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293A -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 Google Patents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293A
KR20150106293A KR1020140028642A KR20140028642A KR20150106293A KR 20150106293 A KR20150106293 A KR 20150106293A KR 1020140028642 A KR1020140028642 A KR 1020140028642A KR 20140028642 A KR20140028642 A KR 20140028642A KR 20150106293 A KR20150106293 A KR 2015010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foul
latch
latching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3836B1 (en
Inventor
박현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836B1/en
Publication of KR2015010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2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8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Abstract

A hood latch for double releasing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d latch for double releasing comprises: a base having a moving groove unit guiding movement of a striker and fixated to a vehicle body; a latch gear installed to be rotated in the base to restrain the striker accessed through the moving groove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units; a foul installed to be rotated in the base and restraining rotation of the latch gear with movement engaged with the latch gear; a releasing unit installed to be spaced from the foul and connected to an operation cable to be rotated; and a rotation control unit linked with rotation of the releasing unit to vary a rotation angle of the foul.

Description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0001]

본 발명은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release hood latch capable of opening a hood of a vehicle only by a user's operation in a vehicle interior.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소음에 대한 차음기능도 겸하도록 된 후드가 구비되며, 후드는 차체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드는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Generally, the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 hood which is also used as a sound insulation function for engine noise while protecting the engine room, and the hood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and is rotatably installed. The hood is connected to a button or a lever in the vehicle through a wi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od is unlocked by pulling the wi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or the lever.

후드는 후드래치 및 안전후크에 의하여 2단으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된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후드래치를 먼저 록킹 해제시키고 다음에 수동으로 안전후크를 작동시켜야 비로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hood is structured to be locked in two stages by a hood latch and a safety hook, so that in order to release the locked hood, the hood can be opened only after unlocking the hood latch first and then manually operating the safety hook.

후드가 2단 잠김구조를 갖는 것은 혹시라도 후드래치가 완전히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 주행을 하다가 주행풍에 의해 후드가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hood has a two-stage locking structure to prevent sudden opening of the hood due to traveling wind while the hood latch is not fully locked.

종래의 래치장치는,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홈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구속하는 파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 conventional latch device, a latch gear having a mounting groove formed in a base plate on which a moving groove is formed, and a fulcrum for restricting a latching end of the latch gear are rotatably installed.

파울은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여 후드의 개방을 행한다.The foul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of the latch gear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handle, thereby opening the hood.

래치기어에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가 파울에 의해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The latch gear is provided with a first latching portion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and the latch gear which restrains the striker forms a two-step restrained state by the fouls.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홈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에 걸리므로 1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When the striker enters the mounting groove portion of the latch gear, the latch gea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foul is caught by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thereby forming the one-step restrained state.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래치기어가 완전히 회전되면,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에 걸리므로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When the latch gear is completely rotated by being pushed by the striker, the foul is caught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thereby forming the two-step restrained state.

래치기어를 2단 구속상태에 있는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전달하므로, 래치기어에서 파울을 분리시킨다.The relea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oul so as to move the latch gear from the locked position in the two-step restrained state to the unlocked position, thereby separating the foul from the latch gear.

파울이 래치기어에서 분리되면, 개방력이 래치기어에 인가될 때 래치기어가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에서 분리된다.When the foul is separated from the latch gear, when the opening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gear, the latch gear rotates in the separating direction and the striker is separated from the latch gea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2304호(2007.06.1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후드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7-0062304 (published on June 15, 2007, entitled Hood Latch for Automobile).

종래에는 후드래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의 전방에 구비된 레버를 조작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1차 전달한 후, 운전자가 직접 차량의 밖으로 나가서 후드래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으로 후드래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운전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In order to release the striker from the hood latch, the releasing force is firstly transmitted to the foul by operating a lever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n the driver exits the vehicle directly to unlock the hood la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s discomfort is increased because the lock is releas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 release hood latch capable of opening a hood of a vehicle by user's operation only in a vehicle interior.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 및 해제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파울의 회전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ving a moving groov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 striker and fixed to a vehicle body; and a strik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 fulcru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restrains rotation of the latch gear by an operation of meshing with the latch gear, a releas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oul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cable and rotates, And a rotation adjusting unit for varying a rotation angle of the foul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또한 래치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와,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걸림부와, 마운팅홈부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와 이격되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잠금위치에서 파울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제2걸림부와 단차를 이루며 1차 잠금해제위치에서 파울에 걸리는 제3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ch gear includes a latch body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a first latch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atch body and positioned above the striker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a third engaging part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latch body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foul at the locking position and a third engaging part engaged with the foul at the first unlocking position .

또한 래치기어는, 래치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 마운팅홈부, 제2걸림부 및 제3걸림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atch gear is formed with the first latching portio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and the third latching portion sequentially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latch body.

