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104B1 -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104B1
KR102499104B1 KR1020177029165A KR20177029165A KR102499104B1 KR 102499104 B1 KR102499104 B1 KR 102499104B1 KR 1020177029165 A KR1020177029165 A KR 1020177029165A KR 20177029165 A KR20177029165 A KR 20177029165A KR 102499104 B1 KR102499104 B1 KR 10249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adhesive composition
weight
functiona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744A (ko
Inventor
마리아 크리스티나 바르보사 데헤수스
찰스 더블유. 폴
발레리 알렉시스
기탄잘리벤 샤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273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991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7013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반결정질 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관능성 왁스, 관능성 올레핀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저귀, 성인용 실금 물품, 언더패드, 개인 케어 의류 등과 같은 일회용 물품에서 접착제로 유용하다.

Description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탄성 적용분야를 위한 많은 통상적인 핫 멜트 접착제들이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엘라스토머성인 중간-블록 (예컨대 이소프렌) 및 경질인 도메인 말단 블록 (예컨대 스티렌)의 도입을 통하여 탄성 및 강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적절한 온도 및 점도에서 이러한 접착제를 적용하기 위하여, 더 높은 점착제 및 가소제 농도를 선호함으로써, 중합체 함량은 최소화된다.
올레핀-기재 화학이 탄성 적용분야에서의 용도로 연구되어 있지만, 그의 용도는 응집/접착 강도 균형의 결핍이라는 관점에서 제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종 초기 내크리프성이 달성될 수 있기는 하지만, 열적 노화 후에는 그와 같은 내크리프성이 급격하게 감소됨으로써, 더 이상 스트랜드들을 제자리에 유지할 수 없는 접착제를 초래한다.
열적 노화 후에도 통상적인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탄성인 성능 특징을 보유하여 유지하는 올레핀-기재 접착제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본 개시내용은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stretch adhesive composition)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약 4 J/g 내지 약 30 J/g의 용융열 (ΔHm); 약 3.0×108 dyn/cm2 내지 약 1.7×109 dyn/cm2의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E'); 및 약 2 Pa.s 내지 약 100 Pa.s의 200℃에서의 점도 (η)를 특징으로 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은 또한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관능성 왁스, 관능성 폴리올레핀, 관능성 점착제, 관능성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접착 촉진제; 및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도 기술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충돌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한 본 문헌이 우선하게 된다. 바람직한 방법 및 물질들을 하기에 기술하기는 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 또는 시험시에는, 본원에서 기술되는 것들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방법 및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공개, 특허 출원, 특허 및 기타 참고문헌들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개재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물질, 방법 및 예들은 오로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로 이루어지는" 및 "본질적으로 ~로 이루어지는"이라는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용어 "포함하다", "포함되다", "갖는", "갖는다", "할 수 있다", "함유하다" 및 이들의 변이는 거명된 성분/단계의 존재를 요하며 다른 성분/단계의 존재를 허용하는 개방-종료형의 전이 구, 용어 또는 단어인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기술은 그로부터 기인할 수 있는 임의의 불순물과 함께 거명된 성분/단계만의 존재를 허용하는 열거된 성분/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 및 "본질적으로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리고 다른 성분/단계는 배제하는 것으로 조성물 또는 방법을 기술하기도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의 숫자 값은, 특히 그것이 중합체 또는 중합체 조성물과 관련될 때, 상이한 특징을 갖는 개별 중합체들을 함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위한 평균 값을 반영한다. 또한, 반대로 표시되지 않는 한, 숫자 값은 동일한 유효 숫자 수로 환산되었을 때 동일한 숫자 값들, 및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유형의 통상적인 측정 기술의 실험 오차 미만만큼 언급된 값으로부터 상이한 숫자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모든 범위는 언급된 종말점을 포괄하며, 독립적으로 조합가능하다 (예를 들어 "2 내지 10"의 범위는 종말점인 2 및 10, 그리고 모든 중간 값들을 포괄함). 본원에서 개시되는 범위의 종말점들 및 임의의 값들이 정확한 범위 또는 값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어서; 그것들은 해당 범위 및/또는 값들에 근접하는 값들을 포함하기에 충분하게 부정확하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개략적인 언어는 그것이 관련되어 있는 기본적인 기능의 변화는 초래하지 않으면서 변화할 수 있는 임의의 양적인 표현을 수식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서 "약"과 같은 용어 또는 용어들에 의해 수식되는 값은 열거된 정확한 값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적어도 일부 경우에서, 개략적인 언어는 값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의 정밀도를 반영할 수 있다. 수식어 "약"은 2개 종말점의 절대값에 의해 한정되는 범위를 개시하는 것으로도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4"라는 표현은 "2 내지 4"의 범위도 개시한다. "약"이라는 용어는 표시된 수의 더하기 또는 빼기 10%를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약 10%"는 9% 내지 11%의 범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약 1"은 0.9-1.1을 의미할 수 있다. 반올림과 같은 "약"의 다른 의미들은 문맥에서 드러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약 1"은 0.5 내지 1.4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는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관능성 왁스, 관능성 폴리올레핀, 관능성 점착제, 관능성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접착 촉진제; 및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장기 노화 조건에의 노출 후에도 바람직한 크리프 성능을 나타낸다.
프로필렌 중합체에 사용되는 "반결정질"이라는 용어는 고체 상태에서 결정질 및 무정형 영역 모두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물질을 지칭한다. 결정질 영역에서는, 중합체의 분자 사슬이 모두 결정을 기술하는 데에 사용되는 가장 작은 구조 단위인 해당 단위 셀에 의해 그의 구조가 완전히 특성화될 수 있는 규칙적인 3-차원 배열로 정렬된다. 반면, 무정형 중합체는 고체 상태에서 규칙적인 3-차원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그의 분자 사슬은 공간에서 완전히 무작위인 방식으로 정렬된다. 반결정질 중합체는 가열시 결정질 상태의 액체 상태로의 변환에서 유래하는 융점 (Tm) 및 관련 엔탈피 또는 용융열 (ΔHm)의 존재 또는 부재를 관찰하는 것에 의해, 완전히 무정형인 중합체로부터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모든 반결정질 중합체는 융점을 나타내는 반면, 무정형 중합체에는 융점이 없다. 무정형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 Tg 부근의 좁은 온도 범위에서 유리질 고체로부터 고무질 탄성 상태로의 전이를 겪는다. 유리 전이 온도 Tg를 융점 Tm과 혼동해서는 아니 된다. 결정질 물질의 용융 전이와 달리, 무정형 중합체의 유리 전이는 그와 관련되어 있는 엔탈피 변화 (ΔH)를 가지지 않는다.
상기에서 정의된 반결정질 중합체가 거래시에는 종종 결정질 중합체로 지칭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실험실에서 소규모로 제조되는 단일 결정을 제외하고, 시중 세계에서 완전한 결정질 중합체는 발견되지 않아서, 모든 소위 결정질 중합체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반결정질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시되는 반결정질 중합체의 정의는 "결정질 중합체"라는 용어를 포괄한다.
