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086A -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086A
KR20150113086A KR1020157023188A KR20157023188A KR20150113086A KR 20150113086 A KR20150113086 A KR 20150113086A KR 1020157023188 A KR1020157023188 A KR 1020157023188A KR 20157023188 A KR20157023188 A KR 20157023188A KR 20150113086 A KR20150113086 A KR 2015011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nd
vacuum cleaner
hand held
held vacuu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330B1 (ko
Inventor
헨리크 트로베르그
Original Assignee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filed Critical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Publication of KR2015011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일 양태에 따라,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용 충전 스탠드(1)가 제공된다. 충전 스탠드는 표면 상에서 충전 스탠드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제1 부분(3),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제2 부분(4), 및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된 전기 접촉부(8)를 포함한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경첩식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충전 스탠드가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배열된 록킹 수단(6)을 포함한다. 충전 스탠드가 상이한 저장 요건에 대한 개선된 적응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CHARGING STAND FOR A HANDHELD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 분야에 관한 것이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한 손으로 조작되도록 그리고 배터리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 받도록 구성된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하나의 유형이다. 그러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테이블, 가구 또는 다른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을 진공 청소하는데 적합하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통상적인 실린더형(canister) 진공 청소기 또는 로봇 진공 청소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다(약 1 kg의 중량을 가진다). 그러한 진공 청소기에 적합한 충전 스탠드는 일반적으로 다소 작고,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자체의 크기와 유사한(comparable) 크기를 가지며, 그리고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부엌 내의 선반이나 테이블과 같은 제한된 지역 상에 세워지도록 또는 벽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의 예가 US4670701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충전 스탠드의 단점은, 스탠드가 수평 표면 상에 세워지는 것으로 제한되고 직립 위치의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상응하는 최소 높이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경감하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를 성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특히,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가 상이한 저장 요건들에 대한 개선된 적응성(adaptability)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심 사항 중 하나 이상을 보다 잘 해결하기 위해서, 독립청구항에 규정된 특징을 가지는 충전 스탠드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청구항에 규정되어 있다.
일 양태에 따라,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가 제공된다. 충전 스탠드는 표면 상에서 충전 스탠드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제1 부분,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제2 부분, 및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된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경첩식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충전 스탠드가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배열된 록킹(locking) 수단을 포함한다.
본 충전 스탠드는, 진공 청소기가 충전되는 저장 공간에 맞춰, 또는 다른 저장 요건에 맞춰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가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에서(즉,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길이방향이 표면을 따라서 지향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제한된 높이를 가지는 저장 공간에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탠드가 실질적으로 직립 위치에서(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길이방향이 표면을 가로질러 지향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제한된 폭을 가지는 저장 공간에서 또는 점포 및/또는 부엌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충전 스탠드가 상이한 저장 요건에 대한 개선된 적응성을 가진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최소 각도와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최대 각도 사이에서, 제2 부분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을 것이고, 최소 각도는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 내지 10°(예를 들어 약 0°)의 간격 내에 포함되고, 최대 각도는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약 70° 또는 72°)의 간격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각도 간격은, 충전 스탠드가 접혀져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최대 각도)에서 그리고 직립(수직에 근접) 위치(최대 각도)에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최대 각도가 90°보다 작기 때문에, 진공 청소기가 스탠드 내에 배열될 때, 충전 스탠드가 넘어질 위험이 감소된다. 넘어짐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중력선(즉, 질량 중심을 통한 가상의 수직선)이 충전 스탠드의 지지 지역 외부에 있을 때 발생할 것이다(즉,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그러한 조건 하에서 균형을 잃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지 지역"은 기저 표면 상에 서 있는 본체(예를 들어, 충전 스탠드)의 외측 지지 지점들 사이의 경계에 의해서 규정되는 지지부의 베이스(또는 지역)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 각도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최대 각도 보다 커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서 더 큰 각도로 충전 스탠드가 우발적으로 배열될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충전 스탠드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록킹 수단이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제1 위치에서 그리고 제2 위치에서 록킹하도록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제1 위치에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서 약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내지 10°(예를 들어, 약 0°)의 제1 각도를 가지고, 제2 위치에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대해서 약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예를 들어, 약 70° 또는 72°)의 제2 각도를 가진다. 