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29Y1 -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 Google Patents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529Y1
KR200466529Y1 KR2020100013645U KR20100013645U KR200466529Y1 KR 200466529 Y1 KR200466529 Y1 KR 200466529Y1 KR 2020100013645 U KR2020100013645 U KR 2020100013645U KR 20100013645 U KR20100013645 U KR 20100013645U KR 200466529 Y1 KR200466529 Y1 KR 200466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pillar
wind
wildlife
bi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020U (ko
Inventor
박선수
Original Assignee
박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수 filed Critical 박선수
Priority to KR2020100013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52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5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논 또는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여 곡식, 과실등의 피해를 발생케 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반사면(22)이 형성되고 미세한 바람에도 회전 가능한 회전체(2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과 타격장치(60)가 결합 형성된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 도록 한 기둥고정대(30)가 형성되어, 회전체(20)이 바람에 의해 회전을 하면 타격장치(60)에 의해 소음을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반사면이 형성된 회전체을 전기적 전원 없이 미세한 바람에도 회전체이 회전되고, 바람의 속도에 따라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불규칙하게 회전되므로, 반사되는 빛 또한 불규칙하게 발산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체에 타격부가 타격을 하여 소음을 발생하게 하므로서, 조류나 야생동물을 놀라게 하여 퇴치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전기적 전원 없이도 동작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고 장소의 제한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The Device of Driving out of Birds and Wild Animals}
본 고안은 논 또는 밭, 과수원 등에 설치하여 곡식, 과실등의 피해를 발생케 하는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전원 없이 풍력을 이용하여 유해 조류나 야생동물이 두려워하는 빛과 소리를 동시에 발생 되도록 하므로서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도록 한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는 허수아비를 사용하였으나 그 효과가 매우 저조하여 근래에 들어 전기울타리를 설치하는 농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전기울타리의 설치는 야생동물의 침입을 막아주는 효과는 있으나 조류를 퇴치하기에는 불가능하고 설치비용은 물론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등록실용 제0239741호와 제0408878호를 살펴보면 조류들이 싫어하는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여 퇴치하는 방법과 빛을 발산하여 야행성 동물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인 것으로서, 선등록실용 제0239741호는 단지 경보음만을 이용함으로써 그 효력에 한계가 있었고 또한, 선등록실용 제0408878호는 빛만을 발산하여 야행성 동물을 퇴치함으로써 그 효력에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설치장소에 간접을 받고 누전에 의한 신체적 위험이 발생되며 전기가 단전되는 경우, 그 효력 또한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논, 밭, 과수원 등의 지면에 제한을 받지 않고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전원 공급원 없이 풍력만을 이용하여 빛과 소리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류와 야생동물들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기둥과 결합하고 상기 기둥 상부에 타격장치를 형성하여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에 타격장치가 부딪히면서 소리가 발생될 수 있게 하고 회전체에 반사면을 형성하여 정지되어 있거나 풍력에 의해 회전될 때, 햇빛 또는 조명에 의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는 반사면이 형성된 회전체은 전기적 전원 없이 미세한 바람에도 회전체가 회전되고, 불규칙한 바람의 속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가 불규칙하게 회전되므로, 타격구와 부딪혀 발생되는 소리도 불규칙하게 발생 되고 반사되는 빛 또한 불규칙하게 발산되어, 유해 조류나 야생동물들이 일정한 리듬의 소리와 빛에 익숙하지 못하게 하므로서, 유해 조류나야생동물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는 전기적 전원 없이도 동작 가능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고 장소의 제한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분분이 절개된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기둥과 회전체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확대도.
도 4은 도 3의 A-A선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a는 관절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b는 관절부를 결합하여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c는 관절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6는 회전체의 회동으로 타격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반사면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분분이 절개된 본 고안의 정면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반사면(22)(23)이 형성된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와 결합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이 삽입되고 지면에 박아 고정되는 기둥고정대(30)와; 상기 기둥(10) 상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바(50)와; 이의 일측단에 상기 회전체(20)을 타격하여 소음이 발생되도록 한 타격장치(60)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기둥고정대(30)는 기둥(10)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성된 기둥삽입부(38)가 형성되고 이의 타측으로는 지면을 쉽게 뚫을 수 있도록 끝단이 뾰족한 원추모양의 침입부(34)가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는 기둥(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높이조절고정볼트(36)가 나사결합 되어진다.
또한, 지면에 박아 고정할 때, 기둥삽입부(38) 내부로 흙이 침입되지 않도록 침입부(34)의 끝단을 폐쇄하고 기둥고정대(3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보조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회전체(20)는 상기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면으로 반사면(22)(23)을 형성하고 바람을 쉽게 모아 회전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반사면(22)(23)은 바람이 잘 빠져나가도록 기둥(10)을 중심으로 각각 이격시켜 형성하고 표면은 정사각형 내부에 대각선이 서로 엇갈린 모양으로 형성된 무늬모양이 연속되게 형성시킨 고휘도의 프리즘 반사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전체(20)는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20) 중심 중앙으로 기둥(10)이 관통 삽입되고 회전체(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하부에 베어링(42)(44)이 결합 되어지는데, 상부에 결합 되는 상부베어링(44)은 회전체(20)에 설치되어 기둥(10)과 결합 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42)은 별도의 베어링하우징(40)에 결합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하부베어링(42)은 기둥(10)과 결합되고 횡방향으로 기둥(10)을 관통하여 설치된 하우징지지볼트(46)로 베어링하우징(40)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체(20)는 바람을 잘 모을 수 있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아 진 바람이 상·하로 설치된 베어링(42)(44)과 이격된 반사면(22)(23) 사이로 관통되면서 미세한 바람에도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부베어링(42)은 니들베어링(needle bearing)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장치(60)는 상기 길이조절바(50) 일측단과 연결되는 제 1링크(62)와, 타격구(68)가 형성된 제 2링크(64)와, 이들을 결합하여 회동 되는 관절부(70)가 구성된다.
상기 관절부(70)는 첨부된 도면 도 5a, 5b, 5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둘레에 45°각도로 다단의 걸림턱(74)이 형성된 관절하우징(72)이 형성되고 그 내부로 제 2링크(64)와 결합된 베어링(78)이 결합 설치되며, 베어링(78)과 결합된 제 2링크(64)의 일측 끝단은 고정링(76)으로 고정되고 걸림턱(74)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66)가 형성 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둥고정대(30)와 고정보조대(32)를 지면에 동시에 박아 고정하고 회전체(20)가 결합 설치된 기둥(10)을 기둥고정대(30)에 삽입하여 높이 조절을 한 후, 높이조절고정볼트(36)로 기둥(10)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20)가 결합 되어 기둥고정대(30)에 고정된 기둥(10)은 상부에 설치된 길이조절바(50)로 회전체(20)의 회전 반경에 맞추어 조절한 후, 길이조절바고정볼트(52)로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길이조절바(52) 일측 끝단으로는 제 1링크(62)를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제 1링크고정볼트(54)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 1링크(54) 일측으로 형성된 관절부(70)는 제 2링크(64)가 결합된 베어링(78)이 결합 설치되어 회동 가능 도록 하고 제 2링크(64)의 끝단에 설치된 타격구(68)는 길이조절바(52)와 제 1링크(62)로 조절하여 회전체(20)와의 위치를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 설치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20)가 바람을 맞아 기둥(10)을 축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반사면(22)(23)에 부착된 반사테이프에 의해 빛이 반사되면서 제 2링크(68)에 형성된 타격구(68)와 충돌되면서 소음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체(20)과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타격구(68)는 회전체(20)과 충돌 후, 반작용의 힘으로 관절부(70)를 축으로 회동을 하게 되고, 회동 된 타격구(68)는 제 2링크(64)에 형성된 걸림돌기(66)로 관절하우징(72)에 형성된 걸림턱(74)에 걸려 멈춰지면서, 다시 회전체(20)으로 이동되어 회전체(20)를 타격하는 동작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는 빛과 소음이 동시에 발생 되게 하므로서 유해 조수 및 야생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기둥 20 : 회전체
22,23 : 반사면 30 : 기둥고정대
32 : 고정보조대 40 : 베어링하우징
50 : 길이조절바 60 : 타격장치
68 : 타격구 70: 관절부

