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279A - 철도 차량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279A
KR20150103279A KR1020157021239A KR20157021239A KR20150103279A KR 20150103279 A KR20150103279 A KR 20150103279A KR 1020157021239 A KR1020157021239 A KR 1020157021239A KR 20157021239 A KR20157021239 A KR 20157021239A KR 20150103279 A KR20150103279 A KR 2015010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of
unit
cable
dis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290B1 (ko
Inventor
겐지 츠치야
아유무 모리타
마코토 와타나베
요시노리 시마다
히데오 기타바야시
와타루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0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26Movable parts and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 분리에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은, 전력공급선으로부터 팬터그래프를 개재하여 급전이 행해짐과 함께, 전원 유닛을 구성하는 주요 전원 기기를 분산하여 복수의 차량에 탑재하여 형성되고, 각각의 차량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차량 유닛과, 당해 각 차량 유닛의 상기 전원 유닛을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을 관통시켜 배치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끊어놓는 단로기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철도 차량{RAILROAD VEHICLE}
본 발명은 철도 차량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전원 유닛을 구성하는 주요 전원 기기가 분산하여 탑재되는 복수의 차량 유닛이, 연결하여 편성되는 것에 적합한 철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차량이 연결하여 편성되는 철도 차량에서는, 편성을 이루는 복수의 차량에 팬터그래프, 주(主)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등의 주요 전원 기기로 구성되는 전원 유닛 및 보조 전원 장치, 공기압축기 등의 보조 기기를 탑재하는 차량 유닛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4량의 차량에 상기 주요 전원 기기를 분산하여 탑재하고, 이 4량을 하나의 차량 유닛으로 하고, 이 차량 유닛을 복수 연결하여 철도 차량을 구성하고 있다.
각 차량 유닛을 연결하여 철도 차량으로 한 경우, 철도 차량은 차량 유닛과 같은 수의 팬터그래프를 구비하게 되는데, 팬터그래프는 잡음원(源)이 되기 쉬우므로, 그 수는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철도 차량의 지붕 위에 고전압 케이블을 설치하고, 이 고전압 케이블에 의해 각 전원 유닛을 접속함으로써, 팬터그래프의 수를 적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량 편성의 신칸센 전차에 있어서는, 4개의 전원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고전압 케이블에 의해 4개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고 있으므로, 팬터그래프는 2개소이면 된다.
또, 차량 유닛 내의 차량 사이의 고전압 케이블은, 고전압 조인트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각 차량 유닛 사이의 고전압 케이블은, 고전압 조인트 또는 고전압 애자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고전압 케이블에 지락(地絡) 등의 문제가 생긴 경우에,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분리(전기적으로 차단)하여, 문제가 다른 것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각 차량 유닛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는 고전압 케이블에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 일방(一方)의 고전압 애자와 타방(他方)의 고전압 애자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작업원이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있었다. 이 분리 작업은,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되기 때문에, 안전에 충분히 배려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전원 유닛을 고전압 케이블에 의해 접속한 철도 차량에 있어서, 복수의 전원 유닛 사이를, 차량의 지붕 위에 올라가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는, 전원 유닛으로의 급전을 차단하는 진공 차단기와, 당해 진공 차단기에 접속되고, 복수의 전원 유닛 사이를 차단하는 기계식 차단기로 구성되는 고전압 차단기가 기기 박스에 수납되고, 이 기기 박스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개시되며,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 박스를 연 후, 기계적 차단기의 일방의 고전압 애자와 타방의 고전압 애자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작업원이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플로어 아래의 작업만으로,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분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13614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플로어 아래의 작업만으로,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분리할 수는 있지만,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서의 분리 작업은, 기계적 차단기의 일방의 고전압 애자와 타방의 고전압 애자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작업원이 공구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을 개선하는 점에 있어서 해결할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 분리에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력공급선으로부터 팬터그래프를 개재하여 급전이 이루어짐과 함께, 전원 유닛을 구성하는 주요 전원 기기를 분산하여 복수의 차량에 탑재하여 형성되고, 각각의 차량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차량 유닛과, 당해 각 차량 유닛의 상기 전원 유닛을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을 관통시켜 배치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끊어놓는 단로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로기가, 상기 차량의 지붕 위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의 도중에, 또한, 상기 차량의 지붕과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시켜져 있는 기기 박스가 설치되고, 당해 기기 박스의 케이블의 도중에 상기 단로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 분리에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 편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의 실시예 1에 채용되는 단로기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의 실시예 1에 채용되는 단로기의 투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의 실시예 1에 채용되는 단로기의 차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을 설명한다. 또한, 부호는, 동일 부품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재차 설명하는 것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에, 본 발명의 철도 차량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차량 편성의 예를 나타낸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철도 차량(1)은 12량 편성으로 구성되고, 2량의 차량이 하나의 차량 유닛을 구성하고, 제 1 차량 유닛(2), 제 2 차량 유닛(3), 제 3 차량 유닛(4), 제 4 차량 유닛(5), 제 5 차량 유닛(6) 및 제 6 차량 유닛(7)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차량 유닛(2 내지 7)은, 주 변압기, 주 변환 장치 등의 주요 전원 기기로 구성되는 전원 유닛 및 보조 전원 장치, 공기압축기 등의 보조 기기를 탑재하고 있다.
