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100A -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100A
KR20150120100A KR1020140045865A KR20140045865A KR20150120100A KR 20150120100 A KR20150120100 A KR 20150120100A KR 1020140045865 A KR1020140045865 A KR 1020140045865A KR 20140045865 A KR20140045865 A KR 20140045865A KR 20150120100 A KR20150120100 A KR 2015012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ferricin
seb
staphylococcal enterotoxin
peptide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유영춘
김지천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4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0100A/ko
Publication of KR2015012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Ergoline derivatives, e.g. lysergic acid, ergot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eptide for treating or preventing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본 발명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장내독소 B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반응인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여러 종류의 장독소(enterotoxin)를 분비하는 균으로, MRSA라 불리우는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이 출현하여 반코마이신(vancomycin)을 제외하고는 상기 포도상구균을 제어할 수 있는 항생제가 없으며, 최근에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대한 저항균(VRSA)도 출현하여 인류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포도상구균은 바이오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위험이 높은 균이다.
상기 포도상구균의 종류 중 하나인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는 슈퍼항원(superantigen)으로 불리우며 식중독을 일으키는 매우 흔한 세균성 독소로서, 학교나 군숙소와 같은 집단생활을 하는 위생적 처치가 불충분한 곳에서 집단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세균이다. 상기 SEB는 주조직성복합체(macrophage)라 불리는 대식세포의 MHC(major histocompatability complex)-Ⅱ 분자에 결합한 후, T세포의 수용체 Vb8 부위와도 결합함으로써 T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시켜 TNF-α, IL-6, IL-1β 및 IFN-γ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대량으로 분비케 하여 중독증을 유발하게 한다.
또한, 호흡기계가 상기 SEB에 노출되었을 때 SEB로 사망하는 사람은 적지만, 노출된 사람의 80%이상은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고, 1-2주 동안은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한 증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상기 SEB에 노출 시에는 임무수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SEB는 1969년에 종식된 미국의 생화학무기 프로그램에서 개발하였던 7가지 무기 중 하나이다. 상기 SEB는 이론적으로 특수부대나 테러집단에 의해 음식이나 음용수에 살포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의 9.11사태 이후 탄저균과 더불어 테러집단에 의한 생물학적 테러의 수단으로서 경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SEB에 의한 중독증에 관련된 발병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백신 혹은 치료제도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Journal of Applied Bacteriology, 73(6), 472-479, 1992
본 발명은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여 급성 염증반응의 원인인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T세포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급성 염증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의 원인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어,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실험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TNF-α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IL-1β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IFN-γ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a)는 정상군에서의 T세포의 활성화, (b)는 비교예 1에서의 T세포의 활성화, (c)는 실시예 1에서의 T세포의 활성화 및 (d)는 실시예 2에서의 T세포의 활성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ConA에 대한 T세포의 반응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장내독소 B 접종 전에 활성부위가 다른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여 락토페리신 활성부위에 따른 장내독소 B의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장내독소 B 접종 후에 활성부위가 다른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여 락토페리신 활성부위에 따른 장내독소 B의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펩타이드는 우유 단백질인 락토페린(lactofferin)의 효소 분해물에서 분리한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으로, 상기 락토페린(lactofferin)은 호중구나 유선의 상피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분자량 약 8만의 당단백질로서, 항균작용을 비롯하여 항암활성과 면역조절작용 등 다양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락토페린(lactofferin)을 펩신(pepsin)과 같은 소화효소에 의해 처리할 경우, 많은 펩타이드 분자가 생성되고, 그 중에서 락토페린 N-말단의 17번 내지 41번에 해당하는 2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를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이라 하며, 상기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펩타이드이다. 상기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의 아미노산 배열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해 분비되는 독소로, 급성 염증반응을 일으켜 중독증을 유발시킨다. 상기 급성 염증반응은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T세포의 활성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장내독소 B는 주조직성복합체(macrophage)라 불리는 대식세포의 MHC(major histocompatability complex)-Ⅱ 분자에 결합한 후, T세포의 수용체 Vb8 부위와도 결합함으로써 T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시켜 TNF-α, IL-6, IL-1β 및 IFN-γ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대량으로 분비하게 하여 중독증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펩타이드는 장내독소 B에 대한 억제활성으로 인하여 T세포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시켜 장내독소 B 중독증인 급성 염증반응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장내독소 B 중독증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함으로써 장내독소 B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동물에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경구투여, 정맥주사투여, 근육주사투여, 복강주사투여, 피하주사투여, 비강투여, 점막투여 또는 흡입기를 통한 흡입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실시하였으므로 복강주사투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양은 마우스 당 200 μg 내지 500 μg이며, 상기 범위에서 SEB 중독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투여양이 500 μg을 초과하면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장내독소 B(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전에 락토페리신( lactoferricin , Lfcin -B) 투여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 125, 250 및 500μg을 Balb/c 마우스(암컷, 7주령) 각각 5마리씩 총 15마리에 복강투여하였다. 12시간 후 각각의 마우스에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를 5μg씩 복강주사로 접종하고, 3시간 후에 LPS(lipopolysaccharide) 10μg을 투여하였다.
