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622A -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 Google Patents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622A
KR20150118622A KR1020140044184A KR20140044184A KR20150118622A KR 20150118622 A KR20150118622 A KR 20150118622A KR 1020140044184 A KR1020140044184 A KR 1020140044184A KR 20140044184 A KR20140044184 A KR 20140044184A KR 20150118622 A KR20150118622 A KR 2015011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ing device
ready
err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734B1 (ko
Inventor
김응수
김종배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734B1/ko
Priority to EP15162781.7A priority patent/EP2933892B1/en
Priority to ES15162781.7T priority patent/ES2625328T3/es
Priority to US14/684,133 priority patent/US9847637B2/en
Priority to CN201510255553.6A priority patent/CN104979844B/zh
Priority to JP2015082507A priority patent/JP6122059B2/ja
Publication of KR2015011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train, e.g. to release brake or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은 제1 시스템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제1 절체 장치로 준비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으로 준비 감지 신호 및 액티브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준비 감지 신호와 상기 준비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으로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Method of interchanging with each other in a HVDC system}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중화 초고압 직류 전송 시스템(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에 있어서, HVDC 시스템의 두 개의 시스템의 절체 장치를 이용한 절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전력 계통을 연계하는 방식에는 기존의 교류 전력 계통을 그대로 연계하는 방식과, 전력 변환기를 통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을 연계하는 방식이 있다. 근래에는 교류 전력 계통을 그대로 연계하는 방식보다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을 연계하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전력 변환기를 이용한 초고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을 제주와 해남 사이에 설치하여 제주와 해남의 전력 계통을 연계하고 있다.
초고압 직류 송전(HVDC) 방식이라 함은, 전기 송전 방식의 하나로서, 발전소에서 발전한 고압의 교류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 원하는 수전 지역에서 다시 교류 전력으로 재 변환하는 공급 방식을 말한다.
직류송전 방식의 장점은 여러 가지가 꼽힌다.
우선 직류 전압은 교류 전압의 최대 값에 비해 크기가 약 70%에 불과해, 초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은 기기의 절연이 용이하고, 전압이 낮기 때문에 각 기기에 설치돼 있는 절연체의 수량 및 철탑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초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은 동일한 전력을 보내는 경우 교류 방식에 비해 직류 방식이 송전 손실이 적기 때문에 송전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초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은 직류가 교류에 비해 2배 이상의 전류를 운송할 수 있다.
초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은 전선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송전선로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이며 전압이나 주파수가 다른 두 교류 계통 사이에 연결해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초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은 송전 거리에 대한 제약이 없고 450Km가 넘는 육지 전력 전송이나 40Km가 넘는 해저를 통한 전력 전송에 있어서도 직류 송전 방식이 건설비가 저렴하다.
따라서 HVDC 전송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의 전력 시스템 연계 방안, 특히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전력 전송에 이용된다.
다른 국가, 예컨대 중국, 인도 등의 경우 발전소와 전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1000Km 이상이 되기 때문에 초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제어기를 포함하여, HVDC 전송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이중화되어 있으며, 이중화된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활성화 상태, 다른 하나의 기기는 비활성화 상태로 동작한다.
이때, 이중화된 기기 중 활성화 상태에 있는 기기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동시에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기기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절체(Change Over)라 한다.
종래의 절체 방식에서는 신호가 입력되는 선에 작은 글리치(glitch)나 노이즈(noise)만 발생하더라도, 오류 신호를 획득한 절체 장치는 제어기를 절체시킨다.
오류 신호(Fault)는 실제로 오류가 발생한 시스템이 절체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를 포함하지만, 신호가 전송되는 선 또는 선로에 물리적인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글리치(glitch) 또는 노이즈(noise)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정상적인 신호가 오류 신호(fault)로 변형되어 전송된다.
이때, 오류 신호를 획득한 절체 장치는 오류 신호를 전송한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에 취약하게 되고 제어기에서 내리는 명령을 절체 장치가 바로 받아들여 절체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오작동 할 수 있는 제어기에 전체 HVDC 시스템이 많이 의지 하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안정적이지 못하고 흔들림이 발생한다.
