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69B1 - 조, 수류 퇴치기 - Google Patents

조, 수류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069B1
KR101260069B1 KR1020110141487A KR20110141487A KR101260069B1 KR 101260069 B1 KR101260069 B1 KR 101260069B1 KR 1020110141487 A KR1020110141487 A KR 1020110141487A KR 20110141487 A KR20110141487 A KR 20110141487A KR 101260069 B1 KR101260069 B1 KR 10126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ong hole
rotating
plat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봉
Original Assignee
조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봉 filed Critical 조영봉
Priority to KR102011014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경지에 설치하여 각종 새들(조류)나 짐승들(수류)을 퇴치하여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 수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을 편리하게 방어하며,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인건비를 절감하며, 한 번 설치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게 하며, 새들이나 짐승들을 퇴치하기 위하여 울리는 울림종의 소리 강도가 언제나 동일하게 하여 새들이나 짐승들의 퇴치시간을 향상시키는 조, 수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는 일단이 농경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다수의 말뚝에 각각 스프링(21)을 게재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농경지의 중앙부에 집중된 다수의 와이어(20), 상기 와이어(20) 상에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되고 있는 울림종(30), 상기 다수의 와이어(20)의 타단부들이 집중되는 장소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대(40)를 포함하는 조, 수류 퇴치장치에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긴 후 상기 스프링(21)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복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기고 놓는 부재의 연결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장치(130), 상기 회전장치(13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 그리고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회전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조, 수류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130)는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축(124)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31), 중앙에 장공(1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32a)의 위치는 중심선이 상기 회전판(131)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경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13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장공판(132), 그리고 상기 장공판(132)의 장공(132a)에 설치되어 왕복운동 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기고 놓는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13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 수류 퇴치기{Apparatus for ridding the farm land of birds and animals}
본 발명은 농경지에 설치하여 각종 새들(조류)나 짐승들(수류)을 퇴치하여 농작물을 보호하는 조, 수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을 편리하게 방어하며,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인건비를 절감하며, 한 번 설치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게 하며, 새들이나 짐승들을 퇴치하기 위하여 울리는 울림종의 소리 강도가 언제나 동일하게 하여 새들이나 짐승들의 퇴치시간을 향상시키는 조, 수류 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벼농사나 밭농사 또는 과수원이나 양어장 등지에서는 파종기에서 수확기에 이르기까지 각종 조류와 짐승들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파종기에 있어서는 흙에 드러난 씨나 얇게 묻힌 씨앗을 각종 새들이 주워 먹어 뿌린 씨앗만큼의 수확을 얻기가 어렵게 되거나, 씨앗이 묻힌 흙을 헤집게 되어 작물의 성장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수확기에 있어서는 벼나 수수 등의 알곡을 대량 먹어 치우게 되어 수확량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특히 배나 사과 등의 과일을 까치 등의 조류가 쪼아 먹게 될 경우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지거나 아예 상품으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고, 양어장에 있어서도 조류에 대한 피해는 상당하게 된다.
또한 멧돼지. 오소리, 너구리,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들은 야간에 농장에 침입하여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화된 조류퇴치장치를 개발하여 2003년 12월 9일에 특허 제0412045호로 특허를 받은 바 있다.
