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533B1 -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533B1
KR101674533B1 KR1020140137602A KR20140137602A KR101674533B1 KR 101674533 B1 KR101674533 B1 KR 101674533B1 KR 1020140137602 A KR1020140137602 A KR 1020140137602A KR 20140137602 A KR20140137602 A KR 20140137602A KR 101674533 B1 KR101674533 B1 KR 10167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amp
value
d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351A (ko
Inventor
정총영
김동휘
최수연
Original Assignee
정총영
김동휘
최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총영, 김동휘, 최수연 filed Critical 정총영
Priority to KR102014013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5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는, 조도 센서 및 GPS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과, 상기 GPS를 통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분리형인 램프에 표시된 소비전력 정보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형성되는 판독부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에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가변 인자를 변경하여 상기 램프를 디밍하는 디밍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조도 값과 상기 판독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소비전력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가변 인자의 변경될 값을 결정해서 상기 디밍 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램프의 교체가 발생되는 경우 추가적인 조작없이 상기 판독부를 통해 자동으로 갱신된 소비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가변 인자의 값을 변경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밍 모듈은, 상기 램프에 제공되는 외부 전원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가변 저항과, 상기 램프의 전원 단자를 도전 링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가변 저항과 상기 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통신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및 상기 이벤트 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밝기 변화가 상기 조도 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도 값에 기초한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자세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세에 대한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도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는 자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의 유효도를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LAMP DIMMING DEVICE LINKED WITH MOBILE TERMINAL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와 같은 조명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를 칭한다. 조명 장치는 전환된 광 에너지를 통해 조도가 낮은 환경을 조도가 높은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때문에 조명 장치는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조명 장치는, 기본적으로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함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전원의 공급뿐 아니라, 전원의 공급 중단까지 모두 사용자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명이 발광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출과 같은 이유로 조명 장치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황의 경우, 불필요한 조명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전력 낭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 낭비의 사례는 단지 가정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조명 장치가 존재하는 모든 건물들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낭비되는 전력은 단순히 전기 요금이 상승되는데 그치지 않고, 국가적으로 사회 간접 시설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 증가와 전력 수급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동형 조명 장치가 개발되어 일반에 공급되고 있다. 능동형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에 부착된 센싱 장치와 제어부를 통해 조명의 온/오프를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하게 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조명 상태를 유지하지 않게 되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능동형 조명 장치는 조명의 온/오프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자체 내에 센싱 장치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장비의 사이즈과 커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조도 값을 통해 램프의 조명 상태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는, 조도 센서 및 GPS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과, 상기 GPS를 통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분리형인 램프에 표시된 소비전력 정보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형성되는 판독부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에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가변 인자를 변경하여 상기 램프를 디밍하는 디밍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조도 값과 상기 판독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소비전력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가변 인자의 변경될 값을 결정해서 상기 디밍 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램프의 교체가 발생되는 경우 추가적인 조작없이 상기 판독부를 통해 자동으로 갱신된 소비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가변 인자의 값을 변경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밍 모듈은, 상기 램프에 제공되는 외부 전원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가변 저항과, 상기 램프의 전원 단자를 도전 링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가변 저항과 상기 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통신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및 상기 이벤트 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밝기 변화가 상기 조도 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도 값에 기초한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자세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세에 대한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도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는 자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의 유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조도 값을 통해 램프의 조명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상태에 따라 램프의 디밍이 조절되도록 하여, 램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람의 유무에 따라 디밍을 조절하여, 사람이 존재하는 않는 상황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대표 동작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제어 조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구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디밍 모듈(130), 제어 모듈(150), 인체 감지 센서(17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도 1에 도시된 조도 센서(I) 및 자세 센서(P)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M)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M)로부터 감지되는 조도, 자세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M)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0)은 램프(L)에 표시된 소비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상기 소비전력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 모듈(150)에 제공되어, 제어 모듈(150)이 디밍을 위한 가변 인자의 변경될 값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디밍 모듈(130)은, 램프(L)와 연결되어 램프(L)의 광 출력을 제어(디밍)하기 위한 수단이다. 램프(L)에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가변 인자를 변경함으로써 디밍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밍 모듈(130)은, 가변 저항(131), 도전 라인(133), 도전 링(135)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저항(131)은 외부 전원에 대한 저항값을 소정의 제어에 따라 변경하기 위한 수단으로 슬라이드 저항기, 플러그형 저항기, 다이얼형 저항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131)은 후술하는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저항값을 변경함으로써 램프(L)를 디밍할 수 있다.
