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015A - 절연 전선 및 모터 - Google Patents

절연 전선 및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015A
KR20150118015A KR1020147033042A KR20147033042A KR20150118015A KR 20150118015 A KR20150118015 A KR 20150118015A KR 1020147033042 A KR1020147033042 A KR 1020147033042A KR 20147033042 A KR20147033042 A KR 20147033042A KR 20150118015 A KR20150118015 A KR 20150118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foam insulating
thickness
electric wir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오야
다이스케 무토
게이이치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마그넷트 와이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마그넷트 와이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8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05Prot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7/182 - H01B7/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0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8Wires with res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도체와, 도체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발포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과, 절연층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구비하고, 25℃에서 1 MPa의 압력을 가할 때의 절연층의 두께 변형률이 15% 이상 50% 이하이며,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연필 경도가 4H 이상, 절연층 두께와 외측 비발포 절연층 두께의 비가 20:80 ~ 80:20인 절연 전선, 및 이 절연 전선을, 절연 전선의 외경을 지름 축소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절연층의 두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고정자 슬롯에 권회하여 이루어진 모터.

Description

절연 전선 및 모터{INSULATED ELECTRIC WIRE AND MOTOR}
본 발명은, 절연 전선 및 모터(motor)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inverter)는, 효율적인 가변속 제어 장치로서, 많은 전기 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수 kHz ~ 수십 kHz로 스위칭이 행해지고, 그 펄스마다 서지 전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인버터 서지는, 전반계(傳搬系)내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불연속점, 예를 들면 접속하는 배선의 시작단 또는 종단 등에 있어서 반사가 발생하고, 그 결과, 최대로 인버터 출력 전압의 2배의 전압이 인가된다. 특히, IGBT 등의 고속 스위칭 소자에 의해 발생하는 출력 펄스는, 전압 준도(峻度)가 높고, 이것에 의해 접속 케이블이 짧아도 서지 전압(surge voltage)이 높고, 또한 그 접속 케이블에 의한 전압 감쇠도 작고, 그 결과, 인버터 출력 전압의 2배 가까운 전압이 발생한다.
인버터 관련 기기, 예를 들면 고속 스위칭 소자, 인버터 모터, 변압기 등의 전기 기기 코일에는, 마그넷 와이어로서 주로 에나멜선인 절연 전선(절연 와이어라고도 한다)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 관련 기기에서는, 인버터 출력 전압의 2배 가까운 전압이 걸리는 것으로부터, 인버터 서지에 기인하는 부분 방전 열화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절연 전선에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분 방전 열화란, 전기 절연 재료의 부분 방전(미소한 공극 상태 결함 등이 있는 부분의 방전)으로 발생한 전하 입자들의 충돌에 의한 분자쇄 절단 열화, 스퍼터링 열화, 국부 온도 상승에 의한 열용융 혹은 열분해 열화, 또는, 방전으로 발생한 오존에 의한 화학적 열화 등이 복잡하게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실제로 부분 방전 열화된 전기 절연 재료는, 그 두께의 감소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부분 방전에 의한 절연 전선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피막에 입자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내(耐) 코로나 방전성을 향상시킨 절연 전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절연 피막 중에 금속 산화물 미립자나 규소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시킨 것(특허문헌 1 참조), 절연 피막 중에 실리카를 함유시킨 것(특허문헌 2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절연 전선은, 입자를 함유한 절연 피막에 의해, 코로나 방전에 의한 침식 열화를 저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입자를 함유한 절연 피막을 가지는 절연 전선은, 그 효과가 불충분하고,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이 저하하거나 피막의 가요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부분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절연 전선, 즉 부분 방전의 발생 전압이 높은 절연 전선을 얻는 방법도 있다. 이것에는 절연 전선의 절연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절연층에 비유전율이 낮은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절연층을 두껍게 하면 절연 전선이 굵어지고, 그 결과, 전기 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이것은, 최근의 모터나 변압기로 대표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의, 소형화라고 하는 요구에 역행한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고정자 슬롯 중에 몇 개의 전선을 넣을 수 있는가에 의해, 모터 등의 회전기의 성능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그 결과, 고정자 슬롯 단면적에 대한 도체 단면적의 비율(점적률)을, 최근, 특별히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절연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점적률이 낮게 하는 것이 되고, 요구 성능을 고려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절연층의 실질적인 비유전율을 작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절연층을 발포체로 형성하는 것이 생각되고, 종래로부터, 도체와 발포 절연층을 가지는 발포 전선이 통신 전선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불소 수지를 발포시켜서 얻어진 발포 전선이 잘 알려져 있고, 구체적으로는, 발포시킨 폴리에틸렌 절연 전선(특허문헌 3 참조), 발포시킨 불소 수지 절연 전선(특허문헌 4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3496636호 일본특허공보 제4584014호 일본특허공보 제3299552호 일본특허공보 제3276665호
코일 성형하여 모터 등의 권선으로서 이용되는 절연 전선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방전 및 코일 성형시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모터 등의 소형화, 고효율화에 이바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포를 포함하는 절연 전선은, 통신 용도에 이용되는 절연 전선이며, 코일 성형하여 모터 등의 권선으로서 이용되는 절연 전선으로서 최적인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특히,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절연 전선은, 절연층 표면의 내마모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권선으로서 이용할 경우에 절연층에 상처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높은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을 유지하면서,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이 우수하고, 또한 모터나 변압기의 도체 점적률을 높게 할 수 있는 절연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우수한 성능의 절연 전선을 이용하는, 절연 전선의 말단부에서의 부분 방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소형 또는 고효율의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원 발명자 등은, 발포 절연층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구비한 절연 전선에 있어서, 발포 절연층의 두께 변형률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경도와, 발포 절연층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두께비를, 모두, 특정의 범위로 설정하면, 발포 절연층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이 더불어서, 절연 전선의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을 높이는 한편, 모터 코일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도 이바지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기의 수단에 의해 해결되었다.
(1) 도체와, 상기 도체의 외주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복하는, 발포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발포 절연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과, 상기 절연층의 외주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복하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구비하고, 25℃에서 1 MPa의 압력을 가할 때의 상기 절연층의 두께 변형률이 15%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연필 경도가 4H 이상이며, 상기 절연층의 두께와 상기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두께의 비가 20:80 ~ 80:20인 절연 전선.
(2)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150℃ 이상인 (1)에 기재된 절연 전선.
(3) 상기 절연층이, 독립 기포를 포함하는 (1) 또는 (2)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 전선.
(4) 상기 절연층의 공극률이 10% 이상인 (1) ~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 전선.
(5) 모터 코일용의 권선으로서 이용되는 것인 (1) ~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 전선.
(6) (1) ~ (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절연 전선을, 상기 절연 전선의 외경을 지름 축소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절연층의 두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고정자 슬롯에 권회(卷回)하여 이루어진 모터.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는,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가장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간접적으로 피복한다」라는 것은, 다른 층을 개재하여 피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발포 절연층이 다른 층을 개재하여 도체를 피복하고 있는 것, 또한 외측 비발포 절연층이 다른 층을 개재하여 발포 절연층을 피복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의 발포 절연층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 이외의, 기포를 가지지 않는 내측 비발포 절연층 또는 밀착층(접착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높은 부분 방전 개시 전압 및 내스크래치성을 발휘하면서, 모터 성형한 경우에 절연 전선의 단면적 중의 도체의 단면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모터 코일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기여하는 절연 전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해, 이 우수한 성능의 절연 전선을 이용하는, 절연 전선의 말단부에서의 부분 방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소형 또는 고효율의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적절히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기재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발포 전선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일실시 형태는, 단면이 원형인 도체(1)와, 도체(1)의 외주면을 피복한 발포 절연층(2)과, 발포 절연층(2)의 외주면을 피복한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져서 이루어진다. 이 일실시 형태는,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도 단면은 원형이다.
