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056A -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056A
KR20220077056A KR1020210066052A KR20210066052A KR20220077056A KR 20220077056 A KR20220077056 A KR 20220077056A KR 1020210066052 A KR1020210066052 A KR 1020210066052A KR 20210066052 A KR20210066052 A KR 20210066052A KR 20220077056 A KR20220077056 A KR 2022007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ngover
composition
relieving
r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790B1 (ko
Inventor
류종혁
Original Assignee
류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혁 filed Critical 류종혁
Priority to KR1020210066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에 있어서, 갈대 추출물은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ntaining for relieving hang over}
본 발명은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 내의 알콜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와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되어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이 중 특히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에탄올에 비해 월등히 반응성이 높고 독성이 강하여 숙취 및 알콜성 부작용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II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I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아세트알데히드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틸알콜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 받아 다양한 숙취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주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약효 성분들을 이용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드링크류의 경우,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는 헛개나무 추출물 등을 주로 이용하여 알코올 대사물에 대한 해소 효과 및 간기능 개선효과를 가진다. 다만, 액체류로 주로 구성되어 있어 복용이 불편하고 복수의 알코올 분해 효과가 있는 성분의 조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가 없다는 한계점이 지적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15448(2015.10.14)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갈대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은, 갈대 추출물은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한다.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4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강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헛개열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당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및 당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의 배합비는 1 : 0.4 내지 0.6 : 0.3 내지 0.5 : 0.1 내지 0.3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아카시아 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은 직경 0.3 내지 0.5 mm 의 환 현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의 표면은 노란 색상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갈색 색상을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명도(Lightness) 70 내지 100, 적색도(Redness) 0 내지 10 및 황색도 (Yellowness) 5 내지 2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명도 20 내지 50, 적색도 -5 내지 5 및 황색도 5 내지 15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숙취해소 유효성분으로 갈대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 간 해독 효과 뿐 아니라, 해열 효과, 구취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갈대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을 함께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해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은 커큐민을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강황 추출물 및 갈대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환으로 성형시 시각적으로도 높은 명도 및 황색 색상을 가짐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갈대 추출물과 헛개열매 추출물을 함께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해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갈대 추출물과 헛개열매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당류, 예를 들어 아카시아 꿀을 포함함으로써, 환으로 성형시 알코올 분해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접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착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갈대 추출물 및 헛개열매 추출물의 쓴맛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해독 효과를 가지고, 해열 효과, 구취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색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숙취해소 유효성분으로 갈대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 간 해독 효과 뿐 아니라, 해열 효과, 구취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갈대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을 함께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해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은 커큐민을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강황 추출물 및 갈대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환으로 성형시 시각적으로도 높은 명도 및 황색 색상을 가짐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갈대 추출물과 헛개열매 추출물을 함께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해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갈대 추출물과 헛개열매 추출물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알코올 분해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당류, 예를 들어 아카시아 꿀을 포함함으로써, 환으로 성형시 알코올 분해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이 효과적으로 접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착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갈대 추출물 및 헛개열매 추출물의 쓴맛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해독 효과를 가지고, 해열 효과, 구취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갈대(reed)는 벼과 갈대속의 다년초로 하천 및 호수, 습지나 갯가의 모래땅에 키가 큰 군락을 형성한다. 세계의 온대와 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많은 황색의 수염뿌리가 난다. 갈대 뿌리는 단맛이 있으며 폐경, 위경 등에 작용하며 해열 작용 및 이뇨 작용이 있으며 숙취를 없애는 효능이 있어 한방 및 약초로 사용되어 왔다. 갈대 뿌리에는 당분, 고무질, 단백질, 무기염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뇨, 지갈, 해독, 진토 등 약리효과가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낙엽활엽교목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헛개나무는 잎, 가지, 열매 등을 모두 약으로 사용하는데, 예로부터 주독 해독, 정혈, 이뇨, 갈증해소, 해독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헛개나무 추출물이 숙취 해소 및 간기능 보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헛개나무의 주요 기능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hovenitin Ⅰ, Ⅱ, Ⅲ, (+)-ampelopsin, laricetrin, myrcetin, (+)-gallocatechin 등이 보고되어 있고, 사포닌(saponin)과 글리코사이드(glycoside) 계열의 hovenidulcioside, hovenodulinol, hodulsin, hodul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유효성분들은 간을 보호해주고 알코올 중독과 숙취를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Curcuma Longa)는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 분포하는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약재나 카레 가루의 향신료로 쓰인다. 