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767A -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767A
KR20150100767A KR1020157019401A KR20157019401A KR20150100767A KR 20150100767 A KR20150100767 A KR 20150100767A KR 1020157019401 A KR1020157019401 A KR 1020157019401A KR 20157019401 A KR20157019401 A KR 20157019401A KR 20150100767 A KR20150100767 A KR 2015010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component
detection
detected
sign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128B1 (ko
Inventor
샤샤 시몬
Original Assignee
샤샤 시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072,231 external-priority patent/US9333946B2/en
Application filed by 샤샤 시몬 filed Critical 샤샤 시몬
Publication of KR2015010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56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4/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디바이스(502)는 파라미터 검출기(512), 입력 구성요소(514), 액세싱 구성요소(516), 비교기(518) 및 식별기(520)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검출기(512)는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1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구성요소(514)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입력할 수 있다. 액세싱 구성요소(516)는 데이터베이스(504)로부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액세스할 수 있다. 비교기(518)는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기(520)는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파라미터 검출기(512)는 제3 파라미터 및 제4 파라미터를 더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제3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4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생성할 수 있다. 비교기(518)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 및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기초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A SMARTPHONE IS IN A VEHICLE}
본 출원은 2012년 12월 2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40,814호, 2012년 12월 2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40,831호, 2012년 12월 2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40,851호, 및 2012년 12월 2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45,677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이들 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는 2013년 11월 5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072,23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기술분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의 출력 및 다른 기능성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이 내부에 있는 차량의 아이덴티티, 타입(type) 및 종류(class)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텔레매틱스(vehicle telematics)는 차량으로 그리고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고, 저장하는 기술이고,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장에 현재 존재한다(적어도 제한된 정도로). 예를 들어, 제네럴 모터스(General Motors)[온스타(OnStar) 오퍼링을 통해] 및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 Benz)[텔레에이드(Tele-Aid) 및 더 최근의 엠브레이스(mbrace) 시스템 오퍼링을 통해]의 모두는 이들의 고객들에게 커넥티드-차량(connected-vehicle) 기능성을 장기간 제공해 왔다. 양사의 오퍼링은 모두, OBD-II 차량 진단 표준에 지정되어 있는 차량의 CAN 버스 상에서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충돌에 연루되어 있는 것을 암시하는 에어백의 전개는 CAN 버스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차량에 내장되고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 접속된(즉, 음성 접속성을 가진) 디지털 무선 전화 모듈이 충돌을 "보고"하기 위해 텔레매틱스 서비스 공급자(telematics service provider: TSP)에 전화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차량 위치가 또한 차량의 GPS 기능성을 사용하여 TSP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단 통화가 연결되면, TSP 대리자는 상황의 심각성을 평가하기 위해,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여 차량 운전자와 통신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TSP 대리자에 의해 차량에 지원이 급파될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이들 서비스는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에 전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타입의 서비스는 이들의 최초 공개 이후에 확장되어 왔고, 이제 컨시어지 서비스(concierge services)와 같은 추가 특징들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는 주로 콜센터 통신으로의 운전자 기반 음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데이터 서비스는 단지 느리게 도입되고 있으며, 저대역폭 통신 모듈, 고비용 및 단지 몇몇 모델 라인에서의 부분적인 이용 가능성에 의해 방해를 받고 있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기능하지만, 차량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시장에서 제한된 상업적 수용만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수의 이유가 존재하는 데, 저속 및 저대역폭에 추가하여, 대부분의 차량 운전자[아마도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 니치(niche)는 제외]는 선불 지불(즉, 더 고가의 차량) 또는 순환(월간/연간) 서비스 요금의 형태인, 차량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꺼려한다. 더욱이, 차량 제조업자의 관점으로부터, 그 서비스는 추가의 하드웨어가 차량에 내장되는 것을 필요로 하여, 차량당 $250 내지 $350 정도의 추가의 비용을 야기하는데, 이는 보상될 수 없다. 따라서, 제조업자는 좀처럼 모든 차량에서의 차량 텔레매틱스 장비의 장착을 완전히 수용하거나 투자하지 않고 있다.
스마트폰이 이동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시도가 과거에 존재하였다. 무선 서비스 공급자(AT&T, Sprint 및 Verizon)는 예를 들어, 전화기가 AT&T에서 DriveModeTM라고 하는 모드에 있을 때, 수신 텍스트 메시지 및 음성 통화에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AT&T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무선 전화기는 2개의 조건 중 하나가 부합될 때 "드라이브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먼저, 스마트폰 조작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수동으로 턴온하는데, 즉 조작자는 애플리케이션에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하도록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온/오프 모드에 있고 스마트폰 GPS 센서가 스마트폰이 시속 25 마일 초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감지할 때, GPS 센서는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에 이와 같이 통지하고,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이 이동 차량 내에 있다고 결정하고,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된다.