또한 파울은, 이동홈부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와,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제2걸림부 또는 제3걸림부에 걸려서 래치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파울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조절부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lcrum includes a fulcrum body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latch gear with the moving groo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ulcrum body and engaged wit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r the third latching portion to restrain rotation of the latch body And a connection protrusion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foul body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trol part.

또한 해제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몸체 및 해제몸체에서 연장되어 작동케이블에 걸리는 해제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leasing portion includes a releasing body rotatably installed in a cover portion fixed to the base, and a releasing connecting piece extending from the releasing body to be caught by the operating cable.

또한 회전조절부는, 파울에서 커버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부와, 해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몸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돌출부에 걸려서 파울을 회전시키는 회전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is installed in the foul, and a rotation engaging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lease body and engaged with the protrusion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elease body to rotate the foul .

또한 돌출부는, 파울의 하측에서 커버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지지돌기 및 제1지지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d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oul toward the cover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spaced from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또한 회전걸림부는, 해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걸림몸체 및 회전걸림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1지지돌기 또는 제2지지돌기에 걸려서 파울을 회전시키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otation latch includes a rotation latch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lease body, and an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latch body to rotate the foul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o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또한 래치기어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과 해제부와 회전걸림부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ch gear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foul, the release portion, and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are elastically suppor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작동케이블의 이동으로 해제부와 회전조절부가 동작되어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foul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by operating the release portion and the rotation control portion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cable, It is possible to open the h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요부구성이 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1차 동작으로 회전걸림부가 제1지지돌기와 제2지지돌기의 사이로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제1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에 걸려서 스트라이커가 1차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와 회전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제2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와 이격되어 스트라이커가 2차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홈부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어 래치기어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하강하는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걸림부에 파울이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를 밀어내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에 걸려서 잠금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double release hood latch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locked position; FIG.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tion latch is inserted between a first support protrusion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in a primary operation of an opera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support part rotates the first support projection clockwise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operation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l is caught by the third latching part and the striker is positioned at the primary unloc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ortion and the rotation latch portion are returned counterclockwise by an elastic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support part rotates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 clockwis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l is separated from the third engaging part and the striker is positioned at the second unlock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iker is inserted into a moving groove part and is in contact with a latch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gear is pushed by a striker descending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foul is caught in a third engag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es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foul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FIG.
FIG. 1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ld in the locked position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fou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용차에 설치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installed in a passenger car is taken as an example.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는, 베이스(10), 래치기어(20), 파울(30), 커버부(40), 해제부(50), 회전조절부(60) 및 스위치부(100)를 포함한다.1 to 3, a double release hood latch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a latch gear 20, a foul 30, a cover portion 40, A release unit 50, a rotation control unit 60, and a switch unit 100. [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는 스트라이커(105)가 상하(이하 도 2기준)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홈부(1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트라이커(105)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동홈부(12)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하측은 막혀있다.The base 10 fixed to the vehicle body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forming the moving groove 12 for moving the striker 105 up and down (refer to FIG. 2). The bas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moving groove 1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riker 105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groove 12 is open and the lower side is closed.

베이스(10)의 우측에는 래치기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좌측에는 파울(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80)은 커버부(40)와 래치기어(20)의 래치몸체(2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1연결공(14)에 삽입되며, 제2지지축(82)은 커버부(40)와 파울(30)의 파울몸체(32)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에 삽입된다.A latch gea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10 and a foul 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10. The first support shaft 8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4 of the base 10 through the cover portion 40 and the latch body 21 of the latch gear 2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shaft 8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16 of the base 10 through the fulcrum body 32 of the cover portion 40 and the foul 30.

래치기어(2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05)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래치몸체(21), 제1걸림부(22), 마운팅홈부(23), 제2걸림부(24), 제3걸림부(25) 및 래치연장편(27)을 포함한다.The latch gea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restrains the striker 105 that has entered through the moving groove 12. The latch gear 2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technical concept including a plurality of latch portions. The latch gea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latch body 21, a first latching portion 22, a mounting groove portion 23, a second latching portion 24, a third latching portion 25, (27).

래치몸체(21)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05)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23)를 구비한다. 제1지지축(80)은 커버부(40)와 래치몸체(21)와 베이스(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몸체(21)는 이동홈부(12)의 우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atch body 21 has a mounting groove portion 23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into which the striker 105 is inserted. The first support shaft 80 is installed through the cover portion 40, the latch body 21, and the base 10 in this order. The latch body 2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1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ving groove 12. [

제1걸림부(22)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23)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05)의 상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22)는 스트라이커(105)를 구속하는 잠금위치에서 래치몸체(2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걸림부(22)는 잠금위치에서 파울(30)을 향하여 연장되며, 이동홈부(12)의 내측에 있는 스트라이커(105)가 이동홈부(12)의 상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The first latching part 22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iker 105 which protrudes from the latch body 21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part 23. [ The first latching portion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atch body 21 at the lock position for restricting the striker 105. [ The first latching portion 22 extends from the locking position toward the foul 30 and restrains the striker 105 located inside the moving groove 12 from mov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groove 12.

