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759A -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 - Google Patents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759A
KR20150095759A KR1020157018137A KR20157018137A KR20150095759A KR 20150095759 A KR20150095759 A KR 20150095759A KR 1020157018137 A KR1020157018137 A KR 1020157018137A KR 20157018137 A KR20157018137 A KR 20157018137A KR 20150095759 A KR20150095759 A KR 20150095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mponent
storage container
container
bloo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리 오카모토
세이신 다나카
카스미 오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9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61M1/3698Expressing processed fluid out from the turning rotor using another fluid compressing the treatment chamber; Variable volume r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27Platelets; Thrombocy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oxic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면서 동시에 무균적으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수용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혈액 저장부(2), 혈액의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3), 및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4)를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로서, 혈액 저장부(2)는, 가요성을 가지는 통 형상의 혈액 저장 용기(21), 혈액 저장 용기(21)에 혈액을 도입하는 혈액 도입로(27), 및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혈액의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28)를 가지며, 성분 수용부(3)는,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도출된 혈액의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37), 및 성분 도입로(37)로부터 성분 수용부(3)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성분 수용부(3)에 수용된 혈액의 일부 성분을 혈액 저장 용기(21)를 향해 반송시킬 수 있는 금속바늘(371)을 가지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DEVICE FOR SEPARATING/HOUSING BLOOD COMPON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PLATELET-RICH PLASMA}
본 발명은,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재생 의료 분야에 있어서는, 대상자로부터 채취한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또는 분화시킨 후에 대상자에게 이식함으로써 대상자의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킨다고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줄기세포는 여러 조직이나 기관으로 분화하는 다분화 기능을 가져 재생 의료의 열쇠를 쥔 세포로서 주목되어 있다.
줄기세포의 체외 배양 증식에서는, 배양액에 대하여 혈청을 첨가하면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람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사람 이외의 동물을 유래로 한 혈청을 이용하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로 피해야 하며, 사람 유래, 특히 대상자 본인으로부터 채취한 혈액으로 조제한 혈청을 이용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혈액검사에 비해, 재생 의료 분야에서의 줄기세포의 배양에는 비교적 많은 혈청이 필요하다. 더욱이 사람에 적용할 것을 상정한 혈청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폐쇄계에서 무균적으로 혈청을 분리·수용할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은 먼저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 및 이 혈액 저장부에 무균적인 동시에 기밀(氣密)하게 연결된 성분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저장부는, 가요성을 가지는 통 형상의 혈액 저장 용기를 가지며, 상기 혈액 저장부를 찌부러뜨리듯이 변형시킴으로써, 혈액으로부터 조제된 혈청을 상기 성분 수용부내로 도입시킬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제안하였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다혈소판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은 혈소판을 농축시킨 혈장으로, 증식 인자를 고농도로 함유한다는 점에서 세포 배양뿐만 아니라 외상 치유, 뼈 재생, 미용 분야에서의 페이스 리프트 등의 다양한 의료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혈소판혈장은 의료 분야에도 이용된다는 점에서, 혈청과 마찬가지로 폐쇄계에서 무균적으로 분리·수용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9-50696호 공보
그러나, 다혈소판혈장의 조제 용기로서 다양한 종류의 용기가 존재하나, 전용기기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범용성이나, 무균적인 분리·수용 등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조제 용기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는, 번잡한 공정을 수반하지 않는 혈청 조제를 위해 최적화된 것으로, 혈청 조제에 비해 번잡한 공정을 수반하는 다혈소판혈장 조제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면서 동시에 무균적으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수용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 상기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 및 상기 혈액 저장부와 상기 성분 수용부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튜브를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로서, 상기 혈액 저장부는, 가요성을 가지는 통 형상의 혈액 저장 용기, 상기 혈액 저장 용기에 상기 혈액을 도입하는 혈액 도입로, 및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부터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를 가지며,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부터 도출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 및 상기 성분 도입로로부터 상기 성분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성분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향해 반송(返送)시킬 수 있는 반송관을 가지며, 상기 연결 튜브는, 상기 성분 도출로와 상기 성분 도입로를 연결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 튜브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튜브내에서의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튜브는, 일단측이 상기 혈액 저장부에 접속되는 혈액 저장부측 튜브, 일단측이 상기 성분 수용부에 접속되는 성분 수용부측 튜브, 및 상기 혈액 저장부측 튜브와 상기 성분 수용부측 튜브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도입로에 접속되는 혈액 도입 튜브, 및 상기 혈액 도입 튜브에 설치되어 항응고제를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 도입시키는 항응고제 도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는, 선단측이 상기 혈액 도입로에 접속되는 혈액 도입 튜브, 및 상기 혈액 도입 튜브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혈액 도입 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송관은, 경질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일단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개구에 감합(嵌合) 되어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밀폐시키는 제1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혈액 도입로 및 상기 성분 도출로는, 상기 제1 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수용하며 일단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제1 수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개구는, 상기 제1 캡에 감합되어 밀폐되고,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외측과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내측 사이에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 조정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압력 조정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공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조정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혈액 저장 용기는, 주입된 상기 유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공은, 상기 제1 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수용부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형상의 성분 수용 용기, 상기 성분 수용 용기를 수용하고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형상의 제2 수용 용기, 및 상기 성분 수용 용기의 개구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수용 용기의 개구에 감합되는 제2 캡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성분 수용 용기내로 공기를 출입시키는 통기로를 가지며, 상기 통기로에는 통기 필터를 구비한 통기관이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수용 용기는, 상기 성분 수용 용기의 개구가 설치된 일단과 다른 단부인 저면부에 성분 채취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저장부 및 상기 성분 수용부는 자립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캡은, 상기 제1 캡의 하면이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캡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서서히 지름이 감소하는 축경부(縮徑部)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성분 도출로는, 상기 축경부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축경부에서의 상기 성분 도출로와 상기 축경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캡의 하단측을 향하는 면은, 하방을 향해 볼록해지는 볼록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경부의 높이 방향의 단면은, 원호상의 곡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경부의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경부의 상단부의 각도는, 10°~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으로, 상기 혈액 도입로를 통하여 혈액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 도입하는 혈액 도입 공정, 상기 혈액 도입 공정에서 상기 혈액 저장 용기에 도입된 상기 혈액을,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과 기타 성분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공정, 상기 제1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상기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가압하여 찌부러뜨리듯이 변형시킴으로써 무균적인 동시에 기밀(氣密)하게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하여 상기 성분 수용부로 이송하는 이송 공정, 상기 이송 공정에서 상기 성분 수용부로 이송된 상기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을, 혈장을 포함하는 상층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하층으로 분리하는 제2 분리 공정, 및 상기 제2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상기 상층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형상을 원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하여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 반송하고, 상기 하층에 포함되는 혈소판을 농축시키는 농축 공정을 가지는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면서 동시에 무균적으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수용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하여 다혈소판혈장의 분리 수용을 실시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 있어서의 혈액 도입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에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용기를 원심 홀더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 있어서의 제1 분리 공정에서, 혈액 성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 있어서의 이송 공정에서, 혈액 성분을 성분 수용부로 이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 있어서의 제2 분리 공정에서, 혈액 성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에 있어서의 농축 공정에서, 혈액 성분을 혈액 저장 용기에까지 반송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이용되는 혈액 저장 용기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이용되는 혈액 저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이용되는 혈액 저장 용기의 제1 캡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이용되는 혈액 저장 용기의 제1 캡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의 혈액 저장부와 성분 수용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2), 상기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3), 상기 혈액 저장부(2)와 상기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튜브(4), 및 연결 튜브(4)에 설치되는 차단 수단으로서의 클램프(6)를 구비한다.