그에 따라, 충전 스탠드가 실질적으로 수평인 표면 상에서 지지되는 경우에, 제1 위치에서, 충전 스탠드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을 것이고, 제2 위치에서, 충전 스탠드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직립(수직에 가까운)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록킹 수단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서 록킹하도록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위치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각도가 제1 각도 보다 크고 제2 각도 보다 작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치 선택사항(option)의 수가 증가되고, 사용자는 충전 스탠드를 원하는 바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충전 스탠드를 상이한 저장 요건들에 맞출 수 있는 적응성이 더욱 개선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부분이 충전 스탠드를 표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예를 들어,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충전 스탠드 및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위한 추가적인 저장 가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충전 스탠드가 벽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가 벽에 장착될 때, 바람직하게, 충전 스탠드가 접혀진 위치로(즉, 제1 위치로) 배열되고, 그에 의해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충전 스탠드로부터 낙하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이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제2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홀이 제1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홀과 정렬되고, 그에 의해서 체결부가 제1 및 제2 부분 모두를 통해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충전 스탠드가 접혀진 위치(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에 의해서, 충전 스탠드가 체결부에 의해서 표면(예를 들어, 벽)에 장착될 때,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상대적인 이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록킹 수단이 치형(toothed) 커플링 및 지지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지지 요소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부를 가진다. 지지 요소가 예를 들어 막대 또는 그와 유사한 요소일 수 있을 것이다. 지지 요소의 피봇식 배열은, 지지 요소의 제2 단부를 전술한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를 따라서 상이한 위치들에 배열할 수 있게 한다. 치형 커플링 및/또는 지지 요소는 충전 스탠드를 상이한 구분된 위치들(예를 들어, 제1 위치, 제2 위치 및 임의의 중간 위치)에 배열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또는, 보완책으로서), 록킹 수단이 마찰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충전 스탠드가 제2 부분에 배열된 고리(hook)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고리는 제2 부분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유지(예를 들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고리는, 충전 스탠드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실질적으로 직립인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배열될 때,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리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전기 접촉부를 충전 스탠드의 전기 접촉부와 정렬시키는 것을 돕는다. 고리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충전 스탠드의 적절한 충전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고리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경첩형 연결부로부터, 전기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경첩형 연결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라는 표현은 전기 연결부와 경첩형 연결부 사이의 거리로부터 최대 4 cm 그리고 바람직하게 최대 2 cm가 상이한 임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리가 전기 접촉부에 근접하여(예를 들어, 그로부터 최대 4 cm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질량 중심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전기 접촉부(그 위에 충전 스탠드의 전기 접촉부가 정렬된다)에 근접함에 따라, 본 실시예는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이는 걸림(suspension) 지점(고리에 위치됨)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질량 중심에 근접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고리 및 제2 부분이 단일 피스의 플라스틱으로 몰딩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충전 스탠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부분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썰매(sledge)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도록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예를 들어, 유지)하게끔 구성된 썰매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썰매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충전 스탠드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바람직하게, 개선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썰매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형상에 맞춰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전기 접촉부와 충전 스탠드의 전기 접촉부가 정렬되게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유지하도록, 썰매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전기 접촉부가 제2 부분의 중간 부분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질량의 중심이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전기 접촉부(그 위에 충전 스탠드의 전기 접촉부가 정렬된다)에 근접한다. 그에 따라,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질량 중심이 제2 부분의 중간 부분에서 지지될 수 있음에 따라, 본 실시예는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부분의 단부 부분(예를 들어, 제2 부분의 단부에 근접한 제2 부분의 일부)이 제1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부분의 단부 부분(예를 들어, 제1 부분의 단부에 근접한 제1 부분의 일부)이 제2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충전 스탠드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위한 부속 장비(예를 들어, 솔)를 저장하기 위한, 제2 부분 및/또는 제1 부분 내에 형성된 함몰부(또는 격실)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부속 장비 저장부가 충전 스탠드 내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사용자가 부속 장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기 접촉부가 제2 부분 내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접촉 패드가 제2 부분 내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부분이, 제1 및 제2 부분이 함께 접힐 때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대면하는 제2 부분의 측부(side) 상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양태의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이하의 구체적인 개시 내용,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들이 조합되어 이하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실시예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양태의 전술한 그리고 부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서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탠드를 도시한다.