또, 각 차량 유닛(2 내지 7)을 탑재하는 전원 유닛은, 고전압 조인트(10) 및 3분기 고전압 케이블 헤드(11)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는 고전압 케이블(8A, 8B, 8C, 8D)이 접속되고, 이 고전압 케이블(8A, 8B, 8C, 8D)에는, 전력공급선(도시 생략)으로부터,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팬터그래프(9A 및 9B)를 개재하여 급전이 행해져, 고전압 케이블(8A, 8B, 8C, 8D)로부터 각 차량 유닛(2 내지 7)의 전원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 팬터그래프(9A)는 제 2 차량 유닛(3)인 3량째 차량의 지붕에, 팬터그래프(9B)는 제 4 차량 유닛(5)인 7량째 차량의 지붕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전압 케이블(8A, 8B, 8C, 8D)은, 차량 사이를 걸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고 있어, 곡선 통과 등의 변화, 구부러짐이나 편궤(偏軌)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차량 유닛(4)인 5량째 차량의 지붕 위이고, 또한, 고전압 케이블(8B)과 고전압 케이블(8C)의 도중 및 제 4 차량 유닛(5)인 7량째 차량의 지붕 위이고, 또한, 고전압 케이블(8C)과 고전압 케이블(8D)의 도중에, 각 차량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끊어놓는 단로기(12A 및 12B)를, 차량의 지붕과 동일면 상에 설치하고 있다.
즉, 5량째 차량의 지붕 위에 단로기(12A) 및 7량째 차량의 지붕 위에 단로기(12B)를, 즉, 단로기(12A 및 12B)를 각각 수납하고 있는 케이스(후술함)를, 애자 등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지붕 위에 직접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과 함께, 단로기(12A 및 12B)의 개폐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단로기(12A 및 12B)의 배치 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단로기(12A 및 12B)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는 단로기(12A)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로기(12A)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진공 차단기(13)로 구성되어 있고, 이 진공 차단기(13)의 고정측이 고전압 케이블(8B)에 접속되고, 가동측이 고전압 케이블(8C)에 접속되어 있다. 진공 차단기(13)의 가동측은, 링크 기구(15)를 개재하여 전자 조작기(16)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전자 조작기(16)의 조작에 의해, 진공 차단기(13)의 가동 전극(17)이 동작하여 고정 전극(18)과의 개폐(투입, 차단) 조작이 행해진다(도 2는 차단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전자 조작기(16) 외에, 에어 실린더를 사용한 공기 조작기에 의해, 진공 차단기(13)를 조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차단기(13)와 전자 조작기(16)는, 고전압 케이블(8C)의 일부와 함께 케이스(19) 내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케이스(19)를 차량의 지붕(20) 위에 설치, 고정함으로써, 진공 차단기(13)와 전자 조작기(16)가 애자 등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의 지붕(20) 위에 고정된다.
이 진공 차단기(13)와 전자 조작기(16)를 수납한 케이스(19)가, 차량의 지붕(20) 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상세를 도 4에 나타낸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3)와 전자 조작기(16)를 수납한 케이스(19)는, 지탱판(21)에 의해 지탱되고, 이 지탱판(21)을 차량의 지붕(20)에 직접 매립되어 있는 제 1 U자 형상 금속 기구(22)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지붕(20) 위에 고정된다.