마운팅홈부(23)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105)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The mounting groove portion 2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 and is inserted into the striker 105 moving up and down through the moving groove 12 of the base 10 As shown in Fig.

제2걸림부(24)는 스트라이커(105)가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에 완전히 잠김 상태로 있는 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is located at the lock position in which the striker 105 is fully locked in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1 so that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is restrained by being caught by the foul 30 And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24)는 마운팅홈부(23)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22)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래치몸체(2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린다. 제2걸림부(24)는 이동홈부(12)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105)의 하측에 위치하며, 스트라이커(105)에 밀려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스트라이커(105)를 밀면서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걸림부(24)는 래치몸체(21)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30)의 위치에 따라 파울(30)에 접하여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파울(30)을 통과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latching part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tching part 22 with the mounting groove part 2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latching body 21, And is caught by the foul 30.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is located below the striker 105 located in the moving groove portion 12 and can be pushed by the striker 105 to be rotated downward and can be rotated upward by pushing the striker 105 have. That is,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rotates together with the latch body 21 and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in contact with the foul 3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foul 30 or passes through the foul 30 And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제3걸림부(25)는 제2걸림부(24)와 단차를 이루며 1차 잠금해제위치에서 파울(3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24)의 일측에는 마운팅홈부(23)가 위치하며, 제2걸림부(24)의 타측은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2걸림부(24)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걸림부(25)는 제2걸림부(24)와 단차를 이루며 래치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제2걸림부(24)나 제3걸림부(25)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The third engaging part 2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being engaged with the foul 30 at the primary unlocking position by forming a step with the second engaging part 24. A mounting groove portion 23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extends in an arc shape. The third latching part 25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atching part 24 protrudes outward from the latch body 21 in a stepped relationship with the second latching part 24, 34 are caught by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and the third latching portion 25 so as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래치연장편(27)은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9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연장편(27)은 래치몸체(21)의 상측(이하 도 2기준)으로 연장되어 제1탄성부재(90)의 타측에 연결된다.The latch extension 27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a technical concept that protrudes from the latch body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90. The latch extension 2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exten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atch body 21 (refer to FIG. 2)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90.

래치기어(20)는, 제1지지축(80)이 관통되는 래치몸체(2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22), 마운팅홈부(23), 제2걸림부(24) 및 제3걸림부(25)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The latch gear 20 includes a first latching portion 22, a mounting groove portion 23, a second latching portion 24,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24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latch body 21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shaft 80 passes. 3 latching portions 25 ar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파울(30)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30)은, 파울몸체(32), 걸림돌기(34), 연결돌기(36) 및 파울지지편(38)을 포함한다.The foul 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technical concept of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by an operation of engaging with the latch gear 20. The foul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oul body 32, a locking projection 34, a connecting projection 36, and a fulcrum piece 38.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대향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의 좌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oul body 32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latch gear 20 with the moving groove 12 therebetween. The foul body 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10 opposed to the latch gear 20 with the moving groove 12 therebetween. The foul body 3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1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moving groove 12. [

제2지지축(82)의 일측은 커버부(40)와 파울몸체(32)와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을 차례로 통과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지지축(82)의 타측에는 파울(30)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92)가 설치된다.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shaft 82 is installed by passing through the cover portion 40, the foul body 32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16 of the base 10 in order. A second elastic member 9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oul 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shaft 82.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파울몸체(32)의 상측에 제2지지축(82)이 관통하며, 제2지지축(82)의 하측으로 파울몸체(32)가 연장된다.When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1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second support shaft 82 penetrates on the upper side of the foul body 32 and the foul body 32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shaft 82 .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래치기어(20)가 설치된 베이스(10)의 우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걸림돌기(34)에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 또는 제3걸림부(25)가 걸리므로 래치몸체(21)의 회전이 구속된다.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래치기어(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4)와 제3걸림부(25)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4)와 제3걸림부(25)의 이동을 구속한다.The latching protrusion 34 protrudes from the fulcrum body 32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base 10 on which the latch gear 20 is installed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of the latch gear 20, The rotation of the latch body 21 is restrained because the third latching portion 25 is caught. The latching protrusion 34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technical concept of protruding from the foul body 32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The latching protrusion 34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latch gear 20 from the side facing the latch gear 20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latching part 24 and the third latching part 25 which mo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restrains movement of the second engaging part 24 and the third engaging part 25 which are pushed or mov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연결돌기(36)는 파울몸체(3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조절부(6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돌기(36)는 파울몸체(32)의 하측에서 베이스(10)의 타측(도 2 기준 우측)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connection protrusions 3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technical concept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oul body 32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regulating portion 60. The connecting protrusion 3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oul body 32 toward the other side (reference right side in FIG. 2) of the base 10.

