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386A - 벤조티아졸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 Google Patents

벤조티아졸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386A
KR20150120386A KR1020157023050A KR20157023050A KR20150120386A KR 20150120386 A KR20150120386 A KR 20150120386A KR 1020157023050 A KR1020157023050 A KR 1020157023050A KR 20157023050 A KR20157023050 A KR 20157023050A KR 20150120386 A KR20150120386 A KR 20150120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lamino
hydroxyethyl
butoxyphenyl
methylpropan
hydroxybenz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밀루 아슈어
로빈 알렉 페어허스트
아르노 그랑듀리
신지 하타케야마
막달레나 코지크작-홀브로
니콜라 투필리
토마스 울리히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12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벤조티아졸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FORMULATION COMPRISING BENZOTHIAZOLONE COMPOUND}
본 발명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하는 신규 제약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과 같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인 벤조티아졸론 화합물은 WO2004/16601 및 WO2006/056471에 기재되어 있다. WO2005/110990은 또한 베타-2 효능제로서 벤조-축합 헤테로사이클을 기재하고 있다.
베타-2 효능제는 그의 기관지확장 특성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지만, 이들은 또한 골격근 비대를 야기하는 그의 능력으로도 알려져 있다.
다수의 연구가 근육 소모를 향상시키고 근육 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베타-2 효능제의 동화 작용 특성의 치료 적용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부류의 화합물은 또한 심혈관-관련 유해 사례의 증가된 위험을 비롯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과 연관되어 왔다. 따라서, 근육 소모성 질환에서의 베타-2 효능제의 용도는 지금까지 심장 비대 및 심혈관 기능에 대한 잠재적인 유해 효과에 의해 제한되어 왔다.
우수한 약물 후보인 신규 베타-2 효능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신규 베타-2 효능제는 베타-2 아드레날린수용체에 강력하게 결합하여야 하며, 한편 다른 수용체, 예를 들어 베타-1 아드레날린수용체, 알파-1A 아드레날린수용체, 또는 5HT2C 수용체 등에 대해 친화도를 거의 나타내지 않고, 효능제로서 기능적 활성을 나타낸다. 이는 대사적으로 안정하고 유리한 약동학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는 비-독성이고, 부작용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야 하며, 특히 공지된 시판 베타-2 효능제, 예를 들어 포르모테롤보다 심장 부작용이 더 적어야 한다. 또한, 이상적인 약물 후보는, 안정하고, 비-흡습성이며, 용이하게 제제화되는 물리적 형태로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효율, 생체이용률, 안정성 및/또는 환자에 의한 수용을 개선시킬 수 있는 물리적 형태인, 상기 기재된 특성 중 적어도 일부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질환, 특히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가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측면 내에서, 0.01 내지 15%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선택적 베타-2 효능제이다. 특히, 이는 포르모테롤과 같은 공지된 베타-2 효능제와 비교하여, 베타-1 아드레날린수용체 또는 알파-1A 아드레날린수용체에 대한 친화도보다 더 큰 베타-2 아드레날린수용체에 대한 증가된 친화도를 나타낸다. 놀랍게도, 이는 또한 그의 라세미체 또는 그의 상응하는 거울상이성질체보다 세로토닌 수용체 (5HT2C)에 대한 더 낮은 친화도 및 5HT2c 발현 세포에서 더 낮은 기능적 효능을 나타내며, 이는 이것이 베타-2 효능제-유도 골격근 비대에 잠재적으로 대항하는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운동 활성 및 음식물 섭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5HT2c 수용체 효능제가 에너지 섭취 및 체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문헌 [J. Halford and J. Harrold in Handb Exp Pharmacol. 2012; (209) 349-56]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원 발명의 조성물은 광범위한 장애의 치료, 특히 근육-소모성 질환, 예컨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잠재적으로 유용하다.
또한 고려되는 용도는 악액질의 치료이다. 예를 들어 암 악액질을 비롯한 악액질의 모든 형태는 본원 발명의 조성물로 잠재적으로 치료가능하다.
도 1은 포르모테롤 대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가 주사된 래트에서의 골격근 질량 및 심장 질량의 증가를 제시하고 - 값은 평균 ± SEM (n=5-6)으로서 표기되고; 골격근 (비복근-가자미근-경골근)의 풀(pool)은 초기 체중에 의해 정규화되고; 심장 중량은 뇌 중량에 의해 정규화된다.
도 2a는 포르모테롤 대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 시 단리된 토끼 동방 결절에서의 박동수의 증가를 도시한다.
도 2b는 포르모테롤 대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 시 단리된 토끼 심장에서의 활성의 증가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포르모테롤의 피하 볼루스 주사 시 래트에서의 심박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c는 포르모테롤 대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시 래트에서의 평균 심박수 변화를 비교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포르모테롤의 피하 볼루스 주사 시 레서스 원숭이에서의 심박수 변화를 도시한다.
도 5는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결정질 아세테이트 염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제약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치료 또는 제어하도록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되는,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상응하는,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및 다른 합병증 문제 없이 포유동물, 특히 인간의 조직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형태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용어 "활성 성분"은 치료적 또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임의의 화합물, 물질, 약물, 의약, 또는 활성 성분을 지칭하고, 이는 경구 투여에 특히 적합한 조성물로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하는데 적합하다.
본원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화합물 A",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된 절대 입체화학은 칸-인골드-프렐로그(Cahn-Ingold-Prelog) R-S 시스템에 따라 명시된다. 화합물이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인 경우에, 각각의 키랄 탄소에서 입체화학은 R 또는 S 중 어느 하나로 명시될 수 있다. 절대 배위가 알려지지 않은 분해된 화합물은 이들이 나트륨 D 선의 파장에서 평면 편광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 또는 (-) (우선성 또는 좌선성)로 지정될 수 있다. 화합물의 임의의 비대칭 원자 (예를 들어, 탄소 등)는 라세미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풍부, 예를 들어 (R)-, (S)- 또는 (R,S)- 배위로 존재할 수 있다. 입체이성질체의 라세미 50:50 혼합물은 (R,S)로서 지정되고 각각 (S) 형태에 대한 (R)의 또는 (R) 형태에 대한 (S)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의 거울상이성질체 풍부 형태로서 지정된다.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은 통상적으로 방정식 ee = ((m1-m2)/(m1+m2))*100% (여기서 m1 및 m2는 R 및 S의 각각의 거울상이성질체 형태의 질량을 나타냄)로 나타내어진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절대 입체화학의 관점에서 (R)로서 정의되는 1개의 비대칭 중심을 함유한다. 그의 상응하는 거울상이성질체는 덜 활성 형태인 (S)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비대칭 원자는 (R)- 배위에서 적어도 95, 98 또는 99%의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은 적어도 95%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1-1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2%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은 적어도 98%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1-1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2%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은 적어도 99%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1-1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2%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한다.
화학적 합성을 위한 출발 물질 및 절차의 선택에 따라, 화합물은 가능한 이성질체 중 하나의 형태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순수한 광학 이성질체로서, 또는 이성질체 혼합물, 예컨대 라세미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광학 활성 (R)- 및 (S)- 이성질체는 키랄 합성단위체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분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된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그의 호변이성질체 또는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최종 생성물 또는 합성 중간체의 임의의 생성된 라세미체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광학 활성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여 수득된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분리에 의해 광학 대장체로 분해되고, 광학 활성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유리시킬 수 있다. 특히, 따라서 염기성 모이어티를 사용하여 본원 발명의 화합물을, 예를 들어, 광학 활성 산,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디벤조일 타르타르산,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디-O,O'-p-톨루오일 타르타르산, 만델산, 말산 또는 캄포르-10-술폰산을 사용하여 형성된 염의 분별 결정화에 의해 그의 광학 대장체로 분해할 수 있다. 라세미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풍부 생성물을 또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키랄 흡착제를 사용한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에 의해 분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제약 조성물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통상의 화학적 방법에 의해 염기성 모이어티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물 중에서 또는 유기 용매 중에서, 또는 상기 둘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실행가능한 경우에 비-수성 매질, 예컨대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적합한 염의 목록은,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 및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Weinheim, Germany, 2nd revised edition, 20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측면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은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아세트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은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은 실시예 3a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형성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농도는 상기 활성 성분의 유리 염기의 w/w 백분율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0.01 내지 15% (w/w)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는 0.01 내지 10% (w/w)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는 0.01 내지 5% (w/w)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는 0.01 내지 2% (w/w)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는 0.1 내지 1% (w/w)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게다가, 본원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 (그의 아세테이트 염 포함)은 또한 그의 수화물의 형태로 수득될 수 있거나, 또는 그의 결정화에 사용되는 다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본질적으로 또는 설계에 의해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 (물 포함)와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용매화 및 비용매화 형태 둘 다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용매화물"은 본원 발명의 화합물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포함)과 1종 이상의 용매 분자와의 분자 복합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용매 분자는 수용자에게 무해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제약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등이다. 용어 "수화물"은 용매 분자가 물인 복합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상 허용되는 용매화물은 결정화의 용매가 동위원소 치환될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D2O, d6-아세톤, d6-DMSO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 (그의 아세테이트 염 포함), 그의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본질적으로 또는 설계에 의해 다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용어 "무정형"은 결정질이 아니며, X선 회절 및 다른 수단,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편광 현미경 및 시차 주사 열량측정에 의한 관찰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물리적 상태를 기재한다.
용어 "결정"은, 본질적으로 비조직화된 불균질 고체로서 존재하는 제2 형태 - 무정형 고체 상태와 구별되는 물질의 고체 상태 중 한 형태를 기재한다. 결정은 원자, 이온, 분자, 또는 분자 조립체의 규칙적인 3차원 배열이다. 결정은, 3차원으로 반복되는 단위 셀 내로 잘 한정된 대칭에 따라 배열된 비대칭 단위로 불리는 빌딩 블록의 격자 배열 (결정화된 물질로 이루어짐)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다형체"는 동일한 화학적 조성을 갖지만, 결정을 형성하는 분자, 원자, 및/또는 이온의 공간 배열이 상이한 결정질 형태를 지칭한다.