도 2에 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발포 절연층(2)의 내측이며 도체(1)의 외주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마련한 것 외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과 동일하다.
도 3에 단면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사이에 밀착층(35)를 개재한 것 외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과 동일하다.
도 4에 단면도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도체(1)로서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이용한 것으로, 그 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과 동일하다. 이 실시 형태는, 도체(1)의 단면이 사각형이므로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도 단면이 사각형이다.
도 5에 단면도를 나타낸 다른 실시 형태는, 도체(1)로서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이용한 것으로, 그 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과 동일하다. 이 실시 형태는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도 단면이 사각형이다.
도 6에 단면도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 형태는, 도체(1)로서 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이용한 것으로, 그 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과 동일하다. 이 실시 형태는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도 단면이 사각형이다.
이상의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같은 것을 의미하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측 비발포 절연층」은, 기포를 가지지 않은 것 외에는 발포 절연층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밀착층(35)은,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사이에 마련되고,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과의 층간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층이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에 이용하는 도체(1)는, 종래, 절연 전선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들을 조합한 재료 등으로 형성된다.
도체(1)의 횡단면(축선에 수직인 단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망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원형, 사각형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도체(1)는, 도 4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자 슬롯에 대한 점유율의 점에서, 그 횡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각을 가지는 형상, 예를 들면, 평각(平角) 형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부로부터의 부분 방전을 억제한다는 점에 있어서, 4 모퉁이에 모따기(반경(r))를 마련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은, 도체(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기포를 가지지 않는 상태, 즉 비발포 상태로 형성되는 층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하는 경우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포를 가지지 않는 상태란, 기포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상태만이 아니라, 기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은, 적극적으로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 방법으로 형성된 것이며, 예를 들면 임의의 단면 1cm2 당 1개 이하의 기포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발포 절연층(2)은, 기포를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 즉 발포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서, 도체(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발포 절연층(2)이 기포를 가지면, 기포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서 발포 절연층(2)의 비유전율이 저하하고, 모터에 권선(捲線)된 절연 전선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절연 전선간의 공기갭에 발생하는 부분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발포 절연층(2)이 가지는 기포는, 독립 기포라도 좋고 연통 기포라도 좋고, 또한 이들 양쪽 모두라도 좋다. 여기서, 독립 기포란, 임의의 단면에서 절단한 발포 절연층(2)의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할 때에 기포 내벽에 구멍, 즉 인접하는 기포와의 연통 개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을 말하고, 연통 기포란, 동일하게 하여 관찰할 때에 기포 내벽에 구멍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기포는, 발포 절연층(2)의 마모 특성이나 기계 특성을 유지하면서, 세로 방향, 즉 두께 방향의 순간적인 우그러짐으로 변형해도, 내압이 올라가고, 압력이 개방되면 돌아가기 쉽다는 점에서, 독립 기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 등에 침지되어도 기포 내부에 용제 등이 침입하여 기포 부분이 채워지는 일 없이, 비유전율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독립 기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 절연층(2)의 우그러지기 쉬움과 절연 전선의 요구 특성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독립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포의 전체 수에 대하여, 독립 기포가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독립 기포의 비율의 상한치는 당연히 100%이며, 실질적으로는 99% 이하이다. 독립 기포의 비율은, 발포 배율(倍率), 바니시(varnish) 중의 수지 농도, 점도, 바니시 도포시의 온도, 발포제의 첨가량, 베이킹 로의 온도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독립 기포의 비율은, 임의의 단면에서 절단한 발포 절연층(2)의 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관찰 영역에 존재(개구)하는 전체 기포수와 독립 기포수를 계수하여, 독립 기포수를 전체 기포수로 나누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기포는, 계수 대상의 기포에 더하여, 이 기포의 내벽에 개구하고 있는 구멍 1개도 1개의 기포로서 계수한다.
기포의 평균 기포 지름은, 절연 파괴 전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이며, 절연 파괴 전압을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μm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μm 이하이다. 평균 기포 지름의 하한에 제한은 없지만, 1 nm 이상인 것이 실제적이고, 바람직하다. 평균 기포 지름은, 발포 절연층(2)의 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임의로 선택한 20개의 기포의 직경을 화상 치수 계측 소프트(미타니쇼지사(三谷商事社)제 WinROOF)를 이용하여 지름 측정 모드에서 측정하고, 이들을 평균하여 산출한 값이다. 또한, 기포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는, 최장(最長) 부분을 직경으로 한다. 이 기포 지름은, 발포 배율, 바니시 중의 수지 농도, 점도, 바니시 도포시의 온도, 발포제의 첨가량, 베이킹 로의 온도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발포 절연층(2)은, 비유전율의 저하에 의해 높은 절연 파괴 전압을 발휘하는 점에서, 10% 이상의 공극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의 공극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의 공극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극률은, 발포 절연층(2)의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발포 절연층(2)의 공극률은, 발포 배율, 바니시 중의 수지 농도, 점도, 바니시 도포시의 온도, 발포제의 첨가량, 베이킹 로의 온도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공극률은, 발포 절연층(2)의 체적(V1) 및 기포의 체적(V2)으로부터, 식: V2/V1×100(%)에 의해, 산출된다. 여기서, 발포 절연층(2)의 체적(V1)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산출되고, 기포의 체적(V2)은 기포의 밀도가 0인 것 및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의 밀도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발포 절연층(2)은, 25℃에서 1 MPa의 압력을 가할 때, 구체적으로는, 직경 방향에서 1 MPa의 압력으로 협지하여 가압 때의 두께 변형률이 15% 이상이다. 이 두께 변형률이 15% 이상이면, 절연 전선을 고정자 슬롯에 권선하여 모터를 형성할 때에, 발포 절연층(2)이 우선적으로 변형하여 절연 전선의 막 두께가 작아진다. 그 결과, 고정자 슬롯이 일정한 크기인 경우에는 그 안에 많은 권선수로 절연 전선을 권선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터 코일, 즉 모터의 고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권선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모터 코일, 즉 모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모터 코일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더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두께 변형률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두께 변형률은, 절연 특성의 유지, 내마모성 및 가요성의 점에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께 변형률은,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종류, 기포 지름, 공극률 및 발포 배율 등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발포 절연층(2)의 두께 변형률은, 압력을 가하기 전의 절연 전선에 있어서의 발포 절연층(2)의 두께(Ti)(발포 절연층(2)의 외경/2)와, 1 MPa의 압력을 가할 때에 (압축) 변형한 발포 절연층(2)의 두께(Ta)(압축된 발포 절연층(2)의 지름/2)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서, 산출된다.