강황의 주 성분인 커큐민(Curcumin)은 혈액순환에 좋아 통증을 치료하고, 월경 불순 및 월경통과 같은 자궁 질환에 효과가 있다. 또한 속쓰림, 소화불량 등 위장질환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커큐민을 섭취시 간 손상을 나타내는 효소(ALT)의 수치가 떨어지는 등 숙취 해소 효과가 입증되었다. 강황의 간질환 치료 및 숙취 해소 효과는 동의보감 등에도 기재된 바 있다.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은, 갈대 추출물은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4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강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헛개열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취해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당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취해소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및 당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의 배합비는 1 : 0.4 내지 0.6 : 0.3 내지 0.5 : 0.1 내지 0.3을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및 당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의 중량비는 40 내지 50 중량비 : 20 내지 30 중량비 : 10 내지 30 중량비 : 5 내지 15 중량비를 만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및 당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의 중량비는 43 내지 47 중량비 : 23 내지 29 중량비 : 15 내지 25 중량비 : 7 내지 13 중량비를 만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 헛개열대 추출물 및 갈대 추출물의 배합비가 5 : 3 : 2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효과가 있는 강황 추출물, 헛개 열매추출물, 갈대 추출물 3개의 조성물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분해효과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해열효과 및 구취 억제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제조예 1 :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원료를 중량대로 계량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비(wt%)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갈대 추출물 - 15 20 30
헛개열매 추출물 60 30 25 15
강황추출물 30 45 45 45
10 10 10 10
갈대 추출물은 갈대 또는 갈대 뿌리 원재료를 분말형태로 제분하여 마련될 수 있다. 헛개열매 추출물은 헛개열매 원재료를 분말형태로 제분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은 강황 원재료를 분말형태로 제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제분된 상기 원재료 들을 환 형태로 성형하여 섭취 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액, 탕약, 드링크 등 다양한 섭취 가능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실험예 1.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성인 남성 20명(19세 이상, 체중 60kg 이상)을 선별하여, 공복을 4시간 이상 유지한 상태에서 알코올 섭취를 통해 알코올 분해 효과를 검증하였다.
성인 남성 20명을 4개의 집단(1개 집단 단 5명)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 평균 체중이 거의 동일하도록 설정하였으며, 전술한 비교예1 및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 환제를 3.5g씩 섭취하도록 한뒤, 30분 후에 동일한 알코올 섭취를 하도록하였다. 알코올 섭취는 0.5g/Kg으로 설정하였다.
음주 후 30분이 지난 이후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4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아세트 알데히드를 측정하였다.
단위 : 아세트알데히드 농도(ppb)
음주 음주후 30분 음주후
2시간
음주후 4시간
비교예 0 1251 721 371
실시예1 0 542 428 192
실시예2 0 449 372 121
실시예3 0 632 465 214
실험 결과에 따르면, 갈대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의 경우 음주 30분 후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1251 ppb로 나타났으나, 갈대추출물이 헛개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과 혼합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모두 650 ppb 이하로 더 우수한 알코올 분해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한 숙취 증상에 대한 관능 평가에 있어서, 두통 및 어지러움에 대해서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가 가장 낮은 실시예 2가 가장 우수하다고 집계되었다.
실험예 2. 색도 측정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2 숙취해소 조성물 3g을 취하여, 색도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색도는 MINOLTA 색도색차계(MINOLTA Chroma Meter CR-300, Konica Minolta, Inc., JAPAN)를 이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 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 값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반복적으로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표시하였고, 이 때 사용된 표준색은 L* 값은 92.17, a* 값은 -0.22, b* 값은 2.85인 백색 표준판을 사용하였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환 형상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100)은 강황 성분이 다량 함유된 황색의 제1 영역(110)과 갈대 추출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이 다량 함유된 갈색의 제2 영역(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양 영역의 색상이 확연이 구분되는바, 색도 분석은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으로 구분하여 진행하도록 한다. 숙취해소 조성물(100)은 직경 0.3 내지 0.5 mm 의 환 현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숙취해소 조성물(100)은 복용이 용이할 수 있다.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실시예1
제1 영역
82.157 3.844 15.663
실시예1제2 영역 37.070 -0.235 7.891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100)의 표면은 노란 색상을 가지는 제1 영역(110) 및 갈색 색상을 가지는 제2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0)은 명도(Lightness) 70 내지 100, 적색도(Redness) 0 내지 10 및 황색도 (Yellowness) 5 내지 20인 것 일 수 있다. 제2 영역(120)은 명도 20 내지 50, 적색도 -5 내지 5 및 황색도 5 내지 15 인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숙취해소용 조성물
110 : 제1 영역 120 : 제2 영역

Claims (5)

  1. 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로서,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및 당류를 더 포함하고,
    강황 추출물, 헛개열매 추출물, 갈대 추출물 및 당류의 중량비는 43 내지 47 중량비 : 23 내지 29 중량비 : 15 내지 25 중량비 : 7 내지 13 중량비를 만족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은 직경 0.3 내지 0.5 mm 의 환 현상을 가지고,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의 표면은 노란 색상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갈색 색상을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아카시아 꿀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명도(Lightness) 70 내지 100, 적색도(Redness) 0 내지 10 및 황색도 (Yellowness) 5 내지 20인 것인 숙취해소 조성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명도 20 내지 50, 적색도 -5 내지 5 및 황색도 5 내지 15 인 것인, 숙취해소 조성물.