본원 발명에서, 활성 성분은 실시예 4에 기재된 다형체와 같은 다형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적합한 공-결정 형성제와 공-결정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들 공-결정은 공지된 공-결정 형성 절차에 의해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용액 중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결정화 조건 하에 공-결정 형성제와 분쇄, 가열, 공-승화, 공-용융, 또는 접촉시키고, 이에 따라 형성된 공-결정을 단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공-결정 형성제는 WO 2004/078163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공-결정은, 각각 특징적인 물리적 특성, 예컨대 구조, 융점 및 용융열을 함유하는, 실온에서 2종 이상의 특유의 고체로 구성된 결정질 물질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비히클 또는 담체는 약물을 생물학적 막을 가로질러 또는 생물학적 유체 내에서 수송하는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결정질 형태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1-1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2%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1-1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2%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 초과, 예컨대 90, 91, 92, 93, 94, 95, 96, 97, 98, 및 99 중량% 초과, 및 또한 예컨대 약 100 중량%와 동등한 순도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 불순물 및/또는 가공 불순물의 존재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분석 기술, 예컨대,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핵 자기 공명 분광분석법, 질량 분광측정법, 또는 적외선 분광분석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 시 8.8, 11.5, 16.4, 17.6, 18.2, 19.6, 20.1, 20.8, 및 21.1°로부터 선택된 굴절각 2 세타 (θ) 값 (보다 특히 여기서 상기 값은 + 또는 - 0.2° 2θ임)을 갖는 적어도 1, 2 또는 3개의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를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 시 8.8°의 굴절각 2θ 값 (보다 특히 여기서 상기 값은 + 또는 - 0.2° 2θ임)에서의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를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 시 16.4°의 굴절각 2θ 값 (보다 특히 여기서 상기 값은 + 또는 - 0.2° 2θ임)에서의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를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 시 20.8°의 굴절각 2θ 값 (보다 특히 여기서 상기 값은 + 또는 - 0.2° 2θ임)에서의 피크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를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u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측정 시 도 5에 제시된 X선 분말 회절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갖는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의 결정질 형태를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부사항에 대하여는 실시예 4를 참조한다.
X선 회절 피크 위치와 관련한 용어 "실질적으로 동일한"은 전형적인 피크 위치 및 강도 가변성이 고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상의 기술자는 피크 위치 (2θ)가, 전형적으로 0.2°만큼의 약간의 장치간 가변성을 나타낼 것임을 인지할 것이다. 추가로, 통상의 기술자는 상대 피크 강도가 장치간 가변성 뿐만 아니라 결정화도, 바람직한 배향, 제조된 샘플 표면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로 인한 가변성을 나타낼 것이며, 이는 단지 정성적 척도로서 받아들여야 함을 인지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X선 회절 패턴이, 사용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측정 오차와 함께 얻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특히, X선 회절 패턴에서의 강도는 사용되는 측정 조건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대 강도가 또한 실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따라서 강도의 정확한 정도는 고려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통상의 X선 회절 패턴에 대한 회절각의 측정 오차는 전형적으로 약 5% 이하이고, 이러한 정도의 측정 오차는 상기 언급된 회절각에 관련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의 결정 형태가 본원에 개시된 첨부하는 도 5에서 도시된 X선 회절 패턴과 완전히 동일한 X선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결정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하는 도 5에 개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X선 회절 패턴을 제공하는 임의의 결정 형태는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X선 회절 패턴의 실질적인 동일성을 확인하는 능력은 통상의 기술자의 범주 내에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는 과립 및/또는 고체 경구 투여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약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약상 허용되는 성분을 지칭한다. 부형제의 카테고리의 예는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활택제, 충전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용 실험에 의해 및 임의의 과도한 부담 없이 과립 및/또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특히 바람직한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언급된 부형제 중 1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되는 각 부형제의 양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본원에 참조로 모두 포함되는 하기 참고문헌은 경구 투여 형태를 제제화하는데 사용되는 기술 및 부형제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The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4th edition, Rowe et al., Eds., American Pharmaceuticals Association (2003);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Gennaro,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을 참조한다.
전형적인 부형제는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항산화제는, 조성물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조성물과 접촉된 산화제로부터 조성물의 성분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제의 예는 수용성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소듐 술파이트, 메타비술파이트, 소듐 미오술파이트, 소듐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이소아스코르브산, 이소아스코르브산, 시스테인 히드로클로라이드, 1,4-디아조비시클로-(2,2,2)-옥탄,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용성 항산화제의 예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포타슘 프로필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도데실 갈레이트, 페닐-α-나프틸-아민, 및 토코페롤 예컨대 α-토코페롤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결합제의 예는 전분; 셀룰로스 및 그의 유도체; 1-비닐-2-피롤리돈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옥수수 시럽; 폴리사카라이드; 및 젤라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셀룰로스 및 그의 유도체의 예는, 예를 들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예를 들어 FMC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로부터의 아비셀(AVICEL) PH, 다우 케미칼 코포레이션(Dow Chemical Corp.) (미시간주 미들랜드)로부터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히드록실에틸 셀룰로스 및 히드록실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메토셀(METHOCEL); HP-셀룰로스 100 (클루셀(Klucel) LF를 포함한다. 1-비닐-2-피롤리돈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는 바스프(BASF)로부터 콜리돈(Kollidon) VA64로서 구입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결합제는 조성물 중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바람직한 결합제는 HP-셀룰로스 100 (클루셀 LF), 및 1-비닐-2-피롤리돈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완충제는 조성물의 확립된 pH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완충제의 예는 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칼슘, 메타인산칼륨, 일염기성 인산칼륨, 및 타르타르산을 포함한다.
벌킹제는 제약 조성물에 용적을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다. 벌킹제의 예는, 제한 없이, PEG, 만니톨, 트레할로스, 락토스, 수크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크로스, 글리신,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및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다상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예를 들어 습윤제, 소포제, 유화제, 분산제, 및 침투제로서 사용되는 작용제이다. 계면활성제는 또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및 알킬 술포네이트;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론자, 인크.(Lonza, Inc.) (뉴저지주 페어론)로부터의 히아민(HYAMINE) 1622;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유니케마(Uniqema) (델라웨어주 윌밍톤)로부터의 트윈(TWEEN) 시리즈; 및 천연 계면활성제, 예컨대 소듐 타우로콜산, 1-팔미토일-2-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레시틴 및 다른 인지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생성물의 재구성 동안 동결건조된 입자의 응집을 최소화한다. 계면활성제는, 존재하는 경우에, 전형적으로 약 0.01% 내지 약 5% w/v의 양으로 사용된다.
보조계면활성제는 계면 에너지를 추가로 저하시키지만 그 자체로는 미셀 응집체를 형성할 수 없는, 계면활성제에 추가하여 작용하는 표면-활성제이다. 보조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친수성 또는 친지성일 수 있다. 보조계면활성제의 예는 세틸 알콜 및 스테아릴 알콜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약상 허용되는 붕해제의 예는 전분, 예를 들어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점토; 셀룰로스, 예를 들어 저 치환된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 알기네이트; 검; 가교된 중합체, 예를 들어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크로스포비돈, 예를 들어 인터내셔널 스페셜티 프로덕츠(International Specialty Products) (뉴저지주 웨인)로부터의 폴리플라스돈(POLYPLASDONE) XL; 가교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 예를 들어 FMC로부터의 AC-DI-SOL; 및 가교된 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대두 폴리사카라이드; 및 구아 검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붕해제는 조성물 중 약 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바람직한 붕해제는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저 치환된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 가교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 (예를 들어 AC-DI-SOL)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충전제 및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의 예는 분당, 압축 당, 덱스트레이트, 덱스트린, 덱스트로스, 락토스, 만니톨,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분말화 셀룰로스, 소르비톨, 수크로스 및 활석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충전제 및/또는 희석제는 조성물 중 약 15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바람직한 충전제 및/또는 희석제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예를 들어 아비셀 PH101), 분무-건조된 락토스, CA-HYD-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엠콤프레스(Emcompress)), 만니톨 DC (예를 들어 콤프레솔(Compressol)), 예비젤라틴화 전분 (예를 들어 STA-RX 1500)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윤활제 및 제약상 허용되는 활택제의 예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삼규산마그네슘, 전분, 활석, 삼염기성 인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말화 셀룰로스 및 미세결정질 셀룰로스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형적으로, 윤활제는 조성물 중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반면에, 활택제는, 예를 들어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윤활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에 0.1 내지 1%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 발명에서, 활택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에 0.1 내지 1% (w/w)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바람직한 활택제는 에어로실(Aerosil) 200 및 활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바람직한 윤활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의 본원 발명의 화합물이 분해될 속도를 감소시키는 1종 이상의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는 제약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원에 "안정화제"로서 지칭되는 이러한 작용제는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pH 완충제, 또는 염 완충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존제는 또한 조성물을 분해 및/또는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존제의 예는 리퀴파르 오일, 페녹시에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이소프로필 파라벤, 이소부틸 파라벤,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디아졸린딜 우레아,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및 그의 혼합물 (예를 들어, 리퀴파르 오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0.01 내지 10%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15 내지 90% (w/w)의 적어도 1종의 충전제;
1 내지 20% (w/w)의 붕해제;
0.1 내지 1% (w/w)의 활택제 및
0.1 내지 1% (w/w)의 윤활제
를 포함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그의 아세테이트 염 형태로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0.01 내지 10%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15 내지 90% (w/w)의 적어도 1종의 충전제;
1 내지 20% (w/w)의 결합제;
1 내지 20% (w/w)의 붕해제;
0.1 내지 1% (w/w)의 활택제 및
0.1 내지 1% (w/w)의 윤활제
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그의 아세테이트 염 형태로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은 대상체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 예를 들어, 효소 또는 단백질 활성의 환원 또는 억제를 이끌어 내거나, 증상을 개선시키거나, 상태를 완화시키거나, 질환 진행을 둔화 또는 지연시키거나, 질환을 예방하는 등의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한 비제한적 실시양태에서, 용어 "치료 유효량"은, 대상체에게 투여 시, (1)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 활성과 연관된 상태, 또는 장애 또는 질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화, 억제, 예방 및/또는 개선시키거나; (2)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의 활성을 증가 또는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양태에서, 용어 "치료 유효량"은, 세포, 또는 조직, 또는 비세포 생물학적 물질, 또는 배지에 투여 시,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의 활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가 또는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에 관해 상기 실시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용어 "치료 유효량"의 의미는 또한 임의의 다른 관련 단백질/펩티드/효소, 예컨대 IGF-1 모방체 또는 ActRIIB/미오스타틴 차단제 등에 동일한 의미로 적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동물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동물은 포유동물이다. 대상체는 또한 예를 들어, 영장류 (예를 들어, 인간, 수컷 또는 암컷), 소,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마우스, 어류, 조류 등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영장류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억제하다", "억제" 또는 "억제하는"은 주어진 상태, 증상, 또는 장애, 또는 질환의 감소 또는 억제, 또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과정의 기저 활성의 상당한 감소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한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개선 (즉, 질환 또는 그의 임상적 증상 중 적어도 하나의 발달의 둔화 또는 정지 또는 감소)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환자에 의해 식별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완화 또는 개선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를, 물리적으로, (예를 들어, 식별가능한 증상의 안정화), 생리학적으로, (예를 들어, 물리적 파라미터의 안정화), 또는 이들 둘 다로 조절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의 발병 또는 발달 또는 진행의 예방 또는 지연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대상체가 치료로부터 생물학적으로, 의학적으로 또는 삶의 질에 있어 유익할 경우에, 상기 대상체는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문맥에서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문맥에서) 사용된 단수 용어 및 유사한 용어들은, 본원에 달리 나타내거나 또는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 둘 다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방법은 본원에 달리 나타내거나 또는 달리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본원에 제공된 예시적인 용어 (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더 잘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고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하기에 제공된 반응식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1
방법 단계를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재한다.
