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727B1 -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727B1
KR101707727B1 KR1020150020350A KR20150020350A KR101707727B1 KR 101707727 B1 KR101707727 B1 KR 101707727B1 KR 1020150020350 A KR1020150020350 A KR 1020150020350A KR 20150020350 A KR20150020350 A KR 20150020350A KR 101707727 B1 KR101707727 B1 KR 10170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sert
spreading
members
ca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825A (ko
Inventor
한트쉘 외르그
프랑크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뷔르트 엘렉트로닉 아이조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뷔르트 엘렉트로닉 아이조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뷔르트 엘렉트로닉 아이조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10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02G3/185Floor outlets and access cu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6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by snap 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5)는 회전 조인트(12)에 의해 제 2 케이싱부(7)에 연결될 수 있는 제 1 케이싱부(6)를 포함한다. 이들 케이싱부(6, 7)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8)을 규정한다. 제 1 케이싱부(6)에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제공되어 있는데, 회전 조인트(12)가 닫힐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2 케이싱부(7)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인서트 케이싱(5)은 회전 조인트(12)의 담힘으로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INSERT CASING FOR FASTENING AN ELECTRICAL COMPONENT, AND METHOD FOR FASTENING AN INSERT CASING TO AN OBJECT}
본 발명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이 인서트 케이싱은, 제 1 케이싱부 및 이 제 1 케이싱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케이싱부,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들에 의해 규정되며 전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인서트 케이싱을 포함하는 대상물, 특히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종류의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닥 오목부에 전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이 US 2008/054 135 A1 에 알려져 있다. 이 인서트 케이싱은, 이 케이싱을 바닥 오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시부가 제공되어 있는 가요성 유지 다리부를 갖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덮개가 위에 놓이면, 가시부를 포함하는 상기 유지 다리부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며, 그래서 케이싱이 상기 가시부에 의해 바닥 오목부 안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상기 인서트 케이싱의 단점은, 그 인서트 케이싱은 복잡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으로서,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쉬운 그러한 인서트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으로 달성되며, 이 인서트 케이싱은, 제 1 케이싱부 및 이 제 1 케이싱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케이싱부, 및 상기 케이싱부들에 의해 규정되며 전기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부들은 회전 조인트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조인트가 닫힐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전기 부품을 위한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케이싱부들은 회전 조인트를 형성하며, 그래서 그 회전 조인트를 닫으면 상기 케이싱부들이 연결될 수 있고 회전 조인트를 열면 풀릴 수 있다. 제 1 케이싱부에는, 회전 조인트가 닫히면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동시에 펼쳐져 있는, 다시 말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된 상태에서 단순히 회전 조인트를 닫으면 제 2 케이싱부가 제 1 케이싱부에 연결되는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을 관련된 오목부 안에 간단한 방식으로 지탱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인서트 케이싱은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쉽고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인서트 케이싱을 분리하려면, 회전 조인트를 열어, 관련된 오목부 안에서의 인서트 케이싱의 지탱, 다시 말해 고정을 해제하면 된다. 그 결과, 인서트 케이싱의 분리도 쉽게 된다.