이 선등록발명의 조류퇴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농경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다수의 말뚝(10)에 각각 스프링(21)을 게재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농경지의 중앙부에 집중된 다수의 와이어(20), 상기 와이어(20) 상에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되고 있는 울림종(30), 상기 다수의 와이어(20)의 타단부들이 집중되는 장소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대(40), 상기 와이어 지지대(40)의 상부에 와이어(20)의 수만큼 설치되어 와이어(20)의 설치방향을 하향으로 바꾸는 다수의 롤러(50), 상기 설치방향이 하향으로 향한 다수의 와이어(20)의 타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0)를 당겼다가 복귀시키는 와이어당김부재(60), 상기 와이어당김부재(60)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20)를 신속하게 복귀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당김부재(60)의 연결부가 이동할 수 있는 장공(71)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70), 상기 회전판(70)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80)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지지대(40)는 다수 와이어(20)의 타단부가 집중되는 농경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데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두 개의 수직봉(40a)과 상기 두 개의 수직봉(40a)의 상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봉(40b)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평봉(40b)의 높이는 과수의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롤러(50)는 농경지의 중앙부에 집중되는 와이어(20)의 타단부가 그 방향을 하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와이어지지대(40)의 수평봉(40b)에 설치된다. 와이어(20)는 농경지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뻗어 있으므로 롤러(50)의 방향도 와이어(20)의 뻗은 방향을 향하도록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당김부재(60)는 롤러(50)를 통과한 와이어(20)의 타단부가 고정되는 수평부(60a)와 상기 수평부(60a)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결된 두 개의 수직부(60b)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단은 회전판(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70)은 상기 와이어 당김부재(60)의 수직부(60b)의 하단 연결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공(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71)의 양 끝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원형구멍에는 상기 와이어당김부재(60)가 상향 이동을 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우레탄으로 된 완충재(72)가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강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당김부재(60)의 수직부(60b)의 하단과 회전판(70)의 연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당김부재(60)의 수직부(60b) 하단에 고정된 베어링부(60c); 상기 회전판(70)의 장공(7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73a)와, 상기 원통부(73a)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형성된 원형플렌지(73b)와, 상기 외측에 형성된 원형 플렌지(73b)의 외측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부(60c)에 삽입되는 돌출축 (73c)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축(73); 상기 돌출축(73c)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부(60c)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74)로 구성할 수 있다. 연결축(73)의 내측과 외측의 원형플렌지(73b)는 회전판(70)의 양측면에 가볍게 접촉하므로 연결축(73)은 회전판(7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장공(71)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동력발생장치(80)는 감속기가 일체로 되어 있고 출력축에 구동 스프로켓(81)이 설치된 기어드 모터(82), 설치대(8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상기 회전판(70)이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피동 스프로켓(84)이 설치된 구동축(85), 상기 구동 스프로켓(81)과 피동 스프로켓(84)사이에 설치된 체인(86)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대(83)와 구동축(85)사이에는 베어링(87)이 게재되어 있어서 구동축(85)은 회전가능하다. 상기 동력발생장치(80)는 지면에 고정된 설치판(88)에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80)의 기어드 모터(82)는 제어장치(90)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구동된다. 제어장치(90)는 기어드모터(82)의 가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91)와, 과부하시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시키는 모터보호차단기(92), 그리고 상기 기어드 모터(8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릴레이부(93)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발생장치(80)가 작동하면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70)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축(73)이 이동하는데, 도 5b의 상태에서 도 5c의 상태로 변할 때와 도 5d의 상태에서 도 5e의 상태로 변할 때 스프링(21)에 의하여 와이어(20)가 급작스럽게 복귀하면서 울림종(30)에서 소리를 냄으로써 조류를 퇴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조류퇴치장치는 회전판(70)의 장공(71)이 회전판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 되어 있으므로 도 5b의 상태에서 도 5c의 상태로 변할 때와 도 5d의 상태에서 도 5e의 상태로 변할 때 스프링(21)의 당김 정도가 달라 울림종(30)에서 나는 소리의 크기가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5b의 상태에서 도 5c의 상태로 변할 때보다 도 5d의 상태에서 도 5e의 상태로 변할 때가 스프링(21)을 많이 당기게 되므로 종울림 소리가 크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류퇴치장치는 종울림 소리의 강도가 일정하지 않고 그에 따라 조류 및 짐승들을 쫓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조, 수류 퇴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새들과 짐승들을 쫓기 위해서 소리를 내는 울림종에서 항상 같은 강도의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여 새 또는 짐승들을 쫓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조,수류 퇴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는 일단이 농경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다수의 말뚝에 각각 스프링을 게재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농경지의 중앙부에 집중된 다수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 상에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되고 있는 울림종, 상기 다수의 와이어의 타단부들이 집중되는 장소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대를 포함하는 조, 수류 퇴치장치의 와이어를 당긴 후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복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고 놓는 부재의 연결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장치, 상기 회전장치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 그리고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회전판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조, 수류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 중앙에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의 위치는 중심선이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 하는 직경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장공판, 그리고 상기 장공판의 장공에 설치되어 왕복운동 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고 놓는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는 또한 상기 장공판은 단(段)이 진 다수의 볼트에 의하여 회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는 또한 상기 장공판의 장공의 양단에 각각 완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공판이 회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장공판의 장공 중심선이 회전판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되어 있으므로 회전판이 일회전할 때 장공을 따라 두 번 왕복 운동하는 연결부의 상하 운동이 동일하게 되고 와이어를 당기는 강도가 동일하므로 울림종에서 나는 소리의 강도가 동일하고, 그에 따라 새들과 짐승들을 쫓는 효과가 상승한다.
