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291A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6291A KR20150106291A KR1020140028640A KR20140028640A KR20150106291A KR 20150106291 A KR20150106291 A KR 20150106291A KR 1020140028640 A KR1020140028640 A KR 1020140028640A KR 20140028640 A KR20140028640 A KR 20140028640A KR 20150106291 A KR20150106291 A KR 201501062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foul
- base
- striker
- latc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는: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제1탄성부재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를 향하여 걸림돌기와 받침돌기가 돌출되어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및 파울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가 차량의 후드로 낙하되는 경우, 후드에 부착된 스크라이커의 하측 이동을 허용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소음에 대한 차음기능도 겸하도록 된 후드가 구비되며, 후드는 차체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드는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후드는 후드래치 및 안전후크에 의하여 2단으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된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후드래치를 먼저 록킹 해제시키고 다음에 수동으로 안전후크를 작동시켜야 비로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후드가 2단 잠김구조를 갖는 것은 혹시라도 후드래치가 완전히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 주행을 하다가 주행풍에 의해 후드가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래치장치는,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홈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구속하는 파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은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여 후드의 개방을 행한다.
래치기어에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가 파울에 의해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홈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에 걸리므로 1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래치기어가 완전히 회전되면,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에 걸리므로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래치기어를 2단 구속상태에 있는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전달하므로, 래치기어에서 파울을 분리시킨다.
파울이 래치기어에서 분리되면, 개방력이 래치기어에 인가될 때 래치기어가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2304호(2007.06.1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후드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스트라이커가 래치장치에 구속된 상태에서 후드의 하측이동이 구속되므로,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사고로 보행자의 머리가 차량의 후드로 낙하되는 경우에 보행자의 상해가 가중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가 차량의 후드로 낙하되는 경우, 후드에 부착된 스크라이커의 하측 이동을 허용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는: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래치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제1탄성부재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를 향하여 걸림돌기와 받침돌기가 돌출되어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및 파울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래치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몸체와,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이동홈부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며 잠금위치에서 파울과 접하는 제1걸림부 및 제1걸림부와 이격되어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이동홈부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의 하측에 위치되어 래치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탄성부재는 래치몸체를 관통하여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지지축에 권선되며, 제1탄성부재의 일측은 베이스에 고정되며 타측은 래치몸체에서 연장된 래치연장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기어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스트라이커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마운팅홈부를 포함하며, 제1걸림부는 래치몸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울은, 걸림돌기와 받침돌기가 연결되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울몸체를 포함하며, 파울몸체의 상측은 파울몸체의 회전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파울몸체의 하측은 파울몸체의 회전축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파울몸체의 상측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울은, 파울몸체의 상측에 걸림돌기가 연결되며, 파울몸체의 하측에 받침돌기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돌기는 제1걸림부에 접하여 밀리는 상측은 안내곡면을 형성하며, 이동홈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1걸림부가 걸리는 하측은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돌기는 이동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걸림돌기를 통과하며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에 걸리는 받침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탄성부재는, 파울몸체의 회전축과 이격되어 베이스에 고정된 제2지지축의 외측에 권선되며, 제2탄성부재의 일측은 베이스에 고정되며 타측은 파울을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걸림부가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제2걸림부의 하측에는 스트라이커가 이동되기 위한 여유공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에 구속된 잠금위치에서 스트라이커와 베이스의 사이에는 스트라이커의 하측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여유공간이 구비되므로, 후드에 보행자가 충격되는 경우에는 후드와 함께 스트라이커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보행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이동홈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와 함께 이동하는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파울을 밀면서 하측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받침돌기에 걸려서 하측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받침돌기에 걸린 후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잠금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와 함께 여유공간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의 상측에 커버부와 해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가 제2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파울돌기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가 커버부에 접하면서 파울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가 걸림돌기에 걸려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1차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1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제2걸림부가 걸림돌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2차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이동홈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와 함께 이동하는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파울을 밀면서 하측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받침돌기에 걸려서 하측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받침돌기에 걸린 후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잠금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와 함께 여유공간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의 상측에 커버부와 해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가 제2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파울돌기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가 커버부에 접하면서 파울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가 걸림돌기에 걸려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1차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1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제2걸림부가 걸림돌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2차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용차에 설치된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의 후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가 이동홈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와 함께 이동하는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를 밀어내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파울을 밀면서 하측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받침돌기에 걸려서 하측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받침돌기에 걸린 후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어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1)는, 베이스(10), 래치기어(20), 파울(30), 제1지지축(40), 제2지지축(45), 회전지지축, 제1탄성부재(100), 제2탄성부재(105), 제3탄성부재(107), 해제부(50) 및 커버부(6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스트라이커(85)가 상하(이하 도 2기준)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홈부(1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트라이커(85)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홈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동홈부(12)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하측은 막혀있다.
