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825A - 전기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이러한 종류의 인서트 케이싱을 체결하기 위한 대상물,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이러한 종류의 인서트 케이싱을 체결하기 위한 대상물,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6825A KR20150106825A KR1020150020350A KR20150020350A KR20150106825A KR 20150106825 A KR20150106825 A KR 20150106825A KR 1020150020350 A KR1020150020350 A KR 1020150020350A KR 20150020350 A KR20150020350 A KR 20150020350A KR 20150106825 A KR20150106825 A KR 20150106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insert
- spreading
- members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185—Floor outlets and access cup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6—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snap 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5)는 회전 조인트(12)에 의해 제 2 케이싱부(7)에 연결될 수 있는 제 1 케이싱부(6)를 포함한다. 이들 케이싱부(6, 7)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8)을 규정한다. 제 1 케이싱부(6)에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제공되어 있는데, 회전 조인트(12)가 닫힐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2 케이싱부(7)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인서트 케이싱(5)은 회전 조인트(12)의 담힘으로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쉽게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이 인서트 케이싱은, 제 1 케이싱부 및 이 제 1 케이싱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케이싱부,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들에 의해 규정되며 전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인서트 케이싱을 포함하는 대상물, 특히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닥 오목부에 전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이 US 2008/054 135 A1 에 알려져 있다. 이 인서트 케이싱은, 이 케이싱을 바닥 오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시부가 제공되어 있는 가요성 유지 다리부를 갖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덮개가 위에 놓이면, 가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유지 다리부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며, 그래서 케이싱이 상기 가시부에 의해 바닥 오목부 안에 확실하게 체결된다. 상기 인서트 케이싱의 단점은, 그 인서트 케이싱은 복잡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으로서,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쉬운 그러한 인서트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으로 달성되며, 이 인서트 케이싱은, 제 1 케이싱부 및 이 제 1 케이싱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케이싱부, 및 상기 케이싱부들에 의해 규정되며 전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부들은 회전 조인트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조인트가 닫힐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전기 부품을 위한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케이싱부들은 회전 조인트를 형성하며, 그래서 그 회전 조인트를 닫으면 상기 케이싱부들이 연결될 수 있고 회전 조인트를 열면 풀릴 수 있다. 제 1 케이싱부에는, 회전 조인트가 닫히면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동시에 펼쳐져 있는, 다시 말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에서 단순히 회전 조인트를 닫으면 제 2 케이싱부가 제 1 케이싱부에 연결되는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을 관련된 오목부 안에 간단한 방식으로 지탱시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인서트 케이싱은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쉽고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인서트 케이싱을 분리하려면, 회전 조인트를 열어, 관련된 오목부 안에서의 인서트 케이싱의 지탱, 다시 말해 체결을 해제하면 된다. 그 결과, 인서트 케이싱의 분리도 쉽게 된다.
회전 조인트는 특히 나사 조인트 및 베이요넷(bayonet) 조인트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부들은 내부 나사 및 관련된 외부 나사를 형성하며, 그래서 그 케이싱부들은 함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케이싱부에 내부 나사가 제공되고, 제 2 케이싱부에는 외부 나사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케이싱부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을 갖는 환형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측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제 1 케이싱부의 상기 환형 측벽에 배치되므로, 회전 조인트를 닫을 때 제 2 케이싱부를 제 1 케이싱부에 대해 길이 방향 중심 축선 둘레로 돌리면 펼침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쉽게 펼쳐질 수 있는데, 즉 편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케이싱부는 상기 환형 측벽이 고정되는 케이싱 바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 케이싱 바닥부 및 측벽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일체적으로 그리고/또는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간단한 설계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제 1 케이싱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면, 인서트 케이싱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탄력적인 어셈블리를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있다. 탄력적인 어셈블리로 인해, 회전 조인트를 열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자동적으로 그의 비펼침 위치로 되돌아 가므로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배치되는 제 1 단부 및 자유로운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제 2 단부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으로 증가하는 벽 두께를 갖는 인서트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증가하는 벽 두께를 가지며,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비펼침 위치에서 수용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회전 조인트를 닫을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수용 공간 밖으로 밀려,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편향되게 된다. 