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221A -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221A
KR20150118221A KR1020140043394A KR20140043394A KR20150118221A KR 20150118221 A KR20150118221 A KR 20150118221A KR 1020140043394 A KR1020140043394 A KR 1020140043394A KR 20140043394 A KR20140043394 A KR 20140043394A KR 20150118221 A KR20150118221 A KR 2015011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layer
felt
micro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648B1 (ko
Inventor
조윤진
이수남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4004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펠트흡음층, 상기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으로 이루어지며,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접착층의 상부면에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극세사흡음층이 형성된 자동차용 흡음재는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며 분진의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SOUND-ABSORBING MATERIAL FOR VEHICLE USING MICRO-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며 분진의 발생을 억제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흡음재는 탑승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운행 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널리 이용된다.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대표적인 소음으로는 엔진룸에서 발생하여 차체의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바퀴와 지면과의 마찰음 및 작은 모래와 같은 물질이 주행중에 자동차의 밑면에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소음 등이 있다.
이러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엔진커버 또는 후드 인슐레이터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소음을 제거하는 효과는 미미하여, 차량의 실외에 부착된 대시 아우터(Dash outer) 및 실내에 부착된 대시 이너(Dash inner) 및 플로워 카페트(Floor carpet) 등이 대부분의 소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흡음재의 경우는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에 따라 흡음층으로 연질성의 재료와 차음층으로 경질성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 흡음층으로 구성된 연질성 재료 사이에 차음층으로 경질성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 연질성 재료의 밀도를 달리하여 복합흡음층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구조물들은 자동차 운행 시 발생되는 소음이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흡음층 및 차음층의 중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애 자동차용 흡음재의 흡음재를 차량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장과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호흡기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극세사흡음층을 이용하여 흡음재의 중량 증가 없이도 자동차 운행 시에 실내로 유입하는 소음과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생된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이 억제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극세사흡음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외관품질을 나타내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펠트흡음층, 상기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펠트흡음층, 상기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펠트흡음층은 폴리에스터계 섬유 100 중량부, 재활용 섬유 50 내지 150 중량부 및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5 내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10 내지 1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며,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분말상, 그물망상 및 필름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극성기를 보유한 고분자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수류결합법 또는 니틀펀칭으로 결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40 내지 120 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접착층의 상부면에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를 통해 접착층이 형성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는 표면온도가 140℃ 이상인 히팅롤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극성기를 보유한 고분자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수류결합법 또는 니틀펀칭으로 결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40 내지 120 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적층체를 150 내지 200℃의 예열오븐이나 예열금형에서 40 내지 300초 동안 예열하고, 예열된 적층체를 20 내지 40℃의 온도를 나타내는 금형에 투입하여 60 내지 150kgf/cm2의 압력으로 20 내지 6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은 극세사흡음층이 형성되어 중량 증가 없이도 자동차 운행 시에 실내로 유입하는 소음과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생된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흡음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자동차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이 억제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극세사흡음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외관품질을 나타내는 흡음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에 적용되는 극세사흡음층을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에 적용된 극세사흡음층의 복합방사 후에 단면과 수류결합법을 통해 분할된 후에 단면을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와 자동차용 흡음재의 흡음성능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는 펠트흡음층(10), 상기 펠트흡음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20) 및 상기 접착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30)으로 이루어지거나, 펠트흡음층(10), 상기 펠트흡음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20) 및 상기 접착층(20)이 형성된 펠트흡음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의 구조중 극세사흡음층(30)이 양면에 형성되는 흡음재는 펠트흡음층(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억제되기 때문에, 흡음재를 차량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작업장과 자동차의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는다.