케이스(19)는, 그 저면을 제외한 주위가 보호 커버(23)로 덮여 있고, 이 보호 커버(23)도 차량의 지붕(20)에 직접 매립되어 있는 제 1 U자 형상 금속 기구(22)보다 높은 제 2 U자 형상 금속 기구(24)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진공 차단기(13)와 전자 조작기(16)를 수납한 케이스(19)를, 차량의 지붕(20)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진공 차단기(13) 및 전자 조작기(16)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진공 차단기(13)의 투입 상태를, 도 6은 진공 차단기(13)의 차단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차단기(13)는, 진공 밸브(25)와, 이 진공 밸브(25)의 내부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가동 전극(17) 및 고정 전극(18)과, 일단에 고정 전극(18)이 고정되고, 타단에 고전압 케이블(8B)이 접속되는 고정 도체(26), 일단에 가동 전극(17)이 고정되고, 타단에 절연 로드(27)를 개재하여 링크 기구(15)가 고정되는 가동 도체(28)와, 일단이 가동 도체(28)에 접속되고, 타단이 고전압 케이블(8C)과 접속되고,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도체(29)로 개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도체(29)와 가동 도체(28)의 접촉부에는, 전자 조작기(16)에 의한 가동 도체(28)와의 접촉이 가능하게 되도록, 슬라이딩 접촉자로서 기능하는 스프링 콘택트(30)가 배치되어 있다.
또, 고정 도체(26)와 고전압 케이블(8B)의 접속부에는 집전자(31)가 설치되고, 그 주위는 제 1 통 형상 용기(32)로 덮이고, 한편, 가동 도체(28)와 접속되어 있는 절연 로드(27)의 주위는 제 2 통 형상 용기(33)로 덮여 있고, 제 1 통 형상 용기(32), 진공 밸브(25), 제 2 통 형상 용기(33), 연결 도체(29), 고전압 케이블(8C)의 일부의 각각의 주위는, 에폭시 수지(34)에 의해 몰드되고, 에폭시 수지(34)의 표면은 도전 접지되어 있다.
또, 절연 로드(27)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신축하는 고무 벨로즈(14)가, 절연 로드(27)의 하방의 지탱판(36)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 2 통 형상 용기(33)의 하방에 위치하는 베이스(35)에 지지되어 있다. 절연 로드(27)와, 그 하방의 지탱판(36) 사이에는 와이프 스프링(37)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전자 조작기(16)는 코일(38), 코일 보빈(39), 가동 철심(40), 고정 철심(41), 제 1 구동 로드(42), 2매의 가동 평판(43, 44), 영구 자석(45), 통 형상으로 형성된 철제 커버(46, 47), 철제 지지판(48, 49, 50, 51), 고정 로드(5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38)은, 지지판(49)과 지지판(50) 사이에 배치된 코일 보빈(39) 내에 수납되고, 고정 로드(52)는 케이스의 저부측에 볼트, 너트에 의해 베이스(35)와 함께 고정되어 있다.
제 1 구동 로드(42)는, 코일(38)의 중앙부에 연직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그 상부측이 가동 평판(43, 44)의 관통 구멍(도시 생략) 내에 삽입되고, 하부측이 지지판(50, 51)의 관통 구멍(도시 생략) 내에 삽입되고, 자유롭게 승강 및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구동 로드(42)의 외주면에는, 가동 철심(40), 가동 평판(43, 44)이 너트에 의해 고정되고, 제 1 구동 로드(42)의 하부측에는, 핀(53)을 개재하여 제 2 구동 로드(54)가 연결되어 있다.