여기서 「혈액」이란, 혈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와 액체성분인 혈장(혈청)으로 이루어지는 전혈(全血)을 말한다.
혈액 저장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 용기(21), 혈액 저장 용기(21)를 수용하는 제1 수용 용기(22), 및 혈액 저장 용기(21) 및 제1 수용 용기(22)에 접속되는 제1 캡(23)을 구비한다.
혈액 저장 용기(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고, 측면이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혈액 저장 용기(2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진다.
혈액 저장 용기(21)의 측면은, 혈액 저장 용기(21)내에 저장되는 혈액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투명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합성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혈액 저장 용기(2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로 되어 있고, 제1 캡(23)에 감합되어 밀폐된다. 혈액 저장 용기(21)의 타단인 하단부에는 바텀 캡(210)이 감합되며,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바텀 캡(210)은, 통 형상의 감합부(211)와, 이러한 감합부에 연속하는 저부(底部)(212)를 구비한다. 감합부(211)의 지름 방향의 단면은 원형이고, 그 외경은 혈액 저장 용기(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다. 바텀 캡(210)은, 감합부(211)가 혈액 저장 용기(21)의 하단부에 감합되어 있다. 저부(212)는, 그 지름이 하방을 향해 점차 감소된 후, 저면(底面)이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제1 수용 용기(2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 용기(21)와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고,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혈액 저장 용기(21)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된다. 제1 수용 용기(2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로 되어 있고, 제1 캡(23)에 감합되어 밀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수용 용기(2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에서는, 제1 수용 용기(22)의 지름이 하방을 향해 점차 감소된 후, 저면이 평탄한 원뿔대 형상을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수용 용기(22)는 혈액 저장 용기(21)내에 저장되는 혈액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투명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PET 수지(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경질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서 경질 합성수지란, 후술하는 유체의 주입에 따른 용기의 내부 공간의 압력 변동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합성수지를 말한다.
제1 수용 용기(22)의 상단 근방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사 홈을 가진 커버캡(미도시)을 나사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버캡을 제1 수용 용기(2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제1 캡(23)이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중에 제1 수용 용기(2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캡(23)은 평면형상이 원형이고, 그 직경이 제1 수용 용기(2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도 2 참조). 제1 캡(23)의 일면인 하면에는, 제1 수용 용기(22)에 접속 가능한 제1 접속부(24), 및 제1 접속부(24)의 내측에 배치되어 혈액 저장 용기(21)와 접속 가능한 제2 접속부(25)가 형성된다. 제1 접속부(24) 및 제2 접속부(25)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1 접속부(24)는, 그 외경이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 근방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접속부(25)는, 그 외경이 혈액 저장 용기(2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2 접속부(25)의 외주면에 혈액 저장 용기(21)의 개구 근방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저장 용기(21) 및 이것을 수용하는 제1 수용 용기(22)는, 양자 모두 제1 캡(23)에 감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수용 용기(22)는, 제1 캡(2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된다. 또한 이로 인해, 혈액 저장 용기(21)의 외측과 제1 수용 용기(22)의 내측 사이에는 혈액 저장 용기(21)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 조정 공간(26)이 형성된다.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과 제1 수용 용기(22)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는, 압력 조정 공간(26)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밀폐 부재(미도시)가 개재 배치된다. 이로 인해, 압력 조정 공간(26)의 보다 확실한 밀폐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밀폐 부재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는 환상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밀폐 부재는, 제1 접속부(24)의 외주면에 씌울 수 있는 구성일 수 있고, 소재로는 상기 실리콘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2 접속부(25)의 외주면과 혈액 저장 용기(21)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혈액 저장부(2)에는, 혈액 저장 용기(21)에 혈액을 도입하는 혈액 도입로(27), 및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혈액의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28)가 설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혈액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캡(23)에 설치된다. 혈액 도입로(27) 및 성분 도출로(28)는, 제1 캡(23)에,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설치된다.
제1 캡(23)의 하면에서의 혈액 저장 용기(21)의 내부 공간에 면하는 부분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향을 향해 점차 지름이 감소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그 정상부에 관통공인 성분 도출로(28)가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혈액 저장 용기(21)내에서 분리된 혈액 성분을 성분 수용 용기(31)로 도출시킬 때, 혈액 성분을 낭비 없이 도출할 수 있다.
혈액 도입로(27)에는, 혈액 도입 튜브로서의 채혈 튜브(5)가 접속되고, 대상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 및 혈액 도입로(27)를 거쳐 무균적으로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 용기(21))내에 저장된다. 혈액 도입로(27)와 채혈 튜브(5)는, 제1 캡(23)에서의 혈액 도입로(2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1 돌기부(231)에 채혈 튜브(5)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채혈 튜브(5)에 설치되어, 항응고제를 혈액 저장 용기(21)에 도입하는 항응고제 도입부로서의 혼주(混注) 포트(51)를 구비한다. 혼주 포트(51)로부터 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되는 항응고제로는, 구연산 나트륨, EDTA, 헤파린, ACD(Acid Citrate Dextrose Solution) 등을 들 수 있다. 다혈소판혈장 조제 전, 혹은 조제 중의 혈액에서의 혈소판의 보존성 관점에서, 구연산 나트륨을 항응고제로서 혼주 포트(51)로부터 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저장부(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조정 공간(26)에 유체를 주입 가능한 주입공(29)을 구비한다. 또한 주입공(29)에는, 압력 조정 공간(26)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미도시)이 연결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주입공(29)은, 제1 캡(2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주입공(29)은 제1 캡(23)에 설치된 관통공으로, 제1 캡(23)에서의 제2 접속부(25)의 외측이며 제1 접속부(24)의 내측인 영역에 형성된다.
