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525A - 부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525A
KR20150094525A KR1020150018401A KR20150018401A KR20150094525A KR 20150094525 A KR20150094525 A KR 20150094525A KR 1020150018401 A KR1020150018401 A KR 1020150018401A KR 20150018401 A KR20150018401 A KR 20150018401A KR 20150094525 A KR20150094525 A KR 2015009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tection area
image sensor
displa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 하라구치
고이치로 구이
도시하루 다케노우치
고이치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사용자가 화상 센서의 검지 영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부하 제어 시스템(1)은, 검지 영역(10) 내의 사람 H1의 존부를 검지하는 화상 센서(2)와, 검지 영역(10)을 표시하는 표시부(45)를 갖는 표시 단말(4)과, 화상 센서(2) 및 표시 단말(4)이 2선식의 신호선 L1을 거쳐서 접속되는 전송 제어 장치(5)를 구비한다. 화상 센서(2)는,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전송 제어 장치(5)를 경유하여 표시 단말(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단말(4)은,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부하 제어 시스템{LOA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하 제어 시스템, 보다 상세하게는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의 존부를 검지하는 화상 센서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의 존부를 검지하는 사람 센서(화상 센서)를 구비한 부하 제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고,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부하 제어 시스템은, 화상 센서와, 제어 장치와, 복수의 조명 부하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센서는, 검지 영역의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영역마다 사람의 존부 및 존재하는 사람 수 등을 판단한다. 또한, 화상 센서에서는, 설정부에 의해 복수의 분할 영역의 위치 정보가 설정된다. 제어 장치는, 화상 센서로부터 전송선을 거쳐서 전송되는 사람 검지 정보에 따라 각 조명 부하에 대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지령을 신호선을 거쳐서 각 조명 부하에 전송한다. 조명 부하는, 백열등이나 형광 램프, 혹은 LED 램프 등의 광원과, 제어 지령에 따라 광원을 점등ㆍ소등 및 조광하는 점등 장치를 갖는다.
그리고, 제어 장치에서는, 화상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분할 영역마다의 사람 검지 정보 및 밝기 레벨에 따라, 각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조명 부하를 제어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13-096947호 공보
상기 종래예에서는, 화상 센서의 검지 영역은, 화상 센서에 마련된 스위치나, 전용 설정기를 이용하여 시공 업자가 설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예에서는, 설정기가 아니면 설정한 검지 영역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예에서는, 설정한 검지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설정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어, 검지 영역의 확인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져 있고, 사용자가 화상 센서의 검지 영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하 제어 시스템은, 검지 대상의 공간을 촬상하고 또한 상기 공간의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의 존부를 검지하는 화상 센서와, 상기 검지 영역에 부합하는 검지 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단말과, 상기 화상 센서 및 상기 표시 단말이 2선식의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전송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센서는, 상기 검지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전송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제어 장치는, 상기 영역 데이터와, 상기 표시 단말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표시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검지 영역 정보를 상기 검지 영역의 크기에 근거하여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지 영역 정보는, 상기 검지 영역의 블록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이미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은,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의 변경을 위한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전송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데이터와, 상기 화상 센서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화상 센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상 센서는, 상기 변경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터치 패널이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표시부의 동작 모드를, 상기 검지 영역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화상 센서의 검지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2 모드의 사이에서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부하가 접속되어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센서는, 상기 화상 센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감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전송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제어 장치는, 상기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제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 단말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제어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단말이, 화상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표시 단말을 보는 것만으로 검지 영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상 센서의 검지 영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상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5(a)~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의 전송 신호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의 전송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의 인터럽트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8(a)는 설정기의 블록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의 설명도이다.
도 9(a)~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지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단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10(b)는 표시 단말의 다른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단말의 또 다른 구성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부하 제어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센서(2)와, 표시 단말(4)과, 전송 제어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센서(2)는, 검지 대상의 공간을 촬상하고 또한 촬상한 화상 중 미리 설정된 검지 영역(10) 내의 사람 H1의 존부를 검지한다. 표시 단말(4)은, 검지 영역(10)을 표시하는 표시부(45)를 갖는다. 전송 제어 장치(5)는, 화상 센서(2) 및 표시 단말(4)이 2선식의 신호선 L1을 거쳐서 접속된다.