실시예 2. 장내독소 B(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후에 락토페리신( lactoferricin , Lfcin -B) 투여
15마리의 Balb/c 마우스(암컷, 7주령)에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를 5μg 복강주사로 접종하고, 3시간 후에 LPS(lipopolysaccharide) 10μg를 투여하여 중독증을 유발하였다. 그 3시간 후에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 125, 250 및 500μg을 Balb/c 마우스 각각 5마리씩에 복강투여하였다.
비교예 1. 장내독소 B(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5마리의 Balb/c 마우스(암컷, 7주령)에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를 5μg 복강주사하여 접종하고, 3시간 후에 LPS(lipopolysaccharide) 10μg를 투여하였으며,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은 투여하지 않았다.
실험예 1. 락토페리신 투여량에 따른 치사 억제율 확인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12시간 전에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을 투여한 상기 실시예 1과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3시간 후에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을 투여한 상기 실시예 2의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에 의한 치사 억제율을 확인해보았으며,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치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락토페리신을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접종 12시간 전에 투여한 실시예 1의 결과에서는 락토페리신의 투여량이 많을수록 치사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락토페리신을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접종 3시간 후에 투여한 실시예 2의 결과에서도 락토페리신의 투여량이 많을수록 치사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페리신은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에 대하여 치료 및 예방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치사율은 락토페리신의 투여량에 의존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락토페리신 ( lactoferricin , Lfcin -B) 투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 측정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및 LPS를 접종했을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FN-γ가 접종 전에 비하여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12시간 전 및 접종 3시간 후에 각각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여 그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여 락토페리신의 투여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상기 TNF-α는 장내독소 B 및 LPS 투여 6시간 후, 상기 IL-1β 및 IFN-γ는 장내독소 B 및 LPS 투여 12시간 후 혈청으로부터 농도를 확인하였다. 혈중 농도는 ELISA kit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TNF-α는 장내독소 B 접종 전, 후의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모든 경우에서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장내독소 B 접종 전보다 접종 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였을 경우 농도가 보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상기 IL-1β는 장내독소 B 및 LPS를 투여하였을 때, TNF-α 및 IFN-γ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농도를 보였고, 장내독소 B 접종 전, 후의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두 가지 경우에서 IL-1β이 모두 측정되지 않았다(도 4).
상기 IFN-γ는 장내독소 B 접종 전, 후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였을 때, 상기 TNF-α 및 IL-1β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나,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지 않았을 때보다 감소한 농도를 보였으며, 장내독소 B 접종 후보다 접종 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였을 경우 농도가 보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 즉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치료 및 예방 모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 -α 중화항체에 대한 생존율 확인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인 TNF-α가 과량으로 분비되면, 여러 장기에 기능장애를 유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TNF-α에 대한 중화항체를 투여할 경우 마우스의 생존율이 향상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3μg 접종 후, LPS 10 μg을 투여하였다. 그 후, 2시간 및 4시간 후에 TNF-α에 대한 중화항체(TNF-α anti-sera) 200μg을 투여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TNF-α에 대한 중화항체(TNF-α anti-sera) 대신 정상 혈청(Normal rabbit sera) 200μg을 투여하였다. 상기 TNF-α에 대한 중화항체에 대한 생존율 및 정상 혈청 투여동물(Normal rabbit sera)의 생존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TNF-α에 대한 중화항체(TNF-α anti-sera)를 투여하지 않은 실험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3마리의 마우스가 모두 치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상 혈청(Normal rabbit sera)을 투여한 실험 결과도 상기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마우스가 생존하지 못하고 치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TNF-α에 대한 중화항체(TNF-α anti-sera)를 투여한 결과에서는 24시간까지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36시간에서는 66%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TNF-α에 대한 중화항체(TNF-α anti-sera)에 대한 중화항체를 투여할 경우 TNF-α를 억제시킬 수 있어 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예 4. 락토페리신 ( lactoferricin , Lfcin -B) 투여에 따른 T세포 활성화 측정
특정한 항원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반응에서는 T세포가 약 5.9%로 활성화(도 6(a))가 되는 반면,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에 노출된 상기 비교예 1은 T세포가 22%로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도 6(b))된 것을 확인하였다. T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될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도 크게 상승하여 급성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인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이 T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활성화 T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12시간 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실시예 1 및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3시간 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실시예 2의 결과에서 각각 10.7(도 6 (c)) 및 10.8%(도 6(d))로 활성화 T세포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인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은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반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ConA 에 대한 T세포의 반응성 측정
ConA에 대한 T세포의 반응성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를 접종한 마우스의 T세포를 분리하여 T세포에 대한 유사분열촉진인자인 ConA를 0.5mg/mL 첨가하여 증식반응을 조사하였다.