도 2는 충전 스탠드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위치에 있는 충전 스탠드 내에 장착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다.
도 4는 제2 위치에 있는 충전 스탠드 내에 장착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다.
도 5는 충전 스탠드가 벽에 장착되었을 때 그러한 충전 스탠드 내에 장착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다.
모든 도면은 개략적이고, 반드시 실척(scale)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발명의 실시예를 명료하게 하는데 필요한 부분들만을 도시하였으며, 다른 부분들은 생략되거나 단순히 제시되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위한 충전 스탠드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충전 스탠드(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스탠드(1)의 분해도이다.
충전 스탠드(1)는 충전 스탠드를, 테이블, 선반 또는 벽 등과 같은 표면 상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3)을 포함한다. 충전 스탠드(1)가 제1 부분(3)의 하부 측부에 장착된 고무 받침대(feet)(1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제1 부분(3)이 고무 받침대(11)를 통해서 표면 상에 놓인다. 제1 부분(3)이 (약간) 길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충전 스탠드(1)가 표면 상에서 지지될 때, 표면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1)는 경첩형 연결부(5)를 통해서 제1 부분(3)에 피봇식으로(또는 경첩식으로) 연결되는 제2 부분(4)을 더 포함한다. 제1 부분(3)은 제1 부분(3)의 제2 부분(4)에 대한 최소 각도와 제1 부분(3)의 제2 부분(4)에 대한 최대 각도 사이에서 제2 부분(4)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을 것이고, 최소 각도는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 0°내지 10°의 간격에 포함되고, 최대 각도는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의 간격에 포함된다. 전술한 각도는 제2 부분(4)의 길이방향에 대한 제1 부분(3)의 길이방향의 각도일 수 있을 것이다.
제2 부분(4)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2 부분(4)이, 바람직하게 제2 부분(4)과 동일한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의 피스 내에 몰딩된, 고리(9)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충전 스탠드(1)에 걸도록, 고리(9)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충전 스탠드(1)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썰매(1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4)의 적어도 일부가 썰매(10)를 형성하도록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썰매(10)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따르는 또는 합치되는) 형상을 가지고 및/또는 (약간) 그릇-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분(3) 및/또는 제2 부분(4)이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몰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부분(3) 및 제2 부분(4) 중 임의의 하나가, 제1 부분(3) 및/또는 제2 부분(4)을 함께 형성하는 둘 이상의 분리되어 몰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예에서, 제2 부분(4)이 2개의 그러한 분리적으로 몰딩된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부분(4)이 (제1 부분(2)과 유사하게) (약간) 길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충전 스탠드(1)가 (적어도 거의) 완전히 접혔을 때, 제1 부분(3)을 따라서(즉, 제1 부분(3)을 지지하는 표면을 또한 따라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길이방향이 제2 부분(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지향되게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제2 부분(4)이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4)의 단부 부분을 제1 부분(3)에, 그리고 바람직하게 제1 부분(3)의 단부 부분에 상호 연결하도록 경첩형 연결부(5)가 배열되고, 그에 의해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충전 스탠드(1) 내에 배열될 때, 충전 스탠드(1)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가려질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1)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를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8)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전기 접촉부(8)가, 충전 스탠드(1)를 주전원(main)에 연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전기 배선을 통해서, 전력 코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전기 접촉부(8)를 전력 코드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배선이 전기 접촉부(8)로부터 제2 부분(4)을 통해서 경첩형 연결부(5)를 경유하여 제1 부분(3)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고, 제1 부분에서 전기 배선이 전력 코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1)가 하나 이상의 홀(13, 14)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충전 스탠드(1)를 표면(예를 들어, 벽)에 체결하기 위해서, 체결부(예를 들어, 나사)가 그러한 홀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홀(13)이 제1 부분(3) 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홀(14)이 제2 부분(4) 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부분(4)의 홀(14)이 제1 부분(3)의 홀(13)과 정렬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체결부가 홀(13, 14)을 통해서 연장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1)가 표면에 장착되고 