도 1은 종래 조류퇴치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A-A 선에서 도시한 조류퇴치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종래 조류퇴치장치의 구성요소인 동력발생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종래 조류퇴치장치의 구성요소인 회전판과 와이어 당김부재의 수직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종래 조류퇴치장치의 회전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회전판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의 회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의 회전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를 사용하는 전체 조, 수류 퇴치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 수류퇴치기(100)를 이용하는 조, 수류 퇴치장치는 종래와 같이 일단이 농경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다수의 말뚝에 각각 스프링(21)을 게재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농경지의 중앙부에 집중된 다수의 와이어(20), 상기 와이어(20) 상에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되고 있는 울림종(30), 상기 다수의 와이어(20)의 타단부들이 집중되는 장소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대(40), 상기 와이어 지지대(40)의 상부에 와이어(20)의 수만큼 설치되어 와이어(20)의 설치방향을 하향으로 바꾸는 다수의 롤러(50), 상기 설치방향이 하향으로 향한 다수의 와이어(20)의 타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0)를 당겼다가 복귀시키는 와이어당김부재(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100)는 상기 와이어(20)를 당긴 후 상기 스프링(21)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복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기고 놓는 부재의 연결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장치(130), 상기 회전장치(13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 그리고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회전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발생장치는 기판(101)에 설치된 기어드 모터(110)이고, 동력전달장치는 기어드 모터(110)의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라켓(121), 상기 구동 스프라켓(121)에 설치된 체인(122), 상기 체인(122)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 스프라켓(123), 상기 피동 스프라켓(123)이 설치된 구동축(1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124)은 베어링(126)에 의하여 지지대(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동력발생장치와 동력전달장치는 기판(101)에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02)에 의하여 덮여진다.
상기 회전장치(130)는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축(124)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31), 중앙에 장공(1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32a)의 위치는 중심선이 상기 회전판(131)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경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13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장공판(132), 그리고 상기 장공판(132)의 장공(132a)에 설치되어 왕복운동 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기고 놓는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136)를 포함한다.
회전판(131)은 원판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에 허브(125)가 형성되어 구동축(124)이 삽입되어 결합한다.
상기 장공판(132)은 단(段)이 진 다수의 볼트(133)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133a)에 의하여 회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장공판(132)의 장공(132a)의 양단에 각각 완충부재(134a)(134b)가 설치되어 있는데, 볼트(135)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132)는 와이어당김부재(60)의 하단이 연결되는 회전축이 있는 베어링으로서 장공판(132)의 장공(132a)에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경지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다수의 와이어(20)들은 각각 농경지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방사형으로 뻗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 수류 퇴치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동력발생장치인 기어드 모터(110)를 작동시키면 그 회전력은 구동 스프라켓(121), 체인(122), 피동 스프라켓(123)을 통하여 구동축(124)으로 전달된다. 구동축(124)이 회전하면 회전장치(130)가 회전한다.
회전장치의 회전판(131)이 회전하면 장공판(132)이 함께 회전하고, 장공판(132)의 장공(132a)에 설치된 연결부(136)가 장공(132a)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데, 회전판(131)이 일회전할 때 두 번 왕복운동을 하면서 와이어(20)를 당기고 당긴 후 스프링(21)의 탄력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와이어(20)가 복귀하면서 울림종(30)에서 소리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회전장치는 장공판(132)이 회전판(131)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고 장공(132)의 중심선이 회전판(131)의 중심선과 일치하므로, 회전판(131)의 일회전동안에 두 번 왕복 운동하는 연결부(136)가 스프링(21)의 탄력에 의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급작스럽게 올라가는 상태가 동일하여, 울림종(30)에서 동일한 강도의 소리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보다 새들 및 짐승들을 쫓는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말뚝 20: 와이어
21: 스프링 30: 울림종
40: 와이어지지대 40a: 수직봉
40b: 수평봉 50: 롤러
60: 와이어 당김부재 60a: 수평부
60b: 수직부 60c: 베어링부
70: 회전판 71: 장공
72: 완충재 73: 연결축
73a: 원통부 73b: 원형플렌지
73c: 돌출축 80: 동력발생장치
81: 구동 스프로켓 82: 기어드 모터(geared motor)
83: 설치대 84: 피동 스프로켓
85: 구동축 86: 체인
87: 베어링 88: 설치판
90: 제어장치 91: 타이머
92: 모터보호차단기 93: 전원릴레이
100: 조, 수류 퇴치기 101: 기판
102: 케이스 110: 기어드 모터
121: 구동 스프라켓 122: 체인
123: 피동 스프라켓 124: 구동축
126: 베어링 130: 회전장치
131: 회전판 131a: 허브
132: 장공판 132a: 장공
133: 볼트 133a: 너트
134a, 134b: 완충부재 135: 볼트
136: 연결부 140: 지지대

Claims (3)

  1. 일단이 농경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다수의 말뚝에 각각 스프링(21)을 게재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농경지의 중앙부에 집중된 다수의 와이어(20), 상기 와이어(20) 상에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되고 있는 울림종(30), 상기 다수의 와이어(20)의 타단부들이 집중되는 장소에 설치된 와이어 지지대(40)를 포함하는 조, 수류 퇴치장치에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긴 후 상기 스프링(21)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복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기고 놓는 부재의 연결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회전장치(130), 상기 회전장치(13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장치, 그리고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회전장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조, 수류 퇴치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130)는 동력전달장치의 구동축(124)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31),
    중앙에 장공(1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32a)의 위치는 중심선이 상기 회전판(131)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경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13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장공판(132), 그리고
    상기 장공판(132)의 장공(132a)에 설치되어 왕복운동 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20)를 당기고 놓는 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수류 퇴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판(132)은 단(段)이 진 다수의 볼트(133)에 의하여 회전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수류 퇴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판(132)의 장공(132a)의 양단에 각각 완충부재(134a)(134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수류 퇴치기.