베이스(10)의 우측에는 래치기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좌측에는 파울(30)이 설치된다. 제1지지축(40)은 커버부(60)와 래치기어(20)의 래치몸체(2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1연결공(14)에 삽입되며, 회전지지축은 커버부(60)와 파울(30)의 파울몸체(3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에 삽입된다.
래치기어(20)는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85)를 구속하는 마운팅홈부(24)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래치몸체(21), 제1걸림부(22), 제2걸림부(23), 마운팅홈부(24), 래치연장편(25)을 포함한다.
래치몸체(21)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40)은 베이스(10)와 이격된 커버부(60)와 래치몸체(21)와 베이스(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1걸림부(22)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이동홈부(12)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85)의 상측에 위치하며, 잠금위치에서 파울(30)과 접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22)는 래치몸체(2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진다. 제1지지축(40)이 관통하는 래치몸체(2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래치몸체(21)의 좌측(이하 도 2기준)으로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3)와 마운팅홈부(24)가 위치하며, 래치몸체(21)의 상측으로 래치연장편(25)이 위치한다.
제1걸림부(22)는 마운팅홈부(24)를 사이에 두고 제2걸림부(23)와 함께 래치몸체(21)의 회전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걸림부(22)의 일단은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진다. 따라서 제1걸림부(22)가 상측을 향하여 위치하는 경우,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85)가 제1걸림부(22)에 접하는 경우에도 제1걸림부(22)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동홈부(12)로 삽입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제2걸림부(23)는 제1걸림부(22)와 이격되어 래치몸체(21)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이동홈부(12)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85)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걸림부(23)는 래치몸체(21)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30)의 위치에 따라 파울(30)에 접하여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파울(30)을 통과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23)는 마운팅홈부(24)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22)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래치몸체(21)와 함께 회전되어 받침돌기(35)를 가압하므로 받침돌기(35)와 일체로 형성된 파울몸체(31)를 회전시킨다.
마운팅홈부(24)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3)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85)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
래치연장편(25)은 래치몸체(21)에서 제2걸림부(2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제1탄성부재(10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연장편(25)은 래치몸체(2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탄성부재(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1탄성부재(100)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며, 베이스(10)와 래치연장편(25)에 양측이 연결되어 래치기어(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한다. 제1탄성부재(100)는 래치몸체(2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에 고정되는 제1지지축(40)에 권선되며, 제1탄성부재(100)의 일측은 베이스(10)에 고정되며 타측은 래치몸체(21)에서 연장된 래치연장편(25)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울(30)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를 향하여 걸림돌기(32)와 받침돌기(35)가 돌출되어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한다. 또한 파울(30)은 제1작동케이블(70)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래치기어(20)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30)은, 파울몸체(31), 걸림돌기(32), 받침돌기(35), 파울지지편(37), 파울돌기(38), 파울연결편(39)을 포함한다.