파울몸체(32)에서 걸림돌기(34)와 연결돌기(36)는 같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걸림돌기(34)의 하측에 연결돌기(36)가 위치한다.In the foul body 32, the locking protrusions 34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36 exten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36 ar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s 34.

제2지지축(82)이 연결된 파울몸체(32)의 근처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파울지지편(38)이 구비된다. 파울지지편(38)에 제2탄성부재(92)의 일측이 걸리므로 파울몸체(32)를 반시계방향(도 2기준)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foul supporting piece 38 is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vicinity of the foul body 32 to which the second support shaft 82 is connected.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92 is engaged with the foul supporting piece 38 so that the fulcrum body 32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fer to FIG. 2).

커버부(40)는 래치기어(20)와 파울(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해제부(5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돌기(46)를 구비한다.The cover portion 40 is provided in a state of facing the base 10 with the latch gear 20 and the foul 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provided with a rotation restraining protrusion 46).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부(40)의 안내홈부(44)가 형성되며, 회전구속돌기(46)는 커버부(40)에서 해제부(50)를 향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해제몸체(52)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The guide recess 44 of the cover portion 4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groove 12 of the base 10 and the rotation restraining projection 46 is provided at the cover portion 40 toward the release portion 50 And is position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disengaging body 52.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0)는, 커버몸체(42), 안내홈부(44), 회전구속돌기(46), 받침편(48)을 포함한다. 받침편(48)은 커버몸체(4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지지편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제1탄성부재(90)의 일측이 받침편(48)에 걸린다.The cover portion 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cover body 42, a guide groove portion 44, a rotation restraining projection 46, and a support piece 48. The support piece 48 protrudes forward from the cover body 42 and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90 installed to be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iece is hooked on the support piece 48.

해제부(50)는 파울(30)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110)에 연결되어 회전되므로 회전조절부(60)를 동작시켜 파울(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50)는 해제몸체(52), 작동홈부(54), 해제연장편(56), 해제연결편(58)을 포함한다.The release unit 50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oul 30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cable 110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foul 30 is controlled by operating the rotation control unit 6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release portion 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the release body 52, the operation groove 54, the release extension piece 56, and the release connection piece 58.

해제몸체(52)는 베이스(10)에 고정되는 커버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몸체(52)를 관통하는 제3지지축(84)은 커버부(40)에 설치되며, 제3지지축(84)의 외측에 설치된 제3탄성지지부재(94)는 베이스(10)와 해제몸체(52)에 양측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몸체(52)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The release body 5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ver portion 40 fixed to the base 10. [ A third support shaft 84 extending through the release body 5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cover portion 40 and a third elastic support member 94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third support shaft 84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base 10 and the release body 52, respectively.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release body 52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해제몸체(52)의 일측(도 2기준 좌측)에는 커버부(40)의 회전구속돌기(46)가 걸려서 해제몸체(52)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 이내로 구속하는 작동홈부(54)가 구비된다. 해제몸체(5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홈부를 형성하는 작동홈부(54)에 회전구속돌기(46)가 위치한다. 해제몸체(52)의 회전에 따라 작동홈부(54)의 일측 또는 타측이 회전구속돌기(46)에 접하여 해제몸체(52)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정지된다.The operation restricting projection 46 of the cover portion 40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disengaging body 52 so as to restrai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engaging body 52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 The rotation restraining projection 46 is located in the operating groove 54 forming the groove in the shape of an arc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lease body 52. [ The rotation of the release body 52 causes the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groove 54 to contact the rotation restraining projection 46 to stop the rotation of the release body 52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해제연장편(56)은 해제몸체(52)에서 연장되어 제4탄성부재(96)가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연장편(56)은 해제몸체(5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회전걸림부(62)를 탄성 지지하는 제4탄성부재(96)의 일측이 걸려서 지지된다.The unlocking extension piece 5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extending from the unlocking body 52 to engage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The release extension piece 5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trudes forward of the release body 52 and one side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is hung and supported.

해제몸체(5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해제연결편(58)에는 작동케이블(110)이 연결된다. 베이스(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작동케이블(110)은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8)에 연결되므로, 작동케이블(110)의 좌측 이동으로 해제몸체(52)는 제3지지축(8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An operation cable 110 is connected to a release connection piece 58 protruding forward of the release body 52. The operation cable 110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base 10 is connected to the release connection piece 58 of the release portion 50. As a result of the left movement of the operation cable 110, An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support shaft 84.

