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459B1 -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459B1
KR102507459B1 KR1020220126234A KR20220126234A KR102507459B1 KR 102507459 B1 KR102507459 B1 KR 102507459B1 KR 1020220126234 A KR1020220126234 A KR 1020220126234A KR 20220126234 A KR20220126234 A KR 20220126234A KR 102507459 B1 KR102507459 B1 KR 10250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housing
seismic wave
vibration speaker
wav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수
임유정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주)재성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성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재성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2012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1/00Hunting appliances
    • A01M31/002Detecting animals in a give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5Repelling animals, insects, hum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지면 아래로 지진파를 효율적으로 전파하여 각종 유해동물의 청각을 자극시킴으로써 유해조수의 퇴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명통이 형성되고 지면 아래에 배치되는 매립부와, 내부에 상기 공명통에 음파를 전달하는 진동 스피커 및 상기 진동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핑 회로가 구비되며 지면 위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매립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매립 깊이를 결정하고 상기 음파를 지면에 전파하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SEISMIC WAVE GENERATOR TO PREVENTION HARMFUL ANIMALS' APPROACHING}
본 발명은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과 지면 아래로 지진파를 효율적으로 전파하여 각종 유해조수의 청각을 자극시킴으로써 유해조수가 농작물에 접근하여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를 기점으로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른 산림의 훼손, 강물의 오염 등을 비롯한 많은 환경파괴가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야생조수들의 서식 공간과 먹이가 없어져 그 개체수가 날로 줄어들게 되었으나, 1990년대를 지나면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산과 강이 복원되기 시작하면서 야생조수의 서식지, 먹이가 풍부해지고 그 개체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 야생조수의 서식지를 빼앗아 많은 지역이 도시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야생조수가 다시 늘어나게 되면서 농촌에서 까치들에 의한 과수의 피해, 비둘기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 멧돼지나 고라니 그리고 두더지 등의 포유류에 의한 작물의 훼손과 수확량의 감소뿐 만 아니라 질병 전파로 인해 막대한 손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인간에게 직,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동물을 유해야생동물로 지정관리하고 있으며, 2000년대 초반까지는 까치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최근에는 멧돼지에 의한 피해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대도시에서의 유해동물 특히, 멧돼지나 두더지의 출현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멧돼지의 경우 경작지 훼손뿐만 아니라 인근 민가에 출몰하여 사람을 위협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심까지 출몰하여 무방비 상태의 시민의 안전에 큰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농작물 피해보상 및 피해예방시설 설치, 멧돼지 도심출몰 기동 포획단 운영 등의 지원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유해야생동물 피해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07179호는 울타리 지주 진동 발생형 유해동물 퇴치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지진파를 발생시키지만 지면 아래로의 전파 능력이 저조하여 땅 속의 유해조수를 퇴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07179호(2022.06.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면과 지면 아래로 지진파를 효율적으로 전파하여 각종 유해조수의 청각을 자극시킴으로써 유해조수의 퇴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면과 지면 아래 동시에 지진파를 전파함으로써 지면 위로 접근하는 유해조수와 지면 아래로 접근하는 유해조수를 효율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지진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해조수 별로 싫어하는 파장대의 지진파를 스위핑하여 전파하여 각종 유해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진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치 자체가 공명통 역할을 하여 지진파의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진파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는 내부에 공명통이 형성되고 지면 아래에 배치되는 매립부와, 내부에 상기 공명통에 음파를 전달하는 진동 스피커 및 상기 진동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핑 회로가 구비되며 지면 위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매립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매립 깊이를 결정하고 상기 음파를 지면에 전파하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음파를 지면 아래에 전파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파 전달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태양광을 집광하는 패널과, 태양광으로 충전된 전력을 상기 스위핑 회로 및 상기 진동 스피커로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핑 회로는, 미리 설정된 대역 내에서 주파수의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음파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파가 상기 돌출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유해 조수의 출몰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핑 회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면과 지면 아래로 지진파를 효율적으로 전파하여 각종 유해동물의 청각을 자극시킴으로써 유해조수의 퇴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면과 지면 아래 동시에 지진파를 전파함으로써 지면 위로 접근하는 유해조수와 지면 아래로 접근하는 유해조수를 효율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조수 별로 싫어하는 파장대의 지진파를 스위핑하여 전파하여 각종 유해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 자체가 공명통 역할을 하여 지진파의 증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지진파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파 전달편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들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것은 본 발명을 어느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모든 변형(transform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 대체물(substitutions)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한 구성이 어떤 서브 구성을 "구비(have)" 또는 "포함(comprise)" 한다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other)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닛(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10)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지진파 발생 장치(10)의 단면도이다.
지진파 발생 장치(10)는 지면과 지면 아래로 지진파를 효율적으로 전파하여 각종 유해동물의 청각을 자극시킴으로써 유해조수를 퇴치한다.
지진파 발생 장치(10)는 하우징(100) 및 지지편(1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진파 발생 장치(10)는 음파 전달편(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지진파 발생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긴 원통의 형상을 하되, 지면에 매립되는 단부가 뾰족한 원뿔의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매립부(110)와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매립부(11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지면 아래(매립)에 배치된다. 매립부(110)의 내부에는 공명통(101)이 형성된다.