시스템 절체의 핵심인 절체 장치가 잘못된 오류 신호를 정상적인 오류 신호로 판단하여 절체하지 말아야 할 시스템을 잘못 절체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절체에 걸리는 시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은 제1 시스템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제1 절체 장치로 준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으로 준비 감지 신호 및 액티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 감지 신호와 상기 준비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으로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체 장치가 안정적으로 유지 될 수 있도록 하고, 시스템에서 순간적으로 원하지 않는 오류 신호들이 절체 장치로 입력 되더라도 절체 장치가 안정적으로 이 신호들을 처리 할 수 있게 하면서도 전체 절체 시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지 않는 절체 동작을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HVDC 시스템 전체의 개략도 이다.
도 2는 HVDC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중화된 시스템과 이중화된 절체 장치가 나타난 그림이다.
도 3은 최초 동작 및 정상 동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최초 동작 및 정상 동작 시 이중화 시스템과 제1 절체 장치 간에 상호 교환하는 신호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오류 신호 획득 시 제1 절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이중화 시스템과 제1 절체 장치 간에 상호 교환하는 신호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은 일반적인 HVDC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기(control and protection)(C&P)는 전체 HVDC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교류 측 전원(AC Yard), 변환용 변압기(CT.r), 컨버터(converter)(valve) 및 직류 측 전원(DC Yard)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중화 시스템은 시스템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두 개의 시스템, 즉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을 구비하여, 현재 동작중인 하나의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중에 시스템 오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대기중인 또 하나의 예비 시스템에서 계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운용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이중화 시스템 중에서 두 시스템 각각은 액티브 모드(active mode)와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를 갖게 되는데 두 시스템이 논리적으로 결합되어 서로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운용된다. 현재 동작 중인 상태의 시스템을 액티브 시스템(active system)이라고 하며, 대기 중인 시스템을 스탠바이 시스템(standby system)이라 부른다.
액티브 시스템은 시스템에서 실제 동작 중이며 활성화 상태에 있는, 즉 활성화 시스템이며, 연결된 모든 장치의 입출력 수행하고 연결된 모든 장치의 로직(logic)을 수행하며, 대기상태에 있는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동작중인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
스탠바이 시스템은 액티브 시스템으로 되기 위한 준비 상태, 즉 비활성화 상태로 대기하며, 액티브 시스템의 모든 데이터와 상태 정보를 동기화하여 바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도 2는 이중화 HVDC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중화된 시스템과 이중화된 절체 장치가 나타난 그림이다.
이하에서는 두 개의 시스템의 예로, 두 개의 제어기를 나타내었다.
이중화 HVDC 시스템 에는 두 개의 제어기(제1 제어기, 제2 제어기)와 두 개의 COL(change over logic)(제1 절체 장치, 제2 절체 장치)이 존재 한다. HVDC 내에서 어떤 제어기를 사용할지 정하는 것은 두 개의 절체 장치(COL, Change Over Logic)이다.
두 개의 절체 장치들은 각각 제1 절체 장치 및 제2 절체 장치의 활성화 여부 및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가 활성화 여부를 파악하여, 하나의 절체 장치는 활성화 상태,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 상태에 놓인다.
이때 활성화 절체 장치는 두 개의 제어기의 활성화 여부를 파악하여 활성 확인 신호를 입력 받고 있는 절체 장치가 절체의 권한을 가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중화 HVDC 시스템의 본 발명의 절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템에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전체 HVDC 시스템을 제어하고 보호하는(control and protec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호와 관련하여, 각 시스템 및 각 절체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각 절체 장치 사이, 절체 장치와 시스템(예를 들면, 제어기) 사이 및 각 시스템 사이에 연결된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선로는 예컨대 필드 버스(field bus)가 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최초 동작 및 정상동작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절체 장치가 활성화 시스템 및 비활성화 시스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최초 동작 및 정상 동작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동작 시 두 개의 절체 장치 중에서 마스터(master) 절체 장치를 제1 절체 장치(3)로 정의하고, 마스터(master) 절체 장치의 로컬 시스템(local system)을 제1 시스템(1)으로 정의한다(S301).
