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115A - 전력선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전력선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115A
KR20150101115A KR1020140022377A KR20140022377A KR20150101115A KR 20150101115 A KR20150101115 A KR 20150101115A KR 1020140022377 A KR1020140022377 A KR 1020140022377A KR 20140022377 A KR20140022377 A KR 20140022377A KR 20150101115 A KR20150101115 A KR 2015010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er pin
pin
power line
main body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102014002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115A/ko
Publication of KR2015010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는,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 선단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과, 코터핀에 결합되어 코터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홀더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수단은 코터핀을 감싸는 링부와, 링부의 선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축소되도록 탄력만곡되는 한쌍의 걸림핀부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홀더의 걸림핀부는 서로 대칭되도록 굴곡되며, 양 걸림핀부 선단간의 간격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양 걸림핀부의 중간부위간의 간격은 각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코터핀은 본체부와, 그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 그 타단에 형성되는 반원주형태의 걸림단부, 본체부와 걸림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네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홀더는 링부가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에 끼워지고, 상기 양 걸림핀부는 탄력만곡시 상기 코터핀의 걸림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는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되고, 클립홀더의 링부 역시 코터핀의 네크부와 형합되는 각진형태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에 의하면, 클립홀더가 장착된 코터핀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power line}
본 발명은 전신주에서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 클램프와 절연애자를 포함하는 전력선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은 발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지상 내지는 지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데, 지상구간에서의 설치방법으로는 전신주를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신주를 사용하여 전력선을 지지하는 방법에 의하면 일정구간마다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에 의해 전력선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신주와 전력선은 전류가 전신주로 통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구조로 연결되는데, 이 같은 절연구조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신주(2)에 장착되는 가로지지대(4)와 전력선(6) 사이에 절연애자(8)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로지지대(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절연애자(8)에 의해 전력선(6)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전력선(6)의 전류가 전신주(2)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되되며, 전력선(6)은 상기 절연애자(8)와 체결된 클램프(10)에 의해 고정지지된다.
상기 클램프(10)는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태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1)와, 상기 하우징부(101)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장착되는 한쌍의 조우(jaw)(102)와, 상기 조우(102)와 연동되도록 하우징부(101)에 장착된 지지판(도면에서는 가려서 안보임)과, 조우(102)에 설치되어 지지판에 의해 압박되는 압축코일스프링(도면에서는 가려서 안보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부(101)의 후방으로는 절연애자(8)와의 체결을 위한 아암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03)의 후선단에는 아암부(103)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일단이 평행하도록 절곡된 형태의 보조아암부(104)가 구비되어 있는데,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에는 서로 정렬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10a)(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절연애자(8)의 선단이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코터핀(12)이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의 관통홀(10a)(10b) 및 절연애자(8)의 관통홀(8a)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클램프(10)와 절연애자(8)가 체결되었다.