회전조절부(60)는 해제부(5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파울(30)의 회전각도를 가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60)는, 회전걸림부(62)와 돌출부(70)를 포함한다.The rotation adjusting unit 6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var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oul 30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unit 50. The rotation regulating portion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otation engaging portion 62 and a projection portion 70. [

돌출부(70)는 파울(30)에서 커버부(40)가 설치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에에 따른 돌출부(70)는, 파울(30)의 하측에서 커버부(40)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지지돌기(72)와, 제1지지돌기(72)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2지지돌기(74)를 포함한다.The protrusion 7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a technical spirit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oul 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unit 40 is installed. The protrusion 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72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oul 30 toward the cover portion 40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72 protruding from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72 And a second support projection 74.

파울(30)의 연결돌기(3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1지지돌기(72)와 제2지지돌기(74)는 원형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지지돌기(72)와 제2지지돌기(74)의 사이로 회전절림부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1지지돌기(72)와 제2지지돌기(74)는 좌우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제1지지돌기(72)와 제2지지돌기(74)의 사이에는 회전걸림부(62)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72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74 protruding forward from the connection protrusions 36 of the foul 3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ro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72, It is easy to insert the rotation cut-out portion between the guide portions 74.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72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7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rotation engaging portion 62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72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74 .

회전걸림부(62)는 해제몸체(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몸체(52)의 회전에 연동하여 돌출부(70)에 걸려서 파울(3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림부(62)는 회전걸림몸체(63), 연장돌기(65), 돌출걸림편(67)을 포함한다.The rotation engaging part 6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lease body 52 and is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being engaged with the projecting part 70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elease body 52 to rotate the foul 30 .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rotation latching body 63, an extending projection 65, and a projecting latching piece 67.

회전걸림몸체(63)는 제4지지축(86)에 의해 해제몸체(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지지축(86)의 외측에 권선된 제4탄성부재(96)의 일측은 해제연장편(56)에 지지되며, 제4탄성부재(96)의 타측은 해제몸체(52)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회전걸림몸체(63)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isengaging body 52 by the fourth support shaft 86. [ One side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wound on the outside of the fourth support shaft 86 is supported by the release extension piece 56 and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is passed through the release body 52 So that 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연장돌기(65)는 회전걸림몸체(6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1지지돌기(72) 또는 제2지지돌기(74)에 걸려서 파울(30)을 회전시킨다. 연장돌기(65)는 회전걸림몸체(63)에서 돌기 형상으로 연장되며, 연장돌기(65)의 둘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돌출부(70)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extension protrusion 65 extends downward from 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and is caught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72 o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74 to rotate the foul 30. The extension protrusion 65 extends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in 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and the periphery of the extension protrusion 65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friction generated while contacting the protrusion 70 can be reduced.

돌출걸림편(67)은 회전걸림몸체(63)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커버부(40)를 향한 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돌출걸림편(67)은 회전걸림몸체(63)가 제4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돌출걸림편(67)이 해제몸체(52)의 측면에 접하여 회전걸림몸체(63)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The protruding engaging piece 67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and to bend backward toward the cover portion 40. The protruding engaging piece 67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leasing body 52 when 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Thereby restricting the engagement body 63 from being rotated beyond the set angle.

제1탄성부재(90)는 제1지지축(80)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탄성부재(90)의 일측은 받침편(48)에 설치되며 타측은 래치연장편(27)에 연결되어 래치몸체(21)를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first elastic member 90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upport shaft 80.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9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iece 48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the latch extension piece 27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atch body 21 in the clockwise direction.