AT&T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키기 위한 이들 경로 모두 -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수동" 접근법 및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자동" 접근법 - 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스마트폰 조작자가 애플리케이션이 수동 모드에 있을 때 차량을 주행하기 전에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단순히 런칭하지 않도록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은 런칭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로, 자동 온/오프 모드에서, 스마트폰이 이동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해 AT&T에서 단지 GPS 센서만 이용하는 것은 다수의 이유로 문제가 된다. 첫째로, 애플리케이션의 속도 임계치는 임의적인데, 이는 드라이브 모드가 25 mph 미만에서 검출/연동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이 예를 들어 교통 정체로 또는 신호등에서 정지하면,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은 비의도적으로 종료될 수도 있다. 둘째로, 아마도 더 중요하게는, AT&T의 DriveMode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GPS 기능성이 항상 턴온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스마트폰의 GPS 센서의 사용은 스마트폰의 배터리 리소스를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이 요구는 AT&T의 애플리케이션의 유용성을 심각하게 손상시킨다. 셋째로, 이 방법은 전화기가 있는 차량의 타입, 예를 들어 버스, 택시 또는 기차 사이를 구별하지 않고, 따라서 전화기의 소유자와 그 소유자의 주행 상황 사이에 어떠한 상관성도 허용하지 않는다. 통상의 내장형 텔레매틱스 디바이스들을 스마트폰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와 스마트폰 소유자를 그녀의 자가용과 상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오직 스마트폰만이 차량 내의 내장형 텔레매틱스 디바이스의 기능적 역할을 진정으로 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상기 이유로, 특정 동작 모드가 활성화될 수도 있도록 스마트폰의 위치를 결정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특정 동작 모드가 규정될 수도 있도록 스마트폰의 특정 위치를 결정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 입력 구성요소, 액세싱 구성요소, 비교 구성요소 및 식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는 제1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고, 제2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signature)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는 검출된 제1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한다. 입력 구성요소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입력할 수 있다. 액세싱 구성요소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액세스할 수 있다. 비교 구성요소는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 구성요소는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는 또한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고, 제4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고,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는 검출된 제3 검출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4 파라미터에 기초한다. 비교 구성요소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 및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기초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차량을 향해 걸어가고 있는 사람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위치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위치와 연계된 시그너쳐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특정 위치 내 및/또는 부근의 필드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특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텍스트/그래픽)를 갖거나 갖지 않는 셀룰러 및/또는 위성 무선 전화기(radiotelephone)(들); 무선 전화기를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또는 데이터 통신 기능과 조합시킬 수도 있는 퍼스널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및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브라우저, 오거나이저(organizer), 캘린더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들)(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랩탑(노트북) 및/또는 팜탑(넷북) 컴퓨터(들), 태블릿(들) 또는 다른 기기(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스마트폰"은, 시간 가변적 또는 고정적 지리 좌표를 가질 수도 있고/있거나 휴대형이고, 운반 가능하고, 차량(항공, 해상 또는 육상 기반) 내에 설치되고/되거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 걸쳐 국부적으로 그리고/또는 분배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배치 및/또는 구성된 임의의 다른 방사형 사용자 디바이스(radiating user device)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위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다. 위치는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시그너쳐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그너쳐를 알려진 위치와 연계된 다른 시그너쳐와 비교함으로써 식별될 수도 있다. 일단 위치가 식별되면, 통신 디바이스는 위치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자기장 및 다른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이어서 차량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들 양태가 이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차량(102)을 향해 걸어가고 있는 사람(104)을 도시하고 있다. 자기장(106)이 차량(102) 부근에 위치하고, 주변 노이즈(108)가 차량(102)에 부가적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자기장(106) 및 주변 노이즈(108)와 같은 파라미터가, 사람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그 사람(104)의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는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는 차량(102)의 내부의 평면도이다. 위치(202)는 차량(102) 내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표현하고 있다. 위치(202)에서의 자기장들의 중첩이 필드 라인(206)에 의해 표현되어 있다. 위치(202)에서의 사운드의 중첩이 라인(208)에 의해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위치(202)에서의 자기장 및 위치(202)에서의 사운드와 같은 파라미터는 사람의 위치 - 차량 내에 있는 것으로서 - 를 식별하기 위해 그 사람의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는 차량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먼저, 디바이스의 위치가 식별된다. 다음에, 위치가 그와 연계된 특정 모드를 가지면, 디바이스의 모드가 식별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위치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300)을 도시하고 있다.
방법(300)이 시작되고(S302) 위치가 등록된다(S304).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위치와 연계된 시그너쳐를 등록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을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예시적인 디바이스가 방법(400)을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502)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디바이스(502), 데이터베이스(504), 필드(506) 및 네트워크(508)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502) 및 데이터베이스(504)는 개별 요소이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디바이스(502) 및 데이터베이스(504)는 점선(510)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일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502)는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입력 구성요소(514), 액세싱 구성요소(516), 비교 구성요소(518), 식별 구성요소(520),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통신 구성요소(524), 검증 구성요소(526) 및 제어 구성요소(528)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입력 구성요소(514), 액세싱 구성요소(516), 비교 구성요소(518), 식별 구성요소(520),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통신 구성요소(524), 검증 구성요소(526) 및 제어 구성요소(528)는 개별 디바이스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입력 구성요소(514), 액세싱 구성요소(516), 비교 구성요소(518), 식별 구성요소(520),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통신 구성요소(524), 검증 구성요소(526) 및 제어 구성요소(528) 중 적어도 2개는 단일 디바이스로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입력 구성요소(514), 액세싱 구성요소(516), 비교 구성요소(518), 식별 구성요소(520),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통신 구성요소(524), 검증 구성요소(526) 및 제어 구성요소(528)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전달하거나 갖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구비한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용도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비한정적인 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용도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장치 및/또는 메모리 매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접속(유선, 무선 또는 유선이나 무선의 조합)을 통해 컴퓨터에 전송되거나 제공되는 정보의 경우, 컴퓨터는 그 접속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절하게 간주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임의의 이러한 접속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 적절하게 명명될 수도 있다. 상기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통신 라인(530)을 통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32)을 통해 입력 구성요소(514)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34)을 통해 액세싱 구성요소(516)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36)을 통해 비교 구성요소(518)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38)을 통해 식별 구성요소(520)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40)을 통해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42)을 통해 통신 구성요소(524)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44)을 통해 검증 구성요소(52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입력 구성요소(514), 액세싱 구성요소(516), 비교 구성요소(518), 식별 구성요소(520),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통신 구성요소(524) 및 검증 구성요소(526)의 각각을 제어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또한, 필드(506)를 검출하고, 통신 라인(546)을 통해 입력 구성요소(514)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48)을 통해 비교 구성요소(518)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필드를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는데, 필드의 비한정적인 예는 전기장, 자기장 및 전자기장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시간 순간(instant of time)에 필드의 진폭을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시간 순간에 필드 벡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시간 기간(period of time)에 따른 함수로서 필드의 진폭을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필드 벡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필드의 진폭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필드 벡터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또한, 검출된 필드에 기초하여 필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 구성요소(514)는 또한, 통신 라인(55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504)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52)을 통해 검증 구성요소(52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구성요소(514)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입력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입력 구성요소(514)의 비한정적인 예는 사용자 인터랙티브(interactive) 터치스크린 또는 키패드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액세싱 구성요소(516)는 또한, 통신 라인(554)을 통해 데이터베이스(504)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56)을 통해 비교 구성요소(518)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싱 구성요소(516)는 데이터베이스(504)로부터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비교 구성요소(518)는 또한, 통신 라인(558)을 통해 식별 구성요소(5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비교 구성요소(518)는 2개의 입력을 비교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또한, 통신 라인(560)을 통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는데, 파라미터의 비한정적인 예는 속도, 가속도, 측지 위치(geodetic position), 사운드, 온도, 진동, 압력, 주위 분위기의 함량(contents)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시간 순간에 파라미터의 진폭을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시간 순간에 파라미터 벡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파라미터의 진폭을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파라미터 벡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파라미터의 진폭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파라미터 벡터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통신 구성요소(524)는 또한, 통신 라인(562)을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구성요소(524)는 네트워크(508)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통신 구성요소의 비한정적인 예는 유선 및 무선 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한다.