주입공(29)에는, 유체 주입 튜브(291)의 일단이 접속되고, 유체 주입 튜브(291)의 타단에 주입수단이 접속된다. 주입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공(29)으로부터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 조정 공간(26)이 가압된다. 이때, 압력 조정 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수용 용기(22)는 가요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 용기(21)가 압력 조정 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부러지듯이 변형된다. 또한, 압력 조정 공간(26)이 가압됨으로써 찌부러지듯이 변형된 혈액 저장 용기(21)는, 가압된 압력 조정 공간(26)을 감압함으로써,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클램프(6)에 의한 연결 튜브(4)의 차단이나 차단 해제에 의해서도, 압력 조정 공간(26)과 혈액 저장 용기(21)의 내부 공간에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혈액 저장 용기(21)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혈액 저장 용기(21)를 변형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혈액의 일부 성분을 제1 수용 용기(22)로부터 성분 수용부(3)로 도출하거나, 성분 수용부(3)로부터 제1 수용 용기(22)로 반송시키는 것을 무균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압력 조정 공간(26)에 주입되는 유체는,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고, 물 등의 액체일 수도 있다. 또한 유체로서 겔상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체로서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주입시의 가압에 의해 유체의 체적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성분 수용부(3)로 도출하는 혈액 성분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연결 튜브(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무균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튜브(4)는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로 구성되며, 제1 캡(23)에 형성된 성분 도출로(28)와 후술하는 제2 캡(33)에 형성된 성분 도입로(37)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 튜브(4)와 성분 도출로(28)는, 제1 캡(23)에서의 성분 도출로(2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2 돌기부(232)에 연결 튜브(4)의 일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클램프(6)는, 연결 튜브(4)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혈액의 일부 성분을 제1 수용 용기(22)로부터 성분 수용부(3)로 도출하거나, 성분 수용부(3)로부터 제1 수용 용기(22)로 반송되는 것을 차단한다.
성분 수용부(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분 수용 용기(31), 성분 수용 용기(31)을 수용하는 제2 수용 용기(32), 성분 수용 용기(31) 및 제2 수용 용기(32)에 접합되는 제2 캡(33), 및 제2 캡(33)에 접속되는 반송관으로서의 금속바늘(371)을 구비한다.
성분 수용 용기(31)는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고, 측면이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상술한 혈액 저장 용기(21)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일단인 상단은 개구로 되어 있고, 제2 캡(33)에 접속되어 밀폐된다. 성분 수용 용기(31)는, 성분 수용 용기(31)의 하단에 설치된 성분 채취구(34), 성분 채취구(34)의 하부에 돌출된 원통형의 원통부(341), 및 원통부(341)에 장착된 캡체(342)를 구비한다.
성분 채취구(34)는, 성분 수용 용기(31)의 타단인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 성분 채취구(34)는, 성분 수용 용기(31)에 수용된 혈액 성분을 채취하기 위해 설치된다. 성분 채취구(34)는, 성분 수용 용기(31)의 저면의 일부에, 박막형태의 두께가 얇은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원통부(341)는, 성분 채취구(34)가 형성된 영역에, 성분 수용 용기(3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원통부(341)는, 중공의 원통형이다.
캡체(342)는, 원통부(341)에 부착된다.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수용된 혈액 성분은, 캡체(342)를 떼어낸 다음, 성분 채취구(34)를 주사바늘 등의 천자구(穿刺具)로 파단하여 천자함으로써 채취할 수 있다. 이때, 성분 채취구(34)가 형성된 영역에는 중공의 원통부(34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자구를 확실하게 성분 채취구(34)에 천자할 수 있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저면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을 향해 점차 지름이 감소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정상부에 성분 채취구(3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성분 수용 용기(31)내의 혈액 성분을 채취할 때, 채취하는 혈액 성분을 낭비 없이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제2 수용 용기(32)는, 세로로 긴 원통 형상이고, 그 직경 및 높이 모두 성분 수용 용기(31)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된다. 제2 수용 용기(32)의 일단인 상단도 개구로 되어 있고, 제2 캡(33)에 감합되어 밀폐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2 수용 용기(32)의 타단인 하단부 근방은, 제2 수용 용기(32)의 지름이 하방을 향해 점차 감소한 후, 저면이 편평해지는 원뿔대 형상을 상하 반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수용 용기(32)는 상술한 제1 수용 용기(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그 형상 및 크기도 제1 수용 용기(22)와 동일하다.
제2 수용 용기(32)의 상단 근방에서의 외측면에도 제1 수용 용기(22)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이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사홈을 가지는 커버캡(미도시)을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캡(33)은, 제1 캡(23)과 마찬가지로, 평면 형상이 원형이고, 그 직경이 제2 수용 용기(3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2 캡(33)의 일면인 하면에는, 제2 수용 용기(32)에 접속 가능한 제3 접속부(35), 및 제3 접속부(35)의 내측에 배치되고 성분 수용 용기(31)와 접속 가능한 제4 접속부(36)가 형성된다. 제3 접속부(35) 및 제4 접속부(36)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제3 접속부(35)는, 그 외경이 제2 수용 용기(32)의 개구에서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3 접속부(35)의 외주면에 제2 수용 용기(32)의 개구 근방이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제4 접속부(36)는, 그 외경이 성분 수용 용기(31)의 개구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제4 접속부(36)의 외주면에 성분 수용 용기(31)의 개구 근방이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캡(33)에는 관통공(29a)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 관통공(29a)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성분 수용 용기(31) 및 이를 수용하는 제2 수용 용기(32)는, 양자 모두 제 2 캡(33)에 감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성분 수용 용기(31)는 제2 캡(3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되고, 제2 수용 용기(32)도 제2 캡(33)에 감합됨으로써 밀폐된다.
이상의 제2 캡(33)에는,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도출된 혈액의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37)가 설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성분 도입로(3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캡(33)에,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된다.
제2 캡(33)에서의 성분 도입로(37)의 상면측에는, 연결 튜브(4)가 접속되고,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도출된 혈액의 일부 성분은, 무균적으로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에 수용된다. 성분 도입로(37)와 연결 튜브(4)는, 제2 캡(33)에서의 성분 도입로(37)가 형성된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3 돌기부(331)에 연결 튜브(4)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금속바늘(371)은, 제2 캡(33)에서의 성분 도입로(37)의 하면측에 접속된다. 금속바늘(371)은, 중공형상이다. 금속바늘(371)은, 성분 도입로(37)로부터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금속바늘(371)은, 성분 수용부(3)에 수용된 혈액의 일부 성분을 혈액 저장 용기(21)를 향해 반송할 수 있다.
금속바늘(371)은, 성분 도입로(37)의 제2 캡(33)의 하면측의 단부로부터 성분 수용부(3)의 저면을 향해 돌출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분 수용 용기(31)의 내부 공간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까지 연장된다. 금속바늘(371)은, 찌부러지듯이 변형된 혈액 저장 용기(21)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때에는,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에 수용된 혈액의 일부 성분을 흡인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로 반송한다.
