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980A - 선박용 다기능 콘솔 - Google Patents

선박용 다기능 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980A
KR20150117980A KR1020140043862A KR20140043862A KR20150117980A KR 20150117980 A KR20150117980 A KR 20150117980A KR 1020140043862 A KR1020140043862 A KR 1020140043862A KR 20140043862 A KR20140043862 A KR 20140043862A KR 20150117980 A KR20150117980 A KR 2015011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nitor
control
uni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박민식
김범준
이용백
김정렴
심성보
김영우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이마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마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980A/ko
Publication of KR2015011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3Specially adapted for sailing s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다기능 콘솔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관리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그 제어명령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그 제어명령을 기반으로 모니터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니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제1모니터의 상부에 상기 제1모니터와 경사지게 위치되는 제2모니터;와, 상기 입력부 및 모니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본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체에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콘솔의 전체적인 크기나 높이의 변화없이 2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어 선박 운항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UD 시스템을 통해서 더욱 많은 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하되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다기능 콘솔{Multi-function console for ships}
본 발명은 선박용 다기능 콘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콘솔의 전체적인 크기나 높이의 변화없이 2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어 선박 운항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UD 시스템을 통해서 더욱 많은 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하되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선박용 다기능 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용 콘솔(console)은 선박의 항해에 도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 제공하고, 선박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여 선박의 안전운항을 유도하는 장치로 통상 선박의 조종실에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선박용 콘솔은 하나의 모니터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구조로, 관리자가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화면을 전환하면서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야 함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제공받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이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콘솔 모니터의 화면을 분할하여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습득할 수는 있으나, 너무 작은 영상으로 인해 정확한 정보 습득이 곤란하여 이 또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모니터를 설치하여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으나,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항상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는 선박의 특성상 상기 콘솔의 크기 및 높이의 제약이 심하여 다수의 모니터를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현실적으로 곤란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선박용 콘솔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에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콘솔의 전체적인 크기나 높이의 변화없이 2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어 선박 운항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UD 시스템을 통해서 더욱 많은 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하되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선박용 다기능 콘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은 관리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그 제어명령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그 제어명령을 기반으로 모니터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니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제1모니터의 상부에 상기 제1모니터와 경사지게 위치되는 제2모니터;와, 상기 입력부 및 모니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2모니터를 통해서 선박의 상태 및 위치정보, 전자 해도, 기상정보 및 선박 운항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HUD(Head Up Display)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UD 시스템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영상을 출력하여 투명 반사창에 상이 맺히도록 하여 상기 투명 반사창에 영상이 출력 제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출력부와, 상기 영상출력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받아 출력하는 투명 반사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관리자에게 상기 투면 반사창을 통해서 영상은 제공하되 상기 투명 반사창으로 인해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운항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 반사창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동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와, 상기 회동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와, 양끝단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되, 내부에 상기 투명 반사창의 하부가 결합 고정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과 함께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상기 제2기어와 함께 상기 회동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동축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투명 반사창이 회동되어 상기 투명 반사창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회동모터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에 의하면, 본체에 제1모니터와 제2모니터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콘솔의 전체적인 크기나 높이의 변화없이 2개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어 선박 운항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UD 시스템을 통해서 더욱 많은 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하되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정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측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평면도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다기능 콘솔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100)은 입력부(10)와, 제어부(20)와,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와, 본체(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0)는 관리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그 제어명령을 제어부(20)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0)는 제어명령의 용이한 입력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와 마우스로 구체화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화면을 터치하여 명령을 전달하는 터치스크린 방식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상 관리자가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하는 제어명령은 선박 운항에 도움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상태 및 위치정보, 전자 해도, 기상정보 및 선박 운항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제어명령이 입력된다.
도 1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그 제어명령에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가 모니터(30,40)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관리자가 상기 모니터(30,40)를 통해서 선박 운항에 도움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니터(3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선박 운항에 도움되는 다양한 정보가 영상으로 출력 제공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니터(4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선박 운항에 도움되는 다양한 정보가 영상으로 출력 제공되도록 하되, 상기 제1모니터(30)의 상부에 상기 제1모니터(30)와 경사지게 위치시켜 2개의 상기 모니터(30,40)의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선박용 다기능 콘솔(100)의 전체적인 높이가 종래의 선박용 콘솔에 대비하여 높아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콘솔에 의해 관리자의 전방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는 상기 입력부(10) 및 모니터(30,4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0)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HUD(Head Up Display) 시스템(6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2모니터(30,40)와 함께 관리자에게 선박 운항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되,
상기 HUD 시스템(60)은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영상을 출력하여 투명 반사창(62)에 상이 맺히도록 하여 상기 투명 반사창(62)에 영상이 출력 제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출력부(61)와, 상기 영상출력부(6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61)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받아 출력하는 투명 반사창(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출력부(61)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투명 반사창(62)에 상이 맺혀 출력되므로, 관리자는 상기 투면 반사창(62)을 통해서 선박 운항에 도움되는 다양한 정보를 영상으로 제공받되, 상기 투명 반사창(62)으로 인해 관리자의 전방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되어 매우 효과적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다기능 콘솔(100)에서 HUD 시스템(60)의 영상출력부(61)는 3개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 반사창(62)에 3종류의 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하나, 상기 영상출력부(61)의 개수를 3개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부(61)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서 제어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동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동부(7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71)와, 상기 회동모터(71)의 축(71a)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71a)과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72)와, 양끝단이 상기 본체(50)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되, 내부에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하부가 결합 고정되는 회동축(73)과, 상기 회동축(73)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73)과 함께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72)와 치합되는 제2기어(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모터(71)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기어(72)가 회전되면, 상기 제1기어(72)와 치합되는 상기 제2기어(74)와 함께 상기 회동축(73)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동축(73)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투명 반사창(62)이 회동되어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시선 높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70)를 통해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투명 반사창(62)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UD 시스템(6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 반사창(62)을 접어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모터(71)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이 제어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선박용 다기능 콘솔(100)은 본체(50)에 상기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콘솔의 전체적인 크기나 높이의 변화없이 2개의 상기 모니터(30,40)를 사용할 수 있어 선박 운항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HUD 시스템(60)을 통해서 더욱 많은 정보를 관리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하되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선박의 안전운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다기능 콘솔(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입력부(1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그 제어명령이 제어부(20)로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20)에서는 제어명령과 관련된 정보가 제1모니터(30)와 제2모니터(4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관리자에게 선박 운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30,40)를 통해 영상으로 제공한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많은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HUD 시스템(60)의 투명 반사창(62)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30,4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함께 상기 HUD 시스템(60)을 통해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UD 시스템(6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동부(70)를 통해 상기 투명 반사창(62)을 접어 간편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중에는 관리자의 시선 높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70)를 통해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투명 반사창(62)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입력부 20. 제어부
30. 제1모니터 40. 제2모니터
50. 본체 60. HUD 시스템
61. 영상출력부 62. 투명 반사창
70. 회동부 71. 회동모터
71a. 축 72. 제1기어
73. 회동축 74. 제2기어
100. 선박용 다기능 콘솔

