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136A -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136A
KR20150102136A KR1020140023014A KR20140023014A KR20150102136A KR 20150102136 A KR20150102136 A KR 20150102136A KR 1020140023014 A KR1020140023014 A KR 1020140023014A KR 20140023014 A KR20140023014 A KR 20140023014A KR 20150102136 A KR20150102136 A KR 2015010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wire
core wires
coupl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진
진형준
성윤경
김경현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광진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윈텍 filed Critical (주)광진윈텍
Priority to KR102014002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136A/ko
Publication of KR2015010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01R4/72Insulation of connections using a heat shrinking insulating sleeve
    • H01R4/726Making a non-soldered electrical connection simultaneously with the heat shrink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전선(10,20)의 심선(12,2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에 다수개의 결합부재를 순차적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심선(12,22)의 연결부위의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선(10,20)의 내구성 향상과 단선 예방 및 산화방지와 절연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연결 구조물{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WIRE}
본 발명은 전선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선 방지 및 내구성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선 연결 구조물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선들이 설치되는 바, 일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 각종 전기장치와 연결된 배선, 열을 발생하기 위한 열선,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온도센서와 연결된 온도센서용 리드선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선(1)은 전도성이 있는 심선(1a)의 외부 표면에 절연을 위한 피복(1b)이 감싸여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선(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2개의 심선(1a,2a)을 터미널(3)로 압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도 3과 같이 납땜(4)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주를 이루고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2b는 피복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터미널(3) 또는 납땜(4)의 연결구조만으로는 결합강도가 약해서 외력 작용시 전기적 연결부위가 쉽게 연결 해제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내구성이 약해서 쉽게 단선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1997-001351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에 연결부위의 결합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내구성 향상 및 단선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 산화방지와 절연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연결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선 연결 구조물은, 피복이 벗겨진 심선의 단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전선; 상기 피복이 벗겨진 심선들의 단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1차 결합부재; 상기 1차 결합부재와 상기 심선들의 끝단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심선들을 재차 결합하는 2차 결합부재; 및 상기 2차 결합부재와 상기 전선들의 피복을 일부분 동시에 감싸도록 결합된 3차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결합부재와 상기 2개의 전선을 동시에 도포하면서 상기 전선이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을 상기 설치대상물에 위치 고정시키면서 상기 전선의 내구성 향상과 단선을 방지하는 핫멜트 또는 점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 개는 전원공급선이고 나머지 한 개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 개는 전원공급선이고 나머지 한 개는 온도센서와 연결된 리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결합부재와 상기 2차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심선들의 단부를 일체로 압착 결합시키는 압착터미널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1차 결합부재와 상기 심선들의 끝단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일체로 결합시키는 납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결합부재는 상기 심선들의 결합강도 증대와 산화방지 및 전기적 절연을 위한 열수축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 구조물은, 전선의 심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에 다수의 결합부재를 사용해서 상기 심선의 연결부위에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심선의 연결부위의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선의 내구성 향상 및 단선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선의 연결부위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서 열수축튜브를 사용함에 따라 전선의 산화방지 및 절연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핫멜트를 사용해서 심선의 연결부위를 포함한 전선들을 설치대상물에 보다 견고히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내구성 향상 및 단선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와 도 3은 2개의 전선을 연결하는 종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연결 구조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구조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11,21)이 벗겨진 심선(12,22)의 단부가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동일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전선(10,20); 상기 피복(11,21)이 벗겨진 심선(12,22)들의 단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1차 결합부재(30); 상기 1차 결합부재(30)와 상기 심선(12,22)들의 끝단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심선(12,22)들을 재차 결합하는 2차 결합부재(40); 및 상기 2차 결합부재(40)와 상기 전선(10,20)들의 피복(11,21)을 일부분 동시에 감싸도록 결합된 3차 결합부재(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차 결합부재(50)와 상기 2개의 전선(10,20)을 동시에 도포하면서 상기 전선(10,20)이 설치되는 설치대상물(6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10,20)을 상기 설치대상물(60)에 위치 고정시키면서 상기 전선(10,20)의 내구성 향상과 단선을 방지하는 핫멜트(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10,20)이 설치되는 설치대상물(60)은 차량을 구성하는 시트커버, 조향핸들 커버 등의 면직물(원단)이나 또는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질 등과 같이 다양한 물품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 개의 전선(10)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선이 되고, 나머지 한 개의 전선(20)은 열선이 될 수 있는 바, 이런 경우 차량의 히팅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 개의전선(10)은 전원공급선이 되고, 나머지 한 개의 전선(20)은 온도센서(80)와 연결된 리드선이 될 수 있는 바, 이런 경우 온도센서(80)를 통해 전원공급선의 과열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1차 결합부재(30)는 상기 심선(12,22)들의 단부를 일체로 압착해서 결합시키는 압착터미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터미널은 압착기에 의해 압착되며, 이 과정에서 2개의 심선(12,22)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 결합부재(40)는 상기 1차 결합부재(30)인 압착터미널과 상기 심선(12,22)들의 끝단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일체로 결합시키는 납땜(sol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납땜을 통해 1차 결합부재(30)인 압착터미널과 심선(12,22)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 심선(12,22)들끼리의 결합강도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1차 결합부재(30)를 납땜으로 하고, 상기 2차 결합부재(40)를 압착터미널로 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3차 결합부재(50)는 상기 심선(12,22)들의 결합강도 증대와 산화방지 및 전기적 절연을 위한 열수축튜브(shrinkable tub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수축튜브는 열을 가하면 수축되면서 내용물을 빈틈없이 감싸서 보호하는 튜브로, 이를 통해 심선(12,22)들의 결합강도를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외부와의 단절을 유도해서 심선(12,22)들의 산화방지 및 전기적 절연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핫멜트(70, hot melt)는 가열시 용융되고 냉각시 바로 고화되는 특성을 갖춘 열가소성수지로서 접착제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바, 상기와 같이 3차 결합부재(50)를 포함한 전선(10,20)들을 핫멜트(70)를 사용해서 설치대상물(60)에 결합시키게 되면, 전선 구조물의 패키지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설치대상물(6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강한 결합력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핫멜트(70) 대신에 점착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전선(10,20)의 심선(12,22)들을 1차 결합부재(30)로 결합시키기 전에, 2개의 전선(10,20)을 설치대상물(60)의 설치위치에 위치시켜서 자수(needle work)나 또는 스티칭(stitching)을 통해 먼저 결합시킨 후, 그 다음에 1,2,3차 결합부재(30,40,50)순으로 결합시키는 구조가 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전선(10,20)의 설치위치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구조물은, 2개의 전선(10,20)의 심선(12,2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심선(12,22)들을 결합할 때에, 다수의 결합부재(30,40,50)를 상기 심선(12,22)의 연결부위에 순차적으로 결합하게 됨으로써 상기 심선(12,22)의 연결부위의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선(10,20)의 내구성 향상 및 단선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선(12,22)의 연결부위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서 열수축튜브를 사용함에 따라 전선(10,20)의 산화방지 및 절연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핫멜트(70)나 또는 점착제를 사용해서 심선(12,22)의 연결부위를 포함한 전선(10,20)들을 설치대상물(60)에 보다 견고히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내구성 향상 및 단선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20 - 전선 11,21 - 피복
12,22 - 심선 30 - 1차 결합부재
40 - 2차 결합부재 50 - 3차 결합부재
60 - 설치대상물 70 - 핫멜트
80 - 온도센서