편향된 또는 펼쳐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넘어 돌출하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관련 오목부 안에 지탱되어 체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과 대향하며 내반경(rS) 을 갖는 내벽을 가지며, 이 내반경(rS)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상기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그의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내반경(rS)을 가지며,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비펼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회전 조인트를 닫을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수용 공간 밖으로 밀려,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편형되게 된다. 편향 또는 펼침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넘어 돌출하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관련 오목부 안에 지탱되어 체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외반경(RS)을 갖는 외벽을 가지며, 이 외반경(RS)은 상기 측벽의 외반경(RG)에 대응하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펼침 부재의 비펼침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이 외반경(RS)은 제 1 케이싱부의 외반경(RG)에 대응하므로, 인서트 케이싱은 오목부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고 또한 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조인트를 닫아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펼쳐질 때,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넘어 돌출하게 되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오목부 안에 지탱된다. 외반경(RS)이 외반경(RG)에 대응하므로, 지탱은 오목부의 넓은 표면적에 걸쳐 이루어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벽에서, 상기 제 1 케이싱부를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이 제공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외벽에 제공되는 상기 프로파일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대상물과의 연결을 개선시켜 준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 주위에 있는 리브를 포함하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리브는, 인서트 케이싱이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준다.
적어도 2개의 펼침 부재, 특히 적어도 3개의 펼침 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펼침 부재는 고르게 서로 이격되어 특히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펼침 부재는 다른 반경 방향으로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오목부 안에서 고르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적어도 펼침 부재가 펼쳐져 열릴 때 케이싱부들의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탑 및 관련된 상대 스탑을 갖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탑 및 관련된 상대 스탑을 형성하므로, 상기 적어도 펼침 부재가 그의 펼침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 운동이 쉽게 멈춰지게 된다. 이로써, 케이싱부들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의도한 펼침 위치에서 의도하지 않은 비펼침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 2 케이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펼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길이(LS)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의 길이(LA)의 비는 LA/LS ≥ 0.5, 특히 LA/LS ≥ 0.6, 또한 특히 LA/LS ≥ 0.7 인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특히 넓은 표면적에 걸쳐 확실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케이싱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특히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공구 결합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 공구 결합 부재에 의해, 회전 조인트를 간단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또한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간단한 방식으로 펼치고 해제할 수 있다. 공구 결합 부재는 특히 케이싱부들 중의 하나에 있는 오목부로 되어 있다. 공구 결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케이싱부에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가지며 이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특히 상기 공구 결합 부재를 갖는 케이싱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있는(배치될)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위한 케이블 연결부가, 인서트 케이싱의 장착 또는 분리를 방해함이 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쉽게 안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바람직하게는 공구 결합 부재가 또한 제공되어 있는 케이싱부에 형성된다. 그 결과, 공구 결합 부재 때문에 노출되는 상기 케이싱부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안으로 또는 밖으로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및 공구 결합 부재는 제 2 케이싱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게 해주는 대상물, 특히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체 및 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이 상기 오목부 안에 체결되는 대상물, 특히 가구로 달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인서트 케이싱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오목부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 의해, 인서트 케이싱이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안에 쉽게 지탱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본체에 쉽고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그 본체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은 휴대 전화기의 무선 충전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는 관통공 또는 블라인드 구멍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달성되며, 이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케이싱부를 대상물, 특히 가구의 오목부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회전 조인트를 닫아서 제 2 케이싱부를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펼쳐서 인서트 케이싱을 상기 오목부 안에 체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전술한 이점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 및 대상물의 특징을 갖도록 더 개량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제 1 케이싱부가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이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부들은 회전 조인트의 닫힘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 2 케이싱부가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그래서 제 1 케이싱부가 그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케이싱부와 함께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조인트가 닫히면, 인서트 케이싱이 동시에 닫히게 되고 오목부 안에서 지탱된다. 