Claims (4)

  1. 선박용 콘솔(console)에 있어서,
    관리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그 제어명령을 제어부(20)로 전송하는 입력부(10);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그 제어명령을 기반으로 모니터(30,40)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제1모니터(30);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제1모니터(30)의 상부에 상기 제1모니터(30)와 경사지게 위치되는 제2모니터(40); 및
    상기 입력부(10) 및 모니터(30,40)의 위치를 고정하는 본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2모니터(30,40)를 통해서 선박의 상태 및 위치정보, 전자 해도, 기상정보 및 선박 운항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기능 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받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HUD(Head Up Display) 시스템(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기능 콘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UD 시스템(60)은,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영상을 출력하여 투명 반사창(62)에 상이 맺히도록 하여 상기 투명 반사창(62)에 영상이 출력 제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출력부(61)와,
    상기 영상출력부(6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61)에서 출력하는 영상을 받아 출력하는 투명 반사창(6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관리자에게 상기 투면 반사창(62)을 통해서 영상은 제공하되 상기 투명 반사창(62)으로 인해 관리자의 시야는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운항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기능 콘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동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동부(7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71)와,
    상기 회동모터(71)의 축(71a) 상에 형성되어 상기 축(71a)과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72)와,
    양끝단이 상기 본체(50)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되, 내부에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하부가 결합 고정되는 회동축(73)과,
    상기 회동축(73)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73)과 함께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기어(72)와 치합되는 제2기어(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동모터(71)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기어(72)가 회전하면, 상기 제1기어(72)와 치합되는 상기 제2기어(74)와 함께 상기 회동축(73)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동축(73)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투명 반사창(62)이 회동되어 상기 투명 반사창(62)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회동모터(71)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다기능 콘솔.
KR1020140043862A 2014-04-11 2014-04-11 선박용 다기능 콘솔 KR20150117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62A KR20150117980A (ko) 2014-04-11 2014-04-11 선박용 다기능 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862A KR20150117980A (ko) 2014-04-11 2014-04-11 선박용 다기능 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980A true KR20150117980A (ko) 2015-10-21

Family

ID=5440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862A KR20150117980A (ko) 2014-04-11 2014-04-11 선박용 다기능 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9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810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1550601B1 (ko) 촉감 피드백을 제공하는 곡면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10126748B2 (en) Vessel display system and small vessel including the same
US6124843A (en) Head mounting type image display system
JP56595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92136B1 (en) Projected button display system
WO2013051049A1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装置、レーダ装置、プロッタ装置、舶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視点変更方法及び視点変更プログラム
JP5837259B2 (ja) コンピュータ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である窓を有する船
WO2015146037A1 (ja) 車両用表示入力装置
JP201602094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134668A (ko) Hci 기반 선박용 다기능 콘솔
JP6394135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399803B1 (ko) 입력장치와 표시시스템
JP2016147532A (ja) 画像生成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6003860B2 (ja) 触覚提示装置
KR20150117980A (ko) 선박용 다기능 콘솔
JP2019034610A (ja) 車載システム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9459716B2 (en) Device having touch panel, radar apparatus, plotter apparatus, ship network system,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ing program
US20200379558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Visual Human-Machine Interaction
WO2016047367A1 (ja) 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および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の向き変更方法
JP5664323B2 (ja) 操作サポートシステム、車載器、及び、携帯端末
JP201516826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6236211B2 (ja) 輸送機器用表示装置
JP2018164223A (ja) 表示システム
JP2015045690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