마스터 절체 장치란, 두 개의 절체 장치 중에서 우선 순위가 더 높은 절체 장치로 정의하며, 절체 장치 간의 우선 순위는 조작자에 의해 설정된다.
로컬 시스템(local system)이란, 두 개의 시스템 중에서 마스터 절체 장치와 위치상 더 가까이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과 제2 시스템(2) 중에서 어떤 시스템을 동작 시킬 것인지 결정할 권한을 가진 절체 장치이다. 즉, 제1 절체 장치(3)는 현재 활성화 중인활성화 절체 장치(Active COL)이며 실제로 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절체 장치이다.
반면에, 제2 절체 장치(4)는 현재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비활성화 절체 장치(Standby COL)이며, 실제로 대기 상태에 있는 절체 장치이다. 제2 절체 장치(4)는 제1 절체 장치(3)에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견되었을 때, 제1 절체 장치(3)를 대신하여 활성화 절체 장치가 되고, 활성화 절체 장치가 된 제2 절체 장치(4)는 활성화 상태(Active mode)가 된 이후 실제로 절체 동작을 수행하는 절체 장치이다.
한편, 시스템에 있어서, 최초 동작 시 마스터 절체 장치인 제1 절체 장치(3)의 로컬 시스템(local system)을 제1 시스템(1)으로 정의한다. 반면에, 제1 절체 장치(3)와의 관계에서 제1 절체 장치(3)의 원격 시스템(remote system)을 제2 시스템(2)으로 정의한다.
원격 시스템이란 로컬 시스템에 대응되는 시스템으로서, 제1 절체 장치(3)와의 관계에서 제1 시스템(1)보다 위치상 더 멀리 설치되는 시스템을 원격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은 준비 신호(ready)를 각각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한다(S302).
제1 절체 장치(3)가 준비 신호(ready)를 전송 받으면,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이 각각 제1 절체 장치(3)로 보내는 준비 신호는 200㎲의 주기를 가지는 펄스(pulse)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스템(1) 또는 제2 시스템(2)이 300㎲ 동안 준비 신호가 생기지 않는다면,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 또는 제2 시스템(2) 중에서 300㎲ 동안 변화가 생기지 않는 준비 신호를 보낸 시스템을 동작 준비가 되지 않은 시스템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시스템(1)은 제1 시스템(1)과 제1 절체 장치(3)가 연결된 선로를 통해 준비 신호(①Ready) 신호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하고, 제2 시스템(2)은 제2 시스템(2)과 제1 절체 장치(3)가 연결된 선로를 통해 준비 신호(①'Ready)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한다.
제1 절체 장치(3)가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으로부터 각각 준비 신호(①Ready, ①'Ready)를 전송 받으면,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에 각각 준비 감지 신호(ready detection)(②Ready Detection, ②Ready Detection)을 전송한다(S303).
본 발명에 있어서, 준비 감지 신호(ready detection)(②Ready Detection, ②Ready Detection)는 각 시스템이 절체 장치로 전송한 준비 신호(①Ready, ①'Ready)에 대한 응답 신호이며, 준비 감지 신호는 준비 신호를 보낸 각 시스템이 동작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절체 장치가 감지했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절체 장치가 전송하는 준비 감지 신호는 각 시스템이 절체 장치에 전송한 준비 신호와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비 신호가 200㎲의 주기를 가지고 최대값이 A 인 사인 파 인 경우, 준비 감지 신호는 준비 신호와 동일하게 200㎲의 주기를 가지고 최대값이 A 인 사인 파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도 4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은 제1 절체 장치(3)로 계속하여 준비 신호(Ready)를 전송하며,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으로 각각 계속하여 준비 감지 신호(Ready Detection)를 전송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절체 장치(3)가 제1 시스템(1)과 제2 시스템(2)에 각각 준비 감지 신호를 보내면,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으로 활성 신호를 전송한다(S304).