인서트 케이싱을 분리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지탱이 해제되도록 회전 조인트를 열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이점 및 상세점들은 몇몇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의 제 1 케이싱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의 제 2 케이싱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설치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도 1 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부분 절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단면선 V - V 을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체결될 때 도 1 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부분 절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6 의 단면선 Ⅶ - Ⅶ 을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의 제 1 케이싱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의 제 2 케이싱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설치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도 1 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부분 절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단면선 V - V 을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체결될 때 도 1 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부분 절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6 의 단면선 Ⅶ - Ⅶ 을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구로 되어 있는 대상물(1)은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를 갖는다. 그 오목부(3)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을 가지며, 오목부(3)의 경계를 이루는 본체 측벽(4)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으로부터 거리(R)를 두고 있다. 오목부(3)는 블라인드(blind) 구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3)는 인서트 케이싱(5)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인서트 케이싱(5)은 제 1 케이싱부(6)와 제 2 케이싱부(7)를 포함하며, 이들 케이싱부는 수용 공간(8)을 규정한다. 이 수용 공간(8)은 도 5 및 7 에서만 윤곽으로 나타나 있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케이싱부(6)는 바닥부(10)를 가지며, 이 바닥부에는 환형 측벽(11)이 장착되어 있다. 제 1 케이싱부(6)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을 가지며, 측벽(11)의 내측면은 그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거리(rG)에 있으며, 상기 측벽(11)의 외측면은 그 길이 방향 중심 축선으로부터 거리(RG)에 있다. 케이싱부(6, 7)는 회전 조인트(1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부(10)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벽(11)의 단부에서 제 1 케이싱부(6)에는 내부 나사(1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케이싱(5)을 관련된 오목부(3) 안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 1 케이싱부(6)에는 3개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측벽(11)에서 바닥부(10)와 내부 나사(13) 사이에 형성된다. 원주 방향으로 보면,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주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펼침 부재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대해 120°의 각도 간격을 갖는다. 펼침 부재(14 내지 16) 각각은 측벽(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단부(17)를 갖는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각각의 제 1 단부(17)에서 시작하여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펼침 부재에는 자유로운 제 2 단부(18)가 제공되어 있다. 그래서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측벽(11)에 있는 각각의 U-형 브레이크스루(breakthrough; 19)로 형성된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측벽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도록 제 1 케이싱부, 엄격히 말하면 그의 측벽(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그의 설계 및 배치로 인해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대해 펼쳐질 수 있는데, 다시 말해 편향될 수 있다.
각각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수용 공간(8)과 대향하는 내벽(20) 및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벽(21)을 갖는다. 내벽(20)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 외벽(21)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거리 또는 외반경(RS)을 가지며, 이 거리 또는 외반경은,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편향되어 있지 않을 때, 다시 말해 펼쳐져 있지 않을 때, 상기 거리 또는 외반경(RG)에 대응한다. 또한, 각각의 내벽(20)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거리 또는 내반경(rS)을 갖는데, 이는 일정하지 않고, 각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제 1 단부(17)에서 그의 관련된 제 2 단부(18) 쪽으로 가면서 작아진다. 다시 말해,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내벽(20)은 그의 각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제 1 단부(17)에서, 내반경(rS)은 상기 거리 또는 내반경(rG) 보다 약간 작은데, rS ≒ 0.97rG 이다. 이와는 달리, 각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에서의 내반경(rS)은, rS ≤ 0.96rG, 특히 rS ≤ 0.93rG, 특히 rS ≤ 0.90rG 이다. 그 결과,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일반적으로 w = RS - rS 인 벽 두께(w)를 갖는다. 이 벽 두께(w)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각 자유 단부(18)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으로 증가 된다.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외벽(21)에는 홈(22)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홈은 원주 방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23)가 외벽(21)에 형성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 외벽(21)은 프로파일을 갖는다.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에는 여러 개의 가시부(24)가 더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가시부 또한 외벽(21)에 배치되어 있어 확실한 체결을 보장해 준다. 가시부(24)는 상기 프로파일의 일 부분이다.