제2탄성부재(92)는 제2지지축(82)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탄성부재(92)의 일측은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타측은 파울지지편(38)에 연결되어 파울몸체(32)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92 is attached to the bas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92 is connected to the fulcrum piece 38. The second elastic member 92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support shaft 82,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oul body 32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3탄성부재(94)는 제3지지축(84)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3탄성부재(94)의 일측은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타측은 해제몸체(52)의 측면에 걸려서 해제몸체(52)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third elastic member 94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third support shaft 84 and the third elastic member 94 is installed on the base 10,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lease body 52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4탄성부재(96)는 제4지지축(86)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4탄성부재(96)의 일측은 해제연장편(56)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걸림몸체(63)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회전걸림몸체(63)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fourth elastic member 96 is installed so as to b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fourth support shaft 86. One side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is connected to the release extension piece 56, 63 so that the rotation engaging body 63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래치기어(20)와 인접한 베이스(10)에는 스위치부(100)가 설치되며, 래치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부(100)가 동작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위치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00)는 접촉식으로 동작되는 스위치가 사용된다.The switch unit 100 is provided in the base 10 adjacent to the latch gear 20 and the switch unit 100 is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latch gear 20 to the control unit do. In the switch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witch operated in a contact manner is used.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는, 베이스(10)의 좌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우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며,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와 회전조절부(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고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베이스(10)의 좌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의 우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래치기어(20)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와 회전조절부(60)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는 후드래치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 foul 3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10, a latch gear 2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10, and the latch gear 2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fulcrum 30, the release unit 50 and the rotation regulating unit 60 are supplied with an elastic forc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However, the latch gear 2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10, The foul 30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se 10 and the latch gear 2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foul 30, the release part 50, And a hood latch that is supplied with an elastic forc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ill b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의 잠금해제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1 according to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요부구성이 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1차 동작으로 회전걸림부가 제1지지돌기와 제2지지돌기의 사이로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제1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에 걸려서 스트라이커가 1차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와 회전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제2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와 이격되어 스트라이커가 2차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ssed portion of a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locked posi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FIG.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latching par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in opera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in cooper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c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FIG.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l is caught in the third latching portion and the striker is located in the primary unlocking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ortion and the rotation latch portion are return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FIG. 9 is a front view 10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rotates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in a clockwi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operation c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ker is located at the secondary unlocking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por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5)가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된 잠금위치에서,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래치거어의 제2걸림부(24)가 걸린다. 4, in a locked position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is restrained in a state where the striker 10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of the latching hook is hooked on the latching protrusion 34 of the latching member 3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10)이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케이블(110)에 연결된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8)도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회전걸림부(62)의 연장돌기(65)는 제1지지돌기(72)와 제2지지돌기(74)의 사이로 삽입된다. 회전걸림부(62)는 제4탄성부재(96)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해제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걸림부(6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지지돌기(72)와 제2지지돌기(74)의 사이로 삽입된다. 5, when the operation cable 110 is pulled to the left, the release connection piece 58 of the release portion 50 connected to the operation cable 110 is also pulled to the left, Direction. The extension protrusion 65 of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connected to the release portion 5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72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74. Since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fourth elastic member 96, when the release portion 50 is rotated clockwise,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1 support protrusions 72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74 as shown in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10)의 지속적인 좌측이동으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며, 작동홈부(54)의 측면이 커버부(40)의 회전구속돌기(46)에 접하여 해제부(50)의 회전이 정지된다. 회전걸림부(62)의 돌출걸림편(67)이 해제몸체(52)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걸림부(62)의 추가 회전이 구속되므로, 해제부(50)의 시계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62)도 제1지지돌기(7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6, the unlocking portion 50 is further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continuous left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cable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operating groove portion 54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restraining protrusion 46 of the cover portion 40 The rotation of the release portion 50 is stopped.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67 of the rotation latching part 62 is caught by the side surface of the release body 52 and the additional rotation of the rotation latching part 62 is restrained, The portion 62 also moves the first support projection 72 to the left.

제1지지돌기(72)의 좌측이동으로, 제1지지돌기(72)에 연결된 파울(30)도 제2지지축(8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돌기(34)가 제2걸림부(2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foul 30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72 is also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second support shaft 82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72 to the left, And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ngaging portion 2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10)을 통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부(50)와 파울(30)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1차 잠금해제 위치를 유지한다.7,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hrough the operation cable 110 is removed, the release portion 50 and the foul 30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The latching protrusion 34 of the foul 30 is caught by the third latching portion 25 of the latch gear 20 so as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and thus maintains the primary lock releasing position.

스트라이커(105)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걸림부(22)의 구속으로 스트라이커(105)의 상측 이동이 구속된다.The striker 10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art 22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24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riker 105 is restricted by the constraint of the first engaging part 22.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부(50)가 제3탄성부재(94)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면, 회전걸림부(62)는 돌출부(70)와 이격되어 돌출부(7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회전걸림부(62)는 제3지지축(84)을 중심으로 해제몸체(52)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지지돌기(74)의 우상측에 연장돌기(65)가 위치한다.8, when the disengaging portion 50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94, the rotation engaging portion 62 is separated from the projecting portion 70,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gether with the release body 52 about the third support shaft 84 so that the extension protrusion 65 is locat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 74.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10)이 다시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케이블(110)에 연결된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8)도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회전걸림부(62)의 연장돌기(65)는 제2지지돌기(74)의 우측에 접한 상태로 제2지지돌기(74)를 밀기 시작한다.9, when the operation cable 110 is again pulled to the left, the release connection piece 58 of the release part 50 connected to the operation cable 110 is also pulled to the left side so that the release part 50 And is rotated clockwise. The extension projection 65 of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62 connected to the release portion 50 starts to push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 74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 74.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10)의 지속적인 좌측이동으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며, 작동홈부(54)의 측면이 커버부(40)의 회전구속돌기(46)에 접하여 해제부(50)의 회전이 정지된다. 회전걸림부(62)의 돌출걸림편(67)이 해제몸체(52)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걸림부(62)의 추가 회전이 구속되므로, 해제부(50)의 시계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62)도 제2지지돌기(74)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10, the unlocking portion 50 is further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continuous left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cable 1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operating groove portion 54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restraining protrusion 46 of the cover portion 40 The rotation of the release portion 50 is stopped. The protruding engagement piece 67 of the rotation latching part 62 is caught by the side surface of the release body 52 and the additional rotation of the rotation latching part 62 is restrained, The portion 62 also moves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 74 to the left.