화상 센서(2)는,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도 7(a) 참조)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 제어 장치(5)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송 제어 장치(5)는, 화상 센서(2)로부터 전송된 영역 데이터와,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표시 단말(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단말(4)은,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은, 사용자가 표시 단말(4)을 보는 것만으로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이 실시 형태 이외이더라도,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센서(2)와,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3)과, 표시 단말(4)과, 전송 제어 장치(5)와, 복수(도 1에서는 4개)의 릴레이(6)와, 리모컨 트랜스(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제어 단말(3), 전송 제어 장치(5), 릴레이(6), 리모컨 트랜스(7)를 분전반(또는 릴레이 제어반)(8)의 내부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전송 제어 장치(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단자(2개의 전원용 단자 및 1개의 어스용 단자)(56)와, 2개의 신호용 단자(57)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이들 단자(56)에 접속되는 예컨대 단상 3선의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교류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송 제어 장치(5)는, 2개의 신호용 단자(57)에 2선식의 신호선 L1이 접속되어 있다.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은, 각각 신호선 L1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은, 각각 신호선 L1에 배선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을 각각 1대씩 구비하는 구성이지만, 각각 복수 대씩 구비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화상 센서(2)는, 예컨대 오피스 등의 천정에 설치된다. 화상 센서(2)는, 검지 대상이 되는 공간을 촬상하고, 연속적으로 생성한 촬상 화상으로부터 검지 영역(10)(도 7(b) 참조) 내의 사람 H1의 존부를 검지한다. 또, 제어 단말(3)이 제어하는 부하가 조명 부하인 경우, 검지 영역(10)을, 조명 부하에 의한 조명 공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센서(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1)와, 송수신부(22)와, 전원부(23)와, 어드레스 설정부(24)와, 촬상부(25)와, 화상 처리부(26)와, 설정부(27)와, 기억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21)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송수신부(22)를 거쳐서 신호선 L1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21)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적당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송수신부(22)는,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되는 쌍극성의 전송 신호 S1을 무극성화(다시 말해, 전파(全波) 정류)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21)에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1)로부터 전송 제어 장치(5)에 반송되는 신호는, 송수신부(22)에 있어서 전류 모드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선 L1에 송출된다. 또, 전류 모드 신호는, 신호선 L1을 적당한 저 임피던스를 거쳐서 단락시키는 것에 의해 송출되는 신호이다. 전원부(23)는,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되는 전송 신호 S1로부터 화상 센서(2)의 내부 전원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드레스 설정부(24)는,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화상 센서(2)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기억하기 위해 이용된다.
촬상부(25)는,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아날로그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는, 각각이 개별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광부(센서부)가 2차원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로서는, CMOS(Complementary 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저소비 전력화의 관점에서는, 촬상 소자로서, CCD 이미지 센서보다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촬상부(25)는,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는, 예컨대, 각 수광부의 시야를 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화상 처리부(26)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 혹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 처리부(26)는, 촬상부(25)로부터 입수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화상 처리의 결과를 이용하여 사람 H1의 존부 등을 판단하는 판단 처리를 실행한다. 설정부(27)는, 외부의 설정기 A1(도 1 참조)로부터 여러 가지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설정기 A1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28)는, 재기록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로서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기억부(28)는, 화상 처리부(26)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및 판단 처리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28)는, 예컨대, 검지 영역(10)에 사람 H1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촬상된 검지 영역(10)의 화상 데이터를, 배경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화상 처리부(26)는, 촬상부(25)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와 배경 화상 데이터의 차분인 차분 화상을 생성하고, 그 차분 화상으로부터 사람 H1의 윤곽이나 사람 H1의 영역에 대응한 화소 영역(이하, 「인체 화소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26)는, 추출 처리에 있어서 인체 화소 영역을 추출하면, 사람 H1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차분 화상은, 화상 데이터와 배경 화상 데이터의 사이에서 대응하는 화소마다의 차분을 화소치로 하는 화상이다. 화상 처리부(26)는, 화상 데이터와 배경 화상 데이터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대신에, 시계열적으로 늘어서는 2개의 프레임의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센서(2)에서는, 촬상부(25)는 1초간에 30프레임의 화상을 출력하지만, 촬상부(25)가 촬상하는 시간 간격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화상 처리부(26)는, 인체 화소 영역에 있어서의 대표 위치를 구하고, 해당 대표 위치가 소정 시간(소정의 프레임 수) 내에 변위하는 거리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사람 H1의 행동(체재, 이동 등)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 화상 처리부(26)는, 해당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사람 H1이 같은 장소에 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해당 거리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람 H1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단, 대표 위치란, 인체 화소 영역의 중심 위치나 사람 H1의 특정의 부위(예컨대, 머리 부분)의 위치이다. 또, 화상 처리부(26)는, 2개의 프레임의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 사람 H1이 정지하여 체재하고 있으면, 인체 화소 영역을 추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화상 처리부(26)는, 화상 데이터와 배경 화상 데이터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 사람 H1이 정지하여 체재하고 있더라도, 인체 화소 영역의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 처리부(26)는, 추출한 인체 화소 영역의 수를 검지 영역(10)에 존재하는 사람 H1의 수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초전형(焦電型) 적외선 센서 대신에 화상 센서(2)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검지 영역(10) 내의 사람 H1의 존부만이 아니고, 사람 H1의 행동(체재, 이동 등)을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1)는, 화상 처리부(26)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감시 데이터를 송수신부(22)로부터 신호선 L1에 송출한다.
