리프 내성은 55%를 넘어서까지 증가하였다.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로 형성된 탄성 부착 접착제 (비교 샘플 C)는 150℃에서 200,000 mPas를 초과하는 점도를 나타내서, 143℃ 내지 155℃에서 분무될 수 없었다. 무정형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로 형성된 접착제 (비교 샘플 D)는 어떠한 크리프 내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샘플 접착제용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열 및 퍼옥시드로 분해하여 형성시켰다. 중합체 블렌드 X, Y 및 Z에 대하여, 가요성화제를 중합체와 합하였으며 (원래의 점도는 1,000,000 mPas을 초과), 블렌드가 기재된 최종 점도에 달할 때까지 US 2012/0016086에 기재된 방법으로 함께 분해시켰다. 중합체는 ΔΗm 값이 32 J/g인 프로필렌 공중합체이고, 가요성화제는 ΔΗm 값이 2.8 J/g인 가요성 프로필렌 공중합체였다.
Figure pct00003
표 2의 중합체 블렌드를 표 3에 열거된 추가의 성분들과 혼합하여 샘플 접착제를 형성시켰다. 샘플 접착제 특성 및 샘플 접착제로 만든 탄성 부착 샘플 특성을 또한 표 3에 열거하였다.
Figure pct00004
샘플 접착제는 허용될 수 있는 초기 및 장기 크리프 내성을 가졌다.
분무성: 샘플 1 및 비교 샘플 B 및 C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샘플 1은 탄성 스트랜드 전체에 걸쳐 일정하고 고르게 분무되었다. 샘플 1에 대해 관찰된 이와 같이 일정하고 고른 코팅은 샘플 B 및 C의 메탈로센계 접착제와 유사하다.
도 1은 샘플 1, 비교 샘플 B 및 대조군 A (고무계 탄성 부착 접착제)의 tanδ 곡선을 보여준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샘플 1의 tanδ 값은 도포 온도 143℃에서 145이다. 비-메탈로센 촉매된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형성된 샘플 1은 메탈로센 촉매된 올레핀으로 형성된 접착제 (비교 샘플 B) 및 고무계 탄성 부착 접착제 (대조군 A)와 유사한 tanδ 곡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러한 청구항에 상당하는 전범위의 등가물에 의해서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점착제, 및 ASTM D3236에 따라 측정시 200℃에서의 점도가 약 200,000 mPas 미만인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elastic attachment hot melt adhesive)이며,
    중합체는 퍼옥시드 및/또는 열로 분해된,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는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시 용융열이 20 J/g을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며;
    접착제의 tanδ 값이 접착제 도포 온도에서 약 30을 초과하고;
    점착제의 양이 접착제 내 중합체의 양보다 적은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용융열이 15 J/g 미만인 가요성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가요성화제가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보다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3. 제2항에 있어서, 가요성화제가 C2, C4, C5, C6, C7, C8, C9, C10, C11 및 C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4.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 가소제 또는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5. 제4항에 있어서, 점착제가 C5 수지, 석유 증류물, 수소화 탄화수소, C5 수지, C9 수지, 폴리테르펜, 로진, 수소화 로진, 로진 에스테르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6. 제4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 오일, 장쇄 부분 에테르 에스테르, 알킬 모노에스테르, 에폭시화 오일, 디알킬 디에스테르, 방향족 디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모노에스테르, 폴리부텐,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7. 제4항에 있어서, 왁스가 석유계 왁스, 통상의 왁스, 천연 기반 왁스, 관능화 왁스,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결정질 왁스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8. 제4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교제, 충전제, 핵형성제, 접착 촉진제, 엘라스토머, 착색제, 레올로지 개질제 및 그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9. 50 중량% 초과의, 용융열이 20 J/g을 초과하는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 및 50 중량% 미만의, 용융열이 15 J/g 미만인 가요성화제
    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이며,
    중합체는 ASTM D3236에 따라 측정시 200℃에서의 점도가 약 200,000 mPas 미만이며, 퍼옥시드 및/또는 열을 이용한 분해에 의해 형성되고,
    중량%는 중합체의 총 중량%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용융열은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된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0. 제9항에 있어서, 비-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1. 제9항에 있어서, 가요성화제가 C2, C4, C5, C6, C7, C8, C9, C10, C11 및 C12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2. 제9항에 있어서, 점착제, 가소제 또는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점착제가 C5 수지, 석유 증류물, 수소화 탄화수소, C5 수지, C9 수지, 폴리테르펜, 로진, 수소화 로진, 로진 에스테르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4. 제12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 오일, 장쇄 부분 에테르 에스테르, 알킬 모노에스테르, 에폭시화 오일, 디알킬 디에스테르, 방향족 디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모노에스테르, 폴리부텐,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왁스가 석유계 왁스, 통상의 왁스, 천연 기반 왁스, 관능화 왁스,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결정질 왁스인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6. 제12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교제, 충전제, 핵형성제, 접착 촉진제, 엘라스토머, 착색제, 레올로지 개질제 및 그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17. (a) 부직 기재,
    (b) 탄성 스트랜드, 및
    (c) 50 중량% 초과의, 용융열이 20 J/g을 초과하는 비-메탈로센 촉매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및 50 중량% 미만의, 용융열이 15 J/g 미만인 가요성화제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
    를 포함하는 라미난트(laminant)이며,
    여기서, 중합체는 ASTM D3236에 따라 측정시 200℃에서의 점도가 약 200,000 mPas 미만이며, 퍼옥시드 및/또는 열을 이용한 분해에 의해 형성되고,
    중량%는 중합체의 총 중량%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용융열은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된 것인
    라미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가요성화제가 C2, C4, C5, C6, C7, C8, C9, C10, C11 및 C12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인 라미난트.