락토페리신을 투여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결과에서는 ConA에 대한 반응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12시간 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실시예 1 및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3시간 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실시예 2에서는 비교예 1의 결과에 비하여 ConA에 대한 반응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도 7).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인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은 T세포 수의 감소뿐만 아니라, T세포의 기능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장내독소 B(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에 억제활성을 갖는 락토페리신( lactoferricin , Lfcin -B) 활성부위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의 활성부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투여하는 락토페리신은 락토페리신의 부분구조인 N-말단의 17번에서 29번까지의 펩타이드 및 N-말단의 30번에서 41번까지의 펩타이드를 각각 250 μg씩 투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투여하는 락토페리신은 락토페리신의 부분구조인 N-말단의 17번에서 29번까지의 펩타이드 및 N-말단의 30번에서 41번까지의 펩타이드를 각각 250 μg씩 투여하였다.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전에 락토페리신 또는 펩타이드를 투여한 예방효과 실험에서, 락토페리신의 전체구조(17번~41번)의 투여는 상기 표 1의 실시예 1의 결과와 동일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락토페리신의 N-말단의 17번에서 29번까지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결과에서는 48시간 이후에서는 20%의 생존율을 보였다. 반면, 락토페리신의 N-말단의 30번에서 41번까지의 펩타이드를 투여한 결과는 락토페리신 전체구조를 투여한 결과와 동일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도 8).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접종 후에 락토페리신을 투여한 치료효과의 실험결과에서는, 락토페리신 전체구조의 투여는 상기 표 1의 실시예 2의 결과와 동일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한편, 락토페리신의 N-말단의 17번에서 29번까지의 펩타이드나 N-말단의 30번에서 41번까지의 펩타이드를 250ug씩 투여한 결과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적으로 생존율이 감소하고, 36시간 이후에는 생존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인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은 부분 구조가 아닌 전체구조(25개의 아미노산 배열, 도 1)를 지녔을 때만, 장내독소 B의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6의 결과를 통하여 락토페리신(lactoferricin, Lfcin-B)은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을 억제하는 억제 활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락토페리신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110>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eptide for treating or preventing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130> PT20130676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5 <212> PRT <213> lactoferricin <400> 1 Phe Lys Cys Arg Arg Trp Gln Trp Arg Met Lys Lys Leu Gly Ala Pro 1 5 10 15 Ser Ile Thr Cys Val Arg Arg Ala Phe 20 25

Claims (5)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는 락토페린의 효소 분해물에서 분리한 락토페리신(lactoferric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토페리신(lactoferricin)은 락토페린의 N-말단의 17 내지 41번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은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T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 IL-6, IL-1β 및 IFN-γ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독소 B(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40045865A 2014-04-17 2014-04-1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50120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65A KR20150120100A (ko) 2014-04-17 2014-04-1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65A KR20150120100A (ko) 2014-04-17 2014-04-1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100A true KR20150120100A (ko) 2015-10-27

Family

ID=5442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865A KR20150120100A (ko) 2014-04-17 2014-04-17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01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616B1 (ko) 항균 요법
CA2341340C (en) Anti-endotoxic,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US6322788B1 (en) Anti-bacterial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US20210246177A1 (en) Cath2 derivatives
KR102468907B1 (ko) 질환의 요인이 되는 생체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컨쥬게이트 백신
US20210023179A1 (en) Lactoferr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t cell subtypes and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US7824691B2 (en) Use of RIP in treating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JP2022176345A (ja) 敗血症の処置のためのチモシンαの使用
KR101267967B1 (ko) 면역 관련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20100166708A1 (en)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therapies and compositions
Yang et al. A non-bactericidal cathelicidin provides prophylactic efficacy against bacterial infection by driving phagocyte influx
JP6776254B2 (ja) B7リガンド二量体界面に由来する単離されたペプチド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20150120100A (ko)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장내독소 b 중독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080039395A1 (en) Methods for treating septic shock
EP1484066B1 (en) 15k granulysin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US10201591B2 (en) TSLP induces neutrophil mediated kill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S2009021446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US7358044B2 (en)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benefits of a new class of immune stimulating peptides
Meyer et al. A Future for a Vaccine Against the Cancer-Inducing Bacterium Helicobacter pylori?
WO2022261360A1 (en) Plyss2 lysins and variants thereof for us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gram-positive bacteria
CA3178761A1 (en) Modified plyss2 lysins and antibiotic combinations for us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Sakurai et al. Effect of Macrolide Antibiotics on Biological Activities Induc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Alpha-Toxin
JP2016027018A (ja) Lt阻害4価ペプチドおよびetec感染症治療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