성분 수용부(3)에는,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통기로(38)가 설치되고, 통기로(38)에는, 통기 필터(71)를 구비한 통기 튜브(7)가 더 연결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통기로(38)는, 제2 캡(33)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통기로(38)는 제2 캡(33)에 설치된 관통공으로, 제2 캡(33)에서의 제4 접속부(36)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통기로(38)에는 통기 튜브(7)의 일단이 접속되고, 통기 튜브(7)의 타단에는 통기 필터(71)가 접속된다. 통기 필터(71)란, 기체는 통과시키나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으며, 또한 세균 등도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필터이다. 즉, 통기 필터(71)가 연결된 통기로(38)로부터는, 성분 수용 용기(31)내에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통기로(38)와 통기 튜브(7)는, 제2 캡(33)에서의 통기로(3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4 돌기부(332)에 통기 튜브(7)의 단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서는,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 용기(21)), 연결 튜브(4), 및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가 무균적으로 연결되어, 혈액 저장 용기(21), 연결 튜브(4), 및 성분 수용 용기(31) 각각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도 무균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통기로(38)로부터 무균적으로 공기를 출입시킴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혈액 저장 용기(21), 연결 튜브(4), 및 성분 수용 용기(31) 각각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무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서의 각 구성 부재의 바람직한 크기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혈액 저장 용기(21)의 혈액 수용량은, 바람직하게는 5~200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ml이다. 혈액 저장 용기(21)는, 구체적으로는 그 내경이 바람직하게는 10~30mm이고,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150mm이다.
성분 수용 용기(31)의 혈액 성분의 수용량은, 혈액 저장 용기(21)에 수용된 혈액에서 분리된 액성 성분을 확실하게 수용한다는 관점에서, 혈액 저장 용기(21)의 혈액 수용량의 4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는, 각각 혈액 저장 용기(21) 및 성분 수용 용기(3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 특별히 그 크기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이 10~30mm이고, 그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150mm이다.
또한,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혈액성분 분리 조작에 있어서의 원심분리 공정에서, 당해 원심분리관을 사용 가능한 통상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쉽게 분리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수용 용기(22) 및 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하는 경우, 원심분리관의 용량은 원심분리 공정에서의 범용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50ml의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를 이용한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 수용 조작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5개의 공정(S1~S5)으로 구성된다.
먼저, 혈액 도입 공정(S1)에서는, 혈액 도입로(27)를 통하여 혈액을 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한다.
혈액 도입 공정(S1)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혈바늘(80)을 대상자(환자)에게 찔러 혈액을 채취한다. 이때, 채혈바늘(80)로부터 채취된 혈액은, 채혈 튜브(5)를 통하여,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 용기(21)) 내에 저장된다(도 4 참조). 채혈시에는, 성분 수용부(3)에 설치된 통기 튜브(7)의 선단에 위치하는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이것에 연통되는 혈액 저장 용기(21)내에 음압을 부하하여, 혈액 저장부(2)로의 혈액의 도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채혈 튜브(5)에는, 채혈중의 혈액이 대상자에게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밸브(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혈액 도입 공정(S1)은, 채혈시의 환자의 컨디션 등을 고려하여 소요량을 채취하고 종료된다. 여기서 말하는 소요량이란, 환자의 체격이나 컨디션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15~20ml 정도이다. 또한 혈액 도입 공정(S1) 후에는, 혈액 저장부(2)에 채취된 혈액이 성분 수용부(3) 쪽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연결 튜브(4)의 경로가 클램프(6)에 의해 폐쇄된다(도 4 참조).
채혈 후, 대상자(환자)로부터 채혈바늘(80)을 빼고, 채혈바늘(80)과 혈액 저장부(2)를 연결하고 있는 채혈 튜브(5)의 일부를 용단(溶斷)하는 동시에 그 용단끝을 용착한다. 채혈 튜브(5)의 용단을 위해 소위 실러라고 하는 용단기(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채혈 전에, 혼주 포트(51)로부터 항응고제를 혈액 저장 용기(21)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혈 전에, 혼주 포트(51)로부터 항응고제가 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되어 혈액과 항응고제가 혼합됨으로써, 다혈소판혈장 조제 중에 혈액(혈액 성분)이 쉽게 응고되지 않게 된다. 또한, 채혈과 병행하여 또는 채혈 후에 혼주 포트(51)로부터 항응고제를 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할 수도 있다.
제1 분리 공정(S2)에서는, 혈액 도입 공정(S1)에서 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된 혈액을,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과 기타 성분으로 분리한다.
채혈 대상자로부터 분리된 혈액 저장부(2)는, 성분 수용부(3), 연결 튜브(4) 및 통기 튜브(7) 등과 함께 원심분리기에 장착된다. 이때, 혈액 저장부(2)(제1 수용 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원심분리기에 이용되는 원심 홀더(110)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원심분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튜브(4)는, 클램프(6)에 의해 경로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혈액 저장부(2)에 대한 원심분리의 조건은, 저장된 혈액의 양 및 분리하는 성분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900g×10min, 실온(20℃~30℃)으로 설정된다.
원심분리된 혈액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 용기(21)) 내에서는, 크게 나누어 혈장층(81), 주로 백혈구 및 혈소판을 함유하는 버피코트층(82), 적혈구층(83)의 3개의 층으로 분리 분획된다. 도 6에서는, 혈장층(81), 버피코트층(82) 및 적혈구층(83)을 명확하게 구별하였으나, 상기의 원심분리의 조건은 비교적 완만한 조건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들 3개 층의 경계는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다. 제1 분리 공정(S2)에서 분리되는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이란, 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이고, 기타 성분이란 적혈구층(83)이다.
이송 공정(S3)에서는, 제1 분리 공정(S2)에서 분리된,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을, 혈액 저장 용기(21)를 가압함으로써 찌부러지도록 변형시켜 무균적으로 연결 튜브(4)를 통하여 성분 수용부(3)로 이송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공정(S3)에서는, 혈액 저장 용기(21)내에서 분리된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을 성분 수용부(3)의 성분 수용 용기(31)로 도출한다.
혈액 저장 용기(21)내에서 분리된 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을 성분 수용 용기(31)로 도출할 때에는, 먼저 클램프(6)에 의한 연결 튜브(4)의 경로 폐쇄를 해제한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의 혈액 저장 용기(21)와 제1 수용 용기(22) 사이에 형성된 압력 조정 공간(26)에, 주입공(29)으로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 조정 공간(26)을 가압한다.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으로는, 펌프나 시린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유체로는 공기 등의 기체, 물 등의 액체나 겔상의 물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조정 공간(26)의 외측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수용 용기(22)는 비교적 강성을 가지므로,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 용기(21)가 압력 조정 공간(26)의 가압의 영향을 받아 찌부러지듯이 변형되고, 분리된 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이 성분 도출로(28)로부터 연결 튜브(4)를 통하여 도출되어, 성분 도입로(37) 및 금속바늘(371)을 통하여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로 도입된다.
