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644B1 - 조류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조류 퇴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644B1
KR102033644B1 KR1020180023137A KR20180023137A KR102033644B1 KR 102033644 B1 KR102033644 B1 KR 102033644B1 KR 1020180023137 A KR1020180023137 A KR 1020180023137A KR 20180023137 A KR20180023137 A KR 20180023137A KR 102033644 B1 KR102033644 B1 KR 10203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ing
striking
rotating shaft
alga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583A (ko
Inventor
양승학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6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 G10K1/072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으로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다양한 타격음을 생성하는 소음발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는 소음발생부에 의해 다양한 타격음을 발생시키므로 조류가 해당 자극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타격음에 대한 적응이 어려워 퇴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류 퇴치 장치{Apparatus for withdrawing birds}
본 발명은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다양한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는 조류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보호 운동이 활발히 진행되는 요즈음에는 조류를 함부로 잡지 못하도록 규제하므로 과수원의 과일이나 밭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까치나 까마귀, 꿩과 같은 조류의 수가 점차 불어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과수원의 과실 등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되는 실정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과실이나 작물에 많은 피해를 주는 까치는 예로부터 길조로 알려져 있어 포획하지 않았던 바, 그 수가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전신주 등에 둥지를 틀거나하여 정전 등을 일으켜 피해를 주고 과수원 등의 과실류를 쪼아먹어 과실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까치 및 조류를 퇴치하는 기구와 방법이 시도되었는데, 예를 들자면 확성기를 과수원에 설치하여 까치의 천적 새의 소리를 내게 하거나 총소리 및 포소리 등을 이용하여 까치 등을 퇴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류퇴치장치는 조류에게 동일한 자극 즉, 동일한 소음만 지속적으로 제공하므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조류가 해당 자극에 적응하여 퇴치 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4368호: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근접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타격음을 생성할 수 있는 조류 퇴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으로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다양한 타격음을 생성하는 소음발생부를 구비한다.
상기 소음발생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며, 내부에 울림공간이 마련된 울림체와, 상기 울림체로부터 다양한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울림체 내측면의 서로 다른 타격지점들을 랜덤하게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울림체는 상기 회전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울림공간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타격유닛의 타격에 의해 다양한 타격음이 생성되도록 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울림체는 각 모서리 부분에,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울림공간으로 인입되게 상기 울림체에 설치된다.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울림체 내부로 인입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울림체의 내측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고정된 타격체를 구비한다.
상기 타격체는 구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울림체가 회전시 상기 울림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울림체에 설치되는 복귀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귀부는 양단이 각각 상기 울림체 및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울림체의 회전에 의해 신장되되, 신장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울림체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울림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울림체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연마된 연마면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는 소음발생부에 의해 다양한 타격음을 발생시키므로 조류가 해당 자극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타격음에 대한 적응이 어려워 퇴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조류 퇴치 장치의 타격유닛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류 퇴치 장치(100)는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00)으로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다양한 타격음을 생성하는 소음발생부(300)를 구비한다.
프레임(200)은 설치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지주(201)와, 상기 지주(201)의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암(202)과, 지지암(202)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함체(203)를 구비한다.
지주(20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하단부가 설치대상 지역 즉, 논, 밭 등에 설치된다. 지지암(202)은 지주(201)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지주(2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함체(203)는 지지암(202)의 단부 하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후술되는 소음발생부(300)의 구동모터(34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소음발생부(300)는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에 지지되며, 내부에 울림공간(321)이 마련된 울림체(320)와, 상기 울림체(320)로부터 다양한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울림체(320) 내측면의 서로 다른 타격지점들을 랜덤하게 타격하는 타격유닛(340)을 구비한다.
회전축(3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구동모터(341)에 의해 고정함체(203)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310)은 상단부가 구동모터(341)의 구동축(345)에 고정되어 구동모터(341)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회전축(310)은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울림체(3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311)는 회전축(310)에 대해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울림체(320)를 회전축(3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울림체(320)는 상기 회전축(3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3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구(322)는 회전축(310)의 지지돌기(311)에 울림체(3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축(310)의 외경보다 크고, 울림체(32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울림체(320)는 타격에 의해 보다 큰 타격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울림체(320)의 울림공간(321)은 타격유닛(340)에 의해 발생된 타격음이 외부로 울릴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타격유닛(340)에 의해 보다 다양한 타격음이 생성되도록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울림체(320)는 울림공간(321)이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울림체(320)의 울림공간(321)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8과 같이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울림체(320)는 타격유닛(340)의 타격시 측면이 진동하여 보다 큰 타격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각 모서리 부분에,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323)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울림체(32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연마된 연마면이 마련된 미러스텐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타격유닛(340)은 상기 회전축(3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1)와, 상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울림체(320) 내부로 인입된 상기 회전축(3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판(342)과, 상기 회전판(3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343)와, 상기 회전판(342)이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울림체(320)의 내측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343)의 단부에 고정된 타격체(344)를 구비한다.
구동모터(341)는 구동축(345)이 고정함체(203)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함체(203)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4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축(345)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모터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모터(341)의 구동축(345)에는 회전축(310)의 상단부가 고정된다.
회전판(34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회전축(310)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회전판(342)은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부재(343)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구(3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346)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회전판(34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43)는 일단부에 걸림구(346)가 삽입되어 회전판(342)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고리(347)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타격체(34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343)는 상기 회전판(342)이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적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43)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적용되므로 회전판(342)의 회전속도에 따라 신장길이가 변경되고, 신장된 길이에 따라 울림체(320)에 대한 타격체(344)의 타격 지점이 변경되어 보다 다양한 타격음이 발생된다.
타격체(344)는 연결부재(343)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금속소재의 울림체(320)를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타격체(344)는 구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341)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341)를 회전축(310)을 회전시키고,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판(342)이 울림체(320) 내부에서 회전한다. 여기서, 회전판(342)에 연결된 연결부재(343)는 원심력에 의해 회동 및 신장되어 타격체(344)가 울림체(320)의 내벽면을 타격하며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울림체(320) 내부의 울림공간(321)이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격체(344)의 타격지점에 따라 상이한 타격음이 생성된다. 일예로, 타격체(344)가 울림체(320)의 모서리부분을 타격시 발생되는 타격음과, 타격체(344)가 절개부(323)에 인접된 울림체(320)의 내측면을 타격시 발생되는 타격음이 상호 상이하다.
또한, 울림체(320)가 회전축(310)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울림체(320)가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므로 타격체(344)에 대한 타격지점이 랜덤하게 변경되어 상이한 타격음들이 무작위로 발생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100)는 소음발생부(300)에 의해 다양한 타격음을 발생시키므로 조류가 해당 자극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타격음에 대한 적응이 어려워 퇴치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류 퇴치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류 퇴치 장치(400)는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울림체(320)가 회전시 상기 울림체(32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울림체(320)에 설치되는 복귀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복귀부(410)는 프레임(200)의 고정함체(203)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복귀 스프링(411)을 구비한다. 상기 복귀 스프링(411)은 양단이 각각 울림체(320)의 상면 및 프레임(200)의 고정함체(203)에 지지된다. 여기서, 복귀 스프링(411)은 상기 울림체(320)의 회전에 의해 신장되되, 신장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울림체(32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울림체(3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소정의 탄성을 갖는 용수철이 적용된다.
울림체(320)는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되는데, 상기 복귀 스프링(411)은 탄성에 의해 상기 울림체(320)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타격음들이 보다 랜덤하게 발생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류 퇴치 장치
200: 프레임
201: 지주
202: 지지암
203: 고정함체
300: 소음발생부
310: 회전축
311: 지지돌기
320: 울림체
321: 울림공간
322: 관통구
323: 절개부
340: 타격유닛
341: 구동모터
342: 회전판
343: 연결부재
344: 타격체
345: 구동축
346: 걸림구
347: 걸림고리