회전 조인트는 특히 나사 조인트 및 베이요넷(bayonet) 조인트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부들은 내부 나사 및 관련된 외부 나사를 형성하며, 그래서 그 케이싱부들은 함께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케이싱부에 내부 나사가 제공되고, 제 2 케이싱부에는 외부 나사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케이싱부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을 갖는 환형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측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제 1 케이싱부의 상기 환형 측벽에 배치되므로, 회전 조인트를 닫을 때 제 2 케이싱부를 제 1 케이싱부에 대해 길이 방향 중심 축선 둘레로 돌리면 펼침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쉽게 펼쳐질 수 있는데, 즉 편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케이싱부는 상기 환형 측벽이 고정되는 케이싱 바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 케이싱 바닥부 및 측벽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일체적으로 그리고/또는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간단한 설계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제 1 케이싱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면, 인서트 케이싱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탄력적인 어셈블리를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있다. 탄력적인 어셈블리로 인해, 회전 조인트를 열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자동적으로 그의 비펼침 위치로 되돌아 가므로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배치되는 제 1 단부 및 자유로운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제 2 단부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으로 증가하는 벽 두께를 갖는 인서트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쉽게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반경 방향으로 증가하는 벽 두께를 가지며,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비펼침 위치에서 수용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회전 조인트를 닫을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수용 공간 밖으로 밀려,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편향되게 된다. 편향된 또는 펼쳐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넘어 돌출하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관련 오목부 안에 지탱되어 고정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과 대향하며 내반경(rS) 을 갖는 내벽을 가지며, 이 내반경(rS)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상기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그의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내반경(rS)을 가지며,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비펼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회전 조인트를 닫을 때,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수용 공간 밖으로 밀려,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편형되게 된다. 편향 또는 펼침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넘어 돌출하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관련 오목부 안에 지탱되어 고정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외반경(RS)을 갖는 외벽을 가지며, 이 외반경(RS)은 상기 측벽의 외반경(RG)에 대응하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펼침 부재의 비펼침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이 외반경(RS)은 제 1 케이싱부의 외반경(RG)에 대응하므로, 인서트 케이싱은 오목부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고 또한 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조인트를 닫아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펼쳐질 때, 그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는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넘어 돌출하게 되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오목부 안에 지탱된다. 외반경(RS)이 외반경(RG)에 대응하므로, 지탱은 오목부의 넓은 표면적에 걸쳐 이루어진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벽에서, 상기 제 1 케이싱부를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고정하기 위한 프로파일이 제공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외벽에 제공되는 상기 프로파일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대상물과의 연결을 개선시켜 준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 주위에 있는 리브를 포함하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리브는, 인서트 케이싱이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준다.
적어도 2개의 펼침 부재, 특히 적어도 3개의 펼침 부재가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펼침 부재는 고르게 서로 이격되어 특히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펼침 부재는 다른 반경 방향으로 제 1 케이싱부의 외주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그래서 인서트 케이싱이 오목부 안에서 고르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적어도 펼침 부재가 펼쳐져 열릴 때 케이싱부들의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탑 및 관련된 상대 스탑을 갖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탑 및 관련된 상대 스탑을 형성하므로, 상기 적어도 펼침 부재가 그의 펼침 위치에 도달하면 회전 운동이 쉽게 멈춰지게 된다. 이로써, 케이싱부들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되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의도한 펼침 위치에서 의도하지 않은 비펼침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 2 케이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펼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의 길이(LS)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의 길이(LA)의 비는 LA/LS ≥ 0.5, 특히 LA/LS ≥ 0.6, 또한 특히 LA/LS ≥ 0.7 인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가 특히 넓은 표면적에 걸쳐 확실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케이싱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특히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공구 결합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그 공구 결합 부재에 의해, 회전 조인트를 간단한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또한 그래서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간단한 방식으로 펼치고 해제할 수 있다. 공구 결합 부재는 특히 케이싱부들 중의 하나에 있는 오목부로 되어 있다. 