제어 단말(3)은, 예컨대 조명 부하 등의 부하(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고, 해당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단말(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31)와, 송수신부(32)와, 어드레스 설정부(33)와, 구동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31)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송수신부(32)를 거쳐서 신호선 L1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31)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적당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송수신부(32)는,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되는 쌍극성의 전송 신호 S1을 무극성화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31)에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1)로부터 전송 제어 장치(5)에 반송되는 신호는, 송수신부(32)에 있어서 전류 모드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선 L1에 송출된다. 어드레스 설정부(33)는,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 단말(3)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기억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어 단말(3)은, 복수(도 1에서는 4개)의 릴레이(6)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3)은, 이들 릴레이(6)를 개별 구동하는 복수(도 3에서는 4개)의 구동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릴레이(6)는, 예컨대 래칭형의 릴레이에 의해 구성되고, 상용 전원 등의 교류 전원과 부하의 직렬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단말(3)은, 구동부(34)에 의해 릴레이(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교류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급전로를 개폐하여, 부하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또, 제어 단말(3)이 릴레이(6)를 제어할 때에는, 리모컨 트랜스(7)로부터 릴레이(6)에 펄스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리모컨 트랜스(7)는, 교류 전원에 접속되어 있고, 100V의 교류 전압을 변압하여 릴레이(6) 및 제어 단말(3)에 24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단말(3)에는, 릴레이(6)를 개별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2비트의 부하 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단말(3)의 채널과 부하 번호를 합쳐서 어드레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각 릴레이(6)에 각각 개별의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부하 제어 시스템(1)은, 서로 일대일로 대응하는 화상 센서(2)와 제어 단말(3)을 같은 채널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대응 관계를 알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단말(3)은, 어드레스 데이터 AD(도 7(a) 참조)에 포함되는 부하 번호가 일치하는 릴레이(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부하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또, 제어 단말(3)로서는, 조광 제어용의 단말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조광 제어용의 단말로서는, 예컨대, 조광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하로서는, LED(Light Emission Diode)를 이용한 광원과, 조광 데이터에 근거하여 광원을 조광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한 점등 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표시 단말(4)은, 오피스 등의 벽면에 배치된다. 표시 단말(4)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41)와, 송수신부(42)와, 전원부(43)와, 어드레스 설정부(44)와, 표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41)는,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송수신부(42)를 거쳐서 신호선 L1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41)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적당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송수신부(42)는,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되는 쌍극성의 전송 신호 S1을 무극성화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41)에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41)로부터 전송 제어 장치(5)에 반송되는 신호는, 송수신부(42)에 있어서 전류 모드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선 L1에 송출된다. 전원부(43)는,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되는 전송 신호 S1로부터 표시 단말(4)의 내부 전원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드레스 설정부(44)는,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표시 단말(4)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기억하기 위해 이용된다.
표시부(45)는,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표시부(45)는,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여기서는 3개)의 투광부(450)와, 복수(여기서는 3개)의 발광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각 투광부(450)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예컨대,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고, 한 방향(도 5(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도록 마련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는, 예컨대 LED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표시 단말(4)의 기체의 내부에 있어서, 각 투광부(450)와 각각 대향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 도 5(a)~도 5(c)에서는, 해칭이 되어 있는 투광부(450)가 발광 소자가 발하는 광을 출사하고 있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신호선 L1을 거쳐서,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각각의 사이에서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도 7(a)~도 7(c) 참조)을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제어 장치(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 처리부(51)와, 전송 드라이버(52)와, 제 1 메모리(53)와, 제 2 메모리(54)를 구비한다.