파울몸체(31)는 걸림돌기(32)와 받침돌기(35)가 연결되며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파울몸체(31)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31)는 베이스(10)의 왼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지지축은 커버부(60)와 파울몸체(31)와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을 차례로 통과하여 설치된다. 또한 회전지지축에는 파이프 형상의 장착부재(48)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제부(50)의 해제몸체(52)와 제3탄성부재(107)가 설치된다.
파울몸체(31)의 상측은 파울몸체(31)의 회전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파울몸체(31)의 하측은 파울몸체(31)의 회전축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파울몸체(31)의 상측과 둔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파울몸체(31)는 래치기어(20)를 향한 방향으로 "C"자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베이스(10)에 구비된 이동홈부(12)가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31)도 상하방향으로 위치한다. 파울몸체(31)의 상측에 걸림돌기(32)가 연결되며, 파울몸체(31)의 하측에 받침돌기(35)가 연결된다.
걸림돌기(32)는 파울몸체(31)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2)는 파울몸체(31)의 상측에서 래치기어(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1걸림부(22)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1걸림부(22)의 이동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32)는 제1걸림부(22)에 접하여 밀리는 상측은 안내곡면(33)을 형성하며, 이동홈부(1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1걸림부(22)가 걸리는 하측은 걸림턱(34)을 형성한다. 걸림돌기(3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하는 래치기어(20)의 제1걸림부(22)가 안내곡면(33)에 접하면서 파울몸체(31)를 반시계방향으로 밀면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회전하는 제1걸림부(22)가 걸림돌기(32)의 걸림턱(34)에 걸리므로 래치몸체(21)의 상측회전이 구속되어 스트라이커(85)를 잠금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돌기(35)는 파울몸체(31)의 하측에서 래치기어(20)를 향하여 돌출되어 이동홈부(12)의 하측에 위치한다. 받침돌기(35)는 걸림돌기(32)를 통과하며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3)에 걸리는 받침턱(36)을 포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돌기(35)는 파울몸체(31)에 회전지지축이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파울몸체(31)의 하측에 위치한다.
받침돌기(35)는 파울몸체(31)의 반시계(도 2기준) 방향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홈부(12)의 하측에 위치되어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3)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는 파울몸체(31)와 함께 받침돌기(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홈부(12)의 하측과 이격되므로 제2걸림부(23)의 하측 이동을 구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걸림부(23)의 경로에 위치하는 받침돌기(35)의 측면은 받침턱(36)이 형성되므로,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3)가 받침돌기(35)의 받침턱(36)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된다.
파울몸체(31)에서 걸림돌기(32)와 대향되는 반대편에는 파울지지편(37)이 구비되며, 파울지지편(37)에 제2탄성부재(105)의 일측이 걸리므로 파울몸체(31)를 시계반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105)는 파울(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탄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제2탄성부재(105)의 일측은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제2탄성부재(105)의 타측은 파울(30)의 파울지지편(37)에 연결되어 파울(30)을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을 공급한다. 제2탄성부재(105)는 파울몸체(31)의 회전축과 이격되어 베이스(10)에 고정된 제2지지축(45)의 외측에 권선된다.
파울돌기(38)는 파울몸체(31)에서 돌출되어 회전되는 해제부(5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돌기(38)는 파울몸체(31)에서 해제부(50)가 위치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다. 파울돌기(38)는 해제부(50)에 구비된 해제돌기(56)에 맞물려 회전된다.
파울연결편(39)은 파울몸체(31)에서 연장되어 제1작동케이블(70)에 연결되며, 제1작동케이블(70)의 동작에 의해 파울몸체(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파울연결편(39)은 받침돌기(35)와 대향되는 반대편에 설치된다.
제2지지축(45)은 회전지지축과 이격되어 베이스(10)에 설치되며, 제2지지축(45)의 외측에는 제2탄성부재(105)가 권선된다.
