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516B1 - 유해조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유해조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516B1
KR101872516B1 KR1020160115722A KR20160115722A KR101872516B1 KR 101872516 B1 KR101872516 B1 KR 101872516B1 KR 1020160115722 A KR1020160115722 A KR 1020160115722A KR 20160115722 A KR20160115722 A KR 20160115722A KR 101872516 B1 KR101872516 B1 KR 10187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otor
fixed
rota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255A (ko
Inventor
손진덕
Original Assignee
손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덕 filed Critical 손진덕
Priority to KR102016011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5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1/00Hunt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상부벽(212) 및 측벽(211)으로 이루어져, 지면 쪽을 향한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외곽부(210); 상부벽(212) 위에 고정되고 회전축(226)이 상부벽(212)을 관통하게 형성된 모터(220); 하단에는 수나사부(234)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모터(220)의 회전축(226)이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 모양의 회전봉(230); 회전봉(23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240); 상기 고정부(240)는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241)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봉(230)의 수나사부(234)와 나사체결되며, 고정부(240)의 양측면에는 와이어 삽입공(247)이 구비되고, 관통공(241)의 내부에는 고정구(242)가 삽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와이어 삽입공(247)에 길이가 조절되어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250);
와이어(25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251); 절곡부(251)에 끼움 결합되는 타격체(2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Description

유해조수 퇴치장치{apparatus for prevention of fur and feather}
본 발명은 소리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된 타격체가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외주면을 이루는 측벽과 부딪치게 하여 소음을 발생시켜 유해조수를 퇴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인 도 1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면 몸체(10)를 통하여 머리(11), 몸통(13) 및 한쪽 팔(15)로 공기가 공급되어 지면서 사람형상의 허수아비풍선이 팽창되어 진다.
그런 다음, 몸체(10)의 팔이 없는 일측면에 접착제(31) 등을 사용하여 연결부재(30)를 접착한다. 몸체(10)가 달린 연결부재(30)의 내부에 지지대(20)를 끼우고 고정부재(21,21')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연결부재(30)를 통해 몸체(10)가 고정된 지지대(20)의 하측을 논이나 밭 등과 같이 새 혹은 짐승들이 출몰하기 용이한 지역에 꽂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몸체(10)에 바람이 부딪히게 되어 몸체(10)가 지지대(20)를 축으로 바람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새나 짐승으로부터 움직임을 인식시켜 접근을 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허수아비는, 제자리에 그대로 있기 때문에 도망쳤던 새나 짐승들이 가짜라는 것을 눈치채고 다시 돌아와서 부담없이 농작물을 먹어치움으로 인하여 농민들에게 심대한 경제적인 피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020호(2013.08.22.공개) '바람을 이용한 회전형 풍선 허수아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된 타격체가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외주면을 이루는 측벽과 부딪치게 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 것으로서, 유해조수인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까치, 참새 등의 청각을 불규칙적으로 자극하여 반복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도록 함으로써, 논, 밭 또는 과수원 등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유해조수 퇴치장치로서,
상부벽 및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지면 쪽을 향한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외곽부; 상부벽 위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상부벽을 관통하게 형성된 모터; 하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으로는 모터의 회전축이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 모양의 회전봉; 회전봉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봉의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며, 고정부의 양측면에는 와이어 삽입공이 구비되고, 관통공의 내부에는 고정구가 삽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길이가 조절되어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 와이어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 절곡부에 끼움 결합되는 타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터에는 컨트롤 박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 박스는 밧데리와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격체는 중공의 너트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외곽부의 양측 상단에는 체인형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는 반구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평탄면과 안내부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봉의 하단이 평탄면을 가압하여 고정부내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양끝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U'자형 앵커; 'U'자형 앵커가 끼움 결합되는 2개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와셔; 'U'자형 앵커의 양끝단에 나사체결되는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봉의 상단 외측면에는 머리부분에 육각렌치홈이 형성된 스터드볼트가 회전봉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가압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관통되는 부분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스터드볼트가 나사체결 됨으로써, 회전봉을 회전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수 또는 회전시간을 불규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해조수가 출몰하는 장소의 나무 등 높은 곳에 유해조수 퇴치장치를 거치하여 소음을 멀리까지 전달함으로써 유해조수를 퇴치하는 효과와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는 밧데리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전원이 들어와 있지 않은 논이나 밭, 과수원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수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불규칙한 소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규칙적인 소음에서는 놀라지 않던 유해조수를 예기치 않게 놀라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수 퇴치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유해조수 퇴치장치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 회전축과 회전봉의 결합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부의 사시도,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6는 본 발명 와이어 결합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연결고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이다.
