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868A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868A
KR20150098868A KR1020140020219A KR20140020219A KR20150098868A KR 20150098868 A KR20150098868 A KR 20150098868A KR 1020140020219 A KR1020140020219 A KR 1020140020219A KR 20140020219 A KR20140020219 A KR 20140020219A KR 20150098868 A KR20150098868 A KR 20150098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air
flow path
main body
de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603B1 (ko
Inventor
노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4002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6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제습기는: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부와, 제습부에 의해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외부공기를 본체로 강제유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부 및 본체의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공기를 냉각시키는 저온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공기의 저온화가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본체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이 설치된다. 즉,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열되어 저온고압으로 변하는 응축기가 본체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우측 상부에 응축기를 거친 냉매가스가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저압으로 변한 상태에서 외부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또한,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설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제습기는 냉매가스가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치면서 외부공기가 제습되는 것으로서, 즉, 순환팬에 의해 강제순환되는 외부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이 결로되어 증발기 표면에 달라붙는다. 또한, 많이 달라 붙으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제습통에 담수되고 또한 외부공기는 제습되는 과정에서 냉각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07-0105455호(공개일:2007.10.31)에는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으로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열교환하여 저온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에 의해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로 강제유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의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공기를 냉각시키는 저온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화부는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열교환블록 및 상기 열교환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연통구를 지나는 토출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연통구와 나란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는 외부공기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연통구와 나란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는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되는 물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블럭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화부는 상기 본체의 토출구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홀부에는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토출공기가 상기 유입홀부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토출구를 통해 고온으로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열교환하여 저온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화부가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착탈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본체(110), 제습부(120), 송풍부(130) 및 저온화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내부에 제습부(120)와 송풍부(130)가 구비되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제습부(120)에서 발생되는 물이 저장되도록 물받이부(115)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송풍부(130)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습기(100)에 의해 제습된 후 토출되는 토출구(114)가 구비된다.
제습부(120)는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122), 응축기(124), 및 응축기(124)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응축기(124)와 상호 열교환되며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126)를 포함한다. 즉, 제습부(120)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 외부공기를 제습하는 것이다.
송풍부(130)는 제습부(120)에 의해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외부공기를 본체(110)로 강제유입하여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응축기(124), 증발기(126)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다.
저온화부(140)는 본체(110)의 토출구(114)에 구비되어 토출공기를 냉각시킨다. 저온화부(140)는 토출구(114)에 구비되어 토출구(114)와 연통되는 연통구(143)가 형성되는 열교환블럭(142) 및 열교환블럭(142)에 형성되어 연통구(143)를 지나는 토출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144)를 포함한다.
이때, 열교환블럭(142)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유로(144)는 연통구(143)와 나란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유로(144)에는 외부공기가 통과된다. 즉, 열교환블럭(142)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4)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는 연통구(1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러한 토출공기는 연통구(143)를 지날 때 유로(144)를 지나는 외부공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저온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블럭(142)은 토출구(114)로부터 착탈부(150)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착탈부(15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52) 및 걸림돌기(152)에 결속되도록 열교환블럭(142)에 구비되는 걸쇠(154)를 포함한다. 열교환블럭(142)은 토출구(114)로부터 착탈 가능하므로 제습기(100)는 열교환블럭(142)의 착탈여부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제1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온화부(240)는 열교환블럭(242)와 열교환블럭에 형성되는 유로(244)로 이루어지는데, 열교환블럭(242)의 유로(244)는 연통구(243)와 나란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유로(244)에는 제습부(120)에서 발생되는 물이 순환된다.
제습부(120)의 제습에 의해 발생되는 물은 물받이부(115)에 저장되게 되는데, 물받이부(115)의 물을 순환펌프(245)에 의해 유로(244)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토출구(114)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토출공기는 물과 열교환되어 저온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저온화부의 제2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온화부(340)는 본체(110)의 토출구(114)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부(342)를 포함한다.
제습된 토출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14)는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유입홀부(342)는 본체(110)의 상단 둘레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유입홀부(34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고온의 토출공기와 열교환되어 토출공기를 저온화시킨다.
그리고, 유입홀부(342)에는 제습부(120)에 의해 제습된 토출공기가 유입홀부(34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344)가 구비된다. 가이드(344)는 유입홀부(342)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토출공기를 토출구(114)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를 작동시키면,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를 거치면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제습부(120)에 의해 제습된다. 제습부(120)에 의한 제습을 살펴보면,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증발기(126)에서 결로되어 물이 생성되고, 증발기에서 물이 생성되어 낙하되면, 물은 물받이부(115)에 저장되게 된다. 증발기(126)를 거친 외부공기는 응축기(124)를 통과하여 일정 온도가 상승되고,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된다.
이처럼 토출구(114)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는 고온이므로 피부가 약한 어린아이들의 화상 및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저온화부(140)에 의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토출구(114)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는 열교환블럭(142)의 연통구(14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되는데, 연통구(143)를 통과할 때,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로(144)와 열교환되어 저온화되어 외부로 토출된다. 이로 인해 기존보다 낮은 저온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저온화부(140)는 토출구(11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빨래건조 시에는 저온화부(14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저온화부(240)의 제1변경예로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블럭(242)의 유로(244)에 물이 순환되어 토출공기와 열교환되어 저온화할 수도 있다. 물은 제습부(120)에 의해 발생된 물이 물받이부(115)에 저장되고, 물받이부(115)의 물을 순환펌프(245)에 의해 순환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저온화부(340)의 제2변형예로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토출구(114)와 인접하게 본체(110)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입홀부(3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홀부(342)를 통해 외부공기가 투입되어 토출공기와 열교환됨으로써, 기존보다 낮은 저온 공기 토출이 가능하다. 이때, 토출공기는 가이드(344)부에 의해 유입홀부(342)로 방출되지 않고, 토출구(114)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의하면, 토출구를 통해 고온으로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열교환하여 저온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저온화부가 본체의 토출구로부터 착탈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습기 110 : 본체
112 : 유입구 114 : 토출구
115 : 물받이부 120 : 제습부
122 : 압축기 124 : 응축기
126 : 증발기 130 : 송풍부
140 : 저온화부 142 : 열교환블럭
143 : 연통구 144 : 유로
150 : 착탈부 152 : 걸림돌기
154 : 걸쇠 240 : 저온화부
242 : 열교환블럭 243 : 연통구
244 : 유로 245 : 순환펌프
340 : 저온화부 342 : 유입홀부
344 : 가이드