  19. 제17항에 있어서, 탄성 부착 핫 멜트 접착제가 점착제, 가소제 또는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라미난트.
  20. 제17항에 있어서,
    (i) 초기 크리프 성능이, 38℃에서 약 4시간 동안의 300% 변형에의 노출 후 약 20% 미만이고;
    (ii) 노화 크리프 성능이, 40℃에서 4주 동안의 노화 후 38℃에서 약 4시간 동안의 300% 변형에의 노출 후 약 40% 미만인
    라미난트.
KR1020157024310A 2013-02-21 2014-01-16 탄성 부착 접착제 및 그의 용도 KR10222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7447P 2013-02-21 2013-02-21
US61/767,447 2013-02-21
PCT/US2014/011855 WO2014130180A1 (en) 2013-02-21 2014-01-16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036A true KR20150121036A (ko) 2015-10-28
KR102223312B1 KR102223312B1 (ko) 2021-03-08

Family

ID=5135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310A KR102223312B1 (ko) 2013-02-21 2014-01-16 탄성 부착 접착제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40235127A1 (ko)
EP (1) EP2958970B1 (ko)
JP (1) JP6921477B2 (ko)
KR (1) KR102223312B1 (ko)
CN (1) CN105247000B (ko)
BR (1) BR112015019846A2 (ko)
CA (1) CA2901883A1 (ko)
HU (1) HUE059547T2 (ko)
MX (1) MX2015010747A (ko)
RU (1) RU2660860C2 (ko)
WO (1) WO20141301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061A (ko) * 2018-04-09 2019-10-1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13009C (en) * 2013-05-23 2020-12-08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low melting point polypropylene homopolymers
US10350325B2 (en) 2013-05-29 2019-07-16 H.B. Fuller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303195B2 (en) * 2014-08-26 2016-04-05 Ingevity South Carolina, Llc Aliphatically modified rosin resin and tackified adhesive
KR102450994B1 (ko) * 2015-03-02 2022-10-06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연신 라미네이트
EP3265307B1 (en) * 2015-03-02 2019-0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s
CN107614642B (zh) * 2015-03-20 2019-12-31 汉高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热熔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KR102499104B1 (ko) * 2015-04-17 2023-02-14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WO2017123874A1 (en) 2016-01-14 2017-07-20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blend of propylene copolymers prepared using single-site catalysts and methods
JP6929855B2 (ja) 2016-01-26 2021-09-0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高分子量超吸収性固定化剤を備えた吸収性コア
JP6953427B2 (ja) 2016-04-08 2021-10-27 エイチ.ビー.フラー カンパニー 高結合力ポリオレフィン構造接着剤
BR112018072731B1 (pt) * 2016-05-06 2022-09-13 Bostik, Inc. Método para usar adesivo fundido a quente à base de poliolefina e sistema para aplicar o mesmo a substrato primário
EP3558190B1 (en) 2016-12-20 2021-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unwound from beams
US11925537B2 (en) 2017-09-01 2024-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CN111050718B (zh) 2017-09-01 2021-12-14 宝洁公司 制备弹性体层合物的方法和设备
US11147718B2 (en) 2017-09-01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CN108384496A (zh) * 2018-04-10 2018-08-10 上海嘉好胶粘制品有限公司 一种黑胶及其制备方法
CN112243370A (zh) 2018-06-19 2021-01-19 宝洁公司 具有功能成形的顶片的吸收制品及制造方法
US20210292610A1 (en) * 2018-08-02 2021-09-23 Idemitsu Kosan Co.,Ltd. Polypropylene-based adhesiv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9880558B (zh) * 2019-01-31 2021-08-10 苏州福斯特光伏材料有限公司 锂电池软包材料用粘结树脂组合物的制备方法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410A (ko) * 2009-03-27 2011-12-07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중합체계로 제조된 접착제
WO2012051239A1 (en) * 2010-10-15 2012-04-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based adhesive compositions
WO2013003198A1 (en) * 2011-06-27 2013-01-03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that include a modified propylene-alpha-olefin polymer and exhibit low bleed through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497B2 (ja) * 1986-05-14 1995-10-11 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高接着性材料およびその積層体
EP0977820B1 (en) 1997-04-30 2004-07-14 Ato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with high peel and shear strengths for nonwoven applications
CA2376034A1 (en) 1999-07-09 2001-01-18 Louis L. Walker Polymerization of alkylene oxides using metal cyanide catalysts and unsaturated initiator compounds
US6329468B1 (en) * 2000-01-21 2001-12-11 Bostik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semicrystalline flexible polyolefins