상기 케이싱부(6, 7)는, 상기 회전 조인트(12)가 닫힐 때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제 2 케이싱부(7)에 의해 펼쳐지도록, 다시 말해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싱부(7)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을 갖는 실질적으로 디스크형의 뚜껑(25)을 갖는다. 회전 조인트(12)를 닫기 위해, 상기 뚜껑(25)에는 그의 원주에서 외부 나사(26)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외부 나사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 둘레의 회전 운동에 의해 관련 내부 나사(13)와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조인트(12)는, 이 회전 조인트(12)를 닫기 위해서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제 1 단부(17)에서 그의 자유 단부(18)로 가는 닫힘 방향(27)으로 제 2 케이싱부(7)를 제 1 케이싱부(6)에 대해 회전시켜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열림 방향(28)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에서 그의 제 1 단부(17)로 가는 방향이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를 펼치기 위해, 다수의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수용 공간(8)과 대향하는 뚜껑(25)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접촉 부재의 개수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개수에 대응한다.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도록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접촉 부재들은 서로 120°의 각도 간격을 갖는다. 각각의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으로부터 거리 또는 외반경(RA)을 갖는 외벽(32)을 가지며, 그 거리 또는 외반경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단부(17)에서의 내반경(rS)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벽(32)은 만곡되어 있으며,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관련 펼침 부재(14 내지 16)에 접하도록 곡률 반경은 자유 단부(17)에서의 내반경(rS)에 대응한다.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원주 방향으로 길이(LA)를 가지며,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길이(LS)에 대한 상기 길이(LA)의 비는, LA/LS ≥ 0.5, 특히 LA/LS ≥ 0.6, 또한 특히 LA/LS ≥ 0.7 이다. 이로써,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넓은 표면적에 걸쳐 관련 접촉 부재(29 내지 31)에 의해 펼쳐질 수 있으며,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넓은 표면적에 걸친 반경 방향으로 접촉 압력을 가하게 된다.
펼쳐진 위치에 있을 때 케이싱부(6, 7)의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해, 케이싱부(6)에는 스탑(33)이 제공되어 있고, 케이싱부(7)에는 대응하는 상대 스탑(34)이 제공되어 있다. 스탑(33)은 수용 공간(8)에서 측벽(11)에 배치되는 웨브로 되어 있다. 스탑(33)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스탑(33)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제 1 단부(17)에 인접하도록 측벽(11)에 배치된다. 스탑(33)은 측벽(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스탑(33)의 거리(Rt)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단부(17)에서의 거리(rS)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상기 상대 스탑(34)은 뚜껑(25)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 상대 스탑(34)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웨브로 되어 있다. 상대 스탑(34)은 스탑(33)과 겹치도록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으로부터 이격되어 되어 있다. 상대 스탑(34)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으로부터 최대 거리(RT)를 가지며, 이 최대 거리는 제 1 케이싱부(7)의 내반경(rG)에 대응한다.
상기 회전 조인트(12)를 닫고 열기 위해, 공구 결합 부재(35)가,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케이싱부(7)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공구 결합 부재(35)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공구 결합 부재(35)는 예컨대 육각형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수용 공간(8) 안으로 이어지는 여러 개의 관통공(36)이 더 제공되어 있다.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을 위한 케이블 연결부(더 자세하게는 나타나 있지 않음)가 상기 관통공(36)을 통과해 수용 공간(8)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인서트 케이싱(5)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에서,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이 수용 공간(8) 안에 배치되고, 케이블 연결부가 관통공(36)을 통과하게 된다. 그 후, 제 2 케이싱부(7)가 제 1 케이싱부(6) 위에 배치되며, 이때 회전 조인트(12)는 여전히 열려 있는 상태이다.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과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은 서로 일치한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제 1 마킹(37)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마킹을 이용하여, 제 2 케이싱부(7)를 원하는 위치에서 제 1 케이싱부(6)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5)은 이제 오목부(3) 안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오목부(3)의 반경(R)은 케이싱의 외반경(RG)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도 4 및 5 는 열려 있는 인서트 케이싱(5)을 도시하는데, 다시 말해, 그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외측으로 편향되어 있지 않다.