식: (Ta/Ti)×100(%)
또한, 발포 절연층(2)에 1 MPa의 압력을 가하는 방법은, 발포 절연층(2)의 직경 방향으로 1 MPa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절연 전선을 사이에 둔 2매의 스테인리스강에 1 MPa의 압력을 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발포 절연층(2)에 직접 1 MPa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은 막 두께가 얇고 압력을 거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절연 전선에 1 MPa의 압력을 가한 것과 동일하고, 이것에 의해 발포 절연층(2)의 두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발포 절연층(2)의 두께는, 발포 절연층(2)의 두께와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두께의 비(이하, 두께비라고 한다)가 20:80 ~ 80:20의 범위 내에 있다. 발포 절연층(2)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비유전율이 저하하고,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을 상승 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두께 변형률이 커지기 쉽다. 한편,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강도 및 가요성 등의 기계 특성이 향상된다. 발포 절연층(2)의 두께가 상술의 범위 내에 있으면, 부분 방전 개시 전압 및 두께 변형률과 기계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 두께비는, 절연 전선의 부분 방전 개시 전압 및 두께 변형률과 기계 특성을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킬 수 있는 점에서, 30:70 ~ 75: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65 ~ 40:6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포 절연층(2)의 두께는, 상술의 두께비가 20:0 ~ 80:20의 범위 내가 되는 두께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10 ~ 200μm인 것이 실제적이고,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포 절연층(2)의 두께는, 10 ~ 200μm의 범위 내로부터, 두께비를 만족하도록, 선택된다.
발포 절연층(2)의 외측에 내스크래치성이 강한 수지로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고, 또한 압력이 주어지는 것에 의해서 적절히 변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싶은 형상이나 공간에 대응하여 최저한으로 필요한 피막 두께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동일한 도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보다 높은 도체 점적률의 절연 와이어가 될 수 있다. 단면의 도체 점적률이 향상하는 것에 의해서 모터를 시작으로 하여 코일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는 그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피막 부분이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부분 방전이 발생하는 공기의 부분을 메울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부분 방전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점적률이나 내열성 등을 변경하지 않고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을 유지·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바니시로서 도체(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도포하고, 베이킹하여, 기포를 형성하고, 발포 절연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간접적으로 도포」란 바니시를 다른 층, 예를 들면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개재하여 도체(1)상에 도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바니시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스테르이미드(PEsI), 폴리에스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50℃ 이상에서 절연 전선의 내열성 향상에 기여하는, PAI, PI, 폴리에스테르, PEsI가 바람직하고, PAI가 더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내열성의 점에서, 210 ~ 35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倂用)해도 좋다.
폴리아미드이미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극성 용매 중에서 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직접 반응시켜서 얻은 것, 극성 용매 중에서 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에 디아민류를 혼합하고 디이소시아네이트류로 아미드화하여 얻은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PAI는, 시판품(예를 들면, HI-406(히타치카세이카부시키가이샤(日立化成株式會社)제, 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이미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열경화성 방향족 폴리이미드 등의 통상의 폴리이미드 수지, 예를 들면, 방향족 테트라 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방향족 디아민류를 극성 용매 중에서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이용하고, 절연 피막을 형성할 때의 베이킹시의 가열 처리에 의해 이미드화 시키는 것에 의해서 열경화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시판의 폴리이미드 수지로는, U이미드(유니치카사(UNITIKA社)제, 상품명), U-바니시(우베코우산사(宇部興産社)제, 상품명), HCI 시리즈(히타치카세이카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오람(AURUM)(미츠이카가쿠사(三井化學社)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페놀 수지 등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열 클래스가 H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들 수 있다. 시판의 H종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Isonel200(상품명, 스케넥터디 인터네셔널사(SCHENECTADY INTERNATIONAL INC.)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이미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극성 용매 중에서 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류를 직접 반응시켜서 이미드 골격을 형성한 후, 촉매 존재하에 있어서 디올류를 반응시켜 얻은 것, 극성 용매 중에서 트리카르복실산 무수물에 디아민류를 혼합하여 이미드 골격을 형성하고, 그 후 디올류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합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시판의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수지로서 Neoheat8200K2, Neoheat8600, LITON3300(모두, 상품명, 토우토쿠토료사(東特塗料社)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에 대해서, 기포화 핵제, 산화 방지제, 대전(帶電)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광 안정제, 형광 증백제, 안료, 염료, 상용화제(相容化劑), 윤활제, 강화제, 난연제, 가교제, 가교조제(架橋助劑), 가소제, 증점제, 감점제(減粘劑), 및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또한, 얻어지는 절연 전선에, 발포 절연층(2)과는 별도로,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해도 좋고, 이들 첨가제를 함유하는 도료를 코팅해도 좋다.
또한, 그 내부에 기포를 형성시키는 열경화성 수지는, 내열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가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를 섞는 것으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열변형을 억제하면서, 가요성 등, 절연 전선에 필요한 기계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10 ~ 350℃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첨가량은 수지 고형분의 1 ~ 40 질량%가 바람직하다.
이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열에 의해서 결정화하고 수축하는 등, 상태 변화에 의한 응력 발생이 어렵다는 점에서, 비결정성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페닐 설폰(PPSU) 및 폴리이미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이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울템(GE 플라스틱사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설폰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미카엑셀 PES(스미토모카가쿠사(住友化學社)제, 상품명), PES(미츠이카가쿠사제, 상품명), 울트라 존 E(BASF 재팬사제, 상품명), 레이델 A(솔베이 어드밴스드 폴리머즈사(SOLVAY ADVANCED POLYMERS)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페닐렌 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자이론(아사히카세이케미컬즈사(旭化成 CHEMICALS社)제, 상품명), 유피에이스(미츠비시엔지니어링프라스틱스사(三菱 ENGINEERING PLASTICS社)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페닐 설폰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이델 R(솔베이 어드밴스드 폴리머사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U-바니시(우베코우산사제, 상품명), HCI 시리즈(히타치카세이사제, 상품명), U이미드(유니치카사제, 상품명), 오람(미츠이카가쿠사제, 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에 녹기 쉽다는 점에 있어서 폴리페닐 설폰, 폴리에테르 이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결정성」이란 거의 결정 구조를 가지지 않는 무정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하고, 경화시에 고분자의 쇄가 랜덤인 상태가 되는 특성을 말한다.
기포를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발포 절연층(2)의 비유전율을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또한 상술의 범위로 두께 변형률을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발포 절연층(2)의 발포 배율은, 1.2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4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포 배율의 상한에 제한은 없지만, 통상 5.0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배율은, 발포를 위하여 피복한 수지의 밀도(ρf) 및 발포전의 밀도(ρs)를 수중 치환법에 의해 측정하고, (ρs/ρf)에 의해 산출한다.
발포 절연층(2)은, 열경화성 수지와, 특정의 유기 용제 및 적어도 1 종류의 고비점 용제를 포함한 2 종류 이상, 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의 용제를 혼합한 절연 바니시를 도체(1)의 주위에 도포, 베이킹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다. 바니시는, 도체(1)상에, 직접 도포해도 좋고, 간접적으로 도포해도 좋다.
발포 절연층(2)에 사용되는 바니시의 특정의 유기 용제는, 열경화성 수지를 용해시키는 용매로서 작용한다. 이 유기 용제로서는 열경화성 수지의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N,N-디메틸에틸렌우레아, N,N-디메틸프로필렌우레아, 테트라 메틸요소 등의 요소계 용매, γ-부틸로락톤, γ-카프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매,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매, 초산에틸, 초산 n-부틸,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부틸카비톨 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카비톨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디글림, 트리글림, 테트라글림 등의 글림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 수소계 용매, 술포란 등의 설폰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고용해성, 고반응 촉진성 등의 점에서 아미드계 용매, 요소계 용매가 바람직하고, 가열에 의한 가교 반응을 저해하기 쉬운 수소 원자를 가지지 않는 등의 점에서,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에틸렌우레아, N,N-디메틸프로필렌우레아, 테트라 메틸요소가 보다 바람직하고, N-메틸-2-피롤리돈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유기 용제의 비등점은, 바람직하게는 160℃ ~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 210℃의 것이다.