공명통(10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명통(101)은 진동 스피커(130)에서 발생된 음파를 증폭시킨다. 참고로, 공명통(101)은 지면에 매립되는 매립부(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부가 지면 위로 배치되는 돌출부(12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공명통(101)이 구비되기 때문에 지진파 발생 장치(10)는 그 자체가 공명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출부(12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지면 위에 배치된다.
돌출부(120)의 내부에는 진동 스피커(130)의 구비 공간(102)이 형성된다.
진동 스피커(130)는 스위핑 회로(14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음파를 발생한다. 예컨대, 진동 스피커(130)는 유해 조수가 싫어하는 1HZ~35HZ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스피커(130)는 미리 설정된 대역(예를 들면, 1HZ~35HZ 대역) 내에서 주파수의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음파 출력할 수 있다.
진동 스피커(130)의 상부에는 방진패드(131)가 구비될 수 있다. 방진패드(131)는 진동 스피커(130)에서 발생된 진동(음파)이 하우징(100)의 상부(즉, 돌출부(120))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립부(110) 쪽으로 집중되게 한다.
스위핑 회로(140)는 미리 설정된 대역 내에서 주파수의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음파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스피커(130)로 제공한다.
예컨대, 스위핑 회로(140)는 1HZ~35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핑 회로(140)는 1HZ~35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각각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스위핑(sweeping) 방식을 통해 유해 조수 별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을 생성한다.
또한, 스위핑 회로(140)는 곤충 및 해충들이 싫어하는 20KHz~100K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스위핑 회로(140) 20KHz~10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각각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스위핑(sweeping) 방식을 통해 곤충 및 해충 별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스위핑 회로(14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타겟하는 유해 조수의 종류, 곤충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스위핑 회로(140)는 주간, 야간, 날씨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위핑 회로(140)는 주간에 주로 출몰하는 유해 조수를 타겟하는 주파수 대역과 야간에 주로 출몰하는 유해 조수를 타겟하는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설정하여 스위핑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지지편(121)은 매립부(110)와 돌출부(120)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둘레에 형성된다. 지지편(121)은 중심부에 하우징(100)이 배치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21)은 지진파 발생 장치(10)를 지면 아래에 매립할 때 일면이 지면과 접촉하여 하우징(100)의 매립 깊이를 결정한다. 또한, 지지편(121)은 하우징(100)의 일부가 지면 아래에 매립된 상태에서 지진파 발생 장치(10)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지면 아래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편(121)은 금속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21)은 진동 스피커(130)에서 출력된 음파를 전달받아 지면으로 전파한다.
지지편(121)은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돌기(1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돌기(122)가 형성된 지지편(121)은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지면으로의 음파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음파 전달편(112)은 매립부(110)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둘레에 형성된다. 음파 전달편(112)은 중심부에 하우징(100)이 배치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음파 전달편(112)은 진동 스피커(130)에서 출력된 음파를 지면 아래로 전파한다.
음파 전달편(112)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 구비될 경우 각각의 음파 전달편(112)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음파 전달편(112)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된 음파 전달편(112)은 지진파 발생 장치(10)를 땅속에 매립할 때 용이하게 작용될 수 있다.
지진파 발생 장치(10)는 태양광 전원 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전원 장치(150)는 태양광 패널(151)과 배터리(152)를 포함한다.
태양광 패널(151)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태양광 패널(151)을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배터리(152)는 태양광 패널(151)과 연결되게 배치된다. 배터리(152)는 태양광 패널(151)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한다. 배터리(152)는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스위핑 회로(140) 및 진동 스피커(130)로 공급한다.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센서는 동서남북의 4방위에 대응하여 하우징(100)의 외부에 설치되고, 지진파 발생 장치(10) 주변에 멧돼지와 같은 유해 조수의 출몰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센서로 IR센서, 레이더센서, 라이다센서, 초음파센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핑 회로(140)는 움직임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진동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핑 회로(140)는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아무것도 감지되지 않으면 지면 아래에 출몰하는 두더지가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출력하고,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멧돼지가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 및 두더지가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위핑 회로(140)는 움직임 감지센서에서 아무것도 감지되지 않으면 음파의 출력을 중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지진파 발생 장치(10)의 매립 방법 및 동작을 살펴보면, 지진파 발생 장치(10)를 설치할 장소의 땅의 일부를 파내고 하우징(100)의 매립부(110)를 땅속에 배치한 뒤 파낸 땅을 메꾼다. 참고로, 음파 전달편(112)이 나사산의 형태(도 3 참조)로 형성되면, 땅의 일부를 파내지 않고 나사 체결 방식으로 회전시키면서 매립부(110)를 땅속에 매립할 수도 있다.