단계 1: 화학식 VIa의 화합물 (여기서 Hal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Ra는 보호기임)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화학식 RbOH의 화합물 (여기서 Rb는 보호기임)과 반응시켜, 화학식 Va의 화합물 (여기서 Hal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Ra 및 Rb는 보호기임)을 수득한다.
단계 2: 화학식 Va의 화합물을 적합한 카르보닐화제, 예를 들어 적합한 아미드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중 적합한 강염기, 예를 들어 tert-부틸리튬과 반응시켜, 화학식 IVa의 화합물 (여기서 Ra 및 Rb는 보호기이고 Rc는 수소 또는 카르보닐화제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모이어티임)을 수득한다.
단계 3: 화학식 IVa의 화합물을 임의로 관능화시킨 후에 입체선택적 전환시켜, 화학식 IIIa의 화합물 (여기서 Ra 및 Rb는 보호기이고, LG는 이탈기임)을 수득한다.
단계 4: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화학식 IIa의 화합물 (여기서 Ra 및 Rb는 보호기임)을 수득한다.
단계 5: 화학식 IIa 또는 IIIa의 화합물을, 임의로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중 2-(4-부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민과 반응시킨 후,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염산의 존재 하에 탈보호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반응 혼합물의 후처리 및 이에 따라 수득가능한 화합물의 정제는 공지된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산 부가염은 공지된 방식으로 유리 염기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의 아세테이트 염은 실시예 3 및 3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또한 추가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된 화합물로부터 출발하는 통상의 절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의 임의의 단계에서 수득가능한 중간체 생성물이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고 나머지 단계가 수행되거나, 출발 물질이 반응 조건 하에 계내 형성되거나, 또는 반응 성분이 그의 염 또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물질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중간체는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서로 전환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고체 경구 투여 형태로 존재한다.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캐플릿, 로젠지, 환제, 미니-정제, 펠릿, 비드, 과립 (예를 들어 사쉐에 포장됨), 또는 분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약 조성물은 통상의 제약 작업, 예컨대 멸균에 적용될 수 있고/거나 통상의 불활성 희석제, 윤활제, 또는 완충제, 뿐만 아니라 아주반트, 예컨대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및 완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캐플릿, 로젠지, 환제, 미니-정제, 펠릿, 비드, 과립 (예를 들어 사쉐에 포장됨), 또는 분말의 형태로 포함한다. 경구 사용을 위해 의도된 조성물은 제약 조성물의 제조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이러한 조성물은 제약상 우아하고 맛우수한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활성 성분을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비독성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이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거나 또는 공지된 기술에 의해 코팅되어 위장관에서의 붕해 및 흡수를 지연시킴으로써 보다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되는 작용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제제는 활성 성분이 불활성 고체 희석제, 예를 들어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혼합된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활성 성분이 물 또는 오일 매질, 예를 들어 땅콩 오일, 액상 파라핀 또는 올리브 오일과 혼합된 연질 젤라틴 캡슐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존재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활성 성분을
a) 희석제, 예를 들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스 및/또는 글리신;
b) 윤활제, 예를 들어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정제의 경우에 또한
c) 결합제, 예를 들어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스, 1-비닐-2-피롤리돈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원하는 경우에
d) 붕해제, 예를 들어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또는 발포성 혼합물; 셀룰로스; 가교된 중합체; 및/또는
e)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와 함께 포함하는 정제 또는 젤라틴 캡슐이다.
정제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필름 코팅 또는 장용성 코팅될 수 있다.
정제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기능성 또는 비-기능성 코팅으로 임의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 기술의 예는 당 코팅, 필름 코팅, 마이크로캡슐화 및 압축 코팅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코팅의 유형은 장용 코팅, 지속 방출 코팅, 제어-방출 코팅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수 제약 조성물 및 투여 형태는 또한 무수 또는 저수분 함유 성분 및 저수분 또는 저습도 조건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무수 제약 조성물은 그의 무수 특성이 유지되도록 제조되고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무수 조성물은 이들이 적합한 규정 키트에 포함될 수 있도록, 물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공지된 물질을 사용하여 포장된다. 적합한 포장의 예는 기밀 호일, 플라스틱, 단위 투여 용기 (예를 들어, 바이알), 블리스터 팩, 및 스트립 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단위 투여 형태는 대상체에게 유효하도록 투여되는 용량을 갖는 단일 투여량 형태이며, 이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한 단위 용량으로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취급되고 포장될 수 있다.
정제는 직접 압축 또는 과립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직접 압축의 방법에서, 고체 투여 형태에 포함되는 분말화 물질은 전형적으로 그의 물리적 특성의 변형 없이 직접 압축된다. 통상적으로, 활성 성분, 부형제, 예컨대 정제 과립화의 유량을 개선시키는 활택제, 및 정제 프레스의 다이 및 펀치의 표면에 정제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윤활제는 정제로 압축되기 전에 트윈 쉘 블렌더 또는 유사한 저전단 장치에서 블렌딩된다.
과립화는 과립이 형성되는 방법이다. 이어서, 이들 과립은 정제를 형성하기 위해 직접 압축에 적용되거나 또는 캡슐을 위해 캡슐화된다. 과립은
a) 활성 성분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의 분말 혼합물을 형성하고;
b) 과립화 액체를 교반 하에 분말 블렌드에 첨가하여 습윤 덩어리를 형성하고;
c) 습윤 덩어리를 과립화하여 습윤 과립을 형성하고;
d) 습윤 과립을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하고;
e) 과립을 체질하는 것
을 포함하는 습식 과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과립은
a) 예를 들어 수직 칼럼 내의 상승 기류를 사용하여 물질 (예를 들어, 불활성 물질 또는 활성 성분)의 입자를 현탁화시키고;
b) 과립화 물질을 칼럼 내로 분무하고;
c) 과립을 생성하는 과립화 물질로 입자를 코팅하는 것
을 포함하는 유동-층 과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은 용융 과립화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a) 활성 성분과 적어도 1종의 방출 지연제, 예를 들어 방출 지연 중합체, 및 임의로 가소제의 혼합물을 형성하고;
b) 혼합물을 방출 지연제의 연화 온도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압출기 또는 다른 적합한 장비, 예를 들어 재킷 고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과립화하고; 본원에 사용된 "연화 온도"는 방출 지연제가 온도의 기능으로서 점도 감소의 속도 변화를 겪는 온도를 지칭하고,
c) 실온으로, 예를 들어 제어된 속도에서 과립을 냉각시키는 것
을 포함한다.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은 롤러 압착 또는 슬러깅을 포함할 수 있는 건식 과립화를 포함한다. 롤러 압착은 균일하게 혼합된 분말을 2개의 역방향-회전 롤 쌍 사이에 압축하여 압축된 시트 또는 리본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를 밀링 (과립화)하는 방법이다. 슬러깅은 균일하게 혼합된 분말을 큰 정제로 압축하고, 후속적으로 목적하는 크기로 파분쇄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과립은 롤러 압착에 의해 제조된다.
본원에 사용된 캡슐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활성 성분이, 종종 젤라틴으로부터 형성되는 경질 또는 연질의 가용성 용기 또는 쉘 내에 봉입될 수 있는 제제를 지칭한다.
건식-충전 캡슐로도 공지된 경질 젤라틴 캡슐은 두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며, 한 섹션이 다른 섹션으로 슬립 오버하여 약물 제제를 완전히 에워싼다 (캡슐화).
연질 탄성 캡슐은 연질의 구상, 예를 들어 젤라틴 쉘을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충전제 및 활택제와 혼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프리-믹스를 추가의 충전제 및 붕해제와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윤활제를 단계 b)에서 수득한 분말에 첨가하여 최종 블렌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수득한 최종 블렌드를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로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충전제 및 활택제와 혼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프리-믹스를 추가의 충전제 및 붕해제와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윤활제를 단계 b)에서 수득한 분말에 첨가하여 최종 블렌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최종 블렌드를 캡슐로 캡슐화하여 상기 제약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캡슐의 형태로의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충전제 및 활택제와 혼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프리-믹스를 추가의 충전제 및 붕해제와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윤활제를 단계 b)에서 수득한 분말에 첨가하여 최종 블렌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수득한 최종 블렌드를 정제로 압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제의 형태로의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충전제 및 활택제와 혼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프리-믹스를 추가의 충전제, 결합제 및 붕해제와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윤활제를 단계 b)에서 수득한 분말에 첨가하여 중간 블렌드를 수득하는 단계;
d) 중간 블렌드를 압착하고, 압착된 물질을 밀링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수득한 밀링된 물질을 추가 분취량의 활택제 및 붕해제와 혼합하고, 추가 분취량의 윤활제를 첨가하여 최종 블렌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f) 단계 e)에서 수득한 최종 블렌드를 정제로 압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제의 형태로의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압착은 롤러 압착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모든 혼합 단계는 체질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1-15%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5%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2%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1-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이 제약 조성물 중에 존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 중의 활성 성분은 일단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되면 방출될 수 있다.
방출 지연제는 경구로 섭취된 경우에 제약 조성물로부터 활성 성분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물질이다.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지속 방출 시스템은 방출 지연 성분, 예를 들어 확산 시스템, 용해 시스템 및/또는 삼투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 조성물은 비교적 짧은 시간, 예를 들어 경구 섭취 후 1시간, 40분, 30분 또는 20분 이내의 활성 성분의 대부분, 예를 들어 약 50%, 약 60%, 약 70%, 약 80%, 또는 약 90% 초과의 신속 방출을 지칭하는 즉시 방출을 위해 디자인될 수 있다. 즉시-방출에 특히 유용한 조건은 경구 섭취 후 30분 이내의 활성 성분의 약 80% 이상, 예를 들어 99%까지의 방출이다. 구체적인 활성 성분에 대한 특정한 즉시 방출 조건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거나 또는 공지되어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의 변형 방출, 예컨대 제어 방출 또는 지연 방출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어 방출은 경구 섭취 후의 활성 성분 함량의 비교적 연장된 기간에 걸친 점진적인 그러나 지속적인 방출을 지칭한다. 방출은 일정 기간에 걸쳐 계속될 것이고, 제약 조성물이 장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그 이후까지 계속될 수 있다.
