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448A -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 Google Patents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448A
KR20150115448A KR1020140040522A KR20140040522A KR20150115448A KR 20150115448 A KR20150115448 A KR 20150115448A KR 1020140040522 A KR1020140040522 A KR 1020140040522A KR 20140040522 A KR20140040522 A KR 20140040522A KR 20150115448 A KR20150115448 A KR 2015011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cumin
composition
present
extract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511B1 (ko
Inventor
국윤모
배진건
안정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
테라벨류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 테라벨류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
Priority to KR102014004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2Curcumin, turmer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54Gell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72Pectine, pectin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생체 이용률 및 생체 흡수율이 개선된 미분화된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숙취 해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숙취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생체 이용률 및 생체 흡수율이 개선된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숙취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테라큐민을 함유함으로써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츄잉 가능한 카라멜 또는 구미 제형의 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Preparation for relieving hangover comprising Curcumin}
본 발명은 숙취 해소 및/또는 숙취 예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성분들이 갖는 효과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향상된 숙취 해소 및/또는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특정 제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 내의 알콜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와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되어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이 중 특히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에탄올에 비해 월등히 반응성이 높고 독성이 강하여 숙취 및 알콜성 부작용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II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I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아세트알데히드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틸알콜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 받아 다양한 숙취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주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약효 성분들을 이용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숙취를 제거하고, 혈중 알콜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의 연구가 그 동안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뚜렷한 성과가 있는 제제는 없었다.
한편 유효성분이 현탁 또는 분산된 구미(gummy) 제형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특히 냉각, 건조 등의 과정에서 유효성분이 침전하여 함량, 성상 등의 불균일성을 종종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 전반에 대해 우수한 약효를 가지면서 종래에 복합적으로 이용된 바 없는 새로운 조성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혈액 내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두통,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근육통 등과 같은 숙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형적 안정성이 개선된 구미(gummy) 제형의 커큐민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생체 이용률 및 생체 흡수율이 개선된 커큐민(Curcumin)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께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체 흡수율과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킨 특정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한 결과, 각각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상기 커큐민과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존 숙취 해소 음료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효과를 갖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에 기초한다.
커큐민은 강황의 주성분으로, 숙취 해소, 간 기능 개선, 근육 피로도 개선, 피부 수분도 증가 등 항산화에 효과적인 반면 낮은 용해도와 흡수율로 인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커큐민의 입도 (D50, D50은 입도 누적분포에서 최대값의 50%에 해당하는 값임)는 평균 약 20 ㎛ 정도로 용해도가 0.0001mg/ml에 불과하여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이러한 커큐민의 단점을 극복하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생체 이용률과 생체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커큐민의 입자 사이즈를 나노 입자(nano particle) 단위로 제작할 경우 생체 내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평균 입도가 약 100 내지 900 nm인 커큐민의 경우 용해도가 크게 향상되고 체내 흡수율이 증가될 수 있어 체내 이용률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 중에서 테라큐민은 상기 커큐민의 용해도와 체내 흡수율을 개선시켜 활용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개선된 고용해도, 고흡수율을 활용해 숙취해소, 간 기능 개선, 피부 건조개선, 근육 피로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낙엽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헛개나무는 잎, 가지, 열매 등을 모두 약으로 사용하는데, 예로부터 주독 해독, 정혈, 이뇨, 갈증해소, 해독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헛개나무 추출물이 숙취 해소 및 간기능 보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헛개나무의 주요 기능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hovenitin Ⅰ, Ⅱ, Ⅲ, (+)-ampelopsin, laricetrin, myrcetin, (+)-gallocatechin 등이 보고되어 있고, 사포닌(saponin)과 글리코사이드(glycoside) 계열의 hovenidulcioside, hovenodulinol, hodulsin, hodul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유효성분들은 간을 보호해주고 알코올 중독과 숙취를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기 커큐민, 특히 용해도를 개선한 커큐민과 헛개나무를 동시에 사용하여 숙취 해소 효과를 얻었다는 사실은 확인된 바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체내 흡수율과 이용률이 개선된 커큐민과 함께 헛개나무(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하여 숙취 해소 및 예방 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커큐민은 전기영동광산란법(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레이저 도플러법) (예를 들어, ELS-8000 이용)으로 측정한 평균 입도(D50)가 100 내지 90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nm일 수 있다. 