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768A -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768A
KR20200009768A KR1020180084592A KR20180084592A KR20200009768A KR 20200009768 A KR20200009768 A KR 20200009768A KR 1020180084592 A KR1020180084592 A KR 1020180084592A KR 20180084592 A KR20180084592 A KR 20180084592A KR 20200009768 A KR20200009768 A KR 2020000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amper
hot air
ai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환
장성혁
Original Assignee
(주) 에너지 2000
장성혁
장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너지 2000, 장성혁, 장성환 filed Critical (주) 에너지 2000
Priority to KR102018008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768A/ko
Publication of KR2020000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건조될 식품이 배치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실에 냉풍 및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히트펌프가 배치되는 히트펌프실; 상기 히트펌프실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히트펌프실 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모듈; 및 상기 건조실의 온도에 따라 상기 댐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기와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을 나눠 냉풍 및 열풍건조 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Cold and Hot Air Drying System }
본 발명은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냉풍과 열풍을 모두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히트 펌프 사이클을 이용한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건조기 내부에 열풍을 송풍하는 방식과 열풍과 함께 증발기의 결로수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냉풍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열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건조실 내부에 설치한 히트펌프 응축기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열풍을 송풍하는데, 이 때 높은 열로 건조물에서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발생된 습기는 주기적으로 문을 개방하여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거나 별도의 외부 공기 치환 통로로 외부 공기와 교환시켜줘야 한다.
그리고, 건조기 외부에는 증발기가 설치되어 열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냉풍 건조를 위해서는 건조실 내부에 응축기와 증발기를 동시에 설치하여 증발기의 결로수로 수분을 제거하는데, 이때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에 별도의 응축기를 설치해 외부에서 열을 배출하여 건조실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 냉매를 외부 응축기로 전환하는 별도의 밸브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은 건조물에 따라 건조 조건이 다른 현실에서 열풍을 사용하는 건조물과 냉풍을 사용하는 건조물을 같은 건조기에서 건조할 수 없어 이용 효율이 떨어지고, 냉풍건조기의 경우 초기 가열을 위하여 별도의 히터와 외부 응축기 및 전환 밸브, 그리고 추가 냉매 사용 등으로 기계 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고장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의 사용량이 많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6978호 (2015.07.09) "식품건조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319145호 (2013.10.10)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펌프 하나의 장치로 냉풍 및 열풍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은, 내부에 건조될 식품이 배치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실에 냉풍 및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히트펌프가 배치되는 히트펌프실; 상기 히트펌프실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히트펌프실 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모듈; 및 상기 건조실의 온도에 따라 상기 댐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히트펌프실은, 증발기가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여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실; 응축기가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실; 및 압축기가 배치되는 압축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실은, 상기 냉풍공급실 및 상기 열풍공급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냉풍공급실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냉풍공급실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냉풍공급실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풍외기댐퍼; 상기 냉풍공급실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 상기 냉풍공급실을 연통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냉풍내기댐퍼; 상기 열풍공급실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열풍공급실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열풍공급실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풍외기댐퍼; 상기 열풍공급실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 상기 열풍공급실을 연통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열풍내기댐퍼; 및 상기 냉풍공급실 및 상기 열풍공급실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은, 상기 건조실측에 배치된 측벽이 상기 건조실과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풍내기댐퍼는, 상기 냉풍공급실의 상기 압축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압축실과 상기 냉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1냉풍댐퍼; 및 상기 냉풍공급실의 상기 건조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냉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2냉풍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풍내기댐퍼는, 상기 열풍공급실의 상기 압축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압축실과 상기 열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1열풍댐퍼; 및 상기 열풍공급실의 상기 건조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열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2열풍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방식, 온도, 습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설정부; 상기 건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및 상기 사용자설정부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동되고, 상기 순환팬, 상기 냉풍외기댐퍼, 상기 제1냉풍댐퍼, 상기 제2냉풍댐퍼, 상기 열풍외기댐퍼, 상기 제1열풍댐퍼 및 상기 제2열풍댐퍼의 개폐를 제어해 공기를 순환시켜 냉풍 및 열풍을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는 댐퍼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제어부는, 상기 순환팬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냉풍외기댐퍼, 상기 제1냉풍댐퍼, 상기 제2냉풍댐퍼, 상기 열풍외기댐퍼, 상기 제1열풍댐퍼 및 상기 제2열풍댐퍼의 개폐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에 따르면,
첫째, 응축기와 증발기가 배치되는 공간을 나눠 냉풍 및 열풍건조 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냉풍 및 열풍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건조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요구하지 않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히트펌프로 두 가지 건조방식을 수행할 수 있어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히프펌프의 사이클이 기본 사이클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해 고장 빈도를 낮춰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넷째, 댐퍼제어부가 순환팬의 세기 및 댐퍼들의 개폐정도를 제어할 수 있어 건조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어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이 냉풍건조를 수행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이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제어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100)은 건조실(110), 히트펌프실(120), 댐퍼모듈(13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건조실(110)은 내부에 건조될 식품이 배치된다.