지연 방출은 pH 증가가 제약 조성물로부터 활성 성분의 방출을 유발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제약 조성물이 위에 도달할 때 즉시 시작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제약 조성물이 장에 도달할 때까지 지연되는 활성 성분의 방출을 지칭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주어진 질환 요법의 생물학적 요건과 매칭하는 리듬 또는 시점에서의 활성 성분의 방출을 지칭하는 시간제약학적 방출을 포함한다.
유리 형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예를 들어 다음 섹션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시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익한 약리학적 특성, 예를 들어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 조절 특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이는 요법을 위해, 또는 연구 화학물질로서, 예를 들어 도구 화합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제시된다.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으로부터 선택된 적응증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로서, 본원 발명은 의약으로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원 발명은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원 발명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추가 실시양태로서, 본원 발명은 요법에서의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요법은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환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질환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베타-2-아드레날린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치료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질환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측면은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유용성은,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의 치료상 유효한 혈액 수준을 제공하는 약물 투여량의 공지된 적응증에서, 생체이용률 시험을 비롯한 표준 임상 시험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5 kg 포유동물, 예를 들어 성인 인간에 대해 및 표준 동물 모델에서 1일당 활성 성분 0.01-15 mg 범위의 투여량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 또는 정제 또는 캡슐 제제에 적합한 분말의 형태의 제약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및 적절하게는 적어도 0.01-15mg의 활성 성분, 바람직하게는 0.5-1.5 m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약 1mg의 활성 성분 화합물을 함유할 것이다. 이러한 단위 투여 형태는 요법의 특정한 목적, 요법의 단계 등에 따라 1일 1 내지 2회 투여에 적합하다.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 투여량은 대상체의 종, 체중, 연령 및 개별 상태, 치료될 장애 또는 질환 또는 그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을 가진 의사, 임상의 또는 수의사는 장애 또는 질환을 예방, 치료하거나 또는 그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필수적인 각각의 활성 성분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투여량 특성은 유리하게는 포유동물,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개, 원숭이 또는 그의 단리된 기관, 조직 및 제제를 사용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시험에서 입증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용액, 예를 들어 수용액의 형태로 시험관내 적용될 수 있고, 경장으로, 비경구로, 유리하게는 피하 내로, 예를 들어, 현탁액으로서 또는 수용액 중에서 생체내 적용될 수 있다. 시험관내 투여량은 약 10-3 몰 내지 10-9 몰 농도의 범위일 수 있다. 생체내 치료 유효량은 투여 경로에 의존하여 약 0.01-500 mg/kg, 또는 약 0.01-100 mg/kg, 또는 약 0.01-1 mg/kg, 또는 약 0.01-0.1 mg/kg의 범위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은 하기 시험관내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추가로 생체내 방법은 실시예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시험 1: CHO 세포 및 골격근 세포를 사용한 시험관내 세포 기능 검정
cAMP: 인간 골격근 세포 (skMC)를 캠브렉스(Cambrex) (카탈로그 번호 CC-2561)로부터 구입하고 캠브렉스 (카탈로그 번호 #CC-3161)로부터 구입한 골격 기초 배지 (SKBM)에서 배양하였다. cAMP 반응을 시스바이오(Cisbio) 또는 시스 컴페티티브 인텔리전스(Cis Competitive Intelligence) (카탈로그 번호 62AM4PEC)로부터 구입한 cAMP 다이나믹 2 벌크 HTRF-검정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kMC 세포를 37℃, 5% CO2에서 384-웰 플레이트 중 20% FCS로 보충된 SKBM 세포 배양 배지에서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날, 세포를 50 μL PBS로 2회 세척하고, 37℃, 7.5% CO2에서 1 μM SB431542 (시그마(Sigma) (카탈로그 번호 S4317)로부터 구입한 ALK 4/5 억제제)의 존재 하에 무혈청 SKBM에서 3일 동안 분화시켰다. 제4일에, 1 μM SB431542로 보충된 무혈청 SKBM을 제거하고, 세포를 50 μL PBS로 2회 세척하고 37℃, 7.5% CO2에서 SB431542 (웰당 50 μL) 없이 무혈청 SKBM 중에서 1일 동안 추가로 분화시켰다. 래트 skMC 및 심근세포를 표준 방법으로 신생아 래트로부터 단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인간 β 아드레날린수용체 (β1 또는 β2)로부터 안정하게 형질감염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CHO) 세포를 노바르티스 인스티튜츠 포 바이오메디칼 리서치(Novartis Institutes for BioMedical Research)에서 생산하고,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양하였다 (J Pharmacol Exp Ther. 2006 May;317(2):762-70).
화합물을 2 x 필요 농도에서 자극 완충제 중에서 제조하고 자극 완충제 중에서 1:10 연속 희석액을 96-웰 플레이트 (U-형태)에서 제조하였다. DMSO 대조군을 최고 희석의 DMSO 함량, 예를 들어 제1 화합물 희석액의 10-5 M (x 2) 농도에 관해 0.1% DMSO (x 2)로 정규화하였다. 검정을 20 μL 자극 부피, 및 웰당 최종 검정 부피 40 μL에서 384-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당일에, 배양 배지를 종이 스택 위의 플레이트를 2-3회 뒤집고 플리킹함으로써 384-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였다. 웰당 10 μL의 새로운 배양 배지를 먼저 384-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인큐베이션 10분 후, 웰당 10 μL의 작업 화합물 희석액을 세포에 첨가하고 암소에서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시간 동안, 시약의 작업 용액을 키트에 제공된, 용해 완충제 중 항 cAMP 크립테이트 및 cAMP D2 1:20의 원액을 희석함으로써 제조하였다. 화합물 인큐베이션 30분 후, 10 μL의 cAMP-D2 및 10 μL의 항 cAMP 크립테이트를 순차적으로 검정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암소에서 실온에서 1시간의 인큐베이션 시간 후, 페라스타(PheraStar) (여기 파장: 337 nm, 방출 파장: 620 및 665 nm)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Ca2 +: 인간 아드레날린성 알파1A CHO-K1 세포주를 퍼킨 엘머(Perkin Elmer) (발리스크린(ValiScreen)™ 안정한 재조합 GPCR 세포주, 카탈로그 번호 ES-036-C, 로트 번호 M1W-C1,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로부터 구매하였다. 실험 하루 전에, 알파1A 동결 세포 (ml당 및 바이알당 천만개)를 37℃에서 수조에서 해동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1,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세포 펠릿을 세포 배양 배지에 재현탁시켰다. 세포를 50 μL의 세포 배양 배지에서 웰당 8,000개의 세포 밀도에서 바닥이 투명한 블랙 384-웰 플레이트 내로 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37℃, 5% CO2에서 약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실험 당일, 배지를 세포 세척기 (TECAN PW3)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최종 세척 후 웰 중 10 μL가 잔류하였다. 40 μL의 로딩 완충제를 첨가하고 세포를 37℃, 5% CO2에서 60분 동안 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남은 20 μL 검정 완충제와 함께 테칸(TECAN) PW3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적어도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에 FLIPR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화합물을 효능제 및/또는 길항제 방식으로 특성화하였다. 검정 검증을 위해, 새로운 세포로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에, 세포를 3 ml의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150 cm2 플라스크로부터 제거하고, 원심분리하고 세포 배양 배지에 재현탁시켰다.
FLIPR 헤드를 사용하여 5 μL의 화합물 (5X)을 첨가함으로써 세포를 자극하였다. 효능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은 세포내 칼슘의 일과성 증가를 유도한다. 이를 FLIPR 시스템 상에서 기록하였다. 신호 기준선의 측정을 먼저 화합물의 주입 전에 2분 동안 매초 기록하였다. 칼슘 측정은 0.6 W 레이저 파워에서 488 nm에서 아르곤 이온 레이저로 세포를 여기시키고 2분 동안 CCD 카메라 (0.4초 개방)로 형광 신호를 기록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낮은 대조군 (미자극 세포)은 5 μL의 검정 완충제의 첨가로 결정하였다. 높은 대조군은 고농도 EC100 (1 μM에서 A-61603)에서 5 μL의 공지된 효능제의 첨가로 결정하고 또한 참조 효능제 화합물을 각각의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 nM 미만의 EC50으로 시험 검정 1에서 효능을 나타낸다. 비활성은 실시예 6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의 비활성은 실시예 7 내지 11에 기재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온도는 섭씨 온도로 주어진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경우에에, 모든 증발은 감압 하, 전형적으로 약 15 mm Hg 내지 100 mm Hg (= 20-133 mbar)에서 수행된다. 최종 생성물, 중간체 및 출발 물질의 구조는 표준 분석 방법, 예를 들어, 미량 분석 및 분광학적 특성, 예를 들어, MS, IR, NMR에 의해 확인한다. 사용된 약어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이다.
본원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이용된 모든 출발 물질, 빌딩 블록, 시약, 산, 염기, 탈수제, 용매, 및 촉매는 시판되거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유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Houben-Weyl 4th Ed. 1952, Methods of Organic Synthesis, Thieme, Volume 21). 추가로,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유기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약어의 목록:
1M 1 몰
APCI 대기압 화학적 이온화
aq 수성
AR 아드레날린수용체
atm 기압
br 넓음
cm 센티미터
d 이중선
dd 이중 이중선
ddd 이중 이중 이중선
(DHDQ)2PHAL 히드로퀴니딘 1,4-프탈라진디일 디에테르
DMAC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SO 디메틸술폭시드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
ee 거울상이성질체 과잉률
equiv 당량
ES 전자-분무
g 그램
h 시간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RMS 고해상도 질량 분광분석법
m 다중선
MC 메틸 셀룰로스
mbar 밀리바
MeOH 메탄올
min 분
ml 밀리리터
MS 질량 분광분석법
MTBE 메틸 tert-부틸 에테르
nm 나노미터
NMR 핵 자기 공명
RT 체류 시간
r.t. 실온
s 단일선
sat. 포화
sept 칠중선
t 삼중선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μm 마이크로미터
w/v 중량/부피
XRPD X선 분말 회절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HPLC/MS 스펙트럼을 애질런트(Agilent) 1100 시리즈 LC / 애질런트 MS 6210 사중극자 상에서 기록하였다. 워터스 시메트리(Waters Symmetry) C8 칼럼 (3.5 um; 2.1 x 50 mm) (WAT200624)을 사용하였다. 하기 구배 방법을 적용하였다 (% = 부피 퍼센트): A = 물 + 0.1% TFA / B = 아세토니트릴 + 0.1% TFA; 0.0 - 2.0분 90A:10B - 5A:95B; 2.0 - 3.0분 5A:95B; 3.0 - 3.3분 5A:95B - 90A:10B; 유량 1.0 ml/분; 칼럼 온도 50℃. 모든 화합물을 APCI 방식으로 이온화하였다.
