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573A - 착용형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573A
KR20150119573A KR1020140044980A KR20140044980A KR20150119573A KR 20150119573 A KR20150119573 A KR 20150119573A KR 1020140044980 A KR1020140044980 A KR 1020140044980A KR 20140044980 A KR20140044980 A KR 20140044980A KR 20150119573 A KR20150119573 A KR 2015011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display
wear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507B1 (ko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07B1/ko
Priority to US14/509,902 priority patent/US9921791B2/en
Priority to CN201510028732.6A priority patent/CN105022476B/zh
Publication of KR2015011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 및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착용형 장치란 사용자가 이동중에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신체나 의복에 착용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게 개발된 차세대 컴퓨터 기기를 의미한다.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안경, 시계, 팔찌 등의 포터블(portable) 기기가 있고, 패치와 같이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의 어태처블(Attachable) 기기가 있으며, 인간의 신체에 직접 이식하거나 복용하는 형태의 이터블(Eatable) 기기가 있다.
착용형 장치는 1960년대 시계, 신발에 계산기나 카메라를 부착하는 등 전자기기의 단순 정착형태로 시작했지만, 1980년대 프로토타입의 등장으로 입출력 장치와 컴퓨팅 기능이 도입되었고, 2000년대에 접어 발열, 배터리 성능 개선, 단말기 소형화 등이 진전되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착용형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에는 구글 글래스, 스마트 워치, 아이워치, 갤럭시 기어 등의 착용형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착용형 장치는 복수의 다른 장치들과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연결(paring)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연결된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사용상 해킹 등의 보안 문제나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착용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 및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주 표시 영역 및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 표시 영역 및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분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주 표시 영역 및 상기 부 표시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구동 집적 회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는 스마트 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자 잉크(E-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 표시 영역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는 단순 접촉, 제1 방향 드레그, 및 제2 방향 드레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가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상기 단순 접촉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가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상기 제1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연결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채널은 일반 데이터 채널 또는 음성 채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가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상기 제2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장치의 연결 채널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에 작용하는 외력의 시간 및 횟수에 따라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전송하는 신호는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활성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주 표시 영역 및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각각의 연결 상태 및 연결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 내부의 메모리가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 패널에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장치의 제어 프로세서의 제어 없이도 표시 패널에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의 표시 패널에 식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착용형 장치의 보안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들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표시 장치(100) 및 표시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예를 들면,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스마트 시계를 하나의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른 착용형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표시 영역(110)과 부 표시 영역(120)을 포함한다.
주 표시 영역(110)은 평상 시에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늘의 날짜, 현재 시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장치(101)와 연결(pairing)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는 장치(101)는 스마트 휴대 전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는 장치(101)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스마트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될 때, 주 표시 영역(110)은 발신 번호, 통화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부 표시 영역(120)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101)가 'MY Phone'이라는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 부 표시 영역(120)에는 'MY Phone'이라고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집적 회로(300), 및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자 잉크(E-ink)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물을 배열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내에서 재결합하는 과정을 거쳐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전자 잉크는 수백만 개의 소형캡슐이 투명한 전극판 사이에서 마이너스 전기를 받으면 흰색으로 변하고 플러스 전기를 받으면 검은색으로 변화해 글씨를 나타낸다.
주 표시 영역(110)과 부 표시 영역(120)은 하나의 표시 패널(200) 위에 분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100)가 복수의 표시 패널(200)을 포함하고, 주 표시 영역(110) 및 부 표시 영역(120)이 각각 서로 다른 표시 패널(200)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표시 패널(200)은 동일한 종류의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이한 종류의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가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주 표시 영역(110)은 액정 표시 장치에 위치하고, 부 표시 영역(12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300)는 표시 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들 신호를 적절한 타이밍에 표시 패널(200)에 공급하여 표시 패널(200)을 구동한다.
메모리(31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101)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착용형 장치(10)와 다른 장치(101)가 연결되면 다른 장치(101)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달 받아 표시 장치(100)의 메모리(310)에 저장한다. 메모리(310)에 저장된 식별 정보는 부 표시 영역(120)에 표시된다.