제 1 구동 로드(42)의 하부측에는, 지지판(55)이 연결되어 있고, 지지판(55)과 베이스(35) 사이에는, 제 1 구동 로드(4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을 그리는 링 형상의 차단 스프링(56)이 장착되어 있다. 차단 스프링(56)은, 지지판(55)을 개재하여 가동 철심(40)을 고정 철심(41)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 1 구동 로드(42)에 부여하는 것이다. 가동 철심(40)의 주위에는, 영구 자석(45)이 배치되어 있고, 영구 자석(45)은 지지판(48) 상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41)은, 지지판(50) 위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자기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가동 철심(40)과 고정 철심(41)을 순철(純鐵)이나 규소 강(鋼)으로 해도 된다. 또, 동작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하여, 가동 철심(40)과 고정 철심(41)에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제 2 구동 로드(54)의 하부측은, 핀(57)을 개재하여 한 쌍의 레버(58)에 연결되어 있고, 레버(58)는, 전자 조작기(1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 방향을 변환하는 링크 기구(15)의 일 요소이며, 레버(58)는 샤프트(59)를 개재하여 레버(60)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60)는, 핀(61)을 개재하여 조작 로드(62)에 연결되고, 이 조작 로드(62)가 절연 로드(2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63은 제어 기판, 64는 콘덴서이며, 제어 기판(63)은, 전력의 공급을 받음과 함께, 먼 곳으로부터 투입 지령(개국(開局) 지령)에 의한 신호를 받고, 전자 조작기(16)의 여자(勵磁)를 제어하기 위한 논리 연산을 행하는 제어 로직부, 콘덴서(64)를 충방전하기 위한 충방전 회로, 코일(38)의 통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나 릴레이 접점, 또한 콘덴서(64)의 충전이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진공 차단기(13)의 투입 및 차단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 기판(63)에 전차의 운전실로부터 투입 지령이 입력되면, 제어 기판(63)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코일(38)이 통전되고, 코일(38)의 주위에는, 가동 철심(40) → 고정 철심(41) → 지지판(50, 51) → 커버(46) → 지지판(48, 49) → 가동 철심(40)을 연결하는 경로로 자계가 형성되고, 가동 철심(40)의 저부측단면에는 아래쪽 방향의 흡인력이 작용하여, 가동 철심(40)이 고정 철심(41) 측으로 이동하여, 가동 철심(40)이 고정 철심(41)에 흡착된다.
이 때, 영구 자석(45)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의 방향도 코일(38)의 여자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의 방향과 동일해지므로, 흡인력이 높여진 상태에서 가동 철심(40)이 고정 철심(41)측으로 이동한다.
전자 조작기(16)에 의한 투입 동작(흡인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 1 구동 로드(42)가 차단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전자 조작기(16)로부터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한 구동력이 레버(58)에 전달된다. 이 구동력은 샤프트(59), 레버(60)를 개재하여 조작 로드(62)에 전달되므로, 이에 의해, 절연 로드(27), 가동 도체(28)가 수평 방향(도면에서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진공 차단기(13)의 가동 전극(17)이 고정 전극(18)과 접촉하여, 진공 차단기(13)의 투입 동작이 완료한다. 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5이다.
이 진공 차단기(13)의 투입 동작에 있어서, 와이프 스프링(37)은, 가동 전극(17)과 고정 전극(18)이 접촉할 때까지는 압축되지 않는다. 가동 전극(17)과 고정 전극(18)이 접촉하면 압축되고, 그 후, 투입 동작이 완료할 때까지 계속해서 압축한다. 한편, 차단 스프링(56)은, 진공 차단기(13)의 투입 동작 중, 항상 계속 압축되어 있다.
다음으로, 철도 차량에 무언가 문제가 발생하여, 제어 기판(63)에 전차의 운전실로부터 차단 지령(개국 지령)을 부여하면, 제어 기판(63)으로부터 코일(38)에, 차단 지령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고, 코일(38)에는 투입시와는 역방향의 전류가 흘러, 코일(38)의 주위에는 투입시와는 역방향의 자계가 형성된다. 이 경우, 코일(38)로부터 발생하는 자속과 영구 자석(45)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축방향 단면(端面)(도면에서의 하면)에 있어서의 흡인력은, 차단 스프링(56) 및 와이프 스프링(37)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성력보다 약해지므로, 가동 철심(40)이 고정 철심(41)으로부터 멀어져서 도면에서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가동 철심(40)의 이동에 따라 제 1 구동 로드(42)가 도면에서의 상측으로 이동하면, 레버(58)의 상방 이동에 연동하여, 조작 로드(62)가 도면에서의 하방으로 이동하고, 진공 차단기(13)의 가동 전극(17)이 고정 전극(18)으로부터 멀어져서, 가동 전극(17)과 고정 전극(18)의 접촉이 풀려, 진공 차단기(13)의 차단 지령(개국 지령)이 완료한다. 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6이다.
이 경우, 전자 조작기(16)의 투입 상태의 유지가 해제되면, 먼저, 압축되어 있던 와이프 스프링(37)이 신장하고, 진공 차단기(13)의 가동 전극(17)과 고정 전극(18)의 접촉이 풀려, 진공 차단기(13)의 차단 동작과 전자 조작기(16)의 차단(개방)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전압 케이블에 지락 등의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운전실로부터의 차단 지령에 기초하여, 진공 차단기(13)의 가동 전극(17)과 고정 전극(18)의 접촉을 개방함으로써,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을 자동적으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지붕 위에 작업자가 올라갈 필요는 없어지고, 문제 개소를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과 건전한 고전압 케이블의 분리를, 특별한 작업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단로기(12A, 12B)는, 차량의 지붕과 동일면 상에 고정, 즉, 진공 차단기(13)와 전자 조작기(16)가, 1개의 케이스(19) 내에 수납되고, 이 케이스(19)가 차량의 지붕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애자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에 비교하여 높이 방향이 높아지지 않아도 되므로 유리하다.