반결정질 중합체가 결정질 및 무정형 영역 모두를 포함하기 때문에, 결정의 용융 전이 이외에도, 그것은 물질의 무정형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유리 전이를 나타낼 수 있다. 유리 전이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엔탈피 또는 용융열 (ΔHm)은 시차 주사 열량법 (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과학 문헌에 충분하게 기술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본원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특정 용융열 (ΔHm), 저장 모듈러스 (E') 및 점도 (η)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부분적으로 약 4 J/g 내지 약 30 J/g의, ASTM D3418-12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열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또는 30 J/g,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용융열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4 J/g 내지 약 6 J/g의 용융열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20 J/g 내지 약 24 J/g의 용융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또한 부분적으로 약 3.0×108 dyn/cm2 내지 약 1.7×109 dyn/cm2의 40℃ 및 1 Hz에서 측정되는 저장 모듈러스 (E')를 특징으로 한다. 저장 모듈러스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서 기술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3.0×108, 3.5×108, 4.0×108, 4.5×108, 5.0×108, 5.5×108, 6.0×108, 6.5×108, 7.0×108, 7.5×108, 8.0×108, 8.5×108, 9.0×108, 9.5×108, 1.0×109, 1.1×109, 1.2×109, 1.3×109, 1.4×109, 1.5×109, 1.6×109 또는 1.7×109 dyn/cm2,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저장 모듈러스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5.0×108 dyn/cm2 내지 약 1.1×109 dyn/cm2의 저장 모듈러스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또한 부분적으로 약 2 Pa.s 내지 약 100 Pa.s의, ASTM D3236을 사용하여 200℃에서 측정되었을 때의 점도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 Pa.s,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점도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2 Pa.s 내지 약 25 Pa.s 또는 약 5 Pa.s 내지 약 25 Pa.s의 점도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2 Pa.s 내지 약 8 Pa.s 또는 약 5 Pa.s 내지 약 8 Pa.s의 점도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약 20 Pa.s 내지 약 24 Pa.s의 점도를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단독중합체이다. 바람직한 반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좁고 균질한 분자량 분포와 함께 중간 범위의 입체규칙성(tacticity) (입체-규칙성)을 갖는다. 그와 같은 중합체는 적정한 가공성 및 강성을 가능케 하며, 접착제 적용분야에서 성분으로 유용하다. 중간 범위의 입체규칙성을 갖는 중합체는 http://www.idemitsu.com/content/100165495.pdf에서 검색되는 문헌 제시 명칭 ["The Performance of L-MODU(TM) for HMA Base Polymer Use" by Idemitsu Kosan Co., Ltd dated Nov. 2014]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배열 및 혼성배열 중합체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동일배열 반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높은 입체규칙성을 가지며, 보통 중합체 구조에서의 높은 결정도 수준으로 인하여 매우 강성인데, 이는 그것이 접착제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게 되도록 한다. 중간 범위의 입체규칙성을 갖는 중합체가 구입가능하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그것은 접착제에서 성분으로 사용될 경우 가공성을 훼손하는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다. 중간 입체규칙성의 입체-규칙성 및 좁고 균질한 분자량의 중합체를 조절하고 준비하기 위한 한 가지 비-제한적인 방법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특징들을 갖는 그와 같은 반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시중의 공급처로부터 구매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반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이데미츠 코산(Idemitsu Kosan) Co., Ltd.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L-모두(MODU) S-400이다. 중요한 다른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역시 이데미츠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S-600 및 S-901이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범위 이내의 저장 모듈러스 및 점도를 갖는 다른 반결정질 단독중합체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는 공중합체이다. 필요한 특징들을 갖는 반결정질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관련 기술분야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 예를 들면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개재되는 U.S. 8,853,329호 및 U.S. 공개 제2014/0235127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또는 75 중량%,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 내지 약 60 중량%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접착 촉진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 촉진제는 예를 들면 관능성 왁스, 관능성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접착 촉진제는 대안적으로는 관능성 왁스, 관능성 폴리올레핀, 관능성 점착제, 관능성 가소제, 관능성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접착 촉진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또는 10 중량%,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접착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관능기들은 폴리올레핀 중합체, 고무, 왁스, 점착제,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백본상에 존재한다. 관능기는 예를 들면 백본상에의 관능기의 그라프팅, 공중합 또는 말단캡핑에 의해 도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관능기에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무수물, 히드록실, 티올, 에폭시, 아민, 우레탄, 우레아, 우레이도, 실란 및 술포네이트 기가 포함된다. 구체적인 관능기에는 실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크로톤산, 아크릴산, 아세테이트, 술포네이트, 시트라콘산 무수물, 푸마르산, 말레산, 및 이타콘산, 모노- 또는 디-tert-부틸 크로토네이트, 모노- 또는 디-tert-부틸 푸마레이트 및 모노- 또는 디-tert-부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p-스티렌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펜술폰산, 2-술포닐(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옥사졸린,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관능기는 관능화된 폴리올레핀 중합체, 고무, 왁스, 점착제 또는 가소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능기는 관능화된 폴리올레핀 중합체, 고무, 왁스, 점착제 또는 가소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2, 3, 4, 5, 6, 7, 8, 9 또는 10 중량%,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관능기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대표적인 예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헥실렌, 헵텐 및 옥텐과 같은 다양한 올레핀들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관능성 폴리올레핀을 형성하는 이들 폴리올레핀상의 적합한 관능기에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무수물, 히드록실, 티올, 에폭시, 아민, 우레탄, 우레아, 우레이도, 실란 및 술포네이트 기가 포함된다. 구체적인 관능기에는 실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크로톤산, 아크릴산, 아세테이트, 술포네이트, 시트라콘산 무수물, 푸마르산, 말레산, 및 이타콘산, 모노- 또는 디-tert-부틸 크로토네이트, 모노- 또는 디-tert-부틸 푸마레이트 및 모노- 또는 디-tert-부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p-스티렌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펜술폰산, 2-술포닐(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옥사졸린,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왁스의 대표적인 예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헥실렌, 헵텐 및 옥텐과 같은 다양한 올레핀들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왁스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것일 수 있다. 자연 발생 왁스에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무기 왁스 및 석유화학 왁스가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관능성 왁스를 형성하는 이들 왁스상의 적합한 관능기에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무수물, 히드록실, 티올, 에폭시, 아민, 우레탄, 우레아, 우레이도, 실란 및 술포네이트 기가 포함된다. 구체적인 관능기에는 실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크로톤산, 아크릴산, 아세테이트, 술포네이트, 시트라콘산 무수물, 푸마르산, 말레산, 및 이타콘산, 모노- 또는 디-tert-부틸 크로토네이트, 모노- 또는 디-tert-부틸 푸마레이트 및 모노- 또는 디-tert-부틸 말레에이트, 말레산 무수물, p-스티렌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펜술폰산, 2-술포닐(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옥사졸린,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등이 포함된다.