1H-NMR 스펙트럼을 배리안 머큐리(Varian Mercury) (400 MHz) 또는 브루커 어드밴스(Bruker Advance) (600 MHz) 기계 상에서 기록하였다.
광학 회전을 퍼킨 엘머 편광계 341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2b, 2c, 2d, 2e, 2g에 대한 LCMS 조건:
질량 스펙트럼 스테이션: 애질런트 6130 사중극자 LC/MS와 애질런트 1200 HPLC; 칼럼: 애질런트 조르박스(Zorbax) SB-C18 (신속 분해), 2.1*30 mm, 3.5 μm; 이동상: B: 물 중 0.1% 포름산; C: MeCN 중 0.1% 포름산; 1.0분 내지 6.0분, 95% B 내지 5% B, 및 5% C 내지 95% C; 6.0분 내지 9.0분, 5% B 및 95% C; 포스트 시간: 2.0분; 유량: 0.8 ml/분; 칼럼 온도: 30℃; UV 검출: 210 nm 및 254 nm; MS 스캔 양성 및 음성: 80-1000; 이온화 방법: API-ES.
실시예 2f에 대한 HRMS 조건:
기기: 시냅트(Synapt) Q-TOF MS와 커플링된 워터스 액퀴티(Waters Acquity) UPLC; 칼럼: 워터스 액퀴티 UPLC BEH C18, 2.1*50 mm, 1.7 μm 이동상: A: 물 중 0.1% 포름산, B: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 칼럼 온도: 실온에서; UV 검출: 190 nm 내지 400 nm로부터 스캔; 유량: 0.5 mL/분;
구배 조건:
Figure pct00002
중간체 A: 2-(4-부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민
a) 4-(2-메틸-2-니트로프로필)페놀
4-(히드록시메틸)페놀 (20 g), KOtBu (27.1 g) 및 DMAC (200 mL)의 혼합물을자기 교반기로 교반하였다. 2-니트로프로판 (21.5 g)을 20분 내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시간 동안 140℃로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 HCl 수용액 (3.0%, 600 mL)에 첨가한 다음, MTBE (300 ml* 1, 200 ml* 1)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물 (300 ml* 2) 및 포화 NaCl 수용액 (50 ml* 1)으로 세척한 다음,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담황색 고체 (28.5 g)를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3
b) 1-부톡시-4-(2-메틸-2-니트로프로필)벤젠
4-(2-메틸-2-니트로프로필)페놀 (20.4 g), 1-브로모부탄 (28.7 g), DMAC (200 ml), K2CO3 (21.6 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 (38.7 g)의 혼합물을 자기 교반기로 교반하고, 17시간 동안 85℃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0-10℃로 냉각시키고, 물 (70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MTBE (300 ml*1, 200 ml* 1)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 (250 ml* 2)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켜 적갈색 오일 (27.8 g)을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4
c) 2-(4-부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민
수소화 반응기 (1 L)에, AcOH (270 ml) 중 1-부톡시-4-(2-메틸-2-니트로프로필) 벤젠 (27.8 g)의 용액에 이어서 습윤 라니(Raney) Ni (7.0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회 동안 H2로 퍼징한 다음, 6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5.0 atm 하에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총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물 (150 ml)/n-헵탄 (80 ml)으로 희석하고, 수성 층을 n-헵탄 (80 ml)으로 다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NaOH (~20%)를 사용하여 pH ~ 11로 조절한 다음, MTBE (100 ml* 1) 및 EtOAc (150 ml* 2)로 추출하였다. 배지 층을 폐기하였다. 모든 상단 층을 합하고, 포화 NaHCO3 (100 ml) 및 포화 NaCl (100 ml)로 세척한 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여과 후,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생성된 잔류물을 교반하고, 이소프로필 알콜 (2M, 40 ml) 중 HCl 용액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60℃로 가열하고, n-헵탄 (12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고, 케이크를 일부 n-헵탄으로 세척하였다. 백색 고체를 2일 동안 공기 건조시켜 생성물의 순수한 HCl 염 10 g을 수득하였다. 수율: 35.2%.
Figure pct00005
실시예 1: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Figure pct00006
a) 1-tert-부톡시-3-플루오로-5-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
CHCl3 (250 ml) 중 티오포스겐 (33.6 g) 및 H2O (450 ml) 중 K2CO3 (64.7 g)을 0℃에서 CHCl3 (350 ml) 중 3-tert-부톡시-5-플루오로-페닐-아민 (42.9 g)의 용액 에, 개별적으로 및 동시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유기부를 분리하고, 물 (3x), 염수 (1x)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용리액 디클로로메탄/ 이소-헥산 1:3)에 의해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7
b) (3-tert-부톡시-5-플루오로-페닐)-티오카르밤산 O-이소프로필 에스테르
1-tert-부톡시-3-플루오로-5-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 (24.0 g) 및 트리에틸아민 (10.9 g)을 이소-프로판올 (1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헥산: 디에틸 에테르 (19:1)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용액을 3시간 동안 0℃로 냉각시켰다. 용액을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8
c) 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카르브알데히드
(3-tert-부톡시-5-플루오로-페닐)-티오카르밤산 O-이소프로필 에스테르 (2.2 g)를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78℃로 냉각시키고, tert-부틸 리튬 (15.2 ml, 1.5 M 용액)을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75분 동안 -10℃로 가온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78℃로 재냉각시키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g)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한 다음 1시간 동안 -1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Cl(aq) (5 ml, 2 M 용액)로 켄칭하고, 유기부를 에틸 아세테이트/물로 분리하고,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헥산 1:9)에 의해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09
d) 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7-비닐벤조티아졸
Ph3PMe.Br (5.0 g)을 아르곤 하에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ml)에 용해시켰다. N-부틸 리튬 (8.8 ml, 1.6 M 용액)을 10분에 걸쳐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40 ml) 중 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카르브알데히드 (1.25 g)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에 재용해시키고, 물 (3x), 염수 (1x)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헥산 1:9)에 의해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0
e)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일)-에탄-1,2-디올
K3Fe(CN)6 (1.2 g), K2CO3 (0.5 g), (DHQD)2PHAl (19 mg)을 아르곤 하에 tert-부탄올/물 (15 ml, 1:1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OsO4 (3.1 mg), 이어서 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7-비닐벤조티아졸 (0.35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메타중황산나트륨 (1 g)으로 켄칭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유기부를 분리하고, (2x) 물, (1x)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이소-헥산 2:5)에 의해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1
f) (R)-2-(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히드록시에틸-4-메틸벤젠술포네이트
질소의 불활성 분위기로 퍼징되고 유지된 500-ml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피리딘 (240 ml) 중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에탄-1,2-디올 (20 g, 59.05 mmol)의 용액 및 4Å 분자체 (5 g)를 투입하였다. 이에 이어서 피리딘 (60 ml) 중 톨루엔술폰산 클로라이드 (토실 클로라이드) (15.3 g, 79.73 mmol)의 용액을 0℃에서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1000 ml의 1M 염화수소를 첨가함으로써 켄칭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x3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합하였다. 유기 상을 1x500 ml의 1M 염화수소, 1x500 ml의 10% 중탄산나트륨 및 300 ml의 염수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10)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로써 26 g (87%)의 (R)-2-(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히드록시에틸 4-메틸벤젠술포네이트가 황색 오일로서 생성되었다.
Figure pct00012
g)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
1000-ml 4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톨루엔 (320 ml) 중 (R)-2-(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히드록시에틸-4-메틸벤젠술포네이트 (26 g, 51.55 mmol, 1.00 당량)의 용액 및 2-(4-부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민 (중간체 A) (22 g, 99.47 mmol, 1.93 당량)을 투입하였다. 용액을 오일 조에서 9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1:8)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로써 16 g (58%)의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이 담황색 오일로서 생성되었다.
Figure pct00013
h)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포름산 (40 ml) 중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 (3.5 g)의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6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 ml의 물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증발 건조 (회전 증발기, 15 mbar, 40℃)시켜 3.8 g의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에 분배하여 포름산을 제거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각각)로 3x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3 g의 조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구배 디클로로메탄 중 0-60% 메탄올)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 건조시켜 1.74 g의 무정형 반고체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키랄 조제용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키랄팩(Chiralpak) IC (20 um) 7.65 x 37.5 cm; 용리액: n-헵탄/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아민 50:30:20 (+0.05 디에틸아민); 유량 = 70 ml/분; 농도: 2.5 g / 50 ml 용리액; 검출: UV, 220 nm]에 적용하여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 (100% ee)를 수득하였다.