전송 처리부(51)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고, 전송 드라이버(52)를 거쳐서 신호선 L1에 접속되어 있다. 전송 처리부(51)는,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 드라이버(52)는, 전송 처리부(51)의 제어에 근거하여, 신호선 L1을 거쳐서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과의 신호의 수수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메모리(53)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에 의해 구성되고, 전송 처리부(51)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 2 메모리(54)는, 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메모리(54)는, 화상 센서(2)와 제어 단말(3)과 표시 단말(4)의 대응 관계를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한다. 제 3 메모리(55)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에 의해 구성되고,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사이에서 수수 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각각에 고유의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송 제어 장치(5)는, 화상 센서(2)의 어드레스와, 제어 단말(3)의 어드레스와,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의 대응 관계를 관리하고 있다. 전송 제어 장치(5)는, 그들 어드레스에 근거하여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을 개별적으로 인식한다.
여기서, 전송 신호 S1의 포맷을 도 7(a)에 나타낸다. 전송 신호 S1은, 스타트 펄스 신호 SY, 모드 데이터 MD, 어드레스 데이터 AD, 제어 데이터 CD, 체크섬 데이터 CS 및 신호 반송 기간 WT에 의해 구성된다. 스타트 펄스 신호 SY는, 신호 송출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모드 데이터 MD는, 전송 신호 S1의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어드레스 데이터 AD는,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을 개별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제어 데이터 CD는,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 및 릴레이(6)나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체크섬 데이터는, 전송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신호 반송 기간 WT는,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이다. 전송 신호 S1은, 쌍극성(±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이고, 펄스폭 변조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되게 되어 있다(도 7(b) 참조).
이하, 전송 제어 장치(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송 제어 장치(5)는,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어느 하나의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모드 데이터 MD를 제어 모드로 하고, 소망하는 기기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데이터 AD로 하는 전송 신호 S1을 송출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데이터 AD에 일치하는 어드레스를 갖는 기기는, 제어 데이터 CD를 받고, 신호 반송 기간 WT에 감시 데이터를 반송한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송출한 제어 데이터 CD와 신호 반송 기간 WT에 수신한 감시 데이터의 관계에 의해, 제어 데이터 CD가 소망하는 기기에 전송된 것을 확인한다.
또한, 전송 제어 장치(5)는, 통상시에는, 모드 데이터 MD를 더미 모드로 한 전송 신호 S1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출하고 있다(다시 말해, 폴링을 행하고 있다).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어느 하나의 기기는, 전송 제어 장치(5)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더미 모드의 전송 신호 S1의 스타트 펄스 신호 SY에 동기시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기기는, 인터럽트 플래그를 설정하여 전송 제어 장치(5)와의 이후의 정보의 수수에 대비한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모드 데이터 MD를 인터럽트 폴링 모드로 하고 또한 어드레스 데이터 AD의 상위의 반의 비트(어드레스 데이터 AD를 8비트라고 하면 상위 4비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전송 신호 S1을 송출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기기는, 전송 신호 S1의 어드레스 데이터 AD의 상위 4비트가 자기의 어드레스의 상위 4비트에 일치할 때에, 신호 반송 기간 WT에 어드레스의 하위의 반의 비트를 전송 제어 장치(5)에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기기의 어드레스를 취득하면, 모드 데이터 MD를 감시 모드로 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갖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기기는, 이 전송 신호 S1에 대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예컨대, 감시 데이터)를 신호 반송 기간 WT에 반송한다.
마지막으로,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 기기에 대하여 인터럽트 리셋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그 기기의 인터럽트 플래그를 해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화상 센서(2), 제어 단말(3) 및 표시 단말(4)의 어느 하나의 기기로부터 전송 제어 장치(5)로의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진다.
여기서, 화상 센서(2)의 촬상 영역 X1(도 8(b) 참조) 내에 있어서, 사람 H1이 존재할 수 없는 장소(예컨대, 책상이나 책꽂이, 복사기 등의 비품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가 포함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사람 H1이 존재할 수 없는 장소는, 사람 H1의 존재의 오검지에 의한 부하의 오동작을 회피하기 위해, 검지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화상 센서(2)의 촬상 영역 X1 중, 사람 H1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검지 영역(10)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사람 H1의 존재의 오검지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검지 영역(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영역 X1 내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구획된 6×6(=36개)의 블록 Y11~Y66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Y11~Y66 중, 중심의 4개의 블록 Y33, Y34, Y43, Y44를 제외한 32개의 블록에는, 검지의 유효/무효가 설정된다. 또, 중심의 4개의 블록 Y33, Y34, Y43, Y44는, 항상 검지가 유효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8(b)에서는, 유효하게 설정된 블록(이하, 「유효 블록」이라고 부른다)을 흑색의 도트를 포함하는 블록으로 표현하고, 무효로 설정된 블록(이하, 「무효 블록」이라고 부른다)을 백색의 블록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유효 블록의 집합이 검지 영역(10)에 상당한다. 또, 각 블록은, 각각 촬상 소자의 복수 개(예컨대, 3×3=9개)의 화소(픽셀)로 구성되어 있다.