기본적으로, 관능화된 폴리올레핀 및 관능화된 왁스는 모두 본원에서 기술되는 관능기들을 포함하는 비제한적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헥실렌, 헵텐 및 옥텐과 같은 다양한 올레핀들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일 수 있다. 왁스로부터 중합체를 구별하는 한 가지 방법은 분자량에 의하는 것이다.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약 5000 g/mol 이상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반면, 왁스는 약 5000 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관능성 왁스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관능기에서 카르복실산 및/또는 무수물은 배제된다. 이러한 대안적인 관능성 왁스는 본원에서 비-카르복실산 및/또는 무수물 관능성 왁스로도 알려져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관능화된 왁스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상에 그라프팅된 말레산 무수물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말레산 무수물 그라프팅 왁스가 시중에서 구입가능하고/거나, 알려져 있는 절차를 사용하여 수득가능하다. 예를 들면, 허니웰(Honeywell) 사로부터 상표명 A-C 575 및 A-C 573으로, 그리고 듀퐁(DuPont) 사로부터 그의 푸사본드(Fusabond) E 시리즈의 일부로 목록화되어 있는 제품으로서, 말레에이트화 폴리에틸렌이 구입가능하다.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은 허니웰 사로부터 상표명 A-C 597A, A-C 597P, A-C 907P, A-C 596A, A-C 596P, A-C 950P 및 A-C 1325P로, 듀퐁 사로부터 푸사본드 P 상표명 시리즈로 목록화되어 있는 제품으로서, 이스트만(Eastman) 사로부터 상표명 G-3015, G-3003으로, 그리고 웨스트레이크(Westlake) 사로부터 상표명 에폴렌(EPOLENE) E-43으로 구입가능하다. 전구체 화합물로부터 말레에이트화된 폴리올레핀을 생성시키기 위한 어떠한 알려져 있는 절차도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출발 물질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서 개재되는 US 7,256,236호는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말레에이트화 폴리프로필렌을 생성시키기 위한 소정의 바람직한 방법들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관능화된 왁스는 관능기와 공중합된 왁스이다. 적합한 공중합 왁스의 대표적인 예에는 각각 로타데르(LOTADER)® MAH 및 로타데르® GMA로 구입가능한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말레산 무수물 및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원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관능화된 왁스는 에틸렌-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예컨대 허니웰 사로부터 상표명 A-C540, A-C580, A-C5120 및 A-C 5180으로 구입가능한 것들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관능화된 왁스는 고밀도 산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한 산화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이다. 대표적인 산화 폴리에틸렌은 허니웰 사로부터 상표명 A-C 673P, A-C 680, A-C 655, A-C 629, A-C 629A, A-C 656, A-C 6702, A-C 307, A-C 307A, A-C 316, A-C316A, A-C 325, A-C 392, A-C 330, A-C 395 및 A-C 395A로 구입가능하다.
관능성 중합체 또는 왁스 이외에, 관능기를 포함하는 접착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일반적인 원료들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로진 에스테르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로진(rosin)과 같은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 점착제가 이스트만 사에 의해 스테이벨라이트(Staybelite) 레진-E 및 포랄(Foral) AX-E와 같은 완전히 수소화된 로진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스트만 사의 루이솔(Lewisol)로 알려져 있는 말레산 무수물 변형된 로진 에스테르 역시 본 발명에 중요하다. 아리조나(Arizona) 사에 의해 실바레즈(Sylvarez) TP로 생산되고 있는 폴리테르펜 페놀수지, 또는 아리조나 사에 의해 실바레즈로 생산되고 있는 AMS 페놀계 수지와 같은 다른 극성 점착제들 역시 기술되는 조성물에 접착 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극성 액체 가소제, 예를 들면 로진 에스테르산으로부터 유래하는 가소제 예컨대 이스트만 사의 아비톨(Abitol) E 또는 시트레이트 기재의 것 예컨대 베르텔루스 퍼포먼스 머티어리얼즈(Vertellus Performance Materials) 사의 시트로플렉스(Citroflex) 4 역시 기술되는 조성물에 접착 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의 점착제, 즉 "점착화 수지" 또는 "비-관능화 점착제"도 포함한다. "점착화 수지"는 구체적으로 그의 자가접착 (점착, 고유 점착, 자가-접착)을 증가시키는 중합체성 첨가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또는 55 중량%,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중량% 내지 약 55 중량%의 점착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점착제는 ASTM 방법 E28에 의해 측정 시 약 70℃ 내지 약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약 150℃의 링 앤드 볼 연화점(Ring and Ball softening point)을 갖는다. 유용한 점착화 수지에는 임의의 상용성인 수지 또는 그의 혼합물, 예컨대 검 로진, 목질 로진, 톨유 로진, 증류 로진, 수소화 로진, 이량체화 로진, 레시네이트 및 중합체화 로진을 포함한 천연 및 변형 로진; 예컨대 옅은 목질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합체화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및 로진의 페놀-변형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를 포함한 천연 및 변형 로진의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예컨대 스티렌/테르펜 및 알파 메틸 스티렌/테르펜을 포함한 천연 테르펜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ASTM 방법 E28에 의해 측정 시 약 70℃ 내지 약 150℃의 연화점을 갖는 폴리테르펜 수지; 예컨대 2고리형 테르펜과 페놀의 산성 매체 중에서의 축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수지 생성물을 포함한 페놀계 변형 테르펜 수지 및 그의 수소화 유도체; 약 70℃ 내지 약 135℃의 볼 앤드 링 연화점을 갖는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화 유도체; 및 지환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그의 수소화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수소화된 점착제의 예에는 엑손 모빌 케미칼스(Exxon Mobil Chemicals) 사의 에스코레즈(Escorez) 5400, 아라카와(Arakawa) 사의 아르콘(Arkon) PI 00, 및 이스트만 케미칼 사의 레갈라이트(Regalite) SI 100 등이 포함된다. 역시 포함되는 것은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C5 수지, 및 방향족의 변형된 비고리형 또는 고리형 수지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로진 및 로진 유도체의 예에는 아리조나 케미칼(Arizona Chemical)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실바라이트(SYLVALITE) RE 1 10L, 실바레스(SYLVARES) RE 115 및 실바레스 RE 104; DRT 사의 데르토칼(Dertocal) 140; 아라카와 케미칼 사의 라임드 로진(Limed Rosin) No. I, GB-120 및 펜셀(Pencel) C가 포함된다.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페놀계 변형 테르펜 수지의 예는 모두 아리조나 케미칼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실바레스 TP 2040 HM 및 실바레스 TP 300이다.
바람직한 점착제는 합성 탄화수소 수지이다. 포함되는 것은 지방족 또는 고리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으로 변형된 지방족 또는 고리지방족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비-제한적인 예에는 굿이어(Goodyear) 사로부터 윙택 엑스트라(Wingtack Extra)라는 상표명으로, 그리고 엑손 사로부터 에스코레즈 1300 시리즈로 구입가능한 것들과 같은 지방족 올레핀 유래 수지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클래스의 통상적인 C5 점착화 수지는 약 95℃의 연화점을 갖는 피페릴렌과 2-메틸-2-부텐의 디엔-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이와 같은 수지는 윙택 95라는 상표명으로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이스트만 사의 이스토택 시리즈 역시 본 발명에 유용하다.
역시 유용한 것은 C9 방향족/지방족 올레핀-유래이며 사르토머 앤드 크레이 밸리(Sartomer and Cray Valley) 사로부터 노르솔렌이라는 상표명으로, 그리고 루트거스(Rutgers) 사로부터 TK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시리즈로 구입가능한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들이다. 노르솔렌 MI 090은 95-105℃의 링 앤드 볼 연화점을 가지며 크레이 밸리 사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저분자량 열가소성 탄화수소 중합체이다.