또한 이송 공정(S3)에서는, 상기 압력 조정 공간(26)의 가압과 병행하여, 성분 수용부(3)에 설치된 통기 튜브(7)의 선단에 위치한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통기 필터(71)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여기에 연통되는 연결 튜브(4)내에 음압을 부가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성분 수용 용기(31)로의 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의 도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은, 이송 공정(S3)에서 성분 수용부(3)로 이송된 후에 혼합되어 혼합액(84)이 된다(도 7 참조).
이송 공정(S3)에서,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혈장층(81) 및 버피코트층(82))을 성분 수용부(3)로 이송한 후에는, 다시, 연결 튜브(4)의 경로가 클램프(6)에 의해 폐쇄된다(도 8 참조). 연결 튜브(4)의 경로를 클램프(6)를 이용하여 폐쇄한 후에는, 압력 조정 공간(26)에의 가압을 해제한다. 연결 튜브(4)의 경로가 클램프(6)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압력 조정 공간(26)에의 가압을 해제해도, 혈액 저장 용기(21)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혈액 저장 용기(21)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 단계에서의 성분 수용부(3)로 이송된 혈액 성분의 혈액 저장부(2)측으로의 반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 공정(S3) 후에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은,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에 수용된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에 잠기는 위치에 있다.
제2 분리 공정(S4)에서는, 이송 공정(S3)에서 성분 수용부(3)로 이송된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혼합액(84))을, 혈장을 포함하는 상층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하층으로 분리한다.
제2 분리 공정(S4)에서 성분 수용부(3)는, 혈액 저장부(2), 연결 튜브(4) 및 통기 튜브(7) 등과 함께 원심분리기에 장착된다. 이때, 혈액 저장부(2)(제1 수용 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제2 수용 용기(32))로서 공지된 원심분리관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술한 제1 분리 공정(S2)에서의 원심분리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원심분리기에 이용되는 원심 홀더(110)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원심분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연결 튜브(4)는, 클램프(6)에 의해 경로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8 참조).
혈액 저장부(2)에 대한 원심분리의 조건은, 저장된 혈액 성분의 양에 의해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2000g×10min, 실온(20℃~30℃)으로 설정된다.
원심분리된 혈액 성분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에서는, 크게 나누어 혈장층(81a)(혈장을 포함하는 상층) 및 다혈소판혈장층(82a)(혈소판 및 백혈구를 포함하는 하층)의 2개의 층으로 분리 분획된다. 또한 다혈소판혈장층(82a)의 하부에는, 원심분리에 의해 혈구(주로 이송 공정(S3)에서 혼입된 적혈구)가 침전되고, 성분 수용 용기(31)의 저면에 부착된다. 제2 분리 공정(S4)에서는, 제1 분리 공정(S2)에 비해, 원심 가속도를 강하게 한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실시하므로, 도 7에 나타낸 혈장층(81a)과 다혈소판혈장층(82a)과의 경계는, 도 6에 나타낸 3개 층의 경계보다 명확해진다.
제2 분리 공정(S4) 후에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층(81a)과 다혈소판혈장층(82a)과의 경계보다 약간 혈장층(81a)측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20mL의 혈액으로부터 2mL의 다혈소판혈장을 조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혈액 도입 공정(S1)에서 20mL의 혈액을 혈액 저장부(2)로 도입한 경우에는,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을, 성분 수용 용기(31)에서의 선단(371a)보다도 저면 방향의 체적이 2mL가 되도록 배치한다. 선단(371a)이, 혈장층(81a)과 다혈소판혈장층(82a)과의 경계로부터 약간 혈장층(81a)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농축 공정(S5)에서, 혈장층(81a)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조제되는 다혈소판혈장의 양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농축 공정(S5)에서는, 혈액 저장 용기(21)의 형상을 원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제2 분리 공정(S4)에서 분리된 상층(혈장층(81a))을 연결 튜브(4)를 통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로 반송시키고, 하층(다혈소판혈장층(82a))에 포함되는 혈소판을 농축한다.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에서 분리된 혈장층(81a)을 혈액 저장 용기(21)로 반송할 때에는, 먼저, 클램프(6)에 의한 연결 튜브(4)의 경로 폐쇄를 해제한다(도 9 참조). 클램프(6)에 의한 연결 튜브(4)의 경로 폐쇄를 해제하면, 찌부러지듯이 변형된 가요성을 가지는 혈액 저장 용기(21)의 형상이 원래대로 돌아간다. 혈액 저장 용기(21)의 형상이 원래대로 되돌아감으로써,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으로부터 혈액 성분의 일부(혈장층(81a))를 흡인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혈장층(81a)이 혈액 저장 용기(21)로 반송됨으로써 다혈소판혈장층(82a)이 농축되어 다혈소판혈장이 조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은, 혈장층(81a)과 다혈소판혈장층(82a)과의 경계에서 약간 혈장층(81a)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금속바늘(371)은 혈장층(81a)을 선택적으로 흡인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농축 공정(S5)에서, 통기 튜브(7)로부터 성분 수용 용기(31)의 내부로 공기를 보냄으로써, 혈액 저장 용기(21)로의 혈액 성분의 반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축 공정(S5) 후에, 성분 수용부(3)(성분 수용 용기(31)) 내에는 다혈소판혈장(다혈소판혈장층(82a))이 저장되고, 혈액 저장부(2)(제1 수용 용기(22)) 내에는 주로 적혈구(적혈구층(83)) 및 혈장(혈장층(81a))이 저장된다.
다혈소판혈장(다혈소판혈장층(82a))이 농축된 후, 연결 튜브(4) 및 통기 튜브(7)를 용단 및 용착한다. 이러한 용단 및 용착에 대해서는, 제1 분리 공정(S2) 전에 채혈 튜브(5)를 용단 및 용착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조제된 다혈소판혈장(다혈소판혈장층(82a))은, 캡체(342)를 떼어내고, 성분 채취구(34)를 주사바늘 등의 천자구로 파단하여 천자함으로써 채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다혈소판혈장을 채취하기 전에 제2 분리 공정(S4)에서 침전된 혈구를 채취하여, 다혈소판혈장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의하면, 혈액 저장부(2)가 가요성을 가지는 통 형상의 혈액 저장 용기(21)을 가지며, 또한 성분 수용부(3)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고 성분 수용부(3)에 수용된 혈액의 일부 성분을 혈액 저장 용기(21)를 향해 반송시킬 수 있는 금속바늘(371)을 가지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고 쉽게 다혈소판혈장의 분리·농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2), 성분 수용부(3)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튜브(4)가 무균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혈액 혹은 다혈소판혈장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조제한 다혈소판혈장이 미생물 등에 의해 오염될 위험성도 낮아져 안전성이 높은 다혈소판혈장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 용기(21)를 세로로 긴 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채취한 혈액이 비교적 소량인 경우에도, 혈액 성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분리된 성분을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소량의 혈액이라도 혈액 성분의 분리 및 수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채취 가능한 혈액량이 제한되는 대상자의 혈액으로부터 다혈소판혈장을 조제할 때 특히 유효하다. 여기서 비교적 소량의 혈액이란, 구체적으로는 5~50ml정도의 혈액량을 가리킨다.
