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753A - 수납 박스 - Google Patents

수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753A
KR20150106753A KR1020140029204A KR20140029204A KR20150106753A KR 20150106753 A KR20150106753 A KR 20150106753A KR 1020140029204 A KR1020140029204 A KR 1020140029204A KR 20140029204 A KR20140029204 A KR 20140029204A KR 20150106753 A KR20150106753 A KR 2015010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ing
storage
opening
inner cas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훈
이동훈
김시온
황지희
Original Assignee
윤재훈
김시온
황지희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훈, 김시온, 황지희, 이동훈 filed Critical 윤재훈
Priority to KR102014002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753A/ko
Publication of KR2015010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로서,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제1 수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를 구비하며, 후면 및 양측면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를 구비하며, 전면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전면과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이 개방되며,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수납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 박스{BOX}
본 발명은 수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로서,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제1 수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를 구비하며, 후면 및 양측면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를 구비하며, 전면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전면과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이 개방되며,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수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의 보관에 있어서는 음식물의 부패 방지를 위해 적절한 온도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음식물의 보관을 위해 냉장고 등이 개발되어 사용됨으로서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해졌으며, 따라서 식량 문제 또한 비교적 대부분 해결되었다.
그러나, 전기 등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이러한 냉장고 등의 음식물 보관 장치의 사용이 어려운 오지 등에서는 음식물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 공급 없이 보관된 음식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11-006228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로서,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제1 수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를 구비하며, 후면 및 양측면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를 구비하며, 전면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전면과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이 개방되며,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수납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로서,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제1 수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를 구비하며, 후면 및 양측면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를 구비하며, 전면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전면과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이 개방되며,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내부 케이싱 내에 수납된 음식물 등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며 부패를 억제하며 보관할 수 있다.
즉, 외부 케이싱은 후면 및 양측면이 철망으로 구성되어 열의 유통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모래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를 넣으면 모래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흡수하는 기화열에 의해 내부 케이싱 내의 음식물의 온도가 낮아지며 부패를 억제하며 음식물의 보관이 장기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음식물이 수납되는 내부 케이싱은 후면, 양측면 상면, 및 하면이 외부 케이싱과 이격되어 열 접촉 면적이 최대로 확보되므로 내부 케이싱 내의 음식물의 냉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음식물 보관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1)로서, 상면(214), 하면(114), 전면(110), 후면(112), 및 양측면(116)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130)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100); 및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제1 수납공간(130) 내에 배치되며 상면(214), 하면, 전면(212), 후면, 및 양측면(216)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230)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2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100)은, 전면(110)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120)를 구비하며, 후면(112) 및 양측면(116)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200)은, 전면(212)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220)를 구비하며, 전면(212)이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전면(110)과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220)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120)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수납공간(230)이 개방되며, 상면(214), 하면, 후면, 및 양측면(216)은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상면, 하면(114), 후면(112), 및 양측면(116)과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는 크게 외부 케이싱(100) 및 상기 외부 케이싱(100) 내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싱(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싱(100)은, 상면, 하면(114), 전면(110), 후면(112), 및 양측면(116)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면, 하면(114), 전면(110), 후면(112), 및 양측면(116)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를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 개념이며, 어느 특정한 방향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용 개폐부(120)가 배치되는 부분을 전면(110)으로 하였을 때, 각각의 방향에 관해 설명하며, 수납용 개폐부(120)가 배치된 면의 위치에 따라서 설명은 변경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외부 케이싱(100)은 육면체 형상을 갖되, 일 면에 상기 수납용 개폐부(120)가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한편, 도면에서 내부 구조 파악의 용이를 위해 외부 케이싱(110)의 상면은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상기 외부 케이싱(100)은, 전면(110)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개폐부(120)란 소정의 여닫이 도어(door)와 같이 구성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개폐될 수 있는 부재면 충분하다.
외부 케이싱(100)의 후면(112) 및 양측면(116)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된다. 후면(112) 및 양측면(116)이라 함은 상기 수납용 개폐부(120)가 전면(110)에 배치됨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수납용 개폐부(120)가 배치된 면의 뒤쪽면 및 양 측면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외부 케이싱(100)의 후면(112) 및 양측면(116)이 철망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외부의 공기, 습기, 열 등이 유통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가 냉각되어 열을 빼앗아갈 때, 상기 철망에 의해서 외부의 냉각열이 외부 케이싱(100) 내의 온도 하강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철망의 형태는 한정하지 아니하며, 반드시 철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철망의 밀도 또한 한정하지 아니한다.
외부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제1 수납공간(1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면, 하면(114), 전면(110), 후면(112), 및 양측면(116)은 소정의 벽으로서, 내부의 제1 수납공간(130)의 외면을 구성한다.
내부 케이싱(200)은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제1 수납공간(130) 내에 배치되며, 상면(214), 하면, 전면(110), 후면, 및 양측면(116)을 갖는 육면체 형태를 갖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230)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면(214), 하면, 전면(110), 후면, 및 양측면(116)에 관한 개념은 상기 외부 케이싱(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외부 케이싱(100)과 내부 케이싱(200)의 각각의 상면(214), 하면(114), 전면(110, 212), 후면(112), 및 양측면(116, 216)은 서로 대응되어 방향을 같이한다. 즉, 외부 케이싱(110)과 내부 케이싱(200)의 상면(214), 하면(114), 전면(110, 212), 후면(112), 및 양측면(116, 2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를 배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는 개념이며, 어느 특정한 방향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싱(200)의 수납용 개구(220)가 배치되는 부분을 전면(110)으로 하였을 때, 각각의 방향에 관해 설명하며, 수납용 개구(220)가 배치된 면의 위치에 따라서 설명은 변경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내부 케이싱(200)은 육면체 형상을 갖되, 일 면에 상기 수납용 개구(220)가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내부 케이싱(200)의 내부에는 제2 수납공간(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상면(214), 하면, 전면(212), 후면, 및 양측면(216)은 소정의 벽으로서, 내부의 제2 수납공간(230)의 외면을 구성한다.
상기 내부 케이싱(200)은, 전면(212)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220)를 구비한다. 수납용 개구(220)는 내부 케이싱(200)의 제2 수납공간(230)에 외부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220)로 구성되며,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전면(212)과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전면(110)은 서로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220)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12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전면(212)은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전면(110)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이때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수납용 개폐부(120)가 개방되면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전면(110)에 배치된 수납용 개구(220)가 노출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120) 및 수납용 개구(220)를 통해 외부의 물건을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제2 수납공간(230) 내에 수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상면(214), 하면, 후면, 및 양측면(216)은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상면, 하면(114), 후면(112), 및 양측면(116)과 소정 거리 이격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전면(110)과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전면(212)은 서로 접하여 연결되되 상기 내부 케이싱(200)의 타 면과 상기 외부 케이싱(100)의 타 면은 서로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소정의 거리를 갖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는 육면체의 내부 케이싱(200)이 육면체의 외부 케이싱(100) 내에 위치하되, 내부 케이싱(200)의 일 면과 외부 케이싱(100)의 일 면이 서로 접하여 연결되며 다른 면은 이격되는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내부 케이싱(200) 내에 수납된 음식물 등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며 부패를 억제하며 보관할 수 있다.
즉, 외부 케이싱(100)은 후면(112) 및 양측면(116)이 철망으로 구성되어 열의 유통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모래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박스(1)를 넣으면 모래의 수분이 증발하면(114)서 흡수하는 기화열에 의해 내부 케이싱(200) 내의 음식물의 온도가 낮아지며 부패를 억제하며 음식물의 보관이 장기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서, 음식물이 수납되는 내부 케이싱(200)은 후면, 양측면(216) 상면(214), 및 하면이 외부 케이싱(100)과 이격되어 열 접촉 면적이 최대로 확보되므로 내부 케이싱(200) 내의 음식물의 냉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음식물 보관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수납 박스
100: 외부 케이싱
110: 전면
112: 후면
114: 하면
116: 양측면
120: 수납용 개폐부
130: 제1 수납공간
200: 내부 케이싱
212: 전면
214: 상면
216: 양측면
220: 수납용 개구
230: 제2 수납공간