이스트만 케미칼스 사의 크리스탈렉스(Kristalex) 3085 및 3100, 아리조나 케미칼스 사의 실바레스 S A 100과 같은 알파 메틸 스티렌 역시 본 발명에서 점착제로서 유용하다. 일부 제제의 경우에는, 기술된 점착화 수지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해당 접착제의 고온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량의 알킬 페놀계 점착제가 상기에서 상술한 추가적인 점착제와 블렌딩될 수 있다. 접착제 총 중량의 2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알킬 페놀수지는 상용성이며, 적정한 조합에서 고온 접착제 성능을 증가시킨다. 알킬 페놀수지는 아라카와 케미칼 사로부터 타마놀(Tamanol)이라는 상표명으로, 그리고 쉐넥타디 인터내셔널(Schenectady International) 사로부터 몇 가지 제품 라인으로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또한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의 고체 가소제 또는 액체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또는 10 중량%의 고체 가소제 또는 액체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가소제에는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 오일, 장쇄 부분 에테르 에스테르, 알킬 모노에스테르, 에폭시드화 오일, 디알킬 디에스테르, 방향족 디에스테르, 알킬 에테르 모노에스테르, 폴리부텐,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아디프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고체 가소제, 예를 들면 이스트만 케미칼 사로부터 벤조플렉스(BENZOFLEX)라는 명칭으로 구입가능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벤조에이트로부터 유래하는 것들 역시 기술되는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가소제에는 무기 오일, 지방족 오일,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올레핀 올리고머 및 저분자량 중합체,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유도체가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또한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내지 약 8 중량%의 비-관능화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또는 10 중량%,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비-관능화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왁스의 대표적인 예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텐, 헥실렌, 헵텐 및 옥텐과 같은 다양한 올레핀들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상기 왁스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것일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자연 발생 왁스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무기 왁스 또는 석유화학 왁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 파라핀 왁스에는 시트고 페트롤륨(Citgo Petroleum), Co.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페이스메이커(PACEMAKER)® 30, 32, 35, 37, 40, 42, 45 & 53; 허니웰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아스토르 오케린(ASTOR OKERIN)® 236; 무어 앤드 멍거(Moore & Munger)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R-7152 파라핀 왁스; 무어 앤드 멍거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R-2540; 및 사솔 왁스(Sasol Wax) 사로부터 제품 명칭 사솔왁스(Sasolwax) 5603, 6203 및 6805로 구입가능한 것들과 같은 기타 파라핀계 왁스들이 포함된다.
본원에 유용한 미세결정질 왁스는 50 중량% 이상의, 30 내지 100개 탄소의 길이를 갖는 시클로 또는 분지형 알칸을 보유하는 것들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파라핀 및 폴리에틸렌 왁스에 비해 덜 결정질이며, 약 70℃를 초과하는 융점을 갖는다. 예로는 베이커 페트롤라이트(Baker Petrolite) Corp.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융점 70℃의 왁스 빅토리(VICTORY)® 앰버(Amber) 왁스; 바레코(Bareco)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융점 70℃의 왁스 바레코® ES-796 앰버 왁스; 모두 베이커 페트롤라이트 Corp.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융점 80℃ 및 90℃의 미세결정질 왁스 베스콰레(BESQUARE)® 175 및 195 앰버 왁스; 인더스트리얼 로우 머티어리얼즈(Industrial Raw Materials)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융점 90℃의 왁스 인드라믹(Indramic)® 91; 및 페트로왁스(Petrowax)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융점 90℃의 왁스 페트로왁스® 9508 라이트(Light)가 포함된다. 미세결정질 왁스의 다른 예로는 사솔 왁스(Sasol Wax)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사솔왁스(Sasolwax) 3971 및 알프레드 코쳄(Alfred Kochem) GmBH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마이크로왁스(Microwax) K4001이 있다.
이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대표적인 고밀도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에는 폴리왁스(POLYWAX)™ 500, 폴리왁스™ 1500 및 폴리왁스™ 2000과 같이 베이커 페트롤라이트 Corp.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에틸렌 단독중합체들이 포함된다. 폴리왁스™ 2000은 대략 2000의 분자량, 대략 1.0의 Mw/Mn, 약 0.97 g/cm3의 16℃에서의 밀도, 및 대략 126℃의 융점을 갖는다.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왁스의 다른 예로는 허니웰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AC 9, 9A, 9F, 8, 8A, AC 7, 7A 등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또한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중량%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교제, 충전제, 핵형성제, 접착 촉진제, 엘라스토머, 착색제, 유변물성 개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중량%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교제, 충전제, 핵형성제, 엘라스토머, 착색제, 유변물성 개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포함되는 적용가능한 안정화제 또는 항산화제로는 고분자량의 차폐된 페놀 및 다관능성 페놀 예컨대 황 및 인-함유 페놀이 있다. 차폐 페놀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데, 그의 페놀계 히드록실 기에 매우 근접하여 입체적으로 대형인 라디칼도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로 특성화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삼차 부틸 기가 페놀계 히드록실 기 대비 오르소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벤젠 고리상에 치환된다. 히드록실 기 근처에서의 이러한 입체적으로 대형인 치환 라디칼의 존재는 그의 스트레칭 빈도, 및 그에 따른 그의 반응성을 지체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에 따라 이와 같은 차폐는 페놀계 화합물에 그의 안정화 특성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차폐 페놀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메틸렌비스(2,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o-크레졸); 2,6-디-tert부틸페놀; 6-(4-히드록시페녹시)-2,4-비스(n-옥틸-티오)-1,3,5-트리아진; 디-n-옥틸티오)에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소르비톨 헥사[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이와 같은 항산화제들은 바스프(BASF) 사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바, 차폐 페놀인 이르가녹스(Irganox)® 565, 1010, 1076 및 1726이 포함된다. 이들은 라디칼 스캐빈저로 작용하는 일차 항산화제이며,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산화제 예컨대 바스프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이르가포스(IRGAFOS)® 168과 같은 포스파이트 항산화제와의 조합으이며 사용될 수 있다. 포스파이트 항산화제는 이차 항산화제로서 고려되며, 일반적으로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은 주로 퍼옥시드 분해제로 사용된다. 다른 구입가능한 촉매로는 사이텍 인더스트리즈(Cytec Industries)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시아녹스(CYANOX)® LTDP 및 알베마를레(Albemarle) Corp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에타녹스(ETHANOX)® 330이 있다. 많은 그와 같은 항산화제들이 단독, 또는 다른 그와 같은 항산화제와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약 10 중량% 미만인 소량으로 핫 멜트에 첨가되며, 다른 물리적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물리적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첨가될 수 있는 다른 화합물로는 색상을 부가하는 색소, 또는 형광제가 있다. 이들과 같은 첨가제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제는 저장 및/또는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산화성 또는 열적 분해 반응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최종 생성물로서의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입된다. 사용가능한 안정화제에는 바람직하게는 차폐된 페놀 및/또는 다관능성 페놀, 예를 들자면 황-함유 및/또는 인-함유 페놀이 포함된다. 차폐 페놀은 예를 들면 tert-부틸 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입체적으로 차폐되는 기가 페놀에 결합되어 있으며, 입체 차폐 기가 특히 페놀 OH 기에 대하여 오르소 및/또는 파라 위치에 위치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적합한 안정화제인 대표적인 차폐 페놀은 하기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것에서 선택될 수 있다: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메틸렌 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o-크레졸), 2,6-디-tert.-부틸페놀, 6-(4-히드록시페녹시)-2,4-비스(n-옥틸티오)-1,3,5-트리아진, 2,4,6-트리스(4-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녹시)-1,3,5-트리아진, 디-n-옥타데실-3,5-디-tert.