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368A -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368A
KR20150094368A KR1020140015588A KR20140015588A KR20150094368A KR 20150094368 A KR20150094368 A KR 20150094368A KR 1020140015588 A KR1020140015588 A KR 1020140015588A KR 20140015588 A KR20140015588 A KR 20140015588A KR 20150094368 A KR20150094368 A KR 2015009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sound
hemispherical
harmful animal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배
Original Assignee
박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배 filed Critical 박광배
Priority to KR102014001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368A/ko
Publication of KR2015009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나 포유류 등(이하, "유해동물"이라 함)으로 부터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한 소음을 발생시킬 때, 유해동물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물론 소음에 대하여 면역력(일정한 기간동안 자주 들으면 쉽게 익숙해지거나 적응하게 되어 퇴치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추는 것이 사실한 어려운 새로운 파장대의 초고음 종소리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유해동물의 퇴치와 농작물의 방어에 보다 더 효과적인 새로운 유해동물 퇴치용 초고음 종소리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즉,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A)에 있어서, 반구형이면서 내부에는 속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아래 측으로는 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종체(100)를 구성시킨 것과;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210) 및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반구형 종체(100)의 내벽을 초고속으로 타격하는 타종핀(220)이 포함하는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은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측 중심부와 고정되는 종간 결합부(310)가 상부에 구성되고 하부에는 농작물의 재배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피설치 대상체(400)에 용이하게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수단(320)이 갖춰진 설치용 하우징(300)에 설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The fight against crop damage prevention purposes bell generator Vermin}
본 발명은 조류나 포유류 등(이하, "유해동물"이라 함)으로 부터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한 소음을 발생시킬 때, 유해동물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은 물론 소음에 대하여 면역력(일정한 기간 동안 자주 들으면 쉽게 익숙해지거나 적응하게 되어 퇴치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추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새로운 파장대의 초고음 종소리를 자동으로 발생시켜 유해동물의 퇴치와 농작물의 방어에 더욱더 효과적인 새로운 유해동물 퇴치용 초고음 종소리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과수원과 같은 과수(사과, 배 등) 농가나 벼 또는 밭농사를 지을 때, 각종 조류들(참새, 까치, 까마귀 등)과 포유류(멧돼지, 고라니 등)에 의한 피해가 일반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아주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최근 과수농가에서는 새와의 전쟁까지 선포할 지경이라 한다.
물론, 과수나 논과 밭농사에 유해동물의 피해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므로 아주 다양한 방지책들이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우수한 성능을 자랑하고만 일을 뿐 현장에서는 실전효율이 높아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유해동물퇴치장치는 지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조류를 쫓기 위해 허수아비나 바람이 불면 흔들려 어른거리는 은박 띠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효과가 미미한 탓으로 최근에는 유해동물이 싫어하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유효하게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평범하게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포유류나 조류가 싫어하는 소음(천적의 울음소리를 고출력 외부 스피커를 통해 흘려 보내는 등)을 발생하는 것은,