이 실시 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유해조수 퇴치장치는 본체(200)와 컨트롤 박스(300)로 구성된다.
본체(200)는 외곽부(210), 모터(220), 회전봉(230), 고정부(240), 와이어(250), 타격체(260)로 대별된다.
외곽부(210)는 본체(200)의 모양을 형성하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측벽(211)과 상부벽(212)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쪽 즉 지면쪽을 향하여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하고 있다. 측벽(211)에 타격체(260)가 부딪쳐서 소음을 발생시킨다. 상부벽(212)에는 모터(220)가 결합되어 있다.
모터(220)는 상부벽(212)에 볼트(221)로 결합되어 있는데, 모터(2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프레임(222)에 4개의 볼트공(223)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상부벽(212)에도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221)를 관통하여 모터(220)를 고정시키며, 볼트(221)의 나사부 끝단은 와셔(224)와 너트(225)로 체결되어 있어, 분해결합이 용이하다. 모터(220)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226)도 상부벽(212)을 관통하고 있다.
외곽부(210)의 양측단에는 체인형 걸고리(213)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유해조수 퇴치기를 높은 나무 등에 걸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은 지면에 가까울 때보다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곳에서 발생 될 때 더 멀리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걸고리(213)의 양 끝단에는 연결고리(2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고리(214)는 일측이 개방된 개폐부(215)와 개폐부(215)를 차단하는 개폐부재(216)로 형성되어 있고, 개폐부재(216)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개폐부(215)를 탄성적으로 개폐한다. 외곽부(210)의 상부벽(212) 끝단에는 체결공(217)이 구비되어 있어, 연결고리(214)와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개폐부재(216)는 강도와 탄성을 고려하여 공지의 적절한 재질을 선택하되,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 회전축과 회전봉의 결합단면도 및 사시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230)은 중심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중공부에 모터(220)의 회전축(226)이 끼움 결합된다. 회전봉(230)과 결합된 회전축(226) 부분, 즉 회전봉(230)의 상단에는 머리부분 중앙에 육각렌치홈(232)이 형성된 스터드볼트(231)가 회전봉(230)을 관통하여 회전축(226)을 가압하고 있어, 회전축(226)과 회전봉(230)이 고정된다.
회전봉(230)의 상단 머리부분에는 너트(233)가 형성되어 있어, 스터드볼트(231)가 나사 체결된다. 회전봉(23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수나사부(234)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고정부(240)가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 고정부의 사시도,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40)는 중앙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241)과 양측면에 와이어 삽입공(247)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241) 및 삽입공(247)은 고정부(240)의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관통공(241)의 내부에는 고정구(242)가 삽입된다.
고정구(242)는 원통형의 몸체(243)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는 반구형 돌출부(2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구(242)의 상단부는 평편한 형상의 평탄면(246)과 평탄면(246)의 중앙에 돌출된 안내부(245)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고정구(242)의 평탄면(246)은 회전봉(230)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회전봉(230)의 수나사부가 고정부(240)의 관통공(241)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체결될 때 회전봉(230)의 하단이 고정구(242)의 평탄면(246)을 가압하여 후술하는 와이어(250)를 고정부(240) 내에서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와이어(250)는 고정부(240)이 양측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공(247)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며, 와이어(250)는 양끝단에 절곡된 절곡부(25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와이어(250)는 중앙 일부가 상기 와이어 삽입공(247)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양측이 상기 고정부(2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고정구(242)가 나사 체결에 의하여 가압되면 와이어(250)도 고정구(242)의 하단에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244)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부(240)의 내부에 고정된다.