도전 라인(133)은, 가변 저항(131)과 후술하는 제어 모듈(15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 모듈(150)에서 변경된 저항값을 가변 저항(13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전 라인(133)은 추가적으로 연장되어 링 형상의 도전 링(135)에 의해 램프(L) 중 외부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 단자(T)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 링(135)은, 도전 라인(133)과 전원 단자(T)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수단으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전원 단자(T)에 각각 끼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 라인(133)이 도전 링(135)에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인 전원 단자(T)에 도전 링(135)이 끼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디밍 모듈(130)과 램프(L)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조도 값에 기초하여 가변 인자의 변경될 값을 결정해 디밍 모듈(13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말해, 이동통신 단말기(M)의 조도 값에 따라 가변 저항(131)의 저항값을 갱신하여, 갱신된 저항 값에 따라 가변 저항(13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131)의 저항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만큼 램프(L)에 디밍이 실시되어, 결과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조도 값에 따라 램프(L)의 디밍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50)은 디밍 장치(100) 일측에 설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170)와 연결되어, 인체 감지 센서(170)의 감지 결과를 기초하여 디밍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 모듈(150)은, 도 2에 도시되는 메모리(180)와 패키지화되어, 메모리(180)에 저장되는 정보들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80)는 이동통신 단말기(M)로부터 통신 모듈(110)에 수신되는 정보들, 소비전력 정보, 인체 감지 센서(170)에서 감지되는 결과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은, 이동통신 단말기(M) 연동형 램프(L) 디밍 장치(100)의 구성에 관한여 설명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한 구성들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대표 동작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제어 조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밍 장치(100)의 기본적인 구동 방법을 보면, 최초 디밍 장치(100)가 이동통신 단말기(M)로부터 조도 값을 수신받는다(S1).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M)는 디밍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거주지 또는 일반 건물)에 위치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M)에 측정되는 조도 값은 램프(L)가 설치된 영역의 조도 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밍 장치(100)는 해당 조도 값을 참조하여 외부 전원의 가변 인자의 가변될 값을 결정한다(S3). 이렇게 가변된 값에 따라 디밍 모듈(130)의 디딩을 실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M)의 조도 값에 따라 램프(L)의 광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S5).
도 4는 디밍 장치(100)의 세부적인 동작(동작 조건 포함)을 갖는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최초, 디밍 장치(100)의 제어 모듈(150)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M)가 소정 영역 내에 진입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M)가 소정의 접근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제어 모듈(110)이 해당 접근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M)가 GPS를 통해 설정된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접근 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제어 모듈(150)이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50)은 상기 접근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M)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1).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M)로 판단되면, 제어 모듈(150)은 통신 모듈(1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M)로, 조도 센서(I)를 활성화하고 측정된 조도 값을 회신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S13).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M)에서 측정된 조도 값이 수신되면(S15), 제어 모듈(150)은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7).
제어 조건은,
1)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M)가 설정된 통신 구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M)에 구비되는 GPS의 위치 정보를 통신 모듈(110)로 전송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10)을 통해 통신 모듈(110)과 통신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M)가 설정된 통신 구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램프(L)를 디밍하여 전력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2) 이동통신 단말기(M)에서 전송되는 이벤트 정보를 통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통신 및 앱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I)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외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M)의 화면이 밝은 상태에서 조도 값이 측정된 경우, 광 간섭에 의해 해당 조도 값의 유효도는 낮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벤트가 발생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M)에서 전송된 조도 값은 디밍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도 센서(I)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3) 이동통신 단말기(M)의 자세 센서(P)로부터 수신되는 자세 정보를 통해 조도 값의 유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도 센서(I)가 이동통신 단말기(M)의 외면에 설치된다. 때문에, 조도 센서(I)가 외부에 노출되는 자세가 아닌, 바닥이나 책상과 같은 물체와 대면하는 자세로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의 조도와 상관없이 낮은 조도 값만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150)은 이동통신 단말기(M)의 자세 정보를 통해 조도 센서(I)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조도 값의 유효도를 판단할 수 있다.