Claims (7)

  1.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에 의해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외부공기를 상기 본체로 강제유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의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공기를 냉각시키는 저온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화부는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연통구가 형성되는 열교환블록; 및
    상기 열교환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연통구를 지나는 토출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연통구와 나란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는 외부공기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연통구와 나란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로에는 상기 제습부에서 발생되는 물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블럭은 상기 토출구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화부는 상기 본체의 토출구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부에는 상기 제습부에 의해 제습된 토출공기가 상기 유입홀부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140020219A 2014-02-21 2014-02-21 제습기 KR10163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19A KR101639603B1 (ko) 2014-02-21 2014-02-21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19A KR101639603B1 (ko) 2014-02-21 2014-02-21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68A true KR20150098868A (ko) 2015-08-31
KR101639603B1 KR101639603B1 (ko) 2016-07-22

Family

ID=5406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219A KR101639603B1 (ko) 2014-02-21 2014-02-21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6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933U (ko) * 1986-08-25 1988-03-07
KR20040008712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30071012A (ko) * 2011-12-20 2013-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공조 장치
KR20140019163A (ko) * 2012-08-06 2014-0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933U (ko) * 1986-08-25 1988-03-07
KR20040008712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30071012A (ko) * 2011-12-20 2013-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공조 장치
KR20140019163A (ko) * 2012-08-06 2014-02-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603B1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4377B (zh) Dehumidifier
CN105986446B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TW200720506A (en) Clothes dryer
US10968560B2 (en) Dryer
JP2009228953A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装置
JP6337272B2 (ja) 除湿装置
US20210010195A1 (en) Tumble dryer
JP2010131262A (ja) 衣類乾燥機
JP5995554B2 (ja) 乾燥機
KR101639603B1 (ko) 제습기
KR101773894B1 (ko) 사계절용 옷장
KR20200009768A (ko)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KR102378368B1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150094341A (ko) 제습기
KR101582399B1 (ko) 제습기
KR20130055952A (ko) 히트펌프와 냉각수단을 이용한 일체형 건조 시스템 및 그 건조 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
JP6244544B2 (ja) 衣類乾燥装置
CN209438336U (zh) 一种除湿器
JP6251884B2 (ja) 除湿装置
KR101513177B1 (ko) 농수산물용 제습 건조기
RU2633977C1 (ru) Лесосушильная конденсационная камера
KR20100051241A (ko) 농,축,수산물용 냉동 및 제습 병행 건조기
KR20060081074A (ko) 고추 건조장치
JP2016064057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