-부틸벤질 포스페이트, 2-(n-옥틸티오)에틸-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소르비톨 헥사-(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원하는 특성의 함수로서, 예를 들면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가교제, 충전제, 핵형성제, 엘라스토머, 착색제, 유변물성 개질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들이 첨가될 수 있으며, 대단히 많은 수의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제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접착제의 특성을 개질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중합체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하기 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통상적인 핫 멜트 중합체들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문헌 [Paul C W (2002) Hot Melt Adhesives in: Chaudhury M 및 Pocius A V (ed) Surfaces, Chemistry and Applications: Adhesion Science and Engineering, Elsevier Science B. V., The Netherlands pp 711-757].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ASTM D3236에 따라 측정 시 약 7500 Pa.s 내지 약 15,000 Pa.s의 150℃에서의 점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약 7500; 8000; 8500; 9000; 9500; 10,000; 10,500; 11,000; 11,500; 12,000; 12,500; 13,000; 13,500; 14,000; 14,500; 또는 15,000 Pa.s,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150℃에서의 점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본원에서 기술되는 방법에 따라 측정 시, 40℃ 및 10 rad/s에서 약 1.5×106 dyn/cm2 내지 약 2.5×107 dyn/cm2의, 전단 저장 모듈러스로도 알려져 있는 전단 모듈러스 (G')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약 1.5×106, 2×106, 2.5×106, 3×106, 3.5×106, 4×106, 4.5×106, 5×106, 5.5×106, 6×106, 6.5×106, 7×106, 7.5×106, 8×106, 8.5×106, 9×106, 9.5×106, 1×107, 1.5×107, 2×107 또는 2.5×107 Pa, 또는 이들의 임의 범위의, 40℃에서의 전단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기술되는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초기 내크리프성을 나타낸다. 내크리프성은 본원에서 기술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 미만의, 25 mg/m/스트랜드에 대한 초기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약 2% 내지 7%의 초기 크리프%를 나타낸다. 소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20% 미만,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5% 미만, 4% 미만, 3% 미만 또는 2% 미만의 초기 크리프%를 나타내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기술되는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노화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2주 (14일) 후 2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2주 (14일) 후 2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39% 미만, 38% 미만, 37% 미만, 36% 미만, 35% 미만, 34% 미만, 33% 미만, 32% 미만, 31% 미만, 30% 미만, 29% 미만, 28% 미만, 27% 미만, 26% 미만, 25% 미만, 24% 미만, 23% 미만, 22% 미만, 21% 미만, 20% 미만, 19% 미만, 18% 미만, 17% 미만, 16% 미만, 15% 미만, 14% 미만, 13% 미만, 12% 미만, 11% 미만,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또는 5%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4주 (28일) 후 2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4주 (28일) 후 2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39% 미만, 38% 미만, 37% 미만, 36% 미만, 35% 미만, 34% 미만, 33% 미만, 32% 미만, 31% 미만, 30% 미만, 29% 미만, 28% 미만, 27% 미만, 26% 미만, 25% 미만, 24% 미만, 23% 미만, 22% 미만, 21% 미만, 20% 미만, 19% 미만, 18% 미만, 17% 미만, 16% 미만, 15% 미만, 14% 미만, 13% 미만, 12% 미만, 11% 미만,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또는 5%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기술되는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초기 내크리프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8%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35 mg/m/스트랜드에 대한 초기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약 1.5% 내지 3.5%의 35 mg/m/스트랜드에 대한 초기 크리프%를 나타낸다. 소정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5% 미만, 4% 미만, 3% 미만 또는 2% 미만의 초기 크리프%를 나타내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기술되는 적용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노화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2주 (14일) 후 3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2주 (14일) 후 3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39% 미만, 38% 미만, 37% 미만, 36% 미만, 35% 미만, 34% 미만, 33% 미만, 32% 미만, 31% 미만, 30% 미만, 29% 미만, 28% 미만, 27% 미만, 26% 미만, 25% 미만, 24% 미만, 23% 미만, 22% 미만, 21% 미만, 20% 미만, 19% 미만, 18% 미만, 17% 미만, 16% 미만, 15% 미만, 14% 미만, 13% 미만, 12% 미만, 11% 미만,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5% 미만 또는 4%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4주 (28일) 후 3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착제 조성물은 40℃에서 4주 (28일) 후 35 mg/m/스트랜드에 대하여 40% 미만, 39% 미만, 38% 미만, 37% 미만, 36% 미만, 35% 미만, 34% 미만, 33% 미만, 32% 미만, 31% 미만, 30% 미만, 29% 미만, 28% 미만, 27% 미만, 26% 미만, 25% 미만, 24% 미만, 23% 미만, 22% 미만, 21% 미만, 20% 미만, 19% 미만, 18% 미만, 17% 미만, 16% 미만, 15% 미만, 14% 미만, 13% 미만, 12% 미만, 11% 미만, 10% 미만, 9% 미만, 8% 미만, 7% 미만, 6% 미만 또는 5% 미만의 크리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약 180℃ 초과의 온도로 용융물 중에서 성분들을 블렌딩하여 균질한 블렌드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다양한 블렌딩 방법들이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데, 어떠한 방법도 균질한 블렌드를 생성시킨다. 이후, 블렌드는 냉각되며, 저장 또는 수송을 위하여 펠릿 또는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비-형성 접착제는 이후 기재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재가열될 수 있다.
약 340℉ (171℃)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20℉ (16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149℃) 미만의 적용 온도에서 기재상에 용융된 탄성 부착 접착제를 적용하고, 용융된 접착제상에 또 다른 기재를 위치시킴으로써 2개의 기재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탄성 부착 물품이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340℉ (171℃)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20℉ (16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149℃) 미만의 적용 온도에서 기재 양측상에 용융된 탄성 부착 접착제를 적용하고, 2개의 추가적인 기재들 사이에 상기 기재를 위치시킴으로써 접착제가 3개의 기재들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층의 탄성 부착 라미난트(laminant)가 형성된다.
탄성 부착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탄성 스트랜드(elastic strand)의 일부상에 적용된다. 탄성 스트랜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b-폴리우레탄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b-폴리우레탄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b-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적합한 탄성 다중필라멘트(multifilament) 스트랜드에는 라이크라(LYCRA) (인비스타(Invista), Inc. 사), 콘피-핏(CONFI-FIT)™ (풀플렉스(Fulflex) 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재 재료들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라미네이트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스의 섬유를 기재로 하는 약 10 내지 약 35 gsm (g/m2) 범위의 평량을 갖는 부직 기재상에 탄성 스트랜드가 부착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탄성 스트랜드는 유연성의 엘라스토머성인 시트-유사 필름에 부착된다. 적합한 유연성의 엘라스토머성인 시트-유사 필름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b-폴리우레탄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랜덤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탄성 스트랜드는 엘라스토머성 부착 접착제와 함께 하나의 부직 기재와 하나의 엘라스토머성 필름 사이에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탄성 스트랜드는 제자리에서 부직포와 스트랜드를 결합시키는 엘라스토머성 부착 접착제와 함께 2개의 부직 기재 사이에 위치된다. 탄성 부착 접착제의 부가 수준이 사용되는 적용분야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나선형 적용의 경우 통상적으로는 약 2 내지 약 50 gs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 gsm의 범위이다. 오메가(OMEGA)™ 및 슈어랩(SUREWRAP)®과 같은 스트랜드-특이적 적용을 위한 부가는 20 내지 50 밀리그램의 접착제/미터/스트랜드로 가변적이다. 비-제한적인 적용분야에는 나선, 오메가™ (ITW), 슈어랩® (노드슨(Nordson) 사)이 포함되는데, 그와 같은 기술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탄성 스트랜드상에 적용되는 일관되고 균일한 접착제의 전달은 만족스러운 라미난트 성능을 보장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예를 들면 광범위한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비균일하고 일관성 없이 분무되는 접착제, 또는 엔젤 헤어(angel hair) 펄럭임을 수반하여 분무되는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라미난트가 스트레칭 및 노화될 때 저조한 내크리프성 성능을 갖는다. 또 다른 중요한 인자는 접착력이며: 변형 뒤틀림하에서 실패 없이 기재상에 접착되어 접착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균일하고 일관되게 분무되며, 뒤틀림하에서 기재상에 접착되어 유지된다.