검지 영역(10)의 설정은, 통상, 시공 업자가 전용 설정기 A1을 이용하여 행한다. 설정기 A1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부 A10과, 제 1 메모리 A11과, 제 2 메모리 A12와, 조작부 A13과, 표시부 A14와, 통신부 A15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부 A10은,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고,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제 1 메모리 A11은, 예컨대 ROM에 의해 구성되고, 처리부 A10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 2 메모리 A12는, 예컨대 RAM에 의해 구성되고, 처리부 A10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조작부 A13은, 복수 개의 스위치(예컨대, 누름 버튼 스위치)를 갖고,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해당 스위치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처리부 A1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 A14는, 액정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와, 처리부 A10에 제어되어 액정 디스플레이에 여러 가지의 기호나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하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 A15는, 화상 센서(2)의 설정부(27)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검지 영역(10)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시공 업자는, 설정기 A1의 조작부 A13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를 요구하는 커맨드를 화상 센서(2)에 송신한다. 화상 센서(2)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기억부(28)로부터 영역 데이터를 읽어내어 설정기 A1에 송신한다. 설정기 A1은, 영역 데이터를 수신하면,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부 A14에 블록 Y11~Y66을 표시한다. 시공 업자는, 표시부 A14에 표시된 블록 Y11~Y66을 확인하면서, 조작부 A13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블록 Y11~Y66 중 설정 대상이 되는 블록을 1개 선택하고, 유효 또는 무효로 설정한다. 시공 업자는, 이 작업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검지 영역(10)을 설정한 후에, 조작부 A13을 조작하여 검지 영역(10)의 설정을 완료한다.
설정기 A1은, 블록 Y11~Y66의 유효 또는 무효를 설정할 때마다, 또는 검지 영역(10)의 설정이 완료된 시점에, 갱신한 영역 데이터를 화상 센서(2)에 송신한다. 화상 센서(2)는, 갱신한 영역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억부(28)에 기억되어 있는 기존의 영역 데이터를 수신한 영역 데이터로 고쳐 쓴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은, 설정기 A1에서 설정한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갱신된다.
또, 검지 영역(10)은, 시공 업자가 설정기 A1의 조작부 A13을 조작하고, 미리 규정된 복수 종류의 패턴으로부터 1개의 패턴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3개의 패턴으로부터 1개의 패턴을 선택하여, 검지 영역(10)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9(a)에 나타내는 패턴은, 블록 Y11~Y66 중 2×2=4개의 블록을 검지 영역(10)으로 하고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패턴은, 블록 Y11~Y66 중 4×4=16개의 블록을 검지 영역(10)으로 하고 있다. 도 9(c)에 나타내는 패턴은, 블록 Y11~Y66의 전부를 검지 영역(10)으로 하고 있다. 물론, 검지 영역(10)의 패턴은 도 9(a)~도 9(c)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여러 가지의 패턴이더라도 좋다.
여기서, 종래의 부하 제어 시스템에서는,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정기 A1을 이용하여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때문에, 검지 영역(10)을 확인할 때마다 설정기 A1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어, 검지 영역(10)의 확인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정기 A1은, 통상, 시공 업자가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검지 영역(10)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공 업자에게 연락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2선식의 신호선 L1에 접속되는 표시 단말(4)을 마련하고, 이 표시 단말(4)에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표시하는 표시부(45)를 마련하고 있다.
이하, 표시부(45)에 검지 영역(10)을 표시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센서(2)는, 영역 데이터를 갱신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폴링 모드에 있어서 화상 센서(2)를 인식하면, 감시 모드에 있어서 화상 센서(2)의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갖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에 송출한다. 화상 센서(2)는, 이 전송 신호 S1에 대하여, 영역 데이터를 신호 반송 기간 WT에 반송한다. 다시 말해, 화상 센서(2)는,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 제어 장치(5)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영역 데이터를 취득한 전송 제어 장치(5)는,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어 데이터 CD에 영역 데이터를, 어드레스 데이터 AD에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를 저장한 전송 신호 S1을 송출한다. 다시 말해, 전송 제어 장치(5)는, 화상 센서(2)로부터 전송된 영역 데이터와,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표시 단말(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단말(4)은, 이 전송 신호 S1을 수신하면,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한다.