제3탄성부재(107)는 장착부재(48)의 외측에 권선되며, 제3탄성부재(107)의 일측은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제3탄성부재(107)의 타측은 해제부(50)의 해제연장편(58)에 설치되어 해제부(50)를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회전지지축(47)의 일측은 커버부(60)와 파울(30)의 파울몸체(3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에 삽입되며, 회전지지축(47)의 타측에는 장착부재(48)가 설치되며, 장착부재(48)의 외측에는 제3탄성부재(107)가 설치된다.
해제부(50)는 파울(30)을 관통하는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작동케이블(75)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파울(30)을 래치기어(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50)는 해제몸체(52), 해제연결편(54), 해제돌기(56), 해제연장편(58)을 포함한다.
해제몸체(52)는 커버부(60)의 전방(도 2기준 좌측)에 위치하며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해제몸체(52)의 상측에 구비된 해제연결편(54)은 제2작동케이블(75)에 연결되며, 제2작동케이블(75)의 작동으로 해제몸체(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돌기(56)는 해제몸체(52)에서 연장되어 파울돌기(38)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해제몸체(52)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해제연장편(58)에 제3탄성부재(107)가 걸리므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커버부(60)는 래치기어(20)와 파울(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해제부(5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돌기(64)를 구비한다.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부(60)의 안내홈부(62)가 형성되며, 회전구속돌기(64)는 커버부(60)에서 해제부(50)를 향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해제몸체(52)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래치기어(20)와 인접한 베이스(10)에는 스위치부(80)가 설치되며, 래치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스위치부(80)가 동작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위치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80)는 접촉식으로 동작되는 스위치가 사용된다.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1)는, 제1걸림부(22)가 걸림돌기(32)에 걸린 상태에서 제2걸림부(23)의 하측에는 스트라이커(85)가 이동되기 위한 여유공간(90)이 구비되므로, 외부 충격으로 후드와 함께 스트라이커(85)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는, 베이스(10)의 좌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우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며, 파울(30)과 래치기어(20)와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고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베이스(10)의 좌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의 우측에 파울(30)이 설치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는 후드래치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가 하측으로 낙하되면, 후드의 하측에 구비된 스트라이커(85)가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로 삽입된다. 스트라이커(85)는 래치기어(20)의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3)의 사이로 낙하되며,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3)는 스트라이커(85)에 접하여 하측으로 회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85)가 이동홈부(12)를 따라 하측으로 계속 낙하되며, 스트라이커(85)에 접한 제2걸림부(23)도 스트라이커(85)에 밀려 하측으로 이동한다. 래치몸체(21)는 제1지지축(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래치기어(20)의 제1걸림부(22)는 걸림돌기(32)의 안내곡면(33)을 타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22)가 파울(30)의 안내곡면(33)을 밀어내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파울(30)도 래치기어(20)에 밀려서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의 회전으로 파울(30)의 받침돌기(35)가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의 하측으로 회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85)에 밀려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걸림부(23)가 파울(30)의 받침돌기(35) 측면에 구비된 받침턱(36)에 접하여 회전이 구속되므로,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85)의 이동도 구속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돌기(35)를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3)가 타격한 후, 파울(30)에 전달된 힘 및 제2탄성부재(105)의 탄성력에 의해 파울(30)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탄성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치기어(20)의 제1걸림부(22)는 파울(30)의 걸림돌기(32)에 구비된 걸림턱(34)에 걸리므로 래치기어(20)와 스트라이커(85)의 이동이 구속되어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1)는 잠금위치를 유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85)가 잠금위치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85)가 래치기어(20)와 함께 여유공간(90)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가 후드에 낙하되는 경우, 후드와 함께 스트라이커(85)가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된다. 스트라이커(85)에 밀려서 제2걸림부(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의 받침돌기(35)는 제2걸림부(23)의 이동경로에서 이격되므로 스트라이커(85)에 밀려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걸림부(23)는 받침돌기(35)를 통과하여 회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85)는 잠금위치에서 스트라이커(85)의 하측에 구비된 여유공간(90)으로 이동되어 이동홈부(12)의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보행자가 후드에 충격시, 스트라이커(85)와 함께 후드가 여유공간(90)의 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보행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의 상측에 커버부와 해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가 제2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파울돌기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가 커버부에 접하면서 파울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이 구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가 걸림돌기에 걸려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1차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1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져서 제2걸림부가 걸림돌기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의 구속이 2차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1)가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 제1걸림부(22)는 파울(30)의 걸림돌기(32)에 걸려 있어서 시계방향 회전이 구속되므로 스트라이커(85)는 이동홈부(12)의 중간에 위치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부(50)의 상측에 연결된 제2작동케이블(75)이 좌측 방향으로 당겨지면, 해제부(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의 해제몸체(52)에서 연장된 해제돌기(56)가 파울(30)의 파울돌기(38)에 걸려서 해제부(50)와 함께 파울(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해제몸체(52)는 커버부(60)의 회전구속돌기(64)에 접하여 반시계 방향 회전이 구속된다.