상기 입도 범위에서 커큐민의 용해도가 우수하며, 체내 흡수율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분화된 커큐민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목적상 테라큐민TM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테라큐민은 평균 입도가 약 0.19~0.3 ㎛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커큐민, 특히 미분화된, 특정 입도를 가지는 커큐민(예를 들어, 테라큐민TM)과 헛개나무 추출물, 특히 헛개나무의 열매 추출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숙취 증상에 대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커큐민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께 이용한 숙취 해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더욱이,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각각 사용할 때 보다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때 나타나는 시너지 효과에 의해 음주 후 나타나는 부작용들에 대한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숙취 해소 효과가 탁월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숙취 해소"라 함은 음주 후에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이 완화, 개선 또는 치유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혈액 내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두통,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근육통 등과 같은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큐민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해낸 추출물을 의미하며, 추출 후 분획, 분리, 여과 등의 방법으로 추가적으로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은 헛개나무,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열매의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건조물일 수 있다. 헛개나무 추출 시 추출 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은 혼합 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제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상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헛개나무 (열매) 중량대비 10 내지 100배가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배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교반 추출,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여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20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헛개나무,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열매를 음건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를 헛개나무 분쇄물의 1 내지 20배 부피량만큼 가하여 추출하고 나서, 선택적으로 (감압)농축, 건조 또는 정제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추출용매를 가하여 유효성분물질을 추출하되 (a)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b) 5 내지 37℃의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숙취 해소를 위한 헛개나무 추출물은 헛개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분획물은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클로로포름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건조시키기 전의 액상 상태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이용하거나 건조된 헛개나무 추출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 적당한 용매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물보다 극성이 낮은 용매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각각의 층을 분리한 다음 각 층을 감압 농축 및/또는 건조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는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 건조일 수 있으나, 동결 건조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건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미분화된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은 1:2 내지 1:9의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각각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상기 함량 범위에서 상기 성분들의 혼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가장 뛰어났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함량 범위에서 비용 대비 가장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로 비오페린, 비타민B1 질산염, 비타민B6 염산염, 비타민 C, 글루콘산 마그네슘, 무수구연산, 펙틴, 젤란검, 벌꿀, 황금 추출물 및 과일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 이외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들은 특별히 함량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적절한 양이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 즉 액제, 현탁제, 캡슐제, 정제, 껌, 환제, 과립제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음료, 드링크제 등과 같은 액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음주 전 또는 음주 후 섭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주 30분 전 섭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분화된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에 의한 숙취 해소 또는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테라큐민을 함유하며,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츄잉 가능한(chewable) 제형 또는 구미(gummy)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츄잉 가능한 제형 또는 구미 제형은 사탕, 캬라멜, 젤리 등의 형태로 씹을 수 있으며, 끈적끈적한 점성을 갖는 제형이면 모두 해당될 수 있으며, 특별히 상기 사탕, 젤리, 캬라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츄어블 또는 구미 제형에는 젤라틴, 옥수수 시럽, 슈크로즈 시럽, 글루코스 시럽 및 기타 천연 및 인공 감미제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성분들은 츄잉 가능한 제품 또는 구미 제형의 제품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미 제형의 조성물은 섭취가 용이하고, 부피를 적게 차지하고,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숙취 해소를 위한 조성물, 특히 본 발명의 커큐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형으로 구미 제형에 대해 연구해왔다.