메모리(31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착용형 장치(10)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메모리(310)에 저장된 다른 장치(101)의 식별 정보는 지워지지 않는다.
메모리(310)는 구동 집적 회로(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메모리(31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동 집적 회로(3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메모리(310)가 표시 장치(100) 내부의 어디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과 구동 집적 회로(300) 사이에는 제1 연결 부재(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연결 부재(510)에 의해 구동 집적 회로(300)로부터 나오는 신호가 표시 패널(2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는 COF(Chip on Fil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400)는 제어 프로세서(410), 사용자 식별 장치(420)(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통신 모듈(430), 메모리(440)를 포함한다.
제어 프로세서(410)는 착용형 장치(1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프로세서(41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101)에 전화가 수신될 경우 착용형 장치(10)의 표시 장치(100)에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101)에 문자가 수신될 경우 착용형 장치(10)의 표시 장치(100)에 문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장치(420)는 착용형 장치(10)가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고유의 식별 장치 정보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430)은 착용형 장치(10)와 다른 장치(101)가 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채널을 형성해 주는 장치이다.
메모리(440)는 제어 프로세서(410)와 연동된 요소로써, 착용형 장치(10)의 구동 및 제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소로써,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400)의 메모리(440)는 표시 장치(100)의 메모리(310)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00)와 표시 장치(100) 사이에는 제2 연결 부재(5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부재(520)에 의해 제어 프로세서(410)와 구동 집적 회로(300)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520)는 COF(Chip on Fil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가 그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착용형 장치와 다른 장치를 연결한다. (S410) 착용형 장치는 통신 모듈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장치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다른 장치와 다양한 연결 채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그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 받는다. (S420)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시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는 스마트 휴대 전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휴대 전화가 'MY Phone'이라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착용형 장치가 전송 받게 된다.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S430) 착용형 장치의 제어 프로세서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있으며, 본체부의 메모리에 연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연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표시 장치의 메모리는 표시 장치의 구동 집적 회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S440)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형 장치의 표시 장치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본체부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가져오지 않아도 된다.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그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번호로써, 'MY Phone'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표시 장치(100) 및 표시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4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주 표시 영역(110)과 부 표시 영역(120)을 포함하고, 부 표시 영역(120)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집적 회로(300), 및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400)는 제어 프로세서(410), 사용자 식별 장치(420), 통신 모듈(430), 메모리(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는 부 표시 영역(120)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제어부(320)를 더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은 터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감지 제어부(320)는 표시 패널(200)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의 위치 및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감지 제어부(32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부 표시 영역(120)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는 외부 접촉이 단순 접촉인지, 제1 방향 드레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가 외부 접촉의 종류를 단순 접촉으로 판단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410)로 전송한다. 제어 프로세서(410)는 부 표시 영역(120)에 단순 접촉이 이루어졌다는 정보를 전송 받으면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 받은 장치는 진동, 소리, 화면 깜박임 등의 동작을 통해 해당 장치가 착용형 장치(10)에 연결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가 외부 접촉의 종류를 제1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41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제어 프로세서(410)는 부 표시 영역(120)에 제1 방향 드레그가 이루어졌다는 정보를 전송 받으면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활성화 신호는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신호이다. 슬립 모드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저전력 상태로 변환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아이들 모드는 장치가 개시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만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슬립 모드 및 아이들 모드는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대기 모드의 일종이다.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가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에 있을 때, 활성화 신호를 전송 받으면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에서 외부 접촉의 종류가 단순 접촉, 제1 방향 드레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접촉의 횟수와 복수의 접촉 사이의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외부 접촉의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 프로세서의 전송 신호 및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동작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외부 접촉의 종류에 따라 제어 프로세서가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도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은 장치의 동작도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가 외부 접촉을 감지하여 그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착용형 장치와 다른 장치를 연결한다. (S710) 착용형 장치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그와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전송 받아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S720)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는 착용형 장치의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의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730)
외부 접촉이 감지되면, 착용형 장치의 감지 제어부가 외부 접촉의 종류를 판단한다. (S740) 외부 접촉은 단순 접촉 또는 제1 방향 드레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접촉의 종류가 단순 접촉으로 판단되는 경우, 감지 제어부는 해당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760)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 받은 장치는 진동, 소리, 화면 깜박임 등의 동작을 통해 해당 장치가 착용형 장치(10)에 연결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외부 접촉의 종류가 제1 방향 드레그로 판단되는 경우, 감지 제어부는 해당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770) 활성화 신호를 전송 받은 장치는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와 같은 대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다.