회전 조인트(12)를 닫기 위해, 제 2 케이싱부(7)를 위한 공구를 공구 결합 부재(35)에 결합시켜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m2) 둘레로 닫힘 방향(27)으로 회전시킨다. 제 1 케이싱부(6)가 오목부(3) 안에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비펼침 위치에 있는 한 상기 가시부(24)가 측벽(11)을 넘어 약간 돌출되며, 그래서 가시부(24)가 본체의 측벽(4)에 결합할 수 있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탄력적이고 또한 가시부(24)의 작은 돌출량 만큼 수용 공간(8)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가시부(24)가 존재해도 인서트 케이싱(5)은 오목부(3) 안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케이싱부(6, 7)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회전 조인트(12)가 닫혀 케이싱부(6, 7)가 서로 연결된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 운동이 일어날 때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변위되고 있을 때, 그의 외벽(32)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관련된 내벽(20)에 접하게 된다. 그 내벽(20)은 닫힘 방향(27)으로 테이퍼져 있고 그래서 수용 공간(8) 안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운동이 일어날 때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반경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 6 및 7 은,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편향된 위치, 다시 말해 펼쳐진 위치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5)을 나타낸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그의 외반경이 오목부(3)의 외반경(R) 보다 크게 되는 정도로 펼쳐진다.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외벽(21)은 그의 프로파일, 다시 말해, 홈(22) 및 관련된 리브(23) 그리고 가시부(24)와 함께 본체(2)의 재료 안으로 가압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리브(23)에 의해, 인서트 케이싱(5)은 특히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m2)의 방향으로 고정된다.
스탑(33) 및 관련된 상대 스탑(34)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케이싱부(6, 7)의 회전 운동이 멈추게 된다. 이때, 접촉 부재(29 내지 31)의 외벽(32)은 관련된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내벽(20)과 면접촉을 하게 된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펼침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마킹(38)이 제공되어 있다.
끝으로, 회전 조인트(12)가 닫히면, 케이싱부(6, 7)는 한편으로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편향되는데, 그리하여, 인서트 케이싱(5)이 대상물(1)의 오목부(3) 안에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서트 케이싱(5)은 쉽게 또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인서트 케이싱(5)을 분리하려면, 공구를 공구 결합 부재(35)에 다시 결합시켜 제 2 케이싱부(7)를 열림 방향(28)으로 제 1 케이싱부(6)에 대해 회전시킨다. 편향되어 있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에 의해, 제 1 케이싱부(6)는 회전 운동이 일어날 때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열림 방향(28)으로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에서 벗어나게 움직이고,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탄력성 때문에 그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원래의 비펼침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인서트 케이싱(5)과 오목부(3)의 확실한 연결이 해제된다. 동시에 케이싱부(6, 7) 사이의 연결도 해제된다. 이렇게 해서, 인서트 케이싱(5)의 분리도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된다. 케이싱부(6, 7) 각각은 플라스틱 재료로 단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케이싱부(6, 7)는 비교적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제조하기가 쉽다.
인서트 케이싱(5)은 예컨대 휴대 전화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 부품(9)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인서트 케이싱(5)은 예컨대 가구, 특히 테이블에 체결된다.
이하의 설명은 도 8 을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대한 것이다.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 1 케이싱부(6)의 바닥부(10)는 림(rim)을 형성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측벽(11)을 넘어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는, 오목부(3)가 관통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바닥부(10)로 형성되는 상기 림은 그래서 오목부(3)를 완전히 덮게 된다. 인서트 케이싱(5)의 다른 설계 및 기능에 관한 상세점들은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알 수 있다.