그러나, 분말 형태의 입자들은 용매 분산성이 좋지 않으며, 게다가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커큐민 성분의 배합 및 건조 과정에서 침전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분말 형태의 입자 대신 주재(主材)를 농축물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일반적인 커큐민의 경우 재료의 배합 후 건조 과정에서 입자 크기에 따른 층을 형성하거나, 침전이 일어날 수 있어 커큐민이 제제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아, 구미 제제의 제형적 안정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큐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의미는 제품 내에 테라큐민 입자가 골고루 분산되어 있고, 분말의 침전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효성분인 커큐민이 제제 내에 고루 분포될 수 있고, 제형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통상적인 커큐민 대신에 특정 입자 사이즈, 특히 미분화된 입자 사이즈를 갖는 커큐민인, 본 발명의 테라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제형적 안정성이 개선된 커큐민 함유 구미 또는 츄어블 카라멜 제제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커큐민은 전기영동광산란법(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레이저 도플러법) (예를 들어, ELS-8000 이용)으로 측정한 평균 입도(D50)가 100 내지 90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nm일 수 있다. 상기 입도 범위에서 커큐민의 용해도가 우수하며, 상기 입도 범위의 커큐민은 배합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입자 분산도가 우수하여 제형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입자 크기에 따른 분리. 이와 같은 미분화된 커큐민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목적상 테라큐민TM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테라큐민은 평균 입도가 약 0.19~0.3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커큐민을 포함하는 구미 또는 츄어블 카라멜 제형의 제제는 숙취 해소의 목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헛개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분화된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조성물은 각각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미분화된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때 나타나는 시너지 효과에 의해 음주 후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을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용하기 간편한 드링크제로 활용할 수 있어, 음주 전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형적 안정성이 개선된,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츄잉 가능한 제형 또는 구미 제형의 제제를 제공한다. 커큐민의 입도를 나노 사이즈로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구미 제형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형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섭취가 용이한 제형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그룹의 혈액 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테라큐민, 인도산 커큐민, 및 국내 유통 커큐민을 포함하는 젤리에 있어서, 입자들의 분산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①은 테라큐민 파우더, ②는 인도산 커큐민 파우더 ③은 인도산 커큐민 액 ④는 국내 유통되는 커큐민 파우더가 포함된 젤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테라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드링크제 제조
80℃ 이상의 열수 1리터에 하기 표 1의 성분 중 젤란검 및 펙틴을 먼저 완전 용해하고 향을 제외한 원료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혼합한 후, 정제수(열수)를 가해 전체 부피 4 리터로 제조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온멸균하여 100mL씩 충진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하기 성분들의 함량은 중량%로 나타냈다.
성분 함량(단위: 중량%)
심황색소(테라큐민CR-011L) 0.4732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F 0.9500
비오페린(bioperine) 0.0003
비타민B1질산염(81%) 0.0052
비타민B6염산염(82%) 0.0025
비타민C 0.1250
글루콘산마그네슘(5.45%) 0.1000
시트러스펙틴 0.1000
젤란검 0.0200
열대과일농축액 3.0000
레드오렌지농축액 2.4000
벌꿀 2.0000
결정과당 6.5304
효소처리스테비아(레바텐G180) 0.0300
무수구연산 0.1760
씨클로덱스트린시럽(네오덱스) 0.5000
복합황금농축액 0.1000
합성향(망고리치향) 0.15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비교예 1-4. 테라큐민 함유 드링크제 제조
하기 표 2는 테라큐민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테라큐민(Theracurmin) 300mg (비교예 2) 및 500mg (비교예 3)과, 테라큐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 (비교예 1)의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낸 표이다. 단위는 중량%이다.