파울(30)이 해제부(50)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파울(30)의 걸림돌기(32)와 제1걸림부(22)가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걸림부(23)가 파울(30)의 걸림돌기(32)에 걸린다.
스트라이커(85)를 구속하는 래치기어(20)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스트라이커(85)의 해제(52)가 1차로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작동케이블(75)이 해제부(50)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해제되면, 해제부(50)와 파울(3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30)은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3)가 걸림돌기(32)의 상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스트라이커(85)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3)의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동됨이 구속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울(30)의 하측에 연결된 제1작동케이블(70)이 동작되어 파울(30)을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파울(30)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이 래치기어(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파울(30)의 걸림돌기(32)가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3)에서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치기어(20)가 제1지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걸림부(22)가 제1지지축(40)의 상측에 위치하면, 스트라이커(85)는 이동홈부(12)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후드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1)는, 래치기어(20)가 걸림돌기(32)에 걸려서 스트라이커(85)의 구속이 1차 해제되며, 래치기어(20)에서 걸림돌기(32)가 이격되어 스트라이커(85)의 구속이 2차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라이커(85)가 래치기어(20)에 구속된 잠금위치에서 스트라이커(85)와 베이스(10)의 사이에는 스트라이커(85)의 하측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여유공간(90)이 구비되므로, 후드에 보행자가 충격되는 경우에는 후드와 함께 스트라이커(85)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보행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작동케이블(75)에 의해 회전되는 해제몸체(52)에 의해 스트라이커(85)의 구속이 1차 해제되며, 제1작동케이블(70)에 의해 회전되는 파울몸체(31)에 의해 스트라이커(85)의 구속이 2차 해제되므로 스트라이커(85)의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운전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승용차에 설치된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용차를 포함하여 후드의 개폐가 요구되는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제1연결공 16: 제2연결공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제1걸림부 23: 제2걸림부 24: 마운팅홈부 25: 래치연장편
30: 파울 31: 파울몸체 32: 걸림돌기 33: 안내곡면 34: 걸림턱 35: 받침돌기 36: 받침턱 37: 파울지지편 38: 파울돌기 39: 파울연결편
40: 제1지지축 45: 제2지지축 47: 회전지지지축 48: 장착부재
50: 해제부 52: 해제몸체 54: 해제연결편 56: 해제돌기 58: 해제연장편
60: 커버부 62: 안내홈부 64: 회전구속돌기
70: 제1작동케이블 75: 제2작동케이블
80: 스위치부 85: 스트라이커
90: 여유공간
100: 제1탄성부재 105: 제2탄성부재 107: 제3탄성부재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제1연결공 16: 제2연결공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제1걸림부 23: 제2걸림부 24: 마운팅홈부 25: 래치연장편
30: 파울 31: 파울몸체 32: 걸림돌기 33: 안내곡면 34: 걸림턱 35: 받침돌기 36: 받침턱 37: 파울지지편 38: 파울돌기 39: 파울연결편
40: 제1지지축 45: 제2지지축 47: 회전지지지축 48: 장착부재
50: 해제부 52: 해제몸체 54: 해제연결편 56: 해제돌기 58: 해제연장편
60: 커버부 62: 안내홈부 64: 회전구속돌기
70: 제1작동케이블 75: 제2작동케이블
80: 스위치부 85: 스트라이커
90: 여유공간
100: 제1탄성부재 105: 제2탄성부재 107: 제3탄성부재
Claims (10)
-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
상기 래치기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를 향하여 걸림돌기와 받침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및
상기 파울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공급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몸체;
상기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며, 잠금위치에서 상기 파울과 접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이격되어 상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이동홈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래치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래치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지지축에 권선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래치몸체에서 연장된 래치연장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의 인입이 이루어지는 마운팅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래치몸체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받침돌기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울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파울몸체의 상측은 상기 파울몸체의 회전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파울몸체의 하측은 상기 파울몸체의 회전축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울몸체의 상측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파울몸체의 