KR1020110141487A 2011-12-23 2011-12-23 조, 수류 퇴치기 KR10126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487A KR101260069B1 (ko) 2011-12-23 2011-12-23 조, 수류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487A KR101260069B1 (ko) 2011-12-23 2011-12-23 조, 수류 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069B1 true KR101260069B1 (ko) 2013-05-07

Family

ID=4866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487A KR101260069B1 (ko) 2011-12-23 2011-12-23 조, 수류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0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78B1 (ko) 2014-09-17 2015-02-06 정병덕 조류 퇴치장치
KR101543311B1 (ko) 2015-02-05 2015-08-12 정병덕 조류 퇴치장치
CN108812630A (zh) * 2018-07-05 2018-11-16 廖嘉俊 一种鱼塘用驱鸟装置
CN109392890A (zh) * 2018-10-08 2019-03-01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施工水域长江江豚声驱赶保护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60B1 (ko) 1998-10-17 2001-01-15 조영봉 조류 퇴치장치
KR200224336Y1 (ko) 2000-11-14 2001-05-15 조영대 다용도 동력전달장치
KR200293481Y1 (ko) 2002-08-05 2002-10-31 김경식 조류 퇴치 장치
KR100412045B1 (ko) 2001-10-12 2003-12-24 조영봉 조류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60B1 (ko) 1998-10-17 2001-01-15 조영봉 조류 퇴치장치
KR200224336Y1 (ko) 2000-11-14 2001-05-15 조영대 다용도 동력전달장치
KR100412045B1 (ko) 2001-10-12 2003-12-24 조영봉 조류 퇴치장치
KR200293481Y1 (ko) 2002-08-05 2002-10-31 김경식 조류 퇴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78B1 (ko) 2014-09-17 2015-02-06 정병덕 조류 퇴치장치
KR101543311B1 (ko) 2015-02-05 2015-08-12 정병덕 조류 퇴치장치
CN108812630A (zh) * 2018-07-05 2018-11-16 廖嘉俊 一种鱼塘用驱鸟装置
CN109392890A (zh) * 2018-10-08 2019-03-01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施工水域长江江豚声驱赶保护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811B1 (ko) 조류 퇴치장치
KR101260069B1 (ko) 조, 수류 퇴치기
KR20110079567A (ko) 조류퇴치기
KR101723304B1 (ko) 조류 또는 두더지 퇴치기
KR20090011656U (ko)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US7782711B2 (en) Pest deterrent
KR100412045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110002425U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JP2013013352A (ja) 鳥獣等の駆除装置
CN107484733B (zh) 一种农园高效防虫防兽电网结构
KR200467674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CN215074904U (zh) 一种农业种植用害虫诱捕装置
KR102033068B1 (ko)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CN204837653U (zh) 园林白蛾杀灭装置
CN211482626U (zh) 一种能够借助风力摇摆的稻草人
KR101296351B1 (ko) 조류 퇴치기 제어장치
KR100278960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0300682Y1 (ko)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KR101624708B1 (ko) 조류퇴치 및 적설방지장치
CN204168919U (zh) 一种方便拆装的昆虫诱捕器
JP3155554U (ja) 鳥獣害防止用籠
CN206547696U (zh) 一种蔬菜种植的捕虫装置
KR20150094368A (ko) 농작물 피해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용 종소리 발생기
KR20110004924A (ko)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CN212589764U (zh) 一种智能诱虫与驱鸟的组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