실시예 2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단로기(12A)가, 차량의 지붕 위에 배치된 케이블(8B와 8C)의 도중에, 또한, 차량의 지붕과 동일면 상, 즉, 차량의 지붕에 직접 고정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예를 들면 케이블(8B, 8C)이 관통시켜져 있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기 박스를 설치하고, 이 기기 박스 내의 케이블(8B와 8C)의 도중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의 단로기(12A)를 설치하더라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철도 차량의 지붕 위에 기기를 설치할 때에는, 잡음원이 되지 않도록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면, 전자 조작기(16)를 고압 케이블(8B)에 직렬로 접속함과 함께, 고압 케이블(8C)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함으로써, 케이스(19)의 폭 방향(침목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철도 차량의 지붕 위에 상기한 기기를 설치하더라도 잡음원이 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투영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공기 저항, 저소음에 대하여 유리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차의 운전실로부터 차단 지령을 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차단기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의 배전반에의 조작 스위치를 설치하면, 이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차단 지령을 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형례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어떤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예의 구성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철도 차량, 2 : 제 1 차량 유닛, 3 : 제 2 차량 유닛, 4 : 제 3 차량 유닛, 5 : 제 4 차량 유닛, 6 : 제 5 차량 유닛, 7 : 제 6 차량 유닛, 8A, 8B, 8C, 8D : 고전압 케이블, 9A, 9B : 팬터그래프, 10 : 고전압 조인트, 11 : 3분기 고전압 케이블 헤드, 12A, 12B : 단로기, 13 : 진공 차단기, 14 : 고무 벨로즈, 15 : 링크 기구, 16 : 전자 조작기, 17 : 가동전극, 18 : 고정 전극, 19 : 케이스, 20 : 차량의 지붕, 21 : 지탱판, 22 : 제 1 U자 형상 금속 기구, 23 : 보호 커버, 24 : 제 2 U자 형상 금속 기구, 25 : 진공 밸브, 26 : 고정 도체, 27 : 절연 로드, 28 : 가동 도체, 29 : 연결 도체, 30 : 스프링 콘택트, 31 : 집전자, 32 : 제 1 통 형상 용기, 33 : 제 2 통 형상 용기, 34 : 에폭시 수지, 35 : 베이스, 36 : 지탱판, 37 : 와이프 스프링, 38 : 코일, 39 : 코일 보빈, 40 : 가동 철심, 41 : 고정 철심, 42 : 제 1 구동 로드, 43, 44 : 가동 평판, 45 : 영구 자석, 46, 47 : 커버, 48, 49, 50, 51, 55 : 지지판, 52 : 고정 로드, 53, 57, 61 : 핀, 54 : 제 2 구동 로드, 56 : 차단 스프링, 58, 60 : 레버, 59 : 샤프트, 62 : 조작 로드, 63 : 제어 기판, 64 : 콘덴서

Claims (8)

  1. 전력공급선으로부터 팬터그래프를 개재하여 급전이 행해짐과 함께, 전원 유닛을 구성하는 주요 전원 기기를 분산하여 복수의 차량에 탑재하여 형성되고, 각각의 차량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차량 유닛과, 당해 각 차량 유닛의 상기 전원 유닛을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을 관통시켜 배치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끊어놓는 단로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는, 상기 차량의 지붕 위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의 도중에, 또한, 상기 차량의 지붕과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는, 그 개폐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는, 전자 조작식 또는 공기 조작식의 진공 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기와 상기 전자 조작기 또는 공기 조작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당해 케이스가 상기 차량의 지붕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지탱판에 의해 지탱되고, 당해 지탱판을 상기 차량의 지붕에 직접 매립되어 있는 제 1 U자 형상 금속 기구에 볼트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지붕 위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저면을 제외한 주위가 보호 커버로 덮여 있고, 당해 보호 커버가 상기 차량의 지붕에 직접 매립되어 있는 제 2 U자 형상 금속 기구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시켜져 있는 기기 박스가 설치되고, 당해 기기 박스의 케이블의 도중에 상기 단로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KR1020157021239A 2013-03-28 2014-02-12 철도 차량 KR10173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8541 2013-03-28