히트펌프실(120)은 건조실(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건조실(110)에 냉풍 및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히트펌프가 배치된다.
히트펌프실(120)은 냉풍공급실(121), 열풍공급실(122) 및 압축실(123)을 포함한다.
냉풍공급실(121)은 증발기(10)가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여 냉풍을 공급한다.
열풍공급실(122)는 응축기(20)가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공급한다.
압축실(123)은 압축기(30)가 배치되며, 압축실(123)은 냉풍공급실(121) 및 열풍공급실(12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압축실(123)은 건조실(110)측에 배치된 측벽(123a)이 건조실(110)과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댐퍼모듈(130)은 히트펌프실(120)에 배치되어 건조실(110)과 히트펌프실(120) 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한다.
댐퍼모듈(130)은 냉풍외기댐퍼(131), 냉풍내기댐퍼(132), 열풍외기댐퍼(133), 열풍내기댐퍼(134) 및 순환팬(135, 136)를 포함한다.
냉풍외기댐퍼(131a)는 복수로 구비되어 냉풍공급실(121)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121a) 및 제2측벽(121b)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냉풍공급실(121)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폐쇄되어 냉풍공급실(12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측벽(121a)에 마련된 냉풍외기댐퍼(131)를 제1댐퍼(131a)로, 제2측벽(121b)에 마련된 냉풍외기댐퍼(131)를 제2댐퍼(131b)로 나타내었다.
냉풍내기댐퍼(132)는 냉풍공급실(121)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제3측벽(121c) 및 제4측벽(121d)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건조실(110) 및 압축실(123)과 냉풍공급실(121)을 연통시키거나, 폐쇄되어 건조실(110) 및 압축실과(123)의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냉풍내기댐퍼(132)는 제1냉풍댐퍼(132a)와 제2냉풍댐퍼(132b)를 포함하는데, 제1냉풍댐퍼(132a)는 제3측벽(121c)에 배치되고, 개폐되어 압축실(123)과 냉풍공급실(121)을 연통 및 차단한다.
그리고, 제2냉풍댐퍼(132b)는 제4측벽(121d)에 배치되고, 개폐되어 건조실(110)과 냉풍공급실(121)을 연통 및 차단한다.
열풍외기댐퍼(133)는 복수로 구비되어 열풍공급실(122)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122a) 및 제2측벽(122b)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열풍공급실(122)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폐쇄되어 열풍공급실(122)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측벽(122a)에 마련된 열풍외기댐퍼(133)를 제1댐퍼(133a)로, 제2측벽(122b)에 마련된 열풍외기댐퍼(133)를 제2댐퍼(133b)로 나타내었다.
열풍내기댐퍼(134)는 열풍공급실(122)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제3측벽(122c) 및 제4측벽(122d)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건조실(110) 및 압축실(123)과 열풍공급실(122)을 연통시키거나, 폐쇄되어 건조실(110) 및 압축실(123)과의 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열풍내기댐퍼(134)는 제1열풍댐퍼(134a)와 제2열풍댐퍼(134b)를 포함하는데, 제1열풍댐퍼(134a)는 제3측벽(122c)에 배치되고, 개폐되어 압축실(123)과 열풍공급실(122)을 연통 및 차단한다.
그리고, 제2냉풍댐퍼(134b)는 제4측벽(122d)에 배치되고, 개폐되어 건조실(110)과 열풍공급실(122)을 연통 및 차단한다.
순환팬(135, 136)은 냉풍공급실(121) 및 열풍공급실(122)에 배치되어 건조실(110)로 공기를 순환시킨다.
제어모듈(140)은 건조실(110)의 온도에 따라 댐퍼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40)은 사용자설정부(141), 온습도센서(142) 및 댐퍼제어부(143)를 포함한다.
사용자설정부(14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방식, 온도, 습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온도 및 습도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온습도센서(142)는 건조실(110) 내부에 배치되어 건조실(110)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댐퍼제어부(143)는 사용자설정부(141) 및 온습도센서(142)와 연동되고, 순환팬(135), 냉풍외기댐퍼(131), 제1냉풍댐퍼(132a), 제2냉풍댐퍼(132b), 열풍외기댐퍼(133), 제1열풍댐퍼(134a) 및 제2열풍댐퍼(134b)의 개폐를 제어해 공기를 순환시켜 냉풍 및 열풍을 건조실(110)로 공급한다.