기포 형성용으로 사용 가능한 고비점 용제는, 비등점이 바람직하게는 180℃ ~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 260℃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포 지름의 격차가 작은 점에 있어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외에도,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부틸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비점 용제는, 1종으로도 좋지만, 기포가 넓은 온도범위에서 발생하는 효과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적어도 2종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비점 용매의 적어도 2종의 바람직한 조합은,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와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와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틸메틸에테르와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와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기포 형성용의 고비점 용매는 열경화성 수지를 용해시키는 특정의 유기 용매보다도 고비점인 것이 특징이며, 기포 형성을 위해서 첨가하는 고비점 용매의 비등점은 바니시의 용제 성분의 증발 개시 온도보다 50℃ 이상이라도 좋다. 1 종류로 바니시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실온에서의 열경화성 수지의 특정의 유기 용매보다 20℃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 종류로 사용한 경우에는 고비점 용매는 기포 핵제와 발포제 양쪽의 역할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2 종류 이상의 고비점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가장 높은 비등점의 것이 발포제, 중간의 비등점을 가지는 기포 형성용의 고비점 용매가 기포 핵제로서 작용한다. 가장 비등점의 높은 용매는 특정의 유기 용제보다 20℃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30 ~ 60℃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의 비등점을 가지는 고비점 용매는, 발포제로서 작용하는 고비점 용매와 특정의 유기 용제의 중간에 비등점이 있으면 좋고, 발포제의 비등점과 10℃ 이상의 비등점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의 비등점을 가지는 고비점 용매는, 발포제로서 작용하는 고비점 용매보다 열경화성의 용해도가 높은 경우, 바니시 베이킹 후에 균일한 기포를 형성시킬 수 있다. 2 종류 이상의 고비점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 중간의 비등점을 가지는 고비점 용매에 대한 가장 높은 비등점을 가지는 고비점 용매와의 사용 비율은, 예를 들면, 질량비로 99/1 ~ 1/99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포의 생성이 쉽다는 점에 있어서 10/1 ~ 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의, 고비점 용제를 포함하는 2 종류 이상의 용제를 이용하여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고비점 용제를 증발시키기 위해서 지금까지의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경우보다도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할 때에도 발포 절연층(2)이 단열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도체(1)의 열에너지가 외측 비발포 절연층(3)까지 효율적으로 열전도하지 않고, 외측만큼 베이킹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자 등은, 전체 도장 및 베이킹 종료 후에, 다시 가열하는 것에 의해서,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경도를 올리면, 절연 전선의 성능, 예를 들면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더하여, 모터의 소형화에도 이바지하는 특성을 발현되는 것을 발견했다. 즉,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발휘하고, 또한, 소형화에 이바지하도록 효율적으로 압력에 의한 우그러짐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이 충분한 경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연필 경도가 25℃에서 4H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5℃에서 1 MPa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이 보다 우그러지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5H 이상이다.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연필 경도가 4H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지고,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 걸리는 응력에 의해서 외측 비발포 절연층(3) 자신이 우그러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응력을 발포 절연층(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고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이 수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돌기부 등으로부터 응력을 받은 경우, 응력 부분만이 수축하기 때문에 절연 피막 전체의 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이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경도가 높은 편이, 절연 전선으로서 코일 성형시의 마찰 등의 내마모성의 능력이 향상된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연필 경도의 상한은 9 H이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연필 경도는, JIS-K5600-5-4에 정해진 연필 경도법에 따르는 경도(에나멜선)이며,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이 연필 경도법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이 연필 경도는, 전동 연필 긁기 경도 시험기(야스다세이키세이사쿠사(安田精機製作所社)제; No.553-M1(상품명))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연필 경도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수지의 연필 경도와 동일한 값이므로, 상술의 범위의 연필 경도를 가지는 수지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은, 발포 절연층(2)의 외측에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이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면, 상술의 연필 경도를 가지고,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 작용하는 응력 또는 하중을 발포 절연층(2)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발포 절연층(2)으로 예시한 여러 가지의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이 상술의 연필 경도를 가지도록 열경화성 수지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연필 경도가 상술의 범위의 연필 경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는, 상술의 경도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이 적합하게는 모터에 이용되므로 내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이 적합한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1 종류를 사용해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수지명에 의해서 사용되는 수지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열거한 수지 외에도, 이들 수지보다 성능적으로 우수한 수지라면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도 및 내열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에서, 열경화성 수지에 열가소성 수지가 섞여 있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가 섞인 경우에는, 가요성 등, 절연 전선에 필요한 기계 강도 등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중, 5 ~ 40 질량%이며, 5 ~ 2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이상 첨가한 경우에는 내용제성이나 열변형 온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열경화성 수지에 섞이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mPPE), 폴리아릴레이트,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수지(SPS),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PBI), 폴리설폰(PSF),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폴리페닐 설폰, 비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수지명에 의해서 사용 수지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열거한 수지 외에도, 이들 수지보다 성능적으로 우수한 수지라면 사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열가소성 수지와 섞은 것도 포함한다. 이하, 동일)는, 그 저장 탄성률이 25℃에서 1 G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 GPa 미만의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가 변형하는 효과는 높지만, 마모 특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코일 성형시에 수지가 파손되는 등 권선으로서의 기능을 발현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고, 저부하의 조건으로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저장 탄성률은 25℃에서 2 GPa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저장 탄성률은, 너무 높아도 권선으로서 필요한 가요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한은, 예를 들면, 6 GPa인 것이 좋다.