검증 구성요소(526)는 검증을 위한 요청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검증 구성요소(526)의 비한정적인 예는 사용자 인터랙티브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를 갖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라인(530, 532, 534, 536, 538, 540, 542, 544, 546, 548, 550, 552, 554, 556, 558, 560, 562)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통신할 수도 있는 임의의 공지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 또는 매체일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504)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고, 편성하고, (요청시에)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일 수도 있고,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자체 및 지원하는 데이터 구조를 칭한다. 데이터베이스(504)의 비한정적인 예는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네트워크(508)는 2개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임의의 공지된 링크일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508)의 비한정적인 예는 원거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도 4로 복귀하면, 방법(400)이 시작되고(S402), 파라미터가 검출된다(S404). 예를 들어, 도 5로 복귀하면, 파라미터를 필드라 하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가 필드(506)를 검출한다. 설명의 목적으로, 필드(506)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위치(116) 부근에 있는 동안 차량과 연관된 모든 전자 및 기계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자기장이라 한다. 이는 비한정적인 예이고, 검출된 파라미터는 임의의 공지된 검출가능한 파라미터이고, 이들 파라미터 중에서 다른 비한정적인 예는 전기장, 전자기장,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측지 위치, 사운드, 온도, 진동, 압력,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 주위 분위기의 함량, 전기장의 변화, 전자기장의 변화, 속도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각속도의 변화, 각가속도의 변화, 측지 위치의 변화, 사운드의 변화, 온도의 변화, 진동의 변화, 압력의 변화, 바이오메트릭스의 변화, 주위 분위기의 함량의 변화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4로 복귀하면, 제1 파라미터가 검출된(S404) 후에,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S406). 예를 들어, 도 5로 복귀하면, 제어 구성요소(528)는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및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중 적어도 하나에 다른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자기장은 디바이스(502)가 특정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비교적 독특한 파라미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오판정(false positive)을 도출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디바이스(502)가 차량 내에 있다는 것을 잘못 표시하는 자기장은 차량 내에 있지 않은 자판기(vending machine)의 동작과 실제로 연계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502)가 특정 위치에 있다는 오판정 표시의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치와 연계된 제2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개념에 따라,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위치의 정확한 식별의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위치와 연계된 복수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바이스(502)는 검출해야 하는 사전 결정된 수의 파라미터를 갖고, 여기서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러한 검출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404에서)검출될 제1 파라미터는 주행하는 차량과 연계된 자기장일 수도 있고, 제어 구성요소(528)는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될 제2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사운드와 같은, 주행하는 차량과 부가적으로 연계되는 다른 공지된 검출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여기서 제어 구성요소(528)는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에 제2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또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다수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예시적인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복수의 검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이 검출 구성요소들의 샘플은 제1 검출 구성요소(602), 제2 검출 구성요소(604), 제3 검출 구성요소(606) 및 제n 검출 구성요소(608)로서 표시되고 있다.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또한 제어 구성요소(610)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검출 구성요소(602), 검출 구성요소(604), 검출 구성요소(606), 검출 구성요소(608) 및 제어 구성요소(610)는 개별 디바이스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검출 구성요소(602), 검출 구성요소(604), 검출 구성요소(606), 검출 구성요소(608) 및 제어 구성요소(610) 중 적어도 2개는 단일 디바이스로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검출 구성요소(602), 검출 구성요소(604), 검출 구성요소(606), 검출 구성요소(608) 및 제어 구성요소(610)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전달하거나 갖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구비한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구성요소(610)는 통신 라인(612)을 통해 검출 구성요소(602)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614)을 통해 검출 구성요소(604)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616)을 통해 검출 구성요소(606)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618)을 통해 검출 구성요소(608)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구성요소(610)는 검출 구성요소(602), 검출 구성요소(604), 검출 구성요소(606) 및 검출 구성요소(608)의 각각을 제어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어 구성요소(610)는 또한, 통신 라인(540)을 통해 도 5의 제어 구성요소(528)와 통신하고, 통신 라인(560)을 통해 도 5의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구성요소들은 각각 공지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공지의 검출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검출 구성요소는 전기장, 전자기장,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측지 위치, 사운드, 온도, 진동, 압력, 바이오메트릭스, 주위 분위기의 함량, 전기장의 변화, 전자기장의 변화, 속도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각속도의 변화, 각가속도의 변화, 측지 위치의 변화, 사운드의 변화, 온도의 변화, 진동의 변화, 압력의 변화, 바이오메트릭스의 변화, 주위 분위기의 함량의 변화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공지된 타입의 검출기일 수도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검출 구성요소(602)가 사운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출 구성요소(604)가 3차원의 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출 구성요소(606)가 진동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검출 구성요소(608)가 측지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의 검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 순간에 진폭으로서 각각의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몇몇 비한정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의 검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각각의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의 검출 구성요소들의 각각은 검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검출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검출된 신호의 각각은 각각의 통신 라인을 통해 제어 구성요소(61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 구성요소(610)는 통신 라인(540)을 통해 제어 구성요소(528)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로 복귀하면,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되어야 하면(S406에서 Y),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될 것이다(S404).