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631B1 - 두더지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두더지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631B1
KR102130631B1 KR1020180146457A KR20180146457A KR102130631B1 KR 102130631 B1 KR102130631 B1 KR 102130631B1 KR 1020180146457 A KR1020180146457 A KR 1020180146457A KR 20180146457 A KR20180146457 A KR 20180146457A KR 102130631 B1 KR102130631 B1 KR 102130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le
led
power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088A (ko
Inventor
김신호
이윤구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4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6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더지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소자와 진동 소자가 형성되어 조명 및 진동 발생이 가능하고, 설치 환경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전자장치를 포함한 구성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두더지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생동물 퇴치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LED 소자가 설치되는 LED 지지부가 타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및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진동 소자가 내재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더지 퇴치 장치{Mole-f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두더지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소자와 진동 소자가 형성되어 조명 및 진동 발생이 가능하고, 설치 환경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전자장치를 포함한 구성 간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두더지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생동물의 서식지와 농가의 경계가 좁아지며, 멧돼지, 고라니, 두더지 등과 같은 야생동물로 인한 농가 피해가 늘어가고 있다. 야생동물은 대체로 인공 환경에 예민해 냄새가 심한 크레솔 비누액이나 약품, 반짝이는 은박이테이프, 센서형 음향기, 저주파 발생기나 LED 플래시 등을 이용하여 농가 접근을 막고 있다. 그 중 두더지는 진동에 지극히 민감하고, 후각을 이용해 벌레를 잡아먹으며, 야간에만 가끔 땅 위에 나타고 대부분의 생활을 지하에서 영위하는 동물이다. 두더지는 보통 땅속에서 후각을 이용해 벌레를 잡아먹으며 작물 뿌리를 주식으로 먹는 일은 많지 않지만, 구멍을 파면서 작물의 뿌리를 공기 중에 노출시켜 작물을 죽이거나, 농작물의 상품 가치를 하락시키고, 정원의 모양을 망치는 피해를 주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진동을 이용하여 두더지의 접근을 막는 수단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1522호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태양광 두더지 퇴치기는 대용량의 솔라셀(1)이 장착된 태양전지판(3)의 후측 중앙에 연결봉(5)이 조인트(7)로 조절 가능하게 연결 장착되어 있고, 상기 솔라셀(9)에는 니켈 수소 배터리(11)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5)의 내부에는 공지된 2개의 버저(Buzzer)(17)(17')가 부착되어 있고, 연결봉(5)의 단부에는 요철면(13)(13')이 내,외측면에 형성된 공명관(15)이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공명관(15)의 단부에는 침봉(1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명관(15)의 내측 상단부에는 DC 진동 모터(25)가 장착되어 있고, 이 진동 모터(25)의 회전축에는 비균형 진동자(21)가 압입되어, 단부에 타격핀(22)이 부착된 스프링(23)이 연결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종래의 두더지 퇴치기는 두더지가 서식하는 땅속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매설하여, 진동에 민감한 두더지를 해당 지역에서 퇴각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두더지 퇴치기는 지면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주변 잡초나 기타 장애물에 영향으로 태양광 발전 효율성이 보장되지 못하고, 설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고, 전자 장치간의 연결 해제가 어려워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1522호 (공개일자 2017.03.2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LED 소자가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가 설치 환경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제1 탈부착부 및 제2 탈부착부 구성을 통해 전선의 훼손 없이 전자장치를 포함한 구성간의 연결 및 해체가 용이한 두더지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전원 제어부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LED 소자가 설치되는 LED 지지부가 타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부,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진동 소자가 내재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감쇠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진동 소자를 상기 하부 지지부 내에 고정하며, 상기 진동 소자의 진동을 상기 하부 지지부로 전달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 지지부의 일측 외면에 형성되는 태양광 판넬, 상기 태양광 판넬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상기 LED 소자와 상기 진동 소자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 지지부는 상기 태양광 판넬이 지표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자기판은 기 지정된 타이머 설정에 따라, 일정 시간에 맞추어 상기 LED소자와 상기 진동 소자의 전원을 On/Off하는 설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는 상기 상부 지지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타측 하면에 형성되어, 지면을 조명하는 보조 LE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협하광 원기둥 형상의 경사 반사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중간 지지부는 크기가 다른 2개 이상의 중공된 파이프의 연결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는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LED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탈부착부 및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탈부착부는 상기 LED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구리관 및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중간 구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탈부착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중간 구리관 및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하부 구리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LED 소자를 통하여, 조명 기능은 물론, 두더지를 포함한 그 외 야생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변 농작물의 높이 또는 토양 환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장치를 포함하여 각 구성간의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설치와 분해가 쉬워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야생동물 퇴치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100)는, 야생동물 퇴치 장치에 있어서, 전원 제어부(220)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210)가 일측에 형성되고, LED 소자(240)가 설치되는 LED 지지부(230)가 타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부(200) 및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타측과 연결되고, 진동 소자(510)가 내재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 지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100)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하부 지지부(500) 사이에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감쇠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상기 진동 소자(5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상부 지지부(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2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일측이 상기 LED 지지부(23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지지부(5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진동 소자(510)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상기 상부 지지부(200)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220) 및 상기 LED 소자(240)의 작동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감쇠능이 높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계로 이루어져 상기 진동 소자(510)로부터 발생한 진동이 상기 상부 지지부(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제어부(220)는 전원이 저장되고, 상기 LED 소자(240) 및 상기 진동 소자(510)에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LED 소자(240) 및 상기 진동 소자(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지지부(210)에 고정된다.