성분명 비교예 1
대조군
비교예 2
Theracurmin 300mg
비교예 3
Theracurmin 500mg
비교예 4
테라큐민 - 0.43 0.7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분말 80 g
효소처리스테비아 0.08 0.08 0.08
무수구연산 0.40 0.40 0.40
복합황금농축액 0.10 0.10 0.10
드링크향 0.50 0.50 0.50
치자옐로우1500CR 0.05 0.05 0.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00 100.00 100.00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은 80℃ 이상의 열수에 상기 표 2의 함량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한 후, 정제수(열수)를 가하여 4 리터 부피로 제조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온멸균하여 병에 100mL씩 충진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19세 이상, 체중 50Kg의 남성 30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6명씩 다섯 그룹으로 나누고, 식사를 하지 않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알코올 섭취량은 알코올 0.5g/Kg으로 정하고 실험 대상자 30명에게 6시부터 1.5시간 동안 15분 간격으로 정해진 알코올을 섭취시켰다. 음주 완료 후 각자에게 배정된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을 음주 30분 전에 100 mL씩 섭취시켰다. 음주 후 30분부터 12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팔 정맥에서 채혈하여 성분 분석을 위한 전처리를 한 후 체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테라큐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의 경우 음주 후 4 시간까지 여전히 높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냈다. 테라큐민 성분이 함유된 비교예 2 및 3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은 상대적으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비교예 1에 비해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2 및 3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의 경우에도 여전히 음주 후 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도 혈액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500ppb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취 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헛개 추출물(비교예 4)을 섭취한 군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아주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테라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한 군의 경우에는 섭취 후 음주를 시작한 시점부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다른 군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 후 30분이 경과한 시점부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약 500ppb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테라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이들간의 상호 시너지 작용에 의해 체내 아세트알데히드 축적 농도가 크게 감소된 것으로 생각되며, 더욱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4에서 사용한 헛개나무 추출물의 절반에 해당하는 40 g 정도만 사용하였음에도 현저히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음주 후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비교한 결과, 비교예 2의 테라큐민에 의해 감소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약 1500ppb이고, 비교예 4의 헛개나무 추출물에 의해 감소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약 500ppb였다. 그러나 실시예 1의 경우 테라큐민의 농도는 비교예 2와 동일하나, 헛개나무 추출물의 양을 그 절반만 사용하였음에도 2000ppb 정도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테라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보다 이들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시너지 효과에 의해 알코올 분해가 촉진되어 체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험예 2. 숙취증상 해소 관능 평가
실험예 1과 동일한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숙취증상 해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인 숙취 증상을 적시하고 음주자의 반응이 아주 심한 경우 5점, 심한 경우 4점, 약간 심한 경우 3점, 보통인 경우 2점, 없는 경우 1점으로 한 설문지를 음주 후 4시간, 8시간, 12시간 후 3회에 걸쳐 작성하도록 하여 비교 검토하여 이를 표 3에 나타냈다. 설문은 비교예 2 내지 4 및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그룹에 대해서만 실시하였다.
졸음 두통 어지러움 속쓰림 집중곤란 무력감
음주 4시간 후 비교예 2 4.2±0.8 4.0±0.5 4.5±0.3 3.7±0.4 4.2±0.5 3.8±0.6
비교예 3 4.1±0.8 3.8±0.7 3.9±0.5 3.2±0.5 3.9±0.5 3.2±0.6
비교예 4 4.7±0.8 4.1±0.9 4.2±0.7 3.5±0.8 4.0±0.4 3.6±0.5
실시예 1 2.8±0.6 2.3±0.6 2.9±0.7 2.5±1.0 3.1±0.4 2.6±0.7
음주 8시간 후 비교예 2 4.0±0.5 3.8±0.9 4.2±0.6 3.8±0.8 4.0±0.7 4.0±0.7
비교예 3 3.9±0.6 3.0±1.0 3.3±0.5 3.0±0.6 3.6±0.7 3.0±0.6
비교예 4 3.9±0.8 3.5±0.7 3.9±0.5 3.2±0.5 3.8±0.5 3.2±0.6
실시예 1 2.2±0.4 2.0±0.5 2.0±0.5 1.8±0.6 2.1±0.7 1.5±0.6
음주 12시간 후 비교예 2 2.9±0.7 2.5±0.7 3.3±0.5 3.4±0.8 3.2±0.5 3.2±0.6
비교예 3 2.8±0.6 2.3±0.6 2.9±0.7 2.5±1.0 3.1±0.4 2.6±0.7
비교예 4 2.8±0.6 3.0±1.0 3.3±0.5 3.0±0.6 3.6±0.7 3.0±0.6
실시예 1 1.8±0.4 1.9±0.5 2.0±0.5 1.8±0.6 2.1±0.7 1.5±0.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음주 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실시예의 경우 대부분이 2 점대의 점수를 받아 상대적으로 숙취 증상이 많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2 내지 4에서는 음주 4시간이 경과된 시점에는 3점대 후반 및 4점대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음주 12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여전히 숙취 증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테라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은 각각 사용한 경우보다 훨씬 더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제형 안정성 비교
테라큐민(테라밸류 사), 인도산 커큐민 파우더, 인도산 커큐민 액, 및 국내 유통 커큐민(푸른잎 b&f)을 각각 준비하였다. 일반적인 젤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통하여 각각 테라큐민, 인도산 커큐민 및 국내 유통 커큐민을 함유하는 젤리를 제조하였다.