Claims (4)

  1. 반사면(22)(23)이 전·후면으로 이격되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와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이 삽입되고 지면에 박아 고정되는 기둥고정대(30)와, 상기 기둥(10) 상부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바(50)와,
    상기 길이조절바(50) 일측단에 설치되고 다단의 걸림턱(74)이 형성된 제 1링크와, 상기 걸림턱(74)에 위치되도록 걸림돌기(66)가 형성된 제 2링크(64)가 결합되어 회동되는 관절부(70)와, 상기 제 2링크(64) 끝단에 타격구(68)를 포함하여 타격장치(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해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22)(23)은 정사각형 내부에 대각선이 엇갈린 동일한 모양이 연속하여 형성된 반사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 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44)은 니들베어링(needle bearing)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해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KR2020100013645U 2010-12-31 2010-12-31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KR200466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645U KR200466529Y1 (ko) 2010-12-31 2010-12-31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645U KR200466529Y1 (ko) 2010-12-31 2010-12-31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20U KR20120005020U (ko) 2012-07-10
KR200466529Y1 true KR200466529Y1 (ko) 2013-04-24

Family

ID=4685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645U KR200466529Y1 (ko) 2010-12-31 2010-12-31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5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8116A (zh) * 2013-08-30 2014-01-01 国网河南省电力公司信阳供电公司 一种综合驱鸟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656U (ko) * 2008-05-13 2009-11-18 김준연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KR20100025612A (ko) * 2008-08-28 2010-03-10 최순림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656U (ko) * 2008-05-13 2009-11-18 김준연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KR20100025612A (ko) * 2008-08-28 2010-03-10 최순림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20U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CA2792534A1 (en) Wind rotated bird scaring device
US20140326195A1 (en) Apparatus For Repelling Pests
JP2015039355A (ja) 有害動物撃退装置
CN204070271U (zh) 可全天候连续工作的光驱鸟系统
KR200466529Y1 (ko) 유해 조류 및 야생동물퇴치기
JP2011139688A (ja) 鳥類退治装置
KR20200034170A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JP3221129U (ja) 動物用警音装置
KR102165583B1 (ko) 전방향 야생동물 퇴치기
JP3178751U (ja) 鳥類撃退装置
KR20090011656U (ko)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CN112273365A (zh) 一种电力线路的仿生蛇形驱鸟装置
KR20180130429A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CN210043075U (zh) 一种使用寿命长的驱鸟器
JP2013013352A (ja) 鳥獣等の駆除装置
JP3566919B2 (ja) 鳥類飛来防止装置
JP2007032279A (ja) 風車用プロテクタ
JP5460782B2 (ja) 鳥獣威嚇装置
KR102033068B1 (ko)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CN210184329U (zh) 一种动物驱赶器
JP3198676U (ja) 害虫害獣忌避用光源装置
CN112120006A (zh) 一种动物驱赶器
KR200490201Y1 (ko) 두더지 퇴치기
KR102347926B1 (ko) 유해 조수 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