Claims (1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으로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해 다양한 타격음을 생성하는 소음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음발생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에 울림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울림공간은 하부가 개방되고, 각형으로 형성된 울림체; 및
    상기 울림체로부터 다양한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상기 울림체 내측면의 서로 다른 타격지점들을 랜덤하게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구비하는,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울림체 내부로 인입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울림체의 내측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고정된 타격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단부에 상기 울림체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울림체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는 상기 회전축의 지지돌기에 상기 울림체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조류 퇴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체는 각 모서리 부분에,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조류 퇴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체는 구형으로 형성된,
    조류 퇴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조류 퇴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울림체가 회전시 상기 울림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울림체에 설치되는 복귀부;를 더 구비하는,
    조류 퇴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양단이 각각 상기 울림체 및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울림체의 회전에 의해 신장되되, 신장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울림체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울림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조류 퇴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체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연마된 연마면이 마련된,
    조류 퇴치 장치.



KR1020180023137A 2018-02-26 2018-02-26 조류 퇴치 장치 KR10203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37A KR102033644B1 (ko) 2018-02-26 2018-02-26 조류 퇴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37A KR102033644B1 (ko) 2018-02-26 2018-02-26 조류 퇴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83A KR20190102583A (ko) 2019-09-04
KR102033644B1 true KR102033644B1 (ko) 2019-10-17

Family

ID=6795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137A KR102033644B1 (ko) 2018-02-26 2018-02-26 조류 퇴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6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11Y1 (ko) 2002-06-21 2002-10-04 김창열 소리를 이용한 까치퇴치기
JP2015039355A (ja)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有害動物撃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493A (ko) * 2002-11-28 2004-06-05 박순길 조류 퇴치용 소음 발생기
KR20090011656U (ko) * 2008-05-13 2009-11-18 김준연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KR20150094368A (ko) 2014-02-11 2015-08-19 박광배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KR20170111580A (ko) * 2016-03-29 2017-10-12 성 희 정 모터를 이용한 조류 퇴치기
KR101872516B1 (ko) * 2016-09-08 2018-06-29 손진덕 유해조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611Y1 (ko) 2002-06-21 2002-10-04 김창열 소리를 이용한 까치퇴치기
JP2015039355A (ja) * 2013-08-23 2015-03-02 有限会社ルミエール 有害動物撃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83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6964B (zh) 一种激光灭蚊清洁机器人
KR101723304B1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US9877473B2 (en) Turkey fan decoy
KR102033644B1 (ko) 조류 퇴치 장치
KR101872516B1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KR20090011656U (ko)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KR102056924B1 (ko) 조류퇴치기
KR200460099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US20120324781A1 (en) Bed bug and roach trap
KR200467674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KR102033068B1 (ko)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KR20180000391U (ko) 두더지 퇴치기
TWI767977B (zh) 有害動物迴避裝置
KR102273557B1 (ko) 유해조수 통합 퇴치기
KR20200083077A (ko) 유해동물 퇴치장치
JP3220877U (ja) 野生動物を動揺させる撃退装置
JP2015223170A (ja) 鳥獣害忌避ロボット及び鳥獣害忌避システム
CN211482626U (zh) 一种能够借助风力摇摆的稻草人
KR200172391Y1 (ko) 반사경을 이용한 조류 및 곤충 퇴치기
KR20230092037A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KR20150094368A (ko)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US733778A (en) Bird-chaser.
KR100412045B1 (ko) 조류 퇴치장치
JPH11262353A (ja) 鳥獣威嚇装置
KR0133506Y1 (ko) 풍력에 의한 회전 및 타종하는 허수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