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82A -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 Google Patents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82A
KR20150110182A KR1020140034234A KR20140034234A KR20150110182A KR 20150110182 A KR20150110182 A KR 20150110182A KR 1020140034234 A KR1020140034234 A KR 1020140034234A KR 20140034234 A KR20140034234 A KR 20140034234A KR 20150110182 A KR20150110182 A KR 2015011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ile
civil engineering
building struct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620B1 (ko
Inventor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는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하부에 상면이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파일 및 일단은 상기 파일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 매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Steel Rod or Wire Pile Connection for Civil and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량,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횡 방향 변위를 강봉 또는 강선 형상의 지지부의 변형에 의해 회전 변위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물의 콘크리트 기초부분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계절 변화에 따른 반복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 지반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지 못할 경우 콘크리트 또는 강관파일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용 파일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교량의 교대와 같은 구조물의 기초 파일(5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일정길이만큼 파일 캡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1000)에 삽입 또는 매입되며 하부는 지반에 항타되거나 선 굴착(Pre-Auger) 후 설치된다.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파일(500)의 상단부에는 주위 온도 변화로 인한 상부구조의 횡 방향 신축에 의해 발생하는 교대변위, 교대변위에 의해 발생하는 수동 토압 및 파일에 작용하는 수평력 또는 휨 모멘트에 의해 국부지압응력이 매우 크게 증가하게 된다. 특히,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500)의 모서리 부분에 가장 큰 응력 집중이 발생한다. 이는 파일(500)이 구조물(1000)의 변위와 대응되도록 변위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콘크리트와 파일(500) 간의 부착파괴를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파일(500)의 부착면을 따라 콘크리트에 크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1000)의 외면 측단까지 할렬인장파괴 또는 지압 파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크랙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켜 콘크리트 구조물(1000)의 본래의 목적성능을 나타내기 어려워지며, 궁극적으로 구조물(1000)의 치명적인 결합을 가져올 수 있다.
KR0233313 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량,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횡 방향 변위를 강봉 또는 강선 형상의 지지부의 변형에 의해 회전 변위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물의 콘크리트 기초부분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계절 변화에 따른 반복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는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하부에 상면이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파일 및 일단은 상기 파일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 매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강봉, 강선 또는 강선이 상기 파일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변위 발생 시 상기 지지부가 상기 파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제1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일측에는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지지부가 노출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종단이 상기 파일에 형성된 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홈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지지부의 종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일 또는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 슬립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 매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의 상면에는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수평 저항력 향상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량,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변위 발생 시 강봉 또는 강선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부가 구조물의 변위와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회전변위를 허용함으로써 교량,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횡 방향 변위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지부가 소정 길이 인장 또는 변형되며 구조물의 변위를 하중의 전달 없이 허용하여 응력집중을 완화하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균열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지지부의 변형에 의한 회전변위만 허용하고 수평력에 의한 파일의 저항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교량 교대 등의 구조물에서 초기의 뒷채움재 등에 의한 초기 횡 방향 변위를 방지하는 동시에 교량 상부 구조에 의한 온도 신축 등에 의한 변위도 허용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넷째, 계절의 변화에 따른 기온 변화를 통해 구조물의 반복적인 변위에 의한 반복 하중에 대한 구조적 저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파일 내부에 삽입된 지지부가 구조물의 변위에 대응되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구조물과 지지부의 강성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국부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조물의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구조물과 접하는 파일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구조물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파일 및 구조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수평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용 파일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용양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가 구조물의 변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00) 및 지지부(200)로 구성된다.
파일(100)은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1000)의 기초 말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1000) 등과 같은 구조물(1000)의 하부 지반 또는 채움재에 매설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일(1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파일(10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파일(100)의 내부 보강을 위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강봉 또는 강선이 구비된 파일(10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지지부(200)는 일단부가 파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타단부는 파일(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파일(10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지지부(200)의 타단부는 구조물(1000)의 내부에 매입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파일(100)의 내부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강봉 또는 철근과 같은 금속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강봉 또는 철근은 일실시예로 설명한 것일 뿐 강봉 또는 철근이 아니더라도 강선과 같이 금속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지지부(200)는 파일(100)의 횡단면 중심에 구비되거나, 파일(100)의 횡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 구비거나, 불규칙적으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도면상에서 방사상으로 4개의 지지부(200)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지지부(200)의 배치 및 개수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200)는 파일(100)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일(100)과 지지부(200)의 결합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제2고정부(300)는 구조물(1000)의 내부에 매입되는 지지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조물(1000)의 내부에 매입된 지지부(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1000)의 수평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고정부(300)는 구조물(1000)에서 지지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제2고정부(300)는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종단에 구비되는 판넬과 같은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고정부(300)는 지지부(200)의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로드 또는 지지부(200)와 일체로 이루어진 돌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고정부(300)는 지지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고정부(300)는 지지부(200)에 용접 또는 너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고정부(300)의 상, 하로 구조물(10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충진되기 때문에 구조물(1000)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지지부(200)가 구조물(10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부(200)의 구속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일(100) 및 지지부(200)의 결합방법에 따른 구성의 차이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모두 파일(100), 지지부(200) 및 제2고정부(3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파일(100) 및 지지부(200)의 결합상태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종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지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00)의 내부 보강을 위하여 파일(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다.