고정구(242)는 나사가 풀리면 와이어(250)를 가압하기 않게 되므로, 와이어(250)는 와이어 삽입공(247)을 통하여 한쪽을 길게, 한쪽은 짧게 필요에 따라서 돌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와이어 결합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절곡부(251)는 양끝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U'자형 앵커(252)의 내측에 삽입된다. 'U'자형 앵커(252)는 클립와셔(253)와 결합되는데, 클립와셔(253)에는 볼트공(254)이 2개 형성되어 있어, 'U'자형 앵커(252)의 끝단부가 삽입되고, 끝단부는 너트(255)로 조여져서 와이어의 절곡부(251)가 고정된다. 이 와이어의 절곡부(251)는 원호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하는 타격체(260)가 와이어(250)의 절곡부(25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할 때, 고정부(240)를 중심으로 하여 와이어(250)의 한쪽 길이를 길게 하면 원심력이 커져서 타격체(260)가 측벽(211)과 부딪쳐 큰 소리가 나고, 반대쪽의 짧은 와이어(250)는 원심력이 작아져서 타격체(260)가 측벽(211)과 부딪칠 때 소리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불규칙한 소음은 규칙적인 소음에 익숙해져 있던 유해조수도 놀라게 하여 달아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한쪽의 타격체(260)만이 측벽(211)에 부딪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타격체(260)는 절곡부(251)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중공의 너트 형상을 하고 있다.
이는 타격체(260)가 회전하여 측벽(211)과 부딪쳐 소음을 발생시킬 때, 너트 형상의 각진 부분이 측벽(211)과 충돌할 수 있는 것이어서, 각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소음의 크기와 높이가 커지는 효과와 너트의 외곽 평면부분이 측벽(211)에 충돌할 때는 소음의 크기와 높이가 각진 부분이 충돌할 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연속적으로 불규칙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타격체(260)가 너트 형상을 하고 있어, 중공부를 가지게 되고, 이 중공부는 공명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어서, 소음의 크기가 더욱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벽(211)의 형상은 'ㄷ'자로 되어 있고, 재질은 진동수가 큰 재질로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강도와 진동수를 고려하여 강철로 한다.
소리의 높이는 진동수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측벽의 형상을 박스형 등의 폐쇄형으로 하면 진동수가 현저하게 떨어져서 소리가 요란하지 않지만, 본 발명과 같이 측벽(211)의 형상을'ㄷ'자로 하면, 타격체(260)에 의하여 측벽(211)이 타격되었을 때 측벽(211)은 전, 후, 좌, 우, 아래쪽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상부벽(212)을 지점으로 하여 떨리게 되므로, 진동이 현저하게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소음도 커지는 효과가 있다.
컨트롤 박스(300)는 밧데리(301)와 제어부(302)로 이루어져 있다.
밧데리(301)는 모터(220)와 연결되어 모터(220)를 회전시키는 전원이 된다. 모터(220)는 필요에 따라서 상용전원에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 박스(300)의 밧데리(301)는 전원이 없는 논, 밭, 과수원에서도 유해조수 퇴치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302)는 모터(220)의 회전수와 회전시간을 불규칙하도록 제어하여 타격체(260)가 회전하면서 측벽(211)과 부딪쳐 소음을 발생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는 간격과 소리의 크기를 불규칙하게 하여 유해조수가 놀라게 하는 효과의 현저성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이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유해조수 퇴치장치를 멧돼지, 고라니, 너구리, 까치 등이 자주 출몰하는 곳의 높은 나무 가지에 걸어 놓고, 컨트롤 박스(270)의 전원을 켜고, 제어부에서 모터(220)의 회전수와 회전시간을 설정하여, 모터(220)를 구동시킨다.