도 4를 참고하면,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절체 장치(3)의 로컬 시스템인 제1 시스템(1)을 활성화 상태가 되어야 할 시스템으로 판단하여, 제1 시스템(1)을 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하기 위해 제1 시스템(1)에 활성 신호(Active)를 전송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전송된 활성 신호를 제1 시스템(1)이 전송 받으면, 제1 시스템(1)은 제1 시스템(1)이 전송한 준비 신호와 제1 시스템(1)이 전송 받은 준비 감지 신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305)
준비 신호와 준비 감지 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로, 준비 신호와 준비 감지 신호를 200㎲ 범위 안에서 10㎲단위로 표본화(샘플링, Sampling)하여, 각 10㎲마다 준비 신호의 출력값과 준비 감지 신호의 출력값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준비 신호와 준비 감지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때까지, 제1 시스템(1)은 계속하여 준비 신호와 준비 감지 신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시스템(1)이 전송한 준비 신호와 제1 시스템(1)으로 전송된 준비 감지 신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하면, 제1 시스템(1)은 제1 절체 장치(3)로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S306).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체 장치(3)로부터 활성 신호(Active)를 받은 제1 시스템(1)은 제1 절체 장치(3)로 확인 신호(Confirm)를 전송한다.
도 5에 나타난 확인 신호(confirm)에 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확인 신호(Confirm)는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된 준비 감지 신호(Ready Detection)와 제1 시스템(1)으로 전송된 준비 신호(Ready)가 일치한다는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활성 신호(Active)를 받은 시스템은 확인 신호(Confirm)를 절체 장치로 한 주기(예를 들면, 200㎲)동안 전송하며, 한 주기 이후에는 확인 신호(Confirm)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절체 장치(3)가 제1 시스템(1)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전송 받으면, 제1 절체 장치(3)는 확인 신호를 전송한 제1 시스템(1)을 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한다(S307).
도 6을 참고하면, 제1 절체 장치(3)는 확인 신호(confirm)를 제1 시스템(1)으로부터 전송 받은 후,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을 활성화 시스템(Active system)으로 설정하고, 제2 시스템(2)을 비활성화 시스템(Standby system)으로 설정한다.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을 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한 후, 제1 시스템(1)으로 계속하여 활성 신호(Active)를 전송한다.
제1 시스템(1)이 제1 절체 장치(3)로부터 활성 신호(Active)를 계속하여 전송 받은 후, 제1 시스템(1)에 오류 발생 전까지, 제1 시스템(1)은 활성화 시스템으로서 전체 HVDC 시스템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활성화 절체 장치가 오류 신호를 획득하고 시스템을 절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시스템(1)은 최초 동작 시에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활성화 시스템(Active system)으로 설정된 시스템이며, 제1 절체 장치(3)는 활성화 제어 장치(Active COL)로 설정된 절체 장치이다(S701).
제1 시스템(1)은 실제로 전체 HVDC 시스템 내에서 동작을 하는 시스템이고, 제1 시스템(1)은 제1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스템(2)은 제2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는 전체 HVDC 시스템을 제어하고 보호(control and protection)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시스템(2)은 최초 동작 시 비활성화 시스템(Standby system)으로 설정된 시스템이며, 대기 상태에 있는 시스템이다. 제1 시스템(1)에 오류 또는 오작동이 발견되었을 때, 제2 시스템(2)은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되며, 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된 이후 제2 시스템(2)은 전체 HVDC 내에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예를 들면, 전체 HVDC 시스템의 제어 및 보호(control and protection)) 시스템이다.
제1 시스템(1)이 활성화 시스템으로 동작하던 중, 제1 시스템(1)은 제1 절체 장치(3)로 시스템 신호를 전송하고,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으로부터 오류 신호를 획득한다(S702).