상기 탄성 부착 접착제는 탄성 부착 물품에 매우 적합하다. 그와 같은 물품은 여러 시간에 걸친 열 및 뒤틀림에 대한 노출 동안 접착제의 변형이 적을 필요가 있다. 열 및 뒤틀림하에서 변형은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에 대한 내성을 정량하는 한 가지 통상적인 방법은 내크리프성을 측정하는 것에 의한다. 내크리프성은 물품의 초기 내크리프성을 측정한 다음, 특정 온도 및 시간으로 뒤틀림을 적용하고, 이후 내성을 재-측정하는 것에 의해 계산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탄성 부착 접착제는 38℃에서 4시간 동안 250-300%로 라미네이트화된 접착제를 연장한 후 약 20% 미만인 초기 내크리프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탄성 부착 접착제는 40℃에서 4주 저장한 다음 38℃에서 4시간 동안 250-300% 뒤틀림으로 접착제를 연장한 후 약 20% 미만인 내크리프성을 갖는다.
탄성 부착 접착제가 4주까지 동안 40℃에서 노화된 후 만족스러운 내크리프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접착제에 사용되는 중합체가 이와 같은 시간 동안 라미네이션(lamination)을 제자리에서 고정하여 유지하기에 충분한 응집 강도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응집 강도는 유변학(rheology)을 통하여 소정 유형의 변형을 샘플상에 적용한 후 저장 모듈러스인 그의 반응을 기록하는 것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변형이 전단을 통하여 적용되는 경우 전단 저장 모듈러스 (G')가 측정되는 반면, 변형이 압축 또는 인장을 통하여 적용되는 경우에는 압축/인장 저장 모듈러스 (E')가 측정된다. 전단 또는 압축/인장 (E' 또는 G') 중 어느 하나인 저장 모듈러스는 재료의 강성 및 응집 강도와 관련된다. 40℃ 및 1 Hz에서 측정된 3.0×108 내지 1.7×109 dyn/cm2의 저장 모듈러스 (E')를 갖는 중합체는 40℃에서 2 및 4주 동안 노화된 후 뛰어난 크리프를 갖는 접착제를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단 모드 G'에서의 저장 모듈러스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의 접착제의 전체적인 응집 강도가 노화 크리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특성이라는 것도 발견되었다. 40℃ 및 10 rad/s에서 측정된 1.5×106 내지 약 2.5×107 dyn/cm2 범위의 G'를 갖는 접착제는 기술되는 접착제에서 유용하다.
상기 탄성 부착 물품은 기저귀, 기저귀 팬츠, 유아용 손수건, 트레이닝 팬츠, 흡수성 언더팬츠, 어린이용 케어 팬츠, 수영복, 및 기타 일회용 의류; 생리대, 손수건, 월경 패드, 팬티 라이너, 팬티 쉴드, 탐폰 및 탐폰 적용장치를 포함한 여성용 케어 제품; 손수건, 패드, 용기, 실금 제품 및 소변 쉴드를 포함한 성인-케어 제품; 의복 구성요소; 운동 및 레크리에이션 제품; 고온 또는 저온 치료법을 적용하기 위한 제품, 의료용 가운 (즉 보호 및/또는 수술용 가운), 수술용 드레이프, 모자, 장갑, 안면 마스크, 붕대, 상처 드레싱, 손수건, 커버, 용기, 필터, 일회용 의류 및 침대 패드, 의료용 흡수성 의류, 언더패드; 구성 및 포장 물품, 육류용 패드를 포함한 산업용 패드; 세척 및 소독용 제품, 손수건, 커버, 필터, 타월, 욕조 티슈, 안면용 티슈, 부직 롤 물품, 베개, 패드, 쿠션을 포함한 가정용 편의 제품, 마스크 및 바디 케어 제품 예컨대 피부를 세척하거나 처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품, 실험실용 코트, 커버올 등과 같은 흡수성 물품으로 적합하다.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기술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이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는 바, 본 발명은 해당 청구범위가 첨부되는 등가물의 전체 영역과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의 용어들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
[ 실시예 ]
접착제 제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합체가 용융되는 온도에서 성분들을 함께 조합함으로써 혼합물을 균질화하는 것에 의해, 샘플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중합체의 용융열 (ΔHm)은 ASTM D3418-12에 따라 DS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SC 측정은 TA 인스트루먼츠(Instruments) Q2000 MDS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중합체 6-10 mg 가량의 소량 샘플을 알루미늄 샘플 팬에 밀봉하고, 실온에서 기기에 적재한 후, 10℃/분의 가열 속도로 180℃까지 가열하였음 (제1 가열 주기). 이와 같은 온도에서 샘플을 2분 동안 유지함으로써 그의 열적 이력을 파괴하였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의 2분 동안의 평형화 후, 샘플을 10℃/분의 냉각 속도로 -40℃까지 냉각하였다. 샘플을 -40℃에서 2분 동안 유지하고, 이어서 제2 가열 단계에서 10℃/분으로 160℃까지 가열하였다 (제2 가열 주기). 이어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험 데이터 파일로부터 3개 단계 동안 발생하는 모든 열적 효과 (예컨대 유리 전이, 최대 융점 (Tm), 용융열 (ΔHm))를 평가하였다. 용융 온도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제2 가열로부터의 최대 융점이다. 다중 피크를 나타내는 중합체의 경우, 더 높은 용융 피크 온도를 기록하였다. 용융열 (ΔHm)을 측정하는 데에는 곡선하 면적을 사용하였다. 피크 적분 결과를 샘플 중량에 대하여 표준화하고, J/g으로 기록하였다. 융점은 ASTM 3418-12에 따라 시차 주사 열량법 장치 (DS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는 표준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 (미국 매사추세츠 스토우턴 소재 브룩필드 엔지니어링 라보래토리즈(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서모셀(Thermosell) RVT 점도계)에 의해 ASTM D3236에 따라 스핀들 27을 사용하여 200℃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연화점은 ASTM E28에 따라 링 앤드 볼 연화점 설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중합체의 저장 모듈러스 (E')는 TA 인스트루먼츠 사의 DMA Q 800에 의해 측정하였다. 일정한 1 Hz의 빈도 및 점탄성 선형 영역 내의 변형률을 갖는 비틀림 모드에서 필름 형상구조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시험하였다. 온도 범위는 5.0℃/분의 경사율로 0℃ 미만에서 출발하여 중합체 용융까지였다. 온도 경사 실험은 동적 변동 모드에서의 점탄성 특성을 평가한다. 필름은 용융물로부터의 캐스트(cast)이었으며, 최종 고체 필름은 1 mm 가량의 두께를 가졌다. 25℃ 1 Hz 및 40℃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를 표 1에 기록하였다.
접착제의 저장 모듈러스 (G')는 TA 인스트루먼츠 사의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Rheometric Scientific) RDA III에 의해 측정하였다. 동적 온도 스윕(dynamic temperature sweep) 시험은 0℃ 미만의 온도에서 출발하여 접착제 용융시까지 10 rad/초의 일정한 빈도를 갖는 2개의 평행한 플레이트들 사이에 접착제 샘플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하였다. 실험 내내, 온도를 5℃씩 단계적으로 증가시켰다.
탄성 샘플 제조: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연속 탄성 코팅 적용법에 의해 탄성 샘플 라미네이션을 제조하였다. 0.1초의 개방 시간으로 1000 fpm에서 고속 라미네이터(laminator)를 사용하는 노드슨 슈어랩(Nordson Surewrap) 스트랜드 적용장치에 의해 143℃ 내지 155℃에서, 라이크라 인비스타(LYCRA Invista) 680 탄성 스트랜드상에 25 또는 35 mg/m/스트랜드의 부가 수준으로 탄성 접착제를 적용하였다. 다음에, 압착 롤러를 사용하여 클로페이 브레더블(Clopay Breathable) PE (143 또는 145) 기재와 NW PGI 부직포 (15 gsm) 기재 사이에 탄성 스트랜드를 라미네이트화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탄성 내크리프성 평가: 초기 및 노화 탄성 샘플에 대하여 탄성 내크리프성 값을 측정하였다. 노화 샘플의 경우, 탄성 샘플을 40℃에서 2주 및 4주 동안 노화시켰다. 내크리프성 값은 5개 샘플의 평균으로 표에 나타내었다.
