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51U -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51U
KR20160000851U KR2020150008257U KR20150008257U KR20160000851U KR 20160000851 U KR20160000851 U KR 20160000851U KR 2020150008257 U KR2020150008257 U KR 2020150008257U KR 20150008257 U KR20150008257 U KR 20150008257U KR 20160000851 U KR20160000851 U KR 20160000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pring clip
clamp
boss
cott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2020150008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851U/ko
Publication of KR20160000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는, 절연애자가 클램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 선단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과, 상기 코터핀에 장착되는 스프링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터핀은 그 선단이 분할되어 슬롯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내에는 슬롯을 가로지르는 걸림보스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클립은, 중심부 및 그 양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클립의 중심부는 상기 걸림보스의 굴곡진 외면과 형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클립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보스를 감싸며, 상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절곡된 선단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간극은 상기 걸림보스의 폭보다 좁게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스프링클립이 장착된 코터핀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clamp and insulator}
본 고안은 전신주에서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은 발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지상 내지는 지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데, 지상구간에서의 설치방법으로는 전신주를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신주를 사용하여 전력선을 지지하는 방법에 의하면 일정구간마다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에 의해 전력선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신주와 전력선은 전류가 전신주로 통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구조로 연결되는데, 이 같은 절연구조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신주(2)에 장착되는 가로지지대(4)와 전력선(6) 사이에 절연애자(8)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로지지대(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절연애자(8)에 의해 전력선(6)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전력선(6)의 전류가 전신주(2)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되며, 전력선(6)은 상기 절연애자(8)와 체결된 클램프(10)에 의해 고정지지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클램프(10)는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태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장착되는 한쌍의 조우(jaw)(102)와, 조우(102)와 연동되도록 하우징부(101)에 장착된 지지판(도면에서는 가려서 안보임)과, 조우(102)에 설치되어 지지판에 의해 압박되는 압축코일스프링(도면에서는 가려서 안보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01)의 후방으로는 절연애자(8)와의 체결을 위한 아암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03)의 후선단에는 아암부(103)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 일단이 평행하도록 절곡된 형태의 보조아암부(104)가 구비되어 있는데,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에는 서로 정렬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애자(8)의 선단이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절연애자(8)의 선단이 클램프(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체결수단은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및 절연애자(8)의 선단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12)과, 코터핀(12)의 선단에 끼움결합되어 코터핀(12)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핀(1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절연애자(8)로부터 코터핀(12)을 통해 클램프(10)로 전달되는 강한 인장응력이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로 분산됨으로써 비교적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국내 특허출원 제10-2004-0060764호 참조)
한편, 노후되거나 파손된 클램프(10) 내지는 절연애자(8)를 교체하는 경우, 코터핀(12)을 클램프(10)와 절연애자(8)에서 분리하고 다시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코터핀(12)을 분리하기에 앞서서는 걸림핀(121)을 코터핀(12)으로부터 빼내야 하며, 코터핀(12)을 결합한 다음에는 걸림핀(121)을 코터핀(12)에 끼워넣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이 전신주 위의 고공에서 이루어지는 특성상,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분리 체결하는 작업을 신속히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시에는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두터운 절연장갑을 착용하기 때문에, 코터핀(12)에서 걸림핀(121)을 빼거나 끼워넣는 세밀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서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걸림핀(121)의 크기가 작은 특성상 작업과정에서 걸림핀(121)을 분실하여 작업에 큰 지장을 받을 우려 또한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클램프와 절연애자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는,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사이에 절연애자의 선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애자의 선단이 클램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 선단의 각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과, 상기 코터핀에 장착되며, 탄력적으로 축소 확장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축소되어 상기 각 관통홀을 통과함과 더불어 탄력적으로 확장복귀되어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스프링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터핀은 그 선단이 분할되어 슬롯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내에는 슬롯을 가로지르는 걸림보스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클립은,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서로 오무려지는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가 상기 걸림보스에 끼움결합되어 코터핀에 장착된다.
상기 걸림보스는 외면이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클립의 중심부는 상기 걸림보스의 굴곡진 외면과 형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클립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보스를 감싸며, 상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절곡된 선단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간극은 상기 걸림보스의 폭보다 좁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스프링클립이 장착된 코터핀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코터핀과 스프링클립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코터핀과 스프링클립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코터핀과 스프링클립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6b는 본 고안에 있어서, 코터핀이 클램프와 절연애자에 끼워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코터핀에 의해 클램프와 절연애자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3 부터 도 7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는,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사이에 절연애자(8)의 선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애자(8)의 선단이 클램프(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도 3, 4,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코터핀(20)과, 상기 코터핀(20)에 장착되며, 탄력적으로 축소 내지는 확장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터핀(20)은 그 선단이 분할되어 슬롯(20a)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20a)내에는 슬롯(20a)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걸림보스(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클립(30)은 중심부(301)와, 상기 중심부(301)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서로 오무려지는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301)가 상기 걸림보스(22)에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코터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보스(22)의 외면은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클립(30)의 중심부(301)는 상기 걸림보스(22)의 굴곡진 형태와 형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립(30)은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의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보스(22)를 감싸며, 상기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의 절곡된 선단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간의 간극은 상기 걸림보스(2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도 6a, 6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클램프(10)의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 사이에 절연애자(8)의 선단이 개재되어 아암부(103)와 보조아암부(104)의 관통홀(10a)(10b) 및 절연애자(8)의 관통홀(8a)이 정렬된 상태에서, 스프링클립(30)이 장착된 코터핀(20)의 선단을 각 관통홀(10a)(10b)(8a)을 통과하도록 밀어넣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클립(30)은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가 각 관통홀(10a)(10b)(8a)을 지나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력적으로 오무려지면서 관통홀(10a)(10b)(8a)을 통과하게 된다.
스프링클립(30)이 각 관통홀(10a)(10b)(8a)을 통과한 다음에는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의 오무려진 상태가 원래대로 탄력적으로 복원됨으로써 그 간격이 다시 확장된다.
스프링클립(30)의 오무려진 상태가 복원된 후에는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 간의 간격이 관통홀(10a)의 직경보다 커지기 때문에 스프링클립(30)이 클램프(10)의 아암부(103)에 걸리게 됨으로써 코터핀(20)이 제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스프링클립(30)의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러서,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 간의 간격이 관통홀(10a)(10b)(8a)의 직경보다 좁아지도록 한 다음, 코터핀(20)을 당겨서 관통홀(10a)(10b)(8a)로부터 빼내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만으로, 클램프(10)와 절연애자(8)의 안정된 체결이 가능하며, 반대로 클램프(10)와 절연애자(8)를 쉽게 분리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클립(30)은 중심부(301)가 코터핀(20)의 걸림보스(22)의 굴곡진 외면과 형합되는 형태로 걸림보스(22)와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걸림보스(22)와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클립(30)이 장착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작동상의 문제를 초래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보스(22)가 단순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프링클립(30)의 중심부(301) 역시 단순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면, 스프링클립(30)이 걸림보스(22)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장착각도가 쉽게 기울어질 수 있으며, 장착각도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좌측단부(302) 내지는 우측단부(303)가 코터핀(20)의 슬롯(20a)내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클립(30)의 좌측단부(302)와 우측단부(303)의 절곡된 선단 사이의 간극이 걸림보스(22)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진 특성상, 외부충격 등에 의해 혹여 스프링클립(30)이 걸림보스(22)와 분리되더라도, 절곡된 선단이 걸림보스(22)에 걸리기 때문에 스프링클립(30)이 코터핀(2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서 분실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클램프(10)와 절연애자(8)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리 가능한 연결구성을 갖는 모든 구성요소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8: 절연애자 10: 클램프
103: 아암부 104: 보조아암부
20: 코터핀 20a: 슬롯
22: 걸림보스 30: 스프링클립
301: 중심부 302: 좌측단부
303: 우측단부