공구 결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케이싱부에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가지며 이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특히 상기 공구 결합 부재를 갖는 케이싱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이 쉽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있는(배치될)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을 위한 케이블 연결부가, 인서트 케이싱의 장착 또는 분리를 방해함이 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 안으로 쉽게 안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바람직하게는 공구 결합 부재가 또한 제공되어 있는 케이싱부에 형성된다. 그 결과, 공구 결합 부재 때문에 노출되는 상기 케이싱부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케이블 연결부를 안으로 또는 밖으로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 및 공구 결합 부재는 제 2 케이싱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해주는 대상물, 특히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체 및 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이 상기 오목부 안에 고정되는 대상물, 특히 가구로 달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인서트 케이싱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오목부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 의해, 인서트 케이싱이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안에 쉽게 지탱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본체에 쉽고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그 본체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은 휴대 전화기의 무선 충전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는 관통공 또는 블라인드 구멍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달성되며, 이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케이싱부를 대상물, 특히 가구의 오목부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회전 조인트를 닫아서 제 2 케이싱부를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싱부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를 펼쳐서 인서트 케이싱을 상기 오목부 안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전술한 이점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 및 대상물의 특징을 갖도록 더 개량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제 1 케이싱부가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전기 또는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이 제 2 케이싱부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를 위해, 케이싱부들은 회전 조인트의 닫힘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 2 케이싱부가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그래서 제 1 케이싱부가 그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케이싱부와 함께 대상물의 오목부 안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조인트가 닫히면, 인서트 케이싱이 동시에 닫히게 되고 오목부 안에서 지탱된다. 인서트 케이싱을 분리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지탱이 해제되도록 회전 조인트를 열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이점 및 상세점들은 몇몇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의 제 1 케이싱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의 제 2 케이싱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설치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도 1 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부분 절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단면선 V - V 을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고정될 때 도 1 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부분 절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6 의 단면선 Ⅶ - Ⅶ 을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구로 되어 있는 대상물(1)은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를 갖는다. 그 오목부(3)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을 가지며, 오목부(3)의 경계를 이루는 본체 측벽(4)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으로부터 거리(R)를 두고 있다. 오목부(3)는 블라인드(blind) 구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3)는 인서트 케이싱(5)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인서트 케이싱(5)은 제 1 케이싱부(6)와 제 2 케이싱부(7)를 포함하며, 이들 케이싱부는 수용 공간(8)을 규정한다. 이 수용 공간(8)은 도 5 및 7 에서만 윤곽으로 나타나 있는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케이싱부(6)는 바닥부(10)를 가지며, 이 바닥부에는 환형 측벽(11)이 장착되어 있다. 제 1 케이싱부(6)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을 가지며, 측벽(11)의 내측면은 그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거리(rG)에 있으며, 상기 측벽(11)의 외측면은 그 길이 방향 중심 축선으로부터 거리(RG)에 있다. 케이싱부(6, 7)는 회전 조인트(1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부(10)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벽(11)의 단부에서 제 1 케이싱부(6)에는 내부 나사(1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케이싱(5)을 관련된 오목부(3) 안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 1 케이싱부(6)에는 3개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측벽(11)에서 바닥부(10)와 내부 나사(13) 사이에 형성된다. 원주 방향으로 보면,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주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펼침 부재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대해 120°의 각도 간격을 갖는다. 펼침 부재(14 내지 16) 각각은 측벽(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단부(17)를 갖는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각각의 제 1 단부(17)에서 시작하여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각각의 펼침 부재에는 자유로운 제 2 단부(18)가 제공되어 있다. 그래서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측벽(11)에 있는 각각의 U-형 브레이크스루(breakthrough; 19)로 형성된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측벽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도록 제 1 케이싱부, 엄격히 말하면 그의 측벽(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그의 설계 및 배치로 인해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대해 펼쳐질 수 있는데, 다시 말해 편향될 수 있다.