상기 전원 지지부(210)는 상기 전원 제어부(220)를 수납하여 상기 전원 제어부(22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그 재질 및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도시화 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원 제어부(220)에서 작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열이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외면에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지지부(210)는 상기 전원 제어부(220)에서 나오는 전원이 상기 LED 지지부(230) 및 상기 하부 지지부(5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전선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220)가 상기 LED 소자(240) 및 상기 진동 소자(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LED 소자(240)는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작동이 일어나고, 여러 방향에 조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LED 지지부(230)의 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지지부(230)는 상기 LED 소자(24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제어부(220)에서 나오는 전선이 상기 LED 소자(24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220)와 상기 LED 소자(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LED 소자(240)가 형성되는 위치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지지부(230)는 상기 전원 제어부(220)에서 나오는 전선이 상기 하부 지지부(500)로 전달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220)와 상기 진동 소자(5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전선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소자(510)는 상기 하부 지지부(500)에 내재되어,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 지지부(500)에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작동이 일어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부(500) 내에 다수개가 내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500)는 지중에 매설되어 상기 진동 소자(510)에서 발생한 진동을 지중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LED 지지부(230)를 통해 상기 전원 제어부(220)에서 나오는 전선이 상기 진동 소자(510)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220)와 상기 진동 소자(5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전선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500)는 그 길이에 따라서 일부가 지중에 매설될 수 있고, 전체가 다 지중에 매설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소자(510)는 상기 하부 지지부(500)가 매설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500)는 지중에 용이하게 매설될 수 있도록 지중을 향하는 타측이 타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500)는, 상기 진동 소자(510)를 상기 하부 지지부(500) 내에 고정하며, 상기 진동 소자(510)의 진동을 상기 하부 지지부(500)로 전달하는 탄성체(5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520)는 상기 진동 소자(5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저하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지지부(500) 내에 고정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적용이 가능하고, 일측이 상기 진동 소자(5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지지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 소자(510)의 진동을 상기 하부 지지부(500)로 전달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520)는 일예로 금속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제어부(220)는, 상기 전원 지지부(210)의 일측 외면에 형성되는 태양광 판넬(221), 상기 태양광 판넬(221)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223) 및 상기 LED 소자(240)와 상기 진동 소자(51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기판(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태양광 판넬(221)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태양광 집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원 지지부(210)의 일측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 지지부(210)의 일측 외면과 틈이 없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전원 지지부(210)의 일측 외면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축전지(223)는 상기 태양광 판넬(221)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LED 소자(240)와 상기 진동 소자(510)에 전원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지지부(210)에 수납되어, 상기 전원 지지부(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기판(222)은 상기 축전지(223)의 전원을 이용하여, 이용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값에 따라 상기 LED 소자(240)와 상기 진동 소자(5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원 지지부(2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전원 지지부(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기판(222)은 도시화 되지는 않았지만, 기 지정된 타이머 설정에 따라, 일정 시간에 맞추어 상기 LED소자와 상기 진동 소자(510)의 전원을 On/Off하는 설정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지지부(210)는 상기 태양광 판넬(221)이 지표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태양광 판넬(221)이 지표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어 설치되면, 상기 태양광 판넬(221) 표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 또는 눈의 고임을 방지하여, 상기 태양광 판넬(221)의 집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절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입사각이 최대인 곳으로 상기 태양광 판넬(221)을 설치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100)는 상기 상부 지지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300) 및 상기 덮개부(300)의 타측 하면에 형성되어, 지면을 조명하는 보조 LED(3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300)는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200)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상기 덮개부(300)는 일측이 상기 전원 지지부(2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LED 지지부(230)와 연결된다.