즉, 파일(100)의 제조 시 파일(100)의 내부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강봉을 파일(100)의 일단에서 소정길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파일(100)의 외부로 소정길이 돌출된 부분이 구조물(1000)의 내부로 매입되어 지지부(20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양태에 따라 지지부(200)는 파일(100)의 내부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강봉과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는 강봉이 파일(100)의 일단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시공 시 항타 공법 보다는 선 굴착(Pre-Auger) 후 파일(100)을 매설하는 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종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지지부(20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철근 또는 강봉 등을 이용한다.
파일(100)의 외주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삽입되는 위치에 지지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파일(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파일(100) 외주면에 홈(110)이 형성된다. 이때, 홈(110)의 크기는 지지부(200)의 종단에 결합되는 너트, 클립 등의 제1고정부(210)가 삽입되고, 지지부(200)의 종단에 제1고정부(210)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크기라면 충분하다.
파일(100)의 내부로 매입되는 지지부(200)의 종단부에는 너트 등과 같은 제1고정부(2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부(210)는 지지부(200)의 종단에 결합되는 너트뿐만 아니라, 지지부(210)의 중심에 체결되는 클립 또는 평판형상 또는 막대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210)는 지지부(200)가 파일(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지지부(200)와의 결합 위치 및 형상 등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00)는 파일(100)의 내부로 삽입된 지지부(200)의 종단이 제1고정부(210)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중이거나, 구조물(1000)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파일(10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 파일(100)의 외주면 일측에 홈(110)을 형성하지 않고, 파일(100)의 일단에 제1고정부(210)로 사용되는 인서트 너트(Insert-Nut)가 삽입되도록 구비하고, 지지부(200)의 일단에 인서트 너트와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지지부(200)를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를 구성하는 파일(100)의 내부에 내부 보강을 위한 강봉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200) 또는 인서트 너트가 파일(100)의 내부에 구비된 강봉과 충돌되지 않도록 강봉의 삽입 위치와 어긋나게 지지부(2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종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지지부(20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일(100) 내부에 구비되는 철근 또는 강봉과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한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파일(100)의 제조 시 파일(100)과 일체로 제조되도록 한다. 일예로, 콘크리트 파일(1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일(100)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 후, 지지부(200)를 배치한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부(200)가 파일(10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되, 파일(100)의 내부 보강을 위한 강봉이 아닌 별도의 부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를 구성하는 파일(100)의 내부에 내부 보강을 위한 강봉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200) 또는 인서트 너트가 파일(100)의 내부에 구비된 강봉과 충돌되지 않도록 강봉의 삽입 위치와 어긋나게 지지부(2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지지부(200)가 파일(100)의 내부에 상하로 슬립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2000가 파일(100)과 일체로 구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일(100)에 지지부(200)가 삽입될 위치에 지지부(2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홈을 형성한 후, 지지부(200)를 삽입하거나,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파일(100)의 제조 시 파일(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200)의 외주면을 종이 등으로 감싼 상태로 파일(100)을 제조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파일(100)과 지지부(200) 사이에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구조물(1000)의 변위에 대응되도록 지지부(200)가 파일(1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립된다.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구조물(1000)에 지지부(20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거나, 파일(100) 및 구조물(1000) 양측에 모두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지지부(200)의 양단이 모두 파일(100) 및 구조물(1000)에 슬립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200)가 슬립이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해서 지지부(200)는 구조물(1000) 및 파일(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는 고정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는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300)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거나, 둘 모두 구비되지 않는다.
제5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파일(100) 및 지지부(200)의 결합방법은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수평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00)과 접하는 파일(100)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의 위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파일(100)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구조물(1000)과의 접촉 면적이 향상되고, 구조물(1000)의 내부로 돌출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수평저항력이 향상된다.
일예로, 구조물(1000)이 교량인 경우 뒷채움재 등으로 인해 구조물(1000)의 밀림 등과 같은 초기 변위, 구조물(1000)의 흔들림 등과 같은 수평력 및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인 수평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용양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용양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체(10)의 시공 방법 및 사용양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00)을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과 같은 구조물(1000)이 형성되는 지반에 선 굴착 후 매설 또는 항타하여 매립한다.