여기서, 댐퍼제어부(143)는 건조실(110)의 온도에 따라 순환팬(135, 136)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고, 냉풍외기댐퍼(131), 제1냉풍댐퍼(132a), 제2냉풍댐퍼(132b), 열풍외기댐퍼(133), 제1열풍댐퍼(134a) 및 제2열풍댐퍼(134b)의 개방정도를 제어할 수 다.
따라서, 순환팬(135, 136)의 세기를 조절하고, 댐퍼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건조실(1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4)는 제어모듈(14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냉풍외기댐퍼(131)인 제1댐퍼(131a)와 제2댐퍼(131b) 중 어느 하나는 역류방지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냉풍내기댐퍼(132)인 제1냉풍댐퍼(132a)와 제2냉풍댐퍼(132b) 중 어느 하나는 역류방지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열풍외기댐퍼(133)인 제1댐퍼(133a)와 제2댐퍼(133b) 중 어느 하나는 역류방지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열풍내기댐퍼(134)인 제1열풍댐퍼(134a)와 제2열풍댐퍼(134b) 중 어느 하나는 역류방지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제어부(143)는 역류방지댐퍼로 구비되지 않은 댐퍼의 개폐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이 냉풍건조를 수행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이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도, 습도 및 작동 시간이 설정되고 냉풍건조방식으로 작동될 경우, 제어모듈(140)의 댐퍼제어부(143)가 응축기(20)가 배치된 열풍공급실(122)의 열풍내기댐퍼(134a, 134b)를 닫고, 열풍외기댐퍼(133a, 133b)를 개방하여 응축기(2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증발기(10)가 배치된 냉풍공급실(121)의 냉풍내기댐퍼(132a, 132b)를 개방하고, 냉풍외기댐퍼(131a, 131b)를 페쇄하여 증발기(20)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이후, 냉풍공급실(121)에 배치된 순환팬(135)을 작동시켜 냉기를 건조실(110)로 순환시키고, 열풍공급실(122)에 배치된 순환팬(136)을 작동시켜 응축기(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냉풍공급실(121)에 배치된 증발기(10)의 냉기를 건조실(110) 내부로 공급하고, 이를 순환시켜 증발기(10)의 결로수 배출과 함께 냉풍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100)은 냉풍건조방식을 이용하여 냉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열풍건조방식으로 작동될 경우, 제어모듈(140)의 댐퍼제어부(143)는 증발기(10)가 배치된 냉풍공급실(121)의 냉풍내기댐퍼(132a, 132b)를 폐쇄하고, 냉풍외기댐퍼(131a, 131b)를 개방하여 증발기(10)의 차가운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하여 건조실(110)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응축기(20)가 배치된 열풍공급실(122)의 열풍내기댐퍼(134a, 134b)를 개방하고, 열풍외기댐퍼(133a, 133b)를 폐쇄하여 응축기(2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건조실(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냉풍공급실(121)에 배치된 순환팬(135)을 작동시켜 증발기(10)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열풍공급실(122)에 배치된 순환팬(136)을 작동시켜 응축기(2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건조실(110)로 순환시킨다.
따라서, 열풍공급실(122)에 배치된 응축기(1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건조실(110) 내부로 공급하고, 이를 순환시켜 열풍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열풍건조가 수행되는 중, 건조실(110)에 배치된 온습도센서(142)에서 측정된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높게 나타나면 순환팬(136)의 세기를 낮추거나, 열풍내기댐퍼(132a, 132b)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열풍의 양을 조절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보다 낮거나 높게 나타나면 댐퍼제어부(143)는 순환팬(135, 136)의 세기를 조절하여 열풍 및 냉풍 순환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건조실 120...히트펌프실
121...냉풍공급실 122...열풍공급실
123...압축실 130....댐퍼모듈
131...냉풍외기댐퍼 132...냉풍내기댐퍼
133...열풍외기댐퍼 134...열풍내기댐퍼
140...제어모듈 141...사용자설정부
142...온습도센서 143...댐퍼제어부

Claims (9)

  1. 내부에 건조될 식품이 배치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실에 냉풍 및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히트펌프가 배치되는 히트펌프실;
    상기 히트펌프실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히트펌프실 간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댐퍼모듈; 및
    상기 건조실의 온도에 따라 상기 댐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실은,
    증발기가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여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실;
    응축기가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실; 및
    압축기가 배치되는 압축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은,
    상기 냉풍공급실 및 상기 열풍공급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모듈은,
    상기 냉풍공급실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냉풍공급실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냉풍공급실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풍외기댐퍼;
    상기 냉풍공급실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 상기 냉풍공급실을 연통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냉풍내기댐퍼;
    상기 열풍공급실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열풍공급실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열풍공급실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풍외기댐퍼;
    상기 열풍공급실의 내부측에 배치되는 측벽에 마련되고, 개방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 상기 열풍공급실을 연통시키거나 폐쇄되어 상기 건조실 및 상기 압축실과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열풍내기댐퍼; 및
    상기 냉풍공급실 및 상기 열풍공급실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은,