Claims (22)
-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으로서,
제 1 케이싱부(6)와 제 1 케이싱부(6)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케이싱부(7), 및
상기 케이싱부(6, 7)에 의해 규정되며 전기 부품(9)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8)을 포함하는 인서트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는 회전 조인트(12)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조인트(12)가 닫힐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2 케이싱부(7)에 의해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부(6)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을 갖는 환형 측벽(11)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측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는 제 1 단부(17)와 자유 제 2 단부(18)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2 단부(18)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으로 증가하는 벽 두께(w)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수용 공간(8)과 대향하며 내반경(rS)을 갖는 내벽(20)을 가지며, 상기 내반경(rS)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상기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외반경(RS)을 갖는 외벽(21)을 가지며, 상기 외반경(RS)은 상기 측벽(11)의 외반경(RG)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에는 상기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벽(21)에서, 상기 제 1 케이싱부(6)를 대상물(1)의 오목부(3) 안에 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22, 23, 24)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2, 23, 24)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주위에 있는 리브(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고르게 서로 이격되어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는, 상기 적어도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펼쳐져 열릴 때 케이싱부(6, 7)의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탑(33) 및 관련된 상대 스탑(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부(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를 펼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29 내지 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길이(LS)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29 내지 31)의 길이(LA)의 비는 LA/LS ≥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공구 결합 부재(53)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결합 부재(35)는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m2)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 공간(8) 안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6)은 상기 공구 결합 부재(35)를 갖는 케이싱부(6, 7)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 대상물로서,
본체(2), 및
상기 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를 포함하고,
제 1 항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5)이 상기 오목부(3) 안에 체결되는, 대상물.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가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항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5)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케이싱부(6)를 대상물(1)의 오목부(3)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회전 조인트(12)를 닫아서 제 2 케이싱부(7)를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싱부(7)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를 펼쳐서 인서트 케이싱(5)을 상기 오목부(3) 안에 체결시키는,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체결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4159153.7A EP2919343B1 (de) | 2014-03-12 | 2014-03-12 | Einbau-Gehäuse zur Aufnahme und Befestigung einer elektrischen Komponente und Gegenstand mit einem derartigen Einbau-Gehäuse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derartigen Einbau-Gehäuses an einem Gegenstand |
EP14159153.7 | 2014-03-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825A true KR20150106825A (ko) | 2015-09-22 |
KR101707727B1 KR101707727B1 (ko) | 2017-02-27 |
Family
ID=5027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0350A KR101707727B1 (ko) | 2014-03-12 | 2015-02-10 |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US (1) | US9681563B2 (ko) |
EP (1) | EP2919343B1 (ko) |
JP (1) | JP6043376B2 (ko) |
KR (1) | KR101707727B1 (ko) |
CN (1) | CN104916951B (ko) |
AU (1) | AU2015200659B2 (ko) |