소정의 시간 내에 외부 접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착용형 장치가 그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별도의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는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S750)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장치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들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표시 장치(100) 및 표시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4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집적 회로(300), 및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400)는 제어 프로세서(410), 사용자 식별 장치(420), 통신 모듈(430), 메모리(44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는 주 표시 영역(110)과 부 표시 영역(120)을 포함한다. 부 표시 영역(120)은 제1 부 표시 영역(120a)과 제2 부 표시 영역(1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 표시 영역(120)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1 부 표시 영역(120a)과 제2 부 표시 영역(120b)은 서로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다.
착용형 장치(10)는 두 개의 장치(101, 10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시계로 이루어진 착용형 장치(10)가 스마트 휴대 전화로 이루어진 제1 장치(101) 및 스마트 패드로 이루어진 제2 장치(102)와 연결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0)와 복수의 장치(101, 102) 사이에는 다양한 연결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용형 장치(10)가 제1 장치(101)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착용형 장치(10)와 제1 장치(101) 사이에는 음성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0)가 제2 장치(102)와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착용형 장치(10)와 제2 장치(102) 사이에는 일반 데이터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메모리(31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101, 102)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연결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착용형 장치(10)가 복수의 장치(101, 102)와 연결되면, 복수의 장치(101, 102)로부터 식별 정보 및 연결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아 표시 장치(100)의 메모리(310)에 저장한다.
따라서, 부 표시 영역(120)에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101)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연결 채널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 표시 영역(120a)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장치(101)의 식별 정보인 'Phone1'과 연결 채널인 음성 채널을 나타내는 줄임말로써 'V'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 표시 영역(120b)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장치(102)의 식별 정보인 'Pad1'과 연결 채널인 일반 데이터 채널을 나타내는 줄임말로써 'D'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착용형 장치의 표시 장치가 두 개의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표시 장치가 세 개 이상의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착용형 장치가 세 개의 이상의 장치와 연결될 경우 서로 다른 부 표시 영역에 각 장치의 식별 정보와 연결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장치에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이 분리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부 표시 영역에 복수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와 연결 채널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의 표시 장치(100)는 부 표시 영역(120)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제어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부 표시 영역(120)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할 수 있고, 외부 접촉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접촉은 단순 접촉, 제1 방향 드레그, 제2 방향 드레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가 외부 접촉의 종류를 단순 접촉으로 판단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고, 제어 프로세서(41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가 외부 접촉의 종류를 제1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고, 제어 프로세서(410)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가로 방향일 수 있다.
감지 제어부(320)가 외부 접촉의 종류를 제2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410)로 전송하고, 제어 프로세서(410)는 제1 장치(101)와 제2 장치(102)의 연결 채널을 서로 교환한다. 이때, 제2 방향은 세로 방향일 수 있다. 제어 프로세서(410)는 착용형 장치(10)와 제1 장치(101) 사이의 연결 채널이 음성 채널에서 일반 데이터 채널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착용형 장치(10)와 제2 장치(102) 사이의 연결 채널이 일반 데이터 채널에서 음성 채널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가 그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착용형 장치와 복수의 장치를 연결한다. (S1010) 착용형 장치와 제1 장치를 연결하고, 착용형 장치와 제2 장치를 연결한다. 착용형 장치는 복수의 장치와 다양한 연결 채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와이파이(wifi)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착용형 장치는 그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들로부터 식별 정보를 각각 전송 받는다. (S1020)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시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장치는 스마트 휴대 전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장치는 스마트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장치가 'Phone1'이라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제2 장치가 'Pad1'이라는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착용형 장치가 전송 받게 된다.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S1030)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연결 채널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각각 표시한다. (S1040) 이때,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서로 다른 부 표시 영역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치들의 식별 정보와 함께 연결 채널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연결 상태만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고, 표시 장치(100)는 주 표시 영역(110)과 부 표시 영역(120)을 포함한다.