초기에는 다소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조류의 학습효과 및 면역력 갖춰지면서 퇴치기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농작물의 피해방지에 어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조류가 특히 싫어할 뿐 아니라 반복적으로 듣더라도 적응하거나 학습효과 또는 면역력을 갖춰지기가 아주 까다로운 음역대로 타종 소리가 탁월한 효가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 종소리를 이용한 조류의 퇴치 방법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소리를 이용한 조류퇴치방법에는 과수농원 전체를 쇠줄(와이어)로 가설하고 일정 간격으로 종을 매달아 바람이 불련 종소리가 나도록 하거나 또는 전동 장치로 와이어를 일정한 주기간격으로 흔들어서 종소리를 내는 방법 등이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예 중 특허등록 10-1318811호(조류 퇴치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에 수직가이드레일(13)이 형성되고 상단 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주프레임(11)이 고정 배치된 본체하우징(10)과,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모터(26)와 감속기(27), 작동모터(26)의 작동시간을 조절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5)를 갖춘 동력발생부(1)와, 작동모터(26)의 회전운동을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를 통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 이동할 수 있게 수직가이드레일(13) 상에 배치된 슬라이더(14)와 연동몸체(22), 연동몸체(22)의 상단면에 수직 배치되고 상부 끝단에 고리(21)가 형성된 승하강축(20)을 갖춘 승하강부(3)와, 상기 고리(21)와 조류 퇴치가 필요한 지역을 커버할 수 있게 고정배치된 다수의 고정체(34)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사방으로 분산 배치되는 다수의 와이어(30)와, 와이어(30) 상에 배치된 다수의 종(31)을 갖춘 소음발생부(4)와, 본체하우징(10)의 상단면 상에 수직 배치되어 고리(21)에 연결된 와이어(30)를 지탱할 수 있는 중공관(40)과, 이 중공관(40) 상단에서 와이어(30)를 사방으로 분기 배치되게 지지하는 롤러브라켓통(42)과, 롤러브라켓통(42)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와이어(30)의 이동을 고정도르레 형태로 안내하는 다수의 고정롤러(33)를 갖춘 와이어지지부(5)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등록 기술은, 종소리를 내기 위하여 막대한 설치비용이 소모될 뿐 아니라 특히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밀려 흔들릴 때 종의 내부에 매달려있는 추(흔들림에 따라 자유 운동하는 금속추)가 종의 내벽을 때리는 충격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소리의 형태가 비교적 단순할 뿐 아니라 80년대 이전의 학교에서 쉽게 들을 수 있었던 수업시간을 알리는 종소리와 비슷하여 조류를 쫓는 악성소음이라기 보다는 비교적 듣기에 거북하지 않은 중간 정도의 음역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어느 정도 반복된 시간이 지나면 조류 또는 포유류들이 학습 및 적응하여 근본적인 피해방지가 한계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조류나 포유류가 싫어하는 종소리 중에서도 더욱더 화들짝 놀라서 달아날 수 있고, 반복되더라도 적응과 학습 및 면역력을 갖추기에도 사실상 불가능한 새로운 초고음 음역대의 종소리를 그것도 자동으로 출력하여, 작물에 악영향을 주는 조류 및 포유류를 포함하는 유해동물의 퇴치와 농작물 피해방어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A)에 있어서, 반구형이면서 내부에는 속 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아래 측으로는 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종체(100)를 구성시킨 것과;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210) 및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반구형 종체(100)의 내벽을 초고속으로 타격하는 타종핀(220)이 포함하는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은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측 중심부와 고정되는 종간 결합부(310)가 상부에 구성되고 하부에는 농작물의 재배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피설치 대상체(400)에 용이하게 결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설치수단(320)이 갖춰진 설치용 하우징(3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는 전술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속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아래 측으로는 소리가 출력되는 종구가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상의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 전동모터(210) 및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반구형 종체(100)의 내벽을 타격하여 가능한 타종핀(220)이 포함하는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전기를 변환하거나 솔라 등으로 현장즉석에서 발전된 전원 또는 밧데리(건전지 포함) 전원 등(특히 DC 12,24V 등)이 공급될 수 있는 조건만 갖추면 기본적으로 RPM 1000 이상의 고속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로 종을 타격하여 이에 의한 초고음의 종소리(조류나 포유류들이 더욱더 싫어하고 놀랄 수 있는 특별한 종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어 유해동물들의 퇴치에 더욱더 효과적일 뿐 아니라 그러한 동작들이 전적으로 전동 및 제어부에 의한 자동화 및 컨트롤 될 수 있음으로 그 소리의 발생시키는 타임의 주기 또한 용이하게 설정이 가능함으로 아주 편리한 것은 물론, 특히 구성과 설치가 아주 편리하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저렴하여 설치 적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까지 최소화될 수 있고, 설치할 장소나 위치 역시 전원만 연결될 수 있는 곳이면 어떠한 피설치대상체에도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을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의 