이 물질을 60℃에서 45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18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때 침전이 발생하였다. 혼합물을 5 ml의 냉각 (4℃)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고, 부흐너 깔대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냉각 아세토니트릴로 2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습윤 고체를 수집하고, 밤새 주위 온도에서 진공 하에 (0.2 mbar) 건조시켜 1.42 g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무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2: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에 대한 대안적 경로
Figure pct00015
a) 1-tert-부톡시-3-플루오로-5-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
1,1'-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 (423 g, 2.37 mol)을 디클로로메탄 (320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교반하면서 디클로로메탄 (800 ml) 중 3-tert-부톡시-5-플루오로아닐린 (435 g, 2.37 mol)의 용액을 2시간 내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20℃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3000 ml)로 희석하였다. 분리된 디클로로메탄 상을 물 (3000 ml)로 다시 세척한 후 2시간 동안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1-tert-부톡시-3-플루오로-5-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 (499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6
b) (3-tert-부톡시-5-플루오로-페닐)-티오카르밤산 O-이소프로필 에스테르
무수 이소프로필 알콜 (3250 ml) 중 1-tert-부톡시-3-플루오로-5-이소티오시아네이토벤젠 (460 g, 2.04 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315 g, 3.06 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N2 분위기 하에 환류 가열하고, 온도를 40-50℃로 냉각시켰다. 농축 후, 생성된 암색 잔류물을 n-헵탄 (1000 ml)으로 희석하고,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25℃로 서서히 냉각시키고, 동시에 시딩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관찰하고 16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한 후 2시간 내에 0-10℃로 서서히 냉각시켰다. 여과 및 n-헵탄 (200 ml)으로 세척 후, 수집된 고체를 18시간 동안 40-45℃에서 진공 하 오븐에서 건조시켜 (3-tert-부톡시-5-플루오로-페닐)-티오카르밤산 O-이소프로필 에스테르 (453.1 g)를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7
c) 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일)-2-클로로-에탄온
질소 분위기 하에, tert-부틸리튬 (481 ml, 737.6 mmol, 1.6 M)의 용액을 -65℃ 미만의 온도에서 2-Me-THF (1600 ml) 중 (3-tert-부톡시-5-플루오로-페닐)-티오카르밤산 O-이소프로필 에스테르 (200 g, 700.83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35℃로 가온하고, 두번째 일부의 tert-부틸리튬 (388 ml, 737.6 mmol, 1.9 M)을 온도를 -3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이 온도에서 교반하고, -70℃로 냉각시켰다. 2-MeTHF (300 ml) 중 N-메틸-N-메톡시 클로로아세트아미드 (96.4 g, 700.83 mmol)의 용액을 온도를 -7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30℃로 가온하고,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반응 혼합물을 이소프로판올 (240 g) 중 30% HCl의 적가에 이어서 1500 ml 물을 첨가함으로써 켄칭하였다. 유기 층을 1000 ml 물, 1500 ml 포화 수성 NaHCO3 및 1500 ml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농축 후, 생성된 담갈색 잔류물을 이소프로판올 (135 m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온하고, 25℃로 서서히 냉각시켰다. n-헵탄 (135 ml)을 용액에 적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n-헵탄 (40 ml), 이어서 또 다른 일부의 n-헵탄 (20 ml)으로 세척하였다. 케이크를 진공 하에 건조시켜 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일)-2-클로로-에탄온을 회백색 분말 (42.8 g, 17.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18
d)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일)-2-클로로-에탄올
메탄올/DMF (1330 ml/70 ml) 중 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클로로-에탄온 (70 g, 204.8 mmol) 및 RuCl(p-시멘)[(S,S)-Ts-DPEN] (1.954 g, 3.07 mmol)의 현탁액을 탈기하고, N2로 3회 재충전하였다. Et3N (124.3 g) 중 포름산 (28.3 g)의 탈기된 미리형성된 혼합물을 내부 온도를 15 내지 20℃로 유지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황색 현탁액을 30℃까지 가온하였다. 2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물 (7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아세트산 (56 ml)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킨 다음 TBME (100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TBME (10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물 및 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한 다음,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티아졸-7-일)-2-클로로-에탄올 (72 g)을 수득하였다.
e) (R)-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7-옥시라닐-벤조티아졸
TBME (420 ml) 중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클로로-에탄올 (140 g, 407.1 mmol)의 용액에 NaOH 수용액 (2M, 420 ml)을 적가한 다음,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 (7.52 g, 20.36 mmol)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26℃에서 4시간 후, 400 ml TBME를 첨가하고,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TBME (4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400 ml) 및 염수 (400 ml)로 세척하여 (R)-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7-옥시라닐-벤조티아졸 (122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0
f)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
(R)-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7-옥시라닐-벤조티아졸 (145 g, 471.7 mmol) 및 2-(4-부톡시-페닐)-1,1-디메틸-에틸아민 (114.8 g, 518.9 mmol)을 DMSO (850 ml)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2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키고, 물 (1500 ml) 및 TBME (1500 ml)의 교반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수성 층을 분리하고, TBME (10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1500 ml) 및 염수 (1000 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농축 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n-헵탄 중 10%의 EtOAc에서 n-헵탄 중 33%의 EtOAc로 용리)에 의해 정제하였다. 고체 생성물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 (140 g)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21
g)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이소프로판올 (30 ml) 및 물 (25 ml) 중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 (7.5 g)에 1M HCl 수용액 (43 ml)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50℃로 냉각시킨 다음, 2M NaOH 수용액 (18 ml)을 서서히 첨가하여 pH를 8.2-8.4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TBME (첫번째 40 ml로, 두번째 25 ml로)로 추출하였다. 두 유기 층을 합하고 물 (2회 동안 38 ml)로 세척한 후에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여과 후, 여과물을 농축시킨 다음, MeCN (145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활성탄 (0.6 g)으로 처리하고, 60℃로 가열하였다. 제2 여과 후, 케이크를 MeCN (2회 동안 10 ml)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60℃에서 결정화시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3.8 g)을 수득하였다. e.e. = 97.6%.
Figure pct00022
실시예 3: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500 mg (1.161 mmol)의 유리 염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50 ml 4구 플라스크 중 10.0 ml 아세토니트릴 및 0.25 ml 물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패들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내부 온도 50℃ (재킷 온도 75℃)에서 가열하고, 72 mg 아세트산 (1.161 mmol)을 첨가하였다 (투명 황색 용액이 형성됨). 용액을 실온에서 30분에 걸쳐 냉각시키고, 0.15 ml 물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용액에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를 시딩하고, 실온에서 밤새 (16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유리 필터를 통해 실온에서 여과하고, 1 ml 아세토니트릴로 3회 세척하였다. 510 mg의 습윤 필터 케이크를 실온에서 밤새 (16시간) 건조 오븐에서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수율: 508 mg 백색 분말 (89.1%)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시드의 제조
57.0 mg (0.132 mmol)의 유리 염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및 8.03 mg (0.132 mmol) 아세트산을 1.0 ml 아세토니트릴 및 0.05 ml 물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자기 교반기로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밤새 침전이 일어났다. 이어서 용액을 유리 필터를 통해 실온에서 여과하고, 0.5 ml 아세토니트릴로 3회 세척하였다. 습윤 필터 케이크를 실온에서 밤새 (16시간) 건조 오븐에서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수율: 57 mg 백색 분말
실시예 3a: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형성에 대한 대안적 절차
(R)-1-(5-tert-부톡시-2-이소프로폭시벤조[d]티아졸-7-일)-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올, (1 당량)을 이소프로판올에 현탁시켰다. 50 내지 60°에서, 1M 염산 수용액 (3 당량)을 약 30 - 60분 내에 첨가하였다. 완전한 반응 (60℃에서 대략 2.5시간) 후 용액을 20℃로 냉각시키고, 수산화나트륨 2M (3 당량)을 이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완전한 첨가 후 유화된 유리 염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에틸아세테이트 내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활성탄으로 처리하고, 필터 보조제로서 미세결정질 셀룰로스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유리 염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함유하는 여과물을, 감압 하에 재킷 온도 55℃에서 증류에 의해 규정된 잔류 부피로 조심스럽게 농축시켰다. 이어서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감압 하에 재킷 온도 55℃에서 규정된 잔류 부피로 증류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였다. 추가의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중 아세트산의 용액을 50-55℃에서 따뜻한 증류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아세트산 첨가 동안 배치에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시딩하여 50-55℃에서 조기에 아세테이트 염의 제어된 결정화를 개시하였다. 0℃로 서서히 냉각 후 생성물 현탁액을 여과하고, 냉각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로 2회 세척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감압 하에 50 내지 90℃에서 건조시켜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대략 80%의 전형적인 수율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XRPD 및 DSC 분석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 형태의 XRPD 분석을 하기 실험 조건 하에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23
DSC 분석을 하기 실험 조건 하에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24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의 XRPD 분석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XRPD에 의해 분석하고, 특징적인 피크를 하기 표에 제시하였다 (또한 도 6 참조). 이 중, 8.8, 11.5, 16.4, 17.6, 18.2, 19.6, 20.1, 20.8, 및 21.1° 2-세타에서의 피크가 가장 특징적이다.
Figure pct00025
결정질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DSC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약 170℃에서 넓은 흡열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5: 화합물 A의 유리 염기, 아세테이트 염 및 글리콜레이트 염 형태의 비교 용해도
화합물 A의 유리 염기 형태 및 아세테이트 및 글리콜레이트 염 형태의 상대 용해도를 분석하고 결과를 하기 표에 제시하였다. 용액을 pH 조정을 위해 HCl 또는 NaOH를 첨가하여 적정하였다. 화합물 A의 유리 염기 형태에 대한 아세테이트 및 글리콜레이트 염 형태의 개선된 수용해도는 화합물 A의 아세테이트 및 글리콜레이트 염을 피하 주사 또는 주입에 보다 적합하게 만들었다.
Figure pct00026
실시예 6: 본 발명의 화합물 (화합물 A),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B), 그의 라세미체 (화합물 A/B) 및 포르모테롤의 시험관내 세포 프로파일
본 발명의 화합물 (화합물 A)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험 1에서 하기 EC50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7
본 발명의 화합물 (화합물 A)은 β1 AR에 대해 매우 낮은 내재적 효능을 갖고 α1A AR에 대해 활성이 없는 강력하고 선택적인 β2 AR 효능제이다.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B는 EC50이 950 nM로 β2 AR에 대해 매우 약하다.
실시예 7: 생체내 골격근 및 심장 중량에 대한 포르모테롤 및 화합물 A의 효과
체중 350-400 g의 수컷 위스타 한(Wistar Han) IGS (국제 유전자 표준) 래트 (Crl:WI(Han))를 찰스 리버 래보러토리즈(Charles River Laboratories)로부터 구매하였다. 래트를 7일 동안 시설에 순응시켰다. 동물을 12:12시간 명암 주기로 25℃에서 3마리 동물의 군으로 수용하였다. 이들에게 에너지 함량이 15.8 MJ/kg (NAFAG 3890, 클리바(Kliba), 스위스 바젤)인 18.2% 단백질 및 3.0% 지방을 함유하는 표준 실험식을 급식하였다. 사료 및 물을 무제한으로 제공하였다. 포르모테롤 또는 화합물 A를 하기에 명시된 비히클에 용해시켜 28일 동안 알젯(Alzet) 모델 2ML4를 사용하여 포르모테롤에 대해서는 0.003 내지 0.03 mg/kg/일 및 화합물 A에 대해서는 0.01 내지 0.1 mg/kg/일의 용량 범위를 달성하였다. 펌프를 용액으로 충전하고 외과적 이식 때까지 PBS에서 37℃에서 수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래트를 시술 적어도 30분 전에 1 ml/kg의 부피로 0.02 mg/kg의 용량으로 템게식으로 피하 처리한 다음, 상기 명시된 용액으로 충전된 펌프를 3%의 농도로 이소플루란을 사용한 마취 하에 래트의 등 내로 피하 이식하였다. 템게식을 시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에 래트에게 피하 투여하였다. 주당 체중을 2회 측정하였다. 클립을 마취 하에 시술 후 10일에 제거하였다. 처리 후 4주, 래트를 CO2로 안락사시키고, 전경골근, 비복근 및 가자미근 근육, 심장 및 뇌를 절개하고 중량을 재었다. 뇌 중량은 기관 중량의 정규화에 사용하였다. 결과는 평균 +/-SEM으로서 표기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처리군을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에 따라 던넷 다중 비교 검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차이는 확률치가 < 0.05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고: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버전 5.0 (그래프패드 소프트웨어 인크.(GraphPad Software, Inc.), 캘리포니아주 라 졸라)에 의해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근육 중량을 제0일 체중 (초기 체중)에 대해 정규화하고, 심장 중량은 뇌 중량에 의해 정규화하였다.