    상기 건조실측에 배치된 측벽이 상기 건조실과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내기댐퍼는,
    상기 냉풍공급실의 상기 압축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압축실과 상기 냉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1냉풍댐퍼; 및
    상기 냉풍공급실의 상기 건조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냉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2냉풍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내기댐퍼는,
    상기 열풍공급실의 상기 압축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압축실과 상기 열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1열풍댐퍼; 및
    상기 열풍공급실의 상기 건조실측에 배치된 측벽에 마련되고, 개폐되어 상기 건조실과 상기 열풍공급실을 연통 및 차단하는 제2열풍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방식, 온도, 습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사용자설정부;
    상기 건조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실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및
    상기 사용자설정부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동되고, 상기 순환팬, 상기 냉풍외기댐퍼, 상기 제1냉풍댐퍼, 상기 제2냉풍댐퍼, 상기 열풍외기댐퍼, 상기 제1열풍댐퍼 및 상기 제2열풍댐퍼의 개폐를 제어해 공기를 순환시켜 냉풍 및 열풍을 상기 건조실로 공급하는 댐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제어부는,
    상기 순환팬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냉풍외기댐퍼, 상기 제1냉풍댐퍼, 상기 제2냉풍댐퍼, 상기 열풍외기댐퍼, 상기 제1열풍댐퍼 및 상기 제2열풍댐퍼의 개폐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KR1020180084592A 2018-07-20 2018-07-20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KR20200009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92A KR20200009768A (ko) 2018-07-20 2018-07-20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92A KR20200009768A (ko) 2018-07-20 2018-07-20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68A true KR20200009768A (ko) 2020-01-30

Family

ID=6932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92A KR20200009768A (ko) 2018-07-20 2018-07-20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7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87B1 (ko) * 2020-04-27 2021-07-20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히트펌프식 냉열풍건조기 및 건조방법
CN113739557A (zh) * 2021-07-21 2021-12-03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耦合热泵烘干机组及其控制方法
CN114680266A (zh) * 2020-12-31 2022-07-0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热泵与臭氧联合的物料处理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145B1 (ko) 2012-03-13 2013-10-17 강성탁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KR101536978B1 (ko) 2012-07-03 2015-07-16 김주호 식품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145B1 (ko) 2012-03-13 2013-10-17 강성탁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KR101536978B1 (ko) 2012-07-03 2015-07-16 김주호 식품건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87B1 (ko) * 2020-04-27 2021-07-20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히트펌프식 냉열풍건조기 및 건조방법
WO2021221261A1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히트펌프식 냉열풍건조기 및 건조방법
CN114026377A (zh) * 2020-04-27 2022-02-08 空气技术工程有限公司 热泵式冷热风干燥机及干燥方法
CN114680266A (zh) * 2020-12-31 2022-07-0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热泵与臭氧联合的物料处理装置和方法
CN113739557A (zh) * 2021-07-21 2021-12-03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耦合热泵烘干机组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006B1 (ko) 의류 건조 장치
CN101302708B (zh) 衣物干燥机
US201502999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er with a Variable Drum Rotation Speed and a Variable Fan Rotation Speed
KR20200009768A (ko)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JPH07178289A (ja) 衣類乾燥機
US1018420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68616A (ko) 건조 장치
KR101475813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저장 겸용 건조기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KR20180066742A (ko) 의류 건조기
CN101173440A (zh)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干燥机干燥方法
JP2009216357A (ja) 恒温槽
US20210010195A1 (en) Tumble dryer
KR20110019095A (ko) 에너지절약형 대형 의류 건조기
KR100690897B1 (ko) 에어컨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키트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070064194A (ko)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KR101028641B1 (ko) 다기능 농산물 건조장치
KR101128857B1 (ko) 히트펌프식 건조기
KR100565677B1 (ko) 냉동사이클 시스템을 채용한 건조장치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19204A (ko) 증발압력 보상과 과열보상이 가능한 건조 장치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274288B1 (ko) 히트펌프 의류건조기
US20240167215A1 (en) Condenser tumble dryer having a heat pump and a recirculated air portion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KR20050023788A (ko) 냉장고의 온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