부분 파절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의 또 다른 응용실시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동방지턱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조류, 포유류 등과 같이 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의 퇴치를 목적으로 각종 농작물 재배지의 기존 또는 신규 시설물 등에 단독 또는 다른 기능 및 용도의 부품과 함께 설치될 수 있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A)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동시에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속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아래 측으로는 종소리가 출력되는 종구를 포함하는 반구형 종체(100)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속빈 공간부(110)에는 전원에 의해 RPM 1000 이상 고속으로 회전되는 소형 전동모터(210)와,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반구형 종체(100)의 내벽을 초고속으로 타격하여 종소리를 유발하는 타종봉(220)이 포함되는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은, 내부에 전동모터 삽설홈과 타격핀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또는 합금으로 사출(다이캐스팅 포함) 성형되거나 또는 박판으로 프레스 가공된 설치용 하우징(300)에 의해 안전하게 설치시켜서 된 것; 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이때,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의 상부에는 조임홈(311)을 갖는 종간 결합부(310)를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중심부에는 고정홈(110)을 천공시켜 상호 볼팅 고정하면 아주 간단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의 하측부 또는 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는, 농작물의 재배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피설치 대상체(4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수단(310)을 갖출 수 있는 데,
이는 설치용 하우징(300)을 피설치 대상체(4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강력접착제나 양면페이프 등으로 부착할 수도 있지만 약할 수 있음으로 다수개의 결합홈(미도 시)을 뚫어서 볼트(미도 시)로 결속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볼트에 의한 결합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이 든다는 단점이 있는 바, 도면과 같이 "ㄷ" 형 걸림 고리(311)를 형성시키면 이와 맞물린 되는 걸림돌기(410)를 갖는 피설치 대상체(400)에 간단하게 끼우기만 하면 결합이 완료될 수 있음으로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은,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속빈 공간부(110)에는 전원에 의해 RPM 1000 이상 고속으로 회전되는 소형 전동모터(210)를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210)의 전측에는 캠(21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캠(21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금속핀 형태이면서 종과 타격 되는 타격부(221)와 캡과 접촉되는 캡접촉부(222)를 갖는 타종봉(220)이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타종봉(220)의 후방에는 멈춤링(230)을 끼운 다음 그 전측에 코일스프링(240)을 구비시켜, 상기 회전축(210) 및 캠의 동작에 따라 타종봉(220)이 요동할 때 일정한 간격만큼 움직인 후 다시 원위치 복귀하는 동작이 자동 반복되는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설계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 및 캠(211)과 타종봉(220)의 후방 캡접촉부(222) 사이에는 경도가 높은 금속 간 마찰로 인한 손상이 유려됨에 따라 이를 완화하는 동시에 상기 타종봉(220)의 고속 요동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링크부재(24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40)는 캡(211)이 편심으로 회전되는 구간보다 큰 허용공간(241)을 갖는 동시에 앞쪽에는 캡(211)과 직접 접촉되는 마찰부(242)를 갖는 동시에, 상기 마찰부(242)의 전측 외부에는 타종봉(220)의 후방 캡접촉부(222)를 수용하는 삽입부(243)가 형성되고, 상기 허용공간(241)에는 항시 정확한 직선움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가이딩 하는 안내돌부(24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240)는 필요 따라 선택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불필요한 경우에는 결여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링크부재(240)를 구성시킬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은 장점은 있을 수 있지만, 상기 캡의 운동에 따라 상기 타종봉(220)에 전해져야 하는 고속의 유효한 힘과 충격이 일부 완충되어 정확한 전달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링크부재(240)를 결여시킬 경우에는 그 대신 상기 회전축(210)의 캡(211) 앞쪽에 위치하는 상기 타종봉(220) 후방의 저면을 받치면서 안내하는 안내받침편(250)을 하우징 내에서 돌출시켜 놓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 상부의 종간 결합부(310)와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 