그리고, 코터핀(12)의 선단에 걸림핀(121)을 체결하여 코터핀(12)이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절연애자(8)로부터 코터핀(12)을 통해 클램프(10)로 전달되는 강한 인장응력이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로 분산됨으로써 비교적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노후되거나 파손된 클램프(10) 내지는 절연애자(8)를 교체하는 경우, 코터핀(12)을 클램프(10)와 절연애자(8)에서 분리하고 다시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코터핀(12)을 분리하기에 앞서서는 걸림핀(121)을 코터핀(12)으로부터 빼내야 하며, 코터핀(12)을 결합한 다음에는 걸림핀(121)을 코터핀(12)에 끼워넣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이 전신주 위의 고공에서 이루어지는 특성상,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분리 체결하는 작업을 신속히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작업시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두터운 절연장갑을 착용하기 때문에, 코터핀(12)에서 걸림핀(121)을 빼거나 끼워넣는 세밀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서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과정에서 걸림핀(121)을 분실하여 작업에 큰 지장을 받을 우려 또한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클램프와 전열애자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력선 지지구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는,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사이에 절연애자의 선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 선단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과, 상기 코터핀에 결합되어 코터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코터핀을 감싸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양 선단에서 코터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축소되도록 탄력만곡이 가능한 한쌍의 걸림핀부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홀더의 양 걸림핀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굴곡되어, 양 걸림핀부의 선단간의 간격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양 걸림핀부의 중간부위간의 간격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코터핀은 원주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반원주(半圓柱) 형태의 걸림단부와, 상기 본체부와 걸림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네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홀더는 링부가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양 걸림핀부는 탄력만곡시 상기 코터핀의 걸림단부와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는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홀더의 링부 역시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와 형합되도록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에 의하면, 클립홀더가 장착된 코터핀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선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터핀과 클립홀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코터핀과 클램프 및 절연애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 5b, 5c는 본 발명에 있어서, 코터핀이 클램프와 절연애자에 끼워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코터핀에 의해 클램프와 절연애자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3a 부터 도 6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는, 도 3a, 3b에 나타난 것과 같은, 코터핀(20)과, 상기 코터핀(20)에 결합되어 코터핀(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코터핀(20)을 감싸는 링부(221)와, 상기 링부(221)의 양 선단에서 코터핀(2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축소되도록 탄력만곡 가능한 한쌍의 걸림핀부(223)로 구성된 클립홀더(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립홀더(22)의 양 걸림핀부(223)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굴곡되어, 그 선단간의 간격은 상기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및 절연애자(8)에 형성된 관통홀(10a)(10b)(8a)의 직경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그 중간부위간의 간격은 상기 각 관통홀(10a)(10b)(8a)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클립홀더(22)의 양 걸림핀부(223)는 중간에서 서로간의 간격이 벌어졌다가 다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터핀(20)은 원주형태의 본체부(201)와, 상기 본체부(201)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203)와, 상기 본체부(201)의 타단에 형성되는 반원주(半圓柱) 형태의 걸림단부(205)와, 상기 본체부(201)와 걸림단부(205)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201)보다 직경이 작은 네크부(207)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홀더(22)는 링부(221)가 상기 코터핀(20)의 네크부(207)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걸림핀부(223)가 탄력만곡시 상기 코터핀(20)의 걸림단부(205)와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코터핀(20)의 네크부(207)는 부분적으로 평면부(208)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홀더(22)의 링부(221) 역시 상기 코터핀(20)의 네크부(207)와 형합되도록 부분적으로 평면부(222)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클립홀더(22)가 코터핀(20)에 정확히 장착된 상태, 즉, 클립홀더(22)의 링부(221)가 코터핀(20)의 네크부(207)에 끼워지고, 각각의 평면부(208)(222)가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는 형합 상태에서는 클립홀더(22)가 코터핀(2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코터핀(20)의 네크부(207)와 클립홀더(22)의 링부(221)가 단순한 원형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면, 코터핀(20)에 클립홀더(22)가 장착된 상태에서 클립홀더(22)가 의도치 않게 회전되어, 걸림핀부(223)가 코터핀(20)의 걸림단부(205)와 간섭되는 위치로 옮겨짐으로써, 양 걸림핀부(223)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탄성만곡되는 작동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홀더(20)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걸림핀부(223)가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탄력만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지지구조의 기능적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사이에 절연애자(8)의 선단이 개재되어 각 관통홀(10a)(10b)(8a)이 정렬된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클립홀더(22)가 장착된 코터핀(20)의 선단을 각 관통홀(10a)(10b)(8a)을 통과하도록 밀어넣게 된다.
