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313U -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313U
KR20180003313U KR2020180005040U KR20180005040U KR20180003313U KR 20180003313 U KR20180003313 U KR 20180003313U KR 2020180005040 U KR2020180005040 U KR 2020180005040U KR 20180005040 U KR20180005040 U KR 20180005040U KR 20180003313 U KR20180003313 U KR 201800033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leaner
slit
horizontal
sli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천
Original Assignee
유대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천 filed Critical 유대천
Priority to KR2020180005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313U/ko
Publication of KR20180003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313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과 수평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평슬릿부 및 지면과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직슬릿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다양한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청소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거치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들 및 제조사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Multi-purpose Stand for Cleaner}
본 고안은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평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평슬릿부 및 지면과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직슬릿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다양한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업라이트, 핸디, 스틱, 캐니스터 등 형태를 지니며, 배터리를 내장하여 배터리의 전원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본체와 연결된 전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위와 같은 청소기는 보관시 공간을 차지하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이에 청소기를 정돈된 형태로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제품들이 시장에 존재한다. 과거 대부분의 거치부는 거치부의 특정 부분에 못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두고 못으로 거치부를 벽면에 고정한 후 거치부에 다시 청소기 제품을 거치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예를 들어, 다이슨 사의 경우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명명된 못으로 벽면에 고정되는 거치부 제품에 청소기 제품을 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못을 사용하여 거치부를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 못으로 인하여 벽지 및 벽체가 훼손되고 청소기와 거치부의 무게로 인해 훼손 부위가 점점 확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 거치부를 벽면에 고정하는 대신 별도의 스탠드형 거치대의 고정판에 홀을 형성하여 두고 해당 홀 부위를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로 거치부를 고정판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형 거치대가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위 다이슨사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인 도킹 스테이션을 별도의 스탠드형 거치대의 고정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판에 고정하고, 위 도킹 스테이션에 청소기를 다시 거치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위 시장에 현존하는 별도의 스탠드형 거치대의 경우, 특정 제조사의 거치부 제품이나 또는 특정 제조사의 특정 거치부 제품만을 거치할 수 있도록 홀이 특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가정에서 청소기를 사용하다가 이를 폐기하고 다른 청소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스탠드형 거치대까지 새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위 시장에 현존하는 별도의 스탠드형 거치대는, 생산자 입장에서도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다른 거치대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여야 하는바, 여러 제조사나 모델에 대한 거치대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그에 소요되는 비용이 계속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다양한 위치와 형태의 홀 및 슬릿이 형성된 고정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를 고정할 있도록 하여 청소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거치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에 관한 고안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홀 및 슬릿이 형성된 고정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거치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들 및 제조사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의 일 면(aspect)은,
지면과 수평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평슬릿부; 및 지면과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직슬릿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는,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상기 고정부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는 상기 수평슬릿부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수직슬릿부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슬릿부의 폭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의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시장에 현존하는 기존 청소기 거치대 제품 중 하나(이하 '기존 거치대 제품')의 고정판을 개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단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의 고정부(12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시장에 현존하는 기존 청소기 거치대 제품 중 하나(이하 '기존 거치대 제품')(920)의 고정판을 개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위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지면과 수평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평슬릿부(123); 및 지면과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직슬릿부(126);가 형성된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슬릿부(123)는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120)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12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120)의 후면까지 뚫려있는 긴 모양의 구멍이며, 상기 수직슬릿부(126)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120)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12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120)의 후면까지 뚫려있는 긴 모양의 구멍이다.