도 8을 참조하면, 제1 시스템(1)에서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하고, 제1 절체 장치(3)는 오류 신호(Fault)를 획득한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제1 시스템(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1 시스템(1)이 제1 절체 장치(3)로 오류 신호(Fault)를 전송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1 시스템(1)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1 시스템(1)이 정상적인 신호(①시스템 신호)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시스템(1)과 제1 절체 장치(3) 사이의 선로상에 물리적인 파손 또는 결손으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하여, 제1 절체 장치(3)가 오류 신호(Fault)를 획득 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가 오류 신호(Fault)로서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오류 신호(Fault)로 획득될 수 도 있다.
다만, 도 8에서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 자체가 오류가 포함된 신호가 아닌 정상적인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가 전송되는 선로 상의 물리적인 파손 또는 결손에 의한 노이즈가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에 추가되어 제1 절체 장치(3)가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고, 제1 절체 장치(3)가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에 노이즈가 추가된 오류 신호(Fault)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절체 장치(3)가 제1 시스템(1)으로부터 오류 신호를 획득하면, 제1 절체 장치(3)는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를 제1 시스템(1)으로 전송한다(S703).
제1 절체 장치(3)는 오류 신호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오류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류 신호가 200㎲의 주기를 가지고 최대값이 A인 사인 파 형태의 신호인 경우, 오류 감지 신호는 준비 신호와 동일하게 200㎲의 주기를 가지고 최대값이 A인 사인 파 형태의 신호가 된다.
도 9를 살펴보면, 제1 절체 장치(3)가 도 8의 오류 신호(Fault)를 획득한 후,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획득되면서 동시에 도 8의 오류 신호(Fault)와 동일한 도 9의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를 제1 시스템(1)으로 전송하고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스템(1)이 오류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제1 시스템(1)은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전송된 오류 감지 신호가 제1 절체 장치(3)의 오류 신호 획득 이전에 제1 시스템(1)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신호와 동일한지 판단한다(S704).
도 9를 살펴보면, 제1 시스템(1)이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를 전송 받은 후, 제1 시스템(1)은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와 도 8에서 제1 시스템(1)에 의해 전송된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가 서로 동일한지 판단한다.
도 9에서는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획득된 오류 신호(Fault)와 제1 절체 장치(3)에 의해 전송된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류 감지 신호와 시스템 신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시스템(1)은 확인 신호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한다(S70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와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시스템(1)은 오류 감지 신호(Fault Detection)와 시스템 신호(시스템 신호)가 동일하다는 의미의 확인 신호(Confirm)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절체 장치(3)가 확인 신호를 전송 받거나, 또는, 제1 절체 장치(3)가 확인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전송 받지 못하면,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S706), 제2 시스템(2)을 활성화 시스템이 되어야 할 시스템으로 판단한다(S707).
일정 시간의 예로, 확인 신호의 한 주기의 1.5배가 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예로, 한 주기가 200㎲인 경우, 일정 시간은 300㎲가 될 수 있다.
제1 절체 장치(3)가 확인 신호를 전송 받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1 절체 장치(3)가 확인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전송 받지 못하는 경우까지도, 제1 절체 장치(3)가 제1 시스템(1)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게 하는 이유는, 제1 시스템(1)에 실제로 오류가 발생하여 제1 시스템(1)이 확인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제1 시스템(1)에 오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 신호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제1 절체 장치(3)가 강제적으로 시스템을 절체하는 동작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0를 살펴보면, 도 9의 확인 신호(Confirm)를 전송 받은 제1 절체 장치(3)는 제1 시스템(1)을 비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하고, 제2 시스템(2)을 활성화 상태가 되어야 할 시스템으로 판단하여, 제2 시스템(2)으로 활성 신호(Active)를 전송하고 있다.