체결부가 제1 및 제2 부분(3, 4)의 홀(13, 14)을 통해서 연장될 때, 제2 부분(4)이 체결부에 의해서 제1 부분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서 제1 부분(3)과 제2 부분(4)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충전 스탠드(1)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위한 부속 장비(18)(예를 들어, 솔 등)를 저장하기 위한, 함몰부(또는 격실)(7)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함몰부(7)는, 예를 들어, 제2 부분(4) 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응하는 함몰부(17)가 제1 부분(3) 내에 형성되어, 부속 장비(18)가 제1 및 제2 부분(3, 4) 내에서 연장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함몰부(7)가, 예를 들어 제2 부분(4) 내에 형성된, 관통 홀(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요홈부(미도시)일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1)가 록킹 수단(6)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록킹 수단(6)이 치형 커플링(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치형 커플링이 누름 버튼과 같은 작동 수단에 의해서 조작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치형 커플링이 제1 부분(3)과 제2 부분(4) 사이의 경첩형 연결부(5)에(예를 들어, 그 내부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록킹 수단(6)은 제1 부분(3)을 제2 부분(4)에 대해서 록킹(또는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 대신에(또는 보완책으로), 록킹 수단이 지지 요소(예를 들어, 막대) 또는 경첩형 커플링(미도시)에(또는 그 내부에) 배열되는 마찰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지지 요소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부를 가진다.
도 3은 충전 스탠드(1) 내에 배열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도시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한 손으로 조작되도록 그리고 배터리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 받도록 구성된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하나의 유형이다. 그러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테이블, 가구 또는 다른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을 진공 청소하는데 적합하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통상적인 실린더형 진공 청소기 또는 로봇 진공 청소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다(약 1 kg의 중량을 가진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101) 및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부스러기를 취하기 위한 노즐(102)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충전 스탠드(1)가 그러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에 맞춰 특별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충전 스탠드(1)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충전하기 위한 전형적인 저장 장소(예를 들어, 테이블, 선반 또는 벽)에 맞춰(예를 들어, 그러한 저장 장소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스탠드(1)가 복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배열 위치에서 제1 및 제2 부분(3, 4)이 어느 정도 함께 접혀진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스탠드(1)가 제1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제1 위치에서 제1 부분(3)이 제2 부분(4)에 대해서 약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내지 10°(예를 들어, 약 0°)의 제1 각도를 가진다. 제1 각도가 전술한 최소 각도와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위치는, 특히 저장 공간이 제한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 테이블, 또는 선반 등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저장(또는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위치는 또한, 충전 스탠드(1)가 벽에 장착될 때(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더 설명되는 바와 같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저장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스탠드(1)가 제2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제2 위치에서 제1 부분(3)이 제2 부분(4)에 대해서 약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예를 들어, 약 70° 또는 72°)의 제2 각도(α)를 가진다. 제2 위치는, 특히 저장 공간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제한된 폭을 가지는 경우에, 테이블, 또는 선반 등에서 직립(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저장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위치가 또한 예를 들어 점포 또는 부엌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충전 스탠드(1)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중간 위치에서, 제2 부분(4)에 대한 제1 부분(3)의 각도가 제1 각도와 제2 각도 사이의 임의 각도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간 위치가 구별되는 위치(예를 들어, 치형 커플링의 구성에 의해서 제공된다)일 수 있을 것이고, 또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임의 위치로서 완전히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록킹 수단(6)이 제1 부분(3)을 제2 부분(4)에 대해서 제1, 제2 및 중간 위치에서 록킹하도록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표면 상에서의 저장에 더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 스탠드(1)가 벽 장착에 적합하다. 