내크리프성: 스트레칭 조건으로 부직 시트와 중합체성 필름 사이에 접착된 탄성 스트랜드의 길이를 측정하고, 표시하였다 ("출발 길이"). 샘플 길이를 표시된 영역 밖으로 스트레칭시켰다. 다음에, 표시된 영역에서 탄성 스트랜드를 절단하였다. 38℃에서 4시간의 기간 후, 필라멘트가 수축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하기 방식으로 크리프%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7099926489-pct00001
만족스러운 접착제의 내크리프성은 약 35% 이하이다.
표 1에, 실시예 1 및 2, 및 비교 실시예 1, 2 및 3의 제조에 사용된 중합체들의 소정 특성들을 제시하였다.
"올레핀 1"은 상세한 설명에 따른 반결정질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그것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개재되는 U.S. 공개 제2014/0235127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었다.
L-모두 S-400은 상세한 설명에 따른 반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그것은 이데미츠 코산(Idemitsu Kosan) Co., Ltd 사로부터 구입가능하였다.
렉스택(REXTAC) 2814는 렉스택 LLC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무정형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이다.
인퓨즈(INFUSE) 9817은 다우(Dow) 사로부터 구입가능한 에틸렌-옥텐 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올레핀 2"는 반결정질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그것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개재되는 U.S. 8,853,329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었다.
관능화된 중합체는 660 (g/10분, 190℃, 2.16 Kg에서)의 용융 지수를 갖는 말레에이트화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관능기인 말레산 무수물은 관능화된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로 존재하였다.
관능화된 왁스는 140℃에서 575 cP의 점도를 갖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이다. 관능기인 아크릴산은 관능화된 왁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로 존재하였다.
<표 1>
Figure 112017099926489-pct00002
표 2에 열거되어 있는 성분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및 2, 및 비교 실시예 1, 2 및 3을 제조하였다. 접착제 조성물의 특성들은 하기 표 3에 열거하였다. 고무-기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접착제인 헨켈 디스포멜트(Henkel DISPOMELT)® 897B를 대조로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17099926489-pct00003
<표 3>
Figure 112017099926489-pct00004
실시예 1은 본 개시내용의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탄성 적용분야에 사용된 접착제를 나타낸다. 상기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초기 및 노화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강성 또는 응집 강도를 제공하는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E'), 점도 및 결정도와 같은 물질 특성들을 가졌다. 실시예 1은 균형잡힌 물질 특성, 예를 들면 40℃ 및 10 rad/s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 및 가공 점도를 갖는 접착제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2는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가 탄성 적용분야에 사용된 접착제를 나타낸다. 상기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L-모두는 초기 및 노화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는 강성 또는 응집 강도를 제공하는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E'), 점도 및 결정도와 같은 물질 특성들을 가졌다. 실시예 2는 균형잡힌 물질 특성, 예를 들면 40℃ 및 10 rad/s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 및 가공 점도를 갖는 접착제를 제공하였다.
비교 실시예 1은 무정형 폴리-a-올레핀 (APAO)이 탄성 적용분야용 주 중합체로 사용된 접착제를 나타낸다. APAO에서의 결정도의 결핍, 및 40℃ 및 1 Hz에서의 낮은 저장 모듈러스 (E')는 초기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강성도 제공하지 못하였다.
비교 실시예 2는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탄성 적용분야에 사용된 접착제를 나타낸다. 상기 반결정질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인 올레핀 1은 접착제의 가공 및 적용에 적절한 점도를 가지기는 하였으나, 40℃ 및 1 Hz에서의 그의 저장 모듈러스 (E') 및 결정도가 초기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는 강성 및 응집 강도는 제공하였지만, 노화 크리프 성능은 훼손되었다. 제제는 올바른 가공 점도를 갖는 접착제를 제공하나, 40℃ 및 10 rad/s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가 너무 높아서 노화시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강성인 접착제를 산출하는 것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조율되었다.
비교 실시예 3은 에틸렌-옥텐 올레핀 공중합체가 탄성 적용분야에 사용된 접착제를 나타낸다. 상기 에틸렌-옥텐 올레핀 중합체인 인퓨즈 9817은 나중에 훼손되는 노화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강성 또는 응집 강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높은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E')를 가지지 못하였다. 제제는 올바른 가공 점도를 갖는 접착제를 제공하나, 40℃ 및 10 rad/s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가 노화 후 크리프 성능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낮게 되는 방식으로 조율되었다.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기술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이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는 바, 본 발명은 해당 청구범위가 첨부되는 등가물의 전체 영역과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의 용어들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

Claims (20)

  1.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5 중량% 내지 75 중량%의, 4 J/g 내지 30 J/g의 용융열 (ΔHm); 3.0×108 dyn/cm2 내지 1.7×109 dyn/cm2의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E'); 및 2 Pa.s 내지 100 Pa.s의 200℃에서의 점도 (η)를 특징으로 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관능성 왁스, 관능성 폴리올레핀, 관능성 점착제, 관능성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접착 촉진제;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55 중량%의 점착제; 및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8 중량% 이하의 고체 가소제 또는 액체 가소제
    를 포함하며, 35% 이하의 초기 내크리프성, 및 40℃에서 28일 후 35% 이하의 노화 내크리프성을 나타내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열이 4 J/g 내지 6 J/g인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의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가 5.0×108 dyn/cm2 내지 1.1×109 dyn/cm2인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00℃에서의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의 점도가 ASTM D3236에 따라 측정 시 2 Pa.s 내지 8 Pa.s인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 중량%의, 관능성 폴리올레핀 또는 관능성 왁스인 접착 촉진제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5×106 dyn/cm2 내지 2.5×107 dyn/cm2의 40℃ 및 10 rad/s에서의 전단 모듈러스 (G')를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200℃에서의 점도 (η)가 2 Pa.s 내지 20 Pa.s인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55 중량%의 점착제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 중량%의 접착 촉진제를 포함하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10.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내지 65 중량%의, 4 J/g 내지 8 J/g의 용융열 (ΔHm); 5.0×108 dyn/cm2 내지 1.1×109 dyn/cm2의 40℃ 및 1 Hz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E'); 및 ASTM D3236에 따라 측정 시 6 Pa.s 내지 8 Pa.s의 200℃에서의 점도 (η)를 특징으로 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반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관능성 왁스, 관능성 폴리올레핀, 관능성 점착제, 관능성 가소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접착 촉진제;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점착제; 및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8 중량% 이하의 고체 가소제 또는 액체 가소제
    를 포함하며, 10% 이하의 초기 내크리프성, 및 40℃에서 28일 후 20% 이하의 노화 내크리프성을 나타내는 스트레치 접착제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29165A 2015-04-17 2016-03-24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KR102499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8951P 2015-04-17 2015-04-17
US62/148,951 2015-04-17
PCT/US2016/023864 WO2016167931A1 (en) 2015-04-17 2016-03-24 Hot melt adhesive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44A KR20170137744A (ko) 2017-12-13
KR102499104B1 true KR102499104B1 (ko) 2023-02-14

Family

ID=5712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165A KR102499104B1 (ko) 2015-04-17 2016-03-24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80037777A1 (ko)
EP (1) EP3283592B1 (ko)
JP (1) JP6964001B2 (ko)
KR (1) KR102499104B1 (ko)
CN (1) CN107614643B (ko)
BR (1) BR112017020862A2 (ko)
CA (1) CA2982756A1 (ko)
MX (1) MX2017013058A (ko)
RU (1) RU2017135264A (ko)