JP2013068541A JP6216529B2 (ja) 2013-03-28 2013-03-28 鉄道車両
PCT/JP2014/053180 WO2014156348A1 (ja) 2013-03-28 2014-02-12 鉄道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279A true KR20150103279A (ko) 2015-09-09
KR101736290B1 KR101736290B1 (ko) 2017-05-16

Family

ID=5162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239A KR101736290B1 (ko) 2013-03-28 2014-02-12 철도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19722B2 (ko)
EP (1) EP2979916B1 (ko)
JP (1) JP6216529B2 (ko)
KR (1) KR101736290B1 (ko)
CN (1) CN104981371A (ko)
TW (1) TWI557764B (ko)
WO (1) WO2014156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8870A (ja) * 2016-05-16 2017-11-2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分岐ユニットまたは車両システム
CN106017576B (zh) * 2016-08-08 2018-11-30 成都骏盛科技有限责任公司 接触网动态检测系统
JP2018049764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開閉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鉄道車両
JP6713940B2 (ja) * 2017-02-28 2020-06-2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固体絶縁型開閉器ユニットの放熱装置、固体絶縁型開閉器ユニット、および、鉄道車両
CN112265563B (zh) * 2020-10-25 2023-01-17 冯思远 一种用于铁路车辆风电自动对接及分离的风电对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602A (ja) * 1992-03-16 1993-10-08 Hitachi Ltd 電気車用制御装置
JPH05300602A (ja) * 1992-04-20 1993-11-12 Hitachi Ltd 電気車制御装置
FR2780548B1 (fr) * 1998-06-29 2001-02-23 Alsthom Gec Ensemble d'alimentation electrique d'une charge a partir d'une source d'energie et locomotive equipee d'un tel ensemble
JP4200512B2 (ja) * 1998-10-20 2008-12-24 幸雄 大田 電動車両の動力装置
JP2004236398A (ja) * 2003-01-29 2004-08-19 Toshiba Corp 受電設備
JP4358698B2 (ja) * 2004-07-23 2009-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操作装置
JP2007252022A (ja) * 2006-03-13 2007-09-27 Toshiba Corp 鉄道車両
JP5311972B2 (ja) * 2007-11-09 2013-10-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編成車両
EP2312606B1 (en) * 2009-10-14 2013-02-27 ABB Technology AG Circuit-breaker with a common housing
JP5885387B2 (ja) * 2011-01-14 2016-03-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高圧機器システム及び鉄道車両
WO2012095895A1 (ja) 2011-01-14 2012-07-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回路遮断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US9030280B2 (en) * 2011-09-19 2015-05-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device and switch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57764B (zh) 2016-11-11
US20160001798A1 (en) 2016-01-07
EP2979916A1 (en) 2016-02-03
EP2979916B1 (en) 2021-04-07
US9919722B2 (en) 2018-03-20
EP2979916A4 (en) 2016-11-30
JP2014193067A (ja) 2014-10-06
JP6216529B2 (ja) 2017-10-18
KR101736290B1 (ko) 2017-05-16
TW201503199A (zh) 2015-01-16
WO2014156348A1 (ja) 2014-10-02
CN104981371A (zh)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290B1 (ko) 철도 차량
JP6328998B2 (ja) ユニット開閉器及び開閉装置並びに鉄道車両
KR101704807B1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TWI501492B (zh) Switch unit and switch device
CN1897376A (zh) 真空绝缘开关设备
KR101694312B1 (ko) 조작 장치 또는 진공 개폐기
JP6713940B2 (ja) 固体絶縁型開閉器ユニットの放熱装置、固体絶縁型開閉器ユニット、および、鉄道車両
JP6778129B2 (ja) 鉄道車両用開閉器ユニット
US10589760B2 (en) Branching unit and vehicular system
EP3300096A1 (en) Switch unit and rail car using the same
CN202142775U (zh) 一种高压组合电器
WO2019031022A1 (ja) 真空開閉装置
CN102361227A (zh) 一种高压组合电器
CN102064037B (zh) 一种组合式接地开关
CN118077026A (zh) 开关
JP2019164900A (ja) 固体絶縁形の真空開閉器
JPH0429641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