상기 덮개부(300)의 일측은 상기 전원 지지부(210)와 맞닿아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덮개부(300)가 상기 전원 지지부(210)를 덮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300)는 도시화 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200)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300)는 상기 LED 소자(240)의 빛을 외부로 투과하고, 벌레와 이물질 등으로 상기 상부 지지부(200)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상기 덮개부(300)는 일측에서 시작하여 타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되거나, 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300)는 관통 간격 또는 재질의 불투명도를 통하여,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LED 소자(240)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조 LED(310)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가 주변 작물 높이로 인하여 지면 위로 높이 위치할 경우에도, 상기 중간 지지부(400) 및 상기 하부 지지부(500) 주변에 빛을 조사하여, 두더지를 포함한 야생동물이 상기 두더지 퇴치 장치(100)에 접근하여, 고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조 LED(310)는 상기 전원 제어부(220)를 통해 전원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300)의 타측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협하광 원기둥 형상의 경사 반사판(41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 반사판(410)은 상기 두더지 퇴치 장치(100)의 고정을 강화시키는 구성으로,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상협하광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반사판(410)은 상기 하부 지지부(500)가 매설되지 않은 주변 지면으로 비 또는 눈을 흘려보내, 상기 하부 지지부(500)가 매설되는 지중이 비 또는 눈에 젖어 상기 하부 지지부(500)의 고정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반사판(410)의 하부가 지면에 닿아 상기 중간 지지부(400)를 지면에 고정시켜 상기 두더지 퇴치 장치(1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고정을 강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크기가 다른 2개 이상의 중공된 파이프의 연결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중공된 파이프는 원형 또는 각형상에 상관없이 크기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중공된 파이프의 수납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상이면 어느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연결되는 제1 중간부(420)와, 일측이 상기 제1 중간 지지부(400)의 타측에 수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지지부(500)와 연결되는 제2 중간부(430)의 연결을 통해 형성되어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40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두더지 퇴치 장치(100)의 높이를 조절하며, 설치 깊이 또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두더지 퇴치 장치(100)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중간 지지부(400)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LED 지지부(230)의 타단과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탈부착부(600)및 상기 중간 지지부(400)와 상기 하부 지지부(500)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타단과 상기 하부 지지부(500)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탈부착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1 탈부착부(600)는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한 구성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또는 설치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상기 제2 탈부착부(700)는 상기 중간 지지부(400)와 상기 하부 지지부(500)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간 지지부(400)와 상기 하부 지지부(500)의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한 구성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또는 설치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탈부착부(600)는, 상기 LED 지지부(230)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구리관(601) 및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중간 구리관(60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탈부착부(700)는,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중간 구리관(701) 및 상기 하부 지지부(5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하부 구리관(702)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구리관(601)은 상기 전원 제어부(220)에서 나오는 전선을 고정하고, 상기 제1 중간 구리관(602)은 상기 중간 지지부(400)로 이어지는 전선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구리관(601)과 상기 제1 중간 구리관(602)이 연결될 때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제어가 전선을 타고 전기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상부 구리관(601)과 상기 제1 중간 구리관(602)의 연결이 해제될 때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제어 전달이 멈추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 지지부(200)와 상기 중간 지지부(400)의 탈부착 시, 전선의 해체 작업 없이 구성간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중간 구리관(701)은 상기 중간 지지부(400)에서 나오는 전선을 고정하고, 상기 하부 구리관(702)은 상기 하부 지지부(500)를 통해 상기 진동 소자(510)로 이어지는 전선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2 중간 구리관(701)과 상기 하부 구리관(702)이 연결될 때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제어가 상기 진동 소자(510)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중간 구리관(701)과 상기 하부 구리관(702)의 연결이 해제될 때 상기 전원 제어부(220)의 제어 전달이 멈추는 구성으로, 상기 제2 중간 구리관(701)과 상기 하부 구리관(702)의 탈부착 시, 전선의 해체 작업 없이 구성간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두더지 퇴치 장치
200 : 상부 지지부 210 : 전원 지지부
220 : 전원 제어부 221 : 태양광 판넬