부 표시 영역(120)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상태만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두 개의 동그라미 표시를 통해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동그라미 내부의 무늬, 색상 등을 통해 두 개의 장치를 구분할 수 있다.
부 표시 영역(120)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연결 채널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 데이터 채널을 나타내는 줄임말로써 'D'를 표시할 수 있고, 음성 채널을 나타내는 줄임말로써 'V'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버튼부(600)를 더 포함한다. 버튼부(600)는 표시 장치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눌러진다. 버튼부(600)의 형상이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버튼부(600)는 물리적인 버튼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프트 키(soft key)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10)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버튼부(600)에 작용하는 외력의 시간 및 횟수에 따라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소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제어 프로세서는 버튼부(600)를 짧게 누를 때와 길게 누를 때를 구분하여 상이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 프로세서는 버튼부(600)를 한 번 누를 때와 두 번 누를 때를 구분하여 상이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프로세서가 착용형 장치(10)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전송하는 신호는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시키는 활성화 신호 등일 수 있다. 또는 제어 프로세서가 복수의 장치의 연결 채널을 서로 교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가 그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용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착용형 장치와 복수의 장치를 연결한다. (S1210) 착용형 장치와 제1 장치를 연결하고, 착용형 장치와 제2 장치를 연결한다.
착용형 장치는 그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들로부터 식별 정보를 각각 전송 받는다. (S1220)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S1230) 표시 장치의 메모리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연결 채널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연결 상태를 각각 표시한다. (S1240) 이때, 착용형 장치는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연결 상태뿐만 아니라 연결 채널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용형 장치의 표시 장치의 메모리는 복수의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버튼부에 외력을 가하거나, 부 표시 영역을 접촉하는 등의 동작에 따라 부 표시 영역은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일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부 표시 영역에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버튼부를 한 번 짧게 누르면 제1 장치의 식별 정보를 약 5초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를 다시 한 번 짧게 누르면 제2 장치의 식별 정보를 약 5초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착용형 장치 100: 표시 장치
101, 102: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
110: 주 표시 영역 120: 부 표시 영역
120a: 제1 부 표시 영역 120b: 제2 부 표시 영역
200: 표시 패널 300: 구동 집적 회로
310: 표시 장치의 메모리 320: 감지 제어부
400: 본체부 410: 제어 프로세서
420: 사용자 식별 장치 430: 통신 모듈
440: 본체부의 메모리 510: 제1 연결 부재
520: 제2 연결 부재 600: 버튼부

Claims (20)

  1. 표시 장치 및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주 표시 영역 및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착용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표시 영역 및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 위에 분리되도록 위치하는,
    착용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주 표시 영역 및 상기 부 표시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착용형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구동 집적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착용형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는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으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는 스마트 휴대 전화 또는 스마트 패드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자 잉크(E-ink)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 영역에 이루어지는 외부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착용형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는 단순 접촉, 제1 방향 드레그, 및 제2 방향 드레그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가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상기 단순 접촉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착용형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가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상기 제1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착용형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연결 채널을 표시하는,
    착용형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은 일반 데이터 채널 또는 음성 채널로 이루어지는,
    착용형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가 상기 외부 접촉의 종류를 상기 제2 방향 드레그로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장치의 연결 채널을 서로 교환하는,
    착용형 장치.
  17. 제2 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버튼부에 작용하는 외력의 시간 및 횟수에 따라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착용형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전송하는 신호는,
    역방향 연결 확인 신호 또는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아이들 모드(idle mode)를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전환시키는 활성화 신호인,
    착용형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주 표시 영역 및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착용형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부 표시 영역은 상기 착용형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각각의 연결 상태 및 연결 채널을 표시하는,
    착용형 장치.