또한, 혈액 저장부(2)에서의 혈액 저장 용기(21)와 제1 수용 용기(22) 사이에 압력 조정 공간 및 이러한 압력 조정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공(29)을 형성함으로써, 해당 압력 조정 공간(26)을 가압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를 찌부러지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 조정 공간(26)의 가압에 의해 혈액 저장 용기(21)를 변형시킴으로써, 혈액 성분의 성분 수용부(3)로의 도출을 무균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조정 공간(26)의 가압에 의해 찌부러지도록 변형된 혈액 저장 용기(21)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혈액 저장 용기(21)가 찌부러지도록 변형된 형태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 경우, 혈액 저장 용기(21)의 내부가 음압이 됨으로써,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으로부터 성분 수용부(3)의 내부에 저장된 혈액 성분이 흡인된다.
또한, 반송관으로서의 금속바늘(371)은, 경질의 부재(금속)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금속바늘(371)의 변형에 의해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의하면, 성분 수용부(3)에 수용된 혈액의 일부 성분을 정확하게 채취하여, 혈액 저장 용기(21)를 향해 반송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부(2)의 제1 수용 용기(22) 및 성분 수용부(3)의 제2 수용 용기(32)가 세로로 긴 통 형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포함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 전체의 자세 유지가 용이하여, 혈액성분 분리 수용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수용 용기(22)와 제2 수용 용기(32)를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동시에 소정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용 보조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통상 이용되는 원심 홀더에 수용하여 원심분리기에 적용할 수 있어,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원심 홀더에 수용함으로써,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심 홀더를 혈액 도입 공정(S1)으로부터 농축 공정(S5)에 이르는 일련의 공정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조작용의 보조도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형상이란, 예를 들면 50ml의 시판품의 원심 침전관과 동일한 형상의 경우 등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대하여, 도 10~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는, 주로 제1 캡(23)의 하면 형상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형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캡(23)의 하면에 축경부(240)가 형성된다. 축경부(240)는, 제1 캡(23)의 하면이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축경부(240)의 오목형상에서의 지름은, 제1 캡(23)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 서서히 작아진다(지름이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축경부(240)의 상단부에는, 성분 도출로(28)가 접속된다. 또한, 축경부(240)의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은 원형이다.
또한, 축경부(240)에서의 성분 도출로(28)와 축경부(240)와의 접속 부분(15)(상단부)으로부터 제1 캡(23)의 하단측을 향하는 면은, 하방을 향해 볼록한 볼록곡면(240a)에 의해 구성된다. 즉 축경부(240)는 1개의 볼록곡면(240a)에 의해 구성된다.
축경부(240)의 상단부, 즉 축경부(240)와 성분 도출로(28)와의 접속 부분(15)에서의 축경부(240)의 개각(開角)(θ)(도 11 참조)은, 혈액 성분의 분리를 보다 고순도로 실시한다는 관점에서, 10°~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1 캡(23)의 하면에 축경부(240)를 형성하고, 이 축경부(240)의 상단부에 성분 도출로(28)을 접속시켰다. 이로 인해, 축경부(240)를 통과하는 혈액 성분의 유로를 서서히 가늘게 함으로써, 혈액 성분의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두께가 얇은 버피코트층(82)을 이송하는 경우에도, 축경부(240)에서, 두께를 두껍게 한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혈액 성분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경부(240)와 성분 도출로(28)와의 접속 부분(15)으로부터 제1 캡(23)의 하단부를 향하는 면을, 하방을 향해 볼록한 볼록곡면(240a)으로 구성한다. 이로 인해, 축경부(240)를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혈액 성분을 흩어지지 않게 성분 도출로(28)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된 혈액 성분의 층이 흩어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혈액 성분의 이송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경부(240)의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축경부(240)를 1개의 볼록곡면(240a)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하는 혈액 성분의 층을 보다 흩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축경부(240)의 높이 방향의 단면을, 원호상의 곡선으로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축경부(240)를 설치함으로써 혈액 성분의 층을 두껍게 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제1 캡(23)을, 제1 캡(23)의 높이를 그다지 높게 하지 않아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순도로 혈액 성분을 이송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는, 연결 튜브(4A) 및 혈액 도입 튜브(5A)의 구성에서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3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서 연결 튜브(4A)는, 혈액 저장부측 튜브(41), 성분 수용부측 튜브(42), 및 커넥터(43)를 구비한다.
혈액 저장부측 튜브(41)는, 일단측이 혈액 저장부(2)에 접속된다. 성분 수용부측 튜브(42)는, 일단측이 성분 수용부(3)에 접속된다.
커넥터(43)는, 혈액 저장부측 튜브(41)와 성분 수용부측 튜브(42)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43)는, 혈액 저장부측 튜브(41)의 타단측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부(431), 및 성분 수용부측 튜브(42)의 타단측에 장착되는 동시에 제1 커넥터부(431)에 착탈 가능한 제2 커넥터부(432)를 구비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클램프(6)가, 혈액 저장부측 튜브(41)에 장착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서는, 혈액 도입 튜브(5A)에 혈액 도입 포트(52) 및 클램프(53)가 설치된다.
혈액 도입 포트(52)는, 선단측이 혈액 도입로에 접속된 혈액 도입 튜브(5A)의 기단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혈액 도입 포트(52)에는 시린지 등이 접속된다.
클램프(53)는, 혈액 도입 튜브(5A)의 유로를 폐쇄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제3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서는, 혈액 도입 공정(S1) 및 제1 분리 공정(S2)이, 커넥터(43)에 의해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혈액 도입 공정(S1)에서는, 분리된 상태의 혈액 저장부(2)에 혈액이 도입된다. 혈액 도입 공정(S1)에서는, 클램프(6)에 의해 혈액 저장부측 튜브(41)의 유로가 폐쇄된다. 또한 혈액 도입 튜브(5A)는 클램프(53)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먼저 채혈 등에 의해 채취된 혈액이 수용된 시린지가 혈액 도입 포트(52)에 접속되고, 이 시린지로부터 혈액 도입 튜브(5A)를 통해 혈액이 혈액 저장부(2)(혈액 저장 용기(21))로 도입된다. 혈액 저장부(2)에 혈액이 도입된 후, 클램프(53)에 의해 혈액 도입 튜브(5A)의 유로는 폐쇄된다.
제1 분리 공정(S2)에서는, 혈액 저장부(2)만이 원심분리기에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원심분리 공정(S2)이 끝난 후, 커넥터(43)에 의해 혈액 저장부측 튜브(41)와 성분 수용부측 튜브(42)가 접속되고, 이송 공정(S3) 이후의 공정이 실시된다.