열경화성 수지의 저장 탄성률은, 점탄성 애널라이저(세이코 인스트루먼트 카부시키가이샤(SEIKO INSTRUMENTS INC.)제: DMS200(상품명))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열경화성 수지로 제작된 두께 0.2 mm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온도 상승 속도 2℃/min 및 주파수 10 Hz의 조건에서, 25℃로 안정시킨 상태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측정치를 기록하고, 이 기록치를 열경화성 수지의 25℃ 저장 탄성률로 한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은, 내(耐) 부분방전성 물질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내 부분방전성 물질은, 부분 방전 열화가 되기 어려운 절연 재료이며, 전선의 절연 피막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전압 내구 특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내 부분방전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물(금속 혹은 비금속 원소의 산화물), 질화물, 유리, 운모(mica)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는, 실리카, 이산화 티탄, 알루미나, 티탄산바륨, 산화 아연, 질화 갈륨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내 부분방전성 물질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다」라는 것은, 내 부분방전성 물질을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 적극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완전히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정도의 함유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정도의 함유량으로서,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30질량부 이하의 함유량을 들 수 있다. 특히 분체(粉體)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분산제를 첨가해도 좋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에 대해서,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광 안정제, 형광 증백제, 안료, 염료, 상용화제, 윤활제, 강화제, 난연제, 가교제, 가교조제, 가소제, 증점제, 감점제 및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은, 상술의 두께비가 20:80 ~ 80:20의 범위 내가 되는 두께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20 ~ 150μm가 실제적이고, 바람직하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방전 개시 전압 및 기계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술의 두께비를 만족하는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바니시를 발포 절연층(2)의 주위에 캐스트 방법(cast method) 등의 가열 베이킹에 의한 성형 방법에 의해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베이킹은, 통상, 바니시를,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하는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가열 시간은 가열 방식이나 가열 온도, 로의 형상 등에 좌우되지만, 예를 들면, 구체적인 베이킹 조건은 그 사용되는, 대략 5 m의 열풍 순환식의 수직로(垂直爐)이면, 400 ~ 600℃에서 통과 시간을 바람직하게는 10 ~ 90초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베이킹된 바니시를, 다시 가열하여, 열경화성 수지, 즉 형성되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경도를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베이킹한 바니시를, 400 ~ 1000℃의 온도로 0.25 ~ 600초 가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한다. 바니시의 성형은 발포 절연층(2)의 주위에 직접, 또는 사이에 다른 수지층, 예를 들면 밀착층(35)를 개재시켜서 행할 수도 있다. 이 바니시는, 열경화성 수지에 더하여, 예를 들면,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바니시에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 또는 유기 용제 등을,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밀착층(35)은, 필요에 따라,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사이에 결정성 수지 또는 비결정성 수지로 형성된다. 밀착층(35)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은 동일한 수지로 형성되어도 좋고, 다른 것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외측 비발포 절연층(3)과 다른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페닐 설폰 등의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 밀착층(35)은, 예를 들면, 5μm 미만의 얇은 피막으로서 발포 절연층의 다음에 형성된다. 또한,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성형 조건에 따라서는 밀착층(35)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이 서로 섞여서 절연 전선이 되었을 때에 정확한 막 두께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도체의 외주면에 발포 절연층을 형성하고, 다음에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체(1)의 외주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즉 필요에 따라 내측 비발포 절연층 등을 개재하여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바니시를 도포하고, 베이킹 과정에서 발포시켜서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공정과, 발포 절연층의 외주면에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는 바니시를 도포 베이킹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각 공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내측 비발포 절연층은, 내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는 바니시를 도체에 도포하고, 베이킹하는 것에 의하여, 또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밀착층(35)은, 발포 절연층(2)상에, 용매에 용해시킨 비결정성 수지를 용해시킨 도료를 도포하고,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밀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는 발포 절연층(2) 또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3)에 사용되는 도료와 동일한 성분이 용제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발포 절연층을 적어도 1층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내부 비발포 절연층을 개재하여 복수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발포 절연층은, 도체상에 직접 마련해도 좋고, 다른 층을 개재하여 도체의 외주에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에 있어서, 도체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밀착 개량제를 포함하는 밀착층을 형성해도 좋다. 밀착층은, 도체상에 밀착층용의 열경화성 수지 바니시를 도포하고, 베이킹 경화를 행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특히, 초기의 밀착성, 즉 도체상에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절연 피막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밀착층에 사용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페닐 설폰,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밀착 개량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란 알콕사이드계 밀착 개량제(실란 커플링제), 티탄 알콕사이드, 티탄 아크릴레이트, 티탄 킬레이트 등 티탄계 밀착 개량제, 트리아진계 밀착 개량제, 이미다졸계 밀착 개량제, 멜라민계 밀착 개량제, 카보디이미드계 밀착 개량제, 티올계 밀착 개량제 등, 절연 전선의 밀착 개량제로서 통상 이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밀착 개량제의 첨가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수지 고형분에 대해서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 ~ 10 질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층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상기 특징을 가지고, 각종 전기 기기(전자 기기라고도 한다.) 등, 내전압성이나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모터나 트랜스 등에 이용되고, 고성능의 전기 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HV(하이브리드 카)나 EV(전기 자동차)의 구동 모터용의 권선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 전선을 구비한, 전기 기기, 특히 HV 및 EV의 구동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이 모터 코일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모터 코일용 절연 전선으로도 칭한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을 모터 코일에 권선으로서 사용하는 모터로서,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외경을 지름 축소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절연층의 두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을 고정자 슬롯에 권회하여 이루어진 모터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는,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말단부 이외의 귄회된 부분이 눌려서 우그러지고, 말단부가 고정자 슬롯에 권회되지 않고 눌려서 우그러지지 않은 상태로 마련되고, 소형이라도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부분 방전되기 쉬운 말단부에서의 부분 방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가, 절연 전선의 말단부에서의 부분 방전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유는, 말단부가 고정자 슬롯에 권회되지 않고 눌려서 우그러지지 않으므로, 발포 절연층(2)에 의해서 저하된 비유전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터가 소형이라도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이유는,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의 중앙부가 눌려서 우그러지도록 고정자 슬롯에 권회되고, 고정자 슬롯에 의해 다수의 절연 전선을 감을 수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는, 부분 방전되기 쉬운 말단부는 발포 절연층(2)을 눌러서 우그러뜨리는 일 없이 작은 비유전율을 유지시키고, 한편, 비교적 부분 방전되기 어려운 중앙부는 눌려서 우그러지도록 하여 보다 많이 권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비유전율을 저감한, 눌러서 우그러뜨리기 쉬운 발포 절연층에 있어서, 부분 방전되기 쉬운 개소는 눌러서 우그러뜨리지 않고, 부분 방전되기 어려운 부분은 눌러서 우그러뜨리는 것에 의해서, 종래, 실현이 곤란했던, 부분 방전되기 어려운 소형이며 고효율의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에 있어서, 절연 전선의 말단부를 눌러서 우그러뜨리지 않는 것으로 모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에는, 슬롯 및 티스(teech)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고정자 코어와, 슬롯에 수용된 고정자 권선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電機)로 구성된 고정자 등이 있다. 에나멜선은, 코일 구조로 성형되고, 고정자의 각 티스에 집중권(集中捲)되어서 고정자내에 수용되고, 고정자 외부에 인출된 양 말단은, 절연층이 박리되어서 노출한 도체로 적절히 접합되어서, 고효율의 모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서로 면접촉 상태에서 코일 형성되는데, 그 안에서 서로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예 중, 조성을 나타내는 %는 질량%를 말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절연 전선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했다.
[실시예 1]
도 2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하기와 같이 하여 제작했다. 우선,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발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제작했다. 2L 세퍼러블 플라스크(separable flask)에 HI-406(상품명, 히타치카세이사제)을 넣고, 이 용액에 기포 형성제로서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와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를 첨가하고, 또한 디메틸술폭시드로 희석하는 것에 의해 얻었다.
또한,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는 HI-406을 이용했다. 이 바니시를, 용제로서 NMP를 이용하여, 30 질량% 용액으로 했다.
각 바니시는 침지 코팅(dip coating)에 의해 도포하고, 다이스에 의해서 도포량을 조절했다. 구체적으로는, 1.0mmφ의 단면 원형의 구리제 도체(1)에, 조제한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1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4μm의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했다. 다음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상에 조제한 발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05℃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19μm의 발포 절연층(2)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및 발포 절연층(2)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 undercoating line)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HI-406(상품명, 히타치카세이카부시키가이샤제)을 로 온도 510℃에서 베이킹하여 33μm의 두께가 되도록 피복하고, 그 후 600℃로 가열한 관(管)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光洋 thermo-systems 社)제; KTF030N1(상품명))로 2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1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2]
도 1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1.0mmφ의 단면 원형의 구리제 도체(1)의 외주면에 실시예 1로 조제한 발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1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20μm의 발포 절연층(2)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80μm의 두께가 되도록 HI-406(상품명, 히타치카세이카부시키가이샤제)을 로 온도 510℃에서 베이킹하여 피복하고, 그 후 600℃로 가열한 관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제; KTF030N1(상품명))로 20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2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3]
도 5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하기와 같이 하여 작성했다. 우선,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발포 폴리이미드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제작했다. 2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U이미드(수지 성분 25 질량%의 NMP 용액)(유니치카사제, 상품명)를 넣고, 용제로서 NMP, DMAC 및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용액으로 했다.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이미드 바니시는 U이미드를 이용하고, 그 수지에 용제로서 DMAC를 더하여 조제했다.