지진파 발생 장치(10)는 스위핑 회로(140)에서 음파 전기신호가 생성되면 진동 스피커(130)를 통해 음파를 출력한다. 이 때,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공명통(101)에 의해 음파가 증폭되고, 증폭된 음파는 음파 전달편(112)을 통해 지면 아래로 전파되며, 지지편(121)을 통해 지면으로 전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지진파 발생 장치
100: 하우징
110: 매립부
120: 돌출부
130: 진동 스피커
140: 스위핑 회로
150: 전원 장치

Claims (7)

  1. 내부에 공명통이 형성되고 지면 아래에 배치되는 매립부와, 내부에 상기 공명통에 음파를 전달하는 진동 스피커 및 상기 진동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핑 회로가 구비되며 지면 위로 노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매립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선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매립 깊이를 결정하고 상기 음파를 지면에 전파하는 지지편 ; 및
    상기 매립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음파를 지면 아래에 전파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파 전달편
    을 포함하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태양광을 집광하는 패널과, 태양광으로 충전된 전력을 상기 스위핑 회로 및 상기 진동 스피커로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원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핑 회로는,
    미리 설정된 대역 내에서 주파수의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음파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진동 스피커를 제어하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스피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파가 상기 돌출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
    를 더 포함하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지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의 유해 조수의 출몰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핑 회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KR1020220126234A 2022-10-04 2022-10-04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KR10250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234A KR102507459B1 (ko) 2022-10-04 2022-10-04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234A KR102507459B1 (ko) 2022-10-04 2022-10-04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459B1 true KR102507459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234A KR102507459B1 (ko) 2022-10-04 2022-10-04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45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683A (ja) * 1993-02-25 1994-09-06 Nissei Giken:Kk もぐら撃退器
JPH0664477U (ja) * 1993-02-25 1994-09-13 株式会社日生技研 もぐら撃退器
KR101443046B1 (ko) * 2013-03-21 2014-09-19 남태균 두더지 및 설치류 퇴치 장치
KR20140131461A (ko) * 2013-05-03 2014-11-13 강완배 대지매립형 동물퇴치용 진동장치
KR20170031522A (ko) * 2015-09-11 2017-03-21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태양광 두더지 퇴치기
KR20200061088A (ko) * 2018-11-23 2020-06-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두더지 퇴치 장치
KR20220017786A (ko) * 2020-08-05 2022-02-14 서정철 기주 공명관을 이용한 두더지 퇴치기
KR102407179B1 (ko) 2020-06-12 2022-06-13 송종명 울타리 지주 진동발생형 유해동물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683A (ja) * 1993-02-25 1994-09-06 Nissei Giken:Kk もぐら撃退器
JPH0664477U (ja) * 1993-02-25 1994-09-13 株式会社日生技研 もぐら撃退器
KR101443046B1 (ko) * 2013-03-21 2014-09-19 남태균 두더지 및 설치류 퇴치 장치
KR20140131461A (ko) * 2013-05-03 2014-11-13 강완배 대지매립형 동물퇴치용 진동장치
KR20170031522A (ko) * 2015-09-11 2017-03-21 한국농림시스템주식회사 태양광 두더지 퇴치기
KR20200061088A (ko) * 2018-11-23 2020-06-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나무바이오 두더지 퇴치 장치
KR102407179B1 (ko) 2020-06-12 2022-06-13 송종명 울타리 지주 진동발생형 유해동물 퇴치장치
KR20220017786A (ko) * 2020-08-05 2022-02-14 서정철 기주 공명관을 이용한 두더지 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610B1 (ko) 가변 음파 및 광 발생 구조의 이동 객체 퇴치 장치
KR101717045B1 (ko) 야생동물 퇴치기
KR102407179B1 (ko) 울타리 지주 진동발생형 유해동물 퇴치장치
CN106790531B (zh) 基于Lora无线通信的白蚁监测系统和监测方法
CN108845527B (zh) 一种古建筑智能防雷方法及系统
RU2480837C2 (ru) Способ скрыт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нарушителя в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зоне
KR20100012970U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회전식 조류퇴치기
KR102507459B1 (ko) 유해조수 퇴치를 위한 지진파 발생 장치
KR101443046B1 (ko) 두더지 및 설치류 퇴치 장치
CN102396447A (zh) 一种光电目标识别驱鸟器及驱鸟方法
KR102165583B1 (ko) 전방향 야생동물 퇴치기
KR101354823B1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KR102285414B1 (ko) 복합 음파 발생수단이 구비된 태양광 방음벽
US20080121947A1 (en) Solar-powered MEMS acoustic sensor and system for providing physical security in a geographical area with use thereof
CN107183001A (zh) 一种干式空心电抗器驱鸟系统
KR20070105428A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2429420B1 (ko) 기주 공명관을 이용한 두더지 퇴치기
RU23757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раны водных рубежей
KR20160025928A (ko) 퇴치 장치
CN204634867U (zh) 一种驱鸟器
JP2009072174A (ja) 音波式有害獣撃退機
CN112790184A (zh) 一种全方位动物驱赶装置
KR20220061443A (ko) 야생동물 퇴치기
KR102251468B1 (ko) 비닐하우스에 부착 가능한 야생동물 퇴치기
CN111109245A (zh) 一种360度全方位草原驱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