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통신 라인(540)을 통해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에 다른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검출될 제2 파라미터를 사운드라 한다. 이와 같이, 이 시점에,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610)는 통신 라인(612)을 통해 검출 구성요소(602)에 사운드를 검출하도록 명령한다. 검출 구성요소(602)는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통신 라인(612)을 통해 제어 구성요소(610)에 제공한다. 본 예에서, 제어 구성요소(610)는 이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출된 신호를 통신 라인(560)을 통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로 복귀하면,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되어야 하면(S406에서 Y),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될 것이다(S404).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통신 라인(540)을 통해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에 다른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검출될 제2 파라미터를 3차원 속도라 한다. 이와 같이, 이 시점에,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610)는 통신 라인(614)을 통해 검출 구성요소(604)에 3차원의 속도를 검출하도록 명령한다. 검출 구성요소(604)는 검출된 3차원 속도에 대응하는 신호를 통신 라인(614)을 통해 제어 구성요소(610)에 제공한다. 본 예에서, 제어 구성요소(610)는 이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출된 신호를 통신 라인(560)을 통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로 복귀하면,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되어야 하면(S406에서 Y), 다른 파라미터가 검출될 것이다(S404). 이 프로세스는 검출될 모든 파라미터가 검출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스는 사전 결정된 타입의 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횟수 반복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스는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에 도달하기 위해 충분한 파라미터가 검출될 때까지만 반복되고, 이는 오판정 위치 식별의 확률을 감소시킬 것이다.
도 6으로 복귀하면, 방금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610)는 각각의 검출 구성요소로부터 개개의 검출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구성요소(610)는 각각의 검출 구성요소로부터 개개의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제어 구성요소(610)는 개개의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는 합성 검출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성 검출된 신호는 개개의 검출된 신호 중 임의의 것 및 이들의 조합에 기초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구성요소(610)는 또한, 합성 검출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개개의 검출된 신호 중 임의의 것 및 이들의 조합을 처리할 수도 있다. 추가 프로세스의 비한정적인 예는 개개의 검출된 신호 중 임의의 것 및 이들의 조합을 평균화하고, 가산하고, 감산하고,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검출될 모든 파라미터는 동시에 검출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통신 라인(540)을 통해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에 모든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 시점에,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구성요소(610)는 모든 검출 구성요소에 이들의 각각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한다. 모든 검출 구성요소는 이어서 각각의 검출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신호를 통신 라인(614)을 통해 제어 구성요소(610)에 제공한다. 본 예에서, 제어 구성요소(610)는 이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출된 신호를 통신 라인(560)을 통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로 복귀하면, 검출되어야 할 파라미터가 더 이상 없으면(S406에서 N), 시그너쳐(signature)가 생성된다(S408). 몇몇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로부터의 검출된 신호 및 필드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의 시그너쳐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또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로부터의 검출된 신호 및 필드 신호 중 임의의 것을 처리하여 이러한 시그너쳐를 생성한다. 추가의 프로세스의 비한정적인 예는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로부터의 검출된 신호 및 필드 신호 중 임의의 것을 평균화하고, 가산하고, 감산하고,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생성된 시그너쳐는 검출된 필드 및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한다.
도 4로 복귀하면, 일단 시그너쳐가 생성되면(S408), 시그너쳐가 메모리에 입력된다(S41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그 시그너쳐를 통신 라인(546)을 통해 입력 구성요소(514)에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력 구성요소(514)는 시그너쳐가 생성된 것을 디바이스(502)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GUI를 포함한다. 입력 구성요소(514)는 또한, 사용자가 위치와 생성된 시그너쳐 사이의 연계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입력 구성요소(514)는 "시그너쳐가 생성되었음. 어느 위치가 그 시그너쳐와 연계되는가?"와 같은 메시지를 GUI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입력 구성요소(514)는 이어서 GUI를 통해, 생성된 시그너쳐와 연계될 위치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위한 입력 프롬프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입력 구성요소(514)는 이어서 통신 라인(55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504)에 시그너쳐, 및 특정 위치로의 연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504)는 디바이스(502)의 부분이고,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504)는 디바이스(502)로부터 별개이다. 데이터베이스(504)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 검색은,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의 부분일 때,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로부터 별개인 경우와 대조적으로 더 고속일 수도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502)를 설계할 때, 특히 디바이스(502)가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이도록 의도될 때에, 크기가 중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502)는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로부터 별개일 때,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의 부분인 경우와 대조적으로, 훨씬 더 소형일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의 부분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 구성요소(514)는 사전 결정된 수의 위치에 대해, 사용자가 시그너쳐 및 위치 연계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504)는 디바이스(502)에서만 사용될 것이다.