KR1020140044980A 2014-04-15 2014-04-15 착용형 장치 KR10227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980A KR102278507B1 (ko) 2014-04-15 2014-04-15 착용형 장치
US14/509,902 US9921791B2 (en) 2014-04-15 2014-10-08 Wearable device
CN201510028732.6A CN105022476B (zh) 2014-04-15 2015-01-20 可穿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980A KR102278507B1 (ko) 2014-04-15 2014-04-15 착용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573A true KR20150119573A (ko) 2015-10-26
KR102278507B1 KR102278507B1 (ko) 2021-07-16

Family

ID=5426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980A KR102278507B1 (ko) 2014-04-15 2014-04-15 착용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21791B2 (ko)
KR (1) KR102278507B1 (ko)
CN (1) CN105022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0906B2 (en) 2014-06-17 2017-11-0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9939934B2 (en) 2014-01-17 2018-04-10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10254856B2 (en) 2014-01-17 2019-04-09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9955059B2 (en) * 2014-10-29 2018-04-24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315671B1 (ko) * 2015-01-19 2021-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866684B2 (en) * 2015-02-16 2018-0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cess for real-time data exchange between users on a phone call
US11003246B2 (en) 2015-07-22 2021-05-11 Mentor Acquisition One, Ll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10139966B2 (en) 2015-07-22 2018-11-2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CN105044960A (zh) * 2015-09-15 2015-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用基板及可穿戴设备
US10824253B2 (en) 2016-05-09 2020-11-03 Mentor Acquisition One, Ll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684478B2 (en) 2016-05-09 2020-06-16 Mentor Acquisition One, Ll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466491B2 (en) 2016-06-01 2019-11-05 Mentor Acquisition One, Llc Modular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AU2016408326A1 (en) 2016-05-23 2018-12-06 Razer (Asia-Pacific) Pte. Ltd.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wearable device
FR3046710A1 (fr) * 2016-06-20 2017-07-14 Orange Procede de gestion de la restitution d'informations sur un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ees
CN109196480B (zh) * 2017-05-17 2021-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标识的方法、移动终端及终端设备
US10152141B1 (en) 2017-08-18 2018-12-11 Osterhout Group, Inc. Controller movement tracking with light emitters
CN108228061B (zh) * 2017-12-29 2020-11-20 北京珠穆朗玛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双屏的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509A1 (en) * 1998-07-23 2003-10-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040103032A1 (en) * 2000-10-12 2004-05-27 Maggio Frank S.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broadcast content
US20090239587A1 (en) * 2008-03-19 2009-09-24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US20100029327A1 (en) * 2008-07-29 2010-02-04 Jee Hyun Ho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54390A1 (en) * 2009-12-22 2011-06-2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live content promoter for digital broadcast tv
US20130057763A1 (en) * 2011-09-02 2013-03-07 Chi Ho CHA Display driver, operating method thereof, hos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river, and system having the display driver and the host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099A (en) * 1888-02-21 lawlee
US550774A (en) * 1895-12-03 bag-ley
US5550774A (en) * 1995-09-05 1996-08-27 Motorola, Inc. Memory cache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of operation
GB2362293A (en) * 2000-05-11 2001-11-14 Nokia Mobile Phones Ltd Display of service provider identity during download
KR20020007823A (ko) 2000-07-19 2002-01-29 장용우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481511B2 (ja) * 2000-08-18 2010-06-1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機器、情報機器の制御方法及び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
US20020093424A1 (en) * 2001-01-17 2002-07-18 Travis Parry Wireless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7030861B1 (en) * 2001-02-10 2006-04-18 Wayne Carl Westerma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JP2006157725A (ja) 2004-11-30 2006-06-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KR100668087B1 (ko) 2005-05-04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7706749B2 (en) * 2005-11-07 2010-04-27 Nokia Corporation Supporting a setup of a wireless connection
JP4586739B2 (ja) * 2006-02-10 2010-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及び電子機器
JP2008191442A (ja) * 2007-02-06 2008-08-21 Nec Electronics Corp 表示ドライバic
JP2008204314A (ja) 2007-02-22 2008-09-04 Oki Electric Ind Co Ltd Icカード機能付認証装置およびその認証方法
KR100891774B1 (ko) * 2007-09-03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JP5132274B2 (ja) * 2007-11-19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90077230A (ko) 2008-01-10 2009-07-15 왑스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단말기 및 블루투스 통신 방법
KR20100041151A (ko) * 2008-10-13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회로, dc-dc 컨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JP5350871B2 (ja) 2009-04-20 2013-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110134196A (ko) 2010-06-08 201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리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집적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구동모듈, 무선이동통신시스템 및 rfid 리더 시스템.