상기 펠트흡음층(10)은 100 내지 24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며, 폴리에스터계 섬유 100 중량부, 재활용 섬유 50 내지 150 중량부 및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5 내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카딩레이드(carding laid) 공법 또는 에어레이드(air laid) 공법을 통해 제조되며, 저주파 대역의 소음과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재활용 섬유는 폴리에스터계, 폴리올레핀계 및 천연계 섬유 등의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터계의 폐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20)은 10 내지 1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며,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펠트흡음층(10)과 상기 극세사흡음층(3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접착층(20)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말상, 그물망상 및 필름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분말을 스캐터링(scattering)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극세사흡음층(30)은 40 내지 120 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며,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극성기를 보유한 고분자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수류결합법 또는 니틀펀칭으로 결합하여 제조되는데, 극세사의 넓은 비표면적 및 밀집된 구조로 인해 형성된 미세 기공에 의한 모세관 진동 원리 및 상기 접착층의 형성으로 인한 상기 펠트흡음층과의 에어 갭(air-gap) 형성으로 인해 2k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의 소음에 대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흡음층(30)은 외관품질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은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10)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S101),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10)의 상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20)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S103),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103)를 통해 형성된 접착층(20)의 상부면에 극세사흡음층(30)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105)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S101)는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10)을 제조하는 단계로, 폴리에스터계 섬유 100 중량부, 재활용 섬유 50 내지 150 중량부 및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5 내지 120 중량부를 카딩레이드(carding laid) 공법 또는 에어레이드(air laid) 공법으로 가공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재활용 섬유는 폴리에스터계, 폴리올레핀계 및 천연계 섬유 등의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터계의 폐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103)는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10)의 상부면에 10 내지 100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며,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2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때, 상기 접착층(20)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말상, 그물망상 및 필름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분말을 스캐터링(scattering)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103)는 표면온도가 140℃ 이상인 히팅롤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105)는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103)를 통해 형성된 접착층의 상부면에 극세사흡음층(30)을 적층하는 단계로,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103)를 통해 형성된 접착층(20)의 상부면에 40 내지 120 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며,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극성기를 보유한 고분자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수류결합법 또는 니틀펀칭으로 결합하여 제조되는 극세사흡음층(30)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105)를 통해 극세사흡음층(30)이 형성된 흡음재는 극세사의 넓은 비표면적 및 밀집된 구조로 인해 형성된 미세 기공에 의한 모세관 진동 원리 및 상기 접착층의 형성으로 인한 상기 펠트흡음층(10)과의 에어 갭(air-gap) 형성으로 인해 2k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의 소음에 대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흡음층(30)은 외관품질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성형단계(S107)는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105)를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150 내지 200℃의 예열오븐이나 예열금형에서 40 내지 300초 동안 예열하고, 예열된 적층체를 20 내지 40℃의 온도를 나타내는 금형에 투입하여 60 내지 150kgf/cm2의 압력으로 20 내지 6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은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10)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S201),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S201)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20)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S203),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203)를 통해 접착층(20)이 형성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극세사흡음층(30)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205)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205)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207)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S201), 상기 접착층형성단계(S203),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S205) 및 상기 성형단계(S207)의 조건, 성분 및 효과는 상기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흡음재의 흡음률 및 분진제거 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폴리아미드 6 수지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복합방사하여 부직포를 제조한 후 수류 결합을 통해 0.15dtex 이하의 극세사로 이루어진 80g/m2의 극세사흡음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활용섬유 30 중량부 및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30 중량부를 혼섬하여 에어레이드(air laid) 공법으로 두께가 5mm이며, 면밀도가 6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면밀도가 1,0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두께가 20mm이며, 면밀도가 6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두께가 20mm이며, 면밀도가 1,0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40g/m2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스캐터링(scattering)한 후 분위기 온도 150℃로 설정된 오븐을 통과시켜 폴리에틸렌 분말을 용융시키켜 접착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고, 분위기온도가 180℃로 설정된 예열오븐기를 이용하여 140초 동안 예열하고, 예열된 적층체를 냉각프레스로 이송시켜 80kgf/cm2의 압력으로 5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두께가 5mm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을 사용하여 두께가 20mm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40g/m2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스캐터링(scattering)한 후 분위기 온도 150℃로 설정된 오븐을 통과시켜 폴리에틸렌 분말을 용융시키켜 접착층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고, 분위기온도가 180℃로 설정된 예열오븐기를 이용하여 140초 동안 예열하고, 예열된 적층체를 냉각프레스로 이송시켜 80kgf/cm2의 압력으로 5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두께가 20mm인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을 분위기온도가 180℃로 설정된 예열오븐기를 이용하여 140초 동안 예열하고, 예열된 적층체를 냉각프레스로 이송시켜 80kgf/cm2의 압력으로 5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두께가 5mm인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제조예 5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을 사용하여 자동차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자동차용 흡음재의 흡음률을 측정하여 아래 표 1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단, 흡음률의 측정은 가로 840mm × 세로 840mm 크기의 시편을 취하여 흡음률 측정방법인 