1.8×3.4 mm(두께×폭)로 네 모퉁이의 모따기 반경(r)이 0.3 mm인 평각의 구리제 도체(1)의 외주면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2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4μm의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했다. 다음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상에 조제한 발포 폴리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2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60μm의 발포 절연층(2)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및 발포 절연층(2)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폴리이미드 바니시(U이미드)를 로 온도 505℃에서 베이킹하여 30μm의 두께가 되도록 피복하고, 그 후 700℃로 가열한 관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제; KTF030N1)(상품명))로 20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3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4]
도 6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하기와 같이 하여 제작했다. 우선,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발포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표 1 중, PEsI)를 이하와 같이 제작했다. 2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Neoheat8600A; 토우토쿠토료사제, 상품명)를 넣고, 용제로서 NMP, DMAC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얻었다.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는 Neoheat8600A를 이용하고, 그 수지에 용제로서 DMAC를 더하여 30%용액으로 했다.
1.8×3.4 mm(두께×폭)로 네 모퉁이의 모따기 반경(r)이 0.3 mm인 평각의 구리제 도체(1)의 외주면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0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3μm의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했다. 다음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상에 조제한 발포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20℃에서 베이킹하여 막 두께 30μm의 발포 절연층(2)을 형성했다. 또한 PPSU 20g(레이델 R(상품명), 솔베이사제)을 NMP 100g에 용해시킨 액체를 도포하여 520℃에서 베이킹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발포 절연층(2) 및 밀착층(35)(두께 3μm)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90μm의 두께가 되도록 HI-406(상품명, 히타치카세이사제)을 로 온도 520℃에서 베이킹하여 피복하고, 그 후 600℃로 가열한 관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제; KTF030N1(상품명))로 20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4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5]
도 6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1.8×3.4 mm(두께×폭)로 네 모퉁이의 모따기 반경(r)이 0.3 mm인 평각의 구리제 도체(1)의 외주면에 실시예 1로 조제한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2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3μm의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했다. 다음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상에 발포 폴리에스테르 바니시 LITON2100S(상품명, 토우토쿠토료사제, 수지 성분 40 질량% 용액)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05℃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33μm의 발포 절연층(2)을 형성했다. 또한,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울템(상품명), SABIC사제)를 NMP에 용해시킨 액체를 도포하여 520℃에서 베이킹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발포 절연층(2) 및 밀착층(35)(두께 3μm)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실시예 3으로 조제한 폴리이미드 바니시(U이미드)를 로 온도 520℃에서 베이킹하여 30μm의 두께가 되도록 피복하고, 그 후 700℃로 가열한 관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제; KTF030N1)(상품명))로 20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5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6]
도 1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1.0mmφ의 단면 원형의 구리제 도체(1)의 외주면에 실시예 1로 조제한 발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3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20μm의 발포 절연층(2)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한편,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데 이용하는 바니시를 이하와 같이 제작했다. 즉, 폴리아미드이미드(HI-406)와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PC, 유피론(상품명), 미츠비시엔지니어링프라스틱스사제)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 1000g에 대해서 용제로서 NMP를 이용하여 용액으로 했다.
다음에, 제작한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조제한 용액을 도포하고, 로 온도 450℃에서 베이킹하여 30μm의 두께가 되도록 피복하고, 그 후 400℃로 가열한 관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제; KTF030N1)(상품명))로 1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6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7]
도 2에 나타내는 절연 전선을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했다. 1.0mmφ의 단면 원형의 구리제 도체(1)의 외주면에 실시예 1로 조제한 내측 비발포 절연층 형성용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1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3μm의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을 형성했다. 다음에, 내측 비발포 절연층(25)상에 실시예 1로 조제한 발포 폴리아미드이미드 바니시를 직접 도포하고, 이것을 로 온도 530℃에서 베이킹하여 두께 19μm의 발포 절연층(2)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20μm의 두께가 되도록 HI-406(상품명, 히타치카세이사제)을 로 온도 530℃에서 베이킹하여 피복하고, 그 후 600℃로 가열한 관 형상 로(코우요우써모시스템즈사제; KTF030N1(상품명))로 20초간 다시 가열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예 7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비교예 1)
발포 절연층의 막 두께를 80μm로 변경함과 함께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및 두께 5μm의 발포 절연층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폴리이미드 바니시(U이미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00μm의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예 2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비교예 3)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하는데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페닐렌 술피드(PPS, DIC제, 상품명: FZ-2100)를 이용했다.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및 두께 80μm의 발포 절연층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상기 PPS 수지를 다이스(dice) 온도 320℃, 수지 압력 30 MPa로 20μm의 두께가 되도록 압출기에 의해 피복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예 3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 및 두께 100μm의 발포 절연층을 도체에 형성하고, 또한 발포 절연층상에 PPSU 20g(레이델 R(상품명), 솔베이사제)를 NMP 100g에 용해시킨 액체를 도포하여 510℃에서 베이킹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내측 비발포 절연층, 발포 절연층 및 밀착층이 형성된 성형체(언더코팅선)를 얻었다. 다음에, 이 언더코팅선에 대해서, HI-406(상품명, 히타치카세이카부시키가이샤제)을 로 온도 510℃에서 베이킹하여 3μm의 두께가 되도록 피복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예 4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비교예 5)
발포 절연층의 두께를 5μm로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5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비교예 6)
내측 비발포 절연층의 두께를 5μm로 변경하고, 밀착층을 마련하지 않고, 발포 절연층의 두께를 30μm로 변경하고, 또한 발포 절연층의 공극률을 8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6의 절연 전선을 제조했다.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에서 얻어진 절연 전선의 물성 및 평가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공극률, 두께, 두께비, 평균 기공(氣孔) 지름, 유리전이온도, 독립 기포의 비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 발포 절연층(2)의 공극률, 발포 절연층(2)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표 1에 있어서 Tg로 표기한다.), 발포 절연층(2)의 독립 기포의 비율,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형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표 1에 있어서 Tg로 표기한다.)를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또한, 발포 절연층(2)의 평균 기포 지름은, 발포 절연층(2)의 두께 방향 단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SEM) 상에 있어서, 20개의 기포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화상 치수 계측 소프트(미타니쇼지사제 WinROOF)를 이용하고, 지름 측정 모드에서 평균의 기포 지름을 산출하고, 얻어진 값을 기포 지름으로 했다.
또한, 발포 절연층(2)의 두께와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의 두께의 비를 산출했다.
[두께 변형률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두께 변형률은, 마이크로스코프(키엔스사(KEYENCE社)제, VHX-1000)을 이용하여 관찰했다. 압력을 가하기 전의 상태는 에폭시 수지에 절연 전선을 매립시키고, 절연 전선의 단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선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마했다. 절연 전선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2매의 스테인리스 판(SUS판이라고도 한다)으로 만능 재료 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쇼사(島津製作所社)제, 상품명: 오토그래프 AGS-H)로 절연 전선을 1 MPa로 압축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 채로 SUS판에 에폭시 수지를 흘려 넣어서 고체화시키고, SUS판, 절연 전선 및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샘플을 얻었다. 압력을 가하기 전과 동일하게 단면을 마이크로스코프로 측정하는 것으로, 상술의 식으로부터, 압축 전후의 두께 변형률을 산출했다.