예컨대, 검지 영역(10)이 도 9(a)에 나타내는 패턴인 경우, 표시 단말(4)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투광부(450)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점등한다. 또한, 검지 영역(10)이 도 9(b)에 나타내는 패턴인 경우, 표시 단말(4)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투광부(450)와, 한가운데의 투광부(450)에 각각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점등한다. 또한, 검지 영역(10)이 도 9(c)에 나타내는 패턴인 경우, 표시 단말(4)은,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투광부(450)에 각각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점등한다. 이와 같이, 표시 단말(4)은, 표시부(45)에 검지 영역(10)을 단계적으로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은, 화상 센서(2)에서 설정한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가, 전송 제어 장치(5)를 거쳐서 표시 단말(4)에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단말(4)이,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사용자가 표시 단말(4)을 보는 것만으로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은, 사용자가 화상 센서(2)의 검지 영역(10)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단말(4)이 표시부(45)에 검지 영역(10)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해당 구성을 채용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표시부(45)는, 도 5(a)~도 5(c)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표시 단말(4)은, 예컨대 도 8(b)에 나타내는 블록 Y11~Y66으로 나타내어지는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표시 단말(4)은, 표시부(45)에 검지 영역(10)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 해당 구성을 채용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는 블록 수는 6×6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다 소수 또는 다수의 블록으로 검지 영역(10)을 나타내더라도 좋다.
또, 표시 단말(4)은, 예컨대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부(46)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 10(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변경부(46)는, 2개의 스위치(460, 461)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60)는, 검지 영역(10)을 넓히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예컨대, 누름 버튼 스위치)이고,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해당 스위치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신호 처리부(41)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61)는, 검지 영역(10)을 좁히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예컨대, 누름 버튼 스위치)이고,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해당 스위치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신호 처리부(41)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부(45)는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다.
이하, 표시 단말(4)에서 검지 영역(10)을 변경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검지 영역(10)이 도 9(b)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우선, 사용자는, 변경부(46)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45)에 표시되고 있는 검지 영역(10)을 변경한다. 이때, 변경부(46)는, 검지 영역(10)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스위치(460)를 조작하면, 표시부(45)에 표시되고 있는 검지 영역(10)이, 도 9(b)에 나타내는 패턴으로부터 도 9(c)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변경부(46)는, 검지 영역(10)을 도 9(c)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변경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461)를 조작하면, 표시부(45)에 표시되고 있는 검지 영역(10)이, 도 9(b)에 나타내는 패턴으로부터 도 9(a)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변경부(46)는, 검지 영역(10)을 도 9(a)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변경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단말(4)은, 변경부(46)가 조작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폴링 모드에 있어서 표시 단말(4)을 인식하면, 감시 모드에 있어서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갖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에 송출한다. 표시 단말(4)은, 이 전송 신호 S1에 대하여, 변경 데이터를 신호 반송 기간 WT에 반송한다. 다시 말해, 표시 단말(4)은,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전송 제어 장치(5)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변경 데이터를 취득한 전송 제어 장치(5)는,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어 데이터 CD에 변경 데이터를, 어드레스 데이터 AD에 화상 센서(2)의 어드레스를 저장한 전송 신호 S1을 송출한다. 다시 말해, 전송 제어 장치(5)는, 표시 단말(4)로부터 전송된 변경 데이터와, 화상 센서(2)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화상 센서(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센서(2)는, 이 전송 신호 S1을 수신하면, 변경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변경한다.