KR1020210066052A 2020-12-01 2021-05-24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56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052A KR102569790B1 (ko) 2020-12-01 2021-05-24 숙취 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534A KR102263636B1 (ko) 2020-12-01 2020-12-01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210066052A KR102569790B1 (ko) 2020-12-01 2021-05-24 숙취 해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34A Division KR102263636B1 (ko) 2020-12-01 2020-12-01 숙취 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056A true KR20220077056A (ko) 2022-06-08
KR102569790B1 KR102569790B1 (ko) 2023-08-22

Family

ID=763782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34A KR102263636B1 (ko) 2020-12-01 2020-12-01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210066052A KR102569790B1 (ko) 2020-12-01 2021-05-24 숙취 해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534A KR102263636B1 (ko) 2020-12-01 2020-12-01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3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6B1 (ko) * 2020-12-01 2021-06-10 류종혁 숙취 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520A (ko) * 2005-05-06 2006-11-09 (주) 주당천연음료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KR20150115448A (ko)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한독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KR20180085603A (ko) * 2017-01-19 2018-07-27 (주)없었던일로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
KR102263636B1 (ko) * 2020-12-01 2021-06-10 류종혁 숙취 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520A (ko) * 2005-05-06 2006-11-09 (주) 주당천연음료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KR20150115448A (ko)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한독 커큐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제제
KR20180085603A (ko) * 2017-01-19 2018-07-27 (주)없었던일로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
KR102263636B1 (ko) * 2020-12-01 2021-06-10 류종혁 숙취 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숙취해소에는 그린너트 헛개로확깨 아주 좋아~! 네이버 블로그. 2020.06.10., [2021.01.18. 검색], 인터넷: <https://blog.naver.com/valencia3/221995233276> 1부.* *
숙취해소음료 이왕이면 맛있는 레디큐! 네이버 블로그. 2020.10.29., [2021.01.15. 검색], 인터넷: <https://blog.naver.com/hawamama/222130014180> 1부.* *
술자리 필수 소지품, 숙취해소제 첫잔 전에 리뷰. 네이버 블로그. 2020.09.14., [2021.01.15. 검색], 인터넷: <https://blog.naver.com/hamaket/22208938165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90B1 (ko) 2023-08-22
KR102263636B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281B1 (ko) 29가지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Gupta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erminalia chebula Retz.(Haritaki)-An overview
Boskabady et al. Pharmacological effects of Rosa damascena
Cambie et al. Fijian medicinal plants
Koh et al. A guide to medicinal plants: an illustrated, scientific and medicinal approach
Lawal et al. Ethno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Morinda lucida
Vinha et al.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from Portugal
Shahwar et al. Hypoglycemic Activity of Ruellia tuberosa Linn (Acanthaceae) in Normal and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Hypoglycemic Activity of Ruellia tuberosa Linn
Ibrar et al. Quantitative ethnobotanical survey of medicinal flora thriving in Malakand Pass Hills, Khyber Pakhtunkhwa, Pakistan
Nagarajan et al. Pharmacology of Ativisha, Musta and their substitutes
Jadhav et al. Herbal medicine: Syzygium cumini: A review
Kazeem et al. In vitro study on the hypoglycemic potential of Nicotiana tabacum leaf extracts
Rahman et al. Ethnobotanic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terocarpus marsupium: a review
Parra et al. An overview on various aspects of plant Berberis Lycium Royale
KR102263636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Singh et al. Bioactive compounds of corn silk and their role in management of glycaemic response
GB2425476A (en) Multi-herb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SARS
Hussain et al. A review on 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profile of Asparagus racemosus Willd
Choudhary et al. Vaibidang (embelia ribes): A potential herbal drug in ayurveda with anthelmintic property
Patarakijavanich et al. A review of the antidiabetic potential of Mangifera indica leaf extract
Irinmwinuwa et al. Review of herbal plant associated with anti-anemic property and mechanism of action
US6613362B2 (en) Herbal formulation which acts as an intestinal bowel soother
Naim et al. Quercus infectoria (Mazu): a review
Amanullah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a Unani medicinal plant: Tribulus terrestris Linn
Srinivasan et al. An overview of the traditional importance,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Sida acuta Burm. 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