BR (1) | BR102015002714A2 (ko) |
CA (1) | CA2882723C (ko) |
DK (1) | DK2919343T3 (ko) |
ES (1) | ES2600472T3 (ko) |
HK (1) | HK1208962A1 (ko) |
MX (1) | MX343665B (ko) |
PL (1) | PL2919343T3 (ko) |
RU (1) | RU2596461C1 (ko) |
TW (1) | TWI56248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97118B2 (en) | 2016-09-12 | 2020-03-24 | Kai Concepts, LLC |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
US10348074B1 (en) * | 2018-02-02 | 2019-07-09 | Paul Bruce Rothera | Variable depth flush-mounted electrical box |
DE202018101937U1 (de) * | 2018-04-10 | 2019-04-11 | F-Tronic Gmbh | Installationsmaterial für die Elektroinstallation in Hohlwänden |
US11588268B1 (en) | 2018-11-28 | 2023-02-21 | Titan3 Technology LLC | Extendable electrical outlet enclosure |
US11159005B1 (en) | 2018-11-28 | 2021-10-26 | Jeffrey P. Baldwin | Electrical box assembly with an adjustable voltage divider |
DE102020108209B4 (de) * | 2020-03-25 | 2024-08-01 | Hendrik Daniel | Set zur Befestigung an einem Bautei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6922A (ja) * | 1996-10-17 | 1998-05-15 | Nichidou Denko Kk | 配線ボックス装置 |
US6015307A (en) * | 1998-10-21 | 2000-01-18 | Chiu; Pen-Fu | Electric outlet with rotary socket bodies |
DE102008014382B3 (de) * | 2008-03-17 | 2009-06-25 | Rüttiger, Maximilian, Dipl.-Ing. | Leitungsauslass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19719U (ja) * | 1983-01-31 | 1984-08-13 | 松下電工株式会社 | 床埋込み型コンセント装置 |
JPH0540662Y2 (ko) * | 1987-08-21 | 1993-10-15 | ||
US5460542A (en) * | 1991-12-23 | 1995-10-24 | Raceway Components, Inc. | Multiple-outlet receptacle |
JP2564962Y2 (ja) * | 1992-02-28 | 1998-03-11 | 孝次 広野 | 電気配線用ボックスの補助支持具 |
US6024599A (en) * | 1998-01-07 | 2000-02-15 | Doug Mockett & Company, Inc. |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
JP4247766B2 (ja) * | 1998-10-19 | 2009-04-02 | 株式会社イトーキ | テーブル用配線ダクト装置 |
US6089921A (en) * | 1999-06-30 | 2000-07-18 | Chou; Jonie | Electric adapter |
US6635822B2 (en) * | 2001-02-08 | 2003-10-21 | Prime Instruments, Inc. | Snap-in meter |
DE10119910C1 (de) * | 2001-04-23 | 2002-08-22 | Leuze Electronic Gmbh & Co | Gehäuse |
FR2840741B1 (fr) * | 2002-06-06 | 2004-11-05 | Alombard Sa | Plaque de support de connexion de luminaire |
WO2005073032A1 (en) | 2004-01-27 | 2005-08-11 | Joy Gregory T | Portable tripod and universal mounting assembly for an object |
US7078616B2 (en) * | 2004-09-24 | 2006-07-18 | The Lamson & Sessions Co. | Floor box |
DE202004018688U1 (de) * | 2004-12-03 | 2006-04-13 | Tehalit Gmbh | Bodenauslass für Unterflur-Installationssysteme |
US7255325B2 (en) * | 2005-04-21 | 2007-08-14 | Technical Concepts, Llc | In-wall sensor assembly |
US7806723B2 (en) * | 2007-01-05 | 2010-10-05 | Belkin International, Inc. | Electrical grommet device |
DE102006040038A1 (de) * | 2006-08-23 | 2008-03-20 | Siemens Ag | Anordnung mit einem Scheibenisolator |
US8242365B2 (en) * | 2006-08-29 | 2012-08-14 | The Wiremold Company | Cover for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
US7635110B2 (en) * | 2006-08-29 | 2009-12-22 | Wiremold, Co. | Retention and mounting bracket for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
FR2907976B1 (fr) * | 2006-10-26 | 2009-01-30 | Legrand France | Dispositif de montage pour appareillage electrique,incluant une boite d'encastrement |
SE0801948A2 (sv) * | 2008-09-11 | 2010-07-20 | Schneider Electric Ind Sas | Golvbox |
US8317537B1 (en) * | 2009-12-08 | 2012-11-27 | Premier Manufacturing Group, Inc. | Utility receptacle apparatus for use with a work surface or similar article |
US8475186B1 (en) * | 2010-10-13 | 2013-07-02 | Viable, Inc. | Guest connector assembly |
US8598453B2 (en) * | 2011-09-22 | 2013-12-03 | Rite-Tech Industrial Co., Ltd. | Power strip hanging device and structure |
US9024211B2 (en) * | 2012-06-07 | 2015-05-05 | Doug Mockett & Company, Inc. |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