도 5는, 충전 스탠드가 하나 이상의 체결부(20)에 의해서 벽(30)에 장착된 경우에, 충전 스탠드(1) 내에 배열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체결부(20)가 제1 부분(3)의 홀을 통해서, 그리고 또한 바람직하게 제2 부분(4)의 홀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벽에 장착되었을 때(또는 제2 위치에서 평면형 표면 상에 저장되었을 때와 같은 직립 위치, 및 눕혀진 위치(즉,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 모두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가 걸리도록, 제2 부분(4)의 고리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의 예시적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많은 제품이 저장을 위한 스탠드 그리고 종종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스탠드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예가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이다.
충전 스탠드의 이러한 예는, 충전 스탠드 내에 정치될(parked) 때 제품의 복수의 위치를 허용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수평으로, 수직으로 또는 그 사이의 몇몇 각도로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스탠드가 벽 장착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준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는 사용자에게 탄력성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들이 충전 스탠드를 이용하여 제품을 저장하기 위해서 그들의 집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간들이 상이할 것이다. 종종 작은 "풋 프린트(foot print)"가 요구되고 종종 저장 공간의 높이가 제한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벽 장착 선택사항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탄력성이 더욱 증가된다.
이러한 예는 또한, 예를 들어 가정에서 또는 소매점/무역/박람회 등을 위해서 제품을 전시하는 것에 대한 탄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전시할 때, 소매점이 다양한 선반 및 디스플레이 지역을 가진다. 조정 가능한 충전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제품의 전시가 주어진 가용 디스플레이 지역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서로에 대해서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희망하는 제품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허용할 수 있는 둘 이상의 피스로 이루어진 충전 스탠드를 개시한다.
접합부가, 희망 각도에서 스탠드를 정지시킬 수 있게 하는 임의 종류의 마찰 접합부 또는 기계적 메커니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커니즘은, 단순히 당기거나 미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보다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항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범위 내에서 인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의 항목화된 목록
1.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로서:
표면 상에서 충전 스탠드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부분,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부분, 및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경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그리고
충전 스탠드가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배열된 록킹 수단을 더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2. 항목 1에 있어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최소 각도와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최대 각도 사이에서, 제2 부분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고, 최소 각도는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 내지 10°의 간격에 포함되고, 최대 각도는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의 간격에 포함되는, 충전 스탠드.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록킹 수단이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제1 위치에서 그리고 제2 위치에서 록킹하도록 배열되고,
제1 위치에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서 약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내지 10°의 제1 각도를 가지고,
제2 위치에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대해서 약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의 제2 각도를 가지는, 충전 스탠드.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록킹 수단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제2 부분을 제1 부분에 대해서 록킹하도록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부분이 충전 스탠드를 표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6. 항목 5에 있어서,
제2 부분이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홀이 제1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홀과 정렬되는, 충전 스탠드.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록킹 수단이:
치형 커플링, 및
지지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지지 요소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부를 가지는, 충전 스탠드.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부분에 배열된 고리를 더 포함하고, 고리는 제2 부분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9. 항목 8에 있어서,
고리 및 제2 부분이 단일 플라스틱 피스로 몰딩되는, 충전 스탠드.