제3 실시형태의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연결 튜브(4A)를, 혈액 저장부측 튜브(41), 성분 수용부측 튜브(42), 및 이들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43)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 저장부(2)만을 원심분리기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원심분리관을 수용할 수 없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해도 혈액 저장부(2)의 원심분리가 가능해지므로,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사용의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를, 혈액 도입 튜브(5A)의 기단측에 형성한 혈액 도입 포트(52)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혈액 도입 포트(52)에 혈액이 수용된 시린지를 접속시킴으로써 채혈이 끝난 혈액을 혈액 저장부(2)로 도입할 수 있으므로,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1)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금속바늘(371)의 선단(371a)의 위치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채취하는 혈액의 양 등에 따라 금속바늘(371)의 길이를 신축시켜 선단(371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캡(23)과 혈액 저장 용기(21) 또는 제1 수용 용기(22)와의 접속, 및 제2 캡(33)과 성분 수용 용기(31) 또는 제2 수용 용기(32)와의 접속은,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감합에 의해 접속되었으나, 이들 접속은, 예를 들면 나사결합일 수도 있다.
또한, 밀폐 부재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캡(23)과 제1 수용 용기(22) 사이에 개재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 부재를 제2 캡(33)과 성분 수용 용기(31) 사이에 개재 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혈액 저장 용기(21)의 하단부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바텀 캡(210)에 의해 구성되었으나, 혈액 저장 용기(21)의 하단부는, 측면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를 하단부에서 용착, 밀봉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바텀 캡(210)을, 측면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텀 캡(210)을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혈액 저장 용기(21)는, 압력 조정 공간(26)의 가압에 의해 하단부에서도 쉽게 변형되어, 혈액 성분의 성분 수용부(3)로의 도출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저장 용기(21)로부터 성분 수용 용기(31)로의 혈액 성분의 이송은,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조정 공간을 가압함으로써 혈액 저장 용기(21)를 변형시켜 실시하였으나, 통기로(38)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성분 수용 용기(31)내 및 이에 연통되는 혈액 저장 용기(21)내에 음압을 부하함으로써 혈액 저장 용기(21)를 변형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성분 수용 용기(31)를, 측면이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하였으나, 경질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주입공(29)은,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캡(23)에 설치되었으나, 제1 수용 용기(22)의 측면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혈액 저장 용기(21), 성분 수용 용기(31)의 하단부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수용 용기(22), 제2 수용 용기(32)의 각각의 내측과 이격하여 구성되었으나, 양자가 접하거나 혹은 감합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혈액 저장 용기(21)의 하단부와 제1 수용 용기(22)의 저부 사이, 및 성분 수용 용기(31)의 하단부와 제2 수용 용기(32)의 저부 사이에 스페이서(미도시)를 배치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이면, 본 장치의 혈액성분 분리 조작에서의 원심분리공정시에, 혈액 저장 용기(21), 성분 수용 용기(31)의 각각에 부하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성분 도출로(28), 연결 튜브(4) 또는 성분 도입로(37)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중공 부분에, 혈구 제거 필터(미도시)를 개재 배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혈액 저장 용기(21) 중의 혈구 성분을 혈구 제거 필터로 포착할 수 있어, 성분 수용 용기(31)로의 혈구 성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도입 공정(S1) 및 제1 분리 공정(S2)에서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분리하고, 이 후의 공정에서는,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를 연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이송 공정(S3)에서 일단 혈액 저장부(2) 및 성분 수용부(3)을 연결한 후, 제2 분리 공정(S4)에서 다시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분리하고, 또한 그 다음에, 농축 공정(S5)에서 혈액 저장부(2)와 성분 수용부(3)를 분리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제1 분리 공정(S2)뿐만 아니라, 제2 분리 공정(S4)에서도 혈액 저장부(2)만을 원심분리기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성분 수용부측 튜브(42)에도 클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성분 수용부측 튜브(42)의 유로를 필요에 따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혈액 도입 포트(52)에 시린지를 접속하여 혈액을 도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혈액 도입 포트(52)에는 혈액이 수용된 혈액백을 시린지 접속 부재(52)에 접속 가능한 주사바늘 등을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1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2 혈액 저장부
21 혈액 저장 용기
22 제1 수용 용기
23 제1 캡
24 제1 접속부
25 제2 접속부
26 압력 조정 공간
27 혈액 도입로
28 성분 도출로
29 주입공
240 축경부
240a 볼록곡면
3 성분 수용부
31 성분 수용 용기
32 제2 수용 용기
33 제2 캡
34 성분 채취구
35 제3 접속부
36 제4 접속부
37 성분 도입로
371 금속바늘(반송관)
38 통기로
4, 4A 연결 튜브
41 혈액 저장부측 튜브
42 성분 수용부측 튜브
43 커넥터
5, 5A 채혈 튜브(혈액 도입 튜브)
51 혼주 포트(항응고제 도입부)
52 혈액 도입 포트
6 클램프(차단 수단)
7 통기 튜브

Claims (20)

  1.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 저장부,
    상기 혈액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수용하는 성분 수용부, 및
    상기 혈액 저장부와 상기 성분 수용부를 무균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튜브를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로서,
    상기 혈액 저장부는, 가요성을 가지는 통 형상의 혈액 저장 용기, 상기 혈액 저장 용기에 상기 혈액을 도입하는 혈액 도입로, 및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부터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도출하는 성분 도출로를 가지며,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부터 도출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이 도입되는 성분 도입로, 및 상기 성분 도입로로부터 상기 성분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성분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향해 반송시킬 수 있는 반송관을 가지며,
    상기 연결 튜브는, 상기 성분 도출로와 상기 성분 도입로를 연결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튜브내에서의 상기 혈액의 일부 성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수단을 더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튜브는,
    일단측이 상기 혈액 저장부에 접속되는 혈액 저장부측 튜브,
    일단측이 상기 성분 수용부에 접속되는 성분 수용부측 튜브, 및
    상기 혈액 저장부측 튜브와 상기 성분 수용부측 튜브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도입로에 접속되는 혈액 도입 튜브, 및
    상기 혈액 도입 튜브에 설치되고, 항응고제를 상기 혈액 저장 용기에 도입하는 항응고제 도입부를 더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단측이 상기 혈액 도입로에 접속되는 혈액 도입 튜브, 및
    상기 혈액 도입 튜브의 기단측에 설치되는 혈액 도입 포트를 더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관은, 경질 부재로 구성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일단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개구에 감합되어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밀폐하는 제1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혈액 도입로 및 상기 성분 도출로는, 상기 제1 캡에 설치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수용하고 일단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제1 수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개구는, 상기 제1 캡에 감합되어 밀폐되고,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외측과 상기 제1 수용 용기의 내측 사이에는,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내부 공간과는 독립된 공간인 압력 조정 공간이 형성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저장부는, 상기 압력 조정 공간에 유체를 주입 가능한 주입공을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조정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혈액 저장 용기는, 주입된 상기 유체에 의해 변형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제1 캡에 설치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수용부는,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형상의 성분 수용 용기, 상기 성분 수용 용기를 수용하며 일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 형상의 제2 수용 용기, 및 상기 성분 수용 용기의 개구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수용 용기의 개구에 감합되는 제2 캡을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수용부는, 상기 성분 수용 용기내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통기로를 가지며, 상기 통기로에는, 통기 필터를 구비한 통기관이 더 연결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수용 용기는, 상기 성분 수용 용기의 개구가 설치된 일단과 다른 단부인 저면부에 성분 채취구를 구비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저장부 및 상기 성분 수용부는 자립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6.