[부분 방전 개시 전압]
두께 변형률의 측정에서 제작한, 압력을 가한 상태의 샘플을 이용하여, SUS판의 어느 한 쪽에 접지 전극을, 도체(1)에 고압 전극을 배선하고, 부분 방전 개시 전압 장치(키쿠스이덴시사(菊水電子社)제, KPD2050)를 이용하여, 정현파 50 Hz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여, 연속적으로 승압시키면서 방전 전하량이 10 pC인 때의 전압(실효치)을, 측정했다. 측정 온도는 25℃, 50%RH로 했다.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은, 절연 피막의 두께(표 1의 「합계 두께」)에 의하나, 절연 피막의 두께를 50μm로 할 때의 하기 식에 의한 환산치가 600 V 이상이면, 부분 방전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는, 이 환산치가 650 V 이상인 경우를 「◎」, 600 ~ 649 V인 경우를 「○」, 600 V 미만인 경우를 「△」로 했다.
환산식: 50μm로 할 때의 환산에는 더킨(Durkin)의 하기 실험식에 의해서 행했다.
[식 1]
V = 163(t/ε)0.46
상술의 실험식에 있어서, V는 방전 부분 방전 개시 전압, t는 절연층 전체의 두께, ε는 절연층 전체의 비유전율을 나타낸다.
「절연층 전체의 비유전율」은, 절연 전선의 정전 용량과, 도체 및 절연 전선의 외경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서, 산출된 값을 말한다.
식: εr* = Cp·Log(b/a)/(2πε0)
여기서, εr*는 절연층 전체의 비유전율, Cp는 단위 길이당의 정전 용량[pF/m], a는 도체의 외경, b는 절연 전선의 외경, ε0은 진공의 유전율(8.855×10-12[F/m])를, 각각, 나타낸다.
절연 전선의 정전 용량은, LCR 하이테스터(히오키덴키사(日置電機社)제, 형식 3532-50(상품명: LCR 하이테스터)), 및, 상온(25℃)의 건조 공기 중에 24시간 이상 방치한 절연 전선을 이용하여, 측정 온도를 25℃ 및 250℃으로 설정하고, 소정의 온도로 설정한 항온조에 절연 전선을 넣어서 온도가 일정하게 된 시점에서 측정했다.
또한, 절연 전선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사각형인 경우에는, 「절연층 전체의 비유전율」은, 절연층 전체의 정전 용량(Cp)이 평탄부의 정전 용량(Cf)과 코너부의 정전 용량(Ce)의 합성(Cp = Cf+Ce)인 것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체의 직선부의 장변과 단변의 길이를 L1, L2, 도체 코너의 곡률반경 R, 절연층 전체의 두께 T로 하면, 평탄부의 정전 용량(Cf) 및 코너부의 정전 용량(Ce)는 하기 식으로 나타난다. 이들 식과, 실측한 절연 전선의 정전 용량 및 절연층 전체의 정전 용량 Cp(Cf+Ce)로부터 εr*를 산출했다.
Cf = (εr*/ε0)×2×(L1+L2)/T
Ce = (εr*/ε0)×2πε0/Log{(R+T)/R}
[연필 경도]
제조한 각 절연 전선의 외측 비발포 절연층에 축방향으로 절입(切入)하여 외측 비발포 절연층만을 박리했다. 박리한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시험편으로 하여, JIS-K5600-5-4에 정해진 연필 경도법에 따르는 경도 측정(에나멜선)을 실시했다. 연필 경도 측정기는 전동 연필 긁기 경도 시험기(야스다세이키세이사쿠쇼사(安田精機製作所社)제; No.553-M1)를 이용했다. 또한, 연필 경도는 절연 전선의 내스크래치성의 지표이며, 이 연필 경도가 4H 이상이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가요성]
제조한 각 절연 전선의 가요성을 다음과 같이 하여 평가했다. 즉, 도선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는 절연 전선의 직경과 동일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원기둥체(자기 지름 감기)로 감아 붙이고, 한편, 도선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는 절연 전선의 단변 길이와 동일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원기둥체에 감아 붙이고, 감아 붙여진 절연 전선의 외관을 마이크로스코프(키엔스사제: VHX-2000(상품명))로 관찰했다. 평가는, 외관에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은 경우를 「◎」, 절연 피막의 색이 변화하고, 주름이 굽힌 외측부에 생기지만, 실용 특성에 영향이 없는 경우를 「○」, 색 변화가 일어나고, 주름이 피막의 전체 주위에서 확인되지만, 실용성에 영향이 없는 경우를 「△」, 절연 피막에 균열이 생기고, 또는, 도체가 노출한 경우를 「×」로 했다.
[종합 평가]
절연 전선으로서 필요한 부분 방전 개시 전압, 가요성과 함께, 이번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도체 점적률의 향상 및 내스크래치성 등 모터의 효율 향상에 대해서 중요한 항목에 대한 종합 평가를 실시했다. 모터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레벨에 도달한 것을 「○」, 평가의 어딘가에 「△」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었지만, 실용성에는 영향이 없는 경우를 「△」, 상술의 항목의 어딘가에 결함 또는 문제(×평가)가 있었던 것을 「×」로 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의 도체와, 15% 이상 50% 이하의 두께 변형률을 가지는 발포 절연층(2)과, 연필 경도가 4H 이상인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지고,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과의 두께비가 20:80 ~ 80:20의 범위 내에 있는 실시예 1 ~ 7의 절연 전선은, 모두,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이 높고, 게다가 규정 압력 환경의 우그러짐에 의한 발포 절연층(2)의 두께 감소율도 크고, 모터 성형한 경우에 절연 전선의 단면적 중의 도체의 단면적 비율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고, 내스크래치성도 우수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모터 코일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지지 않는 비교예 1은,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은 높기는 하나, 외막이 없기 때문에 가요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포함한 절연 전선으로서 필요한 요건을 만족할 수 없다.
또한, 발포 절연층(2)의 두께가 작고,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과의 두께비가 20:80 ~ 80:20의 범위 내에 없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5는, 도체 점적률을 작게 할 수 없고, 절연층의 저유전율화를 달성하지 못하고, 부분 방전 개시 전압이 작았다. 또한, 발포 절연층(2)의 두께가 크고, 발포 절연층(2)과 외측 비발포 절연층(3)과의 두께비가 20:80 ~ 80:20의 범위 내에 없는 비교예 4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경도가 작고, 도체 점적률을 작게 할 수 없고, 내스크래치성도 만족할 수 없었다. 또한,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열가소성 수지만으로 형성한 비교예 3은,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경도가 작고, 도체 점적률을 작게 할 수 없고, 내스크래치성도 만족할 수 없었다. 또한, 두께 변형률이 55%인 비교예 6은, 가요성이 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 ~ 6의 절연 전선은, 모두, 부분 방전 개시 전압 및 내스크래치성의 개선, 또는, 모터 코일의 소형화 혹은 고효율화를,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절연 전선을 이용하여 모터를 제조했다. 즉, 권선기로 코일을 고정자 슬롯에 감아 붙여서 슬롯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모터를 제조했다. 또한, 절연 전선의 말단부는, 슬롯 밖에 있고, 눌러서 우그러뜨리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모터는, 절연 전선의 말단부에서의 부분 방전이 억제되고, 소형이며 고효율인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1 및 7의 절연 전선은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지는 도 2에 나타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2 및 6의 절연 전선은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지는 도 1에 나타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3의 절연 전선은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발포 절연층(2)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지는 도 5에 나타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4 및 5의 절연 전선은 내측 비발포 절연층(25), 발포 절연층(2), 밀착층(35)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3)을 가지는 도 6에 나타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발포 절연층 및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 ~ 도 6에 각각 나타나는 절연 전선에 있어서, 발포 절연층을 두께 방향으로 복수층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1층의 내부 비발포 절연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내부 비발포 절연층은, 규제되는 위치 외에는 내측 비발포 절연층(25)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시작으로 각종 전기·전자 기기 등, 내전압성이나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모터나 트랜스 등에 이용하여 고성능의 전기·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HV나 EV의 구동 모터용의 권선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와 함께 설명했지만, 우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상세한 설명의 어느 세부에 의해서 제한되어서는 아니되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폭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원은, 2013년 2월 7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3-022741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것은 여기에 참조하여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서 넣는다.