이 구성에서는, 사용자는 표시 단말(4)로 검지 영역(10)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설정기 A1을 이용하는 일 없이 검지 영역(10)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 해당 구성을 채용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 사용자가 변경부(46)를 잘못 접촉하여 검지 영역(10)을 변경하여 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 변경부(46)의 조작의 유효 또는 무효를 확인하는 확인 스위치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해당 스위치를 조작하여 변경부(46)의 조작이 유효하게 되지 않는 한, 검지 영역(10)이 잘못 변경되는 일이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45)는, 터치 패널 TP1에 의해 구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변경부(46)는, 터치 패널 TP1이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터치 패널 TP1은, 예컨대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 용량 방식 등의 방식으로, 블록 Y11~Y66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블록 Y11~Y66의 어느 하나의 블록을 1개 선택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선택한 블록을 유효 블록 또는 무효 블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변경부(46)는, 검지 영역(10)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변경 데이터가 화상 센서(2)에 전송되므로, 화상 센서(2)가 변경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변경한다. 이 구성에서는, 사용자가 검지 영역(10)을 직감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단말(4)은,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하는 제 1 모드와,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표시부(45)에 표시하는 제 2 모드를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전환부(47)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전환부(47)는, 1개의 스위치(예컨대, 누름 버튼 스위치)로 구성되고,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해당 스위치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신호 처리부(41)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해당 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제 1 모드와 제 2 모드를 교대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고, 예컨대 전환부(47)를 2개의 스위치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한쪽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 1 모드로, 다른 쪽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모드를 전환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부(47)가 조작되면, 표시 단말(4)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송 제어 장치(5)는, 인터럽트 폴링 모드에 있어서 표시 단말(4)을 인식하면, 감시 모드에 있어서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갖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에 송출한다. 표시 단말(4)은, 이 전송 신호 S1에 대하여, 현재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를 신호 반송 기간 WT에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전송 제어 장치(5)는, 표시 단말(4)의 현재의 모드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 제어 장치(5)는, 제 1 모드이면 제어 데이터 CD에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 2 모드이면 제어 데이터 CD에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고, 어드레스 데이터 AD에 표시 단말(4)의 어드레스를 저장한 전송 신호 S1을 송출한다. 그리고, 표시 단말(4)은, 이 전송 신호 S1을 수신하면, 제 1 모드이면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10)을 표시부(45)에 표시하고, 제 2 모드이면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표시부(45)에 표시한다.
이하, 표시부(45)가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의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검지 영역(10) 내에 사람 H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표시 단말(4)은, 도 5(a)에 있어서의 아래쪽의 투광부(450)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점등한다. 또한, 검지 영역(10) 내에 사람이 체재하고 있는 경우, 표시 단말(4)은, 도 5(a)에 있어서의 한가운데의 투광부(450)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점등한다. 또한, 검지 영역(10) 내를 사람 H1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 표시 단말(4)은, 도 5(a)에 있어서의 위쪽의 투광부(450)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점등한다.
이 구성에서는, 사용자는 표시 단말(4)로 검지 영역(10)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해당 구성을 채용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검지 영역(10)을 블록 Y11~Y66으로 나타내는 구성인 경우, 감시 데이터는, 검지 영역(10)의 블록마다 사람 H1의 존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더라도 좋다. 이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예컨대 블록 Y12에 사람 H1이 존재하면, 표시 단말(4)은, 블록 Y12의 색을 변경하는 등 하여 다른 블록과는 상이하도록 표시부(45)에 표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검지 영역(10) 내에 있어서의 사람 H1의 존부를 보다 세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부하 제어 시스템(1)에서는, 제어 단말(3)은, 화상 센서(2)로부터 전송되는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송 제어 장치(5)는, 화상 센서(2)로부터 전송된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센서(2)와 대응하는 제어 단말(3)에 접속된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 CD를 생성한다. 예컨대, 부하가 조명 부하이면, 전송 제어 장치(5)는, 감시 데이터가 사람 H1의 체재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제어 데이터 CD로서 조명 부하를 정격 점등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전송 제어 장치(5)는, 감시 데이터가 사람 H1의 이동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제어 데이터 CD로서 조명 부하를 조광 점등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전송 제어 장치(5)는, 감시 데이터가 사람 H1의 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제어 데이터 CD로서 조명 부하를 소등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전송 제어 장치(5)는, 제어 데이터 CD와, 제어 단말(3)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AD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S1을, 신호선 L1을 거쳐서 제어 단말(3)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단말(3)은, 이 전송 신호 S1을 수신하면, 제어 데이터 CD에 근거하여 릴레이(6)를 제어하고, 부하를 제어한다. 즉, 제어 단말(3)은,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부하를 제어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어 단말(3)이 화상 센서(2)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부하(조명 부하)를 제어하므로, 보다 한층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해당 구성을 채용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 표시 단말(4)은, 부하 제어 시스템(1)에 이용되는 기존의 기기(예컨대 조명 부하를 조광하기 위해 이용하는 조광기 등)와 겸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검지 영역(10)의 확인과, 조명 부하의 조광을 1개의 기기로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1 : 부하 제어 시스템
10 : 검지 영역
2 : 화상 센서
4 : 표시 단말
45 : 표시부
5 : 전송 제어 장치
L1 : 신호선

Claims (7)

  1. 검지 대상의 공간을 촬상하고 또한 상기 공간의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의 존부를 검지하는 화상 센서와,
    상기 검지 영역에 부합하는 검지 영역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표시 단말과,