10. 항목 8 또는 항목 9에 있어서,
고리가 전기 접촉부에 근접하여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11. 항목 8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고리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경첩형 연결부로부터, 전기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12.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부분이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썰매를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13. 항목 1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가 제2 부분의 중간 부분에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14. 항목 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부분이 길다랗고 표면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15. 항목 1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부분의 단부 부분이 제1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는, 충전 스탠드.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부분의 단부 부분이 제2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는, 충전 스탠드.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부속 장비를 저장하기 위해서 제2 및/또는 제1 부분 내에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Claims (15)

  1.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100)용 충전 스탠드(1)로서:
    표면 상에서 상기 충전 스탠드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제1 부분(3),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제2 부분(4), 및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된 전기 접촉부(8)를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경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그리고
    충전 스탠드가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배열된 록킹 수단(6)을 더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최소 각도와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최대 각도(α) 사이에서, 상기 제2 부분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고, 상기 최소 각도는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 내지 10°의 간격에 포함되고, 상기 최대 각도는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의 간격에 포함되는, 충전 스탠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에 대해서 적어도 제1 위치에서 그리고 제2 위치에서 록킹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에 대해서 약 0°내지 30°, 바람직하게 0°내지 20°, 그리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0°내지 10°의 제1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에 대해서 약 50°내지 90°, 바람직하게 60°내지 85°,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 65°내지 80°의 제2 각도(α)를 가지는, 충전 스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에 대해서 록킹하도록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충전 스탠드를 상기 표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13)을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이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홀이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홀과 정렬되는, 충전 스탠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이:
    치형 커플링, 및
    지지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제2 단부를 가지는, 충전 스탠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 배열된 고리(9)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리가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제2 부분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경첩형 연결부로부터, 상기 전기 연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썰매(10)를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부가 상기 제2 부분의 중간 부분에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단부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에 경첩식으로 연결되는, 충전 스탠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부속 장비(18)를 저장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및/또는 제1 부분 내에 형성된 함몰부(7, 17)를 더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촉부가 상기 제2 부분 내에 통합되는, 충전 스탠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분이 함께 접힐 때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대면하는 상기 제2 부분의 측부 상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KR1020157023188A 2013-02-05 2013-03-11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 KR102000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300089-8 2013-02-05
SE1300089 2013-02-05
PCT/SE2013/000036 WO2014123458A1 (en) 2013-02-05 2013-03-11 Charging stand for a handheld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086A true KR20150113086A (ko) 2015-10-07
KR102000330B1 KR102000330B1 (ko) 2019-07-15

Family

ID=5129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188A KR102000330B1 (ko) 2013-02-05 2013-03-11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53514B1 (ko)
JP (1) JP6140304B2 (ko)
KR (1) KR102000330B1 (ko)
CN (1) CN104981187B (ko)
WO (1) WO2014123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49B1 (ko) * 2014-08-21 201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WO2017124626A1 (zh) * 2016-01-20 2017-07-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充电座