Claims (1)

  1.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 박스에 있어서,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제1 수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용 개폐부를 구비하며,
    후면 및 양측면은 외부의 공기 및 습기 등이 유통될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싱은,
    전면에 배치되는 수납용 개구를 구비하며,
    전면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전면과 연결되되 상기 수납용 개구가 상기 수납용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용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이 개방되며,
    상기 내부 케이싱의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싱의 상면, 하면, 후면, 및 양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는 수납 박스.
KR1020140029204A 2014-03-12 2014-03-12 수납 박스 KR20150106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04A KR20150106753A (ko) 2014-03-12 2014-03-12 수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04A KR20150106753A (ko) 2014-03-12 2014-03-12 수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53A true KR20150106753A (ko) 2015-09-22

Family

ID=5424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04A KR20150106753A (ko) 2014-03-12 2014-03-12 수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7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87B1 (ko) * 2015-12-11 2016-09-28 윤재훈 수납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87B1 (ko) * 2015-12-11 2016-09-28 윤재훈 수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75019B (zh) 冰箱
CN102230713A (zh) 制冷装置
TW201641904A (zh) 冷卻裝置
JP2014215019A (ja) 冷却庫
JP2009008359A (ja) システムキッチン用保冷庫
US20180187947A1 (en) Refrigerator
KR20150106753A (ko) 수납 박스
JP6594454B2 (ja) 冷蔵庫
CN202101500U (zh) 制冷装置
JP2013148274A (ja) 冷蔵庫
JP2015105756A (ja) 冷蔵庫
JP5919582B2 (ja) 冷蔵庫
JP6080700B2 (ja) 冷凍冷蔵庫
JP4228892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組み込み式冷蔵庫
JP2017106659A (ja) 冷蔵庫
JP2016133281A (ja) 冷蔵庫
JP6176309B2 (ja) 断熱容器
JP5804961B2 (ja) 食器消毒保管庫
KR20100065904A (ko) 냉장고
CA2598900A1 (en) Dehumidification cooling apparatus for an indoor sports facility
JP3200023U (ja) 被保冷体又は被保温体を冷却又は保温状態で搬送又は貯蔵するために使用する箱体
JP2014047938A (ja) 冷蔵庫
US9989303B1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 transport securing element
KR200318584Y1 (ko) 2도어 화장품냉장고
JP6191207B2 (ja) 収容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