1: 도체
2: (발포) 절연층
3: 외측 비발포 절연층
25: 내측 비발포 절연층
35: 밀착층

Claims (6)

  1. 도체와, 상기 도체의 외주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복하는, 발포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외주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복하는 외측 비발포 절연층을 구비하고,
    25℃에서 1 MPa의 압력을 가할 때의 상기 절연층의 두께 변형률이 15%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연필 경도가 4H 이상이고,
    상기 절연층의 두께와 상기 외측 비발포 절연층의 두께의 비가 20:80 ~ 80:20인 절연 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150℃ 이상인 절연 전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이, 독립 기포를 포함하는 절연 전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공극률이 10% 이상인 절연 전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 코일용의 권선으로서 이용되는 것인 절연 전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연 전선을, 상기 절연 전선의 외경을 지름 축소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절연층의 두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고정자 슬롯에 권회(卷回)하여 이루어진 모터(motor).
KR1020147033042A 2013-02-07 2014-02-04 절연 전선 및 모터 KR20150118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2741 2013-02-07
JPJP-P-2013-022741 2013-02-07
PCT/JP2014/052573 WO2014123122A1 (ja) 2013-02-07 2014-02-04 絶縁電線及びモ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015A true KR20150118015A (ko) 2015-10-21

Family

ID=5129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042A KR20150118015A (ko) 2013-02-07 2014-02-04 절연 전선 및 모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262732A1 (ko)
EP (1) EP2955725A4 (ko)
JP (1) JP5972375B2 (ko)
KR (1) KR20150118015A (ko)
CN (1) CN104321832B (ko)
CA (1) CA2893045A1 (ko)
MY (1) MY166682A (ko)
TW (1) TWI498925B (ko)
WO (1) WO20141231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85A (ko) * 2020-11-26 2022-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어-시스 구조의 전극, 그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097B2 (ja) * 2014-01-22 2016-06-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9090A (ja) * 2014-09-05 2016-04-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回転電機。
JP6056041B1 (ja) * 2015-08-20 2017-01-11 株式会社潤工社 ケーブルコア及び伝送ケーブル
JP2017157460A (ja) 2016-03-03 2017-09-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コイル及び電気・電子機器
JP6781569B2 (ja) * 2016-04-25 2020-11-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及び絶縁電線の製造方法
CN110419083B (zh) * 2017-03-24 2022-06-07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绝缘电线
WO2018180847A1 (ja) * 2017-03-30 2018-10-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
WO2018180080A1 (ja) * 2017-03-31 2018-10-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
CN110574128A (zh) * 2017-04-28 2019-12-13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绝缘电线
WO2019188898A1 (ja) * 2018-03-30 2019-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
CN109003708B (zh) * 2018-07-26 2023-12-29 江苏中容电气有限公司 一种加强性绝缘网包半硬自粘换位导线
CN109935392B (zh) * 2019-03-14 2022-05-03 住井科技(深圳)有限公司 绝缘电线用清漆、绝缘电线以及电机
JP7143247B2 (ja) * 2019-05-24 2022-09-28 エセックス古河マグネットワイヤジャパン株式会社 絶縁電線、コイル、及び電気・電子機器
JP2024088510A (ja) * 2022-12-20 2024-07-02 エセックス古河マグネットワイヤジャパン株式会社 絶縁電線、コイル、回転電機および電気・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2200A (en) * 1960-10-12 1962-02-20 Phelps Dodge Copper Prod Magnet wir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276665B2 (ja) 1991-05-17 2002-04-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発泡絶縁電線の製造方法
JP3299552B2 (ja) 1991-07-23 2002-07-08 株式会社フジクラ 絶縁電線
JPH07282639A (ja) * 1994-04-11 1995-10-27 Hitachi Cable Ltd 低誘電率エナメル線
JP3496636B2 (ja) * 2000-02-16 2004-02-16 日立電線株式会社 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用塗料及び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
JP3911274B2 (ja) * 2004-04-14 2007-05-09 日立電線株式会社 エナメル線及びそれに用いる絶縁塗料
JP2006031980A (ja) * 2004-07-13 2006-02-02 Sumitomo Electric Wintec Inc 耐熱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るヒュージング方法
JP4584014B2 (ja) 2005-04-25 2010-11-17 日立マグネットワイヤ株式会社 耐部分放電性絶縁塗料、絶縁電線、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102541B2 (ja) * 2007-06-06 2012-12-19 日立電線株式会社 絶縁電線
JP2009212034A (ja) * 2008-03-06 2009-09-17 Hitachi Magnet Wire Corp 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用塗料及び耐部分放電性エナメル線
KR101477878B1 (ko) * 2010-03-25 2014-12-3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전선 및 그 제조방법
JP5449012B2 (ja) * 2010-05-06 2014-03-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電線、電気機器及び絶縁電線の製造方法
EP2555204B1 (en) * 2010-10-01 2018-02-14 Furukawa Electric Co., Ltd. Insulated wire
JP2012113836A (ja) * 2010-11-19 2012-06-14 Toyota Motor Corp 絶縁被覆導線および回転電機
CN103650065B (zh) * 2012-03-07 2016-11-23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含有气泡层的绝缘电线、电气设备及含有气泡层的绝缘电线的制造方法
JP5521121B2 (ja) * 2012-03-07 2014-06-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ワイヤ、電気機器及び絶縁ワイヤの製造方法
JP5486646B2 (ja) * 2012-07-20 2014-05-07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電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85A (ko) * 2020-11-26 2022-06-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어-시스 구조의 전극, 그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5725A4 (en) 2016-10-12
JP5972375B2 (ja) 2016-08-17
JPWO2014123122A1 (ja) 2017-02-02
CN104321832A (zh) 2015-01-28
CN104321832B (zh) 2017-04-05
US20150262732A1 (en) 2015-09-17
WO2014123122A1 (ja) 2014-08-14
TWI498925B (zh) 2015-09-01
CA2893045A1 (en) 2014-08-14
MY166682A (en) 2018-07-18
EP2955725A1 (en) 2015-12-16
TW201443931A (zh) 201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8015A (ko) 절연 전선 및 모터
JP6310533B2 (ja) 絶縁ワイヤ、電気機器および絶縁ワイヤの製造方法
KR101748477B1 (ko) 에나멜 수지 절연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절연 와이어 및 전기ㆍ전자 기기
JP5877159B2 (ja) 絶縁電線
KR101664536B1 (ko) 절연 와이어, 전기기기 및 절연 와이어의 제조방법
JP6016846B2 (ja) 絶縁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23049B (zh) Insulated wire, electrical / electronic machine and insulated wire manufacturing method
CN107004465B (zh) 绝缘电线、线圈和电气/电子设备以及绝缘电线的制造方法
TWI656538B (zh) Insulated wire, motor coil,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sulated wire
WO2017175516A1 (ja) 絶縁電線、コイルおよび電気・電子機器
JP6730930B2 (ja) 絶縁ワイヤおよび回転電機
WO2015098639A1 (ja) 多層絶縁電線、コイルおよび電気・電子機器
JP2011207955A (ja) 絶縁塗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