US6774069B2 (en) 2000-12-29 2004-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ot-melt adhesive for non-woven elastic composite bonding
US6653385B2 (en) 2001-10-18 2003-11-25 Bostik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blend of amorphous poly-α-olefin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US6960635B2 (en) * 2001-11-06 2005-11-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sotactic propylene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US7067585B2 (en) 2002-10-28 2006-06-27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random copolymer of isotactic polypropylene
EP1713638B1 (en) * 2003-12-31 2012-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 side facing stretch bonded laminat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50176867A1 (en) * 2004-02-06 2005-08-11 Qiwei He Low application temperature elastic attachment adhesive
DE602005026993D1 (de) * 2004-12-21 2011-04-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Klebstoffzusammensetzung auf polypropylenbasis
AR055748A1 (es) 2005-03-17 2007-09-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ciones adhesivas y de marcado realizadas de interpolimeros de etileno/alfa-olefinas
EP1924648B1 (en) * 2005-08-17 2012-06-20 Bostik, Inc. Poly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US8475621B2 (en) * 2007-04-24 2013-07-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hesion promotion to difficult substrates for hot melt adhesives
US20090263178A1 (en) * 2008-04-22 2009-10-22 Sriram Venkatasanthanam Pocket for sheet-retaining device and related material and method
CN102449091B (zh) * 2009-05-29 2014-05-0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聚烯烃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456819B1 (en) 2009-07-24 2019-01-09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olefin block copolymers
DE102009046363A1 (de) * 2009-11-03 2011-05-05 Tesa Se Montageklebeband für den Innenausbau
KR20130129190A (ko) * 2010-11-05 2013-11-27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인서트 성형용 적층 접착 필름
US9469791B2 (en) * 2011-04-28 2016-10-18 Adherent Laboratories, Inc. Poly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A2843626C (en) * 2011-08-04 2019-03-26 Henkel US IP LLC Adhesives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410A (ko) * 2009-03-27 2011-12-07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중합체계로 제조된 접착제
WO2012051239A1 (en) * 2010-10-15 2012-04-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based adhesive compositions
WO2013003198A1 (en) * 2011-06-27 2013-01-03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that include a modified propylene-alpha-olefin polymer and exhibit low bleed throug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061A (ko) * 2018-04-09 2019-10-17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점착 부여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압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39595A (ru) 2017-03-27
MX2015010747A (es) 2015-11-25
CA2901883A1 (en) 2014-08-28
HUE059547T2 (hu) 2022-11-28
KR102223312B1 (ko) 2021-03-08
EP2958970A1 (en) 2015-12-30
CN105247000A (zh) 2016-01-13
US20140235127A1 (en) 2014-08-21
BR112015019846A2 (pt) 2017-07-18
JP6921477B2 (ja) 2021-08-18
WO2014130180A1 (en) 2014-08-28
RU2660860C2 (ru) 2018-07-10
EP2958970A4 (en) 2016-10-12
EP2958970B1 (en) 2022-06-01
JP2016514176A (ja) 2016-05-19
CN105247000B (zh)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312B1 (ko) 탄성 부착 접착제 및 그의 용도
EP2739695B1 (en) Adhesives and use thereof
CN110023440B (zh) 粘合弹性体部件、非织造材料和热塑性膜的热熔性粘合剂
CA2963679C (en) Polyolefin-based hot melt adhesives with improved processing and bonding performance
US20130202902A1 (en) Stretch film lamination adhesive
US11970635B2 (en) Hot melt adhesives and uses thereof
EP3898866B1 (en) New hot melt adhesive for construction of disposable nonwoven hygiene product
EP4186956A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EP4259741A1 (en) Hot melt adhesive and uses thereof
WO2021011390A1 (en) Tackifier-fre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a disposable hygien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