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상기 제1 캡의 하면이 상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캡의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서서히 지름이 감소하는 축경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성분 도출로는, 상기 축경부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축경부에서의 상기 성분 도출로와 상기 축경부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캡의 하단측을 향하는 면은, 하방을 향해 볼록한 볼록곡면으로 구성되는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의 높이 방향의 단면은, 원호상의 곡선으로 구성되는 포트.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의 상기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은, 원 형상을 가지는 혈액성분 이송용 포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의 상단부의 각도는, 10°~ 60°인 혈액성분 이송용 포트.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으로서,
    상기 혈액 도입로를 통하여, 혈액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 도입하는 혈액 도입 공정,
    상기 혈액 도입 공정에서 상기 혈액 저장 용기로 도입된 상기 혈액을,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과 기타 성분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공정,
    상기 제1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상기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를 가압함으로써 찌부러지도록 변형시킴으로써, 무균적인 동시에 기밀하게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하여 상기 성분 수용부로 이송하는 이송 공정,
    상기 이송 공정에서 상기 성분 수용부로 이송된 상기 혈장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성분을, 혈장을 포함하는 상층과 혈소판을 포함하는 하층으로 분리하는 제2 분리 공정, 및
    상기 제2 분리 공정에서 분리된 상기 상층을, 상기 혈액 저장 용기의 형상을 원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상기 연결 튜브를 통하여 상기 혈액 저장 용기에까지 반송하고, 상기 하층에 포함되는 혈소판을 농축하는 농축 공정,
    을 가지는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
KR1020157018137A 2012-12-13 2013-12-11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 KR20150095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2750 2012-12-13
JPJP-P-2012-272750 2012-12-13
JP2013064588 2013-03-26
JPJP-P-2013-064588 2013-03-26
PCT/JP2013/083196 WO2014092115A1 (ja) 2012-12-13 2013-12-11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及び多血小板血漿の調製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759A true KR20150095759A (ko) 2015-08-21

Family

ID=5093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137A KR20150095759A (ko) 2012-12-13 2013-12-11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328388A1 (ko)
EP (1) EP2932990A4 (ko)
JP (1) JP6256352B2 (ko)
KR (1) KR20150095759A (ko)
CN (1) CN104853786B (ko)
HK (1) HK1208635A1 (ko)
TW (1) TW201438776A (ko)
WO (1) WO20140921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19A (ko) * 2020-05-08 2021-1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2659B2 (en) * 2015-07-02 2019-12-24 Arthrex,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paration of enriched biological fluids
EP3799896A1 (en) 2019-10-04 2021-04-07 Arthrex, In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apeutic fluids
CN110732271B (zh) * 2019-11-26 2020-07-21 王超 一种血小板振荡贮存箱
US11674614B2 (en) 2020-10-09 2023-06-13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WO2023008457A1 (ja) * 2021-07-28 2023-02-02 公益財団法人神戸医療産業都市推進機構 遠心分離用の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分離液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6417B1 (de) * 1979-09-22 1983-12-14 Firma Andreas Hettich Zentrifuge mit Blutbeutelsystem zur Trennung von Blutkomponenten
US4344560A (en) * 1979-11-02 1982-08-17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telets
JPS5749461A (en) * 1980-09-10 1982-03-23 Asahi Chemical Ind Blood treating vessel,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telet
US5135667A (en) * 1990-06-14 1992-08-04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ration of anticoagulant to red cell suspension output of a blood separator
US5180504A (en) * 1991-05-22 1993-01-19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undesired matter from blood cells
US7332125B2 (en) * 1994-10-13 2008-02-19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lood
US5707331A (en) * 1995-05-05 1998-01-13 John R. Wells Automatic multiple-decanting centrifuge
JP2002538900A (ja) * 1999-03-15 2002-11-19 インプラント・イノヴェ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血小板採取装置
ATE453319T1 (de) * 2001-06-06 2010-01-15 Perfusion Partners & Associate Zentrifugenröhrenanordnung
US20040065626A1 (en) * 2002-10-02 2004-04-08 Tony Woo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components
DE102004036840B4 (de) * 2004-07-29 2012-04-19 Orthogen Ag Verfahren und Mittel zur Gewinnung von thrombocytenreichem Plasma
JP4239220B2 (ja) * 2004-09-13 2009-03-18 ニプロ株式会社 成分採取デバイス
US7442178B2 (en) * 2005-03-09 2008-10-28 Jacques Chammas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blood components separation and processing
JP4861649B2 (ja) * 2005-07-08 2012-01-25 テルモ株式会社 血液成分採取回路および血液成分採取装置
KR101138894B1 (ko) * 2007-07-30 2012-05-14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WO2010089965A1 (ja) * 2009-02-04 2010-08-1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液性成分採取装置
US8834402B2 (en) * 2009-03-12 2014-09-16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anticoagulation of platelet rich plasma
CN202397870U (zh) * 2011-11-08 2012-08-29 深圳市普特生物医学工程有限公司 血液分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19A (ko) * 2020-05-08 2021-1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액 배양검사용 채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53786A (zh) 2015-08-19
WO2014092115A1 (ja) 2014-06-19
EP2932990A4 (en) 2016-10-19
EP2932990A1 (en) 2015-10-21
US20150328388A1 (en) 2015-11-19
CN104853786B (zh) 2016-10-26
JP6256352B2 (ja) 2018-01-10
HK1208635A1 (en) 2016-03-11
JPWO2014092115A1 (ja) 2017-01-12
TW201438776A (zh)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929B2 (ja)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US7044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prior to a blood collection procedure
US6520948B1 (en) Sampling tube holder for blood sampling system
KR101265243B1 (ko) 액성 성분 채취장치
KR20150095759A (ko) 혈액성분 분리수용장치 및 다혈소판혈장의 조제방법
US114584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llular separation
US202000093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centrating cells with a syringe and a centrifuge
JP3813974B2 (ja) 採血用器具
JP5223562B2 (ja) 血液成分調製用容器及び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