WO (1) WO2016167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2878B2 (ja) * 2017-06-30 2022-03-09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7289952B2 (ja) * 2017-06-30 2023-06-12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7090542B2 (ja) * 2018-12-28 202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9666423A (zh) * 2019-01-21 2019-04-23 福建省昌德胶业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垫用热熔胶及其制备方法
WO2022181765A1 (ja) * 2021-02-25 2022-09-01 株式会社Moresco 熱可塑性接着剤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4054A (ja) * 2011-09-16 2013-04-11 Henkel Japan Ltd 使い捨て製品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20140235127A1 (en) 2013-02-21 2014-08-21 Henkel Corporation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3432A (en) 1979-05-10 1980-11-11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Dicyclopentadiene polyester resins
US5171628A (en) 1989-05-25 1992-12-15 Exxon Chemical Patents Inc. Low creep polypropylene textiles
US5256717A (en) 1990-12-19 1993-10-26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s useful in temporary bonding operations
US5331033A (en) 1993-02-23 1994-07-19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US5397843A (en) 1993-11-22 1995-03-14 Igi Baychem, Inc.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morphous propylene polymer
WO1997009393A1 (en) 1995-09-07 1997-03-13 Exxon Chemical Patents Inc. Hot melt adhesives,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
US6120487A (en) * 1996-04-03 2000-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pant
JP4364311B2 (ja) 1997-04-30 2009-11-18 エイティーオー・フィンドレ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不織布用高剥離強度及び高剪断強度を有する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6833404B2 (en) 1998-06-30 2004-12-21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Hot melts utilizing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substantially aliphatic tackifying resin
US6143818A (en) 1999-08-04 2000-11-07 Ato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ethylene-propylene rubber (EPR) and semicrystalline olefinic polymers
US6329468B1 (en) 2000-01-21 2001-12-11 Bostik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semicrystalline flexible polyolefins
US6774069B2 (en) 2000-12-29 2004-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ot-melt adhesive for non-woven elastic composite bonding
US7256236B1 (en) 2001-05-06 2007-08-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leated polypropylen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6653385B2 (en) 2001-10-18 2003-11-25 Bostik Findley,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blend of amorphous poly-α-olefin and syndiotactic polypropylene
US8653169B2 (en) * 2002-10-15 2014-02-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copolymers for adhesive applications
CA2499951C (en) 2002-10-15 2013-05-28 Peijun Jiang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7067585B2 (en) 2002-10-28 2006-06-27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random copolymer of isotactic polypropylene
WO2005111132A1 (en) * 2004-05-11 2005-11-24 Huntsman Polymers Corporation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based on olefin co-polymers
CA2601273A1 (en) 2005-03-17 2006-09-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dhesive and marking compositions made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JP5307552B2 (ja) * 2005-12-29 2013-10-02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分子量エチレンインターポリマー、その製造法および使用
US8076407B2 (en) 2008-02-08 2011-12-13 Henkel Ag & Co. Kgaa Hot melt adhesive
US9273202B2 (en) 2008-09-18 2016-03-01 Mitsui Chemicals, Inc.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containing the same
CA2830495C (en) * 2009-03-27 2017-02-14 Henkel Ag & Co. Kgaa Adhesives made from polymer systems
US8921474B2 (en) 2009-07-24 2014-12-30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olefin block copolymers
WO2011025587A1 (en) 2009-08-27 2011-03-0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394879B1 (en) 2010-04-29 2013-03-12 Dynamic Modifiers, LLC Polyolefin compositions adapted to replace flexible polyvinylchloride and other elastomeric compositions
US9376597B2 (en) 2010-11-19 2016-06-28 Henkel Ag & Co. Kgaa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9469791B2 (en) * 2011-04-28 2016-10-18 Adherent Laboratories, Inc. Poly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N102277112B (zh) 2011-05-23 2014-11-05 波士胶芬得利(中国)粘合剂有限公司 含蜡热熔胶和一次性吸收制品
US20120329353A1 (en) * 2011-06-27 2012-12-27 H.B. Fuller Company 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nonwoven and packaging articles including the same
ES2762234T3 (es) * 2011-08-04 2020-05-22 Henkel IP & Holding GmbH Adhesivos y uso de los mismos
JP5850683B2 (ja) 2011-09-16 2016-02-03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5850682B2 (ja) 2011-09-16 2016-02-03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5947153B2 (ja) * 2012-08-28 2016-07-06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9598615B2 (en) * 2013-02-22 2017-03-21 Idemitsu Kosan Co., Ltd. Propylene-type polymer and hot-melt adhesive agent
ES2911688T3 (es) * 2013-05-23 2022-05-20 Bostik Inc Adhesivo termofusible a base de homopolímeros de polipropileno de bajo punto de fusión
PL3453408T3 (pl) 2013-05-29 2022-01-10 H. B. Fuller Company Kompozycja kleju do elastycznego mocowania
US20150259578A1 (en) * 2014-03-14 2015-09-17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that include propylene polymer and ethylene copolymer
TWI665239B (zh) 2014-09-29 2019-07-11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組成物、片的製造方法、片、積層體及帶有元件晶圓的積層體
ITUB20155470A1 (it) 2015-11-11 2017-05-11 Gloo S R L S Composizione per la preparazione di un prodotto collante
KR102322289B1 (ko) 2017-01-03 2021-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방열성 복합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냉식 배터리 시스템
CN207034488U (zh) 2017-07-26 2018-02-2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蒸汽伴行管末端保护套
CA3116911A1 (en) 2018-11-02 2020-05-07 H.B. Fuller Company Moisture curable hot melt sealant composition including silane functional polyureth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4054A (ja) * 2011-09-16 2013-04-11 Henkel Japan Ltd 使い捨て製品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20140235127A1 (en) 2013-02-21 2014-08-21 Henkel Corporation Elastic attachment adhesive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4613A (ja) 2018-06-07
CN107614643A (zh) 2018-01-19
CA2982756A1 (en) 2016-10-20
CN107614643B (zh) 2020-06-16
EP3283592A4 (en) 2018-10-24
MX2017013058A (es) 2017-12-08
JP6964001B2 (ja) 2021-11-10
WO2016167931A1 (en) 2016-10-20
EP3283592A1 (en) 2018-02-21
RU2017135264A (ru) 2019-04-05
BR112017020862A2 (pt) 2018-07-10
EP3283592B1 (en) 2022-08-03
KR20170137744A (ko) 2017-12-13
US11970635B2 (en) 2024-04-30
US20180037777A1 (en) 2018-02-08
US20230066070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0860C2 (ru) Эластичный присоединяющий кле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RU2709356C2 (ru) Композиция термоплавкого адгезива и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US11970635B2 (en) Hot melt adhesives and uses thereof
CN110023440B (zh) 粘合弹性体部件、非织造材料和热塑性膜的热熔性粘合剂
US9695341B2 (en) Adhesives and use thereof
BR112017007533B1 (pt) Adesivos de colagem a quente
KR20140012643A (ko) 높은 크리프 저항을 가지는 일회용품을 위한 저온 핫 멜트 접착제
KR20230115287A (ko) 핫 멜트 접착제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