각각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수용 공간(8)과 대향하는 내벽(20) 및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벽(21)을 갖는다. 내벽(20)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 외벽(21)은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거리 또는 외반경(RS)을 가지며, 이 거리 또는 외반경은,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편향되어 있지 않을 때, 다시 말해 펼쳐져 있지 않을 때, 상기 거리 또는 외반경(RG)에 대응한다. 또한, 각각의 내벽(20)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거리 또는 내반경(rS)을 갖는데, 이는 일정하지 않고, 각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제 1 단부(17)에서 그의 관련된 제 2 단부(18) 쪽으로 가면서 작아진다. 다시 말해,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내벽(20)은 그의 각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제 1 단부(17)에서, 내반경(rS)은 상기 거리 또는 내반경(rG) 보다 약간 작은데, rS ≒ 0.97rG 이다. 이와는 달리, 각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에서의 내반경(rS)은, rS ≤ 0.96rG, 특히 rS ≤ 0.93rG, 특히 rS ≤ 0.90rG 이다. 그 결과,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일반적으로 w = RS - rS 인 벽 두께(w)를 갖는다. 이 벽 두께(w)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각 자유 단부(18)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으로 증가 된다.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외벽(21)에는 홈(22)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홈은 원주 방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23)가 외벽(21)에 형성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해, 외벽(21)은 프로파일을 갖는다.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에는 여러 개의 가시부(24)가 더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가시부 또한 외벽(21)에 배치되어 있어 확실한 고정을 보장해 준다. 가시부(24)는 상기 프로파일의 일 부분이다.
상기 케이싱부(6, 7)는, 상기 회전 조인트(12)가 닫힐 때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제 2 케이싱부(7)에 의해 펼쳐지도록, 다시 말해 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싱부(7)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을 갖는 실질적으로 디스크형의 뚜껑(25)을 갖는다. 회전 조인트(12)를 닫기 위해, 상기 뚜껑(25)에는 그의 원주에서 외부 나사(26)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외부 나사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 둘레의 회전 운동에 의해 관련 내부 나사(13)와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조인트(12)는, 이 회전 조인트(12)를 닫기 위해서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제 1 단부(17)에서 그의 자유 단부(18)로 가는 닫힘 방향(27)으로 제 2 케이싱부(7)를 제 1 케이싱부(6)에 대해 회전시켜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열림 방향(28)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에서 그의 제 1 단부(17)로 가는 방향이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를 펼치기 위해, 다수의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수용 공간(8)과 대향하는 뚜껑(25)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접촉 부재의 개수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개수에 대응한다.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도록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접촉 부재들은 서로 120°의 각도 간격을 갖는다. 각각의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으로부터 거리 또는 외반경(RA)을 갖는 외벽(32)을 가지며, 그 거리 또는 외반경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단부(17)에서의 내반경(rS)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벽(32)은 만곡되어 있으며,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관련 펼침 부재(14 내지 16)에 접하도록 곡률 반경은 자유 단부(17)에서의 내반경(rS)에 대응한다.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원주 방향으로 길이(LA)를 가지며,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길이(LS)에 대한 상기 길이(LA)의 비는, LA/LS ≥ 0.5, 특히 LA/LS ≥ 0.6, 또한 특히 LA/LS ≥ 0.7 이다. 이로써,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넓은 표면적에 걸쳐 관련 접촉 부재(29 내지 31)에 의해 펼쳐질 수 있으며,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넓은 표면적에 걸친 반경 방향으로 접촉 압력을 가하게 된다.
펼쳐진 위치에 있을 때 케이싱부(6, 7)의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해, 케이싱부(6)에는 스탑(33)이 제공되어 있고, 케이싱부(7)에는 대응하는 상대 스탑(34)이 제공되어 있다. 스탑(33)은 수용 공간(8)에서 측벽(11)에 배치되는 웨브로 되어 있다. 스탑(33)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스탑(33)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제 1 단부(17)에 인접하도록 측벽(11)에 배치된다. 스탑(33)은 측벽(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으로부터 스탑(33)의 거리(Rt)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단부(17)에서의 거리(rS)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상기 상대 스탑(34)은 뚜껑(25)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 상대 스탑(34)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웨브로 되어 있다. 상대 스탑(34)은 스탑(33)과 겹치도록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으로부터 이격되어 되어 있다. 상대 스탑(34)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으로부터 최대 거리(RT)를 가지며, 이 최대 거리는 제 1 케이싱부(7)의 내반경(rG)에 대응한다.