아래 표 4는 한천 혼합용액에 상기 네 가지 종류의 커큐민을 가한 후 냉각한 상태에서 젤리상의 혼합물의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테라큐민 인도산 커큐민 파우더 인도산 커큐민 액 국내 유통 커큐민
분산성 매우 우수 나쁨 좋음 보통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테라큐민이 함유된 젤리상은 냉각 후 테라큐민의 분산도가 매우 우수하여, 침전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인도산 커큐민과 국내 유통 커큐민을 이용한 경우 하단에 입자들의 침전이 관찰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테라큐민을 함유한 경우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을 나타내고, 입자가 고루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라큐민이 다른 커큐민들에 비해서 구미 제형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유효성분으로 미분화된 커큐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화된 커큐민은 평균 입도가 100 내지 9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는 헛개나무의 열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큐민과 헛개나무 추출물은 1:2 내지 1:9 (커큐민:헛개나무 추출물)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오페린, 비타민B1 질산염, 비타민B6 염산염, 비타민 C, 글루콘산 마그네슘, 무수구연산, 펙틴, 젤란검, 벌꿀, 복합황금 추출물 및 과일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유효성분으로 테라큐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츄잉 가능한 또는 구미 제형의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라큐민은 평균 입도가 100 내지 9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숙취 해소 또는 예방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20140040522A 2014-04-04 2014-04-04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KR10231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522A KR102313511B1 (ko) 2014-04-04 2014-04-04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522A KR102313511B1 (ko) 2014-04-04 2014-04-04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48A true KR20150115448A (ko) 2015-10-14
KR102313511B1 KR102313511B1 (ko) 2021-10-14

Family

ID=5435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522A KR102313511B1 (ko) 2014-04-04 2014-04-04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48596A1 (it) * 2017-05-05 2018-11-05 Gabriele Bilancini Composizione a base di estratti di curcuma
WO2019017603A3 (ko) * 2017-07-20 2019-03-07 주식회사 네츄럴 라이프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102263636B1 (ko) 2020-12-01 2021-06-10 류종혁 숙취 해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539A (ja) 2003-05-06 2004-11-25 Maruzen Pharmaceut Co Ltd 肝臓疾患予防治療剤及び肝臓疾患予防治療用飲食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48596A1 (it) * 2017-05-05 2018-11-05 Gabriele Bilancini Composizione a base di estratti di curcuma
WO2018203195A1 (en) * 2017-05-05 2018-11-08 Bilancini Gabriele Turmeric extracts based compositions
WO2019017603A3 (ko) * 2017-07-20 2019-03-07 주식회사 네츄럴 라이프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102263636B1 (ko) 2020-12-01 2021-06-10 류종혁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220077056A (ko) 2020-12-01 2022-06-08 류종혁 숙취 해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11B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1002B2 (ja) 精製されたプロポリス抽出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DE102004052800B4 (de) Verbesserte Trägerformulierungen
US8137712B2 (en) Rehydration beverage
CN109985042A (zh) 一种含有大麻二酚或大麻提取物和咖啡因的组合物及其应用
WO2016099043A1 (ko) 숙취해소용 및 간기능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99427A1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313511B1 (ko)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JP2013203683A (ja)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080020067A1 (en) Skin Moisturizer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JPH04316459A (ja) プロポリス成分含有固状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AT507988B1 (de) Kaktusfruchtextrakt
US9173916B2 (en) Method of preparing a muscadine pomace extract
JP2742868B2 (ja) プロポリスエキス含有飲料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JP2003310212A (ja) 水分散性又は水溶解性のバナバ葉抽出物組成物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JP2004175672A (ja) グリチルリチン酸含有経口用液剤
KR20100094015A (ko) 흑도라지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
JP4982648B2 (ja) 金属沈着抑制剤
CN103520471B (zh) 一种中药合剂的苦味掩盖剂
KR20170136785A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101313640B1 (ko) 홍삼 농축액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홍삼 우유
KR100690071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