상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연결되며, 상기 파울몸체의 하측에 상기 받침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걸림부에 접하여 밀리는 상측은 안내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홈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걸림부가 걸리는 하측은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이동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를 통과하며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걸림부에 걸리는 받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파울몸체의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제2지지축의 외측에 권선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파울을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부의 하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이동되기 위한 여유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640A KR101595332B1 (ko) | 2014-03-11 | 2014-03-11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640A KR101595332B1 (ko) | 2014-03-11 | 2014-03-11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291A true KR20150106291A (ko) | 2015-09-21 |
KR101595332B1 KR101595332B1 (ko) | 2016-02-18 |
Family
ID=5424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640A KR101595332B1 (ko) | 2014-03-11 | 2014-03-11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53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122579A1 (de) * | 2015-12-22 | 2017-06-22 | Kiekert Ag |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Schutzlage |
CN108104620A (zh) * | 2016-11-24 | 2018-06-0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的发动机罩闩锁组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6666A (ja) * | 1997-03-28 | 1998-10-06 | Oi Seisakusho Co Ltd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KR20040049053A (ko) * | 2002-12-03 | 2004-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
-
2014
- 2014-03-11 KR KR1020140028640A patent/KR101595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6666A (ja) * | 1997-03-28 | 1998-10-06 | Oi Seisakusho Co Ltd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KR20040049053A (ko) * | 2002-12-03 | 2004-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후드래치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122579A1 (de) * | 2015-12-22 | 2017-06-22 | Kiekert Ag |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Schutzlage |
US10781614B2 (en) | 2015-12-22 | 2020-09-22 | Kiekert Ag |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rotary latch and a protective position |
CN108104620A (zh) * | 2016-11-24 | 2018-06-0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的发动机罩闩锁组件 |
CN108104620B (zh) * | 2016-11-24 | 2021-01-15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的发动机罩闩锁组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5332B1 (ko) | 2016-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0979B1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560969B1 (ko) | 후드래치장치 | |
EP3444418B1 (en) | Vehicle hood latches | |
KR101806564B1 (ko) |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 |
KR101542689B1 (ko) |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 |
KR101595331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후드래치 장치 | |
KR101662900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643468B1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0811714B1 (ko) |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아웃사이드핸들 구조 | |
KR101595332B1 (ko) |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 |
KR101585766B1 (ko)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 |
KR101774525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 | |
KR101541251B1 (ko) | 자동차용 후드래치 | |
KR101603836B1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662903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542692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613018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882745B1 (ko) | 후드래치 장치 | |
KR20160034506A (ko) | 2단 해제용 후드래치 | |
KR101573144B1 (ko) | 더블풀 후드래치 | |
KR101585771B1 (ko) | 차량용 후드래치 | |
KR101825391B1 (ko) | 후드래치 장치 | |
KR101751265B1 (ko) | 차량용 도어잠금장치 | |
JP7319317B2 (ja) | 車両用ロック装置 | |
KR20160041465A (ko)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