중심부간 결합시킬 때, 상호 밀착을 상기 종간 결합부(310)와 상기 반구형 종체(100)에 천공된 고정홈(110)을 통해 볼팅으로만 고정하여도 무방하지만, 서로 밀착되는 부위 중 어느 일면에는 걸림돌기(320)를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면에는 삽입홈(330)을 추가로 더 형성시키면 보다 바람직하고, 더군다나 상기 종간 결합부(310)가 밀착되는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 중심부의 양측에는 종간 결합부(310)의 뒤틀림 자체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턱(340)을 각각 형성시키면 더욱더 확실한 결속력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의 저면에는 조립의 용이성과 사출성형 등의 제조상 편의를 위해 덮개 플레이트(38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덮개 플레이트(380)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수단(310)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380)에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반구형 종체(100)는, 강도 및 경도가 아주 높은 금속재질을 이용해 프레스 또는 다이캐스팅 등의 성형방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유효한 종소리를 내기 위해 종의 전통적인 제조방법인 주물성형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동모터에 의해 반구형 종체를 타격하여 소리를 내면, 반구형 종체를 때리는 타종봉이 전동모터의 초고속 회전(PRM DIR 1000 이상)에 따라, 그 속도에 비례하여 초고속으로 반복하여 때리기 때문에, 추가 달린 종을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기존과는 비교자체가 되지 않는, 강한 쇄소리를 포함하는 초고음의 종소리가 멀리까지 퍼져나갈 수 있음으로 유해동물들이 놀라서 달아나지 않을 수 없어 유해동물의 퇴치는 물론 농작물의 피해방지에도 아주 유용하고 나아가 그 초고음 종소리를 발생시키는 간격주기를 아주 다양한 패턴으로 설정도 자유롭게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하면 동작정지 또한 간단하게 제공되는 등 아주 획기적인 발명이 아닐 수 없다.
A: 종소리 발생기 100: 반구형 종체
110: 공간부 200: 타격수단
210: 전동모터 220: 타종봉
300: 하우징

Claims (11)

  1. 조류, 포유류 등과 같이 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의 퇴치를 목적으로 각종 농작물 재배지의 기존 또는 신규 시설물 등에 단독 또는 다른 기능 및 용도의 부품과 함께 설치될 수 있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A)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동시에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속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아래측으로는 종소리가 출력되는 종구를 포함하는 반구형 종체(100)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속빈 공간부(110)에는 전원에 의해 RPM1000이상 고속으로 회전되는 소형 전동모터(210)와, 상기 전동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면서 반구형 종체(100)의 내벽을 초고속으로 타격하여 종소리를 유발하는 타종봉(220)이 포함되는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은, 내부에 전동모터 삽설홈과 타격핀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또는 합금으로 사출(다이캐스팅 포함) 성형 되거나 또는 박판으로 프레스 가공된 설치용 하우징(300)에 의해 안전하게 설치시켜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의 상부에는 조임홈(311)을 갖는 종간 결합부(310)를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중심부에는 고정홈(110)을 천공시켜 상호 볼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의 하측부 또는 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는, 농작물의 재배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피설치 대상체(4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수단(310)을 구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310)은 다수개의 결합홈(미도 시)을 뚫어서 볼트(미도시)로 결속하는 구성,
    또는 "ㄷ"형 걸림 고리(311)를 형성시켜서, 이와 대응하는 피설치 대상체(400)의 걸림돌기(410)와 상호 맞물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자동화 타격수단(200)은,
    상기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속빈 공간부(110)에는 전원에 의해 RPM 1000 이상 고속으로 회전되는 소형 전동모터(210)를 구성하고,
    상기 전동모터(210)의 전측에는 캠(21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캠(21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금속핀 형태이면서 종과 타격 되는 타격부(221)와 캡과 접촉되는 캡접촉부(222)를 갖는 타종봉(220)이 구성되고,