이제,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로부터 별개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고려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4)가 디바이스(502)의 부분인 경우보다 디바이스(504)가 훨씬 더 대형인 것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에 액세스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 구성요소(514)는 훨씬 더 많은 사전 결정된 수의 위치에 대해, 사용자가 시그너쳐 및 아이템/위치 연계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입력 구성요소(514)는 한층 더 많은 위치에 대해, 유사한 디바이스의 다른 사용자가 시그너쳐 및 위치 연계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을 식별하기 위해 차량과 연계된 차등 자기장 특성 및 다른 검출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재의 차량은 전자 및 기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엔진 서브시스템을 완전히 구비한다. 모든 이들 시스템은 이들 자신의 전자기장 및 자기장을 생성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의 라인(20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전체 3차원 특성 및 필드 강도 변동을 변경할 것이다. 또한, 특히 차량의 점화는 모든 차량에 대한 특성 자기 플럭스를 생성한다. 부가적으로, 다수의 차량이 예를 들어, 도 2의 라인(208)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식별량의 도로 노이즈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이들 검출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2개에 기초하여 시그너쳐를 생성하고, 메이커 및 모델의 기준 그룹에 대해 데이터베이스(504) 내에 이들 시그너쳐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의 임의의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504) 내의 등록된 차량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리 저장된 시그너쳐 및 추가 측정치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시그너쳐의 라이브러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 라이브러리는 상이한 차량의 설명을 기술하는 추가 측정치로 증강될 수도 있다.
전술된 예는 위치로서 차량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는 비한정적인 예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또한, 검출가능한 파라미터를 갖는 임의의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시점에, 방법(400)이 정지한다(S412).
도 3으로 복귀하면, 이제 위치가 등록되고(S304), 새로운 위치가 검출될 수도 있다(S306).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는 예시적인 방법(700)을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식별된 위치가 차량인 것으로 한다.
방법(700)이 시작되고(S702), 제1 파라미터가 검출된다(S704).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400)의 파라미터 검출(S404)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도 5로 복귀하면, 파라미터는 필드인 것으로 하고, 여기서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는 필드(506)를 검출한다. 설명의 목적으로, 필드(506)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위치(116) 부근에 있는 동안 차량과 연관된 모든 전자 및 기계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의 중첩에 대응하는 자기장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이것은 비한정적인 예이고, 검출된 파라미터는 임의의 공지된 검출가능한 파라미터이고, 이들 파라미터 중에서 다른 비한정적인 예는 전기장, 전자기장, 속도, 가속도, 각속도, 각가속도, 측지 위치, 사운드, 온도, 진동, 압력, 바이오메트릭스, 주위 분위기의 함량, 전기장의 변화, 전자기장의 변화, 속도의 변화, 가속도의 변화, 각속도의 변화, 각가속도의 변화, 측지 위치의 변화, 사운드의 변화, 온도의 변화, 진동의 변화, 압력의 변화, 바이오메트릭스의 변화, 주위 분위기의 함량의 변화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7로 복귀하면, 제1 파라미터가 검출된(S704) 후에, 제2 파라미터가 검출된다(S706). 예를 들어, 도 5로 복귀하면, 제어 구성요소(528)는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 및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 중 적어도 하나에 다른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400)(S406)에 유사하다.
도 7로 복귀하면, 첫번째 2개의 파라미터가 검출된(S704 및 S706) 후에, 위치 확률(Lp)이 생성된다(S708). 예를 들어, 먼저 2개의 검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시그너쳐가 생성될 수도 있다. 이 시그너쳐는 도 4의 방법(400)에서 전술된 방식(S408)과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예를 들어, 도 4의 방법(400)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504)로부터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를 검색하고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를 비교 구성요소(518)에 제공하도록 액세스 구성요소(516)에 명령할 수도 있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새로운 위치가 이전의 위치인 확률을 표시하는 위치 확률(Lp)을 생성하도록 비교기에 명령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새롭게 생성된 시그너쳐는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와 비교된다. 새롭게 생성된 시그너쳐가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와 정확하게 동일하면, 생성된 위치 확률은 1일 것이고, 따라서 새롭게 검출된 위치가 이전에 검출된 위치와 동일한 것을 표시한다. 새롭게 생성된 시그너쳐와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 사이의 편차는 생성된 위치 확률을 감소시킬 것이고, 따라서 새롭게 검출된 위치가 이전에 검출된 위치와 동일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확률을 생성하기 위해 2개의 시그너쳐를 비교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사한 파라미터 신호들 사이에 비교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가, 이전에 검출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함수 및 이전에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제2 함수인 것으로 하고, 새롭게 검출된 시그너쳐가, 새롭게 검출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함수 및 새롭게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제2 함수인 것으로 한다. 비교는, 이전에 검출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함수와 새롭게 검출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함수의 비교 및 이전에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제2 함수와 새롭게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제2 함수의 비교를 포함한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통신 라인(558)을 통해 식별 구성요소(520)에 위치 확률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로 복귀하면, 이어서 생성된 위치 확률이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710). 예를 들어, 식별 구성요소(520)는 저장되어 있는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Tp)를 가질 수도 있다. 확률 임계치(Tp)는 검출된 파라미터의 허용 가능한 편차를 고려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차량은 고유의 자기적 시그너쳐, 열적 시그너쳐 및 음향적 시그너쳐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공개(public) 라이브러리의 자기적 시그너쳐, 열적 시그너쳐 및 음향적 시그너쳐에 비교할 때, 모든 차량의 자기적 시그너쳐, 열적 시그너쳐 및 음향적 시그너쳐는 다소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들 유사성은 확률 임계치(Tp)를 설정할 때 고려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확률 임계치(Tp)가 1로 설정되면, 이는 새롭게 생성된 시그너쳐가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에 정확하게 동일할 경우에만 부합될 것이고, 따라서 새롭게 검출된 위치가 이전에 검출된 위치와 동일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이 임계치는 센서가 정확한 파라미터를 검출하지 않으면 부합되지 않을 것이고, 이는 실세계 시나리오를 일반적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확률 임계치(Tp)가 감소하면, 이는 검출된 파라미터의 편차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확률 임계치(Tp)가 더 감소하면, 위치들, 예컨대 모든 차량의 등급 편차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식별 구성요소(520)는 비교 구성요소(518)에 의해 생성된 위치 확률(Lp)이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Tp)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 식별 구성요소(520)는 비교결과 또는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모드의 확률을 생성하는 확률 평가 구성요소이다.