4) 제어 모듈(150)은 디밍 장치(100)에 구비된 인체 감지 센서(170)를 통해 감지된 감지결과가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조도 값의 유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M)가 설정 구역에 위치하고 조도 값을 전송하였으나, 해당 구역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램프(L)를 디밍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램프(L) 디밍의 이유가 사람에게 적절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의 제어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조도 값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150)은 상기한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조도 값을 기초로 디밍 모듈(130)을 통해 램프(L)의 디밍을 실시한다(S19). 반대로 해당 제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밍 작동을 중지하여(S21)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디밍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밍 장치(100)에 추가적인 조도 센서(I)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M)에 구비된 조도 센서(I)를 통해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램프(L)의 디밍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디밍 장치 170: 인체 감지 센서
110: 통신 모듈 180: 메모리
115: 판독부 M: 이동통신 단말기
130: 디밍 모듈 I: 조도 센서
131: 가변 저항 P: 자세 센서
133: 도전 라인 L: 램프
135: 도전 링 T: 전원 단자
150: 제어 모듈

Claims (11)

  1. 조도 센서 및 GPS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과, 상기 GPS를 통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생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분리형인 램프에 표시된 소비전력 정보를 자동으로 판독하도록 형성되는 판독부를 구비하는 통신 모듈;
    상기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에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가변 인자를 변경하여 상기 램프를 디밍하는 디밍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조도 값과 상기 판독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소비전력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가변 인자의 변경될 값을 결정해서 상기 디밍 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램프의 교체가 발생되는 경우 추가적인 조작없이 상기 판독부를 통해 자동으로 갱신된 소비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가변 인자의 값을 변경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밍 모듈은, 상기 램프에 제공되는 외부 전원의 저항값을 변경하기 위한 가변 저항과, 상기 램프의 전원 단자를 도전 링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가변 저항과 상기 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통신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및 상기 이벤트 정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밝기 변화가 상기 조도 센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도 값에 기초한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자세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세에 대한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도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는 자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의 유효도를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37602A 2014-10-13 2014-10-13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7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02A KR101674533B1 (ko) 2014-10-13 2014-10-13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02A KR101674533B1 (ko) 2014-10-13 2014-10-13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51A KR20160043351A (ko) 2016-04-21
KR101674533B1 true KR101674533B1 (ko) 2016-11-15

Family

ID=5591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602A KR101674533B1 (ko) 2014-10-13 2014-10-13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5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5640A (ja) * 2009-03-05 2010-09-16 Ushio Inc 外部電極型希ガス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用希ガス蛍光ランプユニット
KR101228433B1 (ko) * 2012-06-25 2013-01-31 (주)오로라이앤아이 원격 관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 모듈
KR101353195B1 (ko) * 2011-12-26 2014-01-2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611A (ko) * 2012-04-12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디바이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5640A (ja) * 2009-03-05 2010-09-16 Ushio Inc 外部電極型希ガス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用希ガス蛍光ランプユニット
KR101353195B1 (ko) * 2011-12-26 2014-01-2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1228433B1 (ko) * 2012-06-25 2013-01-31 (주)오로라이앤아이 원격 관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51A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998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ler
US9591718B2 (en) Illuminance configuring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665581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照明制御装置
US20180084622A1 (en) Optically controlled ligh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82223B1 (en) Anti-tampering daylight harvesting system
KR101204374B1 (ko) 피엘씨 통신방식을 이용한 주차장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170118820A1 (en) Method for illuminating a light box
CN112119677B (zh) 具有电力故障检测的照明装置
KR101206042B1 (ko) 모션감지용 양방향센서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CN106888537A (zh) 照明系统及照明系统控制方法
JP200820489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6745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연동형 램프 디밍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4351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KR101510409B1 (ko)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인체감지센서와 플러그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제어 시스템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KR101934262B1 (ko) 무선통신제어방식으로 전자식 스위치와 기기 간의 연동 시스템
CN207135333U (zh) 照明系统
TWI573991B (zh) 智慧型光感測系統
EP2451252A1 (en) Lighting system
US202100149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ght level and daylight harvesting calibration using mobile handheld devices
KR101239657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101208901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102188131B1 (ko) 휴대용 조명제어장치 및 그를 가지는 스마트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