활성 신호(Active)를 전송 받은 제2 시스템(2)은 제2 시스템(2)에 의해 전송된 준비 신호(ready)와 제2 시스템(2)으로 전송된 준비 감지 신호(Ready Detection)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시스템(2)은 확인 신호(Confirm)를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스템(2)에 의해 전송된 확인 신호(confirm)를 받은 제1 절체 장치(3)는 제2 시스템(2)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제2 시스템(2)에 활성 신호(Active)를 계속하여 전송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활성화 시스템으로 설정된 제2 시스템(2)은 계속하여 전체 HVDC 시스템 내에서 활성화 시스템으로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 제1 시스템(1)에서 제1 절체 장치(3)로 전송되는 오류(Fault) 신호가 획득되지 않더라도, 제1 절체 장치(3)는 계속하여 제2 시스템(2)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제1 시스템(1)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제1 시스템(1) 및 제2 시스템(2)은 절체 되지 않고, 계속하여 제2 시스템(2)이 활성화 시스템으로서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1 및 제2 시스템 및 제1 및 제2 절체 장치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스템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절체 장치로 준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준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으로 준비 감지 신호 및 액티브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 감지 신호와 상기 준비 신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으로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체 장치에서 오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절체 장치에서 오류 감지 신호를 상기 제1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류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절체 장치로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스템을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체 장치로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상기 오류 감지 신호가 상기 오류 신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 감지 신호가 상기 오류 신호와 일치하면,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절체 장치로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체 장치에서 오류 감지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확인 신호가 임계 시간 이상 상기 제1 절체 장치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시스템을 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시스템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는 상기 제1 시스템에서 전송된 신호가 상기 제1 절체 장치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획득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제1 절체 장치에 의해 상기 오류 신호가 획득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시스템의 비활성화 상태와 상기 제2 시스템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KR1020140044184A 2014-04-14 2014-04-14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KR10158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84A KR101580734B1 (ko) 2014-04-14 2014-04-14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EP15162781.7A EP2933892B1 (en) 2014-04-14 2015-04-08 Changeover method of hvdc transmission system
ES15162781.7T ES2625328T3 (es) 2014-04-14 2015-04-08 Procedimiento de conmutación de un sistema de transmisión HVDC
US14/684,133 US9847637B2 (en) 2014-04-14 2015-04-10 Changeover method of HVDC transmission system
CN201510255553.6A CN104979844B (zh) 2014-04-14 2015-04-13 Hvdc传输系统的变换方法
JP2015082507A JP6122059B2 (ja) 2014-04-14 2015-04-14 Hvdcシステムの切り替え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84A KR101580734B1 (ko) 2014-04-14 2014-04-14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22A true KR20150118622A (ko) 2015-10-23
KR101580734B1 KR101580734B1 (ko) 2015-12-29

Family

ID=5281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184A KR101580734B1 (ko) 2014-04-14 2014-04-14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7637B2 (ko)
EP (1) EP2933892B1 (ko)
JP (1) JP6122059B2 (ko)
KR (1) KR101580734B1 (ko)
CN (1) CN104979844B (ko)
ES (1) ES2625328T3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35B1 (ko) * 2006-07-28 2007-01-24 삼도산업전기(주) 열차용 선로변의 정보처리모듈 다중화에 따른 절체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80088661A (ko) * 2006-02-28 2008-10-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KR20110014087A (ko) * 2009-08-03 2011-02-10 박경선 수용가 전력설비 분리운영시스템
KR20130115776A (ko) * 2012-04-13 2013-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8717C2 (de) * 1974-10-12 1983-03-17 Felten & Guilleaume Kabelwerke GmbH, 5000 Köln Gleichstromkabelsystem von drei parallel verlaufenden Hochspannungs-Gleichstrom- Übertragungskabeln mit innerer Wasserkühlung