Claims (6)

  1. 피복이 벗겨진 심선의 단부가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전선;
    상기 피복이 벗겨진 심선들의 단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1차 결합부재;
    상기 1차 결합부재와 상기 심선들의 끝단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심선들을 재차 결합하는 2차 결합부재; 및
    상기 2차 결합부재와 상기 전선들의 피복을 일부분 동시에 감싸도록 결합된 3차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연결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 결합부재와 상기 2개의 전선을 동시에 도포하면서 상기 전선이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을 상기 설치대상물에 위치 고정시키면서 상기 전선의 내구성 향상과 단선을 방지하는 핫멜트 또는 점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 개는 전원공급선이고 나머지 한 개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선 중 어느 한 개는 전원공급선이고 나머지 한 개는 온도센서와 연결된 리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결합부재와 상기 2차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심선들의 단부를 일체로 압착 결합시키는 압착터미널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1차 결합부재와 상기 심선들의 끝단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일체로 결합시키는 납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 결합부재는 상기 심선들의 결합강도 증대와 산화방지 및 전기적 절연을 위한 열수축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연결 구조물.
KR1020140023014A 2014-02-27 2014-02-27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KR20150102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14A KR20150102136A (ko) 2014-02-27 2014-02-27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14A KR20150102136A (ko) 2014-02-27 2014-02-27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136A true KR20150102136A (ko) 2015-09-07

Family

ID=5424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014A KR20150102136A (ko) 2014-02-27 2014-02-27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1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183A (ko)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자기 공진 무선전력 면상 발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183A (ko)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자기 공진 무선전력 면상 발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297B2 (ja) 端子の接合方法
US20010052420A1 (en) Crimping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ic cables
JP2013025997A (ja) 電線の接続方法
CN108075240A (zh) 电线的接合方法
JP2021101463A (ja) 抵抗器
KR102075255B1 (ko) 커넥터 장치
CN104124543A (zh) 一种压接转焊接电路板连接方法及接线端子
KR20150102136A (ko) 차량 열선시트용 전선 연결 구조물
JP2013026018A (ja) 電線束
KR101526179B1 (ko)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KR101219790B1 (ko) Ptc 난방시스템의 전선 접속방법
JP5337781B2 (ja) サーミスタ温度センサー
CN104752936A (zh) 导线之间电连接的方法及雷管脚线的延长方法
KR200461533Y1 (ko) 전선연결장치
JP2015212998A (ja) モールド成形体付きケーブル及び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方法
CN215007644U (zh) 一种用于防水的线缆
JP2016021354A (ja) コネクタ付き電線およびコネクタ付き電線の製造方法
CN213425371U (zh) 多芯线束连接器及电缆组件
JP2013251169A (ja) 誘導加熱用コイル
JP590711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432871Y1 (ko) 방수용 조인트 팩구조
JP2009231004A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390353Y1 (ko) 전선 조인트 보호용 수축 캡
US277335A (en) William e
JP6647132B2 (ja) 電線のジョイント構造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