연구 1: 포르모테롤
Figure pct00028
연구 2: 화합물 A
Figure pct00029
도 1은 포르모테롤이 골격근 비대 및 심장 질량 증가 둘 다를 동일한 정도로 유도하며, 한편 화합물 A는 심장 질량에 대해 최소한의 충격으로 골격근 비대를 유도함을 도시하고, 이는 화합물 A가 심근에 비해 골격근에 선택적 효과를 나타냄을 나타내는 것이다. 화합물 A는 ~ 0.2 nM의 정상 상태 혈장 농도로 0.01 mg/kg/일에서 골격근 비대를 11%로 유의하게 유도하며, 한편 ~ 2 nM의 정상 상태 농도에서 0.1 mg/kg/일에서조차 심장 조직병리학적 소견이 없었다.
실시예 8: 단리된 기관의 기능 (좌심방 수축, 동방 결절 박동수 및 전체 심장의 자동성)에 대한 포르모테롤 및 화합물 A의 효과
방법
좌심방 수축: 체중 600 +/-80 g의 던킨 하틀리(Dunkin Hartley) 기니 피그로부터의 좌심방을 사용하여, 리세르카 바이오사이언시즈, 엘엘씨(Ricerca Biosciences, LLC) (카탈로그 번호 407500 아드레날린성 베타1)에서 좌심방 수축 검정을 수행하였다 (Arch. Int. Pharmacodyn. 1971:191:133-141.).
동방 결절 박동수: 뉴질랜드 화이트 암컷 토끼를 케타민/크실라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정맥내 깊은 마취후 방혈사시켰다. 심장을 신속히 제거하고 타이로드(Tyrode) 용액에 투입하였다. 이 용액을 연속적으로 95% O2, 5% CO2 가스로 처리하고, 대략 36 ± 0.5℃로 사전에 가온하였다. 우심방을 심장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제제를 조직 조에 탑재하고, 적어도 1시간 안정화 동안 37 ± 0.5℃에서 유지하였다. 활동 전위 (AP)를 고 입력 임피던스-중화 증폭기 (VF-180 미소전극 증폭기, 바이오-로직(Bio-Logic))에 연결된, 3 M KCl로 충전된 표준 유리 미소전극으로 세포내에서 기록하였다. AP를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HM-407 오실로스코프, 하멕(HAMEG)) 상에서 표시하고, 고 해상도 데이터 획득 시스템 (노토코드(Notocord) 소프트웨어 헴(hem) 4.2, 노토코드 SA, 프랑스 크루아시)에 의해 분석하였다. 1시간의 안정화 후, 화합물을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타이로드 용액에 첨가하였고, 각각의 농도를 30분 동안 유지하였다. 두 농도 사이에 워시-아웃은 없었다. 30분 관류 기간의 종료 시 실험 프로토콜 동안 활동 전위를 분석함으로써 전기생리학적 측정을 하였다. 10초마다 박동수를 계수하여 결과를 분당 박동수 (bpm)로 표기함으로써 SA 자발적 빈도를 평가하였다. 데이터를 평균 ± SEM으로서 표기하였다.
자동성: 혼덱헴 파마슈티칼스 컨설팅 엔.브이.(Hondeghem Pharmaceuticals Consulting N.V.) (벨기에 B-8400 오스텐데)에 의해 수행된, 단리된 랑겐도르프(Langendorff) 관류 토끼 심장에서 자동성을 조사하였다. 체중 약 2.5 kg 및 대략 3월령의 알비노 암컷 토끼로부터 심장에 대한 시험을 시행하였다. 랑겐도르프 기술에 따라 관류된 단리된 토끼 심장을 사용하여 전자동 모델에서 화합물 효과를 측정하였다. 자발 박동 심장을 시험 항목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역행하여 관류하였다. 한 전극을 좌심방에 조심스럽게 위치시켜 동결정 자동성의 주기 길이를 기록한다.
도 2a 및 도 2b는 포르모테롤을 본 발명의 화합물 (화합물 A)과 비교 시 수득된 결과를 도시한다.
화합물 A는 10 μM까지 좌심방 수축에 어떤 영향도 나타내지 않으며, 포르모테롤과 비교하여 박동조율기 활성에 덜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실시예 9: 생체내 심박수에 대한 포르모테롤 및 화합물 A의 효과
위스타 한 (W-H) IGS (국제 유전자 표준) 래트 (Crl:WI(Han))를 찰스 리버 래보러토리즈로부터 구매하였다. 대퇴 동맥 및 정맥 카테터를 만성적으로 주입하고 스프링 테더-스위블 시스템을 통해 노출시키고 특수 케이지에 수용하였다. 동맥 카테터를 압력 트랜스듀서에 연결시켜 디지털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통해 연속적으로 맥압, 평균 동맥압 및 심박수 (이는 혈압 신호로부터 유래됨)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스킨 버튼을 통해 주입된 피하 카테터를 통해 투여하였다. 값은 평균 ± SEM (n=3)으로서 표기한다.
화합물 A는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0.3 mg/kg까지 피하 볼루스로 투여 시 포르모테롤과 비교하여 더 적은 심박수 증가를 나타낸다.
실시예 10: 생체내 심박수에 대한 포르모테롤 및 화합물 A의 효과
체중이 대략 4 내지 8 kg인 레서스 원숭이, 암컷 24마리를 무작위로 n=6의 4군으로 나누었다. 동물을 화합물의 단일 피하 투여 후 4시간까지 의자 위에 구속한 다음, 그들의 우리로 돌려보냈다. 심박수를 서지벳(Surgivet) V3304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값은 평균 ± SEM (n=6)으로서 표기한다.
화합물 A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3 mg/kg까지 피하 볼루스로 투여 시 포르모테롤과 비교하여 더 적은 심박수 증가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세로토닌 5-HT2C 수용체에 대한 화합물 A,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B) 및 그의 라세미체 (화합물 A/ B)의 효과
인간 재조합 hr5-HT2C CHO 세포막 (바이오시그널 팩커드(Biosignal Packard), 미국) 및 3H-메술레르긴 (NEN 라이프 사이언스 프로덕츠(NEN Life Science Products), 미국, 1 nM)을 인간 5-HT2C 수용체에 대한 화합물의 결합 친화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1 μM 메술레르긴의 존재 하에 평가하였다. 총 부피 250 μL로 막, 리간드 및 화합물 각각 50 μL를 50 mM 트리스(Tris), 0.1% 아스코르브산, 10 μM 파르길린, pH 7.7을 함유하는 완충제 중에서 22℃에서 60분 동안 96-웰 플레이트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여과하고, 빙냉 50 mM 트리스에서 3회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탑카운트(Topcount)로 측정하였다.
항생제 없이 배양 배지에서 중간 대수기까지 성장시킨, 미토콘드리아 아포에쿼린, 재조합 세로토닌 5-HT2Cne 및 무차별 G 단백질 Gα16을 공동발현하는 CHO-K1 세포를 PBS-EDTA로 분리하고, 원심분리하고, 검정 완충제 (DMEM/HAM F12 (HEPES 함유, 페놀 레드 무함유) + 0.1% BSA (프로테아제 무함유))에 1 x 106개 세포/ml의 농도로 재현탁시켰다. 세포를 코엘렌테라진 h와 함께 적어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참조 효능제는 a-메틸-5-HT이었다. 효능제 시험을 위해, 50μL의 세포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에서 50μL의 시험 또는 참조 효능제와 혼합하였다. 생성된 광 방출을 하마마츠(Hamamatsu) 기능성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6000 (FDSS 6000) 광도계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효능제 활성을 그의 EC100 농도에서 참조 효능제의 활성의 백분율로서 표기하였다.
Figure pct00031
화합물 A는 β2 AR 효능제 활성 (5.6 nM)과 비교 시 5-HT2C에 대해 50배 덜 활성이며, 한편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 B는 EC50 950 nM로 β2 AR에 대해 매우 약하지만 5-HT2C에 대해서는 EC50 19.7 nM로 훨씬 더 강력하며, 이는 표적에 대한 역 선택성을 보여준다.
화합물 A는 또한 라세미체 또는 (S) 거울상이성질체와 비교 시 5-HT2C에 대해 10배 초과로 덜 활성이며, 이는 이 화합물의 부작용 프로파일이 유리함을 시사한다.
실시예 12: 경질 캡슐
<표 1>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경질 캡슐의 조성
Figure pct00032
표 1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활성 성분으로서 0.5, 5 또는 10 mg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각각 0.60, 5.95 및 11.90mg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과 등가임)을 각각 포함하는 경질 젤라틴 캡슐을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프리-믹스의 제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아비셀 PH101의 일부 및 에어로실 200과 함께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최종 블렌드의 제조:
상기 프리-믹스 및 나머지 양의 아비셀 PH101, 분무 건조된 락토스, 및 Ac-di-Sol을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대략 0.5-1.0 mm 메쉬-크기의 체를 통과시키고, 다시 (대략 100-300회 회전) 혼합하였다.
유사하게는, 필요한 양의 체질된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벌크 분말에 첨가하고, 이어서 동일한 블렌딩 용기에서 대략 30-150회 회전으로 혼합하였다.
충전:
이 최종 블렌드를 자동화 장비를 사용하여 캡슐로 캡슐화하였다.
캡슐 충전물 대 비어있는 캡슐 쉘의 중량비는 2:1이다.
실시예 13: 경질 캡슐
<표 2>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경질 캡슐의 조성
Figure pct00033
표 2에 제시된 조성을 갖는 캡슐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경질 캡슐
<표 3>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경질 젤라틴 캡슐의 조성
Figure pct00034
표 3에 제시된 조성을 갖는 캡슐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정제
실시예 14 (표 3)에 열거된 제제를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0.5mg, 5mg 및 10mg의 투여량 농도를 갖는 정제로 또한 전환할 수 있었다.
프리-믹스의 제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만니톨 DC의 일부 및 활석과 함께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최종 블렌드의 제조:
상기 프리-믹스 및 나머지 양의 만니톨 DC, STA-RX 1500, 및 저 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를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대략 0.5-1.0 mm 메쉬-크기의 체를 통해 체질하고, 다시 (대략 100-300회 회전) 혼합하였다. 최종적으로, 대략 0.5-1.0 mm 메쉬-크기에서의 수동식 체를 통해 체질된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텀블 블렌더 (대략 30-150회 회전)에서 이전 블렌드로 혼합하였다.