상기 회전 조인트(12)를 닫고 열기 위해, 공구 결합 부재(35)가,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케이싱부(7)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공구 결합 부재(35)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공구 결합 부재(35)는 예컨대 육각형의 오목부로 되어 있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수용 공간(8) 안으로 이어지는 여러 개의 관통공(36)이 더 제공되어 있다.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을 위한 케이블 연결부(더 자세하게는 나타나 있지 않음)가 상기 관통공(36)을 통과해 수용 공간(8)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인서트 케이싱(5)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에서,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이 수용 공간(8) 안에 배치되고, 케이블 연결부가 관통공(36)을 통과하게 된다. 그 후, 제 2 케이싱부(7)가 제 1 케이싱부(6) 위에 배치되며, 이때 회전 조인트(12)는 여전히 열려 있는 상태이다.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과 길이 방향 중심 축선(m2)은 서로 일치한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제 1 마킹(37)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마킹을 이용하여, 제 2 케이싱부(7)를 원하는 위치에서 제 1 케이싱부(6)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전기 또는 전자 부품(9)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서트 케이싱(5)은 이제 오목부(3) 안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오목부(3)의 반경(R)은 케이싱의 외반경(RG)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도 4 및 5 는 열려 있는 인서트 케이싱(5)을 도시하는데, 다시 말해, 그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외측으로 편향되어 있지 않다.
회전 조인트(12)를 닫기 위해, 제 2 케이싱부(7)를 위한 공구를 공구 결합 부재(35)에 결합시켜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m2) 둘레로 닫힘 방향(27)으로 회전시킨다. 제 1 케이싱부(6)가 오목부(3) 안에서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비펼침 위치에 있는 한 상기 가시부(24)가 측벽(11)을 넘어 약간 돌출되며, 그래서 가시부(24)가 본체의 측벽(4)에 결합할 수 있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탄력적이고 또한 가시부(24)의 작은 돌출량 만큼 수용 공간(8)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가시부(24)가 존재해도 인서트 케이싱(5)은 오목부(3) 안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케이싱부(6, 7)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회전 조인트(12)가 닫혀 케이싱부(6, 7)가 서로 연결된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 운동이 일어날 때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접촉 부재(29 내지 31)가 변위되고 있을 때, 그의 외벽(32)은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관련된 내벽(20)에 접하게 된다. 그 내벽(20)은 닫힘 방향(27)으로 테이퍼져 있고 그래서 수용 공간(8) 안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운동이 일어날 때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반경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 6 및 7 은,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편향된 위치, 다시 말해 펼쳐진 위치에 있는 인서트 케이싱(5)을 나타낸다.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그의 외반경이 오목부(3)의 외반경(R) 보다 크게 되는 정도로 펼쳐진다.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외벽(21)은 그의 프로파일, 다시 말해, 홈(22) 및 관련된 리브(23) 그리고 가시부(24)와 함께 본체(2)의 재료 안으로 가압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리브(23)에 의해, 인서트 케이싱(5)은 특히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m2)의 방향으로 고정된다.
스탑(33) 및 관련된 상대 스탑(34)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케이싱부(6, 7)의 회전 운동이 멈추게 된다. 이때, 접촉 부재(29 내지 31)의 외벽(32)은 관련된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내벽(20)과 면접촉을 하게 된다. 제 2 케이싱부(7)에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펼침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마킹(38)이 제공되어 있다.
끝으로, 회전 조인트(12)가 닫히면, 케이싱부(6, 7)는 한편으로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편향되는데, 그리하여, 인서트 케이싱(5)이 대상물(1)의 오목부(3) 안에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서트 케이싱(5)은 쉽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인서트 케이싱(5)을 분리하려면, 공구를 공구 결합 부재(35)에 다시 결합시켜 제 2 케이싱부(7)를 열림 방향(28)으로 제 1 케이싱부(6)에 대해 회전시킨다. 편향되어 있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에 의해, 제 1 케이싱부(6)는 회전 운동이 일어날 때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열림 방향(28)으로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접촉 부재(29 내지 31)는 펼침 부재(14 내지 16)에서 벗어나게 움직이고,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탄력성 때문에 그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원래의 비펼침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인서트 케이싱(5)과 오목부(3)의 확실한 연결이 해제된다. 동시에 케이싱부(6, 7) 사이의 연결도 해제된다. 이렇게 해서, 인서트 케이싱(5)의 분리도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된다. 케이싱부(6, 7) 각각은 플라스틱 재료로 단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케이싱부(6, 7)는 비교적 간단한 설계를 가지며 또한 제조하기가 쉽다.