    상기 타종봉(220)의 후방에는 멈춤링(230)을 끼운 다음 그 전측에 코일스프링(240)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0) 및 캠(211)과 타종봉(220)의 후방 캡접촉부(222) 사이에는, 경도가 높은 금속 간 마찰로 인한 손상이 유려됨에 따라 이를 완화하는 동시에 상기 타종봉(220)의 고속 요동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링크부재(240)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40)는, 캡(211)이 편심으로 회전되는 구간보다 큰 허용공간(241)을 갖는 동시에 앞쪽에는 캡(211)과 직접 접촉되는 마찰부(242)를 갖는 동시에, 상기 마찰부(242)의 전측 외부에는 타종봉(220)의 후방 캡접촉부(222)를 수용하는 삽입부(243)가 형성되고, 상기 허용공간(241)에는 항시 정확한 직선움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가이딩 하는 안내돌부(24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10) 및 캠(211)과 타종봉(220)의 후방 캡접촉부(222)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210)의 캡(211) 앞쪽에 위치하는 상기 타종봉(220) 후방의 저 면을 받치면서 안내하는 안내받침편(250)을 설치용 하우징(300)으로 부터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 상부의 종간 결합부(310)와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 중심부 사이의, 어느 일면에는 걸림돌기(320)를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면에는 삽입홈(330)을 추가로 더 형성시킨 것과,
    상기 종간 결합부(310)가 밀착되는 반구형 종체(100)의 내부 중심부의 양측에는, 종간 결합부(310)의 뒤틀림 자체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턱(340)을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하우징(300)의 저 면에는 조립의 용이성과 사출성형 등의 제조상 편의를 위해 덮개 플레이트(38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덮개 플레이트(380)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수단(310)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380)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종체(100)는, 강도 및 경도가높은 금속재질을 이용해 프레스 또는 다이캐스팅 등의 성형방법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주물성형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KR1020140015588A 2014-02-11 2014-02-11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KR20150094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88A KR20150094368A (ko) 2014-02-11 2014-02-11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88A KR20150094368A (ko) 2014-02-11 2014-02-11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68A true KR20150094368A (ko) 2015-08-19

Family

ID=5405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588A KR20150094368A (ko) 2014-02-11 2014-02-11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3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83A (ko) 2018-02-26 2019-09-0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 퇴치 장치
KR20210101961A (ko) 2020-02-11 2021-08-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조수 퇴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583A (ko) 2018-02-26 2019-09-04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 퇴치 장치
KR20210101961A (ko) 2020-02-11 2021-08-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해조수 퇴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ehler et al. Frightening methods and devices/stimuli to prevent mammal damage--a review
KR101318811B1 (ko) 조류 퇴치장치
KR101723304B1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KR101872516B1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EP3791718A1 (en) Wild animal repelling device
KR20150094368A (ko)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US9060499B2 (en) Fishing rig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20090011656U (ko)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KR101260069B1 (ko) 조, 수류 퇴치기
KR20230170755A (ko) 유해 동물 관리 시스템
JP5460782B2 (ja) 鳥獣威嚇装置
US202003521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ising juvenile farm animals
KR200467674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KR102033068B1 (ko)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KR20200083077A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273557B1 (ko)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KR102347926B1 (ko) 유해 조수 퇴치기
KR100412045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180000391U (ko) 두더지 퇴치기
KR102033644B1 (ko) 조류 퇴치 장치
CN219844656U (zh) 一种福寿螺诱捕器
KR20230092037A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KR900002079Y1 (ko) 농작물 유해 조수 퇴치용 모형새
KR20240006820A (ko) 유해조류 및 설치류 퇴치장치
JP3155554U (ja) 鳥獣害防止用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