압축:
투여량 특정 압형 (예를 들어 대략 6mm, 구형, 곡면)을 사용하여 상기 최종 블렌드를 대략 100mg의 정제-코어로 압축하였다.
실시예 16: 정제
<표 4>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정제의 조성
Figure pct00035
표 4에 열거된 조성을 갖는, 활성 성분으로서 0.5, 5 또는 10 mg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각각 0.60, 5.95 및 11.90mg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과 등가임)을 각각 포함하는 정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었다:
프리-믹스의 제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분무 건조된 락토스의 일부 및 에어로실 200 (예를 들어 대략 0.5%)과 함께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프리-믹스 및 나머지 양의 분무 건조된 락토스, 아비셀 PH101, HP-셀룰로스 100 및 Ac-di-Sol (예를 들어 대략 4.0%)을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대략 0.5-1.0 mm 메쉬-크기의 체를 통과시키고, 다시 (대략 100-300회 회전) 혼합하였다.
유사하게는, 필요한 양의 체질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예를 들어 대략 0.5%)을 벌크 분말에 첨가하고, 이어서 동일한 블렌딩 드럼 (대략 30-15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롤러 압착:
상기 블렌드를 압착기 장비를 사용하여 롤러 압착하였다. 압착된 물질을 밀링 장비를 사용하여 대략 0.5-1.0 mm 메쉬 크기의 체를 통해 밀링하였다.
최종 블렌드의 제조:
상기 프리-믹스 및 상기 양의 Ac-di-Sol (예를 들어 대략 4.0%) 및 에어로실 200 (예를 들어 대략 0.5%)을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면서 적합한 체를 통과시켰다.
대략 0.5-1.0 mm 메쉬-크기에서의 수동식 체를 통해 체질된 나머지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텀블 블렌더 (대략 30-150회 회전)에서 최종 블렌드로 혼합하였다.
압축:
투여량 특정 압형 (예를 들어 대략 6mm, 구형, 곡면)을 사용하여 상기 최종 블렌드를 회전 프레스 상에서 적절한 중량 (예를 들어 100mg)의 코어로 압축하였다.
실시예 17: 정제
<표 5>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정제의 조성
Figure pct00036
제조 방법:
프리-믹스의 제조: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만니톨 DC의 일부 및 활석 (예를 들어 대략 0.5%)과 함께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상기 프리-믹스 및 나머지 양의 만니톨 DC, STA-RX 1500, 콜리돈 VA64, 및 저 치환된 HP-셀룰로스 (예를 들어 대략 5.0%)의 일부를 적합한 체를 통과시키고,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대략 0.5-1.0 mm 메쉬-크기의 체를 통과시키고, 다시 (대략 100-300회 회전) 혼합하였다.
유사하게는, 필요한 양의 체질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예를 들어 대략 0.5%)을 벌크 분말에 첨가하고, 이어서 동일한 블렌딩 드럼 (대략 30-150회 회전)에서 혼합하였다.
롤러 압착:
상기 블렌드를 압착기 장비를 사용하여 롤러 압착하였다. 압착된 물질을 밀링 장비를 사용하여 대략 0.5-1.0 mm 메쉬 크기의 체를 통해 밀링하였다.
최종 블렌드의 제조:
상기 프리-믹스 및 나머지 양의 저 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예를 들어 대략 5.0%) 및 활석 (예를 들어 대략 0.5%)을 텀블 블렌더 (대략 100-300회 회전)에서 혼합하면서 적합한 체를 통과시켰다.
대략 0.5-1.0 mm 메쉬-크기에서의 수동식 체를 통해 체질된 나머지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텀블 블렌더 (대략 30-150회 회전)에서 최종 블렌드로 혼합하였다.
압축:
투여량 특정 압형 (예를 들어 대략 6mm, 구형, 곡면)을 사용하여 상기 최종 블렌드를 회전 프레스 상에서 적절한 중량 (예를 들어 100mg)의 코어로 압축하였다.

Claims (15)

  1. 0.01 내지 15%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0.01 내지 5%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0.1 내지 1%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부형제가 충전제, 윤활제, 활택제, 붕해제 및 결합제로부터 선택된 것인 제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충전제가 15-90%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0.1-1%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택제가 0.1-1%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1-20%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붕해제가 1-20% (w/w)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1. a)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을 충전제 및 활택제와 혼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수득한 프리-믹스를 추가의 충전제 및 붕해제와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c) 윤활제를 단계 b)에서 수득한 분말에 첨가하여 최종 블렌드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수득한 최종 블렌드를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로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아세테이트 염이 제약 조성물 중 0.01-15% (w/w)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되는 것인 방법.
  13.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0.01 내지 15%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
  14.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0.01 내지 15% (w/w)의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R)-7-(2-(1-(4-부톡시페닐)-2-메틸프로판-2-일아미노)-1-히드록시에틸)-5-히드록시벤조[d]티아졸-2(3H)-온은 아세테이트 염 형태로 존재하는 것인 고체 경구 투여 형태의 제약 조성물.
  15.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육 이영양증, 불사용-관련 위축, 악액질 또는 근육감소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KR1020157023050A 2013-02-28 2014-02-26 벤조티아졸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KR20150120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0584P 2013-02-28 2013-02-28
US61/770,584 2013-02-28
PCT/IB2014/059270 WO2014132205A1 (en) 2013-02-28 2014-02-26 Formulation comprising benzothiazolone comp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386A true KR20150120386A (ko) 2015-10-27

Family

ID=5023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050A KR20150120386A (ko) 2013-02-28 2014-02-26 벤조티아졸론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US (1) US9623012B2 (ko)
EP (1) EP2961391B1 (ko)
JP (2) JP6230626B2 (ko)
KR (1) KR20150120386A (ko)
CN (1) CN104968337A (ko)
AU (1) AU2014222362B2 (ko)
BR (1) BR112015020059A2 (ko)
CA (1) CA2897565A1 (ko)
CL (1) CL2015001940A1 (ko)
CY (1) CY1119202T1 (ko)
DK (1) DK2961391T3 (ko)
EA (1) EA026914B1 (ko)
ES (1) ES2637802T3 (ko)
HK (1) HK1212213A1 (ko)
HR (1) HRP20171177T1 (ko)
HU (1) HUE034353T2 (ko)
IL (1) IL240495A0 (ko)
LT (1) LT2961391T (ko)
MA (1) MA38354B1 (ko)
MX (1) MX2015011290A (ko)
NZ (1) NZ709747A (ko)
PE (1) PE20151608A1 (ko)
PH (1) PH12015501701A1 (ko)
PL (1) PL2961391T3 (ko)
PT (1) PT2961391T (ko)
SA (1) SA515360952B1 (ko)
SG (1) SG11201505544RA (ko)
SI (1) SI2961391T1 (ko)
TN (1) TN2015000310A1 (ko)
WO (1) WO2014132205A1 (ko)
ZA (1) ZA2015048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3192B1 (ar) 2011-09-06 2018-03-08 Novartis Ag مركب بنزوثيازولون
NZ705319A (en) * 2012-08-30 2018-05-25 Novartis Ag Salts of benzothiazolone compound as beta-2-adrenoceptor agonist
AU2014222362B2 (en) * 2013-02-28 2016-07-21 Novartis Ag Formulation comprising benzothiazolone compoun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40962A1 (es) * 2002-08-09 2005-04-27 Novartis Ag Compuestos derivados de tiazol 1,3-2-ona, composicion farmaceutica y proceso de preparacion del compuesto
CA2514733A1 (en) 2003-02-28 2004-09-16 Transform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crystal compositions of drugs such as carbamazepine, celecoxib, olanzapine, itraconazole, topiramate, modafinil, 5-fluorouracil, hydrochlorothiazide, acetaminophen, aspirin, flurbiprofen, phenytoin and ibuprofen
JP2007537187A (ja) 2004-05-13 2007-12-20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呼吸器疾患の治療においてβアゴニスト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ヒドロキシ置換ベンゾ縮合ヘテロ環化合物
GB0426164D0 (en) * 2004-11-29 2004-12-29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DE102009003975A1 (de) * 2009-01-07 2010-07-08 Merck Patent Gmbh Benzothiazolonderivate
JO3192B1 (ar) 2011-09-06 2018-03-08 Novartis Ag مركب بنزوثيازولون
AU2014222362B2 (en) * 2013-02-28 2016-07-21 Novartis Ag Formulation comprising benzothiazolone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11290A (es) 2015-12-03
SA515360952B1 (ar) 2016-07-10
JP2016510020A (ja) 2016-04-04
DK2961391T3 (en) 2017-09-04
TN2015000310A1 (en) 2017-01-03
EP2961391B1 (en) 2017-05-17
AU2014222362A1 (en) 2015-07-23
BR112015020059A2 (pt) 2017-07-18
ES2637802T3 (es) 2017-10-17
WO2014132205A1 (en) 2014-09-04
HK1212213A1 (en) 2016-06-10
HUE034353T2 (en) 2018-02-28
EA201591577A1 (ru) 2015-12-30
SG11201505544RA (en) 2015-09-29
PT2961391T (pt) 2017-08-29
CN104968337A (zh) 2015-10-07
CA2897565A1 (en) 2014-09-04
PH12015501701A1 (en) 2015-10-12
MA38354B1 (fr) 2016-09-30
JP6230626B2 (ja) 2017-11-15
MA38354A1 (fr) 2016-02-29
CY1119202T1 (el) 2018-02-14
EA026914B1 (ru) 2017-05-31
IL240495A0 (en) 2015-09-24
CL2015001940A1 (es) 2015-10-30
PE20151608A1 (es) 2015-11-19
HRP20171177T1 (hr) 2017-10-06
US20160000761A1 (en) 2016-01-07
LT2961391T (lt) 2017-07-25
ZA201504863B (en) 2016-06-29
JP2018035186A (ja) 2018-03-08
US9623012B2 (en) 2017-04-18
PL2961391T3 (pl) 2017-10-31
EP2961391A1 (en) 2016-01-06
SI2961391T1 (sl) 2017-08-31
NZ709747A (en) 2018-04-27
AU2014222362B2 (en)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0103B2 (ja) ベンゾチアゾロン化合物
US20180071230A1 (en) Formulations, salts and polymorphs of transnorsertraline and uses thereof
KR20060008943A (ko) 텔미사탄의 나트륨염의 약제학적 조성물
JP2018035186A (ja) ベンゾチアゾロン化合物を含む製剤
EP2890687B1 (en) Salts of benzothiazolone compound as beta-2-adrenoceptor agonist
NZ621089B2 (en) Benzothiazolone comp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