인서트 케이싱(5)은 예컨대 휴대 전화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 부품(9)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인서트 케이싱(5)은 예컨대 가구, 특히 테이블에 고정된다.
이하의 설명은 도 8 을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에 대한 것이다.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제 1 케이싱부(6)의 바닥부(10)는 림(rim)을 형성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측벽(11)을 넘어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는, 오목부(3)가 관통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바닥부(10)로 형성되는 상기 림은 그래서 오목부(3)를 완전히 덮게 된다. 인서트 케이싱(5)의 다른 설계 및 기능에 관한 상세점들은 제 1 예시적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알 수 있다.

Claims (22)

  1. 전기 부품을 수용하여 고정(fastening)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으로서,
    제 1 케이싱부(6)와 제 1 케이싱부(6)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케이싱부(7), 및
    상기 케이싱부(6, 7)에 의해 규정되며 전기 부품(9)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8)을 포함하는 인서트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는 회전 조인트(12)를 형성하고,
    상기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의 오목부(3)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조인트(12)가 닫힐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2 케이싱부(7)에 의해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부(6)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을 갖는 환형 측벽(11)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측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는 제 1 단부(17)와 자유 제 2 단부(18)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제 2 단부(18) 쪽으로 가면서 반경 방향으로 증가하는 벽 두께(w)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수용 공간(8)과 대향하며 내반경(rS)을 갖는 내벽(20)을 가지며, 상기 내반경(rS)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자유 단부(18)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상기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외반경(RS)을 갖는 외벽(21)을 가지며, 상기 외반경(RS)은 상기 측벽(11)의 외반경(RG)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에는 상기 수용 공간(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벽(21)에서, 상기 제 1 케이싱부(6)를 대상물(1)의 오목부(3) 안에 고정하기 위한 프로파일(22, 23, 24)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2, 23, 24)은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리브(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부재(14 내지 16)는 고르게 서로 이격되도록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가 펼쳐져 열릴 때 케이싱부(6, 7)의 서로에 대한 회전 운동을 멈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탑(33) 및 관련된 상대 스탑(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싱부(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를 펼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29 내지 3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의 길이(LS)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29 내지 31)의 길이(LA)의 비는 1 > LA/LS ≥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공구 결합 부재(53)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결합 부재(35)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m1, m2)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6, 7)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 공간(8) 안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6)은 공구 결합 부재(35)를 갖는 케이싱부(6, 7)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케이싱.