도 7로 복귀하면, 생성된 위치 확률이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면(S710에서 Y), 디바이스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된다(S712). 예를 들어, 디바이스(502)를 휴대한 사람이 차량(102) 내에서 운전중이고, 차량(102)에 대한 시그너쳐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식별 구성요소(520)가 새롭게 검출된 시그너쳐가 차량(102)에 대해 미리 저장된 시그너쳐에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한 상황을 고려한다. 이러한 경우에, 식별 구성요소(520)는 통신 라인(538)을 통해, 디바이스(502)가 특정 모드에서 동작해야 한다고 제어 구성요소(528)에 명령한다. 설명의 목적으로, 본 예에서, 특정 모드는 제1 모드인 것으로 하고, 여기서 제1 모드는 차량 모드이다. 또한, 설명의 목적으로, 차량 모드는 문자 메시지 작성과 같은, 디바이스(520)의 사전 결정된 기능이 디스에이블될 수도 있는 모드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디바이스의 임의의 타입의 모드의 동작을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특정 모드는 특정 위치와 연계될 수도 있고, 디바이스의 기능성은 특정 위치의 양태에 따라 변경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 모드"는, 디바이스(502)가 무음이고 단지 진동 경보만을 갖도록 디바이스의 기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로 복귀하면, 일단 디바이스가 제1 모드에서 동작되면(S712), 프로세스는 반복되고 제1 파라미터가 재차 검출된다(S704).
생성된 위치 확률이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면(S710에서 N), 추가 파라미터가 검출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714). 예를 들어, 도 6으로 복귀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든 파라미터가 동시에 검출되고,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 몇몇 파라미터는 상이한 시간에 검출된다.
초기에 생성된 위치 확률이,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자기장에 그리고 검출 구성요소(60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사운드에만 기초하는 상황을 고려한다. 또한, 설명의 목적으로, 생성된 위치 확률이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더 많은 파라미터가 검출되었으면, 이들 파라미터는 새로운 위치를 더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로 복귀하면, 추가 파라미터가 검출되어야 한다면(S714에서 Y), 추가 파라미터가 검출된다(S716). 예를 들어, 제어 구성요소(528)는 또한, 검출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를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제공하도록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522)에 명령할 수도 있다.
도 7로 복귀하면, 추가 파라미터가 검출된(S716) 후에, 위치 확률이 업데이트된다(S718). 예를 들어, 새로운 시그너쳐가 도 4의 방법(400)에서 전술된 방식(S408)과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예를 들어 도 4의 방법(400)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504)로부터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를 검색하도록 그리고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를 비교 구성요소(518)에 제공하도록 액세스 구성요소(516)에 명령할 수도 있다.
제어 구성요소(528)는 이어서 새로운 위치가 이전의 위치인 확률을 표시하는 업데이트된 확률(Lpu)을 생성하도록 비교기에 명령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새롭게 생성된 시그너쳐는 이전에 저장된 시그너쳐와 비교된다. 이 경우에도, 이러한 확률을 생성하기 위해 2개의 시그너쳐를 비교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교는 유사한 파라미터 신호들 사이에 행해진다. 설명의 목적으로, 이전에 생성된 위치 확률(Lp)은,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자기장 및 검출 구성요소(60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사운드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이제, 업데이트된 생성된 위치 확률(Lpu)은, 1) 필드 검출 구성요소(51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자기장; 2) 검출 구성요소(602)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사운드; 3) 검출 구성요소(604)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3차원의 속도; 4) 검출 구성요소(606)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진동; 및 5) 검출 구성요소(608)에 의해 검출되는 것인 새롭게 검출된 측지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비교는, 이전에 검출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함수와 새롭게 검출된 자기장에 대응하는 함수의 비교 및 이전에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제2 함수와 새롭게 검출된 사운드에 대응하는 제2 함수의 비교를 포함힌다.
도 7로 복귀하면, 위치 확률이 업데이트된(S717) 후에, 생성된 위치 확률이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가 재차 결정된다(S710). 전술된 예를 계속하면, 이제 다수의 더 많은 파라미터가 비교시에 고려되었고, 이제 Lpu인 업데이트된 위치 확률(Lp)은 확률 임계치(Tp) 이상이다. 예를 들어, 단지 2개의 파라미터 사이의 이전의 비교는 비교적 낮은 확률을 제공하였지만, 추가 파라미터는 확률을 상당히 상승시켰다. 예를 들어, 검출된 자기장 및 검출된 사운드가, 미리 저장된 자기장 및 미리 저장된 위치, 예를 들어 특정 주행하는 차량과 연계된 사운드에 충분히 상이한 경우를 고려한다. 그러나, 이제 예를 들어 속도, 진동 및 측지 위치의 변화와 같은 더 많은 파라미터가 고려되고, 현재 위치는 사실 이전에 저장된 위치, 예를 들어 주행하는 차량과 동일할 가능성이 높을 수도 있다.