JPS5155941A (ko) * 1974-11-11 1976-05-17 Denryoku Chuo Kenkyujo
JPH0865897A (ja) 1994-08-19 1996-03-08 Toshiba Corp 電力変換器制御システム
KR19980019255A (ko) 1998-01-12 1998-06-05 김인규 몸체식고리 및 긴결방법
US7167723B2 (en) * 2000-11-27 2007-01-23 Franklin Zhigang Zhang Dual channel redundant fixed wireless network link, and method therefore
US6931568B2 (en) * 2002-03-29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il-over control in a computer system having redundant service processors
US7266709B2 (en) 2002-12-21 2007-09-04 Power-One,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rray of point-of-load regulators and auxiliary devices
KR100612443B1 (ko) 2004-02-06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에이알피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TW200609721A (en) * 2004-09-03 2006-03-16 Inventec Corp Redundanc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25775B1 (ko) 2005-12-22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라벨링을 이용한 통합 컨텐츠 관리방법
US7526639B2 (en) * 2006-02-13 2009-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enhance boot time using redundant service processors
BRPI0810629B1 (pt) * 2007-05-14 2018-08-28 Abb Schweiz Ag "método e dispositivo para proporcionar controle redundante de pelo menos uma válvula de corrente controlável
US7974793B2 (en) * 2007-08-31 2011-07-05 Siemens Industry, Inc. Systems, and/or devices to control the synchronization of diagnostic cycles and data conversion for redundant I/O applications
US8558408B2 (en) * 2010-09-29 2013-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t power to a device
KR101144217B1 (ko) 2011-09-30 2012-05-10 (주) 동보파워텍 고장절체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접속함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07966B1 (ko) 2012-04-27 2014-06-19 전자부품연구원 풍력 발전기 관리를 위한 고가용성 db 시스템
CN104956724B (zh) * 2013-01-30 2018-11-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改变无线承载配置或状态
US9191209B2 (en) * 2013-06-25 2015-11-17 Google Inc. Efficient communication for devices of a home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661A (ko) * 2006-02-28 2008-10-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KR100673535B1 (ko) * 2006-07-28 2007-01-24 삼도산업전기(주) 열차용 선로변의 정보처리모듈 다중화에 따른 절체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10014087A (ko) * 2009-08-03 2011-02-10 박경선 수용가 전력설비 분리운영시스템
KR20130115776A (ko) * 2012-04-13 2013-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3892A1 (en) 2015-10-21
KR101580734B1 (ko) 2015-12-29
US9847637B2 (en) 2017-12-19
CN104979844B (zh) 2018-04-27
JP6122059B2 (ja) 2017-04-26
ES2625328T3 (es) 2017-07-19
US20150295404A1 (en) 2015-10-15
CN104979844A (zh) 2015-10-14
EP2933892B1 (en) 2017-02-15
JP2015204748A (ja)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0959B (zh) 电力网监视系统和方法
KR101769664B1 (ko)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 장치
JP2017537847A (ja) 電気鉄道牽引ネットワークのセクション給電の分散型保護システム
CN205067643U (zh) 变电站直流供电系统的分布式绝缘监测装置
CN104002833A (zh) 相敏轨道电路微电子接收系统
CN107144757A (zh) 一种瓦斯继电器油流流速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103701218A (zh) 输电线路故障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1580734B1 (ko)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CN103558464A (zh) 10kV保护装置在线定值校验方法
CN201654548U (zh) 变电站智能模拟屏系统
CN105620515A (zh) 一种铁路信号电源远程监控系统
CN103997122A (zh) 一种多核并行智能控制器系统
CN204069002U (zh) 基于被复线远程自动供电技术的数、电同传装置
CN212111743U (zh) 中性点不接地系统用选线装置的单相接地故障检测系统
JP6097148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この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を含む分散システム
KR101819268B1 (ko)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CN113809828B (zh) 一种接地刀闸的控制方法和装置
CN102590657A (zh) 智能载波电能表通讯能力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201813162U (zh) 滤波控制系统
CN101867190A (zh) 滤波控制系统
CN117913757A (zh) 一种电网的故障隔离方法、装置、控制设备及存储介质
CN204228870U (zh) 交通设备故障监控系统
JP2003018767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CN109189052A (zh) 一种dcs控制系统硬件复原的调试方法
JPS6184928A (ja) 不具合検出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