US9148007B2 (en) * | 2012-11-09 | 2015-09-29 |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 Recessed poke-through fitting |
-
2014
- 2014-03-12 EP EP14159153.7A patent/EP2919343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14-03-12 ES ES14159153.7T patent/ES2600472T3/es active Active
- 2014-03-12 DK DK14159153.7T patent/DK2919343T3/en active
- 2014-03-12 PL PL14159153T patent/PL2919343T3/pl unknown
-
2015
- 2015-01-30 JP JP2015016865A patent/JP604337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2-06 BR BR102015002714-1A patent/BR102015002714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2-09 TW TW104104271A patent/TWI56248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2-09 RU RU2015104128/12A patent/RU2596461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02-10 KR KR1020150020350A patent/KR1017077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2-11 AU AU2015200659A patent/AU2015200659B2/en not_active Ceased
- 2015-02-15 CN CN201510082784.1A patent/CN10491695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2-23 CA CA2882723A patent/CA288272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3-10 US US14/643,568 patent/US968156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3-11 MX MX2015003154A patent/MX343665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09-30 HK HK15109604.2A patent/HK1208962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26922A (ja) * | 1996-10-17 | 1998-05-15 | Nichidou Denko Kk | 配線ボックス装置 |
US6015307A (en) * | 1998-10-21 | 2000-01-18 | Chiu; Pen-Fu | Electric outlet with rotary socket bodies |
DE102008014382B3 (de) * | 2008-03-17 | 2009-06-25 | Rüttiger, Maximilian, Dipl.-Ing. | Leitungsausla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043376B2 (ja) | 2016-12-14 |
CN104916951A (zh) | 2015-09-16 |
PL2919343T3 (pl) | 2017-03-31 |
EP2919343A1 (de) | 2015-09-16 |
MX343665B (es) | 2016-11-16 |
HK1208962A1 (en) | 2016-03-18 |
US20150264827A1 (en) | 2015-09-17 |
EP2919343B1 (de) | 2016-09-14 |
US9681563B2 (en) | 2017-06-13 |
MX2015003154A (es) | 2015-10-14 |
AU2015200659A1 (en) | 2015-10-01 |
AU2015200659B2 (en) | 2016-11-17 |
JP2015177735A (ja) | 2015-10-05 |
TWI562489B (en) | 2016-12-11 |
CA2882723C (en) | 2017-12-05 |
ES2600472T3 (es) | 2017-02-09 |
CA2882723A1 (en) | 2015-09-12 |
TW201541777A (zh) | 2015-11-01 |
BR102015002714A2 (pt) | 2017-11-21 |
KR101707727B1 (ko) | 2017-02-27 |
DK2919343T3 (en) | 2017-01-09 |
RU2596461C1 (ru) | 2016-09-10 |
CN104916951B (zh) | 2017-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7727B1 (ko) |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 |
KR102216342B1 (ko) | 완전 삽입형 보증 캡 분리 도구가 있는 유체 커넥터 | |
TWI639792B (zh) | 用於安裝裝置的安裝配置及用於安裝及卸除裝置的方法 | |
US9611992B2 (en) | Lamp retrofitting assembly | |
US8698011B2 (en) | Device for fixing a cable to a cable outlet connector | |
RU2010115110A (ru) | Резьбовой колпачок для емкостей для жидкостей | |
BR112012019494B1 (pt) | dispositivo elétrico | |
CN106523791B (zh) | 车用管线安装管夹 | |
WO2014035774A3 (en) | Seal assembly for a casing hanger | |
BR112017021956B1 (pt) | Soquete | |
EP3464998A1 (en) | A suspension assembly for suspending a pendant luminaire from a ceiling | |
EP1926192B1 (fr) | Boîtier pour cloison sèche, à pattes axialement fixes et appuis extérieurs coulissant axialement | |
CN109654092B (zh) | 用于零件的固定装置 | |
RU2016113802A (ru) | Узел для сопряжения переходника с медицинским контейнером | |
BR112017009874A2 (pt) | espelho de porta de veículo | |
KR101918387B1 (ko) | 볼트머리 안전커버 | |
CA2982535A1 (en) | Mounting system for accessory | |
KR20100099401A (ko) | 케이블 고정장치 | |
BR112019011100A2 (pt) | tampão de furo de vedação adaptável | |
KR200296553Y1 (ko) |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 |
KR101755419B1 (ko) |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 |
KR200408753Y1 (ko) | 케이블관 밀폐용 캡 | |
EP3396244B1 (en) | Light fixture | |
CN205876906U (zh) | 导槽件及带导槽件的螺丝 | |
KR20230022549A (ko) | 휴대용 손전등 허리부착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