제2지지돌기(74)의 좌측이동으로, 제2지지돌기(74)에 연결된 파울(30)도 제2지지축(8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돌기(34)가 제3걸림부(2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foul 30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74 is also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second support shaft 82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74 to the left, And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ngaging portion 25. [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와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마운팅홈부(23)가 베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한 공간과 연통되는 2차 잠금해제 위치를 유지한다. 래치기어(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105)는 마운팅홈부(23)에서 래치기어(20)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105)의 잠금이 해제된다.
The third engaging portion 25 of the latch gear 20 is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34 of the foul 30 so that the latch gear 20 is rotated 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the mounting groove portion 23 is engaged with the base 10 And the second unlocking position communicated with the sp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unlocking position. The striker 105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latch gear 20 i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23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so that the striker 105 is unlock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의 잠금동작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홈부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어 래치기어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하강하는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걸림부에 파울이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를 밀어내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에 걸려서 잠금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iker is inserted into a mov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 contact with a latch gear,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i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stopper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foul is caught in the third stopper,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stopper of the latch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is caught by the latching projection of the foul so as to maintain the lock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5)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래치기어(20)에 접한다.As shown in Fig. 11, the striker 105 contacts the latch gear 20 while fall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5)가 이동홈부(12)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낙하 하면서 제2걸림부(24)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걸림부(24)의 이동으로 래치기어(20)는 제1지지축(8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가 제3걸림부(25)에 걸린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05)의 낙하가 계속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걸림부(25)와 제2걸림부(24)가 걸림돌기(34)를 밀면서 걸림돌기(34)의 하측으로 회전된다.As shown in Fig. 12, the striker 105 is inserted into the moving groove 12 and falls downward to move the second engaging part 24 downward.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 24, the latch gear 2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first support shaft 80. 13, when the striker 105 continues to fall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34 of the foul 30 is caught by the third locking portion 25, the third locking portion 25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 (24) is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34) while pushing the locking projection (34).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부(12)의 하측에 스트라이커(105)가 위치된 상태에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파울(30)의 걸림돌기(34)가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에 걸려서 잠금위치에서 스트라이커(105)의 고정이 이루어진다.14, in a state where the striker 105 is positioned below the moving groove 12, the latch gear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foul 3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triker 34 of the foul 30 is caught b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 of the latch gear 20 to fix the striker 105 at the locked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케이블(110)의 이동으로 해제부(50)와 회전조절부(60)가 동작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의 후드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운전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ease portion 50 and the rotation regulating portion 60 are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cable 110, the rotation angle of the foul 30, which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latch gear 20, The hood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user's operation only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승용차에 설치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용차를 포함하여 후드의 개폐가 요구되는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installed in a passenger c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ouble release hood l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mechanical devices including a commercial vehicle requi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o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제1연결공 16: 제2연결공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제1걸림부 23: 마운팅홈부 24: 제2걸림부 25: 제3걸림부 27: 래치연장편
30: 파울 32: 파울몸체 34: 걸림돌기 36: 연결돌기 38: 파울지지편
40: 커버부 42: 커버몸체 44: 안내홈부 46: 회전구속돌기 48: 받침편
50: 해제부 52: 해제몸체 54: 작동홈부 56: 해제연장편 58: 해제연결편
60: 회전조절부 62: 회전걸림부 63: 회전걸림몸체 65: 연장돌기 67: 돌출걸림편 70: 돌출부 72: 제1지지돌기 74: 제2지지돌기
80: 제1지지축 82: 제2지지축 84: 제3지지축 86: 제4지지축
90: 제1탄성부재 92: 제2탄성부재 94: 제3탄성부재 96: 제4탄성부재
100: 스위치부 105: 스트라이커 110: 작동케이블
1: Hood latch for double release
10: base 12: moving groove 14: first connection hole 16: second connection hol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30: fouls 32: foul bodies 34: locking projections 36: connecting projections 38:
40: cover part 42: cover body 44: guide groove part 46: rotation restricting projection 48:
50: release part 52: release body 54: operation groove 56: release extension piece 58: release connection piece
60: rotation regulating portion 62: rotation engaging portion 63: rotation engaging body 65: extending projection 67: projecting latch piece 70: projecting portion 72: first support projection 74: second support projection
80: first support shaft 82: second support shaft 84: third support shaft 86: fourth support shaft
90: first elastic member 92: second elastic member 94: third elastic member 96: fourth elastic member
100: Switch part 105: Striker 110: Operation cable