222 : 전자기판 223 : 축전지
230 : LED 지지부 240 : LED 소자
300 : 덮개부 310 : 보조 LED
400 : 중간 지지부 410 : 경사 반사판
420 : 제1 중간부 430 : 제2 중간부
500 : 하부 지지부 510 : 진동 소자
520 : 탄성체
600 : 제1 탈부착부 601 : 상부 구리관
602 : 제1 중간 구리관
700 : 제2 탈부착부 701 : 제2 중간 구리관
702: 하부 구리관

Claims (11)

  1. 전원 제어부를 지지하는 전원 지지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LED 소자가 설치되는 LED 지지부가 타측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부 지지부;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진동 소자가 내재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감쇠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중간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진동 소자를 상기 하부 지지부 내에 고정하며, 상기 진동 소자의 진동을 상기 하부 지지부로 전달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 지지부의 일측 외면에 형성되는 태양광 판넬;
    상기 태양광 판넬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상기 LED 소자와 상기 진동 소자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기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지지부는,
    상기 태양광 판넬이 지표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판은,
    기 지정된 타이머 설정에 따라, 일정 시간에 맞추어 상기 LED소자와 상기 진동 소자의 전원을 On/Off하는 설정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타측 하면에 형성되어, 지면을 조명하는 보조 LED;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협하광 원기둥 형상의 경사 반사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는,
    크기가 다른 2개 이상의 중공된 파이프의 연결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LED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탈부착부; 및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단과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탈부착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부착부는,
    상기 LED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부 구리관; 및
    상기 중간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중간 구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탈부착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중간 구리관; 및
    상기 하부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하부 구리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KR1020180146457A 2018-11-23 2018-11-23 두더지 퇴치 장치 KR10213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57A KR102130631B1 (ko) 2018-11-23 2018-11-23 두더지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57A KR102130631B1 (ko) 2018-11-23 2018-11-23 두더지 퇴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88A KR20200061088A (ko) 2020-06-02
KR102130631B1 true KR102130631B1 (ko) 2020-07-06

Family

ID=7109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457A KR102130631B1 (ko) 2018-11-23 2018-11-23 두더지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343B1 (ko) * 2021-05-27 2023-10-16 임미영 야생동물 접근 방지를 위한 초음파신호 발생장치
KR102507459B1 (ko) * 2022-10-04 2023-03-08 (주)재성정보통신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586B2 (ja) * 1991-04-22 2000-09-18 清水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躯体構造
KR101443046B1 (ko) 2013-03-21 2014-09-19 남태균 두더지 및 설치류 퇴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683A (ja) * 1993-02-25 1994-09-06 Nissei Giken:Kk もぐら撃退器
JP3089586U (ja) * 2002-04-25 2002-10-31 志賢 呉 照明機能を具えたもぐら駆逐器
JP4389557B2 (ja) * 2003-11-25 2009-12-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虫防除装置
KR20170031522A (ko) 2015-09-11 2017-03-21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태양광 두더지 퇴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586B2 (ja) * 1991-04-22 2000-09-18 清水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躯体構造
KR101443046B1 (ko) 2013-03-21 2014-09-19 남태균 두더지 및 설치류 퇴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88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9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야생동물 및 유해조류 퇴치기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1591805B1 (ko) 조류 퇴치 장치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KR102130631B1 (ko) 두더지 퇴치 장치
KR101545083B1 (ko) 휴대용 전자 살충기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20110088606A (ko) 조류 퇴치장치
KR101391090B1 (ko) 유해 조류 및 곤충 퇴치장치
KR20130051233A (ko) 야생해조류의 퇴치와 유인 포획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 퇴치기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KR102049286B1 (ko) 해충 포집기
KR101151824B1 (ko) 살충기
KR100893729B1 (ko)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CN217364344U (zh) 一种水果种植用驱虫装置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200491958Y1 (ko) 유해동물 퇴치 안전등
JP2005117970A (ja) 害虫捕獲器
JP3872064B2 (ja) 誘蛾灯装置
JP4224796B2 (ja) 害獣威嚇装置
KR20100086690A (ko)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KR102429420B1 (ko) 기주 공명관을 이용한 두더지 퇴치기
KR20230023407A (ko) 모듈형 조수통합퇴치시스템
KR200442596Y1 (ko) 유인제 수용부가 구비된 해충포획장치
KR102220866B1 (ko) 멧돼지 및 두더지 퇴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