  20.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항에 따른 인서트 케이싱(5)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케이싱부(6)를 대상물(1)의 오목부(3)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회전 조인트(12)를 닫아서 제 2 케이싱부(7)를 상기 제 1 케이싱부(6)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싱부(7)는 적어도 하나의 펼침 부재(14 내지 16)를 펼쳐서 인서트 케이싱(5)을 상기 오목부(3) 안에 고정하는,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20350A 2014-03-12 2015-02-10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1707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9153.7 2014-03-12
EP14159153.7A EP2919343B1 (de) 2014-03-12 2014-03-12 Einbau-Gehäuse zur Aufnahme und Befestigung einer elektrischen Komponente und Gegenstand mit einem derartigen Einbau-Gehäuse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derartigen Einbau-Gehäuses an einem Gegen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825A KR20150106825A (ko) 2015-09-22
KR101707727B1 true KR101707727B1 (ko) 2017-02-27

Family

ID=5027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350A KR101707727B1 (ko) 2014-03-12 2015-02-10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681563B2 (ko)
EP (1) EP2919343B1 (ko)
JP (1) JP6043376B2 (ko)
KR (1) KR101707727B1 (ko)
CN (1) CN104916951B (ko)
AU (1) AU2015200659B2 (ko)
BR (1) BR102015002714A2 (ko)
CA (1) CA2882723C (ko)
DK (1) DK2919343T3 (ko)
ES (1) ES2600472T3 (ko)
HK (1) HK1208962A1 (ko)
MX (1) MX343665B (ko)
PL (1) PL2919343T3 (ko)
RU (1) RU2596461C1 (ko)
TW (1) TWI5624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7118B2 (en) 2016-09-12 2020-03-24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US10348074B1 (en) * 2018-02-02 2019-07-09 Paul Bruce Rothera Variable depth flush-mounted electrical box
DE202018101937U1 (de) * 2018-04-10 2019-04-11 F-Tronic Gmbh Installationsmaterial für die Elektroinstallation in Hohlwänden
US11217977B1 (en) 2018-11-28 2022-01-04 Jeffrey P. Baldwin Color changing floor outlet cover
US11588268B1 (en) 2018-11-28 2023-02-21 Titan3 Technology LLC Extendable electrical outlet enclosure
DE102020108209B4 (de) * 2020-03-25 2024-08-01 Hendrik Daniel Set zur Befestigung an einem Baute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4382B3 (de) * 2008-03-17 2009-06-25 Rüttiger, Maximilian, Dipl.-Ing. Leitungsauslas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9719U (ja) * 1983-01-31 1984-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床埋込み型コンセント装置
JPH0540662Y2 (ko) * 1987-08-21 1993-10-15
US5460542A (en) * 1991-12-23 1995-10-24 Raceway Components, Inc. Multiple-outlet receptacle
JP2564962Y2 (ja) * 1992-02-28 1998-03-11 孝次 広野 電気配線用ボックスの補助支持具
JPH10126922A (ja) * 1996-10-17 1998-05-15 Nichidou Denko Kk 配線ボックス装置
US6024599A (en) * 1998-01-07 2000-02-15 Doug Mockett & Company, Inc.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JP4247766B2 (ja) * 1998-10-19 2009-04-02 株式会社イトーキ テーブル用配線ダクト装置
US6015307A (en) * 1998-10-21 2000-01-18 Chiu; Pen-Fu Electric outlet with rotary socket bodies
US6089921A (en) * 1999-06-30 2000-07-18 Chou; Jonie Electric adapter
US6635822B2 (en) * 2001-02-08 2003-10-21 Prime Instruments, Inc. Snap-in meter
DE10119910C1 (de) * 2001-04-23 2002-08-22 Leuze Electronic Gmbh & Co Gehäuse
FR2840741B1 (fr) * 2002-06-06 2004-11-05 Alombard Sa Plaque de support de connexion de luminaire
WO2005073032A1 (en) 2004-01-27 2005-08-11 Joy Gregory T Portable tripod and universal mounting assembly for an object
US7078616B2 (en) * 2004-09-24 2006-07-18 The Lamson & Sessions Co. Floor box
DE202004018688U1 (de) * 2004-12-03 2006-04-13 Tehalit Gmbh Bodenauslass für Unterflur-Installationssysteme