    상기 화상 센서 및 상기 표시 단말이 2선식의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전송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센서는, 상기 검지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전송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제어 장치는, 상기 영역 데이터와, 상기 표시 단말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표시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영역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표시부에 상기 검지 영역 정보를 상기 검지 영역의 크기에 근거하여 단계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영역 정보는, 상기 검지 영역의 블록에 대응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이미지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은,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의 변경을 위한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변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전송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데이터와, 상기 화상 센서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화상 센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상 센서는, 상기 변경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터치 패널이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말은, 상기 표시부의 작동 모드를, 상기 검지 영역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화상 센서의 검지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 2 모드의 사이에서 조작 입력에 근거하여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하가 접속되고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센서는, 상기 화상 센서의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감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전송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제어 장치는, 상기 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제어 데이터와, 상기 제어 단말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상기 제어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
KR1020150018401A 2014-02-10 2015-02-06 부하 제어 시스템 KR201500945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3447 2014-02-10
JP2014023447A JP2015152314A (ja) 2014-02-10 2014-02-10 負荷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525A true KR20150094525A (ko) 2015-08-19

Family

ID=5377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401A KR20150094525A (ko) 2014-02-10 2015-02-06 부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16863B2 (ko)
JP (1) JP2015152314A (ko)
KR (1) KR20150094525A (ko)
CN (1) CN104836985A (ko)
TW (1) TWI5745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8074D0 (en) * 2015-05-12 2015-06-24 Apical Ltd People detection
JP7054856B2 (ja) * 2018-05-22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制御用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9714862B (zh) * 2019-02-18 2019-10-29 旭宇光电(深圳)股份有限公司 基于全光谱led的智能照明系统及智能照明方法
JP2021050941A (ja) * 2019-09-20 2021-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JP7199593B2 (ja) * 2020-03-03 2023-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人検知装置、人検知システム、設備機器システム、人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502B2 (en) * 1992-05-05 2010-02-16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sset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WO1999042800A1 (en) 1998-02-20 1999-08-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Finger touch sensors and virtual switch panels
US6995664B1 (en) * 2001-06-20 2006-02-07 Jeffrey Darling Remote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US7006080B2 (en) 2002-02-19 2006-02-28 Palm, Inc. Display system
JP4692437B2 (ja) 2006-08-08 2011-06-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監視カメラ装置
US8300890B1 (en) * 2007-01-29 2012-10-30 Intellivi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Person/object image and screening
JP4888229B2 (ja) 2007-05-28 2012-02-2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JP4981541B2 (ja) 2007-06-26 2012-07-25 アイホン株式会社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288606B2 (ja) 2008-10-22 2013-09-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JP2013004490A (ja) 2011-06-22 2013-01-07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CN102970460B (zh) 2011-08-31 2015-08-26 帷享科技有限公司台中分公司 调校车用影像装置的方法及其系统
JP2013096947A (ja) 2011-11-04 2013-05-20 Panasonic Corp 人センサ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3149361A (ja) 2012-01-17 2013-08-0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制御方法
JP5906878B2 (ja) * 2012-03-27 2016-04-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2014007074A (ja) * 2012-06-25 2014-01-16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CN102905111B (zh) * 2012-09-07 2016-01-20 北京瀚景锦河科技有限公司 用于远程实时视频监控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4562B (zh) 2017-03-11
JP2015152314A (ja) 2015-08-24
US20150226829A1 (en) 2015-08-13
US9716863B2 (en) 2017-07-25
CN104836985A (zh) 2015-08-12
TW201543889A (zh)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4525A (ko) 부하 제어 시스템
US8659230B2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US20140062334A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EP2706821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5160411B2 (ja) 改良された照明システム
EP2748950B1 (en) Coded light detector
US10432195B2 (en) Power outlet socket sensor switch
US8207682B2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6310457B2 (ja) 1又は複数の制御可能な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の制御
EP2067384B1 (en) Illumination system
CN112655279B (zh) 使用移动装置来调试照明控制系统的方法
JP2009283183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WO2017063882A1 (en) Intelligent luminaire
US20160270195A1 (en) Mobile terminal and device control system
EP2605618A1 (en) Light adjustment device and light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575911B2 (ja) 制御方法、及び、情報端末
JP201300431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EP3323274B1 (en) A lighting uni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34262B1 (ko) 무선통신제어방식으로 전자식 스위치와 기기 간의 연동 시스템
JP2015231260A (ja) 電源タップ
JP2017068896A (ja) 調光システム
JP6859747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2231771U (zh) 一种无线控制橱柜灯系统
JP2012103328A (ja) 表示装置
KR1016745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