CA2971214A1 (en) * 2016-01-20 2017-07-27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DE102016115288A1 (de) * 2016-08-17 2018-02-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Ladestation, insbesondere für ein Reinigungsgerät
JP2020005349A (ja) * 2018-06-26 2020-01-09 株式会社マキタ 充電式クリーナ
CN109431367A (zh) * 2018-12-18 2019-03-08 苏州腾普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充电座及使用该充电座的吸尘器
GB2580309B (en) * 2018-12-24 2021-03-17 Dyson Technology Ltd Storage dock for a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CN110353559A (zh) * 2019-07-25 2019-10-22 尚科宁家(中国)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吸尘器的充电装置
DE102019218556A1 (de) * 2019-11-29 2021-06-02 Robert Bosch Gmbh Positioniervorrichtung für ein handgehaltenes Sauggerät
KR20220077608A (ko) * 2020-12-02 2022-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024A (en) * 1987-07-24 1991-07-30 Emerson Electric Co. Portable wet/dry vacuum cleaner and recharging base
JPH0585078U (ja) * 1992-04-21 1993-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ヒンジ機構
KR200194997Y1 (ko) * 2000-03-16 2000-09-01 주식회사우림전자 밧데리 충전겸용 청소기용 직류전원장치
JP2007319447A (ja) * 2006-06-01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ロボ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5814A (en) * 1978-08-11 1980-09-30 Black & Decker, Inc. Cordless vacuum cleaner storing and recharging system
JPS61122825A (ja) * 1984-11-19 1986-06-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充電式掃除機
DE3540898A1 (de) * 1984-11-19 1986-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Wiederaufladbare, kabellose staubsaugervorrichtung
JPS61209623A (ja) * 1986-02-18 1986-09-17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式電気掃除機
US4920608A (en) * 1988-08-08 1990-05-01 Emerson Electric Co. Portable hand held vacuum cleaner
GB2275182A (en) * 1993-02-19 1994-08-24 John Mfg Ltd Cordless vacuum cleaner and recharging housing
JP2003284656A (ja) * 2003-03-24 2003-10-07 Twinbird Corp 充電式電気掃除機
KR100548895B1 (ko) * 2004-05-17 2006-02-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진공청소기의 충전장치
CN2868164Y (zh) * 2005-09-22 2007-02-14 浙江大学 自动吸尘器的充电装置
CN1951310A (zh) * 2005-10-17 2007-04-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自动吸尘器用充电装置
KR20080105847A (ko) * 2007-06-01 200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7950103B2 (en) * 2008-06-12 2011-05-31 Nilfisk-A/S Portable cleaning system
US8442682B2 (en) * 2010-05-28 2013-05-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tonomous robot charging stations and methods
JP5572051B2 (ja) * 2010-10-04 2014-08-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体電話機用充電器
KR20130001841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용 단차 승월장치 및 이동 로봇 승월 시스템과 이동 로봇의 단차 승월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024A (en) * 1987-07-24 1991-07-30 Emerson Electric Co. Portable wet/dry vacuum cleaner and recharging base
JPH0585078U (ja) * 1992-04-21 1993-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ヒンジ機構
KR200194997Y1 (ko) * 2000-03-16 2000-09-01 주식회사우림전자 밧데리 충전겸용 청소기용 직류전원장치
JP2007319447A (ja) * 2006-06-01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ロボッ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81187B (zh) 2017-10-13
EP2953514B1 (en) 2019-02-27
KR102000330B1 (ko) 2019-07-15
WO2014123458A1 (en) 2014-08-14
JP6140304B2 (ja) 2017-05-31
EP2953514A4 (en) 2017-04-05
JP2016504959A (ja) 2016-02-18
CN104981187A (zh) 2015-10-14
EP2953514A1 (en)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330B1 (ko)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용 충전 스탠드
US9820576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10660432B2 (en) Shelf system
US10925391B1 (en) Hinged shelf container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180059402A (ko) 무선 청소기용 거치대
US8931840B2 (en) Composite frame
US8662324B2 (en) Material organizer
US8807648B2 (en) Chair caddy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US20130112802A1 (en) Sheet material dispenser
JP4692858B1 (ja) 真空掃除機用の収納方法および真空掃除機用の収納器具
US9759368B1 (en) Multipurpose lighting and entertainment stand
US20160227926A1 (en) Compact Multipurpose Furniture Piece
US2019001368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ing apparatus and holding means therefor
US20060108496A1 (en) Holding device
KR20130001160U (ko) 사다리 받침용 가이드가 구비된 2단 수납가구
KR20180003313U (ko)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KR20038679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옷걸이
AU2020100259A4 (en) Hinged shelf container
WO2017188907A1 (en) Multifunctional ironing board
US20230218080A1 (en) Modular workbench system
JP3223790U (ja) 掃除機用ラック
CN208598276U (zh) 一种手提吸尘器的侧挂结构
KR20220002874U (ko) 하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스탠드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