한편,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상기 수평슬릿부(123)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청소기를 정돈된 형태로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제품들이 시장에 존재하여 왔는데, 과거 대부분의 거치부는 거치부의 특정 부분에 못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두고 못으로 거치부를 벽면에 고정한 후 거치부에 다시 청소기 제품을 거치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예를 들어, 다이슨 사의 경우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라 명명된 못으로 벽면에 고정되는 거치부에 청소기 제품을 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못을 사용하여 거치부를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 못으로 인하여 벽지 및 벽체가 훼손되고 청소기의 무게로 인해 훼손 부위가 점점 확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 거치부를 벽면에 고정하는 대신, 별도의 스탠드형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판(920)에 홀(922)을 형성하여 두고, 해당 홀 부위를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로 거치부를 고정판(920)에 고정하며, 위 거치부에 다시 청소기를 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형 거치대(이하 '기존 스탠드형 거치대')가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위 다이슨사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인 도킹 스테이션을 별도의 스탠드형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판(920)에 형성된 홀(922)을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로 고정판(920)에 고정하고, 위 도킹 스테이션에 청소기를 다시 거치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위 시장에 현존하는 기존 스탠드형 거치대의 경우 특정 제조사의 거치부 제품이나 또는 특정 제조사의 특정 거치부 제품만을 거치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 홀(922)이 특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가정에서 청소기를 사용하다가 이를 폐기하고 다른 청소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기존 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고 스탠드형 거치대를 새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생산자 입장에서도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다른 거치대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여야 하는바, 여러 제조사나 모델에 대한 거치대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그 설계,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계속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위와 같은 종래 시장에 현존하는 기존 스탠드형 거치대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지면과 수평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평슬릿부(123); 및 지면과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직슬릿부(126);가 형성된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상기 수평슬릿부(123)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위 기존 스탠드형 거치대의 고정판(920)에 대응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120)에 형성된 상기 수평슬릿부(123) 또는 상기 수직슬릿부(126)를 관통하는, 상기 체결볼트 및 너트로, 청소기를 거치하는 거치부를 상기 고정부(120)에 고정결합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120)에 고정결합된 상기 거치부에 다시 청소기 제품이 거치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체결볼트가 청소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에 형성된 결합을 위한 홀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부(120)에 형성된 상기 수평슬릿부(123) 또는 상기 수직슬릿부(126)를 통과한 후 너트로 고정된다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수직슬릿부(126)의 폭이 상기 체결볼트의 골지름보다 크고 바깥지름보다 작도록 하는 체결볼트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기존 스탠드형 거치대와 달리 고정판(920)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홀(922)만을 구비한 것이 아니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를 상기 고정부(120)에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수평슬릿부(123)상의 그리고 상기 수직슬릿부(126)상의 다양한 위치에 볼트를 끼울 수 있으며, 이로써 다양한 제조사나 모델의 거치부가 상기 고정부(1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거치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는, 상기 고정부(120)의 하측에 상기 고정부(12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와 상기 지지부(1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고정부(120)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20)만을 다시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고정부(120)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120)가 상기 지지부(14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 결합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부(120)의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해당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140)의 상단에 형성된 표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홈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방식, 또는 상기 고정부(120)의 하단에 나사산이 없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해당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14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없는 홈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방식, 기타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하여 고정결합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가능한 여러 고정결합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20)는 판(plat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볼트가 청소기의 거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을 위한 홀을 통과한 후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를 관통하여 다시 너트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고정부(120)가 두꺼운 경우 결합에 불편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결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20)를 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 하중이 증가하게 될 것인바 상기 고정부(120)의 두께가 얇아질 수록 더 강도가 높은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시중에 존재하는 청소기 제품들은 그 무게가 대부분 1~5kg 정도에 불과하므로, 상기 고정부(120)에는 일반적인 주철 소재 등은 물론 강도가 높은 목재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의 폭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합공(1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의 상기 고정부(120)에는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와 같은 슬릿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체결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합공(129)도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에서 판매되는 특정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 제품에 형성된 결합을 위한 홀이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와 그 위치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를 위하여 별도로 상기 고정부(120)에 상기 결합공(129)을 형성하여 둘 수 있는 것이다.
현존하는 청소기 제품들의 거치부 제품은 대부분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두 개의 볼트나 못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홀을 형성하여 두거나, 또는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두 개의 볼트나 못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두 개의 홀을 형성하여 두고 있다. 이때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 제품은 상기 수직슬릿부(126)와 상기 결합공(129)에 각각 한 개씩의 볼트로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두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 제품은 상기 수평슬릿부(123)의 좌우 양쪽에 두 개의 볼트로 결합, 고정될 수 있을 것인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100)에 대부분의 청소기 제품들의 거치부 제품을 결합,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20)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부(120)는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의 고정부(1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상기 수직슬릿부(126), 그리고 상기 결합공(129)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20)에 비하여 더 많은 수의 상기 수평슬릿부(123)와 상기 결합공(1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슬릿부(123) 또는 수직슬릿부(126)의 형상에 있어서도, 단순한 1자형 슬릿, 즉 폭이 일정한 슬릿(162)이 아닌,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수평슬릿부 또는 수직슬릿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그 예로서, 161)(이하 상기 수평슬릿부(123) 및 수직슬릿부(126)를 총칭하여 '슬릿부'라 한다).