다음으로, 지반에 매설된 파일(100)에 지지부(200)를 삽입한다. 이때, 전술한 구성 중 제1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와 같이 지지부(200)가 파일(100)과 일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러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조물(1000)의 기초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마지막으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거푸집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지지부(200)의 일단부는 구조물(1000)의 내부에 매입되고, 구조물(1000)의 내부로 매입된 지지부(200)는 제2고정부(300)에 의해 구조물(10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부(200)의 구속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가 구조물의 변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술한 시공방법을 통해 지반 및 구조물(1000)에 매립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변화에 따른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1000)의 횡 방향 변위가 발생하면 지지부(200)가 구조물(1000)의 변위와 대응되도록 인장되며 구조물(1000)의 횡 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구조물(1000)과 파일 연결부 구조체(10)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하고, 구조물(1000)의 균열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물(1000)의 변위가 발생하면 지지부(200)가 구조물(1000)의 변위와 대응되도록 인장 또는 휘어지며 하중을 흡수하여, 구조물(1000) 및 파일(100)에 하중의 전달 없이 구조물(1000)의 허용함으로써 구조물(1000)의 균열발생을 저감시키며, 계절 변화에 따른 반복 하중에 대한 구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의 변형에 의한 회전변위만 허용하고 수평력에 대한 파일(100)의 저항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교량의 교대 등과 같은 구조물(1000)에서 초기의 뒷채움재 등에 의한 초기 횡 방향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교량 상부 구조에 의한 온도 신축 등에 의한 변위도 허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파일 연결부 구조체
100 : 파일
110 : 홈
120 :
200 : 지지부
210 : 제1고정부
300 : 제2고정부
500 : 종래의 파일
1000 : 구조물

Claims (9)

  1.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하부에 상면이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파일; 및
    일단은 상기 파일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 매입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강봉, 강선 또는 철근이 상기 파일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의 변위 발생 시 상기 지지부가 상기 파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제1고정부가 구비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일측에는 삽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지지부가 노출된 부분에 구비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종단이 상기 파일에 형성된 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홈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지지부의 종단에 결합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일 또는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 슬립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에 매입되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고정부가 구비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면에는 상기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의 수평 저항력 향상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KR1020140034234A 2014-03-24 2014-03-24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KR10164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34A KR101644620B1 (ko) 2014-03-24 2014-03-24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34A KR101644620B1 (ko) 2014-03-24 2014-03-24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82A true KR20150110182A (ko) 2015-10-02
KR101644620B1 KR101644620B1 (ko) 2016-08-01

Family

ID=5434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34A KR101644620B1 (ko) 2014-03-24 2014-03-24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997A (ja) * 1997-08-25 1999-03-05 Housing Tamura:Kk 柱の柱脚構造
KR100233313B1 (ko) 1991-09-04 1999-12-01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1-치환된1H-이미다조(4,5-c)퀴놀린-4-아민, 그의 중간생성물 및 약학 조성물
JP2004100304A (ja) * 2002-09-10 2004-04-02 Sumitomo Metal Ind Ltd 杭頭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313B1 (ko) 1991-09-04 1999-12-01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1-치환된1H-이미다조(4,5-c)퀴놀린-4-아민, 그의 중간생성물 및 약학 조성물
JPH1161997A (ja) * 1997-08-25 1999-03-05 Housing Tamura:Kk 柱の柱脚構造
JP2004100304A (ja) * 2002-09-10 2004-04-02 Sumitomo Metal Ind Ltd 杭頭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620B1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543383B2 (ja) 杭頭接合構造
JP4472729B2 (ja) 補強構造
JP6995539B2 (ja) PCa版の継手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536749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
JP6236974B2 (ja) 地盤アンカーおよび地盤アンカーの構築方法
JP4659107B2 (ja) 組積造の壁体の補強方法
JP2006249808A (ja) 杭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
KR20150107226A (ko) Phc 파일의 선단 확장 기구
KR101644620B1 (ko) 강봉 또는 강선을 이용한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JP6364313B2 (ja) 受圧板
JP5525475B2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構造および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方法
KR101561592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KR101672391B1 (ko) 구조물용 파일 연결부 구조체
JP2011099201A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耐震補強構造
JP2010242325A (ja) 柱構造及び柱構造の施工方法
JP6461457B2 (ja) 杭および杭の構築方法
KR101756604B1 (ko) 건축구조물의 수평구조체 시공방법
JP6452349B2 (ja) 既存塔状構造物の曲げ補強構造
KR102501699B1 (ko) 소구경 강관을 이용한 복합말뚝
KR101751467B1 (ko) 소켓플레이트가 일체화된 pc지주, 콘크리트벽체부와 연결된 소켓플레이트가 일체화된 pc지주 및 그 시공방법
KR101527853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체결방법
KR100875249B1 (ko) 파형강판 지중구조물의 단부 보강재 및 그를 이용한단부보강방법
JP2011179317A (ja) 複合構造梁の設計方法
JP6515120B2 (ja) 配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