Claims (9)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파울의 회전각도를 가변시키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A base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having a moving groov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riker;
A latch gea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restricting the striker that has entered through the moving gro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A fulcrum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and restraining rotation of the latch gear by engaging with the latch gear;
A release part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l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cable and rotated; And
And a rotation regulating portion for var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oul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
상기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운팅홈부로 삽입되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걸림부;
상기 마운팅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부와 이격되며, 상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잠금위치에서 상기 파울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와 단차를 이루며 1차 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파울에 걸리는 제3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gear includes a latch body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triker is inserted;
A first latch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atch body and positioned above the striker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 second latch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tching portion with the mounting groo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atch body and being engaged with the foul at the locking position; And
And a third latching portion that is stepped wit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and hooked to the foul at a primary lock releasing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래치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 상기 마운팅홈부, 상기 제2걸림부 및 상기 제3걸림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tch gear is formed with the first latching portio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and the third latching portion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latch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이동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래치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
상기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부 또는 상기 제3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래치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파울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조절부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ul body being rotatably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latch gear with the moving groov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oul body and engaged with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r the third latching portion to restrain rotation of the latch body; And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foul body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djus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몸체; 및
상기 해제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케이블에 걸리는 해제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ing portion may include a releas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a cover portion fixed to the base; And
And a release connection piece extending from the release body and hooked to the operation cab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파울에서 상기 커버부가 설치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부;
상기 해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해제몸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돌출부에 걸려서 상기 파울을 회전시키는 회전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on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ou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portion is installed;
And a rotation latch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lease body and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elease body to rotate the fou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파울의 하측에서 상기 커버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지지돌기; 및
상기 제1지지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trus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oul toward the cover; And
And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는, 상기 해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걸림몸체; 및
상기 회전걸림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돌기 또는 상기 제2지지돌기에 걸려서 상기 파울을 회전시키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tation latching unit includes: a rotation latch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lease body; And
And an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latch body and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o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to rotate the fou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파울과 상기 해제부와 상기 회전걸림부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atch gear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pawl, the release portion, and the rotation latching portion are elastically suppor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KR1020140028642A 2014-03-11 2014-03-11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6038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42A KR101603836B1 (en) 2014-03-11 2014-03-11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42A KR101603836B1 (en) 2014-03-11 2014-03-11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293A true KR20150106293A (en) 2015-09-21
KR101603836B1 KR101603836B1 (en) 2016-03-16

Family

ID=5424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42A KR101603836B1 (en) 2014-03-11 2014-03-11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8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221A (en) * 2016-12-27 2018-07-05 평화정공 주식회사 Hood latch apparatus
KR20210011004A (en) * 2018-07-02 2021-01-29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Bonnet latch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363B1 (en) 2016-05-11 2017-10-23 대동도어 주식회사 Hood latch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0021B2 (en) * 2011-07-04 2015-09-16 スズキ株式会社 Latch device for vehicle
KR101382913B1 (en) * 2012-09-05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2 Step link hood latch apparatus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221A (en) * 2016-12-27 2018-07-05 평화정공 주식회사 Hood latch apparatus
KR20210011004A (en) * 2018-07-02 2021-01-29 미츠이 긴조쿠 액트 가부시키가이샤 Bonnet la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836B1 (en)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434980B1 (en) Latch apparatus
KR101662900B1 (en) Hood latch for vehicle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KR101643468B1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560969B1 (en) Hood latch device
KR101603836B1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542689B1 (en) Hood latch device for automobile
KR101573144B1 (en) Double pull type hood latch
KR101541251B1 (en) Hood latch for vehicle
KR101774525B1 (en) Hood latch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1613018B1 (en) Hood latch for vehicle
JP6711722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60034506A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662903B1 (en) Hood latch for automobile
KR101825391B1 (en) Hood latch apparatus
KR20160041465A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101882745B1 (en) Hood latch apparatus
KR101585771B1 (en) Hood latch for automobile
KR101542692B1 (en) Hood latch for automobile
KR20150124850A (en) Automobile hood latch for walker protection
KR101595332B1 (en) Hood latch for walker protection
KR101654427B1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KR20160036999A (en) 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JP6634236B2 (en) Inside door ha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