위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슬릿부(161)의 경우, 해당 슬릿의 최대폭이 상기 1자형 슬릿의 슬릿부(162)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위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슬릿부(그 예로서, 161)의 경우,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 홀이 연접된 톱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폭이 변화하지 않는 일자 형상의 수평슬릿부(162)의 경우 볼트와 너트로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 제품이 고정되었다 하더라도 좌우로 긴 슬릿의 형상 때문에 위 거치부 제품을 고정하는 볼트가 거치부 제품과 함께 슬릿을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있는바(162의 경우 좌우 방향으로(가로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슬릿부(16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형 홀이 연접된 톱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만일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120)의 좌측에 위치한 수평슬릿부(123)인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슬릿부(161a)와 상기 고정부(120)의 우측에 위치한 수평슬릿부(123)인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슬릿부(161b)에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 제품을 고정하는 볼트가 각각 하나씩 고정된다고 가정하면, 두 볼트 사이의 간격의 조정은 상기 원형 홀의 중심간의 간격의 배수로만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두 볼트 사이의 간격의 조정을 더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하되 동시에 위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가로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볼트가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고정부(120)에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형상의 상기 슬릿부(161)와 함께 홀(165) 및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슬릿(164)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는 위 슬릿의 폭이 변화하는 상기 톱니와 유사한 형상의 슬릿부(161)에 의하여 만족될 수 없는 좌우 볼트의 간격을 가진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 제품이 있는 경우, 이러한 거치부 제품도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설치된 거치부 제품이 수평 방향으로(가로 방향으로, 좌우로) 설치 후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의 고정부(12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의 고정부(120)에 비하여 더 다양한 모델의 청소기 제품의 거치부 제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사용자들 및 제조사들의 경제적 부담을 더 덜어줄 수 있으며, 설치된 거치부 제품이 수평 방향으로(가로 방향으로, 좌우로) 설치 후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120: 고정부
123: 수평슬릿부
126: 수직슬릿부
129: 결합공
140: 지지부
161: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이 변화하는 슬릿부
920: 기존 거치대 제품의 고정판
922: 기존 거치대 제품의 고정판에 형성된 홀

Claims (5)

  1. 지면과 수평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평슬릿부; 및
    지면과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직슬릿부;
    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는,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상기 고정부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는 상기 수평슬릿부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수직슬릿부를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슬릿부의 폭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KR2020180005040U 2018-11-06 2018-11-06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Ceased KR201800033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40U KR20180003313U (ko) 2018-11-06 2018-11-06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040U KR20180003313U (ko) 2018-11-06 2018-11-06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313U true KR20180003313U (ko) 2018-11-26

Family

ID=6455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040U Ceased KR20180003313U (ko) 2018-11-06 2018-11-06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3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577B1 (ko) 2019-03-21 2019-11-06 이승재 무선청소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577B1 (ko) 2019-03-21 2019-11-06 이승재 무선청소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304B2 (ja) ハンディ型掃除機用充電スタンド
US7780125B2 (en) Support frame for a variety kinds of display devices
US9259081B2 (en) Furniture lin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ation thereof
KR101815820B1 (ko) 무선청소기용 거치대
US8465101B1 (en) Guard device for furniture
US8573413B2 (en) Anti-theft hand tool rack
US20080029981A1 (en) Janitorial cleaning cart
US20130240688A1 (en) Adjustable Foot for Furniture
US20180216874A1 (en)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WO2018159527A1 (ja) 掃除機収納台
KR20170107664A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130005535U (ko) 접이식 캠핑용 그릴 테이블
US20100072151A1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KR20180059402A (ko) 무선 청소기용 거치대
KR20180003313U (ko) 다목적 청소기 거치대
CN108742461A (zh) 碗篮和洗碗机
US20080023997A1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height
KR20210009932A (ko) 다기능 테이프 클리너
US5360192A (en) Bracket for cantilever mounting of shelves and cabinets
CN209032269U (zh) 碗篮和洗碗机
KR101480985B1 (ko) 진공청소기용 이동식 거치대
CN106551543B (zh) 一种办公椅托盘
TWM465976U (zh) 鋸床工作枱結構改良
KR200454108Y1 (ko) 씽크대의 볼 고정용 받침대
CN211882850U (zh) 一种平移并能翻转式柜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1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