도 7로 복귀하면, 추가 파라미터가 검출되지 않았으면(S714에서 N), 디바이스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되지 않는다(S716). 설명의 목적으로, 이전에 결정된 위치가 차량이고 디바이스(502)가 차량 내에 있을 때 차량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위치 확률(Lp)이 최종적으로 사전 결정된 확률 임계치(Tp)보다 낮으면, 현재 위치는 미리 결정된 위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502)는 미리 결정된 위치와 연계된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예에서, 디바이스(502)는 차량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도 7로 복귀하면, 이어서 현재 동작 모드가 제1 모드로 스위칭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722). 예를 들어, 도 5로 복귀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502)를 특정 모드로 동작하기를 원하지만, 디바이스(502)가 현재 이러한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는 상황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상황에서, 사용자는 디바이스(502)의 동작 모드를 수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구성요소(514)의 GUI는 통신 모드(532)를 통해 제어 구성요소(528)에 특정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7로 복귀하면, 현재 동작 모드가 제1 모드로 스위칭되어 있다고 결정되면(S722에서 Y), 디바이스는 제1 모드에서 동작된다(S712).
한편, 모드가 스위칭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S722에서 N), 디바이스가 턴오프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724). 예를 들어, 도 5로 복귀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502)를 턴오프하고 또는 디바이스(502)가 방전되어 있는 상황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가 턴오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S724에서 N), 프로세스는 반복되고 제1 파라미터가 재차 검출된다(S704). 한편, 디바이스가 턴오프되어 있다고 결정되면(S724에서 Y), 방법(700)이 정지한다(S726).
이 시점에서, 방법(300)이 정지한다(S318).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그와 연계된 필드를 사용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일단 식별되면, 다른 기능이 이용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가 스마트폰 내에 내장되어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 이러한 예에서, 일단 위치(예를 들어, 차량, 집, 사무실 빌딩 등)가 식별되면, 스마트폰은 일련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개시하고(institute)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턴오프할 수도 있다.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의 식별은 스마트폰을 "차량 모드"에 두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스마트폰은 차량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특정 방식으로 동작할 것이다.
전술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센서 및 기능성은 차량 텔레매틱스의 공지된 차량 기반 기술을 보충하거나 심지어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대 스마트폰 통신(양 전화기가 차량 모드에 있을 때), 스마트폰 대 인프라구조 통신 및 인프라구조 대 스마트폰 통신(이 경우에도, 스마트폰이 차량 모드에 있을 때)은 광범위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및 특징을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차량 운전자(그 운전자가 이미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또는 차량 제조업자(차량의 구매자에게 스마트폰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또한 차량 내에 고가의 차량 텔레매틱스 장비를 내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에 대해 추가 비용을 거의 또는 전혀 야기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은 이 경우에도 그 스마트폰이 차량 모드에 있는지를 "알아야" 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고 그 스마트폰이 무슨 차량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상적으로, 다양한 용례에서,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사용자가 소유한 차량 내에 있는지를 반드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스마트폰이, 검출된 자기장, 전기장, 전자기장 및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차량 모드에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에서 감지된 전자기 레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그 자기력계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은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차량의 전자기 시그너쳐를 갖는 스마트폰에 의해 감지된 주기적인 전자기 레벨을 맵핑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그 처리 기능을 사용한다. 스마트폰에 의해 감지된 주기적인 전자기 레벨이 라이브러리 내에 저장된 특정 차량 시그너쳐들 중 임의의 것에 일치하면, 스마트폰의 프로세서는 스마트폰이 특정 차량 내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하고/하거나 이 신호를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는데, 이 신호는 이어서 특정 기능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차량 모드 검출 방법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차량 모드 관련 센서 세트는 예를 들어, 최대 초당 다수회, 검출된 속도 및 위치에 따른 간격에서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자기 메트릭 센서 출력은 이것이 차량 환경 내의 전화기 또는 차량 자체의 이동을 표시할 것이기 때문에 가속도계 출력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도면 및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고,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이들은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 일반적이고 설명의 개념으로서만 사용되었고, 본 발명의 범주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설명되어 있다.