모터(220)가 회전하면 모터(220)의 회전축(226)에 끼움 결합된 회전봉(230) 도 회전하고, 회전봉(230)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240)와 와이어(250)도 회전하게 되며, 와이어(250)의 절곡부(251)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타격체(260)가 회전하면서 측벽(211)을 때려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200; 본체 300; 컨트롤 박스 210; 외곽부 213; 걸고리 220; 모터 230; 회전봉 240; 고정부 221; 측벽 212; 상부벽 221; 볼트 222; 프레임 223; 볼트공 224; 와셔 225; 너트 231; 스터드 볼트 232; 육각렌치홈 233; 너트 234; 수나사부 241; 관통공 242; 고정구 243; 몸체 244; 반구형 돌출부 245; 안내부 246; 평탄면 251; 절곡부 252; 'U'자형 앵커 253; 클립와셔 254; 볼트공 255; 너트 301; 밧데리 302; 제어부

Claims (8)

  1. 상부벽(212) 및 측벽(211)으로 이루어지고, 지면 쪽을 향한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외곽부(210);
    상부벽(212) 위에 고정되고 회전축(226)이 상부벽(212)을 관통하게 형성된 모터(220);
    하단에는 수나사부(234)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으로는 모터(220)의 회전축(226)이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 모양의 회전봉(230);
    회전봉(23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부(240);
    상기 고정부(240)는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241)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봉(230)의 수나사부(234)와 나사체결되며, 고정부(240)의 양측면에는 와이어 삽입공(247)이 구비되고, 관통공(241)의 내부에는 고정구(242)가 삽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되;
    중앙 일부가 상기 와이어 삽입공(247)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양측이 상기 고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측 중 어느 한쪽의 길이와 나머지 한쪽의 돌출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와이어(250);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와이어(25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절곡부(251); 및
    상기 한 쌍의 절곡부(25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타격체(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20)에는 컨트롤 박스(3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 박스(300)는 밧데리(301)와 제어부(30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260)는 중공의 너트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210)의 양측 상단에는 체인형 걸고리(2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42)는 원통형 몸체(243)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는 반구형의 돌출부(2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평탄면(246)과 안내부(245)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봉(230)의 하단이 평탄면(246)을 가압하여 고정부(240)내에 위치하는 와이어(25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51)는
    양끝단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U'자형 앵커(252);
    'U'자형 앵커(252)가 끼움 결합되는 2개의 볼트공(254)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와셔(253);
    'U'자형 앵커(252)의 양끝단에 나사체결되는 너트(255)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230)의 상단 외측면에는 머리부분에 육각렌치홈(232)이 형성된 스터드볼트(231)가 회전봉(230)을 관통하여 회전축(226)을 가압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관통되는 부분에는 너트(233)가 형성되어, 스터드볼트(231)가 나사체결 됨으로써, 회전봉(230)을 회전축(226)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8.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2)는 모터(220)의 회전수 또는 회전시간을 불규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장치
KR1020160115722A 2016-09-08 2016-09-08 유해조수 퇴치장치 KR10187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22A KR101872516B1 (ko) 2016-09-08 2016-09-08 유해조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22A KR101872516B1 (ko) 2016-09-08 2016-09-08 유해조수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55A KR20180028255A (ko) 2018-03-16
KR101872516B1 true KR101872516B1 (ko) 2018-06-29

Family

ID=6191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722A KR101872516B1 (ko) 2016-09-08 2016-09-08 유해조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44B1 (ko) * 2018-02-26 2019-10-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 퇴치 장치
CN108849839B (zh) * 2018-07-06 2021-04-23 南京灵雀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农业水稻种植防护设备
KR101989281B1 (ko) 2018-08-14 2019-06-13 박용주 복합방식 유해 조수 퇴치기
KR102267338B1 (ko) * 2019-03-06 2021-06-18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엔진룸 내부의 동물 퇴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11Y1 (ko) 2002-06-21 2002-10-04 김창열 소리를 이용한 까치퇴치기
KR200300682Y1 (ko) 2002-08-26 2003-01-14 이해근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JP2015039355A (ja)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有害動物撃退装置
JP2016021960A (ja) 2014-07-24 2016-02-08 株式会社小泉製作所 消音機能付きベ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11Y1 (ko) 2002-06-21 2002-10-04 김창열 소리를 이용한 까치퇴치기
KR200300682Y1 (ko) 2002-08-26 2003-01-14 이해근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JP2015039355A (ja)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有害動物撃退装置
JP2016021960A (ja) 2014-07-24 2016-02-08 株式会社小泉製作所 消音機能付き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55A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516B1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US6814021B1 (en) Bird repeller and assembly method
JP6029144B2 (ja) 有害動物撃退装置
US20100236470A1 (en) Bird repeller and method of assembly
US7598879B2 (en) Electronic rodent repeller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2267338B1 (ko) 차량 엔진룸 내부의 동물 퇴치장치
CA2792534A1 (en) Wind rotated bird scaring device
US4091383A (en) Game saver device
KR20150118572A (ko) 조류 및 두더지 퇴치기
JP3221129U (ja) 動物用警音装置
KR102130631B1 (ko) 두더지 퇴치 장치
KR200460099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TWI767977B (zh) 有害動物迴避裝置
KR20150094368A (ko)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US7029362B1 (en) Game attractant
KR102033068B1 (ko)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JP5460782B2 (ja) 鳥獣威嚇装置
KR200467674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JP2005204631A (ja) 鳥獣被害防除装置
TW201628495A (zh) 智能感測驅鳥系統
KR200300682Y1 (ko)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CN219961791U (zh) 超声波驱鸟器
KR20200083077A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0466529Y1 (ko)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