US7255325B2 (en) * 2005-04-21 2007-08-14 Technical Concepts, Llc In-wall sensor assembly
US7806723B2 (en) * 2007-01-05 2010-10-05 Belkin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grommet device
DE102006040038A1 (de) * 2006-08-23 2008-03-20 Siemens Ag Anordnung mit einem Scheibenisolator
US7635110B2 (en) * 2006-08-29 2009-12-22 Wiremold, Co. Retention and mounting bracket for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US8242365B2 (en) * 2006-08-29 2012-08-14 The Wiremold Company Cover for recessed electrical outlet box
FR2907976B1 (fr) * 2006-10-26 2009-01-30 Legrand France Dispositif de montage pour appareillage electrique,incluant une boite d'encastrement
SE0801948A2 (sv) * 2008-09-11 2010-07-20 Schneider Electric Ind Sas Golvbox
US8317537B1 (en) * 2009-12-08 2012-11-27 Premier Manufacturing Group, Inc. Utility receptacle apparatus for use with a work surface or similar article
US8475186B1 (en) * 2010-10-13 2013-07-02 Viable, Inc. Guest connector assembly
US8598453B2 (en) * 2011-09-22 2013-12-03 Rite-Tech Industrial Co., Ltd. Power strip hanging device and structure
US9024211B2 (en) * 2012-06-07 2015-05-05 Doug Mockett & Company, Inc.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US9148007B2 (en) * 2012-11-09 2015-09-2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Recessed poke-through fit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4382B3 (de) * 2008-03-17 2009-06-25 Rüttiger, Maximilian, Dipl.-Ing. Leitungsaus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8962A1 (en) 2016-03-18
CN104916951A (zh) 2015-09-16
MX2015003154A (es) 2015-10-14
AU2015200659B2 (en) 2016-11-17
DK2919343T3 (en) 2017-01-09
RU2596461C1 (ru) 2016-09-10
AU2015200659A1 (en) 2015-10-01
TWI562489B (en) 2016-12-11
JP6043376B2 (ja) 2016-12-14
BR102015002714A2 (pt) 2017-11-21
CA2882723A1 (en) 2015-09-12
CA2882723C (en) 2017-12-05
US9681563B2 (en) 2017-06-13
ES2600472T3 (es) 2017-02-09
JP2015177735A (ja) 2015-10-05
EP2919343A1 (de) 2015-09-16
EP2919343B1 (de) 2016-09-14
TW201541777A (zh) 2015-11-01
US20150264827A1 (en) 2015-09-17
PL2919343T3 (pl) 2017-03-31
MX343665B (es) 2016-11-16
KR20150106825A (ko) 2015-09-22
CN104916951B (zh)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727B1 (ko) 전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케이싱, 및 인서트 케이싱을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2216342B1 (ko) 완전 삽입형 보증 캡 분리 도구가 있는 유체 커넥터
TWI639792B (zh) 用於安裝裝置的安裝配置及用於安裝及卸除裝置的方法
EP3255226A1 (en) Sheathed frame pool
RU2010115110A (ru) Резьбовой колпачок для емкостей для жидкостей
EA028276B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убы нефтедобычи
CN106523791B (zh) 车用管线安装管夹
WO2017204713A1 (en) A suspension assembly for suspending a pendant luminaire from a ceiling
BR112017021956B1 (pt) Soquete
RU2018102072A (ru) Силиконовая клипса
EP1926192B1 (fr) Boîtier pour cloison sèche, à pattes axialement fixes et appuis extérieurs coulissant axialement
US20140360686A1 (en) Control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 rollable blind
RU2016113802A (ru) Узел для сопряжения переходника с медицинским контейнером
US11001312B2 (en) Adaptable sealing hole plug
KR101918387B1 (ko) 볼트머리 안전커버
CA2982535A1 (en) Mounting system for accessory
CN110800165B (zh) 用于交流发电机极柱的覆盖元件
KR200296553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맨홀인입용 고정구
KR20070044529A (ko) 케이블 보호관 밀폐용 마개
KR200408753Y1 (ko) 케이블관 밀폐용 캡
CN204574183U (zh) 排烟管
KR200314439Y1 (ko) 천장 직부등
RU2021138910A (ru) Зажимной соединитель
ITMI20070033A1 (it) Pressacavo accoppiabile ad apparecchi elettrici in genere dotato di elementi di sicurezza
GB2534202A (en) A can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