KR101717584B1 (ko) * 2010-08-14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DE102010042527A1 (de) * 2010-10-15 2012-04-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rät mit einer Anzeige- und Bedieneinheit
KR20120044409A (ko) 2010-10-28 2012-05-08 (주)이.씨테크날리지 보안 및 정보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카드
JP5712648B2 (ja) 2011-02-07 2015-05-0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状態表示確認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99397B1 (ko) 2011-08-23 2017-1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7801A (ko) 2011-10-07 201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
US8988349B2 (en) * 2012-02-28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TWI469574B (zh) * 2012-10-04 2015-01-11 Powertech Ind Co Ltd 裝置自動關閉控制系統及其方法
JP2014120859A (ja) * 2012-12-14 2014-06-30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信号処理装置
CN203149296U (zh) * 2013-01-21 2013-08-21 于东方 一种具有柔性屏幕的智能手表
JP6208975B2 (ja) * 2013-05-07 2017-10-04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ドライバic
US9357492B2 (en) * 2013-08-05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WLAN-capable remote control device
CN103593053B (zh) * 2013-11-22 2017-01-04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智能眼镜交互系统
CN103648022A (zh) * 2013-12-20 2014-03-19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中显示连接设备的名称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509A1 (en) * 1998-07-23 2003-10-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040103032A1 (en) * 2000-10-12 2004-05-27 Maggio Frank S.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broadcast content
US20090239587A1 (en) * 2008-03-19 2009-09-24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US20100029327A1 (en) * 2008-07-29 2010-02-04 Jee Hyun Ho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54390A1 (en) * 2009-12-22 2011-06-2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live content promoter for digital broadcast tv
US20130057763A1 (en) * 2011-09-02 2013-03-07 Chi Ho CHA Display driver, operating method thereof, hos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river, and system having the display driver and the h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2476B (zh) 2020-03-31
US9921791B2 (en) 2018-03-20
KR102278507B1 (ko) 2021-07-16
US20150293738A1 (en) 2015-10-15
CN105022476A (zh)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9573A (ko) 착용형 장치
US8736569B2 (en) Touchscreen with a light modulator
US9904324B2 (en) Secondary screen structure of display device, double-sid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paper screen
CN108292491B (zh) 显示装置以及其控制方法
KR1015325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895101B2 (ja) 表示モジュール、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EP2976837B1 (en) A mobile terminal having a double-sid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29543A (ko) 휴대 전자기기
US6424844B1 (en) Portable telephone
KR20120137398A (ko) 덮개가 닫힌 디바이스에서 액세스가능한 디스플레이
KR20000075772A (ko) 대향하는 두 면에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US20190095077A1 (en) Electronic apparatus
US110421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changing user interface when device is under water
KR101367958B1 (ko) 광 셔터를 구비한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KR20160075206A (ko) 이동 단말기
KR101822938B1 (ko) 이동 단말기
CN109061921B (zh) 变色组件的制备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40008845A (ko) 휴대 단말기
CN108810258B (zh) 终端及其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存储介质
US2015022011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Manager, Folio with Secondary Display, and Methods Therefor
KR102076510B1 (ko) 이동 단말기
CN111294036A (zh) 焊盘复用装置及电子设备
JP2006237812A (ja) 電子機器
CN216649728U (zh) 移动终端
CN114205456B (zh) 终端特殊操作模式显示和操作的方法、装置、终端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