표준 잔향실 1/3 축소 크기인 간이잔향실(SRC, Semi Reverberation Chamber)법을 이용하여 3회 측정한 값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는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흡음재에 비해 중량이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전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자동차용 흡음재의 흡음률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흡음률의 측정은 가로 840mm × 세로 840mm 크기의 시편을 취하여 흡음률 측정방법인 표준 잔향실 1/3 축소 크기인 간이잔향실(SRC, Semi Reverberation Chamber)법을 이용하여 3회 측정한 값의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는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흡음재에 비해 중량이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전 주파수 대역에서 흡음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3과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자동차용 흡음재의 분진발생률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분진발생률은 4L의 금속용기에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흡음재를 50×50mm의 시편크기로 4매씩 제조하여 투입하고, 금속용기를 150회/60sec의 진동(shake)속도로 진동시킨 후에 흡음재 시편을 회수하여 중량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위에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3를 통해 제조된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는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자동차용 흡음재에 비해 분진 발생률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10 ; 펠트흡음
20 ; 접착층
30 ; 극세사흡음층
S101, S201 ; 펠트흡음층제조단계
S103, S203 ; 접착층형성단계
S105, S205 ;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
S107, S207 ; 성형단계

Claims (13)

  1. 펠트흡음층;
    상기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2. 펠트흡음층;
    상기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이 형성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극세사흡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펠트흡음층은 폴리에스터계 섬유 100 중량부, 재활용 섬유 50 내지 150 중량부 및 저융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5 내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10 내지 100g/m2의 면밀도로 형성되며,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분말상, 그물망상 및 필름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극성기를 보유한 고분자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수류결합법 또는 니틀펀칭으로 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40 내지 120 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8.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접착층의 상부면에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9. 면밀도가 100 내지 2400g/m2인 펠트흡음층을 제조하는 펠트흡음층제조단계;
    상기 펠트흡음층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융점이 140℃ 이하인 저융점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형성단계;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를 통해 접착층이 형성된 펠트흡음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극세사흡음층을 적층하는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 및
    상기 극세사흡음층적층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형성단계는 표면온도가 140℃ 이상인 히팅롤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극성기를 보유한 고분자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수류결합법 또는 니틀펀칭으로 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흡음층은 40 내지 120 g/m2의 면밀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적층체를 150 내지 200℃의 예열오븐이나 예열금형에서 40 내지 300초 동안 예열하고, 예열된 적층체를 20 내지 40℃의 온도를 나타내는 금형에 투입하여 60 내지 150kgf/cm2의 압력으로 20 내지 6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KR1020140043394A 2014-04-11 2014-04-11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94A KR101582648B1 (ko) 2014-04-11 2014-04-11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94A KR101582648B1 (ko) 2014-04-11 2014-04-11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21A true KR20150118221A (ko) 2015-10-22
KR101582648B1 KR101582648B1 (ko) 2016-01-08

Family

ID=5442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94A KR101582648B1 (ko) 2014-04-11 2014-04-11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579A (ko) * 2017-04-17 2018-10-25 (주)엘지하우시스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4761B1 (ko) * 2019-09-09 2021-02-15 강병하 자동차 플로어 카펫용 멀티 레이어 부직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285A (ko) 2017-09-14 2019-03-22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용 복층구조 흡음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13B1 (ko) * 2006-08-30 2008-02-28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장섬유 극세 고밀도 부직포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인공피혁과그 제조 방법
KR100832350B1 (ko) * 2007-07-18 2008-05-26 주식회사 효성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100950604B1 (ko) * 2008-12-24 2010-04-0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13B1 (ko) * 2006-08-30 2008-02-28 주식회사 백산린텍스 장섬유 극세 고밀도 부직포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인공피혁과그 제조 방법
KR100832350B1 (ko) * 2007-07-18 2008-05-26 주식회사 효성 자동차용 흡음 카펫
KR100950604B1 (ko) * 2008-12-24 2010-04-0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6579A (ko) * 2017-04-17 2018-10-25 (주)엘지하우시스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4761B1 (ko) * 2019-09-09 2021-02-15 강병하 자동차 플로어 카펫용 멀티 레이어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648B1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7367B2 (ja) 車両外装用吸音材および該車両外装用吸音材を製造する方法
USRE39010E1 (en) Lightweight acoustical system
KR101974469B1 (ko) 딥 드로우 복합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US7402537B1 (en) Air permeable, water repellent, acoustic door watershield
CN102627010B (zh) 车辆用防噪声材及其制造方法
KR101561186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5844339B2 (ja) 車両用防音材の製造方法
JP2019513620A (ja) 自動車の内装用防音トリム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582648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2647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다층구조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9783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JP2004217052A (ja) 車両用内装材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KR20180130027A (ko) 흡음 성능이 향상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1235B1 (ko) 폐섬유를 이용한 자동차용 경량 흡음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9060B1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JP6313841B1 (ja) 自動車装備材用半製品の製造方法
JP6035405B2 (ja) 車両用防音材の製造方法
KR101131605B1 (ko) 차량용 고흡음성 천정재
JP2018009256A (ja) 自動車装備材用半製品の製造方法
KR20150116487A (ko) 극세사를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
JP2016137636A (ja) 多層成形用シート及びシート成形体
KR101720162B1 (ko) 압축회복률 및 흡음특성이 우수한 극세사 흡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JPWO2017141801A1 (ja) 自動車用内外装材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36695A (ko) 열성형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05263118A (ja) 車輌用吸音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