이때, 도 5a, 5b, 5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클립홀더(22)의 양 걸림핀부(2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선단간의 간격이 관통홀(10a)(10b)(8a)의 직경 보다 좁기 때문에 관통홀(10a)(10b)(8a)에 쉽게 인입되며, 양 걸림핀부(223)가 관통홀(10a)(10b)(8a)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그대로 밀어넣기만하면 양 걸림핀부(223)가 탄력적으로 만곡되어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각 관통홀(10a)(10b)(8a)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양 걸림핀부(223)가 각 관통홀(10a)(10b)(8a)을 통과한 다음에는 만곡된 상태가 원래대로 탄력적으로 복원됨으로써 그 간격이 다시 확장되는데, 확장된 후에는 중간부위간의 간격이 관통홀(10a)(10b)(8a)의 직경보다 커지기 때문에 걸림핀부(223)가 클램프(10)의 아암부(103)에 걸리게 됨으로써 코터핀(20)이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도 6 참조)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터핀(20)의 걸림단부(205)가 반원주형태로 이루어지고, 클립홀더(22)의 양 걸림핀부(223)가 코터핀(20)의 걸림단부(205)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양 걸림핀부(223)가 탄력적으로 축소확장되는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클립홀더(22)의 양 걸림핀부(223)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러서 양 걸림핀부(223)의 중간부위 간의 간격이 관통홀(10a)(10b)(8a)의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한 다음, 코터핀(20)을 당겨서 관통홀(10a)(10b)(8a)로부터 빼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홀더(22)가 장착된 상태의 코터핀(20)을 관통홀(10a)(10b)(8a)로 밀어넣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클램프(10)와 절연애자(8)의 안정된 체결이 가능하며, 반대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코터핀(20)을 쉽게 빼낼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터핀(20)과 클립홀더(22)를 이용한 전력선 지지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클램프(10)와 절연애자(8)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분리 가능한 연결구성을 갖는 모든 구성요소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8: 절연애자 10: 클램프
103: 아암부 104: 보조아암부
20: 코터핀 201: 본체부
203: 헤드부 205: 걸림단부
207: 네크부 208: 평면부
22: 클립홀더 221: 링부
222: 평면부 223: 걸림핀부

Claims (7)

  1.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사이에 절연애자의 선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 선단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과,
    상기 코터핀에 결합되어 코터핀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코터핀을 감싸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양 선단에서 코터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축소되도록 탄력만곡이 가능한 한쌍의 걸림핀부
    로 구성되는 클립홀더로 이루어지는 전력선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홀더의 양 걸림핀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굴곡되어,
    양 걸림핀부의 선단간의 간격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보다 좁게 이루어지고,
    양 걸림핀부의 중간부위간의 간격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터핀은
    원주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반원주(半圓柱) 형태의 걸림단부와,
    상기 본체부와 걸림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네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립홀더는 링부가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양 걸림핀부는 탄력만곡시 상기 코터핀의 걸림단부와 간섭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는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홀더의 링부 역시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와 형합되도록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클립홀더가 코터핀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구조.
  5. 원주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반원주(半圓柱) 형태의 걸림단부와,
    상기 본체부와 걸림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보다 직경이 작은 네크부로 이루어지는 코터핀과,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는 홀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선 지지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수단은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를 감싸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양 선단에서 코터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축소되도록 탄력만곡이 가능한 한쌍의 걸림핀부로 구성되는 클립홀더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는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홀더의 링부 역시 상기 코터핀의 네크부와 형합되도록 부분적으로 평면부를 갖는 각진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클립홀더가 코터핀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구조.
KR1020140022377A 2014-02-26 2014-02-26 전력선 지지구조 KR20150101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77A KR20150101115A (ko) 2014-02-26 2014-02-26 전력선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77A KR20150101115A (ko) 2014-02-26 2014-02-26 전력선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15A true KR20150101115A (ko) 2015-09-03

Family

ID=5424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377A KR20150101115A (ko) 2014-02-26 2014-02-26 전력선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038B1 (ja) 電線接続具
US9577351B2 (en) Spring loaded insulation piercing electrical connector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11251594B2 (en) Fastening structure of clamp for supporting power line and insulator
US8932087B2 (en) Hot line stirrup connector
US10811858B2 (en) Dead-end sho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546949B2 (ja) 碍子取付方法および碍子取外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割ピン取付具
KR101165991B1 (ko) 배전선로 전선교체용 연결클램프
KR101562464B1 (ko) 전력선 연결용 고리형클램프
KR101629572B1 (ko)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20150101115A (ko) 전력선 지지구조
KR101629566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1479229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JP5235527B2 (ja) 間接活線先端工具
KR20160000851U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US1942341A (en) Ground clamp
US6922888B2 (en) Loadbreak elbow pulling tool apparatus
KR20190018219A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JP2014176112A (ja) 絶縁カバー架線取付用装置
KR101939067B1 (ko) 접속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US10673220B2 (en) Electric current conducting assembly
US1980779A (en) Battery cable terminal
JP2014230395A (ja) 作業補助具
KR20150015353A (ko) 전력선 연결용 분기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