Claims (15)

  1.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signature)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액세스하도록 동작 가능한 액세싱 구성요소;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제4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3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4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
    비교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비교 구성요소; 및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식별하도록 동작 가능한 식별 구성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구성요소는 상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와 상기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는, 상기 제3 파라미터로서, 측지 위치(geodetic location), 사운드, 시간, 가속도, 속도, 온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검출하도록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통신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모드의 확률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확률 평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는, 생성된 확률이 사전 결정된 양을 초과할 때 제5 파라미터를 검출하도록 또한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
  6.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액세싱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액세스하는 단계;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제4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검출된 제3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4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생성하는 단계;
    비교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와 상기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식별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파라미터로서, 측지 위치, 사운드, 시간, 가속도, 속도, 온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통신 구성요소를 통해,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확률 평가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모드의 확률을 생성하는 단계, 및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확률이 사전 결정된 양을 초과할 때 제5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유형의(non-transitory tangible)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1 파라미터 및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액세싱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에 액세스하는 단계;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제4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검출된 제3 파라미터 및 검출된 제4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를 생성하는 단계;
    비교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와 상기 제2 검출 파라미터 시그너쳐의 비교에 기초하여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식별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가 시간 기간에 따른 함수로서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가 상기 제3 파라미터로서, 측지 위치, 사운드, 시간, 가속도, 속도, 온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통신 구성요소를 통해,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것이 가능하고,
    확률 평가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모드의 확률을 생성하는 단계, 및
    파라미터 검출 구성요소를 통해, 생성된 확률이 사전 결정된 양을 초과할 때 제5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상기 컴퓨터에 명령하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57019401A 2012-12-21 2013-12-19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40831P 2012-12-21 2012-12-21
US201261740814P 2012-12-21 2012-12-21
US201261740851P 2012-12-21 2012-12-21
US61/740,831 2012-12-21
US61/740,851 2012-12-21
US61/740,814 2012-12-21
US201261745677P 2012-12-24 2012-12-24
US61/745,677 2012-12-24
US14/072,231 2013-11-05
US14/072,231 US9333946B2 (en) 2012-12-21 2013-11-05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ehicle by utilizing detected magnetic field
US14/095,156 US20140179348A1 (en) 2012-12-21 2013-12-03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smartphone is in vehicle
US14/095,156 2013-12-03
PCT/US2013/076426 WO2014100356A1 (en) 2012-12-21 2013-12-19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a smartphone is in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767A true KR20150100767A (ko) 2015-09-02
KR101774128B1 KR101774128B1 (ko) 2017-09-01

Family

ID=5097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401A KR101774128B1 (ko) 2012-12-21 2013-12-19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79348A1 (ko)
EP (1) EP2934955A1 (ko)
KR (1) KR101774128B1 (ko)
CN (1) CN105073514B (ko)
AU (1) AU2013361342B2 (ko)
BR (1) BR112015014818A2 (ko)
WO (1) WO20141003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090A1 (ko) * 2016-08-01 2018-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탑승 인식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9952B2 (en) 2012-12-21 2015-03-24 Apio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crash
US10062285B2 (en) 2012-12-21 2018-08-28 Sfara,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rtphone communication during vehicle mode
US9333946B2 (en) 2012-12-21 2016-05-10 Apio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ehicle by utilizing detected magnetic field
US11350237B2 (en) 2012-12-21 2022-05-31 Sfar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martphone location
KR102070224B1 (ko) * 2013-04-29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설정 변경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10314733A1 (en) * 2013-12-03 2021-10-07 Sfar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smartphone is in vehicle
US9444929B2 (en) * 2014-07-07 2016-09-13 Location Labs, Inc. Mobile device usage activity reporting system and method
US9749458B2 (en) 2014-08-11 2017-08-29 Location Labs, Inc. Driving without distraction support system
US10750322B2 (en) * 2016-01-20 2020-08-18 Livio, Inc. Mobile device resident vehicle zone tracking
DE102016111707B4 (de) * 2016-06-27 2019-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m Erfassen einer Relativposition eines mobilen Endgeräts in Bezug auf ein Fahrzeug
KR20180036495A (ko) 2016-09-30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내에서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장치.
EP3486123A1 (en) * 2017-11-16 2019-05-22 Sfar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crash
US11180158B1 (en) * 2018-07-31 2021-11-2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Routing or driving systems and methods based on sleep pattern information
KR20210016807A (ko) 2019-08-05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움직임을 이용한 차량 내 위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615B2 (en) * 2003-03-26 2008-04-01 Fujitsu Ten Limited Vehicle anti theft system, vehicle anti thef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40257208A1 (en) * 2003-06-18 2004-12-23 Szuchao Huang Remotely controllable and configurable vehicle security system
US7286047B2 (en) * 2004-10-07 2007-10-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elematics system diagnostics logic analyzer
DE102006037156A1 (de) * 2006-03-22 2007-09-27 Volkswagen Ag Interaktive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interaktiven Bedienvorrichtung
US8115656B2 (en) * 2008-02-25 2012-02-14 Recovery Systems Holdings, Llc Vehicle security and monitoring system
US8115609B2 (en) * 2008-07-22 2012-02-14 Nissaf Ketari Multi function bluetooth apparatus
CN102050083A (zh) * 2009-10-27 2011-05-11 沈阳晨讯希姆通科技有限公司 车载防盗装置及其使用方法
CN201590159U (zh) * 2010-01-25 2010-09-22 陈卫国 车载警察监督管理系统
US8841881B2 (en) * 2010-06-02 2014-09-23 Bryan Marc Failing Energy transfer with vehicles
US20150011249A1 (en) * 2011-04-27 2015-01-08 Google Inc. Mobile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wi-fi signals
PL398136A1 (pl) * 2012-02-17 2013-08-19 Binartech Spólka Jawna Aksamit Sposób wykrywania kontekstu urzadzenia przenosnego i urzadzenie przenosne z modulem wykrywania kontekstu
US9691115B2 (en) * 2012-06-21 2017-06-27 Cellepathy Inc. Context determination using access points in transportation and other scenarios
AU2013279017A1 (en) * 2012-06-21 2015-02-05 Cellepathy Ltd. Device context determination
US20140274018A1 (en) * 2013-03-15 2014-09-18 Alan Miller Safety enhancing cellphone functionality limit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090A1 (ko) * 2016-08-01 2018-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탑승 인식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1059438B2 (en) 2016-08-01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hicle on-boarding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128B1 (ko) 2017-09-01
WO2014100356A1 (en) 2014-06-26
CN105073514B (zh) 2017-09-22
EP2934955A1 (en) 2015-10-28
BR112015014818A2 (pt) 2017-07-11
AU2013361342B2 (en) 2016-11-03
CN105073514A (zh) 2015-11-18
AU2013361342A1 (en) 2015-07-09
US20140179348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28B1 (ko) 스마트폰이 차량 내에 있을 때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76010B1 (ko) 스마트폰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302B1 (ko) 검출된 자기장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9899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crash
US100622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phone communication during vehicle mode
US9852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questing emergency call for vehicle accident by using travell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AU2017286467B2 (en) Trip termination determination for on-demand transport
CN108377260B (zh) 展示车辆信息的系统和方法
US11140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roximity based component information provision
KR20100037489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08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phone Communication During Vehicle Mode
EP3483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smartphone is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