Claims (5)

  1.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사이에 절연애자의 선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애자의 선단이 클램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아암부와 보조아암부 및 절연애자 선단의 각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코터핀과,
    상기 코터핀에 장착되며, 탄력적으로 축소 확장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축소되어 상기 각 관통홀을 통과함과 더불어 탄력적으로 확장복귀되어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스프링클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터핀은
    그 선단이 분할되어 슬롯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내에는 슬롯을 가로지르는 걸림보스가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립은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서로 오무려지는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가 상기 걸림보스에 끼움결합되어 코터핀에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보스는 외면이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클립의 중심부는 상기 걸림보스의 굴곡진 외면과 형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클립이 걸림보스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지 않게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립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보스를 감싸며,
    상기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의 절곡된 선단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간극은 상기 걸림보스의 폭보다 좁게 구성으로써
    상기 스프링클립이 걸림보스로부터 자연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2020150008257U 2015-12-16 2015-12-16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201600008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257U KR20160000851U (ko) 2015-12-16 2015-12-16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257U KR20160000851U (ko) 2015-12-16 2015-12-16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54 Division 2014-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51U true KR20160000851U (ko) 2016-03-10

Family

ID=5553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257U KR20160000851U (ko) 2015-12-16 2015-12-16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8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8355A (zh) * 2018-01-16 2019-07-23 闫丽娟 一种用于夹持绝缘子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8355A (zh) * 2018-01-16 2019-07-23 闫丽娟 一种用于夹持绝缘子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038B1 (ja) 電線接続具
KR101447208B1 (ko)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US8512070B2 (en) Spring loaded clamp
KR101891384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US10811858B2 (en) Dead-end sho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60000851U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1629572B1 (ko)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1562464B1 (ko) 전력선 연결용 고리형클램프
KR101479229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KR101629566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KR10163655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JP2013198180A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CN101950934A (zh) 防污拔销器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KR20200046207A (ko) 현수애자 지지장치
KR20190018219A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20150101115A (ko) 전력선 지지구조
US1980779A (en) Battery cable terminal
JP6486854B2 (ja) 接続端子函補助クランプ
JP6320825B2 (ja) 高圧引下線接続用コネクタ把持具
KR20210001085U (ko) 고리형 쇄클기구
JP2010008220A (ja) 事故点